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978B1 -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 Google Patents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978B1
KR101300978B1 KR1020070076952A KR20070076952A KR101300978B1 KR 101300978 B1 KR101300978 B1 KR 101300978B1 KR 1020070076952 A KR1020070076952 A KR 1020070076952A KR 20070076952 A KR20070076952 A KR 20070076952A KR 101300978 B1 KR101300978 B1 KR 101300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dome
metal plate
pusher
push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7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2219A (ko
Inventor
시로 츠즈키
Original Assignee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09466A external-priority patent/JP428076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28537A external-priority patent/JP433254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37118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5996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92068A external-priority patent/JP4457097B2/ja
Application filed by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호시덴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2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38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limited linear or angular displacement of an operating part of the device from a neutral position, e.g. isotonic or isometric joy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64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wherein the switch has more than two electrically distinguishable positions, e.g. multi-position push-button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01H15/102Operating parts comprising cam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동접점으로서의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 박형의 1단 동작 타입 및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누름 버튼(11)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돔형상 금속판(6, 7)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9a)와, 이 경사부(9a)를 돔형상 금속판(6, 7)의 동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요성을 가진 힌지부(9b)와, 돔형상 금속판(6, 7)을 밀어 내리는 밀어누름부(9c)를 갖는 누름자(9)를 구비한다. 또 돔형상 금속판(6, 7)을 그 동작방향으로 2단으로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70076952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돔형상 금속판, 누름자, 스프링성, 경사부

Description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LATERAL PUSH TYPE PUSH SWITCH}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휴대 전화기나 휴대 오디오 플레이어 등의 측면 조작용의 조작 스위치로서 이용되는 소형·박형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서는 그 소형, 박형을 실현하기 위해서 기판에의 실장을 면실장으로 실시하고, 가동접점에 스프링성을 가진 돔형상 금속판을 이용하는 것이 많으며, 가로방향의 조작력을 그 조작방향과는 수직방향으로 변환하여 돔형상 금속판에 전달하고, 그 돔형상 금속판을 밀어 내려서 동작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로서는, 예를 들면 특개 2005-122989호 공보에서 나타내는 것이 알려져 있고, 1장의 돔형상 금속판이 하우징의 내저면(內底面)에 설치되며, 누름 버튼은 하우징에 지지되고, 하우징의 측부로부터 돌출한 조작부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해서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과는 수직방향으로 안내되어 이동한다. 그리고, 누름 버튼에 조작부와 일직선상에서 일체로 형성하는 가요성을 가진 힌지부와, 하우징에 부착하는 커버에 일체로 형성해서 누 름 버튼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를 구비하며, 힌지부의 선단이 경사부상에서 슬라이딩하는 것으로, 조작부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누름 버튼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누름 버튼의 이동방향과는 수직방향인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고 있다.
종래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는 가로방향의 조작력을 그 조작방향과는 수직방향인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부품(경사부)과, 그 부품을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부품(힌지부)을 별체로 구비하고 있으므로, 조작력을 그대로 돔형상 금속판에 전달할 수 없고, 나아가 돔형상 금속판의 대략 중심부를 정밀도 좋게 밀어누를 수 없기 때문에,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는 것이 어렵다.
또, 휴대 전화기나 휴대 오디오 플레이어 등의 소형, 박형화에 더하여 그 다기능화가 진행되는 가운데, 종래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는 1장의 돔형상 금속판을 이용하며, 1단계에서 1종류의 스위치회로를 개폐 조작하는 1단 동작 타입이기 때문에, 2장의 돔형상 금속판을 그 동작방향으로 2단으로 구비하고, 2단계에서 2종류의 스위치회로를 개폐 조작하는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가 강하게 요구되고 있지만, 2단 동작 타입의 경우, 1단 동작 타입보다 힌지부의 동작 스트로크(돔형상 금속판의 밀어내림 스트로크)가 길어지기 때문에,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는 것이 보다 어려워진다. 그것에 더하여 힌지부의 동작 스트로크를 길게 하기 위해서는 경사부를 크게 할 필요가 있고, 그것이 제품의 두께를 두껍게 한다는 치명적인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제 1 목적 은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 박형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제 2 목적은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 박형의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의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는 누름 버튼의 조작부가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동시에, 가동접점에 스프링성을 가진 돔형상 금속판을 이용하고, 상기 조작부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방향과는 수직방향인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와, 이 경사부를 상기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요성을 가진 힌지부와, 상기 돔형상 금속판을 밀어 내리는 밀어누름부를 갖는 누름자를 구비한 것으로, 조작력을 그대로 돔형상 금속판에 전달하고, 돔형상 금속판의 대략 중심부를 정밀도 좋게 밀어 눌러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는다.
상기의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는 상기 돔형상 금속판을 그 동작방향으로 2단으로 설치하고, 2단 동작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를 얻는다.
또,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서는, 상기 누름자는 상기 누름 버튼을 그 이동방향으로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체에 상기 힌지부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면, 누름 버튼과 경사부의 위치 정밀도가 좋아지고,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서는 상기 누름자는 2개의 고정단 및 1개의 자유단을 갖는 가요성을 가진 T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누름자의 자유단에 상기 경사부를 형성하며, 누름 버튼의 밀어누름에 의해 누름자의 2개의 고정단의 사이를 비틀어 변형시키면서 누름자의 자유단에 의해 돔형상 금속판을 밀어 내리는 구성을 채용하면, 누름자 전체의 변형량을 적게 하여 누름자에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누름자의 외형을 크게 하는 일 없이, 누름자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박형으로 고수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또는 2단 동작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로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서는, 누름자는 누름 버튼을 가로방향으로 왕복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가이드체에, 누름자의 2개의 고정단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구성을 채용하면, 누름 버튼의 과잉한 밀어누름(오버 스트로크)을 정밀도 좋게 제한함으로써, 누름 버튼의 과잉한 밀어누름에 의한 누름자나 돔형상 금속판의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위치의 수명까지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서는, 상기 누름 버튼과 상기 누름자의 접촉면의 어느 한쪽에 라운딩을 하여 상기 누름 버튼과 상기 누름자를 선(線) 접촉시키는 구성을 채용하면, 누름 버튼과 누름자의 자유단(경사부)의 슬라이딩 마찰을 적게 해서 누름 버튼과 누름자의 자유단의 슬라이딩부의 마모를 억제하고, 돔 형상 금속판이 안정된 밀어내림 스트로크를 얻는다. 이에 따라, 스위치의 수명까지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서는, 상기 누름 버튼에 가동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체에 상기 가동 스토퍼를 막아내어 상기 조작부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을 정해진 위치에서 규제하는 고정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면, 돔형상 금속판의 과잉한 밀어내림을 초래하는 누름 버튼의 과잉한 이동을 정밀도 좋게 제한함으로써,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누름 버튼의 과잉한 밀어누름에 의한 누름자나 돔형상 금속판의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위치의 수명까지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서는, 상기 누름자 자체에 상기 경사부보다 완경사의 경사를 갖게 하고 있는 구성을 채용하면, 1단 동작 타입에서는 경사부를 작게 하면서 누름자에 필요한 동작 스트로크가 얻어지게 되며, 2단 동작 타입에서는 경사부를 크게 하는 일 없이, 누름자의 동작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서는, 상기 누름자가 상기 가동 스토퍼와 상기 고정 스토퍼에 의한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 규제시에 상기 돔형상 금속판의 설치면과 대략 평행이 되는 구성을 채용하면, 누름자가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 상태를 그 설치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이 되는 자세로 홀딩하여 높은 접촉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서는 상기 누름자의 밀어누름부가 수지로 성형되고, 힌지부가 금속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구성을 채용하면, 힌지부의 금속화에 따른 내구성의 향상 및 특성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서는,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조작부와 일체로 갖는 누름자 밀어내림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경사부는 누름자 밀어내림부를 접촉 후에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고, 상기 누름자는 상기 경사부에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누름 버튼의 과잉한 밀어넣음 스트로크에 의한 과대한 조작력을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만곡부를 갖는 구성을 채용하면, 상기 누름 버튼의 과잉한 밀어넣음 스트로크에 따른 과대한 조작력을 누름자의 만곡부의 변형에 의해 흡수하고, 누름자의 경사부나 힌지부의 초기 형상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며, 높은 접촉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동접점으로서의 돔형상 금속판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 박형의 1단 동작 타입 및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7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평면도, 도 2는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단면도, 도 3은 동일 측면누름 형 푸시 스위치의 조립도이다.
도 1∼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1)는 2단계에서 2종류의 스위치회로를 개폐 조작하는 2단 동작 타입이며,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제 1, 제 2, 제 3의 3개의 고정접점단자(2, 3, 4)와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하우징(5)과, 제 1, 제 2의 2개의 가동접점으로서 이용하는 제 1, 제 2의 2장의 스프링성을 가진 돔형상 금속판(6, 7)과, 고정 스토퍼(8) 및 누름자(9)를 일체로 형성한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가이드체(10)와, 가로방향으로부터 밀어누름 조작되는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누름 버튼(11)과, 스위치 케이스를 하우징(5)으로 형성하는 커버(12)로 구성된다.
하우징(5)은 상면 개구형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저면에 계단식 오목부(5a)가 형성되며, 이 계단식 오목부(5a)의 외주 단차면에 제 1 고정접점단자(2)의 일부가 대략 면일치로 노출되어 제 1 고정접점으로서의 커먼접점(2a)이 형성되고, 또 계단식 오목부(5a)의 저면 외측부에 제 2 고정접점단자(3)의 일부가 대략 면일치로 노출되어 제 2 고정접점으로서의 제 1 선택접점(3a)이 형성되며, 또한 계단식 오목부(5a)의 저면 중심부에 제 3 고정접점단자(4)의 일부가 대략 면일치로 노출되어 제 3 고정접점으로서의 제 2 선택접점(4a)이 형성된다.
각 고정접점단자(2, 3, 4)는 도전성의 금속박판을 천공 및 굽힘 가공해서 형성되고, 각 고정접점단자(2, 3, 4)의 일단부가 하우징(5)의 외부로 꺼내어지며,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1)의 면실장용으로 도시하지 않는 외부접속단자를 형성한다. 이 외부접속단자는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납땜으로 고정, 접속한다.
또, 하우징(5)의 4측벽 중 하나의 측벽(좌측벽)의 중앙 상부에는, 누름 버튼 돌출용으로 오목형상의 노치(5b)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5)의 상면측의 4모서리에는, 커버 위치 결정용으로 윗쪽으로 돌출하는 돌기(5c)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우징(5)의 4측벽에는 커버 고정용의 걸어맞춤 클로(5d)와 걸어맞춤 홈(5e)이 형성된다. 걸어맞춤 클로(5d)는 노치(5b)를 형성한 측벽의 양단 상부와 그 측벽에 대향하는 측벽 외면의 중앙 상부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걸어맞춤 홈(5e)은 나머지의 대향하는 2개의 측벽의 외면 중앙부에 형성된다. 걸어맞춤 홈(5e)의 하단부는 하우징(5)의 외저면(外底面)을 따라서 내측으로 굴곡 형성된다. 하우징(5)의 외저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대한 위치 결정용으로 돌기(5f)가 형성된다.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 7)은 도전성의 금속박판(스프링용 금속재료)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돔형상 금속판(6)이 계단식 오목부(5a)의 외주부 단차면에 지지되며, 제 2 돔형상 금속판(7)이 계단식 오목부(5a)의 저면에 지지되고,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 7)이 하우징(5)의 계단식 오목부(5a)에 상하 2단으로 설치된다. 제 1 돔형상 금속판(6)은 그 외측부가 커먼접점(2a)과 상시 접촉한다. 제 2 돔형상 금속판(7)은 그 외측부가 제 1 선택접점(3a)과 상시 접촉하고, 중심부가 제 2 선택접점(4a)과 대향한다.
도 4a는 가이드체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5a는 가이드체에 누름 버튼을 세트한 상태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저면도, 도 5c는 도 5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체(10)는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판부(10a)와, 이 베이스판부(10a)의 양단 변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솟아오른 가이드벽부(10b)를 일체로 형성하고, 베이스판부(10a) 중간변부의 외측면이 하우징(5)의 노치(5b)를 형성한 측벽 하부 내면과 접촉하며, 베이스판부(10a) 양단 변부의 외측면과 가이드벽부(10b)의 외측면이 하우징(5)의 노치(5b)를 형성한 측벽에 인접하는 2개의 측벽 내면과 접촉하고, 베이스판부(10a) 양단 변부의 단면이 하우징(5)의 노치(5b)를 형성한 측벽과 대향하는 측벽의 내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제 1 돔형상 금속판(6)을 덮지 않도록 하우징(5)의 계단식 오목부(5a)의 주위에 있는 내저면 위에 배치되며, 가이드벽부(10b)의 상측면을 커버(12)로 눌러 고정된다.
또, 각 가이드벽부(10b)의 중앙 상부에는 누름 버튼(11)의 이동 규제용으로 오목형상의 노치(10c)가 형성되고, 이 각 노치(10c)의 일측(우측)의 측단면이 누름 버튼(11)의 이동을 규제하는 고정 스토퍼(8)로 되어 있다.
또한 누름자(9)는 누름 버튼(11)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 7)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9a)와, 이 경사부(9a)를 제 1, 2 돔형상 금속판(6, 7)의 동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요성을 가진 힌지부(9b)와,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 7)을 밀어 내리는 밀어누름부(9c)를 일체로 형성한 것으로, 이 누름자(9)가 베이스판부(10a)의 중간변부의 중앙부에 힌지부(9b)로 연결되고, 베이스판부(10a)의 중간변부의 중앙부로부터 가이드벽부(10b)의 사이에, 경사부(9a)보다 완경사의 경사각θ를 갖게 하여 캔틸레버형상으로 돌출되며, 경사 부(9a)가 하우징(5)의 노치(5b)의 내측에 배치되는 동시에, 밀어누름부(9c)가 제 1 돔형상 금속판(6) 위에 배치된다.
누름 버튼(11)은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상으로 형성된 기판부(11a)와, 이 기판부(11a) 중간변부의 중앙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조작부(11b)와, 기판부(11a) 중간변부의 양단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견부(肩部)(11c)를 일체로 형성하고, 조작부(11b)가 하우징(5)의 노치(5b)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견부(11c)가 하우징(5)의 노치(5b)를 형성한 측벽의 노치(5b)의 양측에 있는 내면과 대향하고, 기판부(11a) 하면이 베이스판부(10a)의 상면과 접촉하고, 기판부(11a) 양단 변부의 외측면이 가이드벽부(10b)의 내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체(10)에 의해서 지지되며, 기판부(11a) 상면을 커버(12)에서 슬라이딩 자유롭게 눌러서 조작부(11b)의 밀어누름 조작방향을 따라서 이동 안내된다.
또, 기판부(11a)의 내측에는 하측으로부터 누름자(9)의 경사부(9a)가 돌출하며, 이 경사부(9a)와 대향하는 기판부(11a) 중간변부의 중앙 내측면이 경사부(9a)에 접촉하여 슬라이딩하면서 누름자(9)를 밀어 내리는 누름자 밀어내림부(11d)로 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11a) 양단 변부의 단부 외측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가이드체(10)의 가이드벽부(10b)에 형성된 노치(10c)에 끼워넣고, 조작부(11b)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누름 버튼(11)의 이동시에 고정 스토퍼(8)로 막아내어 누름 버튼(11)의 이동을 정해진 위치에서 규제하는 가동 스토퍼(11e)가 일체로 형성된다.
커버(12)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천공 및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고, 하우징(5)의 상면을 덮는 평판형상의 상측판(12a)과, 이 상측판(12a)의 4모서리에 형성되고, 하우징(5)의 돌기(5c)와 끼워맞추는 커버 위치 결정용의 노치(12b)와, 상측판(12a)의 대향하는 2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돌출되며, 하단부를 하우징(5)의 걸어맞춤 클로(5d)에 하측으로부터 걸게 하여 커버(12)를 고정하는 제 1 걸림부(12c)와, 상측판(12a)의 나머지의 대향하는 2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돌출되고, 하우징(5)의 걸어맞춤 홈(5e)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하단부를 하우징(5)의 외저면에 하측으로부터 걸게 하여 커버(12)를 고정하는 제 2 걸림부(12d)를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1)의 조립은 하우징(5)의 계단식 오목부(5a)에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 7)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한 후, 계단식 오목부(5a)의 주위에 있는 내저면의 위에 고정 스토퍼(8) 및 누름자(9)를 일체로 형성한 가이드체(10)를 배치하고, 하우징(5)의 노치(5b)에 누름 버튼(11)의 조작부(11b)를 끼워맞추는 동시에, 가이드체(10)의 노치(10c)에 누름 버튼(11)의 가동 스토퍼(11e)를 끼워맞추면서, 누름 버튼(11)의 기판부(11a)를 가이드체(10)의 베이스판부(10a)의 위에 겹쳐 배치하고, 마지막에 커버(12)를 윗쪽으로부터 끼워붙여서 하우징(5)에 위치 결정 및 걸리게 함으로써 완료한다.
도 6은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1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제 1 돔형상 금속판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동일 측면 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2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제 2 돔형상 금속판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6, 도 7에 의거하여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1)의 동작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누름 버튼(11)을 조작하지 않는 동작전의 상태에서는 누름 버튼(11)은 견부(11c)가 하우징(5)의 노치(5b)를 형성한 측벽의 노치(5b)의 양측에 있는 내면에 맞닿는 동시에, 가동 스토퍼(11e)가 가이드체(10)의 가이드벽부(10b)에 형성된 노치(10c) 내의 좌단부에 위치하고, 누름자 밀어내림부(11d)가 누름자(9)의 경사부(9a)를 밀어누르지 않는 위치에 홀딩되므로, 누름자(9)는 그 힌지부(9b)에 거의 탄성변형을 받지 않고 대략 자유 상태의 경사 자세로 홀딩된다.
또, 제 1 돔형상 금속판(6)과 제 2 돔형상 금속판(7)은 각각 위쪽 방향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에서 이간(離間)하는 동시에, 제 2 돔형상 금속판(7)은 제 2 선택접점(4a)과 이간하고 있다. 여기에서, 누름자(9)의 밀어누름부(9c)는 제 1 돔형상 금속판(6)의 상면 대략 중심부에서 위쪽 방향으로 밀린다. 이에 수반하여 누름자(9)가 그 자유 상태의 경사각θ보다 약간 심한 경사각의 경사 자세로 홀딩되고, 밀어누름부(9c)의 하단과 제 1 돔형상 금속판(6)의 상면 대략 중심부가 접촉 홀딩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 버튼(11)의 조작부(11b)를 도 2의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면,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자 밀어내림부(11d)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해서 누름자(9)의 경사부(9a)를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는 동시에, 경사 부(9a)의 표면을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누름자(9)는 힌지부(9b)에서 휘어 탄성변형하면서 아래쪽 방향으로 밀어 내려지므로, 밀어누름부(9c)가 제 1 돔형상 금속판(6)의 상면 대략 중심부를 밀어내림 조작한다.
이에 따라서, 제 1 돔형상 금속판(6)은 아래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하여 하측의 제 2 돔형상 금속판(7)과 접촉하기 때문에 커먼접점(2a)과 제 1 선택접점(3a)이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 7)을 통해서 도통하여 1단째의 제 1 스위치가 온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 버튼(11)의 조작부(11b)를 더욱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자 밀어내림부(11d)는 더욱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해서 누름자(9)의 경사부(9a)를 더욱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는 동시에, 경사부(9a)의 표면을 더욱 슬라이딩한다. 이에 수반하여 누름자(9)는 힌지부(9b)에서 더욱 휘어 탄성변형하면서 더욱 아래쪽 방향으로 밀어 내려지므로, 이 밀어누름부(9c)가 제 1 돔형상 금속판(6)을 통하여 제 2 돔형상 금속판(7)의 상면 대략 중심부를 밀어내림 조작한다.
이에 따라서, 제 2 돔형상 금속판(7)은 아래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해서 제 2 선택접점(4a)과 접촉하기 때문에 커먼접점(2a)과 제 2 선택접점(4a)이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 7)을 통해서 도통하여 2단째의 제 2 스위치가 1단째의 제 1 스위치에 계속해서 온으로 된다.
이때, 누름 버튼(11)의 가동 스토퍼(11e)는 가이드체(10)의 가이드벽부(10b)에 형성된 노치(10c) 내의 우단부로 이동하고, 가이드체(10)의 고정 스토퍼(8)로 막아내어지며, 조작부(11b)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누름 버튼(11)의 이동을 규제하는 동시에,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 7)의 과잉한 밀어내림을 초래하는 누름 버튼(11)의 과잉한 이동(오버 스트로크)을 제한한다. 이것에 수반해서, 누름자(9)가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 7)의 동작 상태를 그 설치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이 되는 대략 수평자세로 홀딩한다. 또한 조작부(11b)가 밀어누름 조작되어 제 2 돔형상 금속판(7)과 제 2 선택접점(4a)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은 제 1, 제 2 스위치의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11b)의 밀어누름 조작력을 제거하면, 힌지부(9b)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누름자(9)가 도 6의 스위치 동작 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동시에, 누름 버튼(11)도 도 6의 스위치 동작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누름자(9)의 복귀에 수반해서,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 7)이 그 스프링력에 의해 각각 위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하고, 제 2 돔형상 금속판(7)이 제 2 선택접점(4a)으로부터 이간해서 제 2 스위치가 오프로 되며, 계속해서 제 1 돔형상 금속판(6)이 제 2 돔형상 금속판(7)과 이간해서 제 1 스위치가 오프로 된다.
상기와 같이,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1)는 누름 버튼(11)의 조작부(11b)가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동시에, 가동접점에 스프링성을 가진 돔형상 금속판(6, 7)을 이용하고, 상기 조작부(11b)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누름 버튼(11)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누름 버튼(11)의 이동방향과는 수직방향인 돔형상 금속판(6, 7)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이며, 상기 누름 버튼(11)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돔형상 금속판(6, 7)의 동작 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9a)와, 이 경사부(9a)를 상기 돔형상 금속판(6, 7)의 동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요성을 가진 힌지부(9b)와, 상기 돔형상 금속판(6, 7)을 밀어 내리는 밀어누름부(9c)를 일체로 형성한 누름자(9)를 구비함으로써, 조작력을 그대로 돔형상 금속판(6, 7)에 전달할 수 있으며, 그것에 더하여 돔형상 금속판(6, 7)의 대략 중심부를 정밀도 좋게 밀어누를 수 있으므로, 돔형상 금속판(6, 7)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누름자(9)가 상기 누름 버튼(11)을 그 이동방향으로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체(10)에 상기 힌지부(9b)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누름 버튼(11)과 경사부(9a)의 위치 정밀도를 좋게 할 수 있으므로, 돔형상 금속판(6, 7)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누름 버튼(11)에 가동 스토퍼(11e)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체(10)에 상기 가동 스토퍼(11e)를 막아내서 상기 조작부(11b)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누름 버튼(11)의 이동을 정해진 위치에서 규제하는 고정 스토퍼(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돔형상 금속판(6, 7)의 과잉한 밀어내림을 초래하는 누름 버튼(11)의 과잉한 이동(오버 스트로크)을 정밀도 좋게 제한할 수 있으므로, 돔형상 금속판(6, 7)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누름자(9) 자체에 상기 경사부(9a)보다 완경사의 경사를 갖게 하고 있음으로써, 1단 동작 타입에서는 경사부(9a)를 작게 하면서 누름자(9)에 필요한 동작 스트로크를 얻어지도록 하는 한편, 2단 동작 타입에서는 경사부(9a)를 크게 하는 일 없이, 누름자(9)의 동작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누름자(9)가 상기 가동 스토퍼(11e)와 상기 고정 스토퍼(8)에 의한 상기 누름 버튼(11)의 이동 규제시에 상기 돔형상 금속판(6, 7)의 설치면과 대략 평행이 됨으로써, 누름자(9)가 돔형상 금속판(6, 7)의 동작 상태를 그 설치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이 되는 자세로 홀딩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접촉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1)는 상기 돔형상 금속판(6, 7)을 그 동작방향으로 2단으로 설치함으로써, 제품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 없이,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돔형상 금속판(6, 7)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 박형으로 접촉 신뢰성이 높은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1)로 할 수 있다. 또 돔형상 금속판(6, 7)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 박형으로 접촉 신뢰성이 높은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1)로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제 2 실시형태를 도 8∼도 17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커버 제거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조립도, 도 13은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 구비하는 누름 버튼을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 구비하는 가이드체의 평면도, 도 15는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 대비하는 가이드체의 단면도이다.
도 8∼도 15에 있어서,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21)는 2단계에서 2종류의 스위치회로를 개폐 조작하는 2단 동작 타입이며,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1, 제 2, 제 3의 고정단자(22, 23, 24)와 일체로 형성하는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하우징(25)과, 하우징(25)으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21)의 케이스를 형성하는 커버(26)와, 제 1, 제 2 가동접점으로서 이용하는 제 1, 제 2 스프링성을 가진 돔형상 금속판(27, 28)과, 가로방향으로부터 밀어눌러서 스위치 조작을 실시하는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누름 버튼(29)과, 누름 버튼(29)을 가로방향으로 왕복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동시에,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이 정해진 위치에서 멈추는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가이드체(30)와, 가이드체(30)에 일체로 형성하고, 가로방향으로부터의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을 아래 직각방향으로 변환하여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27, 28)에 전달하며,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27, 28)을 밀어 내려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21)를 2단 동작시키는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누름자(31)로 구성된다.
하우징(25)은 상면 개방의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저면에 계단식 오목부(25a)를 설치하고 있다. 제 1, 제 2, 제 3의 고정접점단자(22, 23, 24)는 양(良)도전성의 금속박판을 천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하우징(25)의 저부에 절연상태로 매설되어 있다. 제 1 고정접점단자(22)는 그 일부를 계단식 오목부(25a)의 외주 단차면에 대략 면일치로 노출하여 제 1 고정접점으로서의 커먼접점(22a)을 형성한다. 제 2 고정접점단자(23)는 그 일부를 계단식 오목부(25a)의 저면 외측부에 대략 면일치로 노출하여 제 2 고정접점으로서의 제 1 선택접점(23a)을 형성한다. 제 3 고정접점단자(24)는 그 일부를 계단식 오목부(25a)의 저면 중심부에 대략 면일치로 노출하여 제 3 고정접점으로서의 제 2 선택접점(24a)을 형성한다. 또, 제 1, 제 2, 제 3의 고정접점단자(22, 23, 24)는 그 일부를 하우징(25)의 외부로 꺼내어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21)의 외부접속단자를 형성한다. 외부접속단자는,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납땜으로 면실장된다. 하우징(25)의 외저면에는 실장시의 위치 결정용으로 복수의 돌기(25b)를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다.
또, 하우징(25)은 전후좌우 4측벽의 하나(본 실시형태에서는 좌측벽)에 누름 버튼 돌출용의 노치(25c)를 설치하고, 상부 4모서리에 커버 위치 결정용의 돌기(25d)를 윗쪽으로 돌출하여 설치하며, 좌우측벽 외면에 커버 고정용의 제 1 걸림 클로(25e)를 외측으로 돌출하여 설치하고, 전후측벽 외면으로부터 외저면 측부에 걸쳐서 커버 고정용의 걸림홈(25f)을 설치하고 있다.
커버(26)는 하우징(25)의 개방 상면을 덮고,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21)의 케이스를 형성한다. 또, 커버(26)는 양도전성의 금속판을 천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4모서리에 커버 위치 결정용의 노치(26a)를 설치하며, 좌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커버 고정용의 스프링성을 가진 제 1 걸림편(26b)을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설치하며, 전후측 가장자리로부터 커버 고정용의 스프링성을 가진 제 2 걸림편(26c)을 돌출하여 설치하고 있다.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21)의 조립 최종 단계에 하우징(25)의 개방 상면을 커버(26)로 덮을 때, 커버(26)의 노치(26a)를 하우 징(25)의 돌기(25d)에 끼워맞춤으로써, 커버(26)가 하우징(25)의 개방 상면에서 위치 결정된다. 또, 제 1 걸림편(26b)은 그 하부가 하우징(25)의 제 1 걸림 클로(25e) 상부에 붙인 테이퍼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제 1 걸림 클로(25e) 외면에 얹혀지고, 제 1 걸림 클로(25e)를 타 넘은 시점에서 원래로 되돌아가며, 하우징(25)의 좌우측벽 외면을 밀어누르면서 제 1 걸림 클로(25e)에 하측으로부터 걸린다. 또한 제 2 걸림편(26c)은 그 하부가 하우징(25)의 걸림 홈(25f) 상부에 붙인 테이퍼에서 외측으로 확장되어 걸림 홈(25f) 수직부에 끼워맞춰지고, 하우징(25)의 전후측벽을 타 넘은 시점에서 걸림 홈(25f) 수평부에 끼워맞춰서 원래대로 되돌아가며, 전체가 걸림 홈(25f)에 끼워맞춰지며, 상부에서 하우징(25)의 전후측벽 외면을 밀어누르면서 하부가 하우징(25)의 외저면 측부에 하측으로부터 걸린다. 이에 따라, 커버(26)가 하우징(25)의 개방 상면에 고정된다.
제 1 돔형상 금속판(27) 및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은 양도전성의 금속박판을 천공 및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제 1 돔형상 금속판(27)의 외주부를 계단식 오목부(25a)의 외주 단차면에 지지하며,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의 외주부를 계단식 오목부(25a)의 저면 외주부에 지지하여 제 1 돔형상 금속판(27) 및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을 계단식 오목부(25a)에 상하 2단으로 설치하고 있다. 제 1 돔형상 금속판(27)은 그 외주부가 커먼접점(22a)과 상시 접촉하고 있다.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은 그 외주부가 제 1 선택접점(23a)과 상시 접촉하며, 중심부가 제 2 선택접점(24a)과 대향하고 있다.
누름 버튼(29)은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상의 밀어누름판(29a)과, 밀어누름 판(29a) 중간편부(中間片部)의 외측면 중앙부로부터 돌출한 판형상의 조작부(29b)와, 밀어누름판(29a) 중간편부의 내측면을 기울기 아래쪽 방향으로 경사시킨 평평한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는 밀어내림부(29c)와, 밀어누름판(29a) 중간편부의 외측면 양단부로 이루어지는 복귀시의 스토퍼(29d)와, 밀어누름판(29a) 양단 변부의 선단부 외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 돌기로 이루어지는 밀어누름시의 가동 스토퍼(29e)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누름 버튼(29)은 밀어누름판(29a)을 가이드체(30)에 의해서 하우징(25)의 내측 상부에 대략 수평으로 지지하여 조작부(29b)를 노치(25c)를 통해서 하우징(25)의 왼쪽 바깥측에 대략 수평으로 돌출시킴으로써, 조작부(29b)를 가로방향으로부터 밀어누름으로써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넣어 조작된다. 복귀시의 스토퍼(29d)는 하우징(25)의 노치(25c) 양측에 있는 좌측벽 내면에 대향하고 있다.
가이드체(30)는 제 1 돔형상 금속판(6)을 덮지 않도록 하우징(25)의 계단식 오목부(25a) 외측에 있는 내저면의 위에 중첩시키는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상의 베이스판부(30a)와, 베이스판부(30a) 양단 변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솟아올라 하우징(25)의 전후측벽 내측에 중첩시키는 한 쌍의 가이드벽부(30b)를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가이드체(30)는 베이스판부(30a) 및 가이드벽부(30b)의 외주면을 하우징(25)의 전후좌우 4측벽 내면에 접촉시키는 동시에, 베이스판부(30a)의 하면을 하우징(25)의 계단식 오목부(25a) 외측에 있는 내저면에서 지지한 상태에서 가이드벽부(30b)의 상부를 커버(26)로 눌러 하우징(25) 내에 수용 고정된다.
또, 가이드체(30)의 가이드벽부(30b)에는 누름 버튼(29)의 밀어넣음 스트로 크(스위치의 조작 스트로크)를 결정하는 오목형상의 노치(30c)를 설치하고,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 방향을 따라서 안쪽측에 있는 노치(30c)의 측단면이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을 멈추는 고정 스토퍼(30d)로 되어 있다.
가이드체(30)는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판(29a) 상면을 커버(26)로 눌러 노치(30c) 내에 누름 버튼(29)의 가동 스토퍼(29e)를 끼워 맞추는 동시에, 가이드벽부(30b)의 사이에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판(29a)을 사이에 두고, 베이스판부(30a) 상면에서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판(29a) 하면을 지지하며, 가이드벽부(30b) 내면에서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판(29a) 양외측면을 지지하여 누름 버튼(29)을 밀어누름 방향을 따르는 가로방향으로 왕복 이동 자유롭게 지지한다. 또, 누름 버튼(29)의 밀어넣음 스트로크 종단에서 고정 스토퍼(30d)에 누름 버튼(29)의 가동 스토퍼(29e)를 맞닿게 하고,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을 멈춘다.
누름자(31)는 양단이 가이드체(30)의 노치(30c)부터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 방향을 따라서 안쪽측에 있는 가이드벽부(30b)에 일체로 연결되어 고정되고, 이 가이드벽부(30b)의 사이에 걸쳐지는 가요성을 가진 비틀림 변형 가능한 박판형상의 요동 지점부(31a)와, 일단부가 요동 지점부(31a)의 내면 중앙부에 일체로 연결되어 지지되고, 요동 지점부(31a)의 내면 중앙부로부터 누름 버튼(29)의 밀어내림부(29c)를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연장돌출되는 가요성을 가진 상하로 휨 변형 가능한 캔틸레버형상의 힌지부(31b)와, T자형상으로, 가이드체(30)에 일체로 형성되며, 2개의 고정단(요동 지점부(31a)의 양단) 및 1개의 자유단(힌지부(31b)의 선단)을 갖고 있다.
또, 힌지부(31b)의 선단부에는 위쪽 방향으로 돌출하는 산형의 상부 돌기(31c)와 아래쪽 방향으로 돌출하는 반구형상의 하부 돌기(31d)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부 돌기(31c)의 꼭대기부로부터 힌지부(31b)의 선단을 향해서 내려가는 경사면을 누름 버튼(29)의 밀어내림부(29c)에 하측으로부터 접촉시키는 동시에, 하부 돌기(31d)의 하부를 제 1 돔형상 금속판(27)의 상면 대략 중심부에 맞닿게 하고, 누름 버튼(29)의 밀어내림부(29c)에 접촉하는 상부 돌기(31c)의 경사면이 누름자(31)의 자유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을 아래 직각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31e)로 되어 있다.
또한 경사부(31e)에는 누름 버튼(29)의 평평한(직선형상의) 밀어내림부(29c)에 대해, 면이 아닌 선을 갖고 접촉시켜 슬라이딩시키도록 라운딩하고 있다.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21)의 조립은, 하우징(25)의 계단식 오목부(25a)에 제 1 돔형상 금속판(27) 및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한 후, 그 계단식 오목부(25a) 외측에 있는 내저면 위에 고정 스토퍼(30d) 및 누름자(31)를 일체로 형성한 가이드체(30)를 배치하고, 하우징(25)의 노치(25c)에 누름 버튼(29)의 조작부(29b)를 끼워 맞추는 동시에, 가이드체(30)의 노치(30c)에 누름 버튼(29)의 가동 스토퍼(29e)를 끼워 맞추면서,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판(29a)을 가이드체(30)의 가이드벽부(30b)의 사이에 끼워 맞춰서 누름 버튼(29)을 장착하며, 마지막에 커버(26)를 윗쪽으로부터 끼워 맞춰서 하우징(25)에 위치 결정 및 걸리게 함으로써 완료한다.
도 16은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1단째의 스위치 동 작 후(제 1 돔형상 금속판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2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제 2 돔형상 금속판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11, 도 16, 도 17에 의거하여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21)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1은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21)의 동작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누름 버튼(29)을 조작하지 않는 동작전의 자유 상태에서는 누름 버튼(29)은 그 복귀시의 스토퍼(29d)가 하우징(25)의 노치(25c) 양측에 있는 좌측벽 내면에 맞닿는 동시에, 밀어누름시의 가동 스토퍼(29e)가 가이드체(30)의 노치(30c) 내의 좌단부에 위치하여 고정 스토퍼(30d)와는 이간하고, 밀어내림부(29c)가 누름자(31)의 경사부(31e)를 밀어누르지 않는 위치에 있으므로, 누름자(31)는 그 요동 지점부(31a) 및 힌지부(31b) 벽에 거의 외력을 받지 않고, 대략 자유 상태에 있다.
또, 제 1 돔형상 금속판(27)과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은 각각이 위쪽 방향으로 부풀어 오른 자유상태에 있어 이간하는 동시에,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은 중심부가 제 2 선택접점(4a)에 대해 이간 대향하고 있다.
이 자유상태에서, 누름 버튼(29)의 조작부(29b)를 가로방향으로부터 도 11의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면,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버튼(29)의 밀어내림부(29c)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촉하고 있는 누름자(31)의 경사부(11a)를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면서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수반해서, 가로방향으로부터의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이 아래 직각방향으로 변환되어 누름자(31) 의 자유단에 전달되고, 누름자(31)는 먼저, 요동 지점부(31a)를 반시계방향으로 비틀어 변형시키면서, 그 요동 지점부(31a)를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며, 자유단을 아래쪽 방향으로 밀어 내리며, 그 자유단의 하부 돌기(31d)에 의해 제 1 돔형상 금속판(27)의 상면 대략 중심부를 밀어내림 조작한다.
이에 따라서, 제 1 돔형상 금속판(27)은 아래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하여 그 하측에 있는 제 2 돔형상 금속판(28)에 접촉하기 때문에 커먼접점(22a)과 제 1 선택접점(23a)이 제 1 돔형상 금속판(27) 및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도통 접속되고, 1단째의 제 1 스위치가 온이 된다.
계속해서 누름 버튼(29)의 조작부(29b)를 가로방향으로부터 더욱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면, 도 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버튼(29)의 밀어내림부(29c)는 더욱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며, 접촉하고 있는 누름자(31)의 경사부(31e)를 더욱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면서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수반해서, 누름자(9)는 요동 지점부(31a)를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비틀어 변형시키면서, 그 요동 지점부(31a)를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운동하고, 그것에 더하여 힌지부(31b)를 휨 변형시키면서 자유단을 아래쪽 방향으로 밀어 내리며, 그 자유단의 하부 돌기(31d)에 의해 제 1 돔형상 금속판(27)과 함께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의 상면 대략 중심부를 밀어내림 조작한다.
이에 따라서,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은 아래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하여 그 중심부 하측에 있는 제 2 선택접점(24a)에 접촉하기 때문에, 커먼접점(22a)과 제 2 선택접점(24a)이 제 1 돔형상 금속판(27) 및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을 통하여 전 기적으로 도통 접속되고, 2단째의 제 2 스위치가 1단째의 제 1 스위치에 계속해서 온이 된다.
이때, 누름 버튼(29)의 가동 스토퍼(29e)는 가이드체(30)의 노치(30c) 내의 우단부로 이동하고, 가이드체(30)의 고정 스토퍼(30d)에 충돌하여 막아내어지며, 가로방향으로부터의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이 멈춰지고, 누름자(31)나 제 1 돔형상 금속판(27) 및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의 내구성의 저하를 초래하는 누름 버튼(29)의 과잉한 밀어누름(오버 스트로크)을 정밀도 좋게 제한한다. 또한 누름 버튼(29)의 조작부(29b)가 밀어눌러져서 제 2 돔형상 금속판(28)과 제 2 선택접점(24a)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은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의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 제 1 스위치 및 제 2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가로방향으로부터의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을 제거하면, 제 1 돔형상 금속판(27) 및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이 각각 스프링력에 의해 위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해서 원래의 자유 상태로 되돌아오는 동시에, 누름자(31)도 힌지부(31b) 및 요동 지점부(31a) 각각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 원래의 자유 상태로 되돌아오고, 그것에 수반하여 누름 버튼(29)도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며, 도 11에 나타낸 스위치 동작 전의 자유 상태로 복귀한다. 이 자유 상태로의 복귀시에, 제 2 돔형상 금속판(28)과 제 2 선택접점(24a)의 접촉이 끊어진 시점에서 제 2 스위치가 오프가 되고, 제 1 돔형상 금속판(27)과 제 2 돔형상 금속판(28)의 접촉이 끊어진 시점에서 제 1 스위치가 오프가 된다.
상기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 치(21)는 2장의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27, 28)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하고, 그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27, 28)을 가로방향으로부터의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에 의해 밀어내리는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이며, 스위치의 조작 스트로크가 돔형상 금속판이 1장인 1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보다 길어지지만, 2개의 고정단 및 1개의 자유단을 갖는 가요성을 가진 T자형상의 누름자(31)를 구비하고, 누름자(31)의 자유단을 누름 버튼(29)에 접촉하도록 하며, 그 누름자(31)의 자유단에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을 직각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31e)를 형성하고,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에 의해 누름자(31)의 2개의 고정단의 사이(31a)를 비틀어 변형시키면서 누름자(31)의 자유단에 의해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27, 28)을 밀어 내리므로, 누름자(31) 전체의 변형량을 적게 하여(단순한 캔틸레버 구조의 누름자에 비해서) 누름자(31)에 발생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자(31)의 외형을 크게 하는 일 없이, 누름자(31)의 내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누름자(31)의 경사부(31e)에는 라운딩하여 누름 버튼(11)에 선 접촉시켜 슬라이딩시키므로, 누름 버튼(29)과 누름자(31)의 자유단의 슬라이딩 마찰을 적게 하여(면접촉에 비해서) 누름 버튼(29)과 누름자(31)의 자유단의 슬라이딩부의 마모를 억제하며,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27, 28)의 안정된 밀어내림 스트로크(스위치의 조작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의 수명까지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27, 28)의 양호한 동작 특성(스위치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누름자(31)는 누름 버튼(29)을 가로방향으로 왕복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가이드체(30)에, 누름자(31)의 2개의 고정단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므로, 누름 버튼(29)과 누름자(31)의 위치 정밀도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27, 28)의 안정된 밀어내림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스위치의 수명까지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27, 28)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누름 버튼(29)에 가동 스토퍼(29e)를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가이드체(30)에, 누름 버튼(29)의 가동 스토퍼(29e)를 맞닿게 하여 누름 버튼(29)의 밀어누름을 정해진 위치에서 멈추는 고정 스토퍼(30d)를 일체로 형성하므로, 누름 버튼(29)의 과잉한 밀어누름(오버 스트로크)을 정밀도 좋게 제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누름 버튼(29)의 과잉한 밀어누름에 의한 누름자(31)나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27, 28)의 내구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동시에, 스위치의 수명까지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27, 28)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21)는 고수명화를 용이하게 도모할 수 있는 동시에, 스위치의 수명까지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박형으로,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21)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 관련되는 제 3 실시형태를 도 18∼도 19를 참조해 설명한다.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평면도, 도 19는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단면도, 도 20은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조립도이다.
도 18∼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41)는 2단계에서 2종류의 스위치회로를 개폐 조작하는 2단 동작 타입이다. 인서트 성형 등에 의해 제 1, 제 2, 제 3의 3개의 고정접점단자(42, 43, 44)와 일체로 형성된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하우징(45)과, 제 1, 제 2의 2개의 가동접점으로서 이용하는 제 1, 제 2의 2장의 스프링성을 가진 돔형상 금속판(46, 47)과, 고정 스토퍼(48)를 일체로 형성한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가이드체(49)와, 가로방향으로부터 밀어누름 조작되는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누름 버튼(50)과, 누름 버튼(50)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돔형상 금속판(46, 47)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51) 및 이 경사부(51)를 돔형상 금속판(46, 47)의 동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요성을 가진 힌지부(52) 및 돔형상 금속판(46, 47)을 밀어 내리는 밀어누름부(53)를 갖는 누름자(54)와, 스위치 케이스를 하우징(45)으로 형성하는 커버(55)로 구성된다.
하우징(45)은 상면 개구형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저면에 계단식 오목부(45a)가 형성되며, 이 계단식 오목부(45a)의 외주 단차면에 제 1 고정접점단자(42)의 일부가 대략 면일치로 노출되어 제 1 고정접점으로서의 커먼접점(42a)이 형성되고, 또 계단식 오목부(45a)의 저면 외측부에 제 2 고정접점단자(43)의 일부가 대략 면일치로 노출되어 제 2 고정접점으로서의 제 1 선택접점(43a)이 형성되며, 또한 계단식 오목부(45a)의 저면 중심부에 제 3 고정접점단자(44)의 일부가 대략 면일치로 노출되어 제 3 고정접점으로서의 제 2 선택접점(44a)이 형성된다.
각 고정접점단자(42, 43, 44)는 도전성의 금속박판을 천공 및 굽힘 가공해서 형성되고, 각 고정접점단자(42, 43, 44)의 일단부가 하우징(45)의 외부로 꺼내어지며,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41)의 면실장용으로 도시하지 않는 외부접속단자를 형성한다. 이 외부접속단자는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납땜으로 고정, 접속된다.
또, 하우징(45)의 4측벽 중 하나의 측벽(좌측벽)의 중앙 상부에는, 누름 버튼 돌출용으로 오목형상의 노치(45b)가 형성된다. 또한 하우징(45)의 상면측의 4모서리에는 커버 위치 결정용으로 윗쪽으로 돌출하는 돌기(45c)가 형성되는 동시에, 하우징(45)의 4측벽에는 커버 고정용의 걸어맞춤 클로(45d)와 걸어맞춤 홈(45e)이 형성된다. 걸어맞춤 클로(45d)는 노치(45b)를 형성한 측벽의 양단 상부와 그 측벽에 대향하는 측벽 외면의 중앙 상부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형성되고, 걸어맞춤 홈(45e)은 나머지의 대향하는 2개의 측벽의 외면 중앙부에 형성된다. 걸어맞춤 홈(45e)의 하단부는 하우징(45)의 외저면을 따라서 내측에 굴곡 형성된다. 하우징(45)의 외저면에는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대한 위치 결정용으로 돌기(45f)가 형성된다.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46, 47)은 도전성의 금속박판(스프링용 금속재료)으로 이루어지고, 제 1 돔형상 금속판(46)이 계단식 오목부(45a)의 외주부 단차면에 지지되며, 제 2 돔형상 금속판(47)이 계단식 오목부(45a)의 저면에 지지되고, 이들 2장의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46, 47)이 하우징(45)의 계단식 오목부(45a)내에 상하 2단으로 설치된다. 제 1 돔형상 금속판(46)은 그 외측부가 커먼접점(42a)과 상시 접촉하고 있다. 제 2 돔형상 금속판(47)은 그 외측부가 제 1 선택 접점(43a)과 상시 접촉하고, 제 2 돔형상 금속판(47)의 중심부가 제 2 선택접점(44a)과 대향하고 있다.
도 21a는 조립 상태의 가이드체와 누름자의 평면도, 도 21b는 도 21a의 A-A선 단면도, 도 22a는 조립 상태의 누름 버튼과 가이드체와 누름자의 평면도, 도 22b는 도 22a의 저면도, 도 22c는 도 22a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18∼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체(49)는 평면에서 보아 대략 コ자형상으로 형성된 베이스판부(49a)와, 이 베이스판부(49a)의 양단 변부의 외측 가장자리로부터 솟아오른 가이드벽부(49b)를 일체로 형성하고, 베이스판부(49a)의 중간 변부 외측면이 하우징(45)의 노치(45b)를 형성한 측벽 하부 내면과 접촉하며, 베이스판부(49a)의 양단 변부 외측면과 가이드벽부(49b)의 외측면이 하우징(45)의 노치(45b)를 형성한 측벽에 인접하는 2개의 측벽 내면과 접촉하고, 베이스판부(49a)의 양단 변부 단면이 하우징(45)의 노치(45b)를 형성한 측벽과 대향하는 측벽 내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제 1 돔형상 금속판(46)을 덮지 않도록 하우징(45)의 계단식 오목부(45a)의 주위에 있는 내저면 위에 배치되고, 가이드벽부(49b)의 상측면을 커버(55)로 눌러서 고정된다.
또, 각 가이드벽부(49b)의 중앙 상부에는, 누름 버튼(50)의 밀어넣음 스트로크를 결정하는 오목형상의 노치(49c)가 형성되고, 이 각 노치(49c)의 일측(우측)의 측단면이 누름 버튼(50)의 과잉한 밀어넣음 스트로크(오버 스트로크)를 규제하는 고정 스토퍼(48)로 되어 있다.
누름 버튼(50)은 평면에서 보아 コ자형상으로 형성된 기판부(50a)와, 이 기 판부(50a)의 중간변부 중앙 외측면으로부터 돌출한 조작부(50b)와, 기판부(50a)의 중간변부 양단 외측면으로 이루어지는 견부(50c)를 일체로 형성하고, 조작부(50b)가 하우징(45)의 노치(45b)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견부(50c)가 하우징(45)의 노치(45b)를 형성한 측벽의 노치(45b)의 양측에 있는 내면과 대향하고, 기판부(50a)의 하면이 가이드체(49)의 베이스판부(49a)의 상면과 접촉하며, 기판부(50a)의 양단 변부 외측면이 가이드체(49)의 가이드벽부(49b)의 내면과 접촉한 상태에서, 가이드체(49)에 의해서 지지되고, 기판부(50a)의 상면을 커버(55)에서 슬라이딩 자유롭게 눌러서 조작부(50b)의 밀어누름 조작방향을 따라서 이동 안내된다.
또, 기판부(50a)의 내측에는 하측으로부터 누름자(54)의 경사부(51)가 돌출하고, 이 경사부(51)와 대향하는 기판부(50a)의 중간변부 중앙 내측면이 경사부(51)에 접촉해 슬라이딩하면서 누름자(54)를 밀어 내리는 누름자 밀어내림부(50d)로 되어 있다.
또한 기판부(50a)의 양단 변부 외측면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가이드체(49)의 가이드벽부(49b)에 형성된 노치(49c)에 끼워 넣는 가동 스토퍼(50e)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가동 스토퍼(50e)는 조작부(50b)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누름 버튼(50)의 밀어넣음 시에 노치(49c) 내에서 이동하고, 누름 버튼(50)의 밀어넣음 스트로크 종단에서 노치(49c)의 일측(우측)의 측단면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스토퍼(48)로 막아내어져 누름 버튼(50)의 과잉한 밀어넣음 스트로크(오버 스트로크)를 규제한다.
누름자(54)의 경사부(51)와 밀어누름부(53)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되고, 누름자(54)의 힌지부(52)는 금속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51)는 측면이 삼각형이고, 저면이 직사각형으로 되도록 옆으로 넘어뜨린 삼각기둥형상인 것이다. 밀어누름부(53)는 경사부(51)의 평탄한 직사각형 저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반구형상의 것이다. 밀어누름부(53)의 기단부 외주면에는 링형상의 홈(53a)이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52)는 그 고정단부로부터 양측에 コ자형상의 걸림부(52a)가 돌출되어 평면에서 보아 대략 T자로 형성되고, 자유단측에 원형의 부착구멍(52b)이 개구 형성되어 있다. 또, 힌지부(52)의 고정단부는 수평으로 형성되는데 대해, 그 수평인 고정단부로부터 앞은 Z굽혀진 굽힘부(52c)를 통하여 기울기 윗쪽으로 연장돌출되어 경사 각도θ를 가지고 있다.
누름자(54)의 조립은, 경사부(51)의 평탄한 직사각형 저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반구형상의 밀어누름부(53)를 힌지부(52)의 자유단측에 개구 형성된 부착구멍(52b)에 윗쪽으로부터 밀어넣어 힌지부(52)의 하면측으로 돌출시키고, 힌지부(52)의 부착구멍(52b)의 주변부를, 밀어누름부(53)의 기단부 외주면에 형성된 링형상의 홈(53a)에 끼워넣는 것으로, 힌지부(52)의 상면에 경사부(51)를 위쪽으로 돌출하여 부착하는 동시에, 힌지부(52)의 자유단측 하면에 밀어누름부(53)를 아래쪽으로 돌출하여 부착해서 완료한다. 또한 경사부(51)의 평탄한 직사각형 저면과 힌지부(52)의 상면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하는 등 하여 경사부(51) 및 밀어누름부(53)의 회전 멈춤을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누름자(54)는 힌지부(52)의 고정단부와 그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 된 コ자형상의 걸림부(52a)가 하우징(45)의 노치(45b)를 형성한 측벽과 계단식 오목부(45a)의 사이에 있는 내저면과, 그 면과 대향하는 가이드체(49)의 베이스판부(49a)의 중간변부 외저면의 사이에 끼워넣어 고정되어 힌지부(52)가 캔틸레버로 지지된다. 이에 따라, 경사부(51)가 경사 각도θ를 가진 힌지부(52)에 의해서, 누름 버튼(50)의 기판부(50a)의 내측에 배치되고, 경사부(51)의 꼭대기부보다 일측에 있으며, 누름 버튼(50)의 밀어넣음 방향을 향해 올라가는 경사로 되는 경사면(51a)이 누름 버튼(50)의 기판부(50a)의 중간변부 중앙 내측면으로 이루어지는 누름자 밀어내림부(50d)와 대향하는 동시에, 밀어누름부(53)가 제 1 돔형상 금속판(46) 위에 배치되고, 밀어누름부(53)의 하단 대략 중심부가 제 1 돔형상 금속판(46)의 상면 대략 중심부에 맞닿고 있다. 또, 경사부(51)와 밀어누름부(53)가 캔틸레버 지지의 힌지부(52)에 의해서 제 1 돔형상 금속판(46)과 커버(55)의 사이에 상하로 요동 자유롭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힌지부(52)의 고정단부와 그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コ자형상의 걸림부(52a)를 사이에 넣는 두면(二面) 중 어느 한쪽의 면, 즉, 하우징(45)의 노치(45b)를 형성한 측벽과 계단식 오목부(45a)의 사이에 있는 내저면 또는, 가이드체(49)의 베이스판부(49a)의 중간변부 외저면에, 힌지부(52)의 판두께 만큼의 깊이를 가지며, 힌지부(52)의 고정단부와 그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コ자형상의 걸림부(52a)를 매설하는 도시하지 않는 홈을 형성하는 것으로, コ자형상의 걸림부(52a)의 내측에 하우징(45) 또는 가이드체(49)의 수지가 끼워 넣어지고, 누름자(54)의 위치 결정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힌지부(52)와 하우징(45) 및 가이드체(49)의 접합면을 접착제에 의해 접착할 수도 있다.
또, 누름자(54)에는 그것 자체에 경사 각도θ를 가진 힌지부(52)에 의해서, 경사부(51)의 경사면(51a)보다 완경사의 경사 각도θ를 갖게 하고 있다.
도면 예에서는, 경사부(51)를 수지의 밀어누름부(14)측에 일체로 형성한 2피스 구조의 누름자(54)를 나타냈지만, 금속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힌지부(52)측에 경사부(51)를 일체로 형성한 2피스 구조의 누름자, 또는, 경사부(51)를 단품 구조로 갖는 3피스 구조의 누름자로서도 좋다. 이때, 2피스 구조가 3피스 구조보다 생산성이 높고, 코스트면에서도 유리하다. 또, 이들 2피스 또는 3피스 구조의 누름자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 형성할 수도 있다.
커버(55)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천공 및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고, 하우징(45)의 상면을 덮는 평판형상의 상측판(55a)과, 이 상측판(55a)의 4모서리에 형성되고, 하우징(45)의 돌기(45c)와 끼워 맞추는 커버 위치 결정용의 노치(55b)와, 상측판(55a)의 대향하는 2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돌출되며, 하단부를 하우징(45)의 걸어맞춤 클로(45d)에 하측으로부터 걸리게 하여 커버(55)를 고정하는 제 1 걸림부(55c)와, 상측판(55a)의 나머지의 대향하는 2측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 방향으로 연장돌출되고, 하우징(45)의 걸어맞춤 홈(45e)에 끼워 맞춘 상태에서 하단부를 하우징(45)의 외저면에 하측으로부터 걸리게 하여 커버(55)를 고정하는 제 2 걸림부(55d)를 구비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41)의 조립은 하우징(45)의 계단식 오목부(45a)에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46, 47)을 상하 2단으로 설치한 후, 하우징(45)의 노치(45b)를 형성한 측벽과 계단식 오목부(45a)의 사이에 있는 내저면 위에, 누름자(54)의 힌지부(52)의 고정단부와 그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コ자형상의 걸림부(52a)를 얹고, 하우징(45)의 계단식 오목부(45a)의 주위에 있는 내저면 위에 고정 스토퍼(48)를 일체로 형성한 가이드체(49)를 배치하며, 하우징(45)의 노치(45b)에 누름 버튼(50)의 조작부(50b)를 끼워 맞추는 동시에, 가이드체(49)의 노치(49c)에 누름 버튼(50)의 가동 스토퍼(50e)를 끼워 맞추면서, 누름 버튼(50)의 기판부(50a)를 가이드체(49)의 베이스판부(49a) 위에 겹쳐 배치하고, 마지막으로, 커버(55)를 윗쪽으로부터 하우징(45)에 끼워 붙여 위치 결정 및 걸리게 함으로써 완료한다.
도 23은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1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제 1 돔형상 금속판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2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제 2 돔형상 금속판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 및 도 23, 도 24에 의거하여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19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41)의 동작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누름 버튼(50)을 조작하지 않는 동작 전의 상태에서는, 누름 버튼(50)은 견부(50c)가 하우징(45)의 노치(45b)를 형성한 측벽의 노치(45b)의 양측에 있는 내면에 맞닿는 동시에, 가동 스토퍼(50e)가 가이드체(49)의 가이드벽부(49b)에 형성된 노치(49c) 내의 좌단부에 위치하고, 누름자 밀어내림부(50d)가 누름자(54)의 경사부(51)의 경사면(51a)을 밀어누르지 않는 위치에 홀딩되므로, 누름자(54)는 그 힌지부(52)에 거의 탄성변형을 받지 않고 대략 자유 상태의 경사 자세로 홀딩된다.
또, 제 1 돔형상 금속판(46)과 제 2 돔형상 금속판(47)은 각각 위쪽 방향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에서 이간하는 동시에, 제 2 돔형상 금속판(47)은 제 2 선택접점(44a)과 이간하고 있다. 여기에서, 누름자(54)의 밀어누름부(53)는 제 1 돔형상 금속판(46)의 상면 대략 중심부에서 위쪽 방향으로 밀린다. 이것에 수반해서, 누름자(54)가 그 자유 상태의 경사 각도θ보다 약간 심한 경사 각도의 경사 자세로 홀딩되고, 밀어누름부(53)의 하단 대략 중심부와 제 1 돔형상 금속판(46)의 상면 대략 중심부가 접촉 홀딩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 버튼(50)의 조작부(50b)를 도 19의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면,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자 밀어내림부(50d)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누름자(54)의 경사부(51)의 경사면(51a)에 접촉해서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는 동시에, 경사부(51)의 경사면(51a)에서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수반해서, 누름자(54)는 힌지부(52)의 굽힘부(52c)에서 휘어 탄성변형하면서 아래쪽 방향으로 밀어 내려지므로, 밀어누름부(53)의 하단 대략 중심부가 제 1 돔형상 금속판(46)의 상면 대략 중심부를 밀어내림 조작한다.
이에 따라서, 제 1 돔형상 금속판(46)은 아래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하여 하측의 제 2 돔형상 금속판(47)과 접촉하기 때문에 커먼접점(42a)과 제 1 선택접점(43a)이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46, 47)을 통해서 도통하여 1단째의 제 1 스위치가 온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 버튼(50)의 조작부(50b)를 더욱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면,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자 밀어내림부(50d)는 더욱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누름자(54)의 경사부(51)의 경사면(51a)을 더욱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는 동시에, 경사부(51)의 경사면(51a)에서 더욱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수반해서, 누름자(54)는 힌지부(52)의 굽힘부(52c)에서 더욱 휘어 탄성변형하면서 더욱 아래쪽 방향으로 밀어 내려지므로, 이 밀어누름부(53)가 제 1 돔형상 금속판(46)을 통하여 제 2 돔형상 금속판(47)의 상면 대략 중심부를 밀어내림 조작한다.
이에 따라서, 제 2 돔형상 금속판(47)은 아래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해서 제 2 선택접점(44a)과 접촉하기 때문에 커먼접점(42a)과 제 2 선택접점(44a)이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46, 47)을 통해서 도통하여 2단째의 제 2 스위치가 1단째의 제 1 스위치에 계속해서 온으로 된다.
이때, 누름 버튼(50)의 가동 스토퍼(50e)는 가이드체(49)의 가이드벽부(49b)에 형성된 노치(49c) 내의 우단부로 이동하고, 가이드체(49)의 고정 스토퍼(48)로 막아내어지며, 조작부(50b)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누름 버튼(50)의 밀어넣음 규제하는 동시에,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46, 47)의 과잉한 밀어내림을 초래하는 누름 버튼(50)의 과잉한 밀어넣음 스트로크(오버 스트로크)를 제한한다. 이것에 수반해서, 누름자(54)가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46, 47)의 동작 상태를 그 설치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이 되는 대략 수평자세로 홀딩한다. 또한 조작부(50b)가 밀어누름 조작되어 제 2 돔형상 금속판(47)과 제 2 선택접점(44a)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은 제 1, 제 2 스위치의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부(50b)의 밀어누름 조작력을 제거하면, 힌지부(52)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누름자(54)가 도 19의 스위치 동작 전의 상태로 복귀하는 동시 에, 누름 버튼(50)도 도 19의 스위치 동작전 상태로 복귀한다. 이때, 누름자(54)의 복귀에 수반해서,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46, 47)이 그 스프링력에 의해 각각 위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하고, 제 2 돔형상 금속판(47)이 제 2 선택접점(44a)으로부터 이간해서 제 2 스위치가 오프로 되며, 계속해서 제 1 돔형상 금속판(46)이 제 2 돔형상 금속판(47)과 이간해서 제 1 스위치가 오프로 된다.
상기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41)는 누름 버튼(50)의 조작부(50b)가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동시에, 가동접점에 스프링성을 가진 돔형상 금속판(46, 47)을 이용하며, 상기 조작부(50b)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누름 버튼(50)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누름 버튼(50)의 이동방향과는 수직방향인 돔형상 금속판(46, 47)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이고, 상기 누름 버튼(50)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돔형상 금속판(46, 47)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51)와, 이 경사부(51)를 상기 돔형상 금속판(46, 47)의 동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요성을 가진 힌지부(52)와, 상기 돔형상 금속판(46, 47)을 밀어 내리는 밀어누름부(53)를 갖는 누름자(54)를 구비함으로써, 조작력을 그대로 돔형상 금속판(46, 47)에 전달할 수 있으며, 그것에 더하여, 돔형상 금속판(46, 47)의 대략 중심부를 정밀도 좋게 밀어누를 수 있으므로, 돔형상 금속판(46, 47)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힌지부(52)의 금속화를 가능하게 하고, 힌지부(52)의 내구성의 향상 및 특성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상기 누름자(54)의 밀어누름부(53)가 수지로 성형되고, 힌지부(52)가 금속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힌지부(52)의 금속화에 의한 내구성의 향상 및 특성의 안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누름자(54) 자체에 상기 경사부(51)의 경사면(51a)보다 완경사의 경사 각도θ를 갖게 하고 있음으로써, 1단 동작 타입에서는 경사부(51)를 작게 하면서, 누름자(54)에 필요한 동작 스트로크가 얻어지도록 하는 한편, 2단 동작 타입에서는 경사부(51)를 크게 하는 일 없이, 누름자(54)의 동작 스트로크를 길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누름자(54)는 상기 누름 버튼(50)의 밀어넣음 스트로크 종단에서 상기 돔형상 금속판(46, 47)의 설치면과 대략 평행이 됨으로써, 누름자(54)가 돔형상 금속판(46, 47)의 동작 상태를 그 설치면에 대해서 대략 평행이 되는 자세로 홀딩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접촉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41)는 상기 돔형상 금속판(46, 47)을 그 동작방향으로 2단으로 설치함으로써, 제품의 두께를 두껍게 하는 일 없이,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돔형상 금속판(46, 47)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 박형으로 고수명, 고접촉신뢰성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41)를 얻을 수 있다. 또 돔형상 금속판(46, 47)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 박형으로 고수명, 고접촉신뢰성의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41)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제 4 실시형태를 도 25∼도 28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25는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2단 동작 타입의 측 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동작 전의 단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61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제 1, 제 2, 제 3의 3개의 다른 고정접점단자(62, 63, 64)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도시하지 않는 금속 커버로 스위치 케이스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하우징이다. 이 하우징(61)의 내저면에는 계단식 오목부(61a)가 형성되고, 이 계단식 오목부(61a)의 외주 단차면에 제 1 고정접점단자(62)의 일부가 대략 면일치로 노출되어 제 1 고정접점으로서의 커먼접점(62a)이 형성되며, 또 계단식 오목부(61a)의 저면 외측부에 제 2 고정접점단자(63)의 일부가 대략 면일치로 노출되어 제 2 고정접점으로서의 제 1 선택접점(63a)이 형성되고, 또한 계단식 오목부(61a)의 저면 중심부에 제 3 고정접점단자(64)의 일부가 대략 면일치로 노출되어 제 3 고정접점으로서의 제 2 선택접점(64a)이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접점단자(62, 63, 64)는 도전성의 금속박판을 천공 및 굽힘 가공하여 형성되고, 각 고정접점단자(62, 63, 64)의 일단부가 하우징(61)의 외부로 꺼내어지며,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면실장용으로 도시하지 않는 외부접속단자를 형성한다. 이 각 외부접속단자는 도시하지 않는 프린트 회로 기판에 납땜으로 고정, 접속된다.
또, 도면에 있어서, 65는 제 1 가동접점으로서 이용하는 스프링성을 가진 제 1 돔형상 금속판이다. 이 제 1 돔형상 금속판(65)은 하우징(61)의 계단식 오목부(61a)의 외주부 단차면에 설치되고, 외측부가 커먼접점(62a)과 상시 접촉하고 있다.
또, 도면에 있어서, 66은 제 2 가동접점으로서 이용하는 스프링성을 가진 제 2 돔형상 금속판이다. 이 제 2 돔형상 금속판(66)은 하우징(61)의 계단식 오목부(61a)의 저면에 설치되고, 외측부가 제 1 선택접점(63a)과 상시 접촉하며, 중심부가 제 2 선택접점(64a)과 대향하고 있다.
그래서 2장의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5, 66)이 하우징(61)의 계단식 오목부(61a) 내에 상하 2단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67은 가로방향으로부터 밀어누름 조작되는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누름 버튼이다. 이 누름 버튼(67)에는 하우징(61)의 일측부(좌측부)로부터 하우징(61)의 가로 바깥쪽으로 돌출한 조작부(67a)와, 하우징(61) 내에 있어 후술하는 누름자의 경사부와 대향하는 누름자 밀어내림부(67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누름 버튼(67)은 하우징(61) 내에 끼워 맞춰 고정하는 합성수지제로 절연성을 가진 도시하지 않는 가이드 부재에 의해서 가로방향으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 자유롭게 지지된다.
또, 도면에 있어서 68은, 누름 버튼(67)의 누름자 밀어내림부(67b)를 접촉 후에 슬라이딩시켜 누름 버튼(67)의 이동방향(가로방향)의 조작력을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5, 66)의 동작방향(아래쪽 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69)와, 이 경사부(69)를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5, 66)의 동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요성을 가진 힌지부(70)와,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5, 66)을 밀어 내리는 밀어누름부(71)와, 경사부(69)에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누름 버튼(67)의 과잉한 밀어넣음 스트로크(오버 스트로크)에 의한 과대한 조작력을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만곡 부(72)를 일체적으로 가지는 누름자이다.
누름자(68)의 경사부(69)와 힌지부(70)와 만곡부(11)는 캔틸레버의 금속판스프링에 의해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금속판스프링은 누름 버튼(67)의 하측에 있는 하우징(61)의 내저면 위에 고정되는 수평인 고정단부와, 이 고정단부로부터 누름 버튼(67)의 누름자 밀어내림부(67b)의 전측을 향해 기울기 윗쪽으로 연장돌출되는 아암부와, 이 아암부의 선단으로부터 제 1 돔형상 금속판(65)의 윗쪽으로 연장돌출되는 위쪽 방향으로 부풀어 오른 대략 반원형상의 자유단부를 연속 일체로 형성하고 있으며, 고정단부를 지점에 자유단부가 상하로 변위하고, 고정단부로부터 아암부의 하부에서 힌지부(70)가 형성되며, 누름 버튼(67)의 누름자 밀어내림부(67b)와 대향하는 아암부의 상부에서 경사부(69)가 형성되고, 자유단부에서 위쪽 방향으로 부풀어 오른 대략 반원형상의 만곡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또, 누름자(68)의 만곡부(72)의 하측에는 경사부(69)와 만곡부(72)의 선단부의 사이로 넘기는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지는 밀어누름부 부착판(73)이 고정되고, 누름자(68)의 밀어누름부(71)는 절연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되며, 밀어누름부 부착판(73)에 상부를 고정해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반구형상의 것으로, 하단 대략 중심부가 제 1 돔형상 금속판(65)의 상면 대략 중심부에 맞닿고 있다.
도 26은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1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7은 동일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2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22∼도 27에 의거해서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버튼(67)을 조작하지 않는 동작 전의 상태에서는 누름 버튼(67)은 그 누름자 밀어내림부(67b)가 누름자(68)의 경사부(69)를 밀어누르지 않는 초기 위치로 후퇴하고 있으므로, 누름자(68)는 그 힌지부(70)에 거의 탄성변형을 받지 않고 대략 자유 상태(초기 상태)로 홀딩된다.
또, 제 1 돔형상 금속판(65)과 제 2 돔형상 금속판(66)은 각각 위쪽 방향으로 부풀어 오른 상태에서 이간하는 동시에, 제 2 돔형상 금속판(66)은 제 2 선택접점(64a)과 이간하고 있다. 여기에서, 누름자(68)의 밀어누름부(71)는 그 하단 대략 중심부가 제 1 돔형상 금속판(65)의 상면 대략 중심부에서 위쪽 방향으로 밀려서 밀어누름부(71)의 하단 대략 중심부와 제 1 돔형상 금속판(65)의 상면 대략 중심부가 접촉 홀딩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누름 버튼(67)의 조작부(67a)를 도 25의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면,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버튼(67)의 누름자 밀어내림부(67b)가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누름자(68)의 경사부(69)에 접촉 후에 그 위에서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수반해서, 누름자(68)는 그 힌지부(70)에서 휘어 탄성변형하면서 밀어누름부(71)를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그 밀어누름부(71)의 하단 대략 중심부에서 제 1 돔형상 금속판(65)의 상면 대략 중심부를 밀어내림 조작한다.
이에 따라서, 제 1 돔형상 금속판(65)은 아래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하여 하측의 제 2 돔형상 금속판(66)과 접촉하기 때문에 커먼접점(62a)과 제 1 선택접점(63a)이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5, 66)을 통해서 도통하여 1단째의 제 1 스위치가 온으로 된다.
이 상태에서, 누름 버튼(67)의 조작부(67a)를 더욱 도 26의 오른쪽 방향으로 밀어누르면,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버튼(67)의 누름자 밀어내림부(67b)는 더욱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하여 누름자(68)의 경사부(69) 상에서 더욱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수반해서, 누름자(68)는 그 힌지부(70)에서 더욱 휘어 탄성변형하면서 밀어누름부(71)를 더욱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 그 밀어누름부(71)가 제 1 돔형상 금속판(65)을 통하여 제 2 돔형상 금속판(66)의 상면 대략 중심부를 밀어내림 조작한다.
이에 따라서, 제 2 돔형상 금속판(66)은 아래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하여 제 2 선택접점(64a)과 접촉하기 때문에, 커먼접점(62a)과 제 2 선택접점(64a)이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5, 66)을 통해서 도통하여 2단째의 제 2 스위치가 1단째의 제 1 스위치에 이어 온으로 된다.
또한 누름 버튼(67)의 조작부(67a)가 밀어누름 조작되어 제 2 돔형상 금속판(66)과 제 2 선택접점(64a)이 접촉하고 있는 동안은 제 1, 제 2 스위치의 온 상태를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누름 버튼(67)의 조작부(67a)의 밀어누름 조작력을 제거하면, 힌지부(70)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누름자(68)가 도 25의 스위치 동작 전의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동시에, 누름 버튼(67)도 도 25의 스위치 동작 전의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누름자(68)의 복귀에 수반해서,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5, 66)이 그 스프링력에 의해 각각 위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하고, 제 2 돔형상 금속판(66)이 제 2 선택접점(64a)으로부터 이간해서 제 2 스위치가 오프로 되며, 계속 해서 제 1 돔형상 금속판(65)이 제 2 돔형상 금속판(7)과 이간하여 제 1 스위치가 오프로 된다.
도 28은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누름 버튼이 과잉으로 밀어넣어져 오버 스트로크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예를 들면, 구성부품의 치수 오차나 조립의 치수 오차의 중복 등에 의해서, 제 2 스위치가 온이 되었을 때에 누름 버튼(67)의 과잉한 밀어넣음 스트로크를 정밀도 좋게 제한할 수 없고,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 버튼(67)이 과잉으로 밀어넣어져 오버 스트로크가 된 경우, 누름자 밀어내림부(67b)는 누름 버튼(67)의 밀어넣음 스트로크의 과잉분 A에 의해서 누름자(68)의 경사부(69)를 통과하여 그 경사부(69)로부터 연속적으로 형성된 만곡부(72)에 이르고, 이 만곡부(72)를 밀어눌러서 힌지부(70)를 더욱 휘게 하여 탄성변형시키면서 밀어누름부(71)를 더욱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시키려고 하는데, 이미, 제 2 돔형상 금속판(66)이 아래쪽 방향으로 반전 동작하여 제 2 선택접점(64a)과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밀어누름부(71)는 아래쪽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고, 힌지부(70)도 휠 수 없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누름자(68)의 만곡부(72)가 누름 버튼(67)의 밀어넣음 스트로크의 과잉분 A에 의해서 누름자 밀어내림부(67b)에서 밀어눌러짐으로써, 만곡부(72)는 선단부가 밀어누름부 부착판(73)에 의해서 경사부(69)에 연결되어 밀어넣음 스트로크의 과잉분 A에 의한 과대한 조작력을 놓치지 않도록 하고 있으므로, 누름자 밀어내림부(67b)와의 접촉 부분에 오목 변형(12a)을 일으키고, 이 오목 변형(12a)에 의해서 밀어넣음 스트로크의 과잉분 A에 의한 과대한 조작력(부하)을 흡 수하고, 밀어넣음 스트로크의 과잉분 A에 의한 과대한 조작력으로 누름자(68)의 경사부(69)나 힌지부(70)의 초기 형상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서, 누름자(68)는 누름 버튼(67)의 조작부(67a)의 밀어누름 조작에 따라서 가로방향의 조작력을 그 조작방향과는 수직방향(아래쪽 방향)으로 변환하여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5, 66)으로 전달하고, 그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5, 66)을 밀어내려 반전 동작시키고, 1단째, 2단째의 제 1, 제 2 스위치를 온 동작시키는 동시에, 제 1 돔형상 금속판(65)과 제 2 돔형상 금속판(66)의 접촉압 및 제 1, 제 2 돔형상 금속판(65, 66)과 각 고정접점(2a, 3a, 4a)의 접촉압을 확보한다. 따라서, 높은 접촉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누름 버튼(67)의 조작부(67a)의 밀어누름 조작력을 제거하면, 누름 버튼(67)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에 수반해서, 오목 변형(72a)한 만곡부(72)는 자신의 탄성 복귀력에 의해서 초기 형상(위쪽 방향으로 부풀어 오른 대략 반원형상)으로 복귀한다.
상기와 같이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61)는 누름 버튼(67)의 조작부(67a)가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동시에, 가동접점에 스프링성을 가진 돔형상 금속판(65, 66)을 이용하고, 상기 조작부(67a)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누름 버튼(67)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누름 버튼(67)의 이동방향과는 수직방향인 돔형상 금속판(65, 66)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이며, 상기 누름 버튼(67)에 상기 조작부(67a)와 일체로 갖는 누름자 밀어내림부(67b)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누름자 밀어내림부(67b)를 접촉 후에 슬라이딩시 켜 상기 누름 버튼(67)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돔형상 금속판(65, 66)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69)와, 이 경사부(69)를 상기 돔형상 금속판(65, 66)의 동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요성을 가진 힌지부(70)와, 상기 돔형상 금속판(65, 66)을 밀어 내리는 밀어누름부(71)와, 상기 경사부(69)에 연속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누름 버튼(67)의 과잉한 밀어넣음 스트로크에 의한 과대한 조작력을 오목 변형(72a)에 의해 흡수한 만곡부(72)를 갖는 누름자(68)를 구비함으로써, 조작력을 그대로 돔형상 금속판(65, 66)에 전달할 수 있고, 돔형상 금속판(65, 66)의 대략 중심부를 정밀도 좋게 밀어누를 수 있으므로, 돔형상 금속판(65, 66)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기 누름 버튼(67)의 과잉한 밀어넣음 스트로크에 의한 과대한 조작력을 누름자(68)의 만곡부(72)의 오목 변형(72a)에 의해 흡수할 수 있으며, 누름자(68)의 경사부(69)나 힌지부(70)의 초기 형상이 변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높은 접촉 신뢰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누름자(68)의 힌지부(70)가 금속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지제의 힌지부에 비해 내구성의 향상 및 특성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61)는 상기 돔형상 금속판(65, 66)을 그 동작방향으로 2단으로 설치함으로써,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61)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돔형상 금속판(65, 66)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 박형으로 접촉 신뢰성이 높은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61)를 얻을 수 있다. 또, 돔형상 금속판(65, 66)의 양호한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소형, 박형으로 접촉 신뢰성이 높은 2단 동작 타입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61)를 얻을 수 있다.
이상, 제 1∼제 4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양호한 일 실시형태를 나타냈지만, 본 발명은 그것에 한정되는 일 없이,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동작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조립도.
도 4a는 도 1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가이드체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A-A선 단면도.
도 5a는 도 1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가이드체에 누름 버튼을 세트한 상태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저면도.
도 5c는 도 5a의 A-A선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1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2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도 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외관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커버 제거 상태의 평면도.
도 11은 도 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조립도.
도 13은 도 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 구비하는 누름 버튼을 아래에서 본 사시도.
도 14는 도 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 구비하는 누름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가이드체의 평면도.
도 15는 도 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 구비하는 누름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6은 도 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1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도 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2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평면도.
도 19는 도 1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동작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0은 도 1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조립도.
도 21a는 도 1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조립 상태의 가이드체와 누름자의 평면도.
도 21b는 도 21a의 A-A선 단면도.
도 22a는 도 1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조립 상태의 누름 버튼과 가이 드체와 누름자의 평면도.
도 22b는 도 22a의 저면도.
도 22c는 도 22a의 A-A선 단면도.
도 23은 도 1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1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4는 도 18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2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의한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동작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6은 도 25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1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7은 도 25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2단째의 스위치 동작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8은 도 25의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의 누름 버튼이 과잉한 밀어넣어져 오버 스트로크가 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2, 3, 4: 고정접점단자
5: 하우징 5a:계단식 오목부
5b: 노치 5c: 돌기
5d: 걸어맞춤 클로 5e: 걸어맞춤 홈
6,7: 돔형상 금속판 8: 고정스토퍼
9: 누름자 9a: 경사부
9b: 힌지부 9c: 밀어누름부
10: 가이드체 10a: 베이스판부
10b: 가이드벽부 11: 누름버튼

Claims (11)

  1. 누름 버튼의 조작부가 측부로부터 돌출하는 동시에, 가동접점에 스프링성을 가진 돔형상 금속판을 이용하고, 상기 조작부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방향과는 수직방향인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는 경사부와, 상기 경사부를 상기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요성을 가진 힌지부와, 상기 돔형상 금속판을 밀어 내리는 밀어누름부를 갖는 누름자를 구비하되,
    상기 누름자는 2개의 고정단 및 1개의 자유단을 갖는 가요성을 가진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누름자의 자유단에 상기 경사부를 형성하며, 누름 버튼의 밀어누름에 의해 누름자의 2개의 고정단 사이를 비틀어 변형시키면서 누름자의 자유단에 의해 돔형상 금속판을 밀어 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는 상기 누름 버튼을 그 이동방향으로 안내 지지하는 가이드체에 상기 힌지부로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는 누름 버튼을 가로방향으로 왕복 이동 자유롭게 지지하는 가이드체에, 누름자의 2개의 고정단으로 연결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과 상기 누름자의 접촉면의 어느 한쪽에 라운딩을 하여 상기 누름 버튼과 상기 누름자를 선 접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에 가동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체에 상기 가동 스토퍼를 막아내어 상기 조작부의 밀어누름 조작에 수반하는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을 정해진 위치에서 규제하는 고정 스토퍼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 자체에 상기 경사부보다 완경사의 경사를 갖게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가 상기 가동 스토퍼와 상기 고정 스토퍼에 의한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 규제시에 상기 돔형상 금속판의 설치면과 평행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자의 밀어누름부가 수지로 성형되고, 힌지부가 금속판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버튼은 상기 조작부와 일체로 갖는 누름자 밀어내림부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경사부는 누름자 밀어내림부를 접촉 후에 슬라이딩시켜서 상기 누름 버튼의 이동방향의 조작력을 상기 돔형상 금속판의 동작방향으로 변환하고, 상기 누름자는 상기 경사부에 연속적으로 형성하며, 상기 누름 버튼의 과잉한 밀어넣음 스트로크에 의한 과대한 조작력을 변형에 의해 흡수하는 만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11. 제 1 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돔형상 금속판을 그 동작방향으로 2단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KR1020070076952A 2006-08-01 2007-07-31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KR1013009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09466A JP4280761B2 (ja) 2006-08-01 2006-08-01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JP-P-2006-00209466 2006-08-01
JPJP-P-2006-00228537 2006-08-25
JP2006228537A JP4332543B2 (ja) 2006-08-25 2006-08-25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JP-P-2006-00237118 2006-09-01
JP2006237118A JP2008059962A (ja) 2006-09-01 2006-09-01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JP-P-2006-00292068 2006-10-27
JP2006292068A JP4457097B2 (ja) 2006-10-27 2006-10-27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2219A KR20080012219A (ko) 2008-02-11
KR101300978B1 true KR101300978B1 (ko) 2013-08-27

Family

ID=38596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76952A KR101300978B1 (ko) 2006-08-01 2007-07-31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449654B2 (ko)
EP (1) EP1884971B1 (ko)
KR (1) KR101300978B1 (ko)
CA (1) CA2595358C (ko)
DE (1) DE602007010697D1 (ko)
TW (1) TWI40522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03489B2 (ja) * 2006-05-31 2011-06-15 株式会社東芝 メンブレンスイッチ、キーボードおよびキーボード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8071564A (ja) * 2006-09-13 2008-03-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JP4469878B2 (ja) * 2007-07-13 2010-06-02 ホシデン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CN101441951B (zh) * 2007-11-20 2011-11-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子装置的按键结构
JP2009193773A (ja) * 2008-02-13 2009-08-27 Citizen Electronics Co Ltd 照光押釦スイッチ
JP2009193770A (ja) * 2008-02-13 2009-08-27 Citizen Electronics Co Ltd 押釦スイッチ
CN101527214B (zh) * 2008-03-07 2011-02-16 旭丽电子(广州)有限公司 键结构及具有该键结构的电子装置
US7687734B2 (en) * 2008-06-19 2010-03-30 Apple Inc. Dome switch with integral actuator
US7557320B1 (en) * 2008-07-30 2009-07-07 Apple Inc. Surface-mount dome switch
EP2251883B1 (fr) * 2009-05-14 2012-07-11 Delphi Technologies, Inc. Agencement d'un commutateur sur une plaque à circuits imprimés et méthode d'assemblage associée
CN102064034B (zh) * 2009-11-18 2014-01-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源按钮模组及采用该电源按钮模组的电子装置
US8507818B2 (en) * 2011-03-10 2013-08-13 Magma Co., Ltd. Push switch device
CN102683073A (zh) * 2011-03-11 2012-09-19 株式会社Magma 按压开关装置
US8994799B2 (en) 2011-07-26 2015-03-31 ByteLight,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e position of a device in a light based positioning system using locally stored maps
US8866391B2 (en) 2011-07-26 2014-10-21 ByteLight, Inc. Self identifying modulated light source
US8334898B1 (en) 2011-07-26 2012-12-18 ByteLight, Inc. Method and system for configuring an imaging device for the reception of digital pulse recognition information
US9787397B2 (en) 2011-07-26 2017-10-10 Abl Ip Holding Llc Self identifying modulated light source
US9723676B2 (en) 2011-07-26 2017-08-01 Abl Ip Holding Llc Method and system for modifying a beacon light source for use in a light based positioning system
US8520065B2 (en) 2011-07-26 2013-08-27 ByteLight, Inc. Method and system for video processing to determine digital pulse recognition tones
US9444547B2 (en) 2011-07-26 2016-09-13 Abl Ip Holding Llc Self-identifying one-way authentication method using optical signals
US8436896B2 (en) 2011-07-26 2013-05-07 ByteLight, Inc. Method and system for demodulating a digital pulse recognition signal in a light based positioning system using a Fourier transform
US8416290B2 (en) 2011-07-26 2013-04-09 ByteLight, Inc.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pulse recognition demodulation
US9418115B2 (en) 2011-07-26 2016-08-16 Abl Ip Holding Llc Location-based mobile services and applications
US8964016B2 (en) 2011-07-26 2015-02-24 ByteLight, Inc. Content delivery based on a light positioning system
US9705600B1 (en) 2013-06-05 2017-07-11 Abl Ip Holding Llc Method and system for optical communication
US9509402B2 (en) 2013-11-25 2016-11-29 Abl Ip Hold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via a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RF communication devices and modulated beacon light sources
EP2894650B1 (de) * 2014-01-14 2017-09-27 RAFI GmbH & Co. KG Schaltvorrichtung
US10381177B2 (en) * 2016-03-14 2019-08-13 Citizen Electronics Co., Ltd. Push switch, method of manufacturing push switch,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push switch
CN111316392B (zh) * 2017-10-30 2022-02-22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按压开关
JP6942882B2 (ja) * 2018-03-30 2021-09-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気化器のオートチョーク装置
TWI672719B (zh) 2018-05-11 2019-09-21 緯穎科技服務股份有限公司 具有開關按鈕之電子裝置及其開關按鈕
CN112567490A (zh) * 2018-09-06 2021-03-26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按压开关
EP3806122B1 (en) * 2019-10-10 2022-12-07 C&K Components SAS A dome actuator structure for use in a dome switch, and dome switch comprising such a structure
EP4365709A1 (en) * 2021-09-01 2024-05-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pocket clip structure for supporting component
CN113782366B (zh) * 2021-09-14 2023-10-27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按键防护自锁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48Y2 (ja) * 1987-05-19 1994-04-13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薄形多重式押釦スイッチ
EP0743663A1 (fr) * 1995-05-16 1996-11-20 Itt Composants Et Instruments Commutateur électrique à actionnement latéral
JPH09120738A (ja) * 1995-10-26 1997-05-06 Shinmei Denki Kk プッシュスイッチ
FR2859567A1 (fr) * 2003-09-09 2005-03-11 Itt Mfg Enterprises Inc Dispositif de commutation electrique a actionnement lateral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125A (ja) 1991-06-24 1993-01-08 Toray Ind Inc オキシメチレンコポリマの製造方法
US6018132A (en) * 1999-08-27 2000-01-25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Horizontal tact switch
FR2803428B1 (fr) 1999-12-30 2002-02-08 Itt Mfg Entpr S Inc Commutateur electrique a actionnement lateral
US6262383B1 (en) * 2000-02-25 2001-07-17 Sagami Electric Company, Ltd. Tact switch and its movable contact piece
TW547759U (en) * 2002-10-16 2003-08-11 Hon Hai Prec Ind Co Ltd Tact switch
US6756554B1 (en) * 2003-04-29 2004-06-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Tact switch
JP4254415B2 (ja) * 2003-08-07 2009-04-1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JP4319885B2 (ja) 2003-10-15 2009-08-2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ッチ
CN2736904Y (zh) 2004-08-17 2005-10-26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按压式开关
TWM273071U (en) * 2005-02-24 2005-08-11 Taiwan Misaki Electronics Co L Push switch
TWM291595U (en) * 2005-12-15 2006-06-01 Dailywell Electronics Co Ltd Push-on switch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348Y2 (ja) * 1987-05-19 1994-04-13 日本開閉器工業株式会社 薄形多重式押釦スイッチ
EP0743663A1 (fr) * 1995-05-16 1996-11-20 Itt Composants Et Instruments Commutateur électrique à actionnement latéral
JPH09120738A (ja) * 1995-10-26 1997-05-06 Shinmei Denki Kk プッシュスイッチ
FR2859567A1 (fr) * 2003-09-09 2005-03-11 Itt Mfg Enterprises Inc Dispositif de commutation electrique a actionnement later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029377A1 (en) 2008-02-07
US7449654B2 (en) 2008-11-11
TWI405229B (zh) 2013-08-11
CA2595358C (en) 2015-06-23
DE602007010697D1 (de) 2011-01-05
TW200814116A (en) 2008-03-16
CA2595358A1 (en) 2008-02-01
EP1884971B1 (en) 2010-11-24
EP1884971A1 (en) 2008-02-06
KR20080012219A (ko) 2008-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0978B1 (ko) 측면누름형 푸시 스위치
US7547858B2 (en) Push button switch
KR100664365B1 (ko) 푸쉬온 스위치
KR101003280B1 (ko) 푸시버튼스위치
US8796574B2 (en) Switch
US7135646B2 (en) Electrical switch
JP4280761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US7772508B2 (en) Switch having a base, a slider, and a conductive coil spring
JP4323363B2 (ja) スイッチ装置
KR100363468B1 (ko) 푸시 스위치
US11462370B2 (en) Push switch
JP2008059962A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4524247B2 (ja) スイッチ装置
JP4457097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4332543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JP4008648B2 (ja) 押釦スイッチ
KR20050036707A (ko) 푸시 버튼 스위치
JP2518255Y2 (ja) 押釦スイツチ
JP4209222B2 (ja) 押釦スイッチ
JPH0495319A (ja) 押釦スイツチ
CN117916839A (zh) 按钮开关
JP2823379B2 (ja) 押釦スイツチ
JPH0492324A (ja) 押釦スイツチ
JPH0492323A (ja) 押釦スイツチ
JPH0492321A (ja) 押釦スイツ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