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00186B1 -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00186B1
KR101300186B1 KR1020110048623A KR20110048623A KR101300186B1 KR 101300186 B1 KR101300186 B1 KR 101300186B1 KR 1020110048623 A KR1020110048623 A KR 1020110048623A KR 20110048623 A KR20110048623 A KR 20110048623A KR 101300186 B1 KR101300186 B1 KR 101300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nithine
corynebacterium glutamicum
gdh
improved
g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0580A (ko
Inventor
조재용
고영웅
Original Assignee
(주)강원지역대학연합기술지주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강원지역대학연합기술지주회사 filed Critical (주)강원지역대학연합기술지주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8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00186B1/ko
Priority to PCT/KR2012/004089 priority patent/WO2012161522A2/ko
Publication of KR20120130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0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0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01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0004Oxidoreductases (1.)
    • C12N9/0006Oxidoreductases (1.) acting on CH-OH groups as donors (1.1)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12N15/74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 C12N15/77Vectors or expre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rokaryotic hosts other than E. coli, e.g. Lactobacillus, Micromonospora for Corynebacterium; for Brevibacte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3/00Preparation of nitro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13/04Alpha- or beta- amino acids
    • C12P13/10Citrulline; Arginine; Ornithin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101/00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 C12Y101/99Oxidoreductases acting on the CH-OH group of donors (1.1) with other acceptors (1.1.99)
    • C12Y101/9901Glucose dehydrogenase (acceptor) (1.1.99.10)

Abstract

본 발명은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내재적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GDH)의 활성이 감소 또는 불활성화되어,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상기 미생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미생물을 글루코스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배양하고, 상기 배양물로부터 L-오르니틴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내재적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 효소의 활성이 감소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이용하면, 오탄당 인산화 경로가 활성화될 뿐만 아니라, 오탄당 인산화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인 G6PDH와 6PGD의 특이적 활성의 증대에 의하여 NADPH 생산수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NADPH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L-오르니틴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생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Description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Corynebacterium sp. Having Improved L-ornithin Production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 L-ornithin Employing the Same}
본 발명은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재적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GDH)의 활성이 감소 또는 불활성화되어,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상기 미생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미생물을 글루코스를 탄소원으로 사용하여 배양하고, 상기 배양물로부터 L-오르니틴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르니틴은 생체내의 요소 회로 상에 존재하는 아미노산 중의 하나이다. 혈중의 암모니아 농도가 높으면 간 손상을 일으키는데 오르니틴과 시트룰린은 혈중의 암모니아와 결합하여 각각 시트룰린과 아르기닌이 되어 혈중의 암모니아 농도를 감소시켜준다. L-오르니틴은 시트룰린, 프롤린과 같이 암모니아에 대한 해독기능을 갖고 있어 간장 질환의 치료제로서 사용될 뿐 아니라, 비만을 예방하는 식품소재로서도 이용되고 있으며, 주름살개선과 같은 피부미용작용 등 새로운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코리네박테리움 균주 (Corynebacterium), 특히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orynebacterium glutamicum)은 L-아미노산 생산에 많이 이용되고 있는 그람 양성의 미생물이다. 이와 같이 코리네박테리움 균주를 이용한 L-아미노산의 제법은 중요하기 때문에 그 제조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많은 시도가 행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오르니틴 생산에 이용되는 미생물로는 자외선 처리 등에 의하여 시트룰린 또는 아르기닌 영양 요구성 돌연변이주인 마이크로코커스 글루타미쿠스 (Micrococcus glutamicus) (교와하꼬공업 (주), 일본, 미국 특허 제 2,988,489호),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 (Brevibacterium lactofermentum), 동속 카와사키 (B. kawasaki), 동속 플라붐 (B. flavum) (아지노모토, 일본 특허공고 제68-8712, 68-8714 및 69-26,910호), 동속 케토글루타미쿰 (B. ketoglutamicum), 아스로박터 파라피네우스 (Arthrobacter paraffineus), 코리네박테리움 히드로카보클라스투스 (Corynebacterium hydrocarboclastus) (교와하꼬공업 (주), 미국 특허 제3,574,061호)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아르기닌이나 시트룰린의 영양 요구성 균주인 아스로박터 시트레우스 (A. citreus), 브레비박테리움 락토페르멘툼 (B. Lactofermentum),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C. glutamicum) (아지노모토 (주), 유럽특허 공개 제 0393708 A2)을 마이코페놀산 (mycophenolic acid) 또는 오르니티놀 (ornithinol)에 저항성을 갖는 영양 요구성 돌연변이 주를 선별하여 오르니틴 생산에 사용한다.
상기 미국 특허 제3,574,061호에서는 영양 요구성 돌연변이주인 브레비박테리움 케토글루타미쿰 (ATCC 21092)을 탄화수소, 예를 들어, 파라핀을 주요 탄소원으로 하는 배지에서 배양하여 L-오르니틴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으나, 이 방법에 의하면 오르니틴의 생산성은 4일간의 배양에서 8.6 mg/ml로 그다지 높지 않았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L-오르니틴의 산업적 대량생산은 여전히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위하여 L-오르니틴의 생산방법을 더욱 더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L-오르니틴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 의해 L-글루탐산으로부터 순환경로 (cyclic pathway)를 통해 생합성 되고 (Cunin et al.,1986), 상기 생합성 과정 중 3 단계는 argC 유전자에 의해 코딩된 NADPH 의존성 환원효소에 의해 촉매화된다. NADPH 재생과 특정 대사체의 생합성간의 직접적인 연관관계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에 의한 L-라이신의 생합성을 통해 밝혀졌고 (Wittmann and Heinzle 2002; Marx et al. 2003; Ohnishi et al. 2005), NADPH는 대부분 오탄당 인산화경로(pentose phosphate pathway)의 산화과정에 의해 생산될 수 있다. L-라이신을 생산하는 동안 상기 경로를 촉매하는 효소는 글루코스-6-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 (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및 6-포스포글루코네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 (6-phosphogluconate dehydrogenase, 6PGD)이다 (Marx et al. 1997; Wittmann and Heinzle 2002). 일련의 연구들은 오탄당 인산화경로의 탄소흐름의 전환이 NADPH 공급이 필요한 특정 대사물질의 생합성을 증대하기 위한 대사공학적 타겟일 수 있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Mascarenhas et al. 1991; Sauer et al. 1996; Marx et al. 2003; Ohinishi et al. 2005).
본 발명자들은 이전의 연구에서, 시트룰린과 프롤린 생합성 유전자가 결손되고 아르기닌 억제자 (ArgR)에 의한 피드백 제어가 차단된 돌연변이 균주에서 argCJBD 유전자의 상동적 발현 (homologous expression)으로 L-오르니틴의 생산량이 증가하였음을 보여주었다 (Hwang et al., J Microbiol Biotechnol 18:704-710, 2008). 그러나 L-오르니틴의 생합성 경로로 최대의 카본 플럭스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argCJBD의 과발현뿐만 아니라, 오탄당 인산화 경로로의 탄소 흐름의 전환에 따른 NADPH의 생합성 증대 및 L-오르니틴의 생합성 경로로 NADPH의 충분한 공급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L-오르니틴을 보다 효과적으로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내재적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켜서, 오탄당 인산화 경로를 통해 NADPH의 생산을 증가시킬 경우, L-오르니틴의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내재적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GDH)의 활성이 감소 또는 불활성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이용하여 L-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실시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재적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GDH)의 활성이 감소 또는 불활성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glucose dehydrogenase, GDH)"란 5탄당 인산경로에서 D-글루코스를 D-글루코노-1, 5-락톤으로 전환시키는 탈수소효소를 의미하며, 글루코스 탈수소효소 또는 D-글루코스:1-산화환원효소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내재적"이란 미생물이 천연의 상태로 가지고 있는 것을 의미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이 천연적으로 가지고 있는 GDH 또는 GDH의 활성을 표시할 때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 효소의 활성이 감소"된다는 것은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변이에 의해 GDH의 활성이 감소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 NCgl0281, NCgl2582 및/또는 NCgl2053가 변이되어, 이로부터 발현되는 GDH의 활성이 감소된 상태를 표시할 때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불활성화"란 상기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발현이 야생 균주에 비하여 낮은 수준으로 감소하거나 전혀 발현이 되지 않는 경우 및 발현이 되더라도 그 활성이 없거나 감소된 것을 의미하고, 상기 불활성화는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불활성화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GDH)의 활성이 감소 또는 불활성화"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상기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 내로 하나 이상의 염기쌍의 삽입에 의한 삽입 돌연변이, 상기 유전자 내의 하나 이상의 염기쌍의 결실을 갖는 결실 돌연변이, 및 상기 유전자 내의 넌센스 코돈 또는 상이 코돈을 도입시키는 염기쌍의 전이(transition), 전환(transversion) 돌연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 방법에 의하여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일부분과 항생제 마커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미생물에 도입하여 상동재조합을 유도함으로써, GDH의 활성을 감소 또는 불활성화시켰다. 이때, 상기 항생제 마커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카나마이신 내성부여 유전자를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재조합 벡터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pK18mobsacB 벡터로부터 유래된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재조합 벡터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도 2a에 도시된 개열지도를 갖는 pSJC3513, 도 2b에 도시된 개열지도를 갖는 pSJC3515, 도 2c에 도시된 개열지도를 갖는 pSJC3517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L-오르니틴의 생산능을 보다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재조합 벡터에 당전이 효소인 레반수크라아제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sacB 유전자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들은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변이시켜서, GDH의 활성을 감소시키면, GDH에 의하여 사용되지 않는 글루코스가 오탄당 인산화 경로에 따라, 글루코스-6-포스페이트탈수소효소(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를 거치면서, NADPH를 생산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오탄당 인산화 경로에서 NADPH의 생산에 관여하는 효소인 G6PDH와 6PGD의 특이적 활성이 증가되므로, 결과적으로는 NADPH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생산수율을 향상시킴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통상적인 오탄당 인산화 경로에 따르면, GDH는 글루코스를 글루코네이트로 전환시키고, 상기 글루코네이트는 6-PG로 전환된 다음, 6PGD에 의하여 NADPH를 생성하면서 리불로스 5-P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도 1). 도 1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의 펜토오스 인산(pentose phosphate) 및 GDH 경로를 포함하는 중심탄소 대사과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상기 오탄당 인산화 경로에서 GDH를 불활성화 시키거나 또는 그의 활성을 감소시키면, 글루코스가 G6P로 전환되고, 상기 G6P는 G6PDH에 의하여 NADPH를 생성하면서 6-PG로 전환된 다음, 6PGD에 의하여 NADPH를 생성하면서 리불로스 5-P로 전환되므로, NADPH의 생합성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였다. NADPH의 생합성량이 증가한다는 것은 곧 NADPH의 cofactor를 요구하는 L-오르니틴의 생합성량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바, 결과적으로는 GDH의 불활성화 또는 활성감소에 의하여 L-오르니틴의 생합성 증가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였으며, 이를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
본 발명에서 용어, "6-포스페이트글루코네이트 탈수소효소(6-phosphategluconate dehydrogenase, 6PGD)"란 세포질에 존재하는 오탄당 인산화 경로에 관여하는 산화환원 효소로, 6-PG를 리불로스 5-P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수행함과 동시에,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누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NADP+)를 NADPH로 환원시키는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글루코스-6-포스페이트탈수소효소(Glucose-6-phosphate dehydrogenase, G6PDH (EC 1.1.1.49))"는 해당경로(glycolysis) 외의 포도당 분해경로인 5탄당-인산경로에서 글루코스-6-포스페이트를 6-포스포노-δ-락톤으로 전환시키는 반응을 수행함과 동시에,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누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NADP+)를 NADPH로 환원시키는 반응에 관여하는 효소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L-오르니틴"은 고등동물의 생체 내의 요소 회로 상에 존재하는 염기성 아미노산으로서, 간에 대해 독성이 강한 암모니아를 무독성의 요소로 변환, 오줌으로 배출함으로써 간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L-오르니틴은 성장호르몬을 분비시킴으로써 근육합성을 증가시키고 기초대사를 촉진시켜 비만을 예방하는 식품소재로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주름살 개선과 같은 피부미용 작용 등의 새로운 기능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L-오르니틴은 L-오르니틴알파케토글루타릴산염(OKG: L-오르니틴과 알파케토글루타릴산이 2:1의 비율로 함유되어 있음)의 형태로 근육증강, 비만예방 및 면역증강소재로서도 폭넓게 이용되고 있다. L-오르니틴은 유럽에서는 간장장애를 개선하는 의약품으로서 이용되고 있고, 일본에서는 L-오르니틴산염의 형태로 식품소재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식품보조제로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은 염색체 상에 존재하는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가 변이되어 GDH의 활성이 감소 또는 불활성화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의미하는데, 상기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NCgl0281,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NCgl2582 또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NCgl2053 등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미생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2011년 03월 07일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252(KACC9 1633P), SJC8251(KACC9 1632P) 또는 SJC8250(KACC9 1631P)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양태로서, 본 발명은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염색체상에 존재하는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상동재조합의 방법으로 변이시켜서, GDH 활성을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L-오르니틴의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L-오르니틴의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의 제조방법은 (ⅰ)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일부가 결실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수득하는 단계; (ⅱ) 상기 수득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숙주세포에 도입할 수 있고 염색체상에서 상동재조합을 수행할 수 있는 벡터에 도입하여 재조합 벡터를 수득하는 단계; (ⅲ) 상기 수득한 재조합 벡터를 숙주세포에 도입하여, 숙주세포의 염색체상에서 상동재조합이 유도된 상동재조합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ⅳ) 상기 상동재조합체의 염색체상에서 2차 상동재조합에 의하여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결실 및 GDH의 활성이 감소 또는 불활성화된 균주를 선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Genbank accession number NC_003450의 개방해독틀 DNA 서열을 가지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NCgl0281,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NCgl2582 또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NCgl2053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숙주세포는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L-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이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GDH 경로를 포함하는 오탄당 인산화 경로에 의하여 NADPH를 생산하고 이에 의하여 L-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L-오르니틴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히드로카보클라스투스(Corynebacterium hydrocarboclastus),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C. glutamicum), 코리네박테리움 써모아미노게네스(C. thermoaminogenes) 등의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039(C. glutamicum ATCC13032, argF△ , argR△(Hwang et al., J Microbiol Biotechnol 18:704-710, 2008)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어, "재조합 벡터"란 숙주세포의 염색체와 따로 복제될 수 없는 벡터로서, 유전자 삽입물이 상기 숙주세포의 염색체상의 특정 유전자와 상동재조합될 수 있는 필수적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유전자 작제물을 말하며, 구체적으로 항생제 내성 유전자와 레반수크라아제(levansucrase, sacB) 유전자와 같은 선발유전자를 포함할 수 있다. 통상 사용되는 벡터의 예로는 천연 상태이거나 재조합된 상태의 플라스미드, 코스미드, 바이러스 및 박테리오파지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파지 벡터 또는 코스미드 벡터로서 pWE15, M13, λMBL3, λMBL4, λIXII, λASHII, λAPII, λt10, λt11, Charon4A, 및 Charon21A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스미드 벡터로서 pBR계, pUC계, pBluescriptII계, pGEM계, pTZ계, pCL계 및 pET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자들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내에서 복제되지 않고 표적 유전자의 마커-프리 결실(marker-free deletion)을 수행하는 기능이 있는 pK18mobsacB 벡터(Schafer et al., Gene 145: 69-73, 1994)를 이용함으로써 유전자 결실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pK18mobsacB 벡터에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NCgl0281, NCgl2582 및/또는 NCgl2053의 일부를 변이, 바람직하게는 결실시켜 수득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 항생제 마커 및 레반수크라아제 유전자(sacB)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고, 상기 재조합 벡터를 당업계에 알려진 임의의 방법으로 염색체상에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여 L-오르니틴을 생합성할 수 있는 숙주세포에 도입시킨 후, 염색체 내에서 상동 재조합시킴으로써, GDH 활성이 감소 또는 불활성화된 L-오르니틴 생산용 코리네박테리움 미생물을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pK18mobsacB 벡터에 NCgl0281의 일부를 결실시켜 수득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삽입하여 재조합 벡터 pSJ3517을 제작하고, pK18mobsacB 벡터에 NCgl2582의 일부를 결실시켜 수득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삽입하여 재조합 벡터 pSJ3515를 제작하였으며, pK18mobsacB 벡터에 NCgl2053의 일부를 결실시켜 수득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삽입하여 재조합 벡터 pSJ3513을 제작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제작된 각 재조합 벡터 pSJ3517, pSJ3515 또는 pSJ3513를 L-오르니틴을 생산할 수 있는 숙주세포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039에 전기천공법으로 도입하고, 카나마이신 내성 표현형을 선발하여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gene-specific primer)를 사용한 다이아그너스틱 PCR(diagnostic PCR)을 통해 상기 플라스미드가 싱글 크로스오버에 의해 해당 유전자의 염색체 부위에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 후 10%의 수크로오스 배지에서 2 차 재조합의 선발과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gene-specific primer)를 사용한 다이아그너스틱 PCR(diagnostic PCR)을 통해 해당 유전자의 염색체 부위로부터 플라스미드가 절제(excision)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염색체 상에서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NCgl0281, NCgl2582 또는 NCgl2053의 일부가 결실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를 각각 SJC8252, SJC8251 또는 SJC8250이라 명명하고, 2011년 03월 07일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하여 각각 SJC8252(기탁번호 KACC9 1633P), SJC8251(기탁번호 KACC9 1632P) 또는 SJC8250(기탁번호 KACC9 1631P)의 기탁번호를 부여받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ⅰ) 탄소원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글루코스가 포함된 배양 배지에 본 발명의 L-오르니틴의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ⅱ) 상기 배양물로부터 L-오르니틴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용어 "배양"은 미생물을 적당히 인공적으로 조절한 환경조건에서 생육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배양하는 방법은 당업계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상기 배양은 배치 공정 또는 주입 배치 또는 반복 주입 배치 공정(fed batch or repeated fed batch process)에서 연속식으로 배양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배양에 사용되는 배지는 적절한 방식으로 특정 균주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코리네박테리아 균주에 대한 배양 배지는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Manual of Methods for General Bacteriology. American Society for Bacteriology. Washington D.C., USA, 1981). 사용될 수 있는 당원으로는 글루코스, 수크로즈, 락토즈, 프락토즈, 말토즈, 전분, 셀룰로즈와 같은 당 및 탄수화물, 대두유, 해바라기유, 피마자유, 코코넛유 등과 같은 오일 및 지방,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리놀레산과 같은 지방산, 글리세롤,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 아세트산과 같은 유기산이 포함된다. 이들 물질은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질소원으로는 펩톤, 효모 추출물, 육즙, 맥아 추출물, 옥수수 침지액, 대두밀 및 요소 또는 무기 화합물, 예를 들면 황산암모늄, 염화암모늄, 인산암모늄, 탄산암모늄 및 질산암모늄이 포함된다. 질소원 또한 개별적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인원으로는 인산이수소칼륨 또는 인산수소이칼륨 또는 상응하는 나트륨-함유 염이 포함된다. 또한, 배양 배지는 성장에 필요한 황산마그네슘 또는 황산철과 같은 금속염을 함유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물질에 더하여 아미노산 및 비타민과 같은 필수 성장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배양 배지에 적절한 전구체들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된 원료들은 배양과정에서 배양물에 적절한 방식에 의해 회분식으로 또는 연속식으로 첨가될 수 있다.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와 같은 기초 화합물 또는 인산 또는 황산과 같은 산 화합물을 적절한 방식으로 사용하여 배양물의 pH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폴리글리콜 에스테르와 같은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호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배양물 내로 산소 또는 산소-함유 기체 (예, 공기)를 주입한다. 배양물의 온도는 보통 2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40℃이다. 배양은 L-오르니틴의 생성량이 최대로 얻어질 때까지 계속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보통 10 내지 160 시간에서 달성된다. L-오르니틴은 배양 배지 중으로 배출되거나, 세포 중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아울러, 배양물로부터 L-오르니틴을 회수하는 단계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지된 L-오르니틴 회수 방법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원심분리, 여과, 추출, 분무, 건조, 증방, 침전, 결정화, 전기영동, 분별용해(예를 들면 암모늄 설페이트 침전), 크로마토그래피(예를 들면 이온 교환, 친화성, 소수성 및 크기배제) 등의 방법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L-오르니틴 생산량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 L-오르니틴의 생합성에 관련된 공지의 효소들의 활성을 추가로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서는 추가로 ArgCJBD 효소의 활성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효소를 암호화하는 argCJBD 유전자를 과발현시켜 L-오르니틴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제조된 L-오르니틴의 생산성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글루코스를 탄소원으로 포함하는 배지에서 배양하고, 이로부터 생산되는 L-오르니틴의 생산량의 증가수준을 상호 비교하였다. 그 결과, GDH의 활성이 크게 감소될 수록 NADPH의 농도와 L-오르니틴의 생산량이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아울러, GDH의 활성이 감소된 본 발명의 재조합 벡터 pSJ3517, pSJ3515 또는 pSJ3513가 도입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균주(SJC8252, SJC8251 또는 SJC8250)에서는 G6PDH와 6PGD의 특이적 활성이 더욱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GDH의 활성 감소에 의하여 오탄당 인산화 경로가 활성화될 뿐만 아니라, 오탄당 인산화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인 G6PDH와 6PGD의 특이적 활성이 증가함에 의하여, NADPH의 생산량이 증가하며, NADPH의 생산량 증가에 의하여 L-오르니틴의 생합성량이 증가함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G6PDH 및 6PGD는 알로스테릭적으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내에서 피드백 제어 조절작용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oritz et al. 2000). 그러므로 상기 효소들의 SJC8252, SJC8251 및 SJC8250 내에서 피드백 제어 조절작용의 해제는 L-오르니틴의 생산에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내재적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 효소의 활성이 감소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을 이용하면, 오탄당 인산화 경로가 활성화될 뿐만, 아니라, 오탄당 인산화 경로에 관여하는 효소인 G6PDH와 6PGD의 특이적 활성의 증대에 의하여 NADPH 생산수율이 증가하고, 이에 따라 상기 NADPH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생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L-오르니틴의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생산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의 펜토오스 인산(pentose phosphate) 및 GDH 경로를 포함하는 중심탄소 대사과정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a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의 염색체 내에 존재하는 GDH 유전자인 NCgl2053을 변이시키기 위한 벡터 pSJ3513의 유전자 지도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b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의 염색체 내에 존재하는 GDH 유전자인 NCgl2582를 변이시키기 위한 벡터 pSJ3515의 유전자 지도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2c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의 염색체 내에 존재하는 GDH 유전자인 NCgl0281을 변이시키기 위한 벡터 pSJ3517의 유전자 지도를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위-특이적 유전자가 결실된 변이주의 제조
실시예 1-1: 변이된 GDH 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수득
GDH가 불활성화된 형질전환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인 NCgl0281, NCgl2582 또는 NCgl2053의 개방해독틀(open reading frame)이 내부적으로 결실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를 제작하였다.
먼저, NCgl0281, NCgl2582 및 NCgl2053의 염기서열이 내부적으로 결실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제작하기 위하여 NCgl0281, NCgl2582 및 NCgl2053의 서열을 근거로 각각 프라이머 0281F1, 0281F2, 0281R1, 0281R2, 2582F1, 2582F2, 2582R1, 2582R2, 2053F1, 2053F2, 2053R1 및 2053R2를 제작하였다(표 1).
프라이머의 염기서열
프라이머 명칭 염기서열 서열번호
2053F1 cccaagcttAAGACACCGGTCATGGTG (HindIII) 4
2053R1 tcccccgggTGCTACGGCAGCTCCAAT (SmaI) 5
2053F2 tcccccgggGACGAAGCCAGCTATGTG (SmaI) 6
2053R2 cccaagcttACTCCTGTGCTTCCTTCC (HindIII) 7
2582F1 cccaagcttCCTCCGCCCCAATTATTC (HindIII) 8
2582R1 cggggtaccGGTCTCTGCAGCTTGTTC (KpnI) 9
2582F2 cggggtaccGGTCTGGTTTCGTTCCTG (KpnI) 10
2582R2 cccaagcttCCATCCTGCACTTCTCAG (HindIII) 11
0281F1 cccaagcttGTCCAAGCCGATTGACTC (HindIII) 12
0281R1 cggggtaccGATTGCTGCGACAGTCTC (KpnI) 13
0281F2 cggggtaccCAGGAACGTGGCAAGAAC (KpnI) 14
0281R2 cccaagcttCGGCTTCGGTGAGAACTT (HindIII) 15
상기 표 1에서, 밑줄친 서열은 괄호 안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제한효소에 대한 제한위치를 나타내며, 대문자는 세균성 유전자의 서열을 의미한다.
2053 F1 프라이머(서열번호4)와 2053 R1 프라이머(서열번호5)를 이용하여 C. glutamicum ATCC13032 세포의 게놈 DNA로부터 PCR을 통해 특정 DNA 염기서열을 증폭하였다. PCR 반응물은 C. glutamicum ATCC13032 g-DNA 250ng을 2㎕, 10pmole의 2053 F1 프라이머 및 2053 R1 프라이머를 각각 2㎕, 2unit의 taq DNA 중합효소(Bioeseang, Co., Inc) 20㎕, 멸균 증류수 24㎕로 구성하였으며, 변성(94℃ 1분), 어닐링(58℃ 1분) 및 신장(70℃ 1분30초)을 30번 반복하는 조건을 사용하여, 1,175bp의 DNA단편을 수득하였다.
2053 F2 프라이머(서열번호6)와 2053 R2 프라이머(서열번호7)를 이용하여 C. glutamicum ATCC13032 세포의 게놈 DNA로부터 PCR을 통해 특정 DNA 염기서열을 증폭하였다. PCR 반응물은 C. glutamicum ATCC13032 g-DNA 250ng을 2㎕, 10pmole의 2053 F2 프라이머 및 2053 R2 프라이머를 각각 2㎕, 2unit의 taq DNA 중합효소(Bioeseang, Co., Inc) 20㎕, 멸균 증류수 24㎕로 구성하였으며, 변성(94℃ 1분), 어닐링(58℃ 1분) 및 신장(70℃ 1분30초)을 30번 반복하는 조건을 사용하여, 1,237bp의 DNA단편을 수득하였다.
2582 F1 프라이머(서열번호8)와 2582 R1 프라이머(서열번호9)를 이용하여 C. glutamicum ATCC13032 세포의 게놈 DNA로부터 PCR을 통해 특정 DNA 염기서열을 증폭하였다. PCR 반응물은 C. glutamicum ATCC13032 g-DNA 250ng을 2㎕, 10pmole의 2582 F1 프라이머 및 2582 R1 프라이머를 각각 2㎕, 2unit의 taq DNA 중합효소(Bioeseang, Co., Inc) 20㎕, 멸균 증류수 24㎕로 구성하였으며, 변성(94℃ 1분), 어닐링(58℃ 1분) 및 신장(70℃ 1분)을 30번 반복하는 조건을 사용하여, 981bp의 DNA단편을 수득하였다.
2582 F2 프라이머(서열번호10)와 2582 R2 프라이머(서열번호11)를 이용하여 C. glutamicum ATCC13032 세포의 게놈 DNA로부터 PCR을 통해 특정 DNA 염기서열을 증폭하였다. PCR 반응물은 C. glutamicum ATCC13032 g-DNA 250ng을 2㎕, 10pmole의 2582 F2 프라이머 및 2582 R2 프라이머를 각각 2㎕, 2unit의 taq DNA 중합효소(Bioeseang, Co., Inc) 20㎕, 멸균 증류수 24㎕로 구성하였으며, 변성(94℃ 1분), 어닐링(58℃ 1분) 및 신장(70℃ 1분)을 30번 반복하는 조건을 사용하여, 962bp의 DNA단편을 수득하였다.
0281 F1 프라이머(서열번호12)와 0281 R1 프라이머(서열번호13)를 이용하여 C. glutamicum ATCC13032 세포의 게놈 DNA로부터 PCR을 통해 특정 DNA 염기서열을 증폭하였다. PCR 반응물은 C. glutamicum ATCC13032 g-DNA 250ng을 2㎕, 10pmole의 0281 F1 프라이머 및 0281 R1 프라이머를 각각 2㎕, 2unit의 taq DNA 중합효소(Bioeseang, Co., Inc) 20㎕, 멸균 증류수 24㎕로 구성하였으며, 변성(94℃ 1분), 어닐링(58℃ 1분) 및 신장(70℃ 1분30초)을 30번 반복하는 조건을 사용하여, 1,185bp의 DNA단편을 수득하였다.
0281 F2 프라이머(서열번호14)와 0281 R2 프라이머(서열번호15)를 이용하여 C. glutamicum ATCC13032 세포의 게놈 DNA로부터 PCR을 통해 특정 DNA 염기서열을 증폭하였다. PCR 반응물은 C. glutamicum ATCC13032 g-DNA 250ng을 2㎕, 10pmole의 0281 F2 프라이머 및 0281 R2 프라이머를 각각 2㎕, 2unit의 taq DNA 중합효소(Bioeseang, Co., Inc) 20㎕, 멸균 증류수 24㎕로 구성하였으며, 변성(94℃ 1분), 어닐링(58℃ 1분) 및 신장(70℃ 1분30초)을 30번 반복하는 조건을 사용하여, 1,145bp의 DNA단편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1-2: 재조합 벡터 및 형질전환체의 수득
부위-특이적 유전자 결실(site specific gene disruption)을 위하여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내에서 복제가 불가능한 벡터인 pK18mobsacB를 이용하여 재조합 벡터 pSJ3513, pSJ3515 및 pSJ3517를 제작하였다
상기 pSJ3513은 2,938-bp짜리 NCgl2053의 HindIII 말단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서 NCgl2053의 SmaI 절편의 내부적 유전자 소실을 포함한다. 상기 SmaI 절편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 게놈 DNA를 주형으로 2053F1-2053R1 프라이머와 2053F2-2053R2 프라이머 쌍으로 교차 PCR을 하여 생성된 것이다.
상기 pSJ3515는 1,943-bp짜리 NCgl2582의 HindIII 말단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서 NCgl2582의 KpnI 절편의 내부적 유전자 소실을 포함한다. 상기 KpnI 절편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 게놈 DNA를 주형으로 2582F1-2582R1 프라이머와 2582F2-2582R2 프라이머 쌍으로 교차 PCR을 하여 생성된 것이다.
상기 pSJ3517는 2,330-bp짜리 NCgl0281의 HindIII 말단을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로서 NCgl0281의 KpnI 절편의 내부적 유전자 소실을 포함한다. 상기 KpnI 절편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ATCC13032 게놈 DNA를 주형으로 0281F1-0281R1 프라이머와 0281F2-0281R2 프라이머 쌍으로 교차 PCR을 하여 생성된 것이다.
각각의 재조합 벡터를 L-오르니틴을 생산할 수 있는 숙주세포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039에 전기천공법으로 도입하여 형질전환시키고(van der Rest et al. 1999) 카나마이신 내성 표현형을 선발하여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gene-specific primer)를 사용한 다이아그너스틱 PCR(diagnostic PCR)을 통해 상기 플라스미드가 싱글 크로스오버에 의해 해당 유전자의 염색체 부위에 도입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 후 10%의 수크로오스 배지에서 2 차 재조합의 선발과 유전자 특이적 프라이머(gene-specific primer)를 사용한 다이아그너스틱 PCR(diagnostic PCR)을 통해 해당 유전자의 염색체 부위로부터 플라스미드가 절제(excision)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NCgl0281, NCgl2582 또는 NCgl2053 유전자의 특정부위가 각각 결실된 돌연변이 균주를 제작하여 이들을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252,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251 및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250이라 각각 명명하였고, 2011년 03월 07일자로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ACC9 1633P, KACC9 1632P 및 KACC9 1631P를 각각 부여받았다.
실시예 2 : NCgl0281 , NCgl2582 및/또는 NCgl2053 유전자가 결실된 코리네박 테리움 글루타미쿰에서의 L-오르니틴 생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각각의 L-오르니틴 생산균주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252, SJC8251 및 SJC8250으로부터 L-오르니틴 생산을 위해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배양하였다. 이때, 대조군으로서는 숙주세포인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039을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종배지로 Recovery Glucose 배지(80g BHI, 20g 클루코오스, 60g 소르비톨/L)을 사용하여 24 시간 배양하였다. 생산배지는 MMY 배지[0.8g KH2PO4, 10g (NH4)2SO4, 1g MgSO47H2O, 1.2g Na2HPO4, 2mg MnSO4H2O, 2mg FeSO47H2O, 1mg ZnSO47H2O, 10g 효모 추출액, 및 60g 글루코스/L, pH 7.0]를 사용하였다.
종배지를 함유하는 100 ㎖ 배플 플라스크에 대조군과 본 발명의 균주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252, SJC8251 또는 SJC8250을 각각 접종하고 진탕배양(200 rmp)하였다. 종배지에서 배양된 상기 클루타미쿰을 분리하여 수확한 후 상기 글루타미쿰을 600 nm에서 흡광도가 0.4 ~ 0.5일 때까지 상기 생산배지 10 ㎖을 함유하는 100 ㎖ 배플 플라스크에서 재현탁하였다. 그 후, 10 ㎖당 0.2 g의 멸균된 CaCO3를 첨가하였다. 상기의 배양은 30℃의 200rpm 회전식 교반기에서 수행되었다.
상기 각각의 배양물로부터 각 균주의 성장률, NADPH의 농도 및 L-오르니틴의 농도를 측정하고 비교하였다(표 2 및 3). 이때, 600 nm에서 분광법으로 세포 성장률을 측정하였고, L-오르니틴의 농도는 Agilent 1100 series HPLC 및 Zorbax Eclipse C18 column을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건조균체량은 600 nm에서의 흡광도 값을 1로 하여 1L당 건조중량 0.3 g에 해당하는 점을 기초로 측정하였다. NADPH의 농도는 EnzyChrom™NADP+/NADPH 분석 키트를 사용한 효소적 순환 반응(enzymatic cycling reaction)으로 측정하였다(BioAssay Systems, CA, USA).
균주의 성장률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성장률(μmax)
SJC8039 0.69
SJC8250 0.70
SJC8251 0.70
SJC8252 0.61
NADPH의 농도 및 L-오르니틴의 농도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NADPH(μM) L-오르니틴(g/l)
SJC8039 2.13 8.78
SJC8250 2.19 10.88
SJC8251 2.59 12.09
SJC8252 3.09 14.53
상기 표 2 및 표 3에서 보듯이,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039 균주에서 NCgl2582가 결손된 SJC8251 균주를 배양한 경우 NADPH의 농도는 21.6% 증가하였고(2.13 vs. 2.59μM), L-오르니틴의 생산량은 37.7% 증가하였지만(8.78 vs. 12.09g/l), NCgl2053이 결손된 SJC8250 균주를 배양한 경우 NADPH의 농도는 거의 변화하지 않았고(2.13 vs. 2.19μM), L-오르니틴의 생산량은 23.9% 증가하였으며(8.78 vs. 10.88g/l), NCgl0281이 결손된 SJC8252 균주를 배양한 경우에는 NADPH의 농도는 45.1% 증가하였고(2.13 vs. 3.09μM), L-오르니틴의 생산량은 65.5% 증가하였다(8.78 vs. 14.53g/l).
이러한 결과는 과량의 NADPH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내의 L-오르니틴의 생합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요구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아울러, SJC8250(NCgl2053이 결손된 것), SJC8251(NCgl2582이 결손된 것) 및 SJC8252(NCgl0281이 결손된 것)는 SJC8039(모균주)에 비교하여, 성장률은 거의 비슷하거나 다소 감소하지만, 세포내 NADPH 농도와 L-오르니틴의 생산량은 현격히 증가하였다.
실시예 3 : GDH 의 활성도 비교
상기 생산배지에서 배양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은 지수 성장기(exponetial phase)동안 원심분리법을 사용하여 수확하였고 100 mM Tris/HCl 완충액(pH 7.5)으로 재현탁하였다. 세포는 유리알(glass bead)를 사용하여 파괴하였고 세포 추출물을 얻기 위해 원심분리하였다. 이 모든 처리는 4℃에서 이루어졌으며, 상층액은 특이적 효소 활성 분석을 위하여 채취하였다.
효소분석을 위한 방법으로 단백질의 양은 브래드포드법(Bradford 1976)에 의해 결정하였으며, G6PDH, 6PGD 및 GDH의 활성은 340 nm에서 NADPH 분광학적 형성을 통해 측정하였다(Frunzke et al. 2008)(표 4).
중심탄소대사과정의 핵심 효소의 특이적 활성도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특이적 활성(U mg-1 protein)
G6PDH 6PGD GDH
SJC8239 0.19 0.33 7.12
SJC8250 0.33 0.38 4.37
SJC8251 0.42 0.74 2.97
SJC8252 0.84 1.13 1.41
상기의 값은 적어도 3개의 독립적인 배양에서 얻어진 결과를 기초로 한 평균값을 나타내며 모든 경우에 있어서 표준편차가 10 % 이하였다.
표 4에서 보듯이, SJC8251의 경우 GDH의 특이적 활성이 41.7% 정도 남아있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7.12 vs. 2.97 U/mg protein), SJC8250의 경우 64.1%(7.12 vs. 4.37 U/mg protein), 그리고 SJC8252의 경우 GDH의 특이적 활성이 19.8%(7.12 vs. 1.41 U/mg protein) 정도 남아있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G6PDH와 6PGD의 특이적 활성을 비교하면, G6PDH 및 6PGD의 특이적 활성은 SJC8039에 비해 SJC8250, SJC8251 및 SJC8252 내에서 현격히 증가하였다.
GDH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L-오르니틴의 생산량이 증가한 것은 G6PDH 및 6PGD의 특이적 활성 증가로 인한 NADPH 재생량의 증가에 의한 결과로 판단되고, 상기의 결과로부터 GDH 유전자로 추정되는 NCgl0281, NCgl2582 및/또는 NCgl2053을 불활성화시킨 변이주를 사용하여 글루코스로부터 L-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방법의 메카니즘이 제안될 수 있다. G6PDH 및 6GPD의 특이적 효소활성의 증가로 인한 NADPH 재생량의 증가는 L-오르니틴의 생산량 증가를 유도하였다.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1631P 20110307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1632P 20110307 농업유전자원센터 KACC91633P 20110307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1)

  1. 내재적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GDH)의 활성이 감소 또는 불활성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 또는 불활성화는 상기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 내로 하나 이상의 염기쌍의 삽입에 의한 삽입 돌연변이, 상기 유전자 내의 하나 이상의 염기쌍의 결실을 갖는 결실 돌연변이, 및 상기 유전자 내의 넌센스 코돈 또는 상이 코돈을 도입시키는 염기쌍의 전이(transition) 또는 전환(transversion) 돌연변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돌연변이 방법에 의하여 유발되는 것인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 또는 불활성화는 상기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일부분과 항생제 마커를 포함하는 재조합 벡터에 의한 형질전환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항생제 마커는 카나마이신 내성부여 유전자인 것인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pK18mobsacB 벡터로부터 유래된 것인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추가로 sacB 유전자를 포함하는 것인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재조합 벡터는 도 2a에 도시된 개열지도를 갖는 pSJC3513, 도 2b에 도시된 개열지도를 갖는 pSJC3515 또는 도 2c에 도시된 개열지도를 갖는 pSJC3517인 것인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GDH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NCgl0281,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NCgl2582 또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는 NCgl2053인 것인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은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250(KACC9 1631P),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251(KACC9 1632P) 또는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SJC8252(KACC9 1633P)인 것인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10. (ⅰ) 글루코스 디하이드로게나제(GDH)를 코딩하는 유전자의 일부 서열이 변이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수득하는 단계;
    (ⅱ) 상기 수득한 폴리뉴클레오티드 단편을, L-오르니틴을 생산할 수 있는 숙주세포에 도입될 수 있고 염색체상에서 상동재조합을 수행할 수 있는 벡터에 도입하여 재조합 벡터를 수득하는 단계;
    (ⅲ) 상기 수득한 재조합 벡터를 숙주세포에 도입하여 상동재조합체를 수득하는 단계; 및,
    (ⅳ) 상기 상동재조합체 중에서 GDH의 활성이 감소 또는 불활성화된 균주를 선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의 제조방법.
  11. (ⅰ) 탄소원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글루코스가 포함된 배양 배지에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을 접종하고 배양하여 배양물을 수득하는 단계; 및,
    (ⅱ) 상기 배양물로부터 L-오르니틴을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L-오르니틴을 생산하는 방법.
KR1020110048623A 2011-05-23 2011-05-23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KR101300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23A KR101300186B1 (ko) 2011-05-23 2011-05-23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PCT/KR2012/004089 WO2012161522A2 (ko) 2011-05-23 2012-05-23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8623A KR101300186B1 (ko) 2011-05-23 2011-05-23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0580A KR20120130580A (ko) 2012-12-03
KR101300186B1 true KR101300186B1 (ko) 2013-08-26

Family

ID=47217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8623A KR101300186B1 (ko) 2011-05-23 2011-05-23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00186B1 (ko)
WO (1) WO20121615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014086B (zh) * 2012-12-12 2015-02-11 武汉圣佳化工有限公司 一种酶固定化连续生产l-鸟氨酸复合盐的方法
KR101526047B1 (ko) * 2013-04-26 2015-06-04 상지대학교산학협력단 아미노트랜스퍼라제 활성 강화를 통하여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KR101835935B1 (ko) * 2014-10-13 2018-03-12 씨제이제일제당 (주) L-아르기닌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르기닌의 제조 방법
WO2016060437A1 (ko) * 2014-10-13 2016-04-21 씨제이제일제당 주식회사 L-아르기닌을 생산하는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아르기닌의 제조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6805A (ko) * 2005-11-30 2007-06-04 씨제이 주식회사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WO2010027045A1 (ja) * 2008-09-08 2010-03-11 味の素株式会社 L-アミノ酸を生産する微生物及びl-アミノ酸の製造法
EP2218789A1 (en) * 2004-03-18 2010-08-18 Evonik Degussa Gmb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amino acids using coryneform bacteria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18789A1 (en) * 2004-03-18 2010-08-18 Evonik Degussa GmbH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L-amino acids using coryneform bacteria
KR20070056805A (ko) * 2005-11-30 2007-06-04 씨제이 주식회사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그를 이용하여 l-라이신을 생산하는 방법
WO2010027045A1 (ja) * 2008-09-08 2010-03-11 味の素株式会社 L-アミノ酸を生産する微生物及びl-アミノ酸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61522A2 (ko) 2012-11-29
KR20120130580A (ko) 2012-12-03
WO2012161522A3 (ko) 2013-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2337B1 (en) A microorganism of corynebacterium genus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vity and a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KR101592140B1 (ko) 자일로즈 이용능이 부여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생산방법
US10626426B2 (en) Microorganism of genus Corynebacterium having an ability to produce L-arginine and a method for producing L-arginine using the same
US20220049212A1 (en) Mutant strain having enhanced l-glutamic acid producing ability, and l-glutamic acid preparation method using same
KR101300185B1 (ko)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 생산방법
KR102207867B1 (ko) Nadp 의존적 글리세르알데하이드-3-포스페이트 디하이드로지나제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l-아미노산을 생산하는 방법
MX2014008267A (es) Microorganismo capaz de producir l-aminoacido, y metodo para producir l-aminoacido usando el mismo.
US20230136217A1 (en) Mutant of corynebacterium glutamicum with enhanced l-glutamic acid productivity and method for preparing l-glutamic acid using the same
JP2019115341A (ja) L−リジンを生産するコリネバクテリウム属微生物、及びそれを利用したl−リジンの生産方法
KR101285945B1 (ko) L-라이신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라이신의 제조방법
KR101300186B1 (ko)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KR101072708B1 (ko) 5'-크산틸산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5'-크산틸산의 생산방법
KR101485222B1 (ko) dapA 활성 조절을 통해 L-쓰레오닌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쓰레오닌 생산방법
KR20140044470A (ko) GntK 활성 조절을 통해 L-쓰레오닌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속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쓰레오닌 생산 방법
US10801047B2 (en) Putrescine-producing microorganism and method of producing putrescine using the same
US20230313244A1 (en) Corynebacterium glutamicum mutant strain having enhanced l-lysine productivity and method of producing l-lysine using the same
EP4056675A1 (en) Mutant of corynebacterium glutamicum with enhanced l-lysine productivity and method for preparing l-lysine using the same
KR101526047B1 (ko) 아미노트랜스퍼라제 활성 강화를 통하여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KR101622460B1 (ko) L-오르니틴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l-오르니틴의 제조방법
WO2023151411A1 (zh) 一种生产苏氨酸的重组微生物及其构建方法和应用
WO2023151408A1 (zh) 高产苏氨酸菌株的构建方法
CN116555131A (zh) 一种重组微生物及其构建方法和应用
CN116622596A (zh) 一种修饰的棒状杆菌属微生物及其构建方法与在生产苏氨酸中的应用
KR20240017394A (ko) L-시트룰린 생산능이 향상된 코리네박테리움 글루타미쿰 변이주 및 이를 이용한 l-시트룰린의 생산 방법
WO2023151406A1 (zh) 苏氨酸生产菌株的构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