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9872B1 - 플러그용 밀봉 링 - Google Patents

플러그용 밀봉 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9872B1
KR101299872B1 KR1020067026009A KR20067026009A KR101299872B1 KR 101299872 B1 KR101299872 B1 KR 101299872B1 KR 1020067026009 A KR1020067026009 A KR 1020067026009A KR 20067026009 A KR20067026009 A KR 20067026009A KR 101299872 B1 KR101299872 B1 KR 101299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sealing
ring
sealing r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60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20507A (ko
Inventor
히로시 이마이
코이치 아베
Original Assignee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사파스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20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0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9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9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0Means for stopping flow from or in pipes or hoses
    • F16L55/115C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6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 F16J15/10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solid packing compressed between sealing surfaces with non-metallic pa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F16J15/024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 F16J15/025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the packing being locally weakened in order to increase elasticity and with at least one flexible 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플러그 캡 내에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약액의 종류를 불문하고 사용할 수 있고, 또 플러그 캡을 단단히 조일 때에 있어서 플러그의 밀봉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는 플러그용 밀봉 링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으로서, 액체 통로 및/또는 가스 통로를 가지는 플러그에 씌워 장착하는 플러그 캡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액체 밀봉 및/또는 가스 밀봉을 달성하는 밀봉 링으로서, 상기 밀봉 링(1)은 상면에 엣지 밀봉부(17)를 가지고, 그 내측면에 면 밀봉부(18)를 가지고, 또 그 외측면에 상기 플러그 캡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 걸림부(16a)에 걸어맞춰지는 돌출부(1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플러그, 플러그 캡, 밀봉면, 밀봉 링, 엣지 밀봉, 면 밀봉

Description

플러그용 밀봉 링{SEAL RING FOR PLUG}
이 발명은 플러그(plug)용 밀봉 링(seal ring),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반도체 고순도 약품이나 일반 화학 약품 등의 액체가 저장되는 탱크(tank)에 장착되는 액체 방출(delivery) 또는 가스 공급을 위한 플러그의 액체 밀봉(seal) 또는 가스 밀봉을 위해서, 당해 플러그에 씌워 장착하는 플러그 캡(plug cap) 내에 장전되는 플러그용 밀봉 링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고순도 약품이나 일반 화학 약품은 이들 약품에 충분히 견딜 수 있는 탱크 내에 저장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이 탱크(70)에는 2개의 마개부(71, 71a)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마개부(71, 71a)에는 각각 도시하지 않은 플러그부를 가지는 플러그(72, 72a)가 장착되어 있다(도 8). 이들 플러그(72, 72a)는 마개부(71, 71a)를 막는 뚜껑의 기능도 가지고 있고, 일방이 액체 유로 접속용 플러그(72)로 되고, 타방이 가스 유로 접속용 플러그(72a)로 되어 있고, 일방의 액체 유로 접속용 플러그(72)에는 탱크(70)의 저부 근방까지 뻗어있는 사이폰관(siphon tube)(73)이 접속되어 있다.
  이 탱크(70)에 저장된 액체를 인출하는 경우에는, 우선 탱크(70)의 마개부(71, 71a)에 설치된 플러그(72, 72a)의 플러그부에 장착된 플러그 캡(plug cap) 을 벗겨낸 후, 이들 플러그(72)의 플러그부에 호스(74)가 접속된 소켓(socket)(75, 75a)을 연결시키고, 펌프(P)에 의해 탱크(70) 내의 액체를 사이폰관(73)을 개재하여 호스(74)로 인출한다. 그때, 탱크(70) 안이 부압(負壓)으로 되지 않도록 타방측의 플러그(72a)의 플러그부에 연결한 호스(74a)로부터 불활성 가스가 이송된다.
  또, 본 출원인은 먼저 상기 2종류의 플러그를 컴팩트(compact)하게 일체화한 액체 탱크 설치용 커넥터(connector)로서 탱크에 고정되는 플러그와 이에 연결되는 소켓(socket)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플러그는 액체 통로와 가스 통로를 가지고, 상기 소켓은 상기 액체 통로에 연통하는 액체 통로 및 이에 연통하는 액체 유로 접속 피스(piece)와, 상기 가스 통로에 연통하는 가스 통로 및 이에 연통하는 가스 유로 접속 피스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창하고 있다(일본 특허출원 2004-163395호, 도 1에 도시되는 유형의 것). 
  상기 어느 유형의 경우에도 플러그의 플러그부에 플러그 캡이 장착되고, 이 플러그 캡에 의해 플러그부에 형성된 액체 및 가스 통로가 폐쇄된 상태로 되고, 이 상태에서 반송되고 혹은 보관되도록 되어 있다.
  탱크의 반송 또는 보관시에 있어서, 탱크(70) 내의 약액 또는 가스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플러그 캡 내의 둘레면 또는 천장면에는 플러그에 밀착하여 플러그의 액체 통로 또는 가스 통로를 밀봉하는 밀봉 링(seal ring)이 장전된다. 밀봉 링으로서는 일반적으로 ○링(○ ring)이 이용된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2-114242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공개 2002-5478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출원 2003-163395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상술한 것처럼, 종래의 플러그 캡 내에는 플러그로부터의 액체 및 가스의 누출 방지를 위해서 ○링이 배치되어 있지만, 그 경우 탱크 내의 약액의 종류에 따라 ○링의 재질을 선정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또 ○링에 의해 약액에 오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플러그 캡은 플러그에 대해서 단단히 조이기 때문에, 플러그 캡측에 고정되어 있는 ○링이 플러그 외주면에 강하게 슬라이딩(sliding) 접합함으로써, 플러그의 밀봉면에 손상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밀봉 링을 가지는 플러그 캡의 경우에는 밀봉 링의 재질 선정이라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의 밀봉면에 손상이 생기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으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문제가 없는, 즉 예를 들면 플러그 캡 내에 이용한 경우에 있어서, 약액의 종류를 불문하고 사용할 수 있고, 또 플러그 캡을 단단히 조일 때에 있어서 플러그의 밀봉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는 플러그용 밀봉 링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밀봉 링은 액체 통로 및/또는 가스 통로를 가지는 플러그에 씌워 장착하는 플러그 캡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액체 밀봉 및/또는 가스 밀봉을 달성하는 밀봉 링으로서, 상기 밀봉 링은 상면에 엣지 밀봉(edge seal)부를 가지고, 그 내측면에 면 밀봉(surface seal)부를 가지고, 또 그 외측면에 상기 플러그 캡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밀봉 링은 액체 통로 및/또는 가스 통로를 가지는 플러그에 씌워 장착하는 플러그 캡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액체 밀봉 및/또는 가스 밀봉을 달성하는 밀봉 링으로서, 상기 밀봉 링은 그 내측면에 면 밀봉부를 가지고, 또 그 외측면에 상기 플러그 캡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 걸림부에 걸어맞춰지는 돌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밀봉 링은 액체 통로 및/또는 가스 통로를 가지는 플러그에 씌워 장착하는 플러그 캡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액체 밀봉 및/또는 가스 밀봉을 달성하는 밀봉 링으로서, 상기 플러그 캡 내에 형성되는 링 걸림부의 엣지 밀봉면에 맞닿는 제1엣지(edge)부와, 상기 플러그의 밀봉면에 맞닿는 제2엣지부를 가지고, 상기 제2엣지부는 상기 제1엣지부보다도 수가 많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효과>
밀봉 링은 플러그 캡을 플러그통에 나사 장착할 때, 면 밀봉부를 개재하여 면접촉하는 플러그통에 대해서는 마찰 저항이 비교적 크게 되고, 엣지부, 돌출부, 및 링 외주면을 개재하여 맞닿는 플러그 캡에 대해서는 마찰 저항이 비교적 작게 된다. 그 결과, 밀봉 링은 플러그통측에 고정 상태로 되므로, 나사 장착에 즈음하여 플러그통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플러그용 밀봉 링을 구비한 플러그 캡 및 이 플러그 캡을 씌워 장착하는 플러그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플러그용 밀봉 링의 구성예 및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플러그용 밀봉 링의 다른 구성예 및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플러그용 밀봉 링의 또 다른 구성예 및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플러그용 밀봉 링의 또 다른 구성예 및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플러그용 밀봉 링을 구비한 플러그 캡 및 이 플러그 캡을 씌워 장착하는 플러그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플러그 캡에 이용하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플러그용 밀봉 링의 구성예 및 작용을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약액용 탱크의 일반적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계되는 밀봉 링(seal ring)(1)을 구비한 플러그 캡(plug cap)(2) 및 이 플러그 캡(2)을 씌워 장착하는 플러그(plug)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경우의 플러그는 상부에 탱크(tank) 상면의 마개부에 나사 장착 을 위한 수나사부(4)를 구비함과 아울러, 저면 중앙부에 하방으로 뻗어있는 사이폰관(siphon tube)(5)을 구비한 컵(cup) 형상의 몸체(body)(3)로 구성된다. 사이폰관(5)은 몸체(3)에 일체 성형되고, 혹은 별도 성형으로서 용착되고, 본 플러그의 탱크 장착시에 있어서 탱크의 바닥 근처에까지 달하는 길이로 된다. 
  몸체(3)의 내저부(內底部)(7)에는 플러그통(6)이 세워 설치된다. 플러그통(6)은 사이폰관(5)에 연통하는 관통공(8)을 가지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다. 플러그통(6)의 중간부의 외주면에는 고리 형상의 걸림 오목부(9)와 걸림 볼록부(10)가 형성되고, 하부 외주면에는 수나사(11)가 형성된다. 걸림 오목부(9)에는 플러그(1)에 접속하는 도시하지 않은 소켓(socket)의 자물쇠채움 볼(ball)이 끼워넣어짐으로써 소켓이 잠겨진다(locked). 플러그통(6)에는 그 육부(肉部)를 상하로 관통하고, 몸체(3)의 저부로 빠지는 가스 통로(12)가 하나 또는 복수 뚫어 설치된다. 가스 통로(12)의 상단은 플러그통(6)의 상부 측면으로 빠지도록 개구된다.
  플러그 캡(2)은 상기 소켓의 비접속시에 플러그통(6)에 씌워 장착해 두는 것이고, 그에 의해 플러그통(6)이 먼지 등으로부터 보호된다. 플러그 캡(2)의 하부 내주면에는 암나사(13)가 형성되어 있고, 플러그 캡(2)은 이 암나사(13)를 플러그통(6)의 수나사부(11)에 나사 장착함으로써 플러그통(6)에 장착된다. 플러그 캡(2)의 측면에는 적당히 공기빼기 구멍(14)이 뚫어 설치된다. 
  플러그 캡(2) 내면의 둘레면 또는 천장면에는 플러그통(6)의 외주면 또는 상면에 밀착하여, 그 부분의 액체 밀봉 또는 가스 밀봉을 달성하는 밀봉 링(1)이 설치된다. 밀봉 링(1)은 플러그 캡(2)의 내측면 또는 천장면에 형성되는 링 걸림 부(15)에 끼워 장착된다. 
  링 걸림부(15)는 플러그 캡(2)의 안측부에 위치하여 있고 밀봉 링(1)의 상면을 누르는 엣지 밀봉면(edge seal surface)(16)과, 엣지 밀봉면(16)보다도 플러그 캡(2)의 개구측에 위치하여 있고 밀봉 링(1)을 거는 걸림홈(16a)을 가진다.
  밀봉 링(1)은 상면에 엣지 밀봉면(16)에 맞닿는 엣지(edge)부(17)를 가짐과 동시에, 내측면에 플러그통(6)에 면접촉하는 면 밀봉(surface seal)부(18)를 가지고, 또 외측면의 하부에 바깥쪽으로 돌출하여 걸림홈(16a)에 걸어맞춰지는 돌출부(19)를 가진다. 돌출부(19)보다 상방의 밀봉 링(1)의 링 외주면(1a)과, 링 외주면(1a)에 대향하는 플러그 캡(2)의 플러그 내주면(2a)은 가벼운 슬라이딩(sliding) 접합 상태로 되도록 되든지, 그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밀봉 링(1)은 이와 같은 구성으로 플러그 캡(2) 내에 끼워 장착된다. 따라서, 밀봉 링(1)은 플러그 캡(2)을 플러그통(6)에 나사 장착할 때, 면 밀봉부(18)를 개재하여 면접촉하는 플러그통(6)에 대해서는 마찰 저항이 비교적 크게 되고, 엣지부(17), 돌출부(19), 및 링 외주면(1a)을 개재하여 맞닿는 플러그 캡(2)에 대해서는 마찰 저항이 비교적 작게 된다. 그 결과, 밀봉 링(1)은 플러그통(6) 측에 고정 상태로 되므로, 나사 장착에 즈음하여 플러그통(6)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하 밀봉 링(1)의 여러가지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링 걸림부(15)의 엣지 밀봉면(16)에 대해서는 단면이 삼각 형상의 엣지부(17)가 선접촉하고, 플러그통(6) 둘레면의 밀봉면에 대해서는 단면이 곡면(부채형)으로 안쪽으로 계단 형상으로 돌출하는 면 밀봉부(18)가 면접촉하는 구성의 것이다.
밀봉 링(1)은 플러그 캡(2)의 개구측으로부터 끼워넣지만, 그 돌출부(19)의 외경은 플러그 캡(2)의 내경보다 크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힘을 가지고 밀어넣어 가게 된다. 그리고, 돌출부(19)가 걸림홈(16a)에 이르면, 압축 상태로부터 복원되어 걸림홈(16a) 내로 돌출한다. 이리하여 돌출부(19)는 걸림홈(16a)에 걸리기 때문에, 밀봉 링(1)은 플러그 캡(2)으로부터 빠지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끼워 장착된 밀봉 링(1)은 그 엣지부(17)의 능선이 엣지 밀봉면(16)에 대해서 가볍게 선접촉한 상태로 되고, 또 돌출부(19)는 걸림홈(16a) 내에 슬라이딩(sliding)이 자유로운 상태로 유지된다(도 2 (A)). 그리고, 링 외주면(1a)과 플러그 내주면(2a)은 비접촉 또는 가볍게 접촉한 상태로 된다.
  상기 돌출부(19)와 걸림홈(16a)의 걸어맞춤 관계 및 상기 링 외주면(1a)과 플러그 내주면(6a)의 접촉 관계는 후술의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공통이므로, 이하의 실시 형태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러한 점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플러그통(6)에 대해서 플러그 캡(2)을 나사 장착하여 나사 진행시켜 가면, 먼저 면 밀봉부(18)가 플러그통(6)의 상면 테두리의 곡면부(6a)에 맞닿는다(도 2 (B)). 그리고, 더 나사 진행시키면 플러그통(6)의 외주면에 의해 면 밀봉부(18)가 압축되고 편평화하여 상방으로 올라가서, 그 맞닿음 부분의 비뚤어짐 밀봉을 행한다(도 2 (C)). 
  이 상태에 있어서 면 밀봉부(18)는 플러그통(6)의 외주면에 대해 광범위하게 면접촉하여 마찰 저항이 크게 된다. 한편 엣지부(17)는 엣지 밀봉면(16)에 대해 선접촉한 채로 마찰 저항은 매우 작다. 따라서, 이 상태로부터 더 플러그 캡(2)을 조여넣어 가면, 밀봉 링(1)은 마찰 저항이 큰 플러그통(6)의 쪽으로 고정 상태로 되고, 마찰 저항이 작은 플러그 캡(2)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뒤따르지 않게 된다. 그때문에, 밀봉 링(1)에 의해 플러그통(6)의 외주면이 손상되지 않는다.
  그리고, 플러그 캡(2)의 플러그통(6)에 대한 단단히 조이는 조작 종료시에 있어서는, 면 밀봉부(18)는 플러그통(6)의 수직 외주면으로부터 걸림 볼록부(10)의 테이퍼면(taper surface)(10a)에 이르고, 상방향으로 비뚤어져 밀봉력을 유지한다(도 2 (D)). 그때 엣지부(17)는 엣지 밀봉면(16)에 의해 눌리기 때문에 찌부러지고, 면접촉 상태로 되어 그 부분을 밀봉한다.
  도 3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제1의 실시 형태의 변형예로,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엣지부(17) 및 면 밀봉부(18)와 아울러, 면 밀봉부(18)의 하측에 위치하는 하면 엣지부(21)를 설치한 것이다. 이 하면 엣지부(21)는 플러그 캡(2)의 조여넣기의 끝에 있어서, 걸림 볼록부(10)의 테이퍼면(10a)에 닿아서 찌부러지고, 면접촉 상태로 되어 그 맞닿음 부분을 밀봉한다. 도시한 예에서는 하부 엣지부(21)는 하나이지만 복수라도 좋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 면 밀봉부(18)와 하면 엣지부(21)의 이중 밀봉(doulble seal)으로 되므로, 특히 침투성의 액체 밀봉용으로서 적합하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도 1에 나타내는 플러그에 소 켓(socket)을 접속하기 위해서 플러그 캡(2)을 벗길 때, 플러그 캡(2)을 조금 느슨하게 한 것만으로 탱크 내의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고, 그로써 탱크 내의 압력을 신속하게 조정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작업의 안전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탱크 내의 액체는 시간의 경과에 수반하여 기화하는 경우가 있고, 사용시에 내압(internal pressure)이 높게 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시에 내압에 의해 액체가 유출하지 않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도 4에 나타내는 것은 상면에 엣지부(23)를 설치함과 아울러, 내측면 상부에 안쪽으로 돌출하는 면 밀봉부(24)를 설치하고, 면 밀봉부(24)보다 아래의 내측면과 플러그통(6)의 외측면의 사이 및 상반부 외측면과 링 걸림부(15) 내저면의 사이에 각각 적당한 간격의 간극(25, 26)이 유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 경우, 내측면의 하단 모서리부가 하단 엣지부(27)가 된다. 
  이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플러그통(6)에 플러그 캡(2)을 나사 장착하면, 먼저 면 밀봉부(24)가 플러그통(6)의 윗 테두리 곡면부(6a)에 닿고(도 4 (A)), 더 나사 진행시키면, 면 밀봉부(24)는 플러그통(6)의 측면에 눌려서 약간 눌러펴진다(도 4 (B)에 나타내듯이 간극(26)으로 물러난다). 이 상태에 있어서 면 밀봉부(24)는 그 복원력에 의해 플러그통(6)의 외측면에 계속 압접하므로 그 부분의 밀봉력이 유지된다.
  그리고 더 나사 진행시키면, 하단 엣지부(27)가 걸림 볼록부(10)의 테이퍼면(10a)에 닿아 비뚤어지고, 면접촉 상태로 되어 그 부분을 밀봉한다(도 4 (C)).
  이 상태로부터 플러그 캡(2)을 조금 느슨하게 하면, 하단 엣지부(27)에 의한 밀봉이 해제됨과 아울러, 면 밀봉부(24)가 가스 통로(12)의 상단을 서서히 개구한다. 이리하여 탱크 내의 공기는 플러그 캡(2)의 나사 퇴각 초기의 단계에서 가스 통로(12)로부터 간극(25)으로 빠지고, 플러그 캡(2)의 공기빼기 구멍(14)으로부터 방출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도 4에 나타내는 것보다도 면 밀봉부(24)의 접촉 면적을 작게 하고, 또한 면 밀봉부(24)를 상단부에 설치한 것으로, 그만큼 도 4에 나타내는 것보다도 가스 통로(12)의 개구 시기가 빠르게 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플러그통(6)이 가스 통로만을 가지는 가스 플러그에 대한 플러그 캡에 관한 것으로, 이 경우의 링 걸림부(15)는 플러그 캡(2) 내의 천장면에 형성된 홈(groove)이다. 그리고, 밀봉 링(1)은 상면에 링 걸림부(15)의 엣지 밀봉면(16)에 맞닿는 1조의 립(lip)(31)을 가짐과 동시에, 이면에 플러그통(6)의 상면(6c)에 맞닿는 복수조(도에서는 2조)의 립(32)을 가진다.
  이 예에서는 이면의 2조의 립(32)과 플러그통(6)의 상면(6c)의 사이의 마찰 저항이 상면의 1조의 립(31)과 엣지 밀봉면(16)의 사이의 마찰 저항의 약 2배로 된다. 그 때문에, 플러그통(6)에 대한 플러그 캡(2)의 나사 진행 조작시, 밀봉 링(1)은 플러그통(6)의 상면(6c)의 쪽으로 강하게 밀착하고, 링 걸림부(15)에 대해서는 약한 접촉 상태로 되고 플러그 캡(2)에 뒤따라 회전하지 않는다(도 7 (A)). 그 때문에 플러그통(6)의 상면이 밀봉 링(1)에 의해 손상되지 않는다.
  또, 플러그 캡(2)의 조여넣기의 끝에 있어서, 립(31) 및 립(32)이 모두 찌부러져 면접촉 상태로 되고 각각의 맞닿음 부분을 밀봉한다(도 7 (B)).
이 발명을 어느 정도 상세하게 그 가장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 대해서 설명해 왔지만, 이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반하지 않게 광범위하게 다른 실시 태양을 구성할 수가 있는 것은 명백하므로, 이 발명은 첨부 청구의 범위에 있어서 한정한 이외에는 그 특정의 실시 태양에 제약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8)

  1. 액체 통로 가스 통로를 가지는 플러그의 플러그통 에 씌워 장착하는 플러그 캡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가스 밀봉을 달성하는 밀봉 링으로서,
    상기 밀봉링(1)은 그 상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 캡의 내면에 형성된 링걸림부(15)의 엣지밀봉면(16)에 의해 눌려 찌부러져 면접촉상태가 되는 단면 3각형상이고 링 형상의 엣지부(17)와, 그 하단부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통(6)의 외주면에 맞닿아 압축됨으로써 상방으로 비뚤어져 해당 맞닿음 부분에 변형 밀봉을 달성하는 면밀봉부(18)와, 그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링걸림부(15)에 걸리는 돌출부(19)를 가지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밀봉 링.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링(1)의 평탄한 저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하면엣지부(21)를 설치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밀봉 링.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9) 를 제외한 상기 밀봉 링(1) 의 외측면은 상기 플러그 캡 내측면에 대하여 이격하든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밀봉 링.
  5. 액체 통로 가스 통로를 가지는 플러그의 플러그통 에 씌워 장착하는 플러그 캡 내에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의 가스 밀봉을 달성하는 밀봉 링으로서,
    상기 밀봉 링은 그 내측면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플러그통(6)의 외주면에 맞닿아 압축됨으로써 해당 맞닿는 부분에 변형 밀봉을 달성하는 면 밀봉부(24)와, 그 외측면에 배치되어 상기 플러그 캡의 내면에 형성되는 링 걸림부(15)에 걸어맞춰지는 돌출부(19)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밀봉 링.
  6. 제5항에 있어서,
      상면에 상기 플러그 캡의 내면에 형성된 링걸림부(15)의 엣지밀봉면(16)에 의해 눌려 찌부러져 면접촉상태가 되는 단면 3각형상이고 링 형상의 엣지부(23) 를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밀봉 링.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9) 를 제외한 상기 밀봉 링의 외측면은 상기 플러그 캡의 내측면에 대하여 이격하든지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도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용 밀봉 링.
  8. 삭제
KR1020067026009A 2004-06-11 2005-06-06 플러그용 밀봉 링 KR1012998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74384 2004-06-11
JP2004174384 2004-06-11
PCT/JP2005/010364 WO2005121612A1 (ja) 2004-06-11 2005-06-06 プラグ用シールリン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0507A KR20070020507A (ko) 2007-02-21
KR101299872B1 true KR101299872B1 (ko) 2013-08-23

Family

ID=35503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6009A KR101299872B1 (ko) 2004-06-11 2005-06-06 플러그용 밀봉 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06856B2 (ko)
EP (1) EP1767836B1 (ko)
JP (1) JP4829784B2 (ko)
KR (1) KR101299872B1 (ko)
TW (1) TW200604066A (ko)
WO (1) WO200512161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64273B2 (ja) * 2008-01-28 2013-12-11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プラグ構造
US9926119B1 (en) * 2017-01-04 2018-03-27 Heath Honeycutt Protective end cap
CN112879673A (zh) * 2021-02-05 2021-06-01 哈尔滨工程大学 一种水下干式舱井口管道穿舱密封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10395Y1 (ko) * 1965-07-23 1970-05-13
JPS62132959U (ko) * 1986-02-14 1987-08-21
JPS631754U (ko) * 1986-06-23 1988-01-07
JPS631753U (ko) * 1986-06-19 1988-01-07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9160A (en) * 1976-01-14 1976-11-02 The Hansen Manufacturing Co. Container cover seal
JPS53123291A (en) * 1977-04-01 1978-10-27 Yoshitsugu Hayashi Sealer for container
US4311317A (en) * 1979-08-20 1982-01-19 Bartels Harold U Lip and radial seal
US4461393A (en) * 1983-04-15 1984-07-24 Sun Coast Plastics, Inc. Closure cap
GB2144110A (en) * 1983-07-27 1985-02-27 Metal Closures Ltd Bottle closure
JPS60115865U (ja) * 1984-01-17 1985-08-05 釜屋化学工業株式会社 容器の蓋
JPH0416025A (ja) * 1990-05-08 1992-01-21 Samsung Electron Co Ltd 二相符号化データの復号装置及び方法
US5653447A (en) * 1995-07-26 1997-08-05 Cress; Steven B. Vacuum/pressure seal method and apparatus
JP3686982B2 (ja) * 1995-11-28 2005-08-24 三笠産業株式会社 容器の開閉装置
JP2001063746A (ja) * 1999-08-31 2001-03-13 Nihon Yamamura Glass Co Ltd 液体注出栓
DE19946133A1 (de) * 1999-09-27 2001-03-29 Electrolux Siegen Gmbh Lippendichtring
JP3512718B2 (ja) 2000-08-10 2004-03-31 日東工器株式会社 管継手
JP4717996B2 (ja) * 2000-10-11 2011-07-06 サーパス工業株式会社 容器及びそれに用いるプラグ
JP3806025B2 (ja) 2001-11-29 2006-08-0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ガスレーザ装置
US7073678B1 (en) * 2003-08-04 2006-07-11 Helen Of Troy Limited Travel beverage container
JP4311409B2 (ja) * 2006-03-27 2009-08-12 東海ゴム工業株式会社 燃料タンクの弾性シール部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510395Y1 (ko) * 1965-07-23 1970-05-13
JPS62132959U (ko) * 1986-02-14 1987-08-21
JPS631753U (ko) * 1986-06-19 1988-01-07
JPS631754U (ko) * 1986-06-23 1988-01-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67836B1 (en) 2016-02-24
US20080290612A1 (en) 2008-11-27
US8006856B2 (en) 2011-08-30
EP1767836A4 (en) 2011-10-26
EP1767836A1 (en) 2007-03-28
TWI341277B (ko) 2011-05-01
JP4829784B2 (ja) 2011-12-07
KR20070020507A (ko) 2007-02-21
JPWO2005121612A1 (ja) 2008-04-10
WO2005121612A1 (ja) 2005-12-22
TW200604066A (en) 2006-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94438B2 (ja) 液体タンク取付用コネクター及びそれを備えた液体タンク
KR100812869B1 (ko) 격납 용기 장치
US6755316B2 (en) Fuel cap
KR100508275B1 (ko) 패스닝 기구용 압축 기체 캐니스터와 중간 밀폐부에 끼워넣기 위한 어댑터 캡
KR20100022986A (ko) 플러그 구조
KR101299872B1 (ko) 플러그용 밀봉 링
US5303964A (en) Pipe connector
WO2010081958A2 (fr) Element d&#39;un circuit de transport de fluide a joint d&#39;etancheite mobile
KR101059660B1 (ko) 탱크로부터의 액체공출용 커넥터
PL200367B1 (pl) Korek zamknięcia
US20040069784A1 (en) Container closure and closure lid for said container closure
US6817391B2 (en) Sealed O-ring connector
US4194770A (en) Compression fitting
US11953123B2 (en) Annular groove assembly for O-ring face seal and related method of use
JP7348607B2 (ja) 容器の口栓構造
US20240175524A1 (en) Annular groove assembly for o-ring face seal and related method of use
WO2003058109A1 (en) Pipe joint
JPS60139977A (ja) シ−ラントフイツテイング
FR2520478A1 (fr) Coupleur auto-obturateur, notamment pour fluide ou refrigerant
KR19980023219U (ko) 가스플러그
KR101579402B1 (ko) 액상 케미컬 디스펜싱 시스템
JPH0547346Y2 (ko)
KR200271858Y1 (ko)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
KR200226530Y1 (ko) 스토퍼가형성된유니언밸브.
JP2019001472A (ja) 飲料容器用フィッティングの密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