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885B1 - 피로 회복을 위한 의약 - Google Patents

피로 회복을 위한 의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885B1
KR101299885B1 KR1020077030256A KR20077030256A KR101299885B1 KR 101299885 B1 KR101299885 B1 KR 101299885B1 KR 1020077030256 A KR1020077030256 A KR 1020077030256A KR 20077030256 A KR20077030256 A KR 20077030256A KR 101299885 B1 KR101299885 B1 KR 101299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tamin
medicament
adenosine
fatigue
thi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30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28889A (ko
Inventor
도시오 이나기
소우헤이 다나베
유끼노리 아마노
히로후미 야마시따
아끼요시 오오히라
노리까즈 야마구찌
도모히꼬 나까따
료우 가나야
Original Assignee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88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8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8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15Pyridoxine, i.e. Vitamin B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5Isoalloxazines, e.g. riboflavins, vitamin B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706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 A61K31/707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containing condensed or non-condensed pyrimidines containing purines, e.g. adenosine, adenyl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135Compounds containing heavy metals
    • A61K31/714Cobalamins, e.g. cyanocobalamin, i.e. vitamin B1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2Anxioly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4Antidepress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2Nutrients, e.g. vitamins, miner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eurosurgery (AREA)
  • Neu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sychia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로 회복을 위한 의약이며, 아데노신 5'-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동시에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투여하기 위한 조합을 포함하는 의약,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 5'-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형태의 상기 의약을 제공한다.
아데노신삼인산, 비타민 B류, 피로 회복

Description

피로 회복을 위한 의약 {PHARMACEUTICAL PREPARATION FOR RECOVERY FROM FATIGUE}
본 발명은 육체 피로 및/또는 정신 피로에 대하여 회복 작용을 갖는 의약에 관한 것이다.
최근, 피로로 괴로워하는 인구는 계속 증가하고 있다. 피로는 「신체적 또는 정신적 활동의 결과로서 생기는, 기능적인 능력이 저하된 일시적인 상태」라고 정의되어 있고, 일반적으로는 육체 피로와 정신 피로로 분류된다. 이들 피로는 QOL을 저하시킬 뿐 아니라 면역력 저하 등을 야기하여 생각하지 못한 질환 등으로 이어지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우수한 피로 회복 효과를 갖는 의약 조성물의 제공이 기대되고 있는 상황에 있다.
육체 피로는 운동 부하 등의 육체적 부하에 의해 직접적으로 야기되는 것이며, 그의 회복에는 충분한 휴식이 요구된다. 한편, 정신 피로는 환경 스트레스 등에 의해 야기되는 뇌를 비롯한 중추 신경계에서의 산화 스트레스의 축적이 원인인 것으로 시사되었고, 또한 산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생체 환원계의 혼란이 만성 피로 증후군이라는 피로의 만연화를 야기하는 것이 명백해졌다(하기 비특허 문헌 1). 정신 피로의 회복에는 산화 스트레스를 경감시키고, 신경 기능을 정상적인 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알려져 있다(하기 비특허 문헌 2).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vasoactive intestinal polypeptide)는 신경 펩티드 중 하나이고, 중추 신경계에서 신경 보호 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되었다(하기 비특허 문헌 3). 또한, 이 펩티드는 산화 스트레스에 대하여 방어적으로 작용하는 것도 보고되었다(하기 비특허 문헌 4). 따라서,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킴으로써, 산화 스트레스가 원인이 되는 정신 피로에 대한 회복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육체 피로 및/또는 정신 피로를 포함하는 피로 증상의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의약 조성물로서 비타민 B군을 함유하는 의약 조성물이 제공되었다. 이러한 의약 조성물은 육체 피로, 병중 병후, 식욕 부진, 영양 장해 또는 발열성 소모성 질환 등에 있어서의 영양 보급, 자양 강장, 및 허약 체질의 개선 등을 목적으로 하여 개발된 것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말초 혈관 확장제인 헤프로니카토와 비타민 B군을 포함하는 피로 회복 의약 조성물(하기 특허 문헌 1)이나, 저하된 심박출량의 개선 작용 등을 갖는 유비데카레논와 비타민 B1 유도체를 포함하는 육체 피로 회복제(하기 특허 문헌 2)가 알려져 있다.
한편, 아데노신 5'-삼인산(이하,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데노신삼인산」이라 하는 경우가 있음)은 고에너지 인산 결합을 갖는 화합물이고, 아데노신 5'-이인산(ADP)과 인산으로 가수분해될 때에 대량의 에너지를 방출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성질로부터, 아데노신삼인산은 인산 공여체로서 당질, 지방 또는 단백 질 등의 대사에 널리 관여하고, 아데노신삼인산의 가수분해 반응에 의해 생기는 에너지는 생체에 있어서의 에너지 요구성 반응의 추진력이 되었다.
아데노신삼인산의 의약으로서의 이용에 대해서는, 두부 외상 후유증, 심부전, 조절성 안정 피로에 있어서의 조절 기능의 안정화, 소화관 기능 저하를 볼 수 있는 만성 위염에 대하여 장용정 또는 과립으로서 경구적으로 1회 40 내지 60 mg을 1일 3회, 또는 메니에르병 및 내이(內耳) 장해에 기초하는 현기증에 대하여 1회 100 mg을 1일 3회 투여하는 약물 요법이 채용되었다. 그러나, 아데노신삼인산의 피로 회복 작용에 대해서 종래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또한, 아데노신삼인산과 비타민 B1 유도체를 조합한 의약이 안정 피로에 대하여 치료 효과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하기 특허 문헌 3). 그러나, 이들 간행물 중 어디에도, 아데노신삼인산과 비타민 B군을 조합함으로써 피로 회복 효과에 대한 상승 작용이 발휘되는 것, 및 이들의 조합이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켜 정신 피로에 대하여 높은 회복 효과를 발휘하는 것은 시사 내지 교시되지 않았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3-119139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10-287560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1-308232호 공보
비특허 문헌 1: 피로와 미병 - 피로의 분자 신경 메카니즘, 의학의 발걸음, 198(3), 2001
비특허 문헌 2: 산화 스트레스와 뇌의 피로, 의학의 발걸음, 204(5), 2003
비특허 문헌 3: Expert Opin. Ther. Targets, 9(5), 923-929, 2005
비특허 문헌 4: J. Mol. Neurosci., 15, 137-145, 2001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본 발명의 과제는 육체 피로 및/또는 정신 피로에 대하여 회복 작용을 갖는 의약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행한 결과, 의외로 아데노신삼인산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병용함으로써 현저한 피로 회복 효과가 확인되는 것, 및 이들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 상승적인 피로 회복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아데노신삼인산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병용함으로써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 유전자의 발현이 촉진되어, 정신 피로에 대한 회복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발견에 기초하여 완성되었다.
즉, 본 발명에 의해, 피로 회복을 위한 의약이며,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동시에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투여하기 위한 조합을 포함하는 의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형태의 상기 의약, 및 아데노신삼인산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인 상기 의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가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및 비타민 B1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인 상기 의약; 비타민 B1이 티아민디술피드, 염산티아민, 질산티아민, 질산비스티아민, 티아민디세틸질산에스테르염, 염산디세티아민, 염산푸르술티아민, 옥토티아민, 시코티아민, 비스이부티아민, 비스벤티아민, 푸르술티아민, 및 프로술티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상기 의약; 비타민 B2가 리보플라빈, 인산리보플라빈 및 리보플라빈 모노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상기 의약; 비타민 B6가 염산피리독신, 인산피리독살 및 피리독사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상기 의약; 및 비타민 B12가 시아노코발라민, 메틸코발라민, 히드록소코발라민 및 아데노실코발라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상기 의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비타민 B류로서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및 비타민 B12의 조합을 포함하는 상기 의약; 및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1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B1을 0.0003 내지 20 중량부, 비타민 B2를 0.0005 내지 8 중량부, 비타민 B6를 0.001 내지 20 중량부 및 비타민 B12를 0.0000003 내지 0.3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상기 의약이 제공된다.
다른 관점에서는, 상기 의약의 제조를 위한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및/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의 사용, 및 피로 회복 방법으로서,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동물에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의 유효량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의 유효량을 동시에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 및 피로의 예방 및/또는 치료 방법으로서,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동물에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의 유효량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의 유효량을 동시에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동시에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투여하기 위한 조합을 포함하는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 유전자 발현 촉진제,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동시에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투여하기 위한 조합을 포함하는 산화 스트레스 저감제,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 동물의 생체내에서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방법으로서,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의 유효량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의 유효량을 동시에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투여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의약은 피로 회복을 위한 의약으로서,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동시에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투여하기 위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의약은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단위 투여 형태의 제제와,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류를 각각 또는 함께 포함하는 단위 투여 형태의 제제와의 조합으로서 제공되거나,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류를 동시에 포함하는 단위 투여 형태의 의약 조성물로서 제공된다. 아데노신삼인산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류를 함께 포함하는 단위 투여 형태의 의약 조성물로서 제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에서 사용되는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은 공지된 물질이고, 당업자가 용이하게 입수 가능하다. 아데노신삼인산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마그네슘염 또는 칼슘염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포함하는 제제는 이미 경구 투여 형태의 제제 또는 주사제로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제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합 의약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시판용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의 제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예를 들면, 「아데호스」 코와 가부시키가이샤, 「ATP」 다이이찌 세이야꾸 가부시키가이샤, 교와 학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등이 시판하고 있음).
본 발명의 의약에서 사용되는 비타민 B류로서는, 예를 들면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또는 비타민 B12 등을 들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의약은 적어도 2종 이상의 다른 비타민 B류(예를 들면 비타민 B1 및 비타민 B2 등)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및 비타민 B1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및 비타민 B12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3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및 비타민 B12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이다.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이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을 단독으로 포함하는 제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조합 의약을 제공하는 경우에는, 비타민 B류를 포함하는 제제로서,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하나의 투여 단위에 포함하는 제제를 이용할 수도 있고,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의 각각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하는 2종 이상의 제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비타민 B1으로서는, 비타민 B1 외에 비타민 B1 유도체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들의 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티아민디술피드, 염산티아민, 질산티아민, 질산비스티아민, 티아민디세틸질산에스테르염, 염산디세티아민, 염산푸르술티아민, 옥토티아민, 시코티아민, 비스이부티아민, 비스벤티아민, 푸르술티아민 또는 프로술티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2종 이상 조합하여 비타민 B1으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 티아민디술피드가 특히 바람직하다.
비타민 B2로서는, 비타민 B2 외에 비타민 B2의 유도체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들의 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리보플라빈, 인산리보플라빈 또는 리보플라빈 모노뉴클레오티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2종 이상 조합하여 비타민 B2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 리보플라빈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타민 B6로서는, 비타민 B6 외에 비타민 B6의 유도체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들의 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염산피리독신, 인산피리독살 또는 피리독사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2종 이상 조합하여 비타민 B6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 염산피리독신이 특히 바람직하다.
비타민 B12로서는, 비타민 B12 외에 비타민 B12의 유도체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들의 염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시아노코발라민, 메틸코발라민, 히드록소코발라민 또는 아데노실코발라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을 2종 이상 조합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들 중에서 시아노코발라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에 있어서의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와의 조합 비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그와 같은 비율은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시험 방법에 의해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데노신삼인산 1 중량부에 대하여,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류의 합계가 0.001 내지 50 중량부 정도인 범위에서 선택할 수 있지만, 이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삼인산 1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B1을 0.0003 내지 20 중량부 정도, 비타민 B2를 0.0005 내지 8 중량부 정도, 비타민 B6를 0.001 내지 20 중량부 정도 및 비타민 B12를 0.0000003 내지 0.3 중량부 정도의 범위에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한 것은, 비타민 B류로서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및 비타민 B12의 4 종류를 이용하여, 아데노신삼인산 1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B1을 0.003 내지 2 중량부 정도, 비타민 B2를 0.005 내지 0.8 중량부 정도, 비타민 B6를 0.01 내지 2 중량부 정도 및 비타민 B12를 0.000003 내지 0.03 중량부 정도의 범위로 하는 경우이다.
본 발명의 의약은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의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의약 조성물로서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의약 조성물 또는 비경구 투여에 적합한 의약 조성물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에 적합한 의약 조성물로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경구 투여에 적합한 의약 조성물은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하나의 단위 투여 형태에 포함하는 고체상, 반고체상 또는 액상의 의약 조성물로서 제공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의약 조성물의 제조에는, 필요에 따라서 당업계에서 통상 이용되는 제제용 첨가물을 1종 또는 2종 이상 이용할 수도 있다. 제제용 첨가물로서는, 예를 들면 부형제, 결합제, 붕괴제, 활택제, 착색제, 교미제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부형제로서는 젖당, 전분류, 결정 셀룰로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또는 경질 무수 규산 등을 들 수 있다. 결합제로서는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젤라틴, 알파화 전분, 폴리비닐피롤리돈, 폴리비닐알코올 또는 풀룰란 등을 들 수 있다. 붕괴제로서는 카르멜로스, 카르멜로스칼슘, 크로스카르멜로스나트륨, 크로스포비돈, 옥수수 전분 또는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등을 들 수 있다. 활택제로서는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또는 탈크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로서는 타르 색소 또는 삼이산화철 등을 들 수 있다. 교미제로서는 스테비아, 아스파탐 또는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을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포함하는 경구 투여 가능한 의약 조성물로서 제공하는 데 있어서, 의약 조성물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산제, 과립제, 정제, 츄어블정, 필름 코팅정, 당의정, 드링크제 등의 용액제, 연캡슐제, 경캡슐제 또는 젤리제 등의 의약 조성물로서 제조할 수 있고, 이들 중에서 정제, 츄어블정, 필름 코팅정 또는 당의정 형태의 의약 조성물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의 투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의약의 형태, 적용되어야 할 피로 증상의 정도 또는 환자의 연령 등의 각종 조건에 따라서 적절하게 선택 가능하다. 통상의 경우, 성인에 대하여 아데노신삼인산을 6 내지 3000 mg/일 정도, 특히 20 내지 300 mg/일 정도를 투여할 수 있고, 상기 아데노신삼인산의 투여량에 따라서 상술한 비율에 의해 적어도 2종의 비타민 B류의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의 투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동시에 또는 시간을 변화시켜 투여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동시에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를 시간을 변화시켜 투여하는 경우에는, 먼저 투여한 유효 성분의 혈중 농도가 저하되지 않는 시간내에 다른 유효 성분을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의약은 운동 부하 등의 신체적 부하에 따른 피로 등의 육체 피로, 또는 환경 스트레스 등의 정신적 부하, 산화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피로 등의 정신 피로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의약은 육체 피로 및/또는 정신 피로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작용을 가지므로, 육체 피로 및/또는 정신 피로에 대하여 우수한 예방 및/또는 치료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또한, 그 피로 회복 작용에 기초하여 다음의 다양한 증상의 완화: 신경통, 근육통, 등의 통증, 관절통(요통, 어깨 결림, 오십견 등), 손발 저림 또는 관절염, 또는 다음의 부정 수소(愁訴): 동계, 저림, 부종, 현기증 또는 전신 권태, 또는 병중 병후, 식욕 부진, 영양 장해 또는 발열성 소모성 질환 등의 영양 보급, 자양 강장, 또는 허약 체질의 개선 등의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제예 1
3정 중에 이하의 성분 및 분량을 포함하는 정제를 통상의 타정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 60.0 mg
티아민디술피드 24.0 mg
리보플라빈 1.5 mg
염산피리독신 24.0 mg
시아노코발라민 60 ㎍
젖당 301.5 mg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2.5 mg
폴리비닐피롤리돈 K30 13.5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0 mg
합계 450.0 mg(150.0 mg/정)
제제예 2
1일량 중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 60.0 mg
질산티아민 10.0 mg
리보플라빈 4.0 mg
염산피리독신 10.0 mg
숙신산 dl-α-토코페롤칼슘 20.7 mg
아스코르브산나트륨 112.6 mg
니코틴산아미드 25.0 mg
가시오가피 건조 엑기스(원생약 환산량 300 mg) 12.0 mg
황기 건조 엑기스(원생약 환산량 240 mg) 30.0 mg
염산아르기닌 50.0 mg
무수 카페인 50.0 mg
경화유 30.0 m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4.0 mg
결정 셀룰로오스 125.7 mg
카르멜로스 30.0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6.0 mg
합계 600.0 mg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 450 g, 질산티아민 75 g, 리보플라빈 30 g, 염산피리독신 75 g, 숙신산 dl-α-토코페롤칼슘 155.25 g, 아스코르브산나트륨 844.5 g, 니코틴산아미드 187.5 g, 가시오가피 건조 엑기스 90 g, 황기 건조 엑기스 225 g, 염산아르기닌 375 g, 무수 카페인 375 g, 경화유 225 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80 g, 결정 셀룰로오스 942.75 g, 카르멜로스 225 g을 고속 교반 조립기(파우렉: FM-VG-25형)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에탄올 600 g을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유동층 건조기(프로인트 산교: NFLO-5형)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정립기(오카다 세이꼬: ND-10S형)를 이용하여 정립하였다. 이 정립물 4455 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45 g을 혼합기(고토부키 기켄 고교: PM-50)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직경 8 mm, 곡률 반경 10 mm의 절굿공이를 장착한 타정기(하따 뎃꼬쇼: HT-AP18SS형)로 1정 200 mg의 정제를 얻었다.
제제예 3
1일량 중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 120.0 mg
벤포티아민 138.3 mg
리보플라빈 12.0 mg
염산피리독신 50.0 mg
시아노코발라민 60 ㎍
감마 오리자놀 10.0 mg
숙신산 dl-α-토코페롤칼슘 103.6 mg
D-만니톨 106.0 mg
결정 셀룰로오스 120.1 m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37.5 mg
카르멜로스칼슘 45.0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7.5 mg
합계 750.0 mg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 720 g, 벤포티아민 829.8 g, 리보플라빈 72 g, 염산피리독신 300 g, 감마 오리자놀 60 g, 숙신산 dl-α-토코페롤칼슘 621.6 g, D-만니톨 636 g, 결정 셀룰로오스 720.6 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225 g, 카르멜로스칼슘 270 g을 고속 교반 조립기(파우렉: FM-VG-25형)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미리 시아노코발라민 360 mg을 용해시킨 에탄올 500 g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정립기(오카다 세이꼬: ND-10S형)를 이용하여 파쇄 조립하였다. 이 조립물을 유동층 건조기(프로인트 산교: NFLO-5형)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정립기(오카다 세이꼬: ND-10S형)를 이용하여 정립하였다. 이 정립물 4455 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45 g을 혼합기(아사히 고교: B2/109형)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직경 8.5 mm, 곡률 반경 12 mm의 절굿공이를 장착한 타정기(하따 뎃꼬쇼: HT-AP18SS형)로 1정 250 mg의 정제를 얻었다.
제제예 4
1일량 중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 120.0 mg
염산푸르술티아민 100.0 mg
염산피리독신 100.0 mg
시아노코발라민 1500 ㎍
감마 오리자놀 10.0 mg
숙신산 dl-α-토코페롤칼슘 103.6 mg
판토텐산칼슘 30.0 mg
경화유 60.0 mg
결정 셀룰로오스 181.1 m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32.4 mg
카르멜로스 64.8 m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6.6 mg
합계 810.0 mg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 720 g, 염산푸르술티아민 600.0 g, 염산피리독신 600 g, 감마 오리자놀 60 g, 숙신산 dl-α-토코페롤칼슘 621.6 g, 판토텐산칼슘 180 g, 경화유 360 g, 결정 셀룰로오스 1086.6 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94.4 g, 카르멜로스 388.8 g을 고속 교반 조립기(파우렉: FM-VG-25형)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미리 시아노코발라민 9 g을 용해시킨 에탄올 600 g을 첨가하여 혼합하고, 정립기(오카다 세이꼬: ND-10S형)를 이용하여 파쇄 조립하였다. 이 조립물을 유동층 건조기(프로인트 산교: NFLO-5형)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후, 정립기(오카다 세이꼬: ND-10S형)를 이용하여 정립하였다. 이 정립물 4820.4 g, 스테아르산마그네슘 39.6 g을 혼합기(아사히 고교: B2/109형)에 투입하여 혼합한 후, 직경 8.5 mm, 곡률 반경 14 mm 및 4 mm의 절굿공이를 장착한 타정기(하따 뎃꼬쇼: HT-AP18SS형)로 1정 270 mg의 정제를 얻었다.
시험예 1
하기 방법에 따라서 운동 부하 실험을 행하였다.
<시험 방법>
5 주령의 BALB/C계 웅성 마우스를, 34 ℃로 유지한 물을 7 L/분의 속도로 순환시킨 수조내에 넣고, 물 속에 연속해서 7 초간 가라앉을 때까지 운동 부하시켰다. 이어서, 피검 물질을 동물에게 경구 투여하여 30 분간 휴식시킨 후, 다시 운동 부하를 행하고, 물 속에 연속해서 7 초간 가라앉을 때까지의 시간(최대 유영 시간. 이하 동일)을 측정하였다.
피검 물질로서는,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이하, 실시예에 있어서 「ATP」라 함) 60 mg, 비타민 B류(이하, 실시예에 있어서 「VBs」라 함)로서 티아민디술피드 24 mg, 리보플라빈 1.5 mg, 염산피리독신 24 mg 및 시아노코발라민 60 ㎍의 조합, ATP와 VBs의 조합(이하, 실시예에 있어서 「ATP+VBs」라 함)을 이용하여, 이들을 0.5 % 메틸셀룰로오스(이하, 실시예에 있어서 「MC」라 함)에 현탁 또는 용해시켜 시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7093062618-pct00001
MC를 투여한 대조군과의 비교에 있어서, ATP 또는 VBs의 단독 투여군에서는 최대 유영 시간의 연장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의약의 투여군(ATP+VBs)에 있어서는 현저한 최대 유영 시간의 연장이 확인되었다. 대조군에 대한 최대 유영 시간의 연장 비율은, ATP 투여군에 있어서 1.14, VBs 투여군에 있어서 0.95이고, 이들의 곱(1.08)은 ATP+VBs의 2.18보다 작아, 벌지의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의약에 포함되는 ATP 및 VBs는 상승 효과를 발휘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의약은, 운동 부하에 따른 육체 피로 및 수중 환경에서의 환경 스트레스에 의해 야기되는 정신 피로에 대하여, ATP 및 VBs의 조합에 의한 상승적인 피로 회복 효과를 갖는 것이 명백해졌다.
시험예 2
산화 스트레스를 부하하는 유영 모델(Basic and Cli. Pharmacol. Toxicol., 97, pp.218-221, 2005, Gen. Physiol. Biophys., 23, pp.241-249, 2004)을 이용하여, 하기 방법에 의해 정신 피로에 대한 본 발명의 의약의 효과를 마이크로어레이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a) 스트레스 부하 마우스의 제조 및 뇌의 채취
미리 수온 34 ℃로 조정한 온수를 7 L/분의 유속으로 순환시킨 수조내에 BALB/c 마우스(수컷, 5 주령(투여시))를 투입하고, 물 속에 7 초간 가라앉을 때까지 유영시켜 부하를 줌과 동시에 최대 유영 시간을 측정하였다. 유영 종료 직후에 피검 물질 또는 대조 물질을 경구 투여하여 30 분간 휴식시키고, 다시 수조내에 마우스를 투입하였다. 최대 유영 시간의 50 %에 상당하는 시간 동안 마우스를 유영시킨 후, 수조로부터 들어올렸다. 탄산 가스로 기절시킨 후에 단두 방혈 후, 뇌(중앙부 약 5 ㎟)를 채취하였다.
피검 물질로서는, 마우스 체중당 아데노신삼인산이나트륨 60 mg/kg, 비타민 B류로서 티아민디술피드 24 mg/kg, 리보플라빈 1.5 mg/kg, 염산피리독신 24 mg/kg 및 시아노코발라민 60 ㎍/kg의 조합(이하, 실시예에 있어서 「ATP+VBs」라 함)을 이용하여, 이것을 0.5 % 메틸셀룰로오스에 현탁 또는 용해시켜 경구 투여하였다. 대조 물질로서 0.5 % 메틸셀룰로오스(이하, 실시예에 있어서 「MC」라 함)를 투여하였다. 또한, 유속은 유속계를 이용하여 일정해지도록 조정하였다.
(b) 토탈(total) RNA의 추출 및 형광 표지
토탈 RNA의 추출에는 RNeasy Lipid Tissue Mini kit(QIAGEN사 제조)를 이용하였다. 즉, 채취한 조직을 튜브에 넣고, QIAzol Lysis Reagent를 200 ㎕ 첨가하고, 균질기(226AXG, 유겐가이샤 이. 에스. 오)를 이용하여 파쇄 후, QIAzol Lysis Reagent를 800 ㎕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5 분간 정치한 후, 클로로포름을 200 ㎕ 첨가하여 15 초간 격렬하게 교반하고, 실온에서 2 분간 정치한 후, 12000 rpm(12000×g), 4 ℃, 15 분(Kendro, SORVALL fresco, 이하 본 시험예에 있어서의 원심 분리는 전부 동일한 기기를 사용)의 조건에서 원심 분리하여, 3층 중 상층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샘플에 70 % 에탄올을 600 ㎕ 첨가하여 격렬하게 교반함으로써 완전히 혼합하였다. 혼합액을 컬렉션 튜브를 장착한 RNeasy 칼럼(이하 칼럼이라 함)에 첨가하고, 12000 rpm(12000×g), 20 ℃, 15 초의 조건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혼합액을 통과시킨 칼럼에 Buffer RW1을 700 ㎕ 첨가하고, 튜브의 뚜껑을 닫아 12000 rpm(12000×g), 20 ℃, 15 초의 조건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칼럼을 새로운 컬렉션 튜브에 옮기고, Buffer RPE를 500 ㎕ 첨가하였다. 튜브의 뚜껑을 닫아 12000 rpm(12000×g), 20 ℃, 15 초의 조건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다시 Buffer RPE를 500 ㎕ 첨가하고, 튜브의 뚜껑을 닫아 12000 rpm(12000×g), 20 ℃, 2 분의 조건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칼럼내의 멤브레인이 건조된 것을 확인한 후, 칼럼을 1.5 mL 마이크로튜브에 옮기고, RNase 무함유 물을 30 ㎕ 첨가하였다. 1 분간 정치한 후, 12000 rpm(12000×g), 20 ℃, 1 분의 조건에서 원심 분리함으로써 토탈 RNA를 용출시켰다. 본 용출 조작은 칼럼당 2회 행하였다. 얻어진 토탈 RNA 샘플에 대하여, NanoDrop(ND-1000, NanoDrop사 제조)을 이용하여 농도 측정을 행하였다. 토탈 RNA 농도는 파장 260 nm(이하 A260이라 함)의 흡광도를 기초로 하기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토탈 RNA 농도(ng/㎕)=(각 샘플의 A260-대조의 A260)×40
얻어진 토탈 RNA 중, 유영 부하를 주지 않은 무처치군에 대해서는 1예를, ATP+VBs 투여군 및 MC 투여군에 대해서는 각각 2예를 해석에 사용하였다. 각 동물로부터 얻어진 토탈 RNA 400 ng을 이용하여, Low RNA Input 선형 증폭 & 라벨화 키트(Agilent사 제조)에 의한 라벨링을 행하였다. 즉, 토탈 RNA를 400 ng, T7 프로모터 프라이머를 1.2 ㎕, 뉴클레아제 무함유 물을 혼합하여 합계 11.5 ㎕로 만든 후, 65 ℃에서 10 분간 인큐베이션하고, 5 분간 빙냉 후, 미리 65 ℃로 가온한 5× First strand buffer를 4 ㎕, 0.1 M DTT를 2 ㎕, 10 mM dNTP mix를 1 ㎕, MMLV-RT를 1 ㎕, RNaseOUT를 0.5 ㎕ 첨가하여 40 ℃에서 2 시간 인큐베이션하였다. 65 ℃에서 10 분간 인큐베이션함으로써 반응을 정지시킨 후, 5 분간 빙냉하였다. 빙냉 후, 뉴클레아제 무함유 물을 15.3 ㎕, 4× Transcription buffer를 20 ㎕, 0.1 M DTT를 6 ㎕, NTP mix를 8 ㎕, 미리 40 ℃로 가온한 50 % PEG를 6.4 ㎕, RNaseOUT를 0.5 ㎕, 무기 피로포스파타제를 0.6 ㎕, T7 RNA 폴리머라제를 0.8 ㎕ 첨가하여 혼합하였다. 혼합 후, 무처치군 샘플에 대해서는 Cyanine-3-CTP(이하 Cy3)를, ATP+VBs 투여군, MC 투여군의 샘플에 대해서는 Cyanine-5-CTP(이하 Cy5)를 각각 2.4 ㎕ 첨가하고, 40 ℃에서 2 시간 동안 차광하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반응 종료 후, RNeasy mini kit(QIAGEN사 제조)를 이용하여 반응물(이하 라벨화 cRNA라 함)의 정제를 행하였다. 즉, 샘플에 Buffer RLT를 350 ㎕, 100 % 에탄올을 250 ㎕ 첨가하고, 혼합 후 칼럼에 적용시켜 10000×g, 30 초의 조건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칼럼에 RPE buffer를 500 ㎕ 첨가하여 10000×g, 30 초의 조건에서 원심 분리함으로써 칼럼을 세정하였다. 본 세정 조작은 2회 행하였다. RNase 무함유 물을 30 ㎕ 첨가하고, 1 분간 정치한 후 10000×g, 30 초의 조건에서 원심 분리함으로써 라벨화 cRNA를 용출시켰다. 본 용출 조작은 2회 행하였다.
(c) 하이브리디제이션 및 해석
얻어진 라벨화 cRNA를 이용하여, In situ hybridization kit plus(Agilent사 제조)에 의한 mouse microarray oligo(이하 마우스올리고)와의 하이브리디제이션을 행하였다. 즉, Cy3 라벨화 cRNA 0.75 ㎍ 상당과 Cy5 라벨화 cRNA 0.75 ㎍ 상당, 10× 컨트롤 타겟 50 ㎕와 뉴클레아제 무함유 물을 혼합하여 합계 215 ㎕(이후, 2× 타겟 솔루션이라 함)로 하고, 2× 타겟 솔루션을 215 ㎕, 25× 프래그멘테이션 버퍼를 9 ㎕ 첨가하여 60 ℃에서 30 분간 차광하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2× 하이브리디제이션 버퍼를 225 ㎕ 첨가하여 반응 정지시킨 후, 마이크로어레이용 챔버내에서 마우스올리고에 적용하고, 60 ℃에서 17 시간 하이브리디제이션을 행하였다. 반응 종료 후, 마우스올리고를 0.005 % TritonX-102 함유 6× SSC 및 0.005 % TritonX-102 함유 0.1× SSC로 세정하고, 질소 가스로 건조시켰다. 건조시킨 마우스올리고를 마이크로어레이 스캐너(Agilent사 제조)에 적용하여 화상을 저장한 후, 영상화 소프트 Feature Extraction을 이용하여 스폿의 영상화 및 시그널 강도의 수치화를 행하였다. 얻어진 수치에 대하여 Microsoft EXCEL 및 GeneSpring(Silicon Genetics사 제조)으로써 해석을 행하였다.
<시험 결과 및 고찰>
마우스올리고에 탑재되어 있는 프로브 중, 컨트롤 프로브 및 노이즈에 의해 측정값의 신뢰성이 낮은 프로브를 제거하고, 나머지 약 20000 유전자에 대하여 해석을 행하였다. 무처치군과 MC 투여군의 비교로부터, 스트레스 부하에 의해 발현량이 2배 이상 증가한 유전자가 27 유전자, 반대로 발현량이 1/2 이하로 감소된 유전자가 68 유전자 확인되었다. 또한, 무처치군과 ATP+VBs 투여군의 비교로부터, ATP+VBs의 투여 후 스트레스 부하를 행한 것에 의해 발현량이 2배 이상으로 증가한 유전자가 69 유전자, 반대로 발현량이 1/2 이하로 감소한 유전자가 112 유전자 확인되었다. 이들 중에서 스트레스 부하시 및 ATP+VBs 투여 후 스트레스 부하시에 발현량이 2배 이상 증가한 유전자에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 유전자가 포함되어 있었다. 각 군에 있어서의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 유전자의 시그널값 및 MC 투여군과 ATP+VBs 투여군의 시그널값의, 무처치군의 시그널값에 대한 비율(대 컨트롤비)을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07093062618-pct00002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 유전자의 발현 증가 비율은, 무처치군의 발현량을 1이라 한 경우, MC 투여군에서 2.04, ATP+VBs 투여군에서 4.61이어서, MC 투여군과 비교하여 ATP+VBs 투여군에 있어서 그 발현량의 현저한 증가가 확인되었다. 이로부터, ATP+VBs의 투여에 의해, 산화 스트레스에 대하여 방어적으로 작용하는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 유전자의 발현이 촉진되는 것이 명백해졌고, 본 발명의 의약은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것, 및 이에 의해 산화 스트레스에서 기인하는 정신 피로에 대하여 회복 효과를 갖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의 의약은 아데노신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및 적어도 2종 이상의 비타민 B류의 상승 작용에 의해 매우 우수한 피로 회복 작용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의약은 혈관 활성 장 폴리펩티드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시키는 작용을 갖는다. 따라서, 육체 피로 및/또는 정신 피로에 대하여 우수한 회복 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Claims (7)

  1. 자양강장변질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의약이며, 아데노신 5'-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및 비타민 B12의 조합인 비타민 B류를 동시에 투여하기 위한 조합을 포함하는 의약.
  2.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B1이 티아민디술피드, 염산티아민, 질산티아민, 질산비스티아민, 티아민디세틸질산에스테르염, 염산디세티아민, 염산푸르술티아민, 옥토티아민, 시코티아민, 비스이부티아민, 비스벤티아민, 푸르술티아민 및 프로술티아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비타민 B1이고, 비타민 B2가 리보플라빈, 인산리보플라빈 및 리보플라빈 모노뉴클레오티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비타민 B2이고, 비타민 B6가 염산피리독신, 인산피리독살 및 피리독사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비타민 B6이고, 비타민 B12가 시아노코발라민, 메틸코발라민, 히드록소코발라민 및 아데노실코발라민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비타민 B12인 의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데노신 5'-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과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6 및 비타민 B12의 조합인 비타민 B류를 포함하는, 의약 조성물 형태의 의약.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데노신 5'-삼인산의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 아데노신 5'-삼인산이나트륨인 의약.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아데노신 5'-삼인산 또는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1 중량부에 대하여 비타민 B1을 0.0003 내지 20 중량부, 비타민 B2를 0.0005 내지 8 중량부, 비타민 B6를 0.001 내지 20 중량부 및 비타민 B12를 0.0000003 내지 0.3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하는 의약.
  7. 삭제
KR1020077030256A 2005-05-27 2006-05-26 피로 회복을 위한 의약 KR1012998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55319 2005-05-27
JPJP-P-2005-00155319 2005-05-27
PCT/JP2006/310519 WO2006126663A1 (ja) 2005-05-27 2006-05-26 疲労回復のための医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889A KR20080028889A (ko) 2008-04-02
KR101299885B1 true KR101299885B1 (ko) 2013-08-23

Family

ID=37452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30256A KR101299885B1 (ko) 2005-05-27 2006-05-26 피로 회복을 위한 의약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032310B2 (ko)
KR (1) KR101299885B1 (ko)
CN (1) CN101184496A (ko)
WO (1) WO20061266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496812B (zh) * 2008-01-28 2010-10-13 中国水产科学研究院东海水产研究所 重伤大型中华鲟快速康复组剂
CN101785780B (zh) * 2010-04-07 2014-05-21 深圳市资福药业有限公司 一种腺苷钴胺与腺苷组合物的制剂及其制备方法
CN102000104A (zh) * 2010-11-24 2011-04-06 南方医科大学 三磷酸腺苷及其衍生物在制备抗抑郁和/或抗焦虑药物的用途
JP5961034B2 (ja) * 2011-04-28 2016-08-02 興和株式会社 安定化方法
WO2014040067A1 (en) 2012-09-10 2014-03-13 Metabolic Technologies, Inc. Composition of hmb and atp and methods of use
JPWO2019013234A1 (ja) 2017-07-11 2020-07-02 武田コンシューマーヘルスケア株式会社 ビタミンb1類を配合する固形製剤
US10888576B2 (en) 2018-10-08 2021-01-12 Metabolic Technologies, Inc. Composition of HMB and ATP and methods of use
WO2020224795A1 (en) * 2019-05-06 2020-11-12 Ferrer Internacional, S.A. Multilayer pharmaceutical or nutraceutical solid dosage forms comprising pyrimidine and/or purine derivatives and b vitamins, preparation and uses thereof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7564A (en) * 1988-06-03 1991-05-21 Senju Pharmaceutical Co., Ltd. Solid pharmaceutical prepar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5963A (ja) * 1993-04-21 1994-11-01 Taisho Pharmaceut Co Ltd 疲労改善剤
JPH10287560A (ja) * 1997-04-11 1998-10-27 Taisho Pharmaceut Co Ltd 医薬組成物
US20030069203A1 (en) * 2001-06-04 2003-04-10 Lee Steve S. Method for increasing human performance by reducing muscle fatigue and recovery time through oral administration of adenosine triphosphate
JP2003040793A (ja) * 2001-07-24 2003-02-13 Arie:Kk シートパック化粧料、飲用カプセル及び飲用錠剤
JP2003119139A (ja) * 2001-10-12 2003-04-23 Ss Pharmaceut Co Ltd 疲労回復医薬組成物
JP2005023008A (ja) * 2003-07-01 2005-01-27 Sankyo Co Ltd ビタミンb群を含有する内服液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17564A (en) * 1988-06-03 1991-05-21 Senju Pharmaceutical Co., Ltd. Solid pharmaceutical prepar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184496A (zh) 2008-05-21
JP5032310B2 (ja) 2012-09-26
WO2006126663A1 (ja) 2006-11-30
JPWO2006126663A1 (ja) 2008-12-25
KR20080028889A (ko) 200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9885B1 (ko) 피로 회복을 위한 의약
Stief et al. Effects of sildenafil on cAMP and cGMP levels in isolated human cavernous and cardiac tissue
KR100879559B1 (ko) 미토콘드리아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용 제약조성물
US8268837B2 (en) Use of c-Src inhibitors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STI571 for the treatment of leukaemia
JPH07507540A (ja) 多発性硬化症の治療のための置換アデニン誘導体を含む薬学的組成物
CN107921054B (zh) 细胞内atp增强剂
US20110257119A1 (en) Microcirculation improvement and/or treatment
NO317341B1 (no) Vorikonazol
JP2002528507A (ja) 神経疾患および病態心理学的疾患の治療および予防用の組成物
US5883095A (en) Formulations and methods to treat and prevent equine protozoal myeloencephalitis
CN107847513A (zh) 包含烟酰胺腺嘌呤二核苷酸的用于预防及治疗肥胖或糖耐量减低的组合物
HUE033210T2 (hu) Rákellenes aktivitású 2-dezoxi-monoszacharidok új acetátjai
JPH08503699A (ja) 全身性炎症と炎症性肝炎の治療のためのピリミジンヌクレオチド前駆体
KR102103657B1 (ko) 이소성 지방 축적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a3 아데노신 수용체 리간드
CA2492368A1 (fr) Compositions destinees au traitement des neuropathies peripheriques, preparation et utilisations
KR0133555B1 (ko) 5-플루오로우라실계 화합물에 기인한 염증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비-주사제 형태의 항암조성물
CN110225767B (zh) 细胞内atp增强剂
EP1951048A2 (en) Flavanols and b-type procyanidins and inflammation
KR100740079B1 (ko) 당뇨병성 신경 장해용 의약 조성물
EP0485232B1 (en) Neovascularisation inhibitors
KR20040018335A (ko) 성 기능 장애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한 약제의 제조에서n-아세틸-d-글루코사민의 용도
KR20190088428A (ko) 듀니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의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WO1991013623A1 (en) C-5 mono-substituted barbiturates in combination with therapeutic agents and uses thereof
CN109394753B (zh) 香叶木素在制备预防和/或治疗高尿酸血症肾病的药物中的应用
KR20070022855A (ko) 항종양 효과 증강제, 항종양제 및 암 치료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