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1858Y1 -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1858Y1
KR200271858Y1 KR2020010040126U KR20010040126U KR200271858Y1 KR 200271858 Y1 KR200271858 Y1 KR 200271858Y1 KR 2020010040126 U KR2020010040126 U KR 2020010040126U KR 20010040126 U KR20010040126 U KR 20010040126U KR 200271858 Y1 KR200271858 Y1 KR 2002718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upply
beverage
supply pipe
connector
valve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401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보영
Original Assignee
이보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보영 filed Critical 이보영
Priority to KR20200100401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18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18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1858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인출하여 공급하기 위한 음료공급장치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음료공급관이 콕크밸브의 연결구 상에 기밀한 밀봉성을 유지하며 결합되도록 하여, 음료공급관과 연결구 사이의 결합부분에서 발생하는 음료의 누수를 방지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콕크밸브조립체의 일측 내주면상에 연결구의 일측 개방구가 밀봉적으로 끼워진 후에 콕크밸브조립체의 일측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결합너트에 의해 콕크밸브조립체 상에 고정 결합되고, 이러한 연결구는 그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에 의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 상에 고정되며, 연결구의 타측 개방구 측에 음료공급관의 토출구가 밀봉링 및 압착너트에 의해 밀봉결합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에 있어서, 음료공급관의 토출구 측에 장착 좌면이 일체로 형성되고, 장착 좌면 상에 밀봉링이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이다.

Description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Structure for engaging a feeding tube in a beverage feeding apparatus}
본 고안은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음료저장탱크에 저장된 음료를 인출하여 공급하기 위한 음료공급장치의 본체 내부에 설치되는 음료공급관이 콕크밸브의 연결구 상에 기밀한 밀봉성을 유지하며 결합되도록 하여, 음료공급관과 연결구 사이의 결합부분에서 발생하는 음료의 누수를 방지하는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 콜라, 주스 등과 같은 음료수를 즉석에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시중의 음료수 판매업체는 소비자가 원하는 양만큼 신선하고 시원한 음료수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음료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2)의 일측이 콕크밸브조립체(10)의 플러그(10a)측의 내주면상에 밀봉적으로 끼워진 후에 콕크밸브조립체(10)의 플러그(10a)측의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결합너트(13)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이러한 연결구(12)의 타측에 음료공급관(16)의 토출구(16a)측에 밀봉링(14)이 끼워진 후에, 연결구(12)의 외주면 상으로 체결되는 압착너트(15)에 의해 음료공급관(16)의 토출구(16a)가 연결구(12)의 타측에 밀착고정된다. 이에 따라, 연결구(12)를 매개로 음료공급관(16)이 콕크밸브조립체 (10)에 연결되는 구조이다.
여기서, 콕크밸브조립체(10)는 그 일측의 개방구 측에 장착된 원추형상의 플러그(10a)를 회전시켜 유량을 조절하고, 작동레버(10b)를 개방하여 인출구(10c)로부터 음료가 인출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밸브조립체이다.
하지만, 이러한 음료공급관 결합구조는 통상의 환형의 밀봉링(14)을 음료공급관(16)과 연결구(12) 사이에 끼워 밀봉 결합되는 구조이므로, 그 밀봉구조가 매우 취약하고, 고압에 대한 적응력이 미흡하여 음료 공급시 발생하는 고압력에 의해음료공급관(16)과 연결구(12) 사이의 밀봉 결합된 부분에서 음료의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음료공급관의 토출구측에 밀봉링을 고정하는 장착 좌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밀봉링의 장착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음료공급관의 토출구가 연결구 상에 기밀한 밀봉성을 유지하면서 밀봉결합되도록 하여 음료공급관과 연결구 사이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음료의 누수를 방지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음료공급장치용 음료공급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음료공급장치용 음료공급관과 연결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음료공급장치용 음료공급관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콕크밸브조립체 2 : 연결구
3 : 음료공급관 4 : 밀봉링
5 : 압착너트 6 : 고정 너트
7 : 결합너트 9 : 본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콕크밸브조립체의 일측 내주면상에 연결구의 일측 개방구가 밀봉적으로 끼워진 후에 콕크밸브조립체의 일측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결합너트에 의해 콕크밸브조립체 상에 고정 결합되고, 이러한 연결구는 그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에 의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 상에 고정되며, 연결구의 타측 개방구 측에 음료공급관의 토출구가 밀봉링 및 압착너트에 의해 밀봉결합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에 있어서, 음료공급관의 토출구 측에 장착 좌면이 일체로 형성되고, 장착 좌면 상에 밀봉링이 끼워져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는, 콕크밸브조립체(1)의 플러그(1a)측의 내주면상에 연결구(2)의 일측 개방구가 밀봉적으로 끼워진 후에 콕크밸브조립체(1)의 플러그(1a)측의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결합너트(7)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연결구(2)는 그 외주면 상에 체결되는 고정 너트(6)에 의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9) 상에 고정되며,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 측에 장착 좌면(3b)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음료공급관(3)의 장착 좌면(3b) 상에 밀봉링(4)이 고정되며,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가 연결구(2)의 타측 개방구 측에 이러한 연결구(2)의 외주면 상에 체결되는 압착너트(5)에 의해 밀착고정되는 구조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콕크밸브조립체(1)는 그 일측의 개방구 측에 장착된 원추형상의 플러그(1a)를 회전시켜 유량을 조절하고, 작동레버(1b)를 개방하여 인출구(1c)로부터 음료가 인출되도록 구성된 통상의 밸브조립체이다. 이러한 콕그밸브조립체(1)의 플러그(1a)측의 개방구는 그 내주면상에는 형성된 치형부(1d)와, 그 외주면상에는 형성된 수나사부(1e)를 구비한다.
연결구(2)는 그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그 일측의 개방구는 상술한 콕크밸브조립체(1)의 플러그(1a)에 상응하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지며, 그 타측의 개방구는 후술하는 음료공급관(3)의 장착 좌면(3b) 상에 고정된 밀봉링(4)에 상응하는 형상 및 구조를 가진다. 또한, 이러한 연결구(2)의 일측 개방구 측에는 상술한 콕크밸브조립체(1)의 플러그(1a)측의 개방구의 치형부(1d)에 상응하는 형상의 치형부(2a)를구비하고, 그 외주면상에는 수나사부(2b)가 형성된다.
음료공급관(3)은 그 토출구 측에 통상의 밀봉링(4)이 고정될 수 있는 장착 좌면(3b)이 일체로 형성되고, 이러한 장착 좌면(3b) 상에 밀봉링(4)이 고정된다. 이에 따라, 음료공급관(3)과 연결구(2)의 조립 작업이 매우 용이해지는 특징이 있다. 한편, 이러한 음료공급관(3)의 외측면상에는 보다 시원하고 신선한 음료를 제공하기 위한 냉각기(미도시)로부터 연장된 냉각관(20)이 접촉되어질 수도 있다.
먼저, 콕크밸브조립체(1)의 플러그(1a)측의 개방구에 형성된 치형부(1d)에 연결구(2)의 치형부(2a)가 끼워지고, 여기서, 밀봉부재(7)에 의해 콕크밸브조립체(1)의 치형부(1a)와 연결구(2)의 치형부(2a)가 밀봉적으로 결합되고, 다음, 콕크밸브조립체(1)의 플러그(1a)측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수나사부(1e) 상에 결합너트(7)가 체결됨으로써, 연결구(2)의 일측 개방구는 콕크밸브조립체(1)에 고정 결합된다.
다음, 콕크밸브조립체(1)의 플러그(1a)측의 개방구상에 결합된 연결구(2)는 그 외주면 상에 형성된 수나사부(2b) 상으로 체결되는 고정너트(6)를 통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9) 상에 결합된다. 이때, 본체(9)의 내, 외측면 상에 패킹(8a) 및 마감재(8b)가 개재되어 연결구(2)와 본체(9)의 결합을 보다 기밀하게 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 측에 일체로 형성된 장착 좌면(3b) 상에 밀봉링(4)이 고정된 상태에서, 이러한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가 연결구(2)의 타측 개방구 내측면상에 끼워진 후에 연결구(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수나사부(2b) 상에 압착너트(5)가 체결됨에 의해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가 연결구(2)의 타측 개방구 측에 밀봉고정된다.
이와 같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9), 콕크밸브조립체(1), 연결구(2), 음료공급관(3)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콕크밸브조립체(1)의 작동레버(1b)를 개방하면, 음료저장탱크(미도시)로부터 음료가 음료공급관(3) 및 연결구(2)를 통해 인출구(1c)로 인출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음료공급장치는 음료공급관(3)과 연결구(2) 사이의 결합부분에서 기밀한 밀봉성이 유지되어 음료의 누수가 방지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음료공급관의 토출구측에 밀봉링이 고정되는 장착 좌면이 일체로 형성되어, 밀봉링의 장착작업이 매우 용이하고 음료공급관의 토출구가 연결구 상에 기밀한 밀봉성을 유지하면서 밀봉결합되도록함으로써, 음료공급관과 연결구 사이의 연결부분에서 발생하는 음료의 누수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고안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

  1. 콕크밸브조립체의 일측 내주면상에 연결구의 일측 개방구가 밀봉적으로 끼워진 후에 콕크밸브조립체의 일측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결합너트에 의해 콕크밸브조립체 상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는 그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에 의해 상기 음료공급장치의 본체 상에 고정되며, 상기 연결구의 타측 개방구 측에 음료공급관의 토출구가 밀봉링 및 압착너트에 의해 밀착결합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료공급관의 토출구 측에 장착 좌면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장착 좌면 상에 상기 밀봉링이 끼워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
KR2020010040126U 2001-12-26 2001-12-26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 KR2002718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126U KR200271858Y1 (ko) 2001-12-26 2001-12-26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40126U KR200271858Y1 (ko) 2001-12-26 2001-12-26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1858Y1 true KR200271858Y1 (ko) 2002-04-12

Family

ID=73072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40126U KR200271858Y1 (ko) 2001-12-26 2001-12-26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18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84884A1 (en) System with capsule having sealing means
US7334772B2 (en) Pressurized breathable gas pressure regulator
US7857286B1 (en) Faucet having leakproof effect
US6517117B1 (en) Through wall connector for a reservoir
KR200271858Y1 (ko)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
KR20050041961A (ko) 탱크로부터의 액체공출용 커넥터
KR200346951Y1 (ko)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WO2022052317A1 (zh) 一种带安全出口阀的外置弹簧食品泵
KR101299872B1 (ko) 플러그용 밀봉 링
KR20050075679A (ko)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KR200343212Y1 (ko) 생맥주 공급장치의 콕크밸브 본체와 연결구의 결합구조
KR200210770Y1 (ko)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CN220703232U (zh) 一种酒桶
CN221105475U (zh) 一种保温吸管杯
CN211443356U (zh) 一种酒茅以及酒桶
KR200208186Y1 (ko) 음료 냉각기의 콕크 연결부
JPH06103079B2 (ja) 弁装置
JP2003185097A (ja) 液化石油ガス容器用バルブ
KR0176678B1 (ko) 급수밸브를 갖는 워터디스펜서
KR20100133817A (ko) 실링 압력 유지형 버터플라이 밸브
CN109515955B (zh) 一种打酒器
JP3781972B2 (ja) 飲料注出装置
US5026023A (en) Sealing arrangement in a plug-and-socket coupling with a pressure fluid passage, particularly between the spout of a liquid gas container and a discharge regulator mounted thereon
JPH0618143Y2 (ja) 高圧流体充填用バルブ装置
KR200269100Y1 (ko) 급수전의 패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