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603B1 -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603B1
KR101298603B1 KR1020117020673A KR20117020673A KR101298603B1 KR 101298603 B1 KR101298603 B1 KR 101298603B1 KR 1020117020673 A KR1020117020673 A KR 1020117020673A KR 20117020673 A KR20117020673 A KR 20117020673A KR 101298603 B1 KR101298603 B1 KR 101298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member
contact
delete delete
defect
defe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0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7181A (ko
Inventor
마사노리 나카모리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10127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71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6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66B7/1207Checking means
    • B66B7/1215Check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12Checking, lubricating, or cleaning means for ropes, cables o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66B11/08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with hoisting rope or cable operated by frictional engagement with a winding drum or shea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Testing Of Devices, Machine Parts, Or Other Structures Thereof (AREA)

Abstract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21) 및 검출 결정 장치(20)가 제공된다. 인장 부재(3)와의 접촉 없이 대응되는 인장 부재(3) 다음에 배치되는 접촉 센서(21)는 접촉시 접촉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신호를 수신하는 결함 판정 장치(20)는 접촉 신호를 토대로 인장 부재(3)에 결함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ELEVATOR TENSION MEMBER MONITORING DEVIC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이용되는 인장 부재(들)을 모니터링하고 그 곳의 결함들을 감지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승강로(hoistway), 승강로의 최상부 부분에 위치되는 호이스트(hoist), 승강로 내에 장착되는 엘리베이터 차체 가이드 레일 및 평형추 가이드 레일, 및 가이드 레일들을 따라 승강로 내에서 위 아래로 이동하는 엘리베이터 차체 및 평형추를 포함한다. 차체 및 평형추는 와이어 로프 또는 벨트(벨트 자체가 와이어 로프를 포함하는지의 여부와는 무관)와 같은 인장 부재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다. 인장 부재는 가이드 레일을 따라 차체와 평형추를 이동시키는 호이스트에 의하여 구동된다.
와이어 로프는 통상적으로 꼬인 다수의 와이어들로 만들어진 스트랜드(strand)들을 함께 꼼으로써 구성된다. 빈번한 굽힘, 인장 응력, 마멸 등의 영향으로 인해 로프를 구성하는 와어이들 또는 스트랜드들에서는 파손, 마모 등이 흔히 발생된다.
이러한 이유로, 로프 결함들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검사가 주기적으로 수행된다. 과거에는, 엘리베이터들에 이용되는 로프 내의 와이어 파손을 검사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기술자에 의한 시각적 검사 및 전자기 결함 검출기(electromagnetic defect detector)를 이용한 검사가 함께 이용되어 왔다.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제 2004-149317 호에 개시된 로프 결함 감지 장치는 자기 검사를 이용한 예로서 주어질 수 있다. 이 로프 결함 감지 기구는 와이어 파손과 같은 결함들을 자기적으로 감지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로부터의 신호들을 처리하는 신호 처리부를 포함한다. 와이어에 파손이 존재하는 경우, 로프가 통과하는 채널 내의 감지된 부분의 위치에서 자기장에 교란이 생기고(disrupt), 상기 교란은 신호 처리부로 출력되는 신호로서 센서에 의해 캡쳐(capture)되고, 로프의 파손 위치가 측정되며, 로프의 결함이 감지된다.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 2001-63938 호에 개시된 또 다른 종래의 예시로서, 이는 검사 장치(U-자형 프레임 상에서 코드가 스트렛칭됨)가 작업자의 손에 쥐어져 있는 한편, 상기 엘리베이터 로프가 움직이는 동안 엘리베이터 로프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로프 상의 결함이 있는 위치로부터 전달되는 진동들이 작업자 스스로에 의해 수동으로 확인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언급된 특허 1 :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 2004-149317 호
언급된 특허 2 :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 2001-63938 호
하지만,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 2004-149317 호의 감지 장치의 단점은, 장치가 고가이며, 동시에 정상 속도에서는 감지 정밀도가 낮기 때문에 좋은 정밀도로 와이어의 파손에 의해 야기되는 자기장의 경미한 교란을 감지하기 위해서는 엘리베이터가 검사 동안 저속으로 작동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추가적으로, 일본 미심사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 2001-63938 호에서, 결함 위치들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은, 작업자가 로프가 이동할 때 로프와 검사 장치를 접촉시키는 동안 로프의 전체 길이에 걸쳐 작업자 스스로에 의해 수동으로 확인된다. 또한, 결함이 있는 곳들의 위치들 또한 작업자에 의해 식별되어야하는 데, 이는 그 프로세스가 시간 및 노동 집약적이라 점에서 단점이 된다. 또한, 그 프로세스는 작업자가 휴대용(hand-held) 장치를 엘리베이터 로프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로프와 직접적으로 접촉시켜야 하기 때문에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들을 해결하고 고가가 아니면서 간단하게 로프의 결함들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엘리베이터 로프 모니터링 장치를 제공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상술된 일반적인 설명 및 후속하는 상세한 설명은 예시적이며 설명을 돕기 위한 것에 불구하며, 청구범위와 같이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토대로 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의 일 실시예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 및 결함 판정 장치가 제공된다. 인장 부재와의 접촉 없이 대응되는 인장 부재 옆에 배치되는 접촉 센서는 접촉시 접촉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신호를 수신하는 결함 판정 장치는 접촉 신호를 토대로 인장 부재에 결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토대로 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일 실시예에는 엘리베이터 차체, 평형추, 호이스트,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및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가 제공된다.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는 결함 판정 장치 및 인장 부재와의 접촉 없이 대응되는 인장 부재 옆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를 포함한다. 접촉 센서는 접촉시 접촉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접촉 신호를 수신하는 결함 판정 장치는 접촉 신호를 토대로 인장 부재에 결함이 존재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을 토대로 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가 인장부재와의 접촉 없이 대응되는 인장 부재 옆에 배치되는 단계, 접촉 센서와 인장 부재 간의 접촉이 접촉 센서로 하여금 결함이 검출된 접촉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신호를 토대로 인장 부재의 결함들이 결정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실시형태 및 장점들과 다른 특징, 실시형태 및 장점들은 설명부, 후속 청구범위 및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며, 이후 상기 도면에 대해 간략히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의 일 실시예가 설치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나타낸 도;
도 2는 도 1의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호이스트, 복수의 인장 부재들, 및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라인 Ⅳ-Ⅳ에서 절취된 도 3의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의 평면도,
도 5는 도 3의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검출 회로의 회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인장 부재 모니터링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처리 단계들의 플로우 차트,
도 8은 본 발명의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의 대안적인 실시예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엘리베이터 차체
2 평형추
3 인장 부재
4 차체 가이드 레일
5 평형추 가이드 레일
6 호이스트
7 구동 시브
8 아이들러 시브(Idler sheave)
10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승강로
14 기계실(machine room)
20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
21 음향 발진기(acoustic oscillator)
22 지지 부재
23 진동판
23a 진동판 전방 단부
24 지지 부재 전방 에지
25 마이크로폰
28 스트랜드 파손 또는 와이어 파손
30 감지 회로
32 밴드패스 필터(bandpass filter)
34 비교기
36 메모리
40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der)
50 엘리베이터 제어기
60 퍼블릭 회로(public circuit)
70 모니터링 센터
본 발명에 따라 발명된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의 실시예들이 도면들을 토대로 후술된다.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하거나 같은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참조 부호들을 이용하려고 노력하였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구동 시브(7)가 제공되는 호이스트(6)는 승강로(12)의 최상부에 위치되는 기계실(14)에 설치된다.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3)의 일 단부는 엘리베이터 차체(1)에 연결되고, 다른 단부는 평형추(2)에 연결된다. 인장 부재(3)(예를 들어 와이어 로프, 벨트 등일 수 있음)는 호이스트(6)가 제공되는 구동 시브(7) 및 아이들러 시브(8)를 거쳐 호이스트(6)에 의하여 구동될 때, 차체(1) 및 평형추(2)는 차체 가이드 레일들(4)(그 중 하나가 도 1에 도시됨) 및 평형추 가이드 레일들(5)(그 중 하나가 도 1에 도시됨)을 따라 각각 이동한다.
본 발명의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20)에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접촉 센서는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음향 발진기(21)이다. 음향 발진기(21)는 기계실(14) 내측 인장 부재(3) 맞은 편에서 구동 시브에 인접하게 설치된다. 음향 발진기(21)에는 지지 부재(22), 및 지지 부재(22) 상에 외팔보 형태로(cantilevered) 장착되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판(23)[도 1은 복수의 진동판들(23)을 도시함]이 제공된다. 시트 금속으로 만들어지는 진동판들(23)은 길고, 얇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가지며 인장 부재(3)를 향하여 연장된다. 특정 음향 발진기(21)와 연관된 진동판들(2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고유 진동 주파수를 갖도록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를 갖는다. 진동판들(23)은 대응되는 인장 부재(3)와 대향되고 그를 향하여 연장되는 지지 부재(22)의 전방 에지(24)를 따라 실질적으로 같은 간격으로 배치된다. 인접한 진동판들(23) 간의 간격은 인장 부재(3)의 분리가능한(separable) 구성요소(예컨대 와이어들)의 두께보다 작다. 또한, 복수의 진동판들(23)은 인장 부재(3)와 대향되는 전방 단부들(23a)이 아크 형태로 인장 부재(3)의 외주부의 일부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도 4). 따라서, 인장 부재(3)와 각각의 진동판(23a)의 전방 단부(23a) 간의 간격이 실질적으로 같다. 인장 부재(3)와 진동판들(23)의 전방 단부들(23a) 간의 간격은, 예를 들어 진동판들(23)이 엘리베이터가 정상적으로 작동될 때 이동하는 인장 부재(3)와 접촉하지 않도록 대략 수 밀리미터로 설정된다. 그러므로, 인장 부재(3)에 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진동판들(23)은 인장 부재(3)와 접촉하지 않는다. 하지만, 파손들(28)(예컨대 스트랜드 파손들 또는 와이어 파손들)과 같은 결함이 있는 곳이 존재하는 경우, 파손(28)이 있는 곳의 인장 부재(3)의 외주부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스트랜드들 또는 와이어들은 파손(28)이 있는 곳이 진동판(23)을 지날 때 진동판(23)을 건드릴 것이다. 파손(28)이 진동판(23)을 건드리는 경우, 진동판(28)은 진동하고 소리 형태의 접촉 신호를 발생시킨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응용예로서,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는 4 개의 인장 부재(3)가 제공되며, 그들 각각은 각각의 인장 부재 맞은 편에 설치되는 대응되는 음향 발진기(21)와 연관된다. 4 개의 음향 발진기들(21)의 진동판들(23)의 길이들은 상이하며, 따라서 음향 발진기들(21)의 고유 진동 주파수들은, 예를 들어 500 Hz, 800 Hz, 1 kHz, 및 1.5 kHz로 상이하다. 일 인장 부재(3)에 결함이 존재하는 경우, 연관된 음향 발진기(21)의 진동판(23)은 인장 부재(3)의 파손(28)으로부터 돌출된 스트랜드들 또는 와이어들에 의해 접촉되며, 이에 의해 연관된 음향 발진기(21)가 다른 음향 발진기들(21)의 다른 진동판들(23)과 구별되는 고유 진동 주파수를 갖는 노이즈를 발생시키게 된다. 결과적으로, 파손(28)으로부터 돌출된 와이어 또는 스트랜드에 의하여 접촉되는 음향 발진기(21)[및 그러므로 음향 발진기(21)에 대응되는 인장 부재(3)]는 접촉된 진동판(23)으로부터 나는 소리의 주파수에 의해 쉽게 구별될 수 있다. 나타낸 응용예에서 4 개의 인장 부재들(3), 및 4 개의 대응되는 진동판들(23)에는 각각의 인장 부재(3)에 대응되는 음향 발진기들이 제공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방법으로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도 6을 참조하면, 음향 발진기(21) 부근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20)에는 마이크로폰(25)[음향 발진기(21)로부터의 소리를 검출함] 및 마이크로폰(25)에 연결되는 감지 회로(30)가 제공된다. 감지 회로(30)에는 마이크로폰(25)에 의해 감지된 신호들을 필터링하는 밴드패스 필터(32), 비교기(34), 및 메모리(36)가 제공된다. 마이크로폰(25)에 의해 감지된 음향 신호는 주변 노이즈(peripheral noise)와 더불어 음향 발진기(21)로부터 나온 소리를 포함한다. 주변 노이즈를 처리하기 위하여(그리고 주변 노이즈의 영향들을 실질적으로 제거하기 위하여), 밴드패스 필터(32)는 마이크로폰(25)에서 나온 출력 신호로부터 진동판들(23)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포함하는 범위 내의 주파수 신호를 분리한다. 비교기(34)는 기준 신호와 밴드패스 필터(32)에 의하여 출력되는 필터링된 신호를 비교한다. 만약 필터링된 신호가 기준 신호보다 크다면, 비교기(34)는 결함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10)에는 호이스트에 연결되는 로터리 인코더(40)가 제공된다(도 2). 로터리 인코더(40)는 길이 방향으로 인장 부재들의 이동에 대해 동기화되며, 길이 방향으로의 인장 부재들의 다양한 위치들 중 그 위치들을 특정하는 주소들(adresses)을 발생시킨다. 로터리 인코더(40)에 의해 발생되는 주소들은 감지 회로(30)의 메모리(36)에 기록된다. 비교기(34)에 의해 결함 검출 신호가 출력되는 경우, 결함의 존재는 [로터리 인코더(40)에 의하여 판정되는] 결함 위치에 대응되는 메모리 주소에 기록된다. 도 2를 참조하면, 감지 회로(30)는 엘리베이터 제어기(50)에 연결된다. 엘리베이터 제어기(50)는 퍼블릭 회로(60)를 지나 모니터링 센터(7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인장 부재(3)의 결함들이 알려지도록 한다. 인장 부재들(3) 상의 결함들의 위치들은 주소들에 결함 검출 신호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쉽게 검색(retrieve)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20)의 처리 절차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플로우 차트이다.
본 발명의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는 정상 작동 동안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들(3)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먼저, 이동 횟수(N)를 나타내는 카운터가 엘리베이터가 작동될 때마다 증가된다(단계 101). 단계 102에서는, 인장 부재가 음향 발진기(21)를 지날 때 인장 부재의 위치(R)를 나타내는 카운터가 로터리 인코더(50)와 동기화되어 증가된다. 그 다음, 위치(R)에서의 필터링된 신호가 판독되고(단계 103), 기준 값과 비교된다(단계 104).
여기서, 만약 신호 수준이 기준 값을 초과한다면, 프로세스 제어는 단계 105로 진행되며, 위치(R)에서 결함이 검출된 횟수(MR)를 세는 카운터가 증가된다. 다음으로, 단계 106에서는 결함이 검출된 횟수(MR)이 이동 횟수(N)로 나눠지고, 임계 값(S)과 비교된다. 만약 결함 발생 비(defect occurrence ratio)(MR/N)가 임계 값(S)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로프에 결함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며, 이것이 퍼블릭 회로(60)를 지나 모니터링 센터(70)에 보고된다(단계 107). 다른 한편, 임계 값(S)이 초과되지 않은 경우에는, 인장 부재의 결함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며, 프로세스 제어는 단계 108로 진행된다.
단계 104에서, 신호 수준이 기준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도, 또한 프로세스 제어가 단계 108로 진행한다. 단계 108에서는, 인장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쳐 결함이 검출되었는지가 확인되고, 위치(R)의 값이 사전설정된 최대 값(R≥R0)에 도달된 후에, 인장 부재의 전체 길이에 걸친 검사가 완료된 것으로 판정되고, 프로세스 제어가 단계 101로 되돌아간다. 위치(R)의 값이 최대 값에 도달되지 않은 경우에는, 프로세스 제어가 단계 102로 되돌아가며, 다음의 인장 부재 위치(R)에 대해 상술된 처리가 반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발명에 의해 인장 부재의 전체 길이가 여러 차례 검사되며, 인장 부재의 결함들이 이동 횟수에 대한 특정 위치에서 결함이 검출된 횟수의 비로부터 판정되어, 검출 결과들이 승강로에서의 소리나 노이즈의 영향을 받지 않고 인장 부재의 결함들이 보다 정확하게 식별될 수 있다.
또한, 음향 발진기(21)의 진동판(23)은 그것이 특정치보다 큰 충격을 받는 경우 파손이 일어나도록 구성된다. 그러므로, 작업자들은 또한 진동판(23)에 대한 손상에 의해 인장 부재의 결함들을 확인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도 1 내지 도 7의 응용예들을 토대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술된 구성들로만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타낸 응용예에서,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1:1 로핑(roping)으로 구성되고, 4 개의 인장 부재들이 이용되지만, 이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는 다른 로핑 구조와도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응용예에서의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는 기계실을 갖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 이용되고 기계실(14)에 배치되는 호이스트(6)의 구동 시브(7) 부근에 설치되지만, 본 발명의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는 기계실이 없는 타입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대해서도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모니터링 장치가 아이들러 시브(8) 부근에 배치될 수도 있다.
나타낸 응용예에서,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20)의 음향 발진기들(21)은 인장 부재들(3)의 일 측에 대향하여 설치되지만, 음향 발진기들(23)은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부재들(3)의 전체 주변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배치된 실시예들은 접촉 센서로서 진동판들(21)을 채용한 음향 발진기들(23)을 포함하지만, 접촉 센서는 와이어나 스트랜드 파손(28)에 의한 접촉시 이러한 접촉을 나타내는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전기 스위치, 전위차계(potentiometer) 등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응용예에 의하면, 인장 부재의 결함이 확인되는 경우, 그것은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센터로 보고되고, 그 데이터가 원 거리(remote location)에서 확인되지만, 결함 상태가 허용 범위인 경우, 데이터는 고정된 주기 동안 검출 회로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며, 작업자는 일상적인 유지보수 시에 그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에 의하면, 다수의 인장 부재들이 단순한 구성으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행해지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감지 장치를 인장 부재와 접촉시킬 필요가 없어서,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며, 노동력 및 검사 시간의 절감이 실현된다. 또한, 작업자 스스로 인장 부재의 결함들을 시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판정할 필요가 없어서, 인장 부재의 결함이 개인별 인식 차이 없이 보다 정확하게 검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인장 부재 결함 판정 장치에 의하면, 인장 부재의 결함이 있는 위치가 1 이상의 로프들에서 쉽고 정확하게 특정될 수 있다. 그러므로, 유지보수 및 검사 동안 결함이 있는 인장 부재의 위치들에 대한 접근, 보고들의 생성 등이 단순화된다.
상술된 논의는 본 발명의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여하한의 특정 실시예 또는 실시예들의 그룹만으로 후속 청구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해서는 안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특정 실시예를 기준으로 특히 상세히 설명되기는 하였으나, 후속 청구범위에 나열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보다 넓고 의도된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다양한 수정 및 변경들이 가해질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들은 예시적 방법으로 간주되며 후속 청구범위를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술된 개시내용의 관점에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다른 실시예들 및 수정례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의 본 개시내용으로부터 당업자가 취할 수 있는 모든 수정례들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들로서 포함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나열된 바와 같이 정의된다.

Claims (40)

  1.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tension member monitoring device)에 있어서,
    인장 부재와 접촉하지 않고 적어도 하나의 대응되는 인장 부재 옆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 - 상기 접촉 센서는 접촉시 접촉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됨 - ;
    상기 접촉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접촉 신호를 토대로 상기 인장 부재의 결함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결함 판정 장치; 및
    상기 접촉 센서를 지나는 상기 인장 부재 상의 위치들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장치를 포함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는:
    대응되는 인장 부재 옆에 배치되는 진동판; 및
    상기 접촉 신호로서 음향 센서 출력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진동판 맞은 편에 배치되는 음향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결함 판정 장치는 상기 음향 센서 출력 신호로부터, 상기 진동판의 고유 진동 주파수를 포함하는 범위 내에 있는 주파수 신호를 분리하도록 구성되는 필터를 포함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판정 장치는 상기 분리된 신호를 토대로 상기 인장 부재의 결함이 존재하는지를 판정하도록 구성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인장 부재들 및 대응되는 접촉 센서들을 포함하며,
    각각의 접촉 센서는 상기 결함 판정 장치로 상이한 접촉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센서 각각은 진동판이며, 상기 인장 부재들 각각에 대응되는 상기 진동판들의 고유 진동 주파수는 상이한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감지된 상기 인장 부재의 위치들과 연관된 결함들을 저장하는 결함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접촉 센서들은 상기 인장 부재 맞은 편에 배치되고 상기 인장 부재 주변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판정 장치는 특정 위치에서 결함이 감지된 횟수로부터 인장 부재의 결함들을 판정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함 판정 장치는 이동 횟수를 측정하고, 상기 이동 횟수에 대한 특정 위치에서 결함이 감지되는 횟수의 비로부터 인장 부재의 결함들을 판정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부재는 와이어 로프 또는 벨트인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11.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차체,
    평형추,
    호이스트(hoist),
    적어도 하나의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및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를 포함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12. 인장 부재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센서가 인장 부재와의 접촉 없이 적어도 하나의 대응되는 인장 부재 옆에 배치되는 단계,
    상기 접촉 센서와 상기 인장 부재 간의 접촉이 상기 접촉 센서로 하여금 결함 검출 접촉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접촉 신호를 토대로 상기 인장 부재의 결함들이 판정되는 단계, 및
    상기 접촉 센서를 지나는 상기 인장 부재의 위치들이 판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인장 부재들 및 대응되는 접촉 센서들이 제공되고,
    상기 접촉 센서들 각각은 상이한 접촉 신호를 출력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센서들 각각은 진동판이고,
    상기 진동판들 각각은 상이한 고유 진동 주파수를 갖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방법.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부재의 위치들과 연관된 결함들이 저장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방법.
  16. 제 12 항에 있어서,
    복수의 접촉 센서들이 상기 인장 부재의 맞은 편에 배치되고 상기 인장 부재 주변부의 일부를 둘러싸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방법.
  17. 제 12 항에 있어서,
    특정 위치에서 결함들이 검출된 횟수가 계산되는 단계, 및
    상기 결함들이 검출된 회수로부터 인장 부재의 결함들이 판정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이동 횟수가 측정되는 단계, 및
    상기 인장 부재 결함 판정 단계는 상기 이동 횟수에 대한 특정 위치에서 결함들이 감지되는 횟수의 비로부터 인장 부재의 결함들을 판정하는 인장 부재 모니터링 방법.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부재는 와이어 로프 또는 벨트인 인장 부재 모니터링 방법.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KR1020117020673A 2009-02-12 2009-02-12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KR1012986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9/000552 WO2010092618A1 (en) 2009-02-12 2009-02-12 Elevator tension member monitor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7181A KR20110127181A (ko) 2011-11-24
KR101298603B1 true KR101298603B1 (ko) 2013-08-26

Family

ID=4099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0673A KR101298603B1 (ko) 2009-02-12 2009-02-12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8851239B2 (ko)
EP (1) EP2396264B1 (ko)
JP (1) JP5567579B2 (ko)
KR (1) KR101298603B1 (ko)
CN (1) CN102317193B (ko)
BR (1) BRPI0924297A2 (ko)
ES (1) ES2511038T3 (ko)
HK (1) HK1165775A1 (ko)
RU (1) RU2485041C2 (ko)
WO (1) WO2010092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95910A1 (de) * 2010-07-23 2013-05-29 Inventio AG Zerstoerungsfreies pruefen eines tragelements einer aufzugsanlage
WO2014131656A1 (en) * 2013-02-26 2014-09-04 Kone Corporation Elevator structure test
DE112014005048T5 (de) * 2013-11-06 2016-08-18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Aufzugdiagnosevorrichtung
EP3074334B1 (en) * 2013-11-25 2020-09-16 Otis Elevator Company Bedplate for elevator system
WO2015089755A1 (en) * 2013-12-18 2015-06-25 Inventio Ag Pulley for lift system, lift system with pulley and method for monitoring lift system
EP2947034B1 (en) * 2014-05-19 2016-10-05 KONE Corporation An elevator
DE112015003122T5 (de) * 2014-07-03 2017-03-1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eilverschleißdehnungsdiagnosevorrichtung für einen Aufzug, Seilverschleißdehnungsdiagnoseverfahren für einen Aufzug, und ein eine Seilverschleißdehnung diagnostizierendes vorstehendes Teil für einen Aufzug
EP2987758B1 (en) * 2014-08-18 2016-11-30 KONE Corporation Elevator
WO2016040452A1 (en) * 2014-09-11 2016-03-17 Otis Elevator Company Vibration-based elevator tension member wear and life monitoring system
CN104613884B (zh) * 2015-01-08 2017-06-13 济宁康华机电科技有限公司 激光强磁钢丝绳在线探伤系统及方法
JP2016180676A (ja) 2015-03-24 2016-10-13 株式会社東芝 検知システム及び検知方法
EP3095743B1 (en) * 2015-05-20 2018-07-25 KONE Corporation Elevator comprising a rope monitoring arrangement to detect displacement of belt-shaped ropes
EP3205615A1 (en) * 2016-02-15 2017-08-16 KONE Corporation Elevator
EP3426587B1 (de) * 2016-03-10 2022-05-04 Inventio AG Tragmittel für eine aufzuganlage mit mehreren entlang des tragmittels angeordneten sensoren
PL3433198T3 (pl) 2016-03-23 2020-06-01 Inventio Ag Instalacja dźwigowa z otoczonym częściowo elektroprzewodzącą obudową środkiem nośnym, zwłaszcza na układzie rolek zwrotnych
JP6815174B2 (ja) * 2016-11-29 2021-01-20 株式会社明電舎 エレベータロープ監視装置及びエレベータロープ監視方法
JP6610516B2 (ja) * 2016-11-29 2019-11-2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点検支援システム
WO2018127272A1 (en) * 2017-01-03 2018-07-12 Kone Corporation Elevator with overspeed governor rope monitoring
EP3403980B1 (en) 2017-05-16 2022-01-26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for tensioning of a load bearing member of an elevator system
US10549953B2 (en) * 2017-07-17 2020-02-04 Thyssenkrupp Elevator Ag Elevator belt position tracking system
US20210188597A1 (en) * 2017-08-10 2021-06-2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reak detection device
WO2019123650A1 (ja) * 2017-12-22 2019-06-27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テンション確認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のロープテンション確認システム
US11014790B2 (en) * 2018-05-14 2021-05-25 Tulsa Winch, Inc.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on and warning of winch rope non-uniformity
JP6778457B2 (ja) * 2018-07-11 2020-11-04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テールコードの破損検知方法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
CN109626177B (zh) * 2018-12-20 2019-10-18 中国矿业大学 一种矿井提升钢丝绳磨耗面积及其安全系数预测方法
RU192118U1 (ru) * 2019-06-19 2019-09-04 Закрыт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Ультракрафт" Искатель кромок листового проката
CN110422725B (zh) * 2019-08-18 2021-04-02 浙江梅轮电梯股份有限公司 基于非线性形态共振模型的电梯防坠独立式安全监测方法
CN111302173A (zh) * 2019-11-25 2020-06-19 广东马上到网络科技有限公司 电梯钢丝绳异常检测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2938801B (zh) * 2020-12-04 2023-04-21 三菱电机上海机电电梯有限公司 具有信号反馈功能的防跳机构及防跳装置和工作方法
US11932515B2 (en) * 2021-04-05 2024-03-1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tension member moni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5920A (en) * 1976-07-21 1979-03-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condition of wire rope
JP2002003119A (ja) 2000-06-27 2002-01-09 Toshiba Corp ロープ異常検出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08050140A (ja) 2006-08-25 2008-03-06 Shinmaywa Engineerings Ltd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510579A (ko) * 1965-08-13 1967-02-14
US3386145A (en) * 1966-02-10 1968-06-04 Eastman Kodak Co Quality monitoring system for continuously moving filamentary structures
US3902364A (en) * 1973-12-10 1975-09-02 Gen Electric Apparatus for detecting an enlarged section of a continuously moving elongated material
SU1500605A1 (ru) * 1987-09-07 1989-08-15 Krivorozh Gornorudnyj I Уctpoйctbo для kohtpoля pудhичhыx пoд'emhыx kahatob
US4935699A (en) * 1989-05-15 1990-06-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Means to detect and locate pinching and chafing of conduits
US5804964A (en) 1996-11-29 1998-09-08 Noranda Inc. Wire rope damage index monitoring device
US5992574A (en) * 1996-12-20 1999-11-30 Otis Elevator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to inspect hoisting ropes
US6653943B2 (en) * 2001-07-12 2003-11-25 Inventio Ag Suspension rope wear detector
US6923065B2 (en) * 2001-09-17 2005-08-02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Apparatus for testing aramid fiber elevator cables
US20030062226A1 (en) * 2001-10-03 2003-04-03 Stucky Paul A. Elevator load bearing assembly having a ferromagnetic element that provides an indication of local strain
CN100564215C (zh) * 2004-03-16 2009-12-02 奥蒂斯电梯公司 一种监测电梯承载构件的状况的方法及其装置
JP4581693B2 (ja) * 2004-09-13 2010-11-17 日本精工株式会社 異常診断装置
JP4832820B2 (ja) * 2005-07-19 2011-12-07 新明和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ワイヤーロープの素線切れ検知具
JP4849397B2 (ja) * 2006-03-01 2012-01-11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JP4896692B2 (ja) * 2006-12-08 2012-03-14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メインロープ異常検出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エレベータ装置
WO2008093410A1 (ja) * 2007-01-31 2008-08-0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
US8476898B2 (en) * 2007-11-13 2013-07-02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Rope tester detection plate
JP5127919B2 (ja) * 2008-04-14 2013-01-23 三菱電機株式会社 ワイヤロープ探傷装置
US7880476B1 (en) * 2008-07-29 2011-02-01 Mckenzie Fiona A M Method to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locating a fault in an electrical conductor wire
RU80417U1 (ru) * 2008-07-31 2009-02-1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Южно-Россий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техн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Новочеркасский политех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состояния стальных канатов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ных установок
US20130024135A1 (en) * 2011-07-22 2013-01-24 Blum Dieter W Method And Apparatus For Ferromagnetic Cable Inspectio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5920A (en) * 1976-07-21 1979-03-2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 condition of wire rope
JP2002003119A (ja) 2000-06-27 2002-01-09 Toshiba Corp ロープ異常検出装置及び同装置を備えたエレベーター制御装置
JP2008050140A (ja) 2006-08-25 2008-03-06 Shinmaywa Engineerings Ltd 昇降装置およびワイヤーロープの損傷検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6264A1 (en) 2011-12-21
CN102317193A (zh) 2012-01-11
EP2396264B1 (en) 2014-09-03
BRPI0924297A2 (pt) 2016-01-26
JP5567579B2 (ja) 2014-08-06
WO2010092618A1 (en) 2010-08-19
HK1165775A1 (en) 2012-10-12
RU2485041C2 (ru) 2013-06-20
ES2511038T3 (es) 2014-10-22
KR20110127181A (ko) 2011-11-24
CN102317193B (zh) 2015-04-01
US8851239B2 (en) 2014-10-07
US20110315489A1 (en) 2011-12-29
RU2011124770A (ru) 2013-03-20
JP2012517391A (ja) 201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8603B1 (ko) 엘리베이터 인장 부재 모니터링 장치
WO2011158871A1 (ja) 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の損傷監視方法及びエレベータ用ワイヤロープの損傷監視装置
JP6271680B1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検査システム
CN101811636B (zh) 电梯的绳索监视装置
EP1472169B1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elemonitoring an elevator
KR101653002B1 (ko) 엘리베이터의 로프 흔들림 검출 장치 및 그것을 사용한 지진 자동 복구 운전 제어 방법
JP2008214037A (ja) エレベータのワイヤロープ検査装置及びロープ外径測定方法
JPS6017754B2 (ja) ワイヤロ−プの異常検出装置
JP5242538B2 (ja) パンタグラフの摺り板の段付摩耗検知方法及び装置
JP2011516365A (ja) エレベータ装置用の遠隔観測解析
KR20170057317A (ko) 진동-기반 승강기 인장 부재 마모 및 수명 모니터링 시스템
WO2011147456A1 (en) Elevator and elevator rope monitoring device
JP4488216B2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
JP5118538B2 (ja) エレベーターのワイヤーロープ素線切れ診断システム
EP3287405A1 (en) Noise based elevator malfunction detection
JP5397075B2 (ja) エレベータの異常音検出装置
JP2013035693A (ja) エレベーターのワイヤーロープ素線切れ診断システム
JP5401281B2 (ja) エレベータのロープ揺れ検出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地震自動復旧運転制御方法
JPH11325844A (ja) ワイヤーロープの診断方法
JP2000255928A (ja) エレベータ装置
US20170001831A1 (en) Pulley for elevator system, elevator system with pulley and method for monitoring elevator system
JP6748044B2 (ja) 乗客コンベア点検装置および乗客コンベア点検システム
JPH1059650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廻り機器の異常検出装置
JP5220280B2 (ja) エレベータの異常検出装置
JP6828130B1 (ja) ロープ検査方法、ロープ検査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