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1058B1 - 케이블 수용 경계석 - Google Patents

케이블 수용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1058B1
KR101301058B1 KR1020130041997A KR20130041997A KR101301058B1 KR 101301058 B1 KR101301058 B1 KR 101301058B1 KR 1020130041997 A KR1020130041997 A KR 1020130041997A KR 20130041997 A KR20130041997 A KR 20130041997A KR 101301058 B1 KR101301058 B1 KR 101301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cable
boundary stone
tray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41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케이제이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케이제이넷 filed Critical 주식회사케이제이넷
Priority to KR1020130041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1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1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9/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 H02G9/04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in or on the ground or water in surface ducts; Ducts or cover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측벽(11), 바닥면(12), 우측벽(13)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10); 커버좌측벽(21), 상면(22), 커버우측벽(23)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 커버(20);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좌측벽(11)과 우측벽(13)에 각각 형성된 트레이 체결공(15); 상기 커버좌측벽(21)과 커버우측벽(23)에 각각 형성된 커버체결공(25); 상기 트레이 체결공(15)과 상기 커버체결공(25)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0);로 이루어지는 케이블 수용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케이블 수용 경계석{Boundary stone carrying cables}
최근 통신망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그로 인해 전송관로가 지속적으로 지하에 구축되고 있으나 기존의 상하수도관 및 도시가스관 등을 포함한 여러 관로 역시 지하에 매설되어 있어 비용 및 도로상황을 감안할 때 더 이상 지하에 전송관로를 구축하기는 어려운 현실이다. 본 발명은 도로와 보도를 경계하는 도로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경계석이 기존의 도로 경계석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조립형으로 구비되므로 그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그 내부에 통신 및 전력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케이블 포설작업이나 케이블 지지시설 등의 부가시설이 필요치 않도록 한 케이블 수용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경계석(boundary stone)은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경계표시 및 안전수단 기능을 수행하며 그 재질은 통상 콘크리트 블록이나 화강암 석재이다. 이와 같은 경계석은 1 미터 정도의 길이를 가진 직육면체 형상으로 배치되는데, 이의 시공은 통상적으로 도로와 보도의 경계면 상에 콘크리트 몰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경계석을 올려놓는 방식으로 시공되며 인접하는 경계석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몰탈로 마감처리한다.
아래에서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기술들을 살펴본다.
① 특허 제749364호(경계석)는 경계석 양 측면에 연결홈과 금속재질로 된 소정길이의 연결쇄를 형성하여 연결쇄와 연결홈을 암수로서 연접하는 경계석을 결합시키고 설치시에는 경계석의 결합지점에 연결부재를 끼워 넣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부재는 경계석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지지부재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완충부재, 완충부재 내에 연결쇄가 통과되는 연결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석재를 재료로 하는 경계석이며 경계석 연결은 별도의 철재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이라서 본 발명의 조립식 경계석과는 기술구성이 전혀 다르고 그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없는 구조이다. 또한 그 시공은 도로와 보도의 경계면 상에 콘크리트 몰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경계석을 올려놓는 방식으로 시공되는 통상적인 방식에 의한다.
②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공개특허 제2012-88084호(도로 경계석의 연결고정 구조)에는, 경계석으로서 직육면체 형상의 콘크리트 블록 또는 화강암 석재를 구비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그 시공방법으로서는 먼저 경계석이 놓일 기초면에 콘크리트층을 형성하고, 콘크리트층이 굳기 전에 연결부와 삽입고정부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박아 고정한 후, 각각의 경계석 저면부에 형성해 둔 결합홈에 상기 결합부재가 삽입되도록 하여 인접 경계석을 연결 배치하는 시공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기술 역시 석재를 재료로 하는 경계석이며 경계석 연결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이용하여 결합하는 방식이라서 본 발명의 조립식 경계석과는 기술구성이 전혀 다르고 그 내부에 케이블을 수용할 수 없는 구조이다
③ 공개특허 제2005-14472호(주물재 도로경계석)은 경계석으로서 주물재 경계석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 경계석은 저면이 개방되고 길이방향으로 관통된 형태이며, 일측에는 삽입부와 타측에는 접합부가 형성됨으로써, 도로 경계석을 설치할 경우에는 경계석 본체에 형성된 접합부를 타측 경계석의 삽입부에 삽입하여 밀착시킨 후 상부 또는 측부에서 고정구로 결합하는 시공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경계석은 속이 빈 단층벽 주물재라서 측면 충격에 쉽게 찌그러지거나 파손되어 설치된 상태에서는 원상회복이 불가능하고, 중량으로 인해 현장 작업성이 떨어지며 제작비용이 고가이므로 실제로는 사용될 수 없는 물품이며, 저면이 기초면에 직접 개방된 형상이라서 그 내부에 통신 및 전력 케이블을 수용할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방지를 위해 두께를 늘려 제작할 경우에는 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실제 사용면에서는 종래의 콘크리트 또는 석재 경계석과 실질적으로 아무런 차이가 없는 문제가 있다.
④ 공개특허 제2004-79605호(통신케이블 선용 트로프)는 인도의 경계석과 보도블럭 사이에 별도의 트로프를 설치하여 그 내부에 통신케이블을 수용하는 구성을 제시하고 있으며, 상기 트로프는 지중에 매설되는 본체와 본체를 덮는 덮개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통신케이블이 수용되는 케이블 수용실, 수용실 중앙에서 수용실 내부를 구획하는 칸막이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에 채택되는 트로프는 경계석이 아니라 경계석과 보도블럭 사이에 설치되는 별도의 통신케이블 수용 함체이며, 또한 지중에 매설되므로 굴착 작업 및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고, 케이블 포설, 점검 및 수리가 용이치 않다.
⑤ 공개특허 제2008-74523호(케이블 매설용 트로프 및 이의 시공방법)는 도로 경계석과 병행하여 설치하거나, 또는 단독으로 지중에 매설하는 합성수지재 트로프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트로프는 상부가 개방되고 소정의 간격을 두고 좌우에 설치되는 좌우측벽과 상기 좌우측벽의 하단부에 수평하게 일체로 형성되는 바닥판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상부를 덮는 소정의 단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덮개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트로프의 시공방법으로서는, 트로프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트로프를 설치장소로 운반하는 단계, 설치장소를 일정 폭 및 길이로 터파기를 시행하는 단계, 상기 터파기된 부분에 트로프 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트로프의 외측 여유공간을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보강하는 단계, 상기 트로프 본체에 덮개를 씌우는 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상기 기술의 트로프 역시 경계석이 아니라 경계석과 보도블럭 사이에 설치되는 별도의 통신케이블 수용 함체이거나 단독으로 지중에 매설되는 함체이며, 또한 지중에 매설되므로 굴착 작업 및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고, 케이블 포설, 점검 및 수리가 용이치 않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는 본 발명의 케이블 수용 경계석이 기존의 도로 경계석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조립형으로 구비되어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그 내부에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케이블 포설작업이나 케이블 지지시설 등의 부가시설이 필요치 않도록 한 케이블 수용 경계석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경계석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케이블 수용 및 점검 수리가 용이토록 하는 경계석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수용 경계석은, 좌측벽(11), 바닥면(12), 우측벽(13)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10); 커버좌측벽(21), 상면(22), 커버우측벽(23)으로 이루어진 커버(20);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좌측벽(11)과 우측벽(13)에 각각 형성된 트레이 체결공(15); 상기 커버좌측벽(21)과 커버우측벽(23)에 각각 형성된 커버체결공(25); 상기 트레이 체결공(15)과 상기 커버체결공(25)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바닥면(12)에는 복수의 앵커체결공(14)이 케이블 트레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한편 케이블 수용 구획부재(16)가 케이블 트레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커버의 일측 단부에는 커버 형상을 따라서 단턱진 삽입부(27)가 돌출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커버 형상을 따라서 단턱진 수용부(28)가 요입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턱진 삽입부(27)와 단턱진 수용부(28)는 그 단면이 각각 태극문양으로 만곡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가진다.
본 발명의 케이블 수용 경계석은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어 기존의 도로 경계석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조립형으로 구비되어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그 내부에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케이블 포설작업이나 케이블 지지시설 등의 부가시설이 필요치 않게 되고, 또한 경계석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케이블 수용 및 점검 수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계석은 외벽이 이중벽체 구조를 갖게 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되므로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일차로 커버에서 충격을 흡수한 후 곧바로 내측에 체결되어 있는 케이블 트레이의 측벽부가 이차로 상기 충격을 완화하는 구조이므로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외부 충격시 공간부로 인해 경계석 측벽에 일부 형상 변경이 유도되면서 충격 흡수 후 곧바로 원상복귀가 되도록 되어 있어 경계석의 손상이 방지되며,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재질이나 화강암 석재 경계석에 비해 충격 차량에 가해지는 반작용도 상대적으로 덜하게 되므로 차량이 받게 되는 충격량 역시 감소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경계석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므로 그에 교통인식 표지판을 부착하거나 야간시인 식별기호 등을 표시하기가 용이하며 케이블 트레이의 공간을 적절히 구획하여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경계석을 제조하므로 단턱진 삽입부의 돌출형성이나 단턱진 수용부의 요입형성이 한 번의 사출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단면을 각각 태극문양으로 만곡 형성하는 공정 역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조상의 편의성과 신속성 및 비용 절감의 효과를 아울러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경계석이 설치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커버와 케이블 트레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경계석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인접 경계석 연결 사시도
도 5는 기초면에 본 발명의 경계석이 설치된 모습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모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케이블 수용 경계석은, 좌측벽(11), 바닥면(12), 우측벽(13)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10); 커버좌측벽(21), 상면(22), 커버우측벽(23)으로 이루어진 합성수지재 커버(20);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좌측벽(11)과 우측벽(13)에 각각 형성된 트레이 체결공(15); 상기 커버좌측벽(21)과 커버우측벽(23)에 각각 형성된 커버체결공(25); 상기 트레이 체결공(15)과 상기 커버체결공(25)에 체결되는 체결부재(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에서 도면부호 1은 경계석, 2는 인도, 3은 차도를 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케이블 트레이(10, tray)와 커버(20, cover)는 고강도 PE, PC 등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조된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10)는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도록 그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상부개방 형상의 함체이다. 즉 상부가 개방된 형태이며 좌측벽(11), 바닥면(12), 우측벽(13)으로 이루어져 그 내부에 전력케이블이나 통신케이블 등이 수용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좌측벽(11), 우측벽(13)에는 트레이 체결공(15)이 형성되며, 이들 체결공은 너트가 인서트방식으로 삽입되어 제조됨으로써 후술하는 커버체결공(25)을 통해 체결부재(30)가 삽입될 경우 경계석 외부에서의 회전조작만으로도 손쉽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커버(20)는 하부개방 형상의 함체이며, 커버좌측벽(21), 상면(22), 커버우측벽(23)으로 이루어져 상기 케이블 트레이(10)를 상부에서 감싸는 구성이며, 케이블 트레이(10)와 결합되어 케이블을 수용할 뿐만 아니라 도로 경계석으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에는 경계석 내부에 케이블이 안치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커버(20)의 커버좌측벽(21), 커버우측벽(23)에는 각각 커버체결공(25)이 형성됨으로써 커버(20) 외측에서 볼트 등 체결부재(30)를 삽입하여 케이블 트레이(10)의 체결공에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케이블 트레이(10)와 커버(20)가 체결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케이블 트레이(10)와 커버(20)가 체결되면 본 발명의 경계석은 외벽이 이중벽체 구조를 갖게 되고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이중벽체는 외측벽(커버 좌측벽 또는 우측벽)에 충격(통상 차량 충돌)이 가해질 경우 일차로 커버(20)에서 충격을 흡수한 후 곧바로 내측에 체결되어 있는 케이블 트레이(10)의 측벽부가 이차로 상기 충격을 완화하는 구조이므로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강성을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외부 충격시 공간부로 인해 경계석 측벽에 일부 형상 변경이 유도되면서 충격 흡수 후 곧바로 원상복귀가 되도록 되어 있어 경계석의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종래의 콘크리트 재질이나 화강암 석재 경계석에 비해 충격 차량에 가해지는 반작용도 상대적으로 덜하게 되므로 차량(주로 바퀴)이 받게 되는 충격량 역시 감소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종래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주물재 경계석의 경우에는 외부 충격시 경계석의 원상회복이 불가능하고 두께를 늘려 제작할 경우에는 비용이 상승될 뿐만 아니라 내부 공간이 좁아지게 되어 실제 사용면에서는 종래의 콘크리트 또는 석재 경계석과 실질적으로 아무런 차이가 없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바닥면(12)에는 복수의 앵커체결공(14)이 케이블 트레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앵커체결공(14)은 콘크리트 기초면(4)에 케이블 트레이(10)를 고정하기 위한 구멍이다. 종래 콘크리트 또는 화강암 재질의 경계석은 고정구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미리 기초면에 설치한 후 그 위에 경계석을 올려놓고 고정하는 방식이었으나 본 발명의 경계석은 조립식이므로 기초면(4)에 케이블 트레이(10)를 배치하고 상기 앵커체결공(14)을 통해 경계석 내부 공간부에서 너트(17) 등으로 앵커볼트(18)와 체결함으로써 고정하는 바 이와 같은 고정방식은 종래의 경계석 시공방식에는 전혀 나타나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이 경계석을 고정할 때 기초면(4) 바로 직상부에서 경계석을 고정하는 방식은, 종래 중량물의 경계석을 배치하고 그 사방 주위에서 경계석을 고정하는 작업에 비해 작업자에게 어떠한 중량물 운반의 부담도 없을 뿐만 아니라 별도의 고정부재가 필요치 않고 단순히 앵커볼트(18)에 너트(17)만을 체결하면 되므로 작업공정이 획기적으로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케이블 수용 구획부재(16)가 케이블 트레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획부재(16)는 케이블 트레이(10)의 바닥면(12)으로부터 상측 일정 부위 높이까지 형성하여 전력선이나 통신선 또는 사용자의 고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라인 등을 구분 배설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커버(20)의 일측 단부에는 커버(20) 형상을 따라서 단턱진 삽입부(27)가 돌출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커버(20) 형상을 따라서 단턱진 수용부(28)가 요입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커버(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좌측벽(21), 상면(22), 커버우측벽(23)으로 구성되어 전체적으로 하부가 개방된 '
Figure 112013033294997-pat00001
'자 형상 이다. 따라서 그에 단턱진 삽입부(27)가 돌출형성된다 함은 위와 같은 커버 형상을 따라서 '
Figure 112013033294997-pat00002
' 자 형상이 돌출되어 있음을 의미하며 이는 도 2, 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커버의 일측 단부 반대편의 타측 단부에는 커버 형상을 따라서 단턱진 수용부(28)가 커버 내측으로 요입 형성된다.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진 단턱진 삽입부(27)는 단턱진 수용부(28)에 삽입되어 인접 경계석 간의 연결부를 이루게 되고, 이와 같은 연결부는 삽입부(27)와 수용부(28)가 겹쳐진 이중벽 형상을 가지므로 경계석에 외부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을 순차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또한 삽입부(27)와 수용부(28)가 단턱진 형상으로 맞물리게 되므로 경계석의 좌우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를 아울러 갖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단턱진 삽입부(27)와 단턱진 수용부(28)는 그 단면이 각각 태극문양으로 만곡 형성된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가진다. 삽입부(27)와 수용부(28)가 단턱지게 형성되되 그 단면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극문양으로 만곡지게 상향 만곡부분이 형성될 경우, 삽입부(27)와 단턱부의 접촉면적이 늘어나 외부 충격 저항성이 보다 커지고 또한 상향 만곡부분으로 인해 외부 수분이 흘러드는 것을 저지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아래에서는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케이블 수용 경계석 시공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앞서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 있지만 경계석은 통상적으로 도로와 보도의 경계면 상에 콘크리트 몰탈층을 형성하고 그 위에 경계석을 올려놓는 방식으로 시공되며 인접하는 경계석 사이에는 틈새가 형성되지 않도록 콘크리트 몰탈로 마감처리한다. 또한 케이블을 수용하는 트로프 시공방법은, 트로프를 구성하는 각각의 부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각각의 트로프를 설치장소로 운반하는 단계, 설치장소를 일정 폭 및 길이로 터파기를 시행하는 단계, 상기 터파기된 부분에 트로프 본체를 설치하고 상기 트로프의 외측 여유공간을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보강하는 단계, 상기 트로프 본체에 덮개를 씌우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계석 시공은 위와 같은 종래 시공방법과는 전혀 다른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시공순서는 도로와 보도의 경계면 상에 콘크리트 기초면(4)을 형성하는 단계(S-1), 이어서 상기 기초면(4)에 앵커볼트(18)를 취부하는 단계(S-2), 케이블 트레이(10)의 바닥면(12)에 형성된 앵커체결공(14)에 상기 앵커볼트(18)를 삽입하고 케이블 트레이(10)를 안치하는 단계(S-3),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와 상기 앵커볼트(18)를 결합하는 단계(S-4),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케이블을 안치하는 단계(S-5),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에 커버(20)를 씌우는 단계(S-6), 상기 커버(20)의 커버좌측벽(21)과 커버우측벽(23)에 형성된 커버체결공(25)을 통해 내부의 케이블 트레이(10)와 체결부재(30)로 결합하는 단계(S-7)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로와 보도의 경계면 상에 콘크리트 기초면(4)을 형성하는 단계(S-1)에서는 기초면(4)을 도로표면과 동일한 높이에 시공하거나 도로표면보다 더 깊게 시공한다. 이때 기초면(4)이 도로표면보다 더 낮을 경우에는 경계석 일부가 지면 아래에 매설되는 형태이므로 경계석이 보다 안정된 위치를 확보하게 되고 외부 충격시 케이블에 가해지는 충격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와 상기 앵커볼트를 결합하는 단계(S-4)에서는 기초면(4)에 취부된 앵커볼트(18)가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앵커체결공(14)을 통해 돌출되면 그에 너트(17) 등을 채워 결합하면 족하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케이블 트레이(10)에 케이블을 안치하는 단계(S-5)는 케이블 트레이(10)와 상기 앵커볼트(18)를 결합하는 단계(S-4) 이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인접하는 경계석을 다수 연결한 후에 형성되는 어느 한쪽의 개구부를 통하여 케이블을 밀어넣거나 타측의 개구부에서 끌어당겨 포설하는 방식도 가능하다.
위와 같은 구성과 시공방법을 가지는 본 발명의 케이블 수용 경계석은 도로와 인도 사이에 설치되어 기존의 도로 경계석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조립형으로 구비되어 제조 및 설치가 용이하고, 그 내부에 통신 및 전력 케이블 등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별도의 케이블 포설작업이나 케이블 지지시설 등의 부가시설이 필요치 않게 되고, 또한 경계석 설치 작업이 용이하고 케이블 수용 및 점검 수리가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계석은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므로 그에 교통인식 표지판을 부착하거나 야간시인 식별기호 등을 표시하기가 용이하며 케이블 트레이의 공간을 적절히 구획하여 케이블을 수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합성수지재로 경계석을 제조하므로 커버 형상을 따라서 단턱진 삽입부의 돌출형성이나 단턱진 수용부의 요입형성이 한 번의 사출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단면을 각각 태극문양으로 만곡 형성하는 공정 역시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어 제조상의 편의성과 신속성 그리고 비용 절감의 효과를 아울러 가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 : 경계석 2 : 인도 3 : 차도 4 : 기초면
10 : 케이블 트레이 11 : 좌측벽 12 : 바닥면 13 : 우측벽
14 : 앵커체결공 15 : 트레이 체결공 16 : 케이블 수용 구획부재
17 : 너트 18 : 앵커볼트
20 : 커버 21 : 커버좌측벽 22 : 상면 23 : 커버우측벽
25 : 커버체결공 27 : 단턱진 삽입부 28 : 단턱진 수용부

Claims (7)

  1. 좌측벽(11), 바닥면(12), 우측벽(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바닥면(12)에는 복수의 앵커체결공(14)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합성수지재 케이블 트레이(10);
    커버좌측벽(21), 상면(22), 커버우측벽(23)으로 이루어지고, 일측 단부에는 커버(20) 형상을 따라서 단턱진 삽입부(27)가 돌출형성되고 타측 단부에는 커버(20) 형상을 따라서 단턱진 수용부(28)가 요입형성되는 합성수지재 커버(20);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좌측벽(11)과 우측벽(13)에 각각 형성된 트레이 체결공(15);
    상기 커버좌측벽(21)과 커버우측벽(23)에 각각 형성된 커버체결공(25);
    상기 트레이 체결공(15)과 상기 커버체결공(25)에 체결부재(30)가 체결되어 외벽이 이중벽체 구조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경계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트레이(10)의 바닥면(12)에는 케이블 수용 구획부재(16)가 케이블 트레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경계석.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턱진 삽입부(27)와 단턱진 수용부(28)는 그 단면이 각각 태극문양으로 만곡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수용 경계석.
  6. 삭제
  7. 삭제
KR1020130041997A 2013-04-17 2013-04-17 케이블 수용 경계석 KR10130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997A KR101301058B1 (ko) 2013-04-17 2013-04-17 케이블 수용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41997A KR101301058B1 (ko) 2013-04-17 2013-04-17 케이블 수용 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01058B1 true KR101301058B1 (ko) 2013-08-28

Family

ID=49221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41997A KR101301058B1 (ko) 2013-04-17 2013-04-17 케이블 수용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010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3526A (en) * 2016-09-06 2018-03-14 Lucas Innovations Ltd A walkway
JP2019218688A (ja) * 2018-06-15 2019-12-26 株式会社イトーヨーギョー 縁石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セット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805A (ko) * 2005-05-03 2006-11-08 한일건재공업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KR100985220B1 (ko) * 2010-06-03 2010-10-05 주식회사 동명산전 케이블 트레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14805A (ko) * 2005-05-03 2006-11-08 한일건재공업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KR100985220B1 (ko) * 2010-06-03 2010-10-05 주식회사 동명산전 케이블 트레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53526A (en) * 2016-09-06 2018-03-14 Lucas Innovations Ltd A walkway
WO2018046897A1 (en) * 2016-09-06 2018-03-15 Lucas Innovations Limited A walkway
JP2019218688A (ja) * 2018-06-15 2019-12-26 株式会社イトーヨーギョー 縁石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セット
JP2022186823A (ja) * 2018-06-15 2022-12-15 株式会社イトーヨーギョー 縁石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セット
JP7391422B2 (ja) 2018-06-15 2023-12-05 株式会社イトーヨーギョー 縁石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セッ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2285B1 (ko) 파일럿터널이 생략된 투아치 터널 공법
KR100640716B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및 이를 이용한시공방법
CN106049530A (zh) 城市综合管廊及施工方法
CN100482993C (zh) 使用管架组件对管道和综合管路的铺设方法
KR101288601B1 (ko) 기성 콘크리트 말뚝과 바닥 슬래브를 이용한 지하차도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301058B1 (ko) 케이블 수용 경계석
CN206538783U (zh) 顶进预制箱涵
KR101664143B1 (ko) 친환경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박스 구조물
KR20160004710A (ko) Pc 박스용 상부 및 하부 프리캐스트 세그먼트 이음매 장치 및 그 시공 방법
KR20070079372A (ko) 터널 또는 지하차도 배수 구조
KR101042948B1 (ko) 케이블 매설 스마트 바닥판 모듈, 이를 구비한 스마트 도로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JP4606665B2 (ja) 路下施工法
JP5845560B2 (ja) 埋戻し構造及び埋戻し工法
KR101262781B1 (ko) 프리스트레싱에 의해 일체화된 제형 박스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0609125B1 (ko) 파형강판을 이용한 암거 및 그 시공법
JP7215436B2 (ja) 歩車道境界ブロック
JP3187412U (ja) 引込管を用いた引込設備
JP2572427B2 (ja) 中央分離帯の改修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防護壁ブロック
CN214614181U (zh) 一种预制与现浇结合的缆线综合管廊
CN210766896U (zh) 一种方筒状拼接式地下综合管廊
KR101285987B1 (ko) 토목, 도로, 철도, 단지, 수자원, 구조, 항만, 상하수도 및 환경분야에 적용되는 개량된 복합형 루프식 터널 공법
JP4630215B2 (ja) 埋設物の移設工法
JP4096106B2 (ja) 地下道の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12416Y1 (ko) 기성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