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36707A - 푸시 버튼 스위치 - Google Patents

푸시 버튼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36707A
KR20050036707A KR1020040076288A KR20040076288A KR20050036707A KR 20050036707 A KR20050036707 A KR 20050036707A KR 1020040076288 A KR1020040076288 A KR 1020040076288A KR 20040076288 A KR20040076288 A KR 20040076288A KR 20050036707 A KR20050036707 A KR 200500367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ush button
button switch
pressing
cov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6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4779B1 (ko
Inventor
사토우히데타카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50036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36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4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47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2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immediately upon removal of operating force, e.g. bell-push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7/00Connections
    • H01H2207/02Sold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09/00Layers
    • H01H2209/016Protection layer, e.g. for legend, anti-scra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7/00Mechanism between key and laykey
    • H01H2237/004Cantileve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수납부의 내저면에 형성된 고정 접점과, 고정 접점 위에 배치된 가동 접점과, 하우징의 측부에서 돌출되는 누름부와 가요성 작동부를 갖는 조작부재와, 수납부 내에 잘라 세워진 경사편을 갖고 하우징의 상면에 부착된 커버체를 구비하며, 누름부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경사편 위를 슬라이드하여 하방으로 휨으로써 가동 접점을 누르는 푸시 버튼 스위치로서, 조작부재를 누르는 조작시에 경사편을 갖는 커버체가 수납부의 가동 접점이 배치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 저지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푸시 버튼 스위치{PUSH BUTTON SWITCH}
본 발명은 각종 전자기기의 조작용 스위치로 사용되는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박형 횡압 타입 푸시 버튼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조로는, 커버체로부터 하우징 내부로 잘라 세워 가동 접점과 대향하는 경사편을 구비하며, 이 경사편과 가동 접점 사이에 형성되어 탄성을 갖는 작동부를 갖는 조작 부재가, 누름부를 누름으로써 작동부가 경사편 위를 슬라이드하여 가동 접점을 눌러 접점을 전환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2572590호 참조).
이하,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조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0 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 도 11 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개구 (10) 를 갖는 하우징 (11) 과, 그 개구 (10) 의 내저부에 형성된 고정 접점 (12,13) 과, 그 고정 접점 (12,13) 위에 배치된 가동 접점 (14) 과, 이 가동 접점 (14) 위에 형성되며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방진용 시트 (15) 와, 그 시트 (15) 를 통하여 가동 접점 (14) 을 작동시키는 조작부재 (16) 와, 상기 하우징 (10) 의 상부에 부착되어 상기 개구를 덮는 커버체 (17) 로 구성되어 있다.
고정 접점 (12,13) 은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 (11) 과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그 고정 접점 (12,13) 에서 각각 도출된 외부 단자 (12a,13a) 가 하우징 (11) 의 외벽에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1) 은 네 코너에서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는 4개의 돌기 (20) 와, 이들 돌기 (20) 근방에 각각 형성되어 조작부재 (16) 를 안내하는 안내부 (21) 와, 한 쪽 측단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는 벽부 (22) 와, 다른 쪽 측단에서 바깥으로 돌출되는 블록부 (23) 와, 그 다른 쪽 측단의 돌기 (20) 에서 각각 바깥으로 돌출되어 커버체 (17) 를 거는 걸림부 (24,25) 를 구비하고 있다.
가동 접점 (14) 은 탄성을 갖는 박육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며, 하우징 (11) 의 개구 (10) 내에 배치된다. 이 가동 접점 (14) 은 조작부재 (16) 의 이동방향과 평행한 2 개의 슬릿 (26) 을 갖고, 주변부 (27) 가 고정 접점 (12) 과 항상 접촉하는 동시에 중앙부 (28) 가 상방으로 만곡된 상태로 다른 고정 접점 (13) 위에 위치한다.
방진용 시트 (15) 는 주위가 하우징 (11) 의 상면 (11a) 에 탑재되고, 이 시트 (15) 위에 조작부재 (16) 가 탑재된다.
커버체 (17) 는 네 코너에 형성되고, 상기 돌기 (20) 와 각각 걸어맞추는 슬릿 (30) 과, 측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하우징 (11) 의 상면 (11a) 및 안내부 (21) 의 상단에 맞닿는 벽부 (31) 와, 다른 측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부 (24,25) 에 각각 걸어맞추는 한 쌍의 아암부 (32) 를 구비하고 있다. 또, 그 커버체 (17) 는 중앙부로부터 하우징 (11) 내측으로 잘라 세워져 가동 접점 (14) 의 중앙부 (28) 와 대향하는 경사편 (33) 을 구비한다.
조작부재 (16) 는 경사편 (33) 및 가동 접점 (14) 의 중앙부 (28) 사이에 형성된 작동부 (34) 와, 이 작동부 (34) 의 측방에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 (21) 위를 슬라이드하는 U 자형 가이드부 (35) 와, 하우징 (11) 의 측부에서 바깥으로 돌출되는 누름부 (36) 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부 (34) 는 박육부 (34a) 를 통하여 누름부 (36) 에 연결되며, 탄성을 갖고 있다. 또한, 작동부 (34) 및 가이드부 (35) 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 (39) 에는 경사편 (33) 이 걸어맞춰진다.
상기 푸시 버튼 스위치는, 조작부재 (16) 의 누름부 (36) 를 도 11 의 왼쪽 방향으로 블록부 (23) 에 맞닿을 때까지 누를 때, 커버체 (17) 로부터 하우징 (11) 내측으로 잘라 세워진 경사편 (33) 위를 조작부재 (16) 의 작동부 (34) 가 슬라이드함으로써 안내되며, 이에 따라 그 작동부 (34) 가 박육부 (34a) 에서 탄성변형하면서 도 11 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기 때문에, 이 작동부 (34) 의 선단이 시트 (15) 를 통하여 가동 접점 (14) 의 중앙부 (28) 를 누른다. 이로써, 그 중앙부 (28) 는 하방으로 반전하고 고정 접점 (13) 과 접촉하여 스위치ㆍ온의 상태가 된다.
그러나, 상기 서술한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조에서는, 커버체는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을 따른 전후방향에 형성된 아암부와 걸림부에 의해 하우징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경사편 위를 조작부재의 작동부가 슬라이드할 때 경사편을 형성한 커버체가 가동 접점의 누름방향과는 반대측으로 들려 올라가기 쉽고, 이 때문에 조작부재의 조작량에 대한 가동 접점의 반전위치에 편차가 생겨 조작감이 나빠질 가능성이 있으며, 푸시 버튼 스위치의 박형화를 저해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양호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고, 박형화가 가능한 푸시 버튼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제 1 해결수단으로서,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수납부의 내저면에 형성된 고정 접점과, 이 고정 접점 위에 배치된 가동 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서 돌출되는 누름부와 가요성 작동부를 갖는 조작부재와, 상기 수납부 내에 잘라 세워진 경사편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부착된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부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상기 경사편 위를 슬라이드하여 하방으로 휨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을 누르는 푸시 버튼 스위치로서, 상기 조작부재를 누르는 조작시에 상기 경사편을 갖는 커버체가 상기 수납부의 상기 가동 접점이 배치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 저지부를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2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체의 상기 경사편 근방에 리브를 형성하고, 이 리브로 상기 변형 저지부를 구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3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커버체의 일부를,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상기 경사편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다리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다리부에 걸림편을 형성하여, 이 걸림편을 상기 하우징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변형 저지부를 구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4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체를 금속판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금속판의 일부를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상기 경사편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부로부터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다리부를 형성하고, 이 다리부의 선단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동시에 면실장용 기판에 납땜하여 부착함으로써 상기 변형 저지부를 구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 제 5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변형 저지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 위치에 상기 누름부와 상기 외부 접속 단자를 배치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6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를,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의 중앙보다도 후단측에 배치하고, 상기 다리부의 폭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또한, 제 7 해결수단으로서, 상기 다리부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는 공극을 형성한 구성으로 하였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실시형태를 도 1 내지 도 9 에 나타낸다. 도 1 은 푸시 버튼 스위치의 평면도, 도 2 는 푸시 버튼 스위치의 측면도, 도 3 은 푸시 버튼 스위치의 요부 단면도, 도 4 는 푸시 버튼 스위치를 누를 때의 요부 단면도, 도 5 는 하우징의 평면도, 도 6 은 푸시 버튼 스위치를 면실장용 기판에 납땜하여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 은 커버체의 다리부를 폭을 넓게 납땜하여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 은 커버체에 리브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 는 커버체의 다리부에 걸림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 (1) 과, 수납부의 내저면에 대향하여 형성된 한 쌍의 고정 접점 (2,3) 과, 이들 고정 접점 (2,3) 위에 배치된 가동 접점 (4) 과, 이 가동 접점 (4) 위에 형성되며 폴리이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방진 시트 (5) 와, 이 방진 시트 (5) 를 통하여 가동 접점 (4) 을 작동시키는 조작 부재 (6) 와, 상기 하우징 (1) 의 상면에 부착되어 상기 수납부를 덮는 커버체 (7) 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 (1) 은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며,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부 (1a) 를 갖고 있다. 또, 하우징 (1) 의 상면측 네 코너에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1b) 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 (1b) 에 후술하는 커버체 (7) 의 네 코너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 (7b) 가 걸어맞춰져 위치 결정되게 된다. 또, 하우징 (1) 의 한 측면에는 절창부 (1c) 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절창부 (1c) 에는 후술하는 조작 부재 (6) 의 누름부 (6d) 가 돌출되어 누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걸어맞춰지게 된다.
또, 상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내저면에는, 도전성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한 쌍의 고정 접점 (2,3) 이 인서트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일부가 표출된 상태로 일체적으로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고정 접점 (2,3) 으로부터는, 각각 도출된 외부 접속 단자 (2a, 3a) 가 하우징 (1) 의 측면에서 바깥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접속 단자 (2a,3a) 는 하우징 (1) 의 저면과 대략 평행하게 돌출된 후 그 선단이 하우징 (1) 의 측면을 따라 공극 (S) 이 형성된 상태로 상방으로 절곡되어 면실장용 단자 형상 (J 벤트형) 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 (4) 은 탄성을 갖는 도전성 박육 금속판으로 이루어지고,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의 한 쌍의 고정 접점 (2,3) 위에 배치되며, 그 주변부 (4a) 가 한 쪽 고정 접점 (2) 과 항상 접촉되는 동시에 중앙부 (4b) 가 상방으로 만곡된 상태로 다른 쪽 고정 접점 (3) 위에 대향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 중앙부 (4b) 는 눌렸을 때에는 만곡부가 반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 반전시에 고정 접점 (3) 과 접촉하게 되어 있다.
방진 시트 (5) 는 폴리이미드 등의 절연성 수지 시트 등으로 이루어지고, 주위가 하우징 (1) 의 상면에 탑재되어 수납부 (1a) 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 방진 시트 (5) 위에 후술하는 조작 부재 (6) 가 탑재되고, 방진 시트 (5) 를 통하여 조작 부재 (6) 의 작동부 (6a) 에 의해 가동 접점 (4) 의 중앙부 (4b) 가 눌리게 되어 있다.
조작 부재 (6) 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이 조작 부재 (6) 에는 사각형이고 중앙에 개구부 (6a) 를 갖는 기대부 (6b) 와, 이 개구부 (6a) 에 캔틸레버형으로 돌출된 가요성 작동부 (6c) 와, 상기 하우징 (1) 의 절창부 (1c) 에서 밖으로 돌출되는 누름부 (6d)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작동부 (6c) 는 박육형 아암부 (6e) 를 통하여 누름부 (6d) 에 연결되어 있고, 이 아암부 (6e) 가 휨으로써 작동부 (6c) 가 하방향으로 탄성 변위 가능해진다.
또, 조작 부재 (6) 는 상기 하우징 (1) 의 상면에 탑재된 방진 시트 (5) 의 상면에 탑재되며, 하우징 (1) 의 절창부 (1c) 에서 돌출된 누름부 (6d) 가 눌림으로써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에 가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커버체 (7) 는 도전성 금속판을 펀칭, 절곡함으로써 형성되어 있고, 평판형 상판부 (7a) 와, 이 상판부 (7a) 의 네 코너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1) 의 상면측 돌기 (1b) 와 각각 걸어맞추는 걸어맞춤 오목부 (7b) 와, 상판부 (7a) 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단에서 돌출되어 하우징 (1) 의 측면을 따라 공극 (S) 이 형성된 상태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다리부 (7c) 와, 다른 측단에서 하방으로 돌출되어 하우징 (1) 의 도시하지 않는 걸어맞춤부에 각각 걸어맞추는 복수의 걸어맞춤 아암부 (7d) 를 구비하고 있다.
또, 커버체 (7) 의 상판부 (7a) 에는 중앙부로부터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측으로 잘라 세워, 그 선단측이 상기 조작 부재 (6) 의 기대부 (6b) 에 형성된 개구부 (6a) 에 삽입되고, 상기 가동 접점 (4) 의 중앙부 (4b) 와 대향하는 경사편 (7e) 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사편 (7e) 은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이 경사편 (7e) 의 사면에 상기 조작 부재 (6) 의 가요성을 갖는 아암부 (6e) 의 선단에 형성된 작동부 (6c) 가 슬라이드함으로써 작동부 (6c) 가 눌려 내려가 가동 접점 (4) 의 중앙부 (4b) 를 하방으로 누르게 된다.
또, 커버체 (7) 의 상판부 (7a) 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단에서 돌출되어 하방으로 연장 설치하여 형성된 상기 다리부 (7c) 는 상기 조작 부재 (6) 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상기 경사편 (7e)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먼저 하우징 (1) 의 수납부 (1a) 내에 가동 접점 (4) 을 탑재하고, 이 가동 접점 (4) 위를 방진 시트 (5) 로 덮어 이 방진 시트 (5) 주위를 하우징 (1) 의 상면에 접합한다. 다음에, 이 방진 시트 (5) 위에 조작 부재 (6) 를 배치한 후, 커버체 (7) 를 하우징 (1) 위에 탑재한다. 이 때, 각각의 네 코너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 (7b) 에 돌기 (1b) 를 각각 끼워 넣고 걸어맞춤 아암부 (7d) 를 하우징 (1) 의 걸어맞춤부 (도시생략) 에 각각 걸어 완성한다.
다음에, 도 3 및 도 4 를 사용하여 상기 구성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조작 부재 (6) 를 누르지 않는 초기의 상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작 부재 (6) 의 작동부 (6c) 는 커버체 (7) 의 경사편 (7e) 의 절곡부의 근원 근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하방으로는 탄성 변위되지 않고 가동 접점 (4) 과 고정 접점 (3) 은 이간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 (6) 의 누름부 (6d) 를 도 4 의 오른쪽 방향으로 누르면, 커버체 (7) 로부터 하우징 (1) 내측으로 잘라 세워진 경사편 (7e) 의 경사면 위를 조작 부재 (6) 의 작동부 (6c) 가 슬라이드함으로써 안내되고, 이에 따라 작동부 (6c) 가 아암부 (6e) 에서 탄성 변위하면서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래 (시계)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기 때문에, 이 작동부 (6c) 의 선단이 방진 시트 (5) 를 통하여 가동 접점 (4) 의 중앙부 (4b) 를 누른다.
이로써 중앙부 (4b) 는 하방으로 반전하고 고정 접점 (3) 과 접촉하여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된다. 이 상태로부터, 누름부 (6d) 를 누른 상태를 해제하면, 아암부 (6e) 자체의 탄발력에 의해 작동부 (6c) 가 도 4 의 위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서 경사편 (7e) 의 경사면 위를 슬라이드함으로써, 조작 부재 (6) 가 도 4 의 왼쪽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이 때, 작동부 (6c) 의 회전운동에 따라 가동 접점 (4) 의 중앙부 (4b) 도 탄발력에 의해 상방으로 반전하여 고정 접점 (3) 에서 이간되어, 스위치가 오프가 된다.
도 6 및 도 7 에 나타내는 것은, 상기 구성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도시하지 않은 전자기기 등의 실장용 기판에 면실장하여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하우징 (1) 의 측면에서 돌출하여 형성된 면실장용 외부 접속 단자 (2a,3a) 가 실장용 기판 (8) 에 땜납 (9) 으로 납땜하여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동시에 커버체 (7) 의 상판부 (7a) 의 대향하는 한 쌍의 측단에서 돌출되어 하우징 (1) 의 측면을 따라 공극 (S) 이 형성된 상태로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 설치된 다리부 (7c) 가 그 선단측을 동일하게 땜납 (9) 으로 납땜하여 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그 동작과정에서 커버체 (7) 의 상판부 (7a) 중앙이, 조작 부재 (6) 의 작동부 (6c) 가 경사편 (7e) 의 경사면을 슬라이드할 때의 반작용에 의해, 아암부 (6e) 의 탄발력으로 상방으로 탄성지지되어 부풀어오르게 된다.
그러나 본 구성에서는, 커버체 (7) 를 금속판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커버체 (7) 의 일부를 조작 부재 (6) 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경사편 (7e)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부에서 하우징 (1) 의 양측면에 연장 돌출되어 다리부 (7c) 를 형성하고, 이 다리부 (7c) 의 선단을 외부 접속 단자 (2a, 3a) 와 동시에 면실장용 기판 (8) 에 납땜하여 부착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기판 (8) 에 실장할 때 외부 접속 단자 (2a, 3a) 와 동시에 커버체 (7) 의 다리부 (7c;변형저지부) 가 납땜됨으로써 확실하게 커버체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7 에서는 외부 접속 단자 (2a, 3a) 를 조작 부재 (6) 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하우징 (1) 의 중앙보다도 후단측에 배치하도록 하고, 또한 다리부 (7c) 의 폭 W1 을 외부 접속 단자 (2a, 3a) 의 폭 W2 보다도 넓어지도록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다리부 (7c) 를 형성함으로써 다리부 (7c) 의 납땜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땜납 (9) 에 의한 납땜을 튼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다리부 (7c;변형저지부) 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 위치에 조작 부재 (6) 의 누름부 (6d) 와 외부 접속 단자 (2a,3a) 를 각각 배치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누름 조작시에 누름부 (6d) 가 상방으로 기울어져 눌려 푸시 버튼 스위치에 외부 접속 단자 (2a, 3a) 를 지점으로 하여 누름 조작시의 회전 모멘트가 작용하였다고 해도, 다리부 (7c) 가 튼튼하게 납땜되어 있기 때문에 푸시 버튼 스위치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구성에서는 다리부 (7c) 와 하우징 (1) 측면 사이에는 공극 (S) 을 형성한 점에서, 다리부 (7c) 의 판면 양측에서 땜납 (9) 을 침투시켜 납땜할 수 있기 때문에 튼튼하게 납땜할 수 있는 동시에, 이 납땜시에 다리부 (7c) 와 하우징 (1) 측면의 사이를 통해 스위치 내부로 플럭스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8 에 나타내는 것은, 커버체 (7) 의 상판부 (7a) 에 형성된 경사편 (7e) 을 사이에 두고 근방 양측에 조작 부재 (6) 의 조작방향을 따라 돌출 등의 방법으로 긴 리브 (7f;변형 저지부) 를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상판부 (7a) 에 리브 (7f) 를 형성함으로써 커버체 (7) 가 변형되기 어려워지므로 별도로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간단히 변형 저지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도 9 에 나타내는 것은,커버체 (7) 의 양측부에서 하우징 (1) 의 양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형성한 다리부 (7c) 의 선단을 안쪽으로 절곡하여 걸림편 (7g) 을 형성하는 동시에 하우징 (1) 의 양측면에는 걸림홈 (1d) 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그리고, 이 걸림편 (7g) 을 걸림홈 (1d) 에 걸어맞춤으로써 상판부 (7a) 의 중앙이 상방으로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커버체 (7) 가 변형되기 어려워지므로, 마찬가지로 별도로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간단히 변형 저지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대응이 가능해지는 동시에 커버체 (7) 를 다리부 (7c) 의 걸림편 (7g) 에 의해 확실하게 하우징 (1) 에 걸어맞출 수 있게 된다.
한편, 이 경우에는 커버체 (7) 의 다리부 (7c) 를 면실장용 기판 (8) 에 납땜할 필요는 없으며, 외부 접속 단자 (2a, 3a) 만 면실장용 기판 (8) 에 납땜하여 부착하면 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조작 부재 (6) 의 누름부 (6d) 를 누르는 조작에 따라 조작 부재 (6) 의 작동부 (6c) 가 커버체 (7) 의 경사편 (7e) 의 경사면 위를 슬라이드하여 하방으로 휨으로써 하방에 배치된 가동 접점 (4) 을 눌러 스위치를 온시키는 푸시 버튼 스위치의 구성에 있어서, 조작 부재 (6) 를 누르는 조작시에 경사편 (7e) 를 갖는 커버체 (7) 가 수납부 (1a) 의 가동 접점 (4) 이 배치된 방향과는 반대 방향(상방)으로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 저지부로서 면실장용 기판 (8) 에 납땜 가능한 다리부 (7c), 커버체 (7) 의 상판부 (7a) 에 형성한 리브 (7f), 하우징 (1) 의 걸림홈 (1d) 에 걸어맞추는 걸림편 (7g) 을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조작 부재 (6) 의 누름 조작시에 작동부 (6c) 가 경사편 (7e) 의 경사면 위를 슬라이드하더라도 이들 변형 저지부에 의해 커버체 (7) 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양호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스위치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는,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수납부의 내저면에 형성된 고정 접점과, 고정 접점 위에 배치된 가동 접점과, 하우징의 측부에서 돌출되는 누름부와 가요성 작동부를 갖는 조작부재와, 수납부 내에 잘라 세워진 경사편을 갖고 하우징의 상면에 부착된 커버체를 구비하며, 누름부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경사편 위를 슬라이드하여 하방으로 휨으로써 가동 접점을 누르는 푸시 버튼 스위치로서, 조작부재를 누르는 조작시에 경사편을 갖는 커버체가 수납부의 가동 접점이 배치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 저지부를 형성한 점에서, 조작부재의 누름 조작시에 작동부가 경사편 위를 슬라이드해도 변형 저지부에 의해 커버체가 들려 올라가는 일이 없기 때문에, 양호한 조작감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스위치의 박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을 따라 커버체의 경사편 근방에 리브를 형성하고, 리브로 변형 저지부를 구성한 점에서, 별도로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간단하게 변형 저지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 커버체의 일부를,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경사편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부에서 하우징의 양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다리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다리부에 걸림편을 형성하여, 걸림편을 하우징에 걸어맞춤으로써 변형 저지부를 구성한 점에서, 마찬가지로 별도로 부품을 추가하지 않고 간단하게 변형 저지부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저렴한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커버체를 다리부의 걸림편에 의해 확실하게 하우징에 걸어맞출 수 있다.
또, 하우징은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며, 커버체를 금속판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금속판의 일부를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경사편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부에서 하우징의 양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다리부를 형성하고, 다리부의 선단을 외부 접속 단자와 동시에 면실장용 기판에 납땜하여 부착함으로써 변형 저지부를 구성한 점에서, 기판에 실장할 때 외부 접속 단자와 동시에 커버체의 변형 저지부가 납땜됨으로써 확실하게 커버체가 들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수 있다.
또, 변형 저지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 위치에 누름부와 외부 접속 단자를 배치한 점에서, 외부 접속 단자를 지점으로 한 조작시의 회전 모멘트로 푸시 버튼 스위치가 박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접속 단자를,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하우징의 중앙보다도 후단측에 배치하고, 다리부의 폭을 외부 접속 단자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한 점에서, 다리부의 납땜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납땜을 튼튼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다리부와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는 공극을 형성한 점에서, 다리부의 판면의 양측에서 납땜할 수 있기 때문에 튼튼하게 납땜할 수 있는 동시에 다리부와 하우징의 측면을 통하여 스위치 내부로 플럭스가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누를 때를 나타내는 요부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하우징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면실장용 기판에 납땜하여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커버체의 다리부를 폭을 넓게 납땜하여 부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8 은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커버체에 리브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 는 본 발명의 푸시 버튼 스위치의 커버체의 다리부에 걸림부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 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및
도 11 은 종래의 푸시 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하우징 1a:수납부
1b:돌기 1c:절창부(切窓部)
1d:걸림홈 2:고정 접점
2a:외부 접속 단자 3:고정 단자
3a:외부 접속 단자 4:가동 접점
4a:주변부 4b:중앙부
5:방진시트 6:조작부재
6a:개구부 6b:기대부(基臺部)
6c:작동부 6d:누름부
6e:아암부 7:커버체
7a:상판부 7b:걸어맞춤 오목부
7c:다리부 7d:걸어맞춤 아암부
7e:경사편 7f:리브
7g:걸림편 8:기판
9:땜납

Claims (7)

  1. 수납부를 갖는 하우징과, 이 수납부의 내저면에 형성된 고정 접점과, 이 고정 접점 위에 배치된 가동 접점과, 상기 하우징의 측부에서 돌출되는 누름부와 가요성 작동부를 갖는 조작부재와, 상기 수납부 내에 잘라 세워진 경사편을 갖고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부착된 커버체를 구비하며, 상기 누름부를 누르는 조작에 의해 상기 작동부가 상기 경사편 위를 슬라이드하여 하방으로 휨으로써 상기 가동 접점을 누르는 푸시 버튼 스위치로서, 상기 조작부재를 누르는 조작시에 상기 경사편을 갖는 커버체가 상기 수납부의 상기 가동 접점이 배치된 방향과는 반대 방향으로 부풀어오르는 것을 방지하는 변형 저지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체의 상기 경사편 근방에 리브를 형성하고, 이 리브로 상기 변형 저지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체의 일부를,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상기 경사편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다리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이 다리부에 걸림편을 형성하여, 이 걸림편을 상기 하우징에 걸어맞춤으로써 상기 변형 저지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외부 접속 단자를 구비하며, 상기 커버체를 금속판으로 형성하는 동시에 이 금속판의 일부를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상기 경사편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양측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양측면으로 연장 돌출되어 다리부를 형성하고, 이 다리부의 선단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동시에 면실장용 기판에 납땜하여 부착함으로써 상기 변형 저지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 저지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한 위치에 상기 누름부와 상기 외부 접속 단자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접속 단자를, 상기 조작부재의 조작방향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의 중앙보다도 후단측에 배치하고, 상기 다리부의 폭을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폭보다도 넓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7. 제 4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와 상기 하우징의 측면 사이에는 공극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푸시 버튼 스위치.
KR1020040076288A 2003-10-15 2004-09-23 푸시 버튼 스위치 KR1006347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355604 2003-10-15
JP2003355604A JP4319885B2 (ja) 2003-10-15 2003-10-15 押釦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36707A true KR20050036707A (ko) 2005-04-20
KR100634779B1 KR100634779B1 (ko) 2006-10-16

Family

ID=3461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6288A KR100634779B1 (ko) 2003-10-15 2004-09-23 푸시 버튼 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319885B2 (ko)
KR (1) KR100634779B1 (ko)
CN (1) CN100346434C (ko)
TW (1) TWI23842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9022A (ja) 2006-06-08 2007-12-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プッシュスイッチ
TWI405229B (zh) 2006-08-01 2013-08-11 Hosiden Corp Push push switch
JP2010118336A (ja) * 2008-10-14 2010-05-27 Panasonic Corp プッシュスイッチおよびそれを搭載する電子機器
JP5802078B2 (ja) * 2011-08-10 2015-10-28 株式会社ヴァレオジャパン プッシュスイッチ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2590Y2 (ja) * 1992-04-13 1998-05-25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押釦スイツチ
JPH09120743A (ja) * 1995-10-26 1997-05-06 Shinmei Denki Kk プッシュ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238426B (en) 2005-08-21
CN100346434C (zh) 2007-10-31
JP4319885B2 (ja) 2009-08-26
KR100634779B1 (ko) 2006-10-16
JP2005122989A (ja) 2005-05-12
TW200518145A (en) 2005-06-01
CN1607622A (zh) 2005-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5901A (en) Long-stroke push-on switch with reduced height
US6114644A (en) Tact switch
US4556769A (en) Key switch devices with key guide means
US6559398B2 (en) Rocker-type power-supply switch device
JP4508957B2 (ja) 押釦スイッチ
JP4280761B2 (ja) 横押し型プッシュスイッチ
KR100301878B1 (ko) 소형푸쉬버튼스위치
KR100634779B1 (ko) 푸시 버튼 스위치
JP4246119B2 (ja) 押釦スイッチ
JP4720737B2 (ja) リーフスイッチ
KR100322772B1 (ko) 푸시버튼스위치
JP2004311128A (ja) 押釦スイッチ
US7091435B2 (en) Push switch apparatus
KR100324785B1 (ko) 푸쉬스위치장치
JP2009266701A (ja) 押し込み操作型電子部品及びプッシュスイッチ
JP3802298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2324454A (ja) 押釦スイッチ
JP4008648B2 (ja) 押釦スイッチ
JP3959900B2 (ja) スイッチ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369221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装置
JPH051861Y2 (ko)
JPH0447862Y2 (ko)
JP2552894Y2 (ja) 押釦スイッチ
JPH0356978Y2 (ko)
JP3875476B2 (ja) 押釦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