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8134B1 -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균주 - Google Patents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균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8134B1
KR101298134B1 KR1020117013298A KR20117013298A KR101298134B1 KR 101298134 B1 KR101298134 B1 KR 101298134B1 KR 1020117013298 A KR1020117013298 A KR 1020117013298A KR 20117013298 A KR20117013298 A KR 20117013298A KR 101298134 B1 KR101298134 B1 KR 101298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rus
kbpf
strain
culture
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132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06299A (ko
Inventor
이용진
황인천
장철
김남규
김형민
Original Assignee
이용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2233718&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298134(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진 filed Critical 이용진
Publication of KR2011010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06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8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8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animals or substances produced by, or obtained from, microorganisms, viruses, microbial fungi or animals, e.g. enzymes or fermentates
    • A01N63/20Bacteria; Substances produced thereby or obtained therefrom
    • A01N63/27Pseudomona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HNEW PLANTS OR NON-TRANSGENIC PROCESSES FOR OBTAINING THEM; PLANT REPRODUCTION BY TISSUE CULTURE TECHNIQUES
    • A01H3/00Processes for modifying phenotypes, e.g. symbiosis with bacteri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Pseudomonas oleovorans)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물제제를 제공하며, 본 발명의 생물제제는 토바모바이러스, 포티바이러스, 테누이바이러스, 쿠쿠모바이러스 및 베고모바이러스 등에 우수한 방제활성을 나타낸다.

Description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균주{EFFECTIVE CONTROL OF VIRAL PLANT DISEASE WITH STRAINS OF PSEUDOMONAS OLEOVORANS}
본 발명은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Pseudomonas oleovorans)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용 생물제제에 관한 것이다.
국내 원예작물의 총 재배면적은 매년 증가하는 추세인데, 대부분의 원예작물에서 식물 바이러스병이 발생하고 있어 이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매우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다.
원예작물에 피해를 주고 있는 식물 바이러스로는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Cucumber mosaic virus; CMV),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Tobacco mosaic virus; TMV) 및 감자바이러스Y (potato virus Y; PVY) 등이 있으며, 이러한 식물 바이러스를 방제하기 위해서 무병종자를 이용하여 작물을 재배하는 경종적 방법 및 바이러스 저항성 품종 육성 등의 방법이 있으나 그 효과는 미미한 편이다.
한편, 바이러스 외피 단백질 유전자 (coat protein gene), 복제관련 유전자 (replication-associated gene) 및 위성 RNA 유전자 (satellite RNA gene), 안티센스 유전자 (antisense gene) 등의 유전자를 식물체내로 도입하여 바이러스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형질전환 식물체를 개발하고 있으나, 산업적으로 성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이 필요하다(Fitchen, J. H. and Beachy, R. N., Annu. Rev. Microbiol., 47:739-763, 1993).
따라서, 최근에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식물 바이러스를 방제하고자 하는 생물제제의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방제용 생물제제는 자연 생태계를 보존하고 인축에 독성이 없는 환경친화적 방제법으로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주요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미생물 및 이를 함유하는 생물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Pseudomonas oleovorans) KBPF-004(KCTC 10159BP) 균주; 상기 균주의 배양액; 상기 배양액의 건조 분말; 및 상기 균주, 상기 배양액 또는 상기 건조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용 생물제제를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은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Pseudomonas oleovorans) KBPF-004(KCTC 10159BP)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KBPF-004(KCTC 10159BP) 균주의 균총은 노란색이고, 원형 외각선에 빗살모양으로 퍼진 줄무늬가 있으며, 균주의 형태는 길이 2∼3 ㎛ 및 폭 0.3∼0.5 ㎛ 의 간상균으로 1 개의 긴 편모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의 균주는 1,479bp로서, 서열번호 1의 16s rDNA의 염기서열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IAM 1508T 와 99.05 %의 유사도를 갖는다. 본 균주는 클러스탈 방법(Thompson JD et al.,Nuc. Acid. Res. 25: 4876-82, 1997)에 의해 계통수를 조사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본 발명의 균주는 특이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기존의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와 상이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미생물을 슈도모나스 속의 올레오보란스 종인 KBPF-004(Pseudomonas oleovorans KBPF-004)로 명명하였으며, 2002년 1월 11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0159BP).
또한, 본 발명은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KBPF-004(KCTC 10159BP) 균주의 배양액을 제공한다.
상기 배양액은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KBPF-004(KCTC 10159BP) 균주를 배지에 접종한 후, 발효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배지로는 일반적인 그람 음성 세균 배양용 배지성분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물 1ℓ에 대하여 글루코오스 1 g 내지 20 g, 효모 추출물 1 g 내지 30 g, 황산마그네슘 0.1 g 내지 1 g, 제1인산칼륨 0.5 g 내지 5 g 및 제2인산칼륨 0.5 g 내지 5 g이 포함된 것이 바람직하고, 글루코오스 7 g 내지 14 g, 효모 추출물 15 g 내지 25 g, 황산마그네슘 0.1 g 내지 0.2 g, 제1인산칼륨 1 g 내지 2 g 및 제2인산칼륨 1 g 내지 2 g이 포함된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발효는 20℃ 내지 40℃, 바람직하게는 26 ℃ 내지 34 ℃의 온도에서, 50ℓ/분 내지 200ℓ/분, 바람직하게는 100ℓ/분 내지 120ℓ/분의 폭기율로, 100 rpm 내지 250 rpm, 바람직하게는 120 rpm 내지 200 rpm의 교반 속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생물제제의 생산을 위해서는 세포와 배양여액 모두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배양액의 건조 분말을 제공한다.
상기 건조 분말은 균주 사멸, 농축 및 분말화 (동결건조 및 마쇄) 단계를 수행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균주 사멸과정은 배양이 종료된 시점에서 배양액을 80℃ 내지 120 ℃에서 1 분 내지 20 분간 가열 처리하여 수행하는데, 바람직하게는 90 ℃ 내지 100 ℃에서 5 내지 10 분간 가열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농축 과정은 멸균된 배양액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 ℃ 내지 80 ℃에서 12 시간 내지 48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65 ℃ 내지 75 ℃에서 24 시간 내지 36 시간 감압 농축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말화 과정은 농축된 배양액을 동결건조 또는 스프레이-드라이어와 같은 건조화 장치를 이용하여 분말화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동결건조 과정은 농축된 배양액을 -80 ℃ 온도에서 48 시간 내지 96 시간의 범위에서 순차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며 동결건조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는데, 60 시간 내지 80 시간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쇄 과정은 상기 동결건조된 산물을 핀밀분쇄기를 이용하여 입도 2mm 이하로 분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후, 생물제제는 계면활성제 및 증량제/영양제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등의 제형화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Pseudomonas oleovorans) KBPF-004(KCTC 10159BP)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이 배양액의 건조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용 생물제제를 제공한다.
상기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용 생물제제는 유효성분의 농도-의존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낸다.
상기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용 생물제제는 2.5 내지 70 중량%의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KBPF-004(KCTC 10159BP)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건조 분말; 2 내지 30 중량%의 계면활성제; 및 잔량으로서 증량제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용 생물제제는 2.5 내지 70 중량%의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KBPF-004(KCTC 10159BP)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이의 건조 분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계면활성제는 C8∼12알킬아릴설포네이트, C8∼12디알킬아릴설포네이트, C8∼12알킬설포숙시네이트, 리그닌설포네이트, 나프탈렌설포네이트축합물, 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말린축합물, C8∼12알킬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말린축합물 및 폴리옥시에틸렌 C8∼12알킬페닐설포네이트와 같은 설포네이트 화합물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C8∼12알킬설페이트, C8∼12알킬아릴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C8∼12알킬설페이트 및 폴리옥시에틸렌 C8∼12알킬페닐설페이트와 같은 설페이트 화합물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폴리옥시알킬렌숙시네이트와 같은 숙시네이트화합물의 나트륨염 또는 칼슘염; 나트륨 벤조에이트 및 알킬카르복실레이트와 같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에틸렌 C12∼18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C8∼12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C8∼12알킬페닐폴리머 및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코폴리머와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폴리카복실레이트; 트리톤 100; 트윈 80;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증량제는 벤토나이트, 활석, 클레이, 카올린, 탄산칼슘, 규사, 경석, 규조토, 산성 백토,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화이트 카본, 암모늄 설페이트, 요소, 포도당, 덱스트린, 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생물제제는 생화학 농약으로 사용 가능한 계면활성제 및/또는 증량제를 사용하여 수화제, 입상 수화제, 액상 수화제, 입제, 액상제, 수용제, 수용성 입제 또는 캡슐화제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생물제제에 있어서,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은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용 생물제제에 포함된 채로 공급될 수도 있고, 장기간 보존을 위해 별도로 보관하였다가 사용 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미생물을 장기간 보존한 후 별도로 공급하는 경우에는 글리세롤 저장용액에 -70℃ 이하로 보존하거나 동결건조하여 보존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생물제제의 한 형태인 수화제는 상기 배양액을 후처리 공정을 통해 분말화한 후, 계면활성제 및 증량제/영양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생물제제의 한 형태인 입제는 상기 배양액을 후처리 공정을 통해 분말화한 후, 계면활성제, 증량제 및 붕해제를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상기 붕해제는 벤토나이트, 탈크, 다이아라이트, 카올린, 칼슘 카보네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입제는 미생물 및/또는 이의 발효 산물(배양액)에 표면 활성제, 비활성 담체, 보존제, 습윤제, 공급촉진제, 유인제, 캡슐화제, 결합제, 유화제, 염료, UV 보호제, 완충제 및 흐름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생물제제의 한 형태인 액상제는 상기 배양액을 후처리 공정을 통해 사멸 농축시킨 후, 계면활성제, 보존제, 습윤제, 공급촉진제, 유인제, UV 보호제 및 완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을 첨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의 생물제제는 알렉시바이러스(Allexivirus), 알파모바이러스(Alfamovirus), 앰펠로바이러스(Ampelovirus), 바이모바이러스(Bymovirus), 베고모바이러스(Begomovirus), 캐필로바이러스(Capillovirus), 칼라바이러스(Carlavirus), 카모바이러스(Carmovirus), 카울리모바이러스(Caulimovirus), 클로스테로바이러스(Closterovirus), 코모바이러스(Comovirus), 쿠쿠모바이러스(Cucumovirus), 크리니바이러스(Crinivirus), 사이톨햅도바이러스(Cytorhabdovirus), 파바바이러스(Fabavirus), 플렉시비리대(Flexiviridae), 포베아바이러스(Foveavirus), 푸로바이러스(Furovirus), 제미니바이러스(Geminivirus), 홀데이바이러스(Hordeivirus), 일라바이러스(Ilarvirus), 루테오바이러스(Luteovirus), 마쿠라바이러스(Maculavirus), 네포바이러스(Nepovirus), 포텍스바이러스(Potexvirus), 포티바이러스(Potyvirus), 파이토레오바이러스(Phytoreovirus), 포레로바이러스(Polerovirus), 포모바이러스(Pomovirus), 새드와바이러스(Sadwavirus), 타아스트럽바이러스(Taastrupvirus), 테누이바이러스(Tenuivirus), 토바모바이러스(Tobamovirus), 토브라바이러스(Tobravirus), 톰버스바이러스(Tombusvirus), 토스포바이러스(Tospovirus) 및 트리초바이러스(Trichovirus) 그룹과 같은 대부분의 식물바이러스에 효과적이다. 특히 주요 작물바이러스 그룹 중에서 봉상(사상)의 단일가닥의 RNA로 구성된 토바모바이러스, 포티바이러스 및 테누이바이러스 그룹과 구형의 단일가닥 RNA로 구성된 쿠쿠모바이러스 그룹, 구형의 단일가닥 DNA로 구성된 베고모바이러스 그룹에 매우 효과적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고추반점바이러스(PepMoV; Pepper Mottle virus), 고추연한반점바이러스(PMMoV; Pepper Mild Mottle virus),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TYLCV; Tomato Yellow Leaf Curl Virus), 오이녹반모자이크바이러스(CGMMV; Cucumber Green Mottle Mosaic virus), 감자바이러스Y(PVY), 쥬키니옐로우모자이크바이러스(ZYMV; Zucchini Yellow Mosaic Virus), 순무모자이크바이러스(TuMV; Turnip Mosaic Virus) 또는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RSV; Rice Stripe Virus) 등에 매우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KBPF-004 균주의 분리 및 동정
<1-1> KBPF-004 균주의 분리
충청북도 음성 지역의 담배포장에서 담배식물의 뿌리를 포함하는 토양시료를 채집하였다. 상기 토양시료를 멸균증류수로 희석한 뒤 항생제인 사이클로헥사마이드(cyclohexamide)가 100 ppm 농도로 포함된 TSA 한천 배지(Difco, Detroit, MI)에 토양 희석액을 도말한 후 27 ℃로 배양하여 균을 분리하였다.
<1-2> KBPF-004 균주의 동정
상기 <1-1> 에서 분리된 균주를 뮤엘라 힌톤(Mueller Hinton) 한천 배지(소고기 추출물 2.0 g, 카제인 17 5 g, 녹말 1.5 g 및 한천 17.5 g)를 이용하여 30℃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균총은 노란색이고, 원형 외각선에 빗살모양으로 퍼진 줄무늬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균주의 형태는 길이 2∼3 ㎛ 및 폭 0.3∼0.5 ㎛ 의 간상균으로 1 개의 긴 편모가 관찰되었다. 본 균주의 생화학적 동정을 위해 지방산 조성분석, Biolog GN microplate 분석 및 API20NE 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각각 하기 표 1 내지 3에 나타내었다.
[표 1]
Figure 112011043713172-pct00001
[표 2]
Figure 112011043713172-pct00002
Figure 112011043713172-pct00003
[표 3]
Figure 112011043713172-pct00004
또한, 본 균주의 동정은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분석된 16s rDNA의 염기서열(서열번호 1)은 총 1,479bp로서, 분리된 균주가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IAM 1508T 와 99.05 %의 유사도를 갖는 균주로 판명되었다. 본 균주는 클러스탈 방법(Thompson JD et al., Nuc. Acid. Res. 25: 4876-82, 1997)에 의해 계통수를 조사하여 분류학적 위치를 확인할 수 있었다(도 1).
본 발명자들은 상기 미생물을 슈도모나스 속의 올레오보란스 종인 KBPF-004(Pseudomonas oleovorans KBPF-004)로 명명하였으며, 2002년 1월 11일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0159BP).
<1-3>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KBPF-004 균주의 특이성
KBPF-004 균주 및 그의 타입균주인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ATCC8062를 뮤엘라 힌톤 배지를 이용하여 30 ℃에서 24 시간 동안 진탕 배양한 후, 배양액을 20 배 희석하고 담배 반엽법을 통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검정하였다(Kim et al., Plant Pathol. J. 20(4): 293-296, 2004).
상기 담배 반엽법은 국부감염기주인 니코티아나 타바쿰(Nicotiana tabacum cv. Xanthi nc)이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의 저항성 유전자에 의해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 감염된 주위부에 세포 괴사를 일으켜 검은 반점을 형성시키는 특징을 이용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 본엽 7엽기의 국부감염기주의 상위 3엽과 4엽의 반쪽엽에 항바이러스 활성을 검정하고자 하는 물질을 도포한 후, 카보란덤(연마제)을 3엽과 4엽에 골고루 뿌리고,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희석액을 발라주어 항바이러스 활성을 검정하였다. 이때, 도포된 카보란덤에 의해 담배잎에 상처가 발생하고, 그 상처 부위를 통해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가 기주식물체 내로 침투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약제처리 및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를 접종한 후 3∼4일 후에 검은색 반점들이 검정한 잎에서 나타나게 된다.
방제가는 하기와 같은 공식에 의해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방제가(%) = [1-(약제처리 반엽의 검은색 반점개수 / 무처리 반엽의 검은색 반점개수)] * 100
[표 4]
Figure 112011043713172-pct00005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바이러스 활성이 KBPF-004 균주의 배양액에서 특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KBPF-004 균주가 기존에 알려진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균주와는 다른 항바이러스 활성을 갖는 특이적인 계통임을 나타낸다.
<1-4> KBPF-004 균주의 항바이러스 활성 물질의 특이성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종은 생분해성 고분자인 폴리하이드록시알카노에이트(polyhydroxyalkanoate; PHA)를 생산하는 균주로 알려져 있다. 이에, KBPF-004 균주의 특이적인 항바이러스 활성이 PHA에 의해 유도된 것인지를 검증하기 위하여, 담배 반엽법을 통하여 PHA(시그마사) 및 KBPF-004 균주 배양액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각각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표 5]
Figure 112011043713172-pct00006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A에서는 항바이러스 활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나, KBPF-004 균주의 배양액에서는 항바이러스 활성이 나타났다. 이는, KBPF-004 균주가 생산하는 항바이러스 물질이 PHA와는 다른 종류의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KBPF-004 균주가 생산하는 항바이러스 물질이 항생효과를 갖는지 검정하기 위하여, 식물병원성 진균 7종과 항생제 초감수성 균주 4종을 이용하여 페이퍼 디스크 검정방법으로 상기 균주들에 대한 항생효과를 저지환 생성 유무로 검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11043713172-pct00007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물병원성 진균 및 항생제 초감수성 균주 모두 KBPF-004 균주의 배양액의 저해를 받지 않고 생육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KBPF-004 균주가 생성하는 항바이러스 물질은 기존의 항생물질과는 다른 것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2> 항바이러스 활성물질의 생산을 위한 최적화 배지의 제조
뮤엘라 힌톤 배지보다 항바이러스 물질 생산량이 우수한 배지조건을 선발하기 위해, 다양한 종류의 탄소원과 질소원을 이용하여 최적화 배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배양 배지의 탄소원으로 덱스트린, 글루코오스, 글라이세롤, 수크로오스 및 수용성 전분을 이용하고, 질소원으로 펩톤, 효모 추출물, 카제인, 밀기울 추출물, 제1인산암모늄 및 황산암모늄을 이용하여 30 ℃에서 24 시간 동안 진탕배양한 후, 600nm에서의 광학밀도(O.D) 및 담배 반엽법을 이용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내었다.
[표 7]
Figure 112011043713172-pct00008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소원으로는 글루코오스 1 내지 5%, 질소원으로는 효모 추출물 1 내지 5%가 포함된 최적화 배지를 이용하여 배양하는 것이 기존 뮤엘라 힌톤 배지보다 균주 생육 및 항바이러스 활성이 월등히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3> KBPF-004 균주의 배양액 및 건조 분말의 제조
<3-1> KBPF-004 균주의 배양액의 제조
KBPF-004 균주의 배양액을 대량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물 1 ℓ당 글루코오스 10 g, 효모 추출물 20 g, 황산마그네슘 0.2 g, 제1인산칼륨 2 g 및 제2인산칼륨 2 g이 첨가된 배지를 사용하였다.
대량생산을 위한 발효는 파일럿 규모의 발효조를 이용하였으며, 50ℓ발효조에서 30ℓ를 배양한 후, 배양이 끝나면 500ℓ발효조로 배양액을 이송하는 방법으로 배양규모를 늘렸다. 같은 방법으로 5,000ℓ발효조에서 3,000ℓ를 배양하였으며, 30 ℃의 발효온도에서 1VVM(volume of air added to liquid volume per minute)의 폭기율, 200 rpm(50ℓ발효조), 150 rpm(500ℓ발효조) 및 80 rpm(5000ℓ발효조)의 교반 속도로 1 일간씩 발효공정을 수행하여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3-1> KBPF-004 균주 배양액의 건조 분말의 제조
KBPF-004 균주 배양액의 건조 분말을 제조하기 위하여, 균주 사멸, 농축, 동결건조 및 마쇄 단계를 포함하는 후처리 공정을 수행하였다.
상기 균주 사멸 과정에서는 배양이 종료된 시점에서 발효조를 80 ℃에서 20 분간 가열하여 균주를 사멸시켰다. 농축 과정에서는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65 ℃ 온도에서 32 시간 동안 농축하였다. 동결건조 과정에서는 농축된 배양액을 -80℃ 온도에서 52 시간 동안 순차적으로 온도를 상승시키며 동결건조하였다. 마쇄 과정에서는 동결건조된 산물을 핀밀 분쇄기를 이용하여 입도가 2mm 이하가 되도록 하여 분쇄하여 건조 분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KBPF-004 균주의 배양액 산물을 이용한 생물제제의 제조
KBPF-004 균주의 생물제제는 수화제, 입상수화제, 액상수화제 및 입제의 경우 배양액 건조 분말로, 액상제의 경우 배양액으로 제형화하였다.
<4-1> KBPF-004 균주의 배양액 건조 분말을 이용한 수화제의 제조
배양액 건조 분말을 수화제로 제형화하기 위해, 상기 <3-2>에서 제조한 KBFF-004 균주의 배양액 건조 분말 2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설페이트 3 중량%, 소듐 리그닌설포네이트 3 중량%, 소듐 라우릴설페이트 2 중량%, 화이트 카본 5 중량% 및 잔량으로서 카올린을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건식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분쇄 후 상기 혼합물의 평균 입자직경은 6.47 ㎛이었으며, 이렇게 얻어진 수화제를 이화학적 분석 및 생물시험에 사용하였다. 이화학적 분석 및 생물시험 결과를 하기 <4-6>에 나타내었다.
<4-2> KBPF-004 균주의 배양액 건조 분말을 이용한 입상수화제의 제조
배양액 건조 분말을 입상수화제로 제형화하기 위해, 상기 <3-2>에서 제조한 KBPF-004 균주의 배양액 건조 분말 25 중랑%, 소듐 나프탈렌설포네이트포르마린축합물 6 중량%, 소듐 라우릴설페이트 2 중량%, 소듐 리그닌설포네이트 2 중량%, 규조토 5 중량% 및 잔량으로서의 탄산칼슘을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건식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분쇄후 상기 혼합물의 평균 입자직경은 6.08 ㎛였다. 이어, 상기 혼합물에, 혼합물 대비 10 중량%의 물을 넣고 반죽하여 조립기를 통해 성형하고, 유동층 건조기내에서 30 분간 건조하여 입상수화제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입상 수화제를 이화학적 분석 및 생물시험에 사용하였다. 이화학적 분석 및 생물시험 결과를 하기 <4-6>에 나타내었다.
<4-3> KBPF-004 균주의 배양액 건조 분말을 이용한 액상수화제의 제조
배양액 건조 분말을 액상수화제로 제형화하기 위해, 상기 <3-2>에서 제조한 KBPF-004 균주의 배양액 건조 분말 25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에테르 3 중량%, 에틸렌옥사이드 프로필렌옥사이드 코폴리머 2 중량%, 소듐 디옥틸설포석시네이트 2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0 중량% 및 증류수 55.5 중량%를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습식 분쇄기로 분쇄하였다. 분쇄후 혼합물의 평균 입자직경은 2.45 ㎛이었다. 이어, 상기 혼합물에, 혼합기로 교반 및 혼합시켜 처리한 잔탄 검의 2% 수용액의 2.5 중량%를 첨가하였다. 상기 물질들을 혼합기로 교반 및 혼합하여 수성 현탁액 형태의 액상수화제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액상수화제를 이화학적 분석 및 생물시험에 사용하였다. 이화학적 분석 및 생물시험 결과를 하기 <4-6>에 나타내었다.
<4-4> KBPF-004 균주의 배양액 건조 분말을 이용한 입제의 제조
KBPF-004 균주의 토양에 처리시의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기 <3-2>에서 제조한 KBPF-004 균주의 배양액 건조 분말 2.5 중량%, 칼슘 리그닌설포네이트 0.5 중량%, 카오린 1.5 중량%를 혼합하였다. 이어, 평균 입자직경이 6.25 ㎛되도록 건식 분쇄기로 분쇄하여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폴리비닐알코을 1 중량%와 덱스트린 0.5 중량%를 물 1.5 중량%에 녹여서 접착액을 제조한 다음, 모래 94 중량%에 상기 접착액을 고르게 묻힌 후, 여기에 상기 혼합물을 도말하였다. 이렇게 하여 제조된 입제를 유동층 건조기내에서 30 분간 건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입제를 이화학적 분석 및 생물시험에 사용하였다. 생물시험 결과의 구체적인 내용을 하기 <4-6>에 나타내었다.
<4-5> KBPF-004 균주의 배양액을 이용한 액상제의 제조
배양액을 액상제로 제형화하기 위해, 상기 <3-1>에서 제조한 KBPF-004 균주의 배양액을 후처리공정을 통해 사멸, 농축시킨 뒤 배양액 70 중량%, 폴리옥시에틸렌 옥틸페닐에테르 5 중량%, 소듐 디옥틸설포석시네이트 5 중량%, 프로필렌 글리콜 10 중량% 및 에탄올 10 중량%를 혼합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혼합기로 교반 및 혼합하여 액상제를 제조하였다. 이렇게 얻어진 액상제를 이화학적 분석 및 생물시험에 사용하였다. 이화학적 분석 및 생물시험 결과를 하기 <4-6>에 나타내었다.
<4-6> 제형에 따른 물성 및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약효평가
상기 <4-1> 내지 <4-5>에서 제조한 제형의 물성 (제제형태, 외관, 수화성, 분말도 및 저장안정성)시험 및 담배 반엽법을 이용한 약효 방제가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농약의 검사방법, 농촌진흥청 고시).
[표 8]
Figure 112011043713172-pct00009
그 결과, 상기 5가지 제형 모두 농약관리법 시행규칙에 정한 농약의 검토기준에 적합한 물성 및 우수한 약효를 보였다. 그 중 <4-1>에서 제조한 25% 수화제가 가장 우수한 약효를 나타냄에 따라, 이후의 시험에서는 KBPF-004 25% 수화제, 2.5% 입제 및 70% 액상제를 이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4-7> KBPF-004 25% 수화제의 경사안전성 평가
<4-1>에서 제조한 KBPF-004 25% 수화제의 경시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54℃에서 6주 이상 보관하며 매주 담배 반엽법으로 항바이러스 활성의 소실 유무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54 ℃에서 6주 이상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활성이 유지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농촌진흥청에서 고시한 농약의 등록시험 기준과 방법에 따라 약 3년의 약효보증기간을 설정하였다.
<실시예 5> KBPF-004 25% 수화제의 식물 바이러스 억제 효과 검증
<5-1> 처리 농도에 따른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의 감염 억제 효과
KBPF-004 25% 수화제의 처리 농도에 따른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감염 역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바이러스 게놈 RNA의 특이적인 염기서열(외피 단백질 영역)을 인식할 수 있는 프라이머(Choi et al., Plant Pathol. J., 14: 7-12, 1998; Yoon, Doctoral Thesis, Seoul Women's Univ., Seoul, 166, 2003)를 이용하여 RT-PCR(역전사효소중합연쇄반응) 시험한 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KBPF-004 25% 수화제를 0.005 g 내지 0.02 g/ml의 농도로 처리할 경우,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따라서, KBPF-004 균주의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감염 억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5-2> 식물 바이러스의 감염에 대한 방제 효과
KBPF-004 25% 수화제의 식물 바이러스의 단독 또는 복합감염에 따른 방제 효과를 검정하기 위하여, <4-1>에서 제조한 KBPF-004 25% 수화제를 1000배 희석하여 분무기를 이용하여 청양고추에 분사 처리하였다. 이어, 고추반점바이러스(PepMoV), 고추연한반점바이러스(PMMoV) 및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CMV)를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접종하고, RT-PCR 산물의 검출 유무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추반점바이러스를 단독으로 접종한 고추는 품종에 관계없이 30∼40일까지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고, 복합감염의 경우 고추반점바이러스+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를 접종한 고추에서 30일까지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았다.
또한, RT-PCR 검정에서 항바이러스 효과가 인정된 고추반점바이러스, 고추반점바이러스+고추연한반점바이러스 및 고추반점바이러스+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시료를 ELISA(항혈청검정법)(Clark, et al., J. Gen. Virol. 34: 475-483, 1977) 검정한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표 9]
Figure 112011043713172-pct00010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KBPF-004 균주의 바이러스 감염억제 효과가 분자적, 항혈청 수준에서도 뚜렷하게 확인됨을 알 수 있었다.
<5-3> 바이러스 게놈 RNA에 대한 감염 억제 효과
KBPF-004 25% 수화제의 고추연한반점바이러스 게놈 RNA에 대한 감염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1>에서 제조한 KBPF-004 25% 수화제를 1000배 희석하여 식물체에 분사 처리하였다. 이어, 고추연한반점바이러스의 게놈 RNA를 국부감염기주 담배(Nicotiana glutinosa)에 접종한 후, 억제 효과를 나타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표 10]
Figure 112011043713172-pct00011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KBPF-004 25% 수화제 처리구에서는 바이러스 발생이 전혀 나타나지 않았으나, KBPF-004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대조구에서는 고추연한반점바이러스가 발병되었다. 이는, KBPF-004 균주가 바이러스 게놈 RNA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나타낸다.
<5-4> 유도저항성 효과
KBPF-004 25% 수화제 처리에 따른 식물체의 유도저항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두 가지 품종의 담배(Nicotiana tabacum cv. xanthi nc 및 Nicotiana glutinosa)의 하엽에 KBPF-004 25% 수화제를 1000배 희석하여 식물체에 분사 처리하고 나서 10일 후에 고추연한반점바이러스를 접종하여 방제가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표 11]
Figure 112011043713172-pct00012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KBPF-004 25% 수화제 처리구에서는 처리엽(하엽)뿐만 아니라, 제1상엽, 제2상엽에까지 고추연한반점바이러스 방제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KBPF-004 25% 수화제의 처리는 바이러스의 직접적인 감염 및 복제억제뿐만 아니라 식물체 자체의 저항성을 유도하는 효과도 있음이 밝혀졌다.
<5-5> 전자현미경을 이용한 바이러스 억제 효과 검증
본 발명의 생물제제의 직접적인 바이러스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KBPF-004 균주가 바이러스입자 또는 외피단백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TMV)와 감자바이러스Y(PVY)를 증식기주인 니코티나 벤타미아나(Nicotiana benthamiana)에 접종하고, 2주 후 전신 감염된 잎을 각 50 g씩 채취하여 바이러스 입자를 정제하였다. 이어, 정제한 바이러스 입자와 KBPF-004 25% 수화제 1/100 희석액(10,000 ppm)을 각각 1:1 (v/v)의 비율로 혼합하여 처리하고,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KBPF-004 25% 수화제 처리구에서 바이러스 입자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KBPF-004 균주에 의해 TMV나 PVY의 입자가 분절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바이러스 입자가 분절된 시험 시료를 담배 반엽법을 이용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의 소멸 여부를 확인하여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약제를 처리한 시간에 따라 분절된 바이러스 입자가 증가하고, 또한 국부병반기주의 감염 병반수가 급감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주요 식물 바이러스병에 대한 KBPF-004균주의 약효 평가
<6-1> 약효 스크리닝
식물바이러스에 대한 KBPF-004 균주의 생물제제의 약효를 평가하기 위하여, 온실의 포트 수준에서 다양한 작물을 대상으로 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방법으로 일반적인 식물바이러스에 대한 스크리닝 방법에 준하여 유묘(어린 모종) 및 필요에 따라 성체식물 시험도 병행하였다.
검정을 위한 식물바이러스는 토바모바이러스 그룹으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오이녹반바이러스, 고추연한반점바이러스; 포티바이러스 그룹으로 고추반점바이러스, 쥬키니노랑모자이크바이러스, 감자바이러스Y,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 쿠쿠모바이러스 그룹으로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를 사용하였고, 작물은 담배, 고추, 쥬키니, 오이, 수박, 호박, 배추, 담배, 및 메론을 사용하였다.
구체적으로, <4-1>에서 제조한 KBPF-004 25% 수화제의 농도를 250, 500 및 1000배로 희석하여 20L/1,000㎡의 양으로 상기 작물에 처리한 후, 각각의 식물바이러스를 1000배 희석하여 접종하였다. 약효평가는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서는 담배 반엽법을 사용하였고, 나머지 바이러스에서는 이병주율을 이용하여 방제가를 산출하여 그 약효를 평가하였다(ⓞ: 우수, ○: 양호, △: 미흡, X: 불가).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이병주율(%) = 이병구수/시험구수
방제가(%)=[1-(약제처리구의 이병주율/무처리구의 이병주율] * 100)
[표 12]
Figure 112011043713172-pct00013
<6-2>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포장 약효평가
상기 <6-1>의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방제 시험에서,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접종 4주 후에 KBPF-004 25% 수화제의 방제가를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상기 수화제의 500배 및 1000배 희석액은 각각 90.8% 및 76.8%의 방제 효과가 나타내며, 대조군인 탈지분유에 비해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KBPF-004 균주의 항바이러스 물질이 약제의 농도와 비례하게 약효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표 13]
Figure 112011043713172-pct00014
<6-3> 고추반점바이러스에 대한 포장 약효평가
상기 <6-1>의 고추반점바이러스에 대한 방제 시험에서, KBPF-004 25% 수화제의 방제가를 계산한 결과를 하기 표 14 및 도 7에 나타내었다. 상기 수화제의 500배 및 1000배 희석액은 모두 고추반점바이러스병 감염 억제율이 100%로 나타났다. 또한, 무처리구에서는 약제 처리 전 바이러스 감염율이 5.4%였으나 약제 처리 후 11.8%로 감염율이 증가한 반면, KBPF-004 25% 수화제 처리구에서는 약제 처리 후 바이러스 감염율이 감소했고, 더 이상 바이러스의 전파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4]
Figure 112011043713172-pct00015
<6-4>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에 대한 KBPF-004 균주의 온실 약효평가
상기 <6-1>의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에 대한 방제 시험에서, 보독충(애멸구)을 벼 유묘에 접종하기 1일 전 KBPF-004 25% 수화제 500배 및 1000배 희석액을 처리하고, 보독충을 접종한 뒤 14일 후, 발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5 및 도 8에 나타내었으며, KBPF-004 25% 수화제 500배 희석액은 무처리 대비 우수한 방제 효과가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표 15]
Figure 112011043713172-pct00016
또한, 하기 표 16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보독충에 KBPF-004 25% 수화제 500배 희석액을 직접처리하고 1일 뒤 벼 유묘에 접종할 경우에도,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 매개율이 현저하게 낮아지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표 16]
Figure 112011043713172-pct00017
<6-5>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토양처리제 약효 평가
상기 실시예 <4-4>에서 제조한 KBPF-004 2.5% 입제를 토양에 처리할 경우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방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 감염된 담배를 동결건조하여 분쇄하여 제조한 감염원 1 g을 상토 100 g와 혼합하여 이병토를 제조하였다. 이어, KBPF-004 2.5% 입제 1 g을 상기에서 제조한 이병토 100 g과 잘 혼합하고, 본엽 3엽기의 국부병반기주 담배(Nicotiana batacum cv. Xanthi nc)를 이식하고 3주 동안 온실에서 재배하면서 고사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17 및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무처리구에서는 담배 유묘가 고사한 반면, KBPF-004 2.5% 입제 처리구에서는 건전식물과 같이 잘 생육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표 17]
Figure 112011043713172-pct00018
<6-6>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에 대한 포장 약효평가
상기 <4-5>에서 제조된 KBPF-004 70% 액상제 500배 희석액을 관행적인 살충제로서 디노테퓨란 수화제, 입제(Dinotefuran WP, WG), 스피로메시펜 액상수화제(Spiromesifen SC), 디클로보스 유제(Dichlorvos EC) 및 아미트라츠 + 부푸로페진 유제(Amitraz+buprofezin EC)를 함께 혼용하여 살포한 결과, 방제가가 99.9%로 나타났다. 반면, 관행적인 살충제로서 스피노사드 입상수화제(Spinosad WG), 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Acetamiprid WP), 디노테퓨란 수화제, 스피로메시펜 액상수화제, 및 에마멕틴벤조에이트 유제(Emamectin benzoate EC)만을 7일 간격으로 교호 살포한 결과, 지속적으로 병이 발생하여 80.2%의 높은 이병율을 나타내었다.
[표 18]
Figure 112011043713172-pct00019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과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 본 발명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KBPF-004 균주의 계통수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KBPF-004 25% 수화제 1000배 희석액의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에 대한 방제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RT-PCR을 이용한 KBPF-004 25% 수화제의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억제 효과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RT-PCR을 이용한 KBPF-004 25% 수화제의 단독 또는 복합감염바이러스의 억제 효과 분석을 나타낸 것이다 (C: 청양고추; D: 대명고추; M: 사이즈 마커; H : 건전 식물; N : 무처리구; 및 1, 2 : KBPF-004 처리구).
도 5는 KBPF-004 25% 수화제 처리에 따른 바이러스 입자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TMV: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및 PVY: 감자바이러스Y).
도 6은 KBPF-004 25% 수화제 처리에 따른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의 감염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7은 KBPF-004 25% 수화제 처리에 따른 고추반점바이러스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8은 KBPF-004 25% 수화제 처리에 따른 벼 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A: 무처리; 및 B: KBPF-004 25% 수화제 500배 희석액 처리구).
도 9는 KBPF-004 2.5% 입제 처리에 따른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10은 KBPF-004 70% 액상제 처리에 따른 토마토 황화잎말림바이러스 방제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A: 무처리(관행 살충제 처리구); 및 B: KBPF-004 70% 액상제 500배 희석액 + 관행 살충제 혼용 처리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KCTC10159BP 20020111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0)

  1.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Pseudomonas oleovorans) KBPF-004(KCTC 10159BP) 균주.
  2.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KBPF-004(KCTC 10159BP) 균주의 배양액.
  3. 제 2 항의 배양액의 건조 분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가 동결건조 또는 스프레이 드라이어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분말.
  5.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Pseudomonas oleovorans) KBPF-004(KCTC 10159BP)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이 배양액의 건조 분말을 함유하는, 담배모자이크바이러스, 오이녹반바이러스, 고추연한반점바이러스, 고추반점바이러스, 쥬키니노랑모자이크바이러스, 감자바이러스Y, 수박모자이크바이러스, 오이모자이크바이러스, 벼줄무늬잎마름바이러스 및 토마토황화잎말림바이러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식물 바이러스 방제용 생물제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제제가 2.5 내지 70 중량%의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KBPF-004(KCTC 10159BP) 균주, 이의 배양액 또는 이 배양액의 건조 분말; 2 내지 30 중량%의 계면활성제; 및 잔량으로서 증량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용 생물제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용 생물제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증량제가 벤토나이트, 활석, 클레이, 카올린, 탄산칼슘, 규사, 경석, 규조토, 산성 백토, 제올라이트, 펄라이트, 화이트 카본, 암모늄 설페이트, 요소, 포도당, 덱스트린, 물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용 생물제제.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생물제제가 수화제, 입상수화제, 액상수화제, 입제, 액제, 수용제, 수용성입제 및 캡슐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용 생물제제.
  10. 삭제
KR1020117013298A 2008-12-02 2009-12-01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균주 KR1012981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0899 2008-12-02
KR20080120899 2008-12-02
PCT/KR2009/007098 WO2010064822A2 (ko) 2008-12-02 2009-12-01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균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299A KR20110106299A (ko) 2011-09-28
KR101298134B1 true KR101298134B1 (ko) 2013-08-20

Family

ID=42233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3298A KR101298134B1 (ko) 2008-12-02 2009-12-01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균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20110236361A1 (ko)
EP (1) EP2374869B1 (ko)
JP (1) JP5330536B2 (ko)
KR (1) KR101298134B1 (ko)
CN (1) CN102239247B (ko)
BR (1) BRPI0922698A2 (ko)
CA (1) CA2745161C (ko)
ES (1) ES2429965T3 (ko)
MX (1) MX2011005776A (ko)
PL (1) PL2374869T3 (ko)
WO (1) WO201006482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6420B (zh) * 2011-12-22 2013-10-02 中国农业科学院烟草研究所 一株烟草普通花叶病毒生防恶臭假单胞菌菌株
CN103215203B (zh) * 2013-03-25 2014-10-22 南京农业大学 防治番茄黄化曲叶病毒病的生防菌株bf6及其应用
KR101708325B1 (ko) * 2015-04-06 2017-02-20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기생선충에 대해 살선충 활성을 가지는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f22 균주 및 이의 용도
JP6639901B2 (ja) * 2015-06-12 2020-02-05 株式会社前川製作所 Pseudomonas属細菌の新規農業用途
CN105755061A (zh) * 2016-05-06 2016-07-13 辽宁大学 一种用于生产pha的新型发酵培养基及其应用
GB201608356D0 (en) * 2016-05-12 2016-06-29 Univ Leeds And Asymptote Ltd Formulation
CN113186101B (zh) * 2021-04-15 2022-10-14 上海理工大学 一种低温保护剂、制备方法及一种保藏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6560A (en) * 1999-07-07 2000-12-05 Idaho Research Foundation, Inc. Use of pseudomonas corrugata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KR100545385B1 (ko) 2005-02-07 2006-01-24 주식회사 파이오니아 식물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 Gpf01[KCCM10642P]
KR100817548B1 (ko) 2007-04-20 2008-03-2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티실린 내성황색 포도상구균에 유효한 항생물질을생산하는 해양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에스피 유제이 식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1957A (en) * 1973-05-09 1975-03-18 Exxon Research Engineering Co Use of microorganisms to disperse and degrade oil spills
CN1016074B (zh) * 1986-07-28 1992-04-01 吉斯特·布罗卡德斯公司 制备4-(2-羟基-3-异丙氨基-丙氧基)-苯乙酸酯和/或氨酰心安的立体有择性的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56560A (en) * 1999-07-07 2000-12-05 Idaho Research Foundation, Inc. Use of pseudomonas corrugata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KR100545385B1 (ko) 2005-02-07 2006-01-24 주식회사 파이오니아 식물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플루오레센스 Gpf01[KCCM10642P]
KR100817548B1 (ko) 2007-04-20 2008-03-27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티실린 내성황색 포도상구균에 유효한 항생물질을생산하는 해양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에스피 유제이 식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hytopathology, Vol.97, pp.244-249 (2007.12.31.)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06299A (ko) 2011-09-28
CA2745161C (en) 2018-12-18
EP2374869B1 (en) 2013-08-14
JP2012510269A (ja) 2012-05-10
JP5330536B2 (ja) 2013-10-30
US20150118205A1 (en) 2015-04-30
EP2374869A9 (en) 2012-04-04
CN102239247A (zh) 2011-11-09
WO2010064822A2 (ko) 2010-06-10
EP2374869A2 (en) 2011-10-12
CN102239247B (zh) 2013-10-16
EP2374869A4 (en) 2012-06-06
BRPI0922698A2 (pt) 2016-06-07
MX2011005776A (es) 2011-06-20
US20110236361A1 (en) 2011-09-29
WO2010064822A3 (ko) 2010-09-30
PL2374869T3 (pl) 2013-11-29
CA2745161A1 (en) 2010-06-10
ES2429965T3 (es) 2013-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36382C1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борьбы с фузариозом
KR101298134B1 (ko) 식물 바이러스병 방제 효과를 갖는 슈도모나스 올레오보란스 균주
Kavino et al. Rhizosphere and endophytic bacteria for induction of systemic resistance of banana plantlets against bunchy top virus
Harish et al. Biohardening with plant growth promoting rhizosphere and endophytic bacteria induces systemic resistance against banana bunchy top virus
Harish et al. Induction of defense-related proteins by mixtures of plant growth promoting endophytic bacteria against Banana bunchy top virus
Schwarz et al. Spread and interaction of Pepino mosaic virus (PepMV) and Pythium aphanidermatum in a closed nutrient solution recirculation system: effects on tomato growth and yield
Harrison Further studies on raspberry ringspot and tomato black ring, soil‐borne viruses that affect raspberry
Grimova et al. Apple mosaic virus
WO2020161352A1 (en) Means and methods for improving plant growth and yield
US20220087265A1 (en) Means and Methods for Improving Plant Growth and Yield
Jones et al. Seed‐borne alfalfa mosaic virus infecting annual medics (Medicago spp.) in Western Australia
Gowrisri et al. Morph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agnaporthe oryzae B. Couch, inciting agent of rice blast disease.
Shetty et al. Downy mildew of pearl millet and its management
Rubio et al. Evaluation of resistance to sharka (Plum pox virus) of several Prunus rootstocks
Bisztray et al. Grapevine pathogens spreading with propagating plant stock: Detection and methods for elimination
Bhat et al. Status of viruses infecting sunflower and strategies for their management
CN100372935C (zh) 辣椒抗根结线虫基因的克隆及其应用
Chen et al. A tissue culture method for the preservation of Soybean mosaic virus strains
Wasswa Sweet potato viruses in Uganda: identification of a new virus, a mild strain of an old virus and reversion
Konaté et al. Overview of Rice yellow mottle virus
RU2777606C2 (ru) Композиции и способы для борьбы с фузариозом
Petrov et al. Viruses of Some Bulbous Ornamental Flowers from Liliaceae Family
SAFEER et al. Impact of Cymbidium mosaic virus on Native and Cultivated Orchids in Western Ghat-Kerala.
Singh et al. Ornamental plants: Silent carrier of evolving viroids
Tohamy et al. BIOLOGICAL, SEROLOGICAL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EGYPTIAN Zucchini yellow mosaic virus ISOLATE INFECTING SQUASH PLANTS IN FAYOUM GOVERNOR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