KR101302923B1 -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 Google Patents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2923B1
KR101302923B1 KR1020110111854A KR20110111854A KR101302923B1 KR 101302923 B1 KR101302923 B1 KR 101302923B1 KR 1020110111854 A KR1020110111854 A KR 1020110111854A KR 20110111854 A KR20110111854 A KR 20110111854A KR 101302923 B1 KR101302923 B1 KR 101302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eiling panel
vehicle
suv
f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7069A (ko
Inventor
강희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케피코
Priority to KR10201101118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2923B1/ko
Publication of KR20130047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70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2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2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24/00Package and article carriers
    • Y10S224/924Vehicle attached carrier for bicycle or motorcy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 등과 같은 물건이 차량 내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유동없이 거치될 수 있는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운전석 및 조수석이 구비되고, 내부의 천장에 천장패널이 형성되며, 후방에 트렁크 도어가 형성된 SUV 차량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 중 어느 하나의 뒷 쪽에서 상기 트렁크 도어까지 연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상측이 되는 상기 천장패널 부위에 상기 공간부로 탑재되는 물건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수단이 구비된다.

Description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SUV with space carrying something}
본 발명은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전거 등과 같은 물건이 차량 내부에 탑재된 상태에서 유동없이 거치될 수 있는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SUV 차량(Sports Utility Vehicle)은 1열을 형성하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뒷 쪽으로 2열 또는 3열의 후방 좌석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 후방 좌석부의 뒷 쪽으로 트렁크 도어까지 트렁크 공간이 형성된다.
SUV 차량에서 형성되는 이러한 트렁크 공간은 물건을 싣기에 공간적 제약이 따른다. 따라서 싣고자 하는 물건의 부피가 큰 경우에는 차량에 싣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자전거와 같은 물건이 그러하다.
탑재 물건의 일 예로서 자전거를 예로 들면, 요즘 운동의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자전거의 활용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이고, 이에 따라, 자전거를 운행할 수 있는 공원이나 외곽도로까지 차량을 이용하여 자전거를 운반하는 경우가 흔하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자전거와 같은 부피 큰 물건을 싣는 것은 매우 어렵다.
이에, 자전거를 탑재하는 종래의 차량 구조는 한국실용신안출원 제20-2005-0022278호에 개시된 것과 같이, 차량의 지붕에 자전거 캐리어를 장착하여 자전거를 차량의 지붕에 고정하는 구조가 제시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자전거 탑재 구조는 차량의 지붕에 자전거를 장착하게 되어 있어, 캐리어를 차량의 지붕까지 올려서 장착하기가 용이하지 않음은 물론이고, 자전거를 차량의 지붕까지 들어올려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특히, SUV 차량은 일반 승용차보다 차고가 더 높아 자전거를 장착하기가 더 용이하지 않다.
또한, 차량 운행 중 자전거가 외부로 노출되기 때문에, 눈, 비 등의 기후 조건에서 자전거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자전거를 차량 내부로 탑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UV 차량은 차량에 따라 다를 수는 있지만, 대부분의 차량이 후방 좌석부의 등받이부를 수평으로 젖혀 트렁크 공간을 확장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렇게 확장된 공간으로 자전거를 탑재할 수도 있지만, 자전거를 싣는다고 하더라도 자전거가 유동없이 거치되도록 하는 별도의 거치 구조가 차량 내부에 없기 때문에, 차량 운행 중 자전거가 유동하여 자전거가 손상되거나 차량 내부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SUV 차량이 갖는 실내 탑재 공간의 제약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자전거와 같은 물건이 차량 내부에 탑재될 수 있는 탑재 공간이 형성된 차량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차량 내부에 자전거와 같은 물건이 유동없이 거치되도록 하는 거치구조를 제시하고자 하며, 이 거치구조가 비단 자전거 뿐만이 아니라, 의복이나, 가방 기타 다양한 물건의 거치 용도로 활용되도록 하고자 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은, 내부에 운전석 및 조수석이 구비되고, 내부의 천장에 천장패널이 형성되며, 후방에 트렁크 도어가 형성된 SUV 차량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 중 어느 하나의 뒷 쪽에서 상기 트렁크 도어까지 연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기 공간부의 상측이 되는 상기 천장패널 부위에 상기 공간부로 탑재되는 물건이 거치될 수 있는 거치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거치수단은, 상기 천장패널로부터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과,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하단부에 양 단부가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프레임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프레임과 연결되는 상기 제3프레임의 일단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하단부에 분리 장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는 상기 제3프레임의 타단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3프레임에 자전거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구는, 양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끼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개방된 상부로 상기 자전거의 수평프레임이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3프레임에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상기 끼움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고정구가 상기 제3프레임에 분리 장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천장패널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브라켓과 이격되어 상기 천장패널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회동하여 상기 천장패널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천장패널에는, 상기 천장패널에 밀착된 상기 제3프레임이 끼워질 수 있는 제1끼움구와, 상기 천장패널에 밀착된 상기 제2프레임이 끼워질 수 있는 제2끼움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서로 평행하도록 세로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주보는 각 측면에 측면벽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3프레임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측에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기 제3프레임의 일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3프레임은, 일단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으로 동시에 관통 결합되는 볼트부재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부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3프레임의 일단부는 저면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됨으로써 부피가 큰 자전거와 같은 물건이 탑재될 수 있다.
그리고, 공간부의 천장패널에 거치수단이 마련됨으로써, 공간부로 탑재되는 물건 중 걸어서 거치될 수 있는 물건을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다.
특히, 자전거를 탑재하는 경우에는, 제3패널에 형성되는 고정구를 이용하여 자전거의 수평프레임을 고정시킴으로써, 거치수단에 의해 자전거가 유동하지 않고 거치될 수 있다.
또한, 거치수단은 거치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경우에 제1프레임 및 제3프레임, 그리고 제2프레임을 천장패널에 밀착시켜 그 상태로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차량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의 공간부를 알 수 있는 개략적인 평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공간부에 형성되는 거치수단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고정구의 조립 상태를 알 수 있는 부분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거치수단이 분리되어 천장패널에 밀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끼움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6a 및 도 6b는 도 2에 도시된 제2프레임과 제3프레임의 연결 구조를 알 수 있는 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탑재 공간이 형성된 차량에 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Sports Utility Vehicle)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석(11)의 뒷 쪽, 또는 조수석(12)의 뒷 쪽에서 트렁크 도어(14)까지 연장되는 공간부(101)가 형성된다.
통상의 SUV 차량은 운전석(11) 및 조수석(12)의 뒷 쪽에서 좌우로 2인 또는 3인이 착석할 수 있는 후방 좌석부가 형성되나, 본 실시예에 따른 SUV 차량(1)은, 운전석(11) 및 조수석(12) 중 어느 하나의 뒷 쪽에서 후방 좌석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도시된 예에서는 운전석(11)의 뒷 쪽에서 후방 좌석부(15)가 형성되고, 조수석(12)의 뒷 쪽에서 후방 좌석부(15)가 형성되지 않은 예가 제시된다. 따라서, 조수석(12)의 뒷 쪽에서는 천장패널과 바닥패널 사이로 비어있는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공간은 트렁크 도어(14)까지 연장된다. 상기한 공간부(101)란, 이러한 공간을 의미하는 것이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조수석(12)의 뒷 쪽에서 공간부(101)가 형성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 내부에 이와 같은 공간부(101)가 형성됨으로써, 측면 도어를 통해서나 트렁크 도어(14)를 통해 자전거(50)와 같은 부피가 큰 물건을 공간부(101)에 탑재할 수 있다.
한편, 공간부(101)에 탑재되는 자전거(50)와 같은 물건은 유동없이 거치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차량 내부에 거치수단(200)이 포함된다.
거치수단(200)은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의 천장패널(13)로부터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면서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과,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의 하단부에 양 단부가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프레임(230)이 포함된다.
도 2에서는 차량의 전방으로 바라볼 때를 기준으로 제1프레임(210),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의 배치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제3프레임(230)의 일단부, 구체적으로 우측단부는 제2프레임(22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타단부, 구체적으로 좌측단부는 제1프레임(210)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제3프레임(230)은 제2프레임(22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프레임(210) 및 제2프레임(220)에 의해 지지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공간부(101)로 탑재되는 물건은 제3프레임(230)에 지지되면서 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3프레임(230)이 옷걸이 봉이나, 가방걸이 봉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의복이 걸려 있는 옷걸이나 가방 끈을 제3프레임(230)에 걸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자전거가 거치되는 기능도 수행할 수 있다.
거치수단(200)에 의해 자전거가 거치되는 경우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자전거는 통상 핸들부와 안장부 사이를 수평으로 연결하는 수평프레임(51)이 형성되기 마련인데, 이 수평프레임(51)이 제3프레임(230)의 상측에 놓이도록 자전거를 거치함으로써 자전거가 공간부(101)에서 세워진 상태로 거치될 수 있다.
이때, 수평프레임(51)이 유동없이 제3프레임(230)에 의해 지지되도록, 제3프레임(230)은 중앙 부위에 고정구(240)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24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241)와, 삽입부(241)의 하부에 형성되는 끼움부(24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부(241)는, 좌우 양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며, 개방된 상부를 통해 자전거의 수평프레임(51)이 삽입부(241)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된 상태에서는 수평프레임(51)의 외주면이 삽입부(241)에 의해 가압되어 수평프레임(51)이 유동하지 않고 제3프레임(230)의 상측에서 고정될 수 있다.
끼움부(242)는 제3프레임(230)에 끼워져 고정되는 부위이다. 제3프레임(230)은 끼움부(242)가 끼워지도록 중앙부위에 끼움홈(231)이 형성되며, 끼움부(242)는 끼움홈(231)으로 착탈 가능하게 억지 끼움됨으로써, 고정구(240)가 제3프레임(230)에 결합된다. 이러한 고정구(240)는 필요에 따라 제3프레임(230)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한편, 자전거의 수평프레임(51)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방으로 두 곳 이상에서 제3프레임(230)으로부터 지지될 수 있도록, 상술한 제1프레임(210),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으로 이루어지는 거치수단(200)은 공간부(101) 상측의 천장패널(13)에서 전후방으로 이격되어 두 곳 이상에서 구비될 수도 있다.
상술한 거치수단(200)은, 물건을 거치할 필요가 없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다. 거치수단(200)이 차량 내부의 공간 중 일부를 차지함으로써 탑승자의 활동에 제약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거치수단(200)에 물건이 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거치수단(200)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제1프레임(210)과 제2프레임(220)은 천장패널(13)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1브라켓(310)과 제2브라켓(320)이 천장패널(13)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되고, 제1브라켓(310)에 제1프레임(210)이, 그리고 제2브라켓(320)에 제2프레임(220)이 회동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에서 좌측의 제1브라켓(310)은, 제1프레임(210)이 좌측으로 대략 90도 각도에서만 회동가능하도록, 즉 제1프레임(210)이 세로로 세워진 상태에서 우측으로는 회동하지 못하도록, 좌측부가 개방되고 우측부에 측면벽(311)이 형성되어 제1프레임(210)의 우측 회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우측의 제2브라켓(320) 또한 제2프레임(220)이 세워진 상태에서 좌측으로의 회동을 제한하면서 우측으로 대략 90도 각도에서 회동가능하도록, 좌측부에 측면벽(321)이 형성되고 우측부가 개방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제3프레임(230)의 우측단부가 제2프레임(220)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제3프레임(230)의 좌측단부가 제1프레임(210)의 하단부에서 힌지 결합되기 때문에, 제3프레임(230)이 제2프레임(220)으로부터 분리되면, 제1프레임(210)과 제3프레임(230)은 제3프레임(230)의 제1프레임(210)에 대한 상대적인 회동이 허용되면서 일직선으로 펼쳐질 수 있다.
제1프레임(2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1브라켓(310)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기 때문에 펼쳐진 제1프레임(210)과 제3프레임(230)이 함께 좌측으로 회동하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패널(13)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천장패널(13)에는 제3프레임(230)의 일측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제1끼움구(41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끼움구(4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양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제3프레임(230)의 일측은 제1끼움구(410)의 개방된 하부를 통해 제1끼움구(410)의 내측으로 끼워질 수 있다.
제3프레임(230)이 제1끼움구(410)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제1프레임(210)과 제3프레임(230)은 천장패널(13)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프레임(220)도 우측으로 회동이 가능하므로, 회동하여 천장패널(13)에 밀착될 수 있으며, 천장패널(13)에는 제2프레임(220)의 일측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술한 제1끼움구(410)와 마찬가지의 제2끼움구(420)가 형성될 수 있다.
거치수단(200)은 제1프레임(210) 및 제3프레임(230)과, 제2프레임(220)이 이와 같이 천장패널(13)에 밀착된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차량 내부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최소화된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서는 제3프레임(230)이 제2프레임(220)의 하단부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구체적인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우선, 제2프레임(220)은, 좌측면에 제3프레임(230)의 우측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1)이 형성되며, 삽입홈(221)의 하측에 제3프레임(230)의 우측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222)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3프레임(230)은 우측단부가 삽입홈(221)에 삽입된 상태에서 지지부(22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는 제1프레임(210)의 좌측 회동이나, 제2프레임(220)의 우측 회동에 따라 삽입홈(221)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에,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220) 및 제3프레임(230)으로 동시에 관통 결합되는 볼트부재(501)에 의해 제3프레임(230)의 우측단부가 제2프레임(220)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볼트부재(501)를 풀어 제거함으로써 제3프레임(230)이 제2프레임(220)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222)에 상부로 돌출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제3프레임(230)의 우측단부 저면에 끼움돌기(222a)가 끼워지는 끼움홀(232)이 형성되어, 제3프레임(230)의 우측단부가 제2프레임(220)에 필요에 따라 고정 또는 분리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차량 내부에 공간부(101)가 마련되어, 자전거와 같은 부피가 큰 물건을 차량 내부로 탑재할 수 있다.
그리고, 공간부(101)의 천장패널(13)에 상술한 거치수단(200)이 구비됨으로써, 공간부(101)로 탑재된 자전거가 유동없이 거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외 걸어서 거치될 수 있는 다양한 물건들 또한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1;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11; 운전석
12; 조수석 13; 천장패널
14; 트렁크 도어 15; 후방 좌석부
101; 공간부 200; 거치수단
210; 제1프레임 220; 제2프레임
221; 삽입홈 222; 지지부
222a; 끼움돌기 230; 제3프레임
231; 끼움홈 232; 끼움홀
240; 고정구 241; 삽입부
242; 끼움부 310; 제1브라켓
311; 측면벽 320; 제2브라켓
321; 측면벽 410; 제1끼움구
420; 제2끼움구 501; 볼트부재

Claims (10)

  1. 내부에 운전석 및 조수석이 구비되고, 내부의 천장에 천장패널이 형성되며, 후방에 트렁크 도어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운전석 및 상기 조수석 중 어느 하나의 뒷 쪽에서 상기 트렁크 도어까지 연장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SUV 차량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상측이 되는 상기 천장패널 부위에 상단부가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 채 상기 천장패널로부터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며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제1프레임 및 제2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하단부에 양 단부가 연결되어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는 제3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프레임과 연결되는 상기 제3프레임의 일단부는 상기 제2프레임의 하단부에 분리 장착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1프레임과 연결되는 상기 제3프레임의 타단부는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에 자전거의 수평프레임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고정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는, 양측으로 탄력적으로 벌어질 수 있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끼움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삽입부의 개방된 상부로 상기 자전거의 수평프레임이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제3프레임에 상기 끼움부가 끼워지는 끼움홈이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상기 끼움부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고정구가 상기 제3프레임에 분리 장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은 상기 천장패널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1브라켓과 이격되어 상기 천장패널에 고정되는 제2브라켓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은 회동하여 상기 천장패널에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천장패널에는, 상기 천장패널에 밀착된 상기 제3프레임이 끼워질 수 있는 제1끼움구와, 상기 천장패널에 밀착된 상기 제2프레임이 끼워질 수 있는 제2끼움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제1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이 서로 평행하도록 세로로 배치된 상태에서 서로 벌어지는 방향으로만 회동이 가능하도록, 마주보는 각 측면에 측면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상기 제3프레임의 일단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의 하측에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기 제3프레임의 일단부 저면을 지지하는 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3프레임은, 일단부가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2프레임 및 상기 제3프레임으로 동시에 관통 결합되는 볼트부재에 의해 상기 제2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3프레임의 일단부는 저면에 상기 끼움돌기가 끼워지는 끼움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KR1020110111854A 2011-10-31 2011-10-31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KR101302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854A KR101302923B1 (ko) 2011-10-31 2011-10-31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854A KR101302923B1 (ko) 2011-10-31 2011-10-31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069A KR20130047069A (ko) 2013-05-08
KR101302923B1 true KR101302923B1 (ko) 2013-09-06

Family

ID=48658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854A KR101302923B1 (ko) 2011-10-31 2011-10-31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292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3096B2 (en) 2020-10-16 2023-09-12 Trimidtown, Llc Adjustable interior bicycle stand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769A (ja) * 1995-10-06 1997-04-1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把手付レール
KR0145606B1 (ko) * 1995-11-06 1998-08-17 전성원 자동차용 착탈식 실내 테이블
KR19980039068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차량에 설치되는 간이 테이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99769A (ja) * 1995-10-06 1997-04-1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把手付レール
KR0145606B1 (ko) * 1995-11-06 1998-08-17 전성원 자동차용 착탈식 실내 테이블
KR19980039068U (ko) * 1996-12-20 1998-09-15 양재신 차량에 설치되는 간이 테이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53096B2 (en) 2020-10-16 2023-09-12 Trimidtown, Llc Adjustable interior bicycle st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7069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99999B2 (ja) 車両用自転車キャリア{Bicycle Carrier for a Vehicle}
US20180281686A1 (en) Pillar mounted assist step
US8820597B2 (en) Vehicle garment hook and guard mounting assembly
BR112012033654A2 (pt) bagageiro de bicicleta
US9561755B2 (en) Vehicle garment hook assembly
KR101652647B1 (ko) 차량용 다목적 캐리어
JPH10309995A (ja) ルーフ荷物キャリヤの固定装置
US20130049395A1 (en) Cargo area extens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10035465B2 (en) Vehicle platform and barrier
US20080011795A1 (en) Bicycle transport rack
GB2182619A (en) Carrier means for attachment to a vehicle
KR200412701Y1 (ko) 차량용 자전거 캐리어
KR101302923B1 (ko) 탑재 공간이 형성된 suv 차량
CN105730308A (zh) 多用途车辆
JP3145441U (ja) サイクルホルダー
US9260061B1 (en) Equipment and accessories holder
CN208789604U (zh) 一种车顶箱体以及车顶箱装置
US10035471B2 (en) Carrier device for vehicles
CN210912223U (zh) 一种车辆
FR2972980A1 (fr) Cloison modulable d'un vehicule automobile et procede de configuration d'un espace de rangement
KR200411893Y1 (ko) 자전거 자물쇠
CN111775850B (zh) 一种车载代步车支架和具有其的车辆
US11040668B2 (en) Hitch mounted double deck cargo carrier for a vehicle
KR200283987Y1 (ko) 차량용 루프 캐리어
CA2322357A1 (en) Carrying rack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