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75679A -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75679A
KR20050075679A KR1020040040228A KR20040040228A KR20050075679A KR 20050075679 A KR20050075679 A KR 20050075679A KR 1020040040228 A KR1020040040228 A KR 1020040040228A KR 20040040228 A KR20040040228 A KR 20040040228A KR 20050075679 A KR20050075679 A KR 20050075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supply
connector
supply pipe
sealing member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402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형선
Original Assignee
최형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형선 filed Critical 최형선
Priority to KR10200400402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075679A/ko
Publication of KR20050075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5679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16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sealing or securing means using fluid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 F16L19/0212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 F16L19/0218Pipe ends provided with collars or flanges, integral with the pipe or not, pressed together by a screwed member using specially adapted sealing means comprising only sealing 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07Arrangement or mounting of 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or dra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한 밀봉성을 보장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음료공급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콕크밸브의 개방구 내주면에 연결구의 일측단부가 밀봉적으로 끼워진 후에 콕크밸브의 개방구 외주면에 체결되는 결합너트에 의해 콕크밸브에 고정 결합되고, 연결구의 타측단부에 음료공급관의 토출구가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에 의해 밀봉결합되며, 이 연결구는 그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에 의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 상에 고정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에 있어서, 음료공급관의 토출구 상에 개재되는 밀봉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면을 가지며, 이 밀봉부재의 제1 및 제2 경사면과 개별적으로 접촉하는 압착너트의 접촉부 및 연결구의 타측단부 내측면은 밀봉부재의 제1 및 제2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Structure for connecting a feeding tube in a beverage fee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료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밀한 밀봉성을 보장하고,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음료공급관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맥주, 콜라, 주스 등과 같은 음료수를 즉석에서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시중의 음료수 판매업체는 소비자가 원하는 양만큼 신선하고 시원한 음료수를 제공하기 위해 별도의 음료공급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음료공급장치는 음료저장탱크와, 이 음료저장탱크로부터 연장되는 음료공급관과, 이 음료공급관 내로 공급되는 음료를 냉각시키는 냉각기와, 음료공급관의 토출구 상에 연결되어 음료를 외부로 인출하는 콕크밸브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과 콕크밸브는 "연결구"라고 하는 중간부재를 매개로 밀봉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도 1은 종래의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이 콕크밸브에 연결된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12)의 일측단부가 콕크밸브(10)의 개방구 내경면 상에 밀봉적으로 끼워진 후에 결합너트(17)에 의해 고정결합되고, 연결구(12)의 타측단부에는 음료공급관(13)의 토출구(13a)가 고무패킹(14) 및 압착너트(15)에 밀봉적으로 결합된다.
즉, 연결구(12)는 음료공급관(13)의 토출구(13a)와 콕크밸브(10)의 내부 유로를 상호 연결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연결구(12)는 음료공급장치의 본체(19) 일측에 고정너크(16), 밀봉링(18a) 및 마감재(18b) 등에 의해 고정설치됨으로써 콕크밸브(10) 및 음료공급관(13)을 음료공급장치의 일측면에 고정하는 역할도 겸한다.
콕크밸브(10)는 작동레버(10a)를 조작하여 인출구(10b)로부터 음료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일반적인 콕크밸브의 일종이다.
하지만, 종래의 음료공급관(13)은 그 토출구(13a)가 연결구(12)의 타측단부에 환형의 고무패킹(14)에 의해 밀봉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료 공급시 발생하는 고압력에 의해 고무재질의 패킹(14)이 수축 및 팽창을 거듭하게 되어 그 밀봉구조가 매우 취약하게 되어, 음료공급관(13)과 연결구(12) 사이의 밀봉 결합된 부분에서 음료의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료공급관(13)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압착너트(15)의 체결상태가 느슨해지게 되면, 음료 공급시의 고압력에 의해 연결구(12) 및 음료공급관(13)이 상호 이탈될 수 있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음료공급관의 토출구가 연결구 상에 보다 기밀한 밀봉성을 유지하며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공급관 및 연결구 사이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음료공급관의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콕크밸브의 개방구 내주면에 연결구의 일측단부가 밀봉적으로 끼워진 후에 콕크밸브의 개방구 외주면에 체결되는 결합너트에 의해 콕크밸브에 고정 결합되고, 연결구의 타측단부에 음료공급관의 토출구가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에 의해 밀봉결합되며, 이 연결구는 그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에 의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 상에 고정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에 있어서, 음료공급관의 토출구 상에 개재되는 밀봉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그 외주면에는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면을 가지며, 이 밀봉부재의 제1 및 제2 경사면과 개별적으로 접촉하는 압착너트의 접촉부 및 연결구의 타측단부 내측면은 밀봉부재의 제1 및 제2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음료공급관의 토출구 및 압착너트가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는, 연결구(2)의 일측단부가 콕크밸브(1)의 개방구 내주면상에 밀봉적으로 끼워진 후에 콕크밸브(1)의 개방구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결합너트(7)에 의해 고정 결합되고, 연결구(2)의 타측단부에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가 밀봉부재(4) 및 압착너트(5)에 의해 밀봉적으로 결합되며, 연결구(2)는 그 외주면 상에 체결되는 고정너트(6)에 의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9) 상에 고정된다.
콕크밸브(1)는 작동레버(1a)를 조작하여 인출구(1b)를 통해 음료를 외부로 인출시키는 통상의 콕크밸브로서, 본 발명에는 다양한 형태의 콕크밸브가 적용가능할 것이다.
연결구(2)는 그 내부가 관통된 형상으로, 그 일측단부의 개방구는 상술한 콕크밸브(1)의 개방구 측에 연통되고, 그 타측단부의 개방구는 후술하는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에 연통됨으로써, 음료공급관(3) 및 콕크밸브(1)를 상호 연통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연결구(2)는 그 외주면 상에 체결되는 고정너트(6)에 의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9)에 고정설치된다.
음료공급관(3)은 그 토출구의 외주면 상에 밀봉부재(4)가 끼움결합된다.
이 밀봉부재(4)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면(4a, 4b)을 가진다.
한편, 연결구(2)의 타측단부의 내경면에는 상술한 밀봉부재(4)의 제1경사면(4a)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진 접촉부(2a)가 형성되고, 압착너트(5)의 관통공에는 상술한 밀봉부재(4)의 경사면(4b)에 대응하는 경사면을 가진 접촉부(5a)가 형성된다.
즉, 본 발명은 밀봉부재(4)의 제1경사면(4a)이 연결구(2)의 접촉부(2a)와 접촉되고, 밀봉부재(4)의 제2경사면(4b)이 압착너트(5)의 접촉부(5a)와 접촉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 및 연결구(2) 사이의 밀봉결합성이 보다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 및 압착너트(5)가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 결합홈(3b)이 형성됨으로써, 압착너트(5)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보다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결합관계를 아래와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콕크밸브(1)의 개방구 내경면에 연결구(2)의 일측단부가 끼워진 후에 연결구(2)의 외부면 및 콕크밸브(1)의 외주면 상에 체결되는 결합너트(7)에 의해 연결구(2)의 일측단부는 콕크밸브(1)의 개방구 내경면에 고정 결합된다.
다음, 이 연결구(2)는 그 외주면 상에 형성된 수나사부 상으로 체결되는 고정너트(6)를 통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9) 상에 결합된다. 이때, 본체(9)의 내, 외측면 상에 패킹(8a) 및 마감재(8b)가 개재되어 연결구(2)와 본체(9)의 결합을 보다 기밀하게 함과 동시에 미려한 외관을 제공할 수도 있다.
다음,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 외주면에 제1 및 제2 경사면(4a, 4b)을 가진 밀봉부재(4)가 끼움결합된 상태에서,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가 연결구(2)의 타측단부 내측면상에 끼워진 후에 연결구(2)의 외주면 상에 형성된 수나사부에 압착너트(5)가 체결됨에 의해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가 연결구(2)의 타측단부에 밀봉고정된다.
이때, 밀봉부재(4)의 제1경사면(4a)은 연결구(2)의 접촉부(2a)와 접촉하게 되고, 밀봉부재(4)의 제2경사면(4b)은 압착너트(5)의 접촉부(5a)와 접촉하며 결합됨으로써,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 및 연결구(2) 사이의 밀봉결합성이 보다 향상된다.
또한, 음료공급관(3)의 토출구(3a) 및 압착너트(5)가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된 결합홈(3b)에 의해 압착너트(5)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보다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9), 콕크밸브조립체(1), 연결구(2), 음료공급관(3)의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콕크밸브조립체(1)의 작동레버(1a)를 조작하면, 음료저장탱크(미도시)로부터 음료가 음료공급관(3) 및 연결구(2)를 통해 인출구(1b)로 인출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된다.
이때, 음료공급장치는 음료공급관(3)과 연결구(2) 사이의 결합부분에서 기밀한 밀봉성이 유지되어 음료의 누수가 방지되고, 그 결합관계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되는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음료공급관의 토출구가 연결구 상에 보다 기밀한 밀봉성을 유지하며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음료공급관 및 연결구 사이의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음료공급장치용 음료공급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음료공급장치용 음료공급관, 연결구 및 콕크밸브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음료공급장치용 음료공급관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콕크밸브 2 : 연결구
3 : 음료공급관 4 : 밀봉링
5 : 압착너트 6 : 고정 너트
7 : 결합너트 9 : 본체

Claims (2)

  1. 콕크밸브의 개방구 내주면에 연결구의 일측단부가 밀봉적으로 끼워진 후에 콕크밸브의 개방구 외주면에 체결되는 결합너트에 의해 콕크밸브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연결구의 타측단부에 음료공급관의 토출구가 밀봉부재 및 압착너트에 의해 밀봉결합되며, 상기 연결구는 그 외주면상에 체결되는 고정너트에 의해 음료공급장치의 본체 상에 고정되는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에 있어서,
    상기 음료공급관의 토출구 상에 개재되는 밀봉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밀봉부재의 외주면에는 상호 대칭되는 방향으로 형성된 제1 및 제2 경사면을 가지며, 상기 밀봉부재의 제1 및 제2 경사면과 개별적으로 접촉하는 압착너트의 접촉부 및 연결구의 타측단부 내측면은 밀봉부재의 제1 및 제2 경사면에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관의 연결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공급관의 토출구 및 압착너트가 상호 접촉되는 부분에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공급관의 연결구조.
KR1020040040228A 2004-06-03 2004-06-03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KR20050075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228A KR20050075679A (ko) 2004-06-03 2004-06-03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40228A KR20050075679A (ko) 2004-06-03 2004-06-03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1273U Division KR200346951Y1 (ko) 2004-01-16 2004-01-16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5679A true KR20050075679A (ko) 2005-07-21

Family

ID=372637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40228A KR20050075679A (ko) 2004-06-03 2004-06-03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07567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90820A1 (en) Pressure tank
CN101517287B (zh) 一种尤其用于超高纯度气体瓶子的阀
US7857286B1 (en) Faucet having leakproof effect
JP3861206B2 (ja) 流体制御器
US7661435B2 (en) Pump connector for Presta valve
JP4247567B2 (ja) 2ポート弁
US6517117B1 (en) Through wall connector for a reservoir
JP2000352468A (ja) 自動弁
KR101059660B1 (ko) 탱크로부터의 액체공출용 커넥터
KR101994529B1 (ko) 고압 노즐 피팅
KR200346951Y1 (ko)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WO2005066535A1 (ja) 流体継手及び継手一体型集積ユニット
KR20050075679A (ko)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연결구조
CN210266048U (zh) 一种负压阀以及具有其的供水系统
KR200271858Y1 (ko) 음료공급장치의 음료공급관 결합구조
KR200208186Y1 (ko) 음료 냉각기의 콕크 연결부
CN211443356U (zh) 一种酒茅以及酒桶
CN214838421U (zh) 一种酒坛用出酒龙头
CN219529838U (zh) 一种控制阀
KR200339779Y1 (ko) 배관연결구조
KR0116408Y1 (ko) 생수통용 물펌프의 결합부 구조
JP4272370B2 (ja) 流体の流路接続部における部品間接合構造
KR200362647Y1 (ko) 유니언 일체형 게이트 밸브
KR200362648Y1 (ko) 유니온 일체형 글로브 밸브
KR200370265Y1 (ko) 수도꼭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