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938B1 - 롤 스탠드의 롤용 구동 스핀들을 이송하기 위한 왕복대 및 그 이송 방법 - Google Patents

롤 스탠드의 롤용 구동 스핀들을 이송하기 위한 왕복대 및 그 이송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938B1
KR101299938B1 KR1020117009111A KR20117009111A KR101299938B1 KR 101299938 B1 KR101299938 B1 KR 101299938B1 KR 1020117009111 A KR1020117009111 A KR 1020117009111A KR 20117009111 A KR20117009111 A KR 20117009111A KR 101299938 B1 KR101299938 B1 KR 10129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carrier device
drive spindle
drive
roll st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09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8899A (ko
Inventor
엑케하르트 융
뤼디거 그림멜
니콜라스 뮌호브
크리스토프 준더만
Original Assignee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에스엠에스 지마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10058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5/00Drives for metal-rolling mills, e.g. hydraulic drives
    • B21B35/14Couplings, driving spindles, or spindle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or specially arranged in, metal-rolling mi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5/00Drives for metal-rolling mills, e.g. hydraulic drives
    • B21B35/14Couplings, driving spindles, or spindle c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or specially arranged in, metal-rolling mills
    • B21B35/148Spindle carriers or balan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 스탠드(300)의 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스핀들을 이송하기 위한 왕복대(100)와, 이 왕복대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왕복대는, 롤 스탠드의 작동 측으로부터 롤 스탠드를 통과하여 구동 측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왕복대를 이송하기 위한 런닝 유닛(105)을 포함하며, 또한 왕복대는 구동 스핀들 아래로 이송될 수 있는 방식으로 평평하게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왕복대는 선행기술에 대한 대안이다. 본원의 왕복대는 제1 캐리어 장치(110) 및 제1 구동 유닛(120)을 포함한 승강 왕복대로서 형성되되, 제1 구동 유닛(120)은 중립 위치에 상대적으로, 경우에 따라 구동 스핀들(200)과 함께, 제1 캐리어 장치(1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한다.

Description

롤 스탠드의 롤용 구동 스핀들을 이송하기 위한 왕복대 및 그 이송 방법{CAR AND METHOD FOR TRANSPORTING A DRIVE SPINDLE FOR A ROLLER OF A ROLL STAND}
본 발명은 롤 스탠드의 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스핀들을 이송하기 위한 왕복대와 이 왕복대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왕복대는 선행기술에서 충분히 공지되었다. 요컨대 독일 공개 공보 DE 26 02 655로부터는 압연기 하우징의 구동 스핀들을 인입 또는 인출 이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공지되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압연기 스탠드로부터 작업 롤들이 탈거된 후에 스핀들이 왕복대에 의해 지지되면서 압연기 스탠드의 영역을 통과하여 구동 측으로부터 작동 측으로, 그리고 그 반대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왕복대에는 확장 아암(extension arm)이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구동 스핀들들은 이송을 위해 루프(loop)에 의해 확장 아암에 걸림 고정된다. 그러므로 상기 공개 공보에 따른 장치는 정말 높게 제작되고, 적어도 구동 스핀들보다 더욱 높게 배치된다.
일본 공개 JP 55 094 714로부터는 롤 스탠드의 작업 롤들을 위한 스핀들을 교환하기 위한 이송 왕복대가 개시된다. 이송 왕복대는 레일들 상에서 롤 스탠드를 통과하여 압연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 왕복대는 이송 스탠드를 포함하고, 이 이송 스탠드 내에서는 상부 구동 스핀들이 상부로부터 고정되며 하부 구동 스핀들은 하부로부터 고정된다. 왕복대는 경우에 따라 스핀들들과 함께 컨트롤 케이블(control cable)에 의해 롤 스탠드를 통과하여 이송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롤 스탠드의 롤을 위한 작업 스핀들을 이송하기 위한 대체되는 왕복대 및 대체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은 장치 기술과 관련하여 특허 청구항 제1항의 대상에 의해 달성된다. 그에 따라 왕복대는, 왕복대가 제1 캐리어 장치 및 제1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승강 왕복대로서 형성되되, 제1 구동 유닛은, 중립 위치에 상대적으로, 경우에 따라 구동 스핀들과 함께, 제1 캐리어 장치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미에서 중립 위치는, 제1 및/또는 제2 캐리어 장치의 위치로서, 두 캐리어 장치를 포함하는 왕복대의 전체 높이가 최솟값인, 다시 말하면 왕복대가 가능한 한 평평한 그런 위치이다. 또한, 캐리어 장치들 중 일측 캐리어 장치만의 상승 또는 하강은 왕복대의 전체 높이를 증가시킨다.
청구되는 왕복대는 구동 스핀들 아래로 이송될 수 있는 방식으로 평평하게 제작된다. 제1 캐리지 장치를 포함하는 승강 왕복대로서 청구되는 형성은 바람직하게는 곧바로 구동 스핀들 아래로 캐리어 장치를 상승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그럼으로써 구동 스핀들은 크레인의 이용 없이도 캐리어 장치상에 직접 안착되고, 왕복대와 함께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이후 롤 스탠드와 이 롤 스탠드를 위한 구동 장치, 특히 피니언 기어 메커니즘 사이에 분해 수리되었거나 새로운 구동 스핀들을 조립하는 경우, 분해 단계 순서의 역순으로 조립이 이루어진다. 요컨대 우선적으로 구동 스핀들이 캐리어 장치상에서 롤 스탠드와 피니언 기어 메커니즘 사이의 영역 내로 이송된다. 그런 다음 구동 스핀들은, 롤 스탠드의 피니언 기어 메커니즘 및 스핀들 수용부에 연결될 수 있도록, 승강 왕복대 또는 상승될 수 있는 캐리어 장치에 의해 각각 필요한 높이로 상승된다.
제1 실시예에 따라 왕복대는, 제1 캐리어 장치(110)에 통합되고 이 제1 캐리어 장치(110)와 함께 중립 위치에 대향하여 하강 및 상승될 수 있는 제2 캐리어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높이 조정이 가능한 2개의 캐리어 장치를 제공함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장치들이 작업 스핀들들을 수용하기 위해 상승되어야 하는 상대적으로 더욱 높은 높이가 승상 왕복대에 의해 달성될 수 있으면서, 이때 승강 왕복대는 평평한 구조를 포기하지 않아도 되고, 다시 말하면 상대적으로 더욱 높은 최소 높이를 갖는 방식으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제2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제2 캐리어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부로부터 완전히 승강 왕복대의 원래 높이로, 그리고 제1 캐리어 장치 내로 각각 통합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목적은 왕복대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방법의 장점은 실질적으로 앞서 왕복대와 관련하여 언급한 장점에 상응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언급되는 점에 따라, 특히 제1 캐리어 장치는 자체 토글 레버 또는 전단 조인트(shear-joint) 승강 시스템에 의해 승강 왕복대의 중립 위치를 넘어 상승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중립 위치 아래로 하강될 수 있다. 중립 위치 또는 상승된 위치에서 왕복대는 롤 스탠드가 배치되어 있는 압연 작업장의 바닥면선(mill floor level)에서 이송될 수 있다. 롤 스탠드 내부에서 캐리어 장치들은, 특히 하부 지지 롤 자체가 앞서 하강된 후에 그 하부 지지 롤과 충돌하지 않으면서, 중립 위치 아래로 하강될 수 있다. 중립 위치 아래로 캐리어 장치들이 하강함에 따라, 바람직하게는 구동 스핀들의 헤드부 아래에서부터 캐리어 장치들을 포함하는 왕복대를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왕복대는 일반적으로 구동 스핀들의 헤드부 아래에서부터 자체 캐리어 장치들의 중립 위치로 이송되지 않을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또는 제2 캐리어 장치는 적어도 자체 중립 위치에서 각각 잠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캐리어 장치들은 잠금 고정되지 않은 위치에서보다 잠금 고정된 위치에서 왕복대에 실질적으로 더욱 높은 안정성(비틀림 강성)을 부여한다.
왕복대 및 이 왕복대의 구동 방법의 추가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본원의 명세서에는 5개의 도가 첨부된다.
도 1은 롤 스탠드와 피니언 기어 메커니즘 사이에 장착된 상태의 작업 스핀들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왕복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롤 스탠드를 통과하여 왕복대를 인입 이송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특히 제1 캐리어 장치를 중립 위치 아래로 하강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하강된 캐리어 장치들을 포함하는 왕복대를 구동 스핀들의 헤드부 아래로 이송시키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다음에서 본 발명은 언급한 도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의 형태로 상세하게 설명된다. 모든 도에서 동일한 기술 부재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된다.
도 1은 롤 스탠드(300)와 구동 장치(400), 특히 작업 스핀들들을 구동하기 위한 피니언 기어 메커니즘 사이에 배치되는 2개의 구동 스핀들(200)을 도시하고 있다. 구동 스핀들들은 롤 스탠드(300) 내에서 작업 롤들을 구동하는 역할을 한다. 작업 롤들은 통상적으로 롤 스탠드 내부에서 상부 및 하부 지지 롤(310a, 310b) 사이에 배치된다. 그러나 작업 롤들은, 롤 스탠드(300)를 통과하여 왕복대를 이송시키기 위해서는 분해되어 있어야 하기 때문에, 도 1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도에서는 구동 스핀들들을 이송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왕복대(100)를 확인할 수 있다. 왕복대는, 롤 스탠드(300)의 작동 측(BS)으로부터 롤 스탠드를 통과하여 구동 측(AS)으로,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경우에 따라 구동 스핀들들과 함께, 왕복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런닝 유닛(105), 본원에서는 예컨대 런닝 휠들을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왕복대는 기본적으로 구동 스핀들들(200) 아래로, 특히 그 구동 스핀들들의 확장된 헤드부들(210) 아래로 이송될 수 있는 방식으로 평평하게 제작되어 있다.
또한, 도 1에서, 제1 캐리어 장치(110)는 승강 왕복대의 구성 부재로서 하부 구동 스핀들(200)의 높이로, 또는 하부 구동 스핀들(200) 아래로 상승되어 있다. 이와 같은 위치에서 구동 스핀들은 바람직하게는 크레인의 이용 없이 제1 캐리어 장치상에 안착될 수 있다.
도 2는 상세하게는 각각 중립 위치에 위치해 있는 제1 및 제2 캐리어 장치(110, 112)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왕복대(100)의 구조적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제1 구동 장치(120), 예컨대 유압 실린더와, 제1 승강 장치(116), 예컨대 토글 레버 승강 장치에 의해 중립 위치에 비해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제1 캐리어 장치(110)를 확인할 수 있다. 왕복대는 각각 요구되는 총 승강 높이에 따라 하나의 캐리어 장치만을, 또는 두 캐리어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캐리어 장치들 중 하나의 캐리어 장치만을 위한 승강 이동 거리는 토글 레버 승강 장치(116)를 바탕으로 제한된다. 또한, 제한되는 승강 이동 거리를 넘어서는 보다 큰 승강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라 제2 캐리어 장치(112)가 제1 캐리어 장치(110) 내에 통합되되, 제2 캐리어 장치는 자체적으로 예컨대 유압 실린더 형태의 제2 구동 유닛(114)과, 제2 승강 장치(116), 예컨대 제2 토글 조인트에 의해 제1 캐리어 장치를 넘어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왕복대는 바람직하게는 왕복대의 독자적인 이송을 위해 자체의 제3 구동 유닛(140)을 이용한다. 또한, 대체되는 실시예에 따라, 왕복대는 외부 구동 장치, 예컨대 컨트롤 케이블을 통해 왕복대에 연결되는 롤 교환 로커모티브(roll-exchanging locomotive)에 의해서도 이송될 수 있다. 왕복대의 런닝 유닛(105)은, 각각 압연 작업장의 바닥면에 롤 스탠드를 통과하여 부설되어 있는 레일들 상에서 왕복대를 이송시킬 수 있도록, 런닝 휠들의 형태로, 또는 스키드 슈(skid shoe)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왕복대는 본 발명에 따라 아래와 같은 단계 순서로 작동된다.
- 왕복대(100)를 롤 스탠드(300)의 구동 스핀들(200) 아래로 이송하는 단계;
- 왕복대의 제1 및/또는 제2 캐리어 장치(112, 110)를 구동 스핀들(200) 아래로 상승시키는 단계;
- 구동 스핀들을 수용하는 단계;
- 필요한 경우 구동 스핀들과 함께 제1 및/또는 제2 캐리어 장치를 예컨대 중립 위치까지 하강시키는 단계; 및
- 구동 스핀들(200)과 함께 왕복대를 인출 이송하는 단계.
왕복대를 구동 스핀들(200) 아래로 이송하고, 왕복대를 인출 이송하는 단계는 롤 스탠드(300)를 통과하여 이루어지거나, 또는 작업 스핀들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 스탠드(300)를 통과하여 구동 스핀들들(200) 쪽으로 왕복대가 인입 이송된다면, 그 인입 이송은 아래 단계들을 포함한다.
- 각각 중립 위치 또는 상승된 위치에 위치하는 제1 캐리어 장치와 경우에 따른 제2 캐리어 장치를 포함하는 왕복대는 분해된 작업 롤들과 함께 롤 스탠드 내로 인입 이송된다. 캐리어 장치들의 중립 위치 또는 상승된 위치는, 캐리어 장치가 인입 이송 시에 바닥면선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하다(도 3 참조);
- 제1 캐리어 장치와, 경우에 따른 제2 캐리어 장치는, 헤드부의 아래로부터 이송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롤 스탠드(300) 내부에서 구동 스핀들(200)의 헤드부(210)에 도달하기 전에 중립 위치 아래로, 그에 따라 헤드부 아래로 하강된다(도 4 및 도 5 참조);
- 캐리어 장치들은, 헤드부를 통과한 후에, 구동 스핀들의 헤드부와 함께 그 구동 스핀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바와 같은 점에 한해, 통상적으로 중립 위치를 넘어서 구동 스핀들 아래로 상승된다.
그런 다음 구동 스핀들과 함께 왕복대의 인출 이송이 이루어지지만, 제1 및 제2 캐리어 장치는, 바닥면선과 충돌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립 위치 아래로 하강되지 않는다.
100: 왕복대
105: 런닝 유닛
110: 제1 캐리어 장치
112: 제2 캐리어 장치
114: 제2 구동 장치
116: 승강 장치, 예컨대 토글 레버 또는 전단 조인트
120: 제1 구동 장치
200: 구동 스핀들
210: 구동 스핀들의 헤드부
300: 롤 스탠드
310a: 상부 지지 롤
310b: 하부 지지 롤
400: 구동 장치/피니언 기어 메커니즘
500: 레일

Claims (13)

  1. 롤 스탠드(300)의 롤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스핀들(200)을 이송하기 위한 왕복대(100)로서, 왕복대는 런닝 유닛(105)을 포함하고, 런닝 유닛에 의해 상기 구동 스핀들(200) 아래로 이송될 수 있는 방식으로 평평하게 제작되는, 상기 왕복대(100)에 있어서,
    왕복대는 제1 캐리어 장치(110) 및 제1 구동 유닛(120)을 포함하는 승강 왕복대로서 형성되되, 상기 제1 구동 유닛(120)은 상기 제1 캐리어 장치(110)를 상기 구동 스핀들(200) 아래로 상승시키고 상기 제1 캐리어 장치(110)를 중립 위치에 대해 상대적으로 하강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대(1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대는 제2 캐리어 장치(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캐리어 장치는 상기 제1 캐리어 장치(110) 내에 통합되고 상기 제1 캐리어 장치(110)와 함께 중립 위치에 대해 하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대(1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캐리어 장치(112)를 상기 제1 캐리어 장치(1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제2 캐리어 장치(112)가 제2 구동 장치(11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대(10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유닛(120) 또는 제2 구동 유닛(114) 또는 상기 제1 구동 유닛(120) 및 제2 구동 유닛(114) 모두는, 각각 승강 장치를 통해 상기 제1 캐리어 장치(110) 또는 제2 캐리어 장치(112)와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대(10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런닝 유닛(105)은 왕복대를 이송하기 위해 런닝 휠들 또는 스키드 슈들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대(100).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왕복대의 독자적인 이송을 위해 제3 구동 유닛(140)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대(100).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왕복대(1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왕복대(100)를 롤 스탠드(300)의 구동 스핀들(200) 아래로 이송시키는 단계;
    왕복대의 제1 캐리어 장치(110) 또는 제2 캐리어 장치(112) 또는 왕복대의 제1 캐리어 장치(110) 및 제2 캐리어 장치(112) 모두를 상기 구동 스핀들(200) 아래로 상승시키는 단계;
    구동 스핀들을 수용하는 단계;
    구동 스핀들과 함께 제1 캐리어 장치 또는 제2 캐리어 장치 또는 제1 캐리어 장치 및 제2 캐리어 장치 모두를 하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스핀들(200)과 함께 왕복대를 인출 이송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작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대(100)를 상기 구동 스핀들(200) 아래로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롤 스탠드(300)를 통과하여 이 롤 스탠드의 작동 측(BS)으로부터 그 구동 측(AS)으로 이루어지고,
    왕복대의 인출 이송은 위의 반대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제1 캐리어 장치(100)를 포함하는 상기 왕복대(100)는 각각 중립 위치 또는 상승된 위치에서 작업 롤들이 분해된 롤 스탠드 내로 인입 이송되고,
    상기 제1 캐리어 장치(110)는 상기 구동 스핀들(200)의 헤드부(210)에 도달하기 전에 중립 위치 아래로, 그에 따라 상기 헤드부 아래로 하강되고,
    상기 제1 캐리어 장치(110) 또는 제2 캐리어 장치(112) 또는 상기 제1 캐리어 장치(110) 및 제2 캐리어 장치(112) 모두는, 헤드부를 통과한 후에, 구동 스핀들의 헤드부와 함께 그 구동 스핀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필요한 만큼 상기 구동 스핀들(200) 아래로 상승되며,
    그런 다음 상기 왕복대(100)는 상기 구동 스핀들(200)과 함께 인출 이송되지만, 제1 캐리어 장치 및 제2 캐리어 장치는 중립 위치 아래로 하강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대(100)가 상기 구동 스핀들(200) 아래로 이송되는 단계와, 이후 왕복대가 구동 스핀들과 함께 인출 이송되는 단계는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 스핀들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
  11. 제7항에 있어서, 왕복대가 구동 스핀들 아래로 이송되는 단계는 상기 롤 스탠드(300)를 통과하여 이루어지며,
    이후 왕복대가 구동 스핀들과 함께 인출 이송되는 단계는 장착된 상태에서 구동 스핀들의 종축에 대해 횡방향으로, 또는 그 반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제1 캐리어 장치 또는 제2 캐리어 장치 또는 제1 캐리어 장치 및 제2 캐리어 장치 모두는 각각 적어도 중립 위치에서 왕복대와 잠금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제1 캐리어 장치 또는 제2 캐리어 장치 또는 제1 캐리어 장치 및 제2 캐리어 장치 모두는 각각 하강된 위치에서 또는 상승된 위치에서 또는 하강된 위치 및 상승된 위치 모두에서 왕복대와 잠금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방법.
KR1020117009111A 2008-11-19 2009-08-17 롤 스탠드의 롤용 구동 스핀들을 이송하기 위한 왕복대 및 그 이송 방법 KR1012999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57926 2008-11-19
DE102008057926.2 2008-11-19
PCT/EP2009/005941 WO2010057545A1 (de) 2008-11-19 2009-08-17 Wagen und verfahren zum transportieren einer antriebsspindel für eine walze eines walzgerüst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899A KR20110058899A (ko) 2011-06-01
KR101299938B1 true KR101299938B1 (ko) 2013-08-26

Family

ID=4149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09111A KR101299938B1 (ko) 2008-11-19 2009-08-17 롤 스탠드의 롤용 구동 스핀들을 이송하기 위한 왕복대 및 그 이송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10289995A1 (ko)
EP (1) EP2358486B1 (ko)
JP (1) JP5490814B2 (ko)
KR (1) KR101299938B1 (ko)
CN (1) CN102215991A (ko)
BR (1) BRPI0921462A2 (ko)
RU (1) RU2481165C2 (ko)
UA (1) UA99062C2 (ko)
WO (1) WO20100575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54307B2 (en) * 2006-01-31 2011-06-07 R. A. Jones & Co. Inc. Adjustable pouch forming, filling and sealing apparatus and method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02655A1 (de) * 1975-01-29 1976-08-05 Davy Loewy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etzen bzw. entnehmen einer antriebsspindel eines walzwerkstaenders
JPS5594714A (en) * 1979-01-08 1980-07-18 Hitachi Ltd Rearranging apparatus for spindle of rolling mill
JPS62227512A (ja) * 1986-03-31 1987-10-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ミルスピンドルの交換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42837A (ko) * 1954-11-22
US3540254A (en) * 1968-03-20 1970-11-17 United States Steel Corp Apparatus for removing and replacing rolling mill drive spindles
JPS529422B2 (ko) * 1972-07-28 1977-03-16
JPS6228013A (ja) * 1985-07-29 1987-02-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ミルスピンドルの交換装置
SU1667969A1 (ru) * 1989-06-02 1991-08-07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е объединение "Новокраматорский машиностроительный завод" Лини клети прокатного стан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602655A1 (de) * 1975-01-29 1976-08-05 Davy Loewy Ltd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etzen bzw. entnehmen einer antriebsspindel eines walzwerkstaenders
JPS5594714A (en) * 1979-01-08 1980-07-18 Hitachi Ltd Rearranging apparatus for spindle of rolling mill
JPS62227512A (ja) * 1986-03-31 1987-10-06 Mitsubishi Heavy Ind Ltd ミルスピンドルの交換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90814B2 (ja) 2014-05-14
US20110289995A1 (en) 2011-12-01
RU2481165C2 (ru) 2013-05-10
BRPI0921462A2 (pt) 2016-09-06
WO2010057545A1 (de) 2010-05-27
EP2358486A1 (de) 2011-08-24
KR20110058899A (ko) 2011-06-01
UA99062C2 (ru) 2012-07-10
CN102215991A (zh) 2011-10-12
RU2011124932A (ru) 2012-12-27
EP2358486B1 (de) 2014-03-26
JP2012509183A (ja) 2012-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387980B (zh) 提升设备,特别是移动提升设备
CN105314342B (zh) 物流运输车及具有该物流运输车的物流运输列车
WO2011118246A1 (ja) ワーク搬送設備
WO2015055306A1 (de) Fördereinheit und fördersystem zum fördern von ladungsträgern
NL2010365C2 (en) Lifting column, lifting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a vehicle such as a rail-car.
CN1989037A (zh) 维修车辆
CN102311060A (zh) 升降装置
CN204794599U (zh) 一种电机定转子冲片叠压升降装置
CN206782706U (zh) 轨道小车
KR20130029627A (ko) 레일 이동형 계단 운용 대차
JP5981749B2 (ja) 車両整備システム及び車両整備方法
KR101299938B1 (ko) 롤 스탠드의 롤용 구동 스핀들을 이송하기 위한 왕복대 및 그 이송 방법
JP2013163898A (ja) 資材運搬装置及び資材運搬方法
JP5473294B2 (ja) 天井クレーンの据付け方法及び据付けシステム
KR20120041248A (ko) 롤 스탠드의 롤 핸들링 및/또는 이송 장치
JP4270401B2 (ja) 鉄道用保守車両
JPH1171098A (ja) 鉄道車両の持ち上げ装置
CN108975221A (zh) 一种轨道小车
JP5616660B2 (ja) 台車および重量物の設置方法
JP2010241304A (ja) 車両の台車取り外し設備および方法
JP2019006315A (ja) 脱線復旧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
JP2006248488A (ja) 軌道作業用トレーラーおよびその線路への移載方法
CN104975739B (zh) 用于仓储式停车设备的叉式交换机构
JP7173696B2 (ja) 鉄道車両の台車交換設備
CN106743253A (zh) 一种汽车车身定位机构顶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