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181B1 - 탈곡장치 - Google Patents

탈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181B1
KR101296181B1 KR1020110089955A KR20110089955A KR101296181B1 KR 101296181 B1 KR101296181 B1 KR 101296181B1 KR 1020110089955 A KR1020110089955 A KR 1020110089955A KR 20110089955 A KR20110089955 A KR 20110089955A KR 101296181 B1 KR101296181 B1 KR 1012961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conveyance
conveying apparatus
threshing
discharge stra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9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915A (ko
Inventor
히로키 와타나베
히사유키 사토지
켄이치로 타케우치
아츠시 미즈시마
이쿠오 우에카
Original Assignee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02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9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1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1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2/00Parts or details of threshing apparatus
    • A01F12/46Mechanical grain conveyo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FPROCESSING OF HARVESTED PRODUCE; HAY OR STRAW PRESSES; DEVICES FOR STORING AGRICULTURAL OR HORTICULTURAL PRODUCE
    • A01F17/00Straw conveyors for threshing machines or baling presses
    • A01F17/02Mechanical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Threshing Machine Elements (AREA)

Abstract

(과제) 배출짚의 정체를 적게 해서 원활하게 후방으로 반송할 수 있는 배출짚 반송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상기 과제는 밑둥 반송부(80)의 밑둥 반송장치(81)의 반송 종단부를 탈곡장치의 후방측에 배치된 배출짚 커터(96)의 상방을 향하게 하고, 이삭끝 반송부(60)의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종단부를 배출짚 반송장치(50)의 하측에 배치된 흡인 배진 팬(90)의 회전축(90A) 전방측 상방에 배치함으로써 해결된다.

Description

탈곡장치{THRESHING MACHINE}
본 발명은 콤바인 등에 설치되는 탈곡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탈곡 후의 배출짚을 피드 체인으로부터 이어받아서 후방으로 반송하는 밑둥측 반송장치와 이삭끝측 반송장치로 이루어지는 배출짚 반송장치를 설치하고, 상기 배출짚 반송장치를 반송 종단측에서 구동하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09-55827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반송 종단측에서 구동되는 배출짚 반송장치의 이삭끝측 반송장치의 전체 길이는 길고, 탈곡장치의 후방부에 그 배출짚 반송장치를 배치하는 큰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급실(扱室) 공간이 제한된다. 그 때문에, 급실에 긴 급동(扱胴)을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탈곡 능률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삭끝측 반송장치의 종단부가 배출짚 처리장치의 배출짚 커터 상측까지 향하고 있다. 그 때문에, 특히 배출짚의 이삭끝이 이삭끝측 반송장치의 종단부에 얽혀서 배출짚 커터에 배출짚을 능률적으로 공급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주된 과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급동(12)을 갖는 급실(10)의 하방에 요동 선별장치(21)를 설치하고, 상기 급실(10)의 좌우 한쪽에 곡간(穀稈) 반송용의 피드체인(18)을 설치하고, 그 피드체인(18)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탈곡 후의 배출짚을 이어받아서 탈곡장치의 외부로 반송하는 배출짚 반송장치(50)를 설치하고, 그 배출짚 반송장치(50)의 하측에 상기 요동 선별장치(21) 상의 진애를 흡인하는 흡인 배진 팬(90)을 설치한 탈곡장치로서, 상기 배출짚 반송장치(50)에는 밑둥 반송장치(81)와 이삭끝 반송장치(61)를 구비하고, 상기 밑둥 반송장치(81)의 반송 종단부를 탈곡장치의 후방측에 배치된 배출짚 커터(96)의 상방으로 향하게 하고, 상기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종단부를 상기 흡인 배진 팬(90)의 회전축(90A) 전방측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인 배진 팬(90) 전방측을 덮고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91A)과 흡인 배진 팬(90)의 상측을 덮는 상면(91B)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91)을 설치하고, 상기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종단부를 경사면(91A)의 후방측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91)의 상면(91B)을 수평 또는 완만하게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삭끝 반송장치(61)를 흡인 배진 팬(90) 전방측을 덮는 경사면(91A)보다 완만하게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해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삭끝 반송장치(61)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그 이삭끝 반송장치(61)를 구동하는 이삭끝 구동축(63A)과, 밑둥 반송장치(81)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그 밑둥 반송장치(81)를 구동하는 밑둥 구동축(83A)을 동일 축심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시단측(始端側)의 부위를 그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종단측에 구비하는 이삭끝 구동축(63A)을 중심으로 해서 상하로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이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배출짚 반송장치(50)의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종단부를 배출짚 반송장치(50)의 하측에 배치된 흡인 배진 팬(90)의 회전축(90A) 전방측 상방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탈곡장치의 전체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하여,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종단부를 경사면(91A)의 후방측 상방에 배치하고 있으므로 배출짚의 이삭끝과 경사면(91A)의 간섭을 방지하고, 이삭끝을 경사면(91A)의 후방까지 확실하게 반송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케이싱(91)의 상면(91B)을 수평 또는 완만하게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하고 있으므로, 이삭끝 반송부(60)에서 반송된 곡간의 이삭끝을 배출짚 커터(96)의 상방까지 효율적으로 반송할 수 있어 반송시의 정체를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한 효과에 추가해서, 이삭끝 반송장치(61)를 경사면(91A)보다 완만한 후방 상향의 경사 자세로 설치하고 있으므로 피드체인(18)으로부터 배출짚을 원활하게 이어받을 수 있고, 또한 배출짚의 반송 자세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이삭끝 반송장치(61)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그 이삭끝 반송장치(61)를 구동하는 이삭끝 구동축(63A)과, 그 이삭끝 구동축(63A)과 동축 상이며 또한 밑둥 반송장치(81)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그 밑둥 반송장치(81)를 구동하는 밑둥 구동축(83A)을 동일 축심 상에 배치해서 일체적으로 구동하므로 반송시에 발생하는 구동축(63A, 83A)으로의 배출짚의 얽힘을 저감할 수 있고, 또한 이삭끝 반송장치(61)와 밑둥 반송장치(81)의 부착 구조를 간이하게 할 수 있어 제조 비용도 삭감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추가해서,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시단측의 부위를 반송 종단측에 구비하는 이삭끝 구동축(63A)을 중심으로 해서 상하로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탈곡된 배출짚의 양에 따라 이삭끝 반송부(60)의 경사각도를 간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콤바인의 배면도이다.
도 5는 콤바인의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배출짚 반송장치의 확대 좌측면도이다.
도 7은 콤바인의 횡단면도이다.
도 8은 배출짚 반송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의 (a)는 이삭끝 반송장치, (b)는 밑둥 반송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10은 배출짚 반송장치의 배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편의적으로 방향을 나타내서 설명하고 있지만 이것들에 의해 구성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콤바인은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의 기체 프레임(1)의 하측에는 토양면을 주행하기 위한 좌우 한쌍의 크롤러로 이루어지는 주행장치(2)가 설치되고, 기체 프레임(1)의 상방 좌측에는 탈곡·선별을 행하는 탈곡장치(3)가 설치되며, 탈곡장치(3)의 전방측에는 포장의 곡간(穀桿)을 수확하는 예취장치(4)가 설치되어 있다. 예취장치(4)에 의해 예취된 곡간은 공급 반송장치(8)에 의해 탈곡장치(3)에 반송되고, 탈곡장치(3)에 의해 탈곡·선별된 곡립은 탈곡장치(3)의 우측에 설치된 그레인 탱크(5)에 저장되며, 저장된 곡립은 배출통(7)에 의하여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또한, 기체 프레임(1)의 상방 우측에는 조작자가 탑승하는 조작석을 구비한 조종부(6)가 설치되어 있다.
탈곡장치(3)는 도 5,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측 상부에 곡간의 탈곡을 행하는 급실(10)을 구비하고, 급실(10)의 하측에 탈곡된 곡립의 선별을 행하는 선별실(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급실(10)에서 탈곡된 배출짚은 피드체인(18)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된 후, 피드체인(18)으로부터 배출짚 반송장치(50)에 인계되고, 배출짚 반송장치(50)에 의해 더욱 후방으로 반송된 후 배출짚 반송장치(50)의 종단부로부터 배출짚 처리장치(95)에 낙하되어 배출짚 처리장치(95)의 배출짚 커터(96)에 의해 잘게 재단된 후에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급실)
급실(10)에는 복수의 급치(扱齒)(11)를 갖는 급동(12)이 전후 방향으로 연신하는 급동축(13)에 축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급실(10) 앞판(10A)의 좌측 하부에는 곡간 공급구(15)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좌측판(10B)의 하부에는 곡간 공급구(15)에 연통하고 급동(12)을 따라 탈곡구(16)가 개구되어 형성되고, 뒷판(10C)의 좌측 하부에는 탈곡구(16)에 연통하는 배출짚구(17)가 개구되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공급 반송장치(8)에 의해 올려져 반송된 곡간의 밑둥을 협지해서 후방으로 반송하는 피드체인(18)이 탈곡구(16)를 따라서 급실(10)의 좌측판(10B)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다.
(선별실)
급실(10)의 하측에는 급실(10)로부터 누하되는 탈곡 처리물을 곡립과 그 이외의 짚부스러기 등으로 선별하기 위한 선별실(20)이 설치되어 있다. 선별실(20)의 상부에는 요동 선별장치(21)가 설치되고, 선별실(20)의 하부에는 요동 선별장치(21)에 공기를 송풍하는 풍구(25)와, 요동 선별장치(21)로부터 누하되는 곡립을 회수하는 1번 수용홈통(28)과, 요동 선별장치(21)로부터 누하되는 지경(枝梗) 등이 부착된 곡립을 회수하는 2번 수용홈통(29)이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1번 수용홈통(28)에서 회수된 곡립으로 이루어지는 1번물은 그레인 탱크(5)로 이송되고, 2번 수용홈통(29)에서 회수된 지경 등이 부착된 곡립으로 이루어지는 2번물은 2번 처리실(40)로 이송된다.
요동 선별장치(21)는 풍구(25)의 상방에 배치된 이송 선반(22)과, 이송 선반(22)의 하류측에 배치된 고정 시브(23)와, 또한 고정 시브(23)의 하류측에 배치된 스트로 랙(straw rack)(2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송 선반(22)은 급실(10)로부터 누하되는 곡립을 하류측에 배치된 고정 시브(23)에 이송할 수 있으면 되고, 이송 선반(22)의 후방부를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하거나 이송 선반(22)의 상면에 돌기나 요철을 형성하거나 할 수 있다.
고정 시브(23)는 이송 선반(22)으로부터 이송된 곡립 또는 급실(10)로부터 직접 누하되는 곡립과 짚부스러기 등의 이물을 선별하는 체이며, 하류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진 얇은 판형상체로 이루어지는 고정 시브 부재를 요동 선별장치(21)의 회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복수 병설한 것이다.
스트로 랙(24)은 고정 시브(23)로부터 누하되지 않은 비교적 큰 짚부스러기 중에서 지경 등이 부착된 곡립 등을 체로 쳐서 선별하는 체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요동 선별장치(21)는 이송 선반(22)과, 고정 시브(23)와, 스트로 랙(24)으로 이루어지지만, 곡립과 짚부스러기를 효율적으로 선별하기 위해 고정 시브(23)와 스트로 랙(24) 사이에 가동 시브를 설치할 수도 있다. 가동 시브는 고정 시브(23)로부터 이송되어 오는 곡립을 선별하는 체이며, 하류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진 얇은 판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시브 부재를 요동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서 평행하게 복수 병설한 것이다.
풍구(25)의 송풍구(26)에는 바람 분할기(27)에 의해 상하로 형성된 상측 풍로(26A)와 하측 풍로(26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송풍구(26)의 후방측에 설치된 1번 수용홈통(28)의 내부에는 그레인 탱크(5)에 연통하는 나선 컨베이어식의 1번 컨베이어(28A)가 배치되고, 2번 수용홈통(29)의 내부에는 2번 처리실(40)에 연통하는 나선 컨베이어식의 2번 컨베이어(29A)가 배치되어 있다.
(배진 처리실)
급실(10)의 우측 후방부는 배진 처리실(30)에 연통하고, 배진 처리실(30)의 내부에는 외주면에 스크류 블레이드체(31)를 구비하는 배진 처리동(32)이 전후 방향으로 축가설되어 있다. 배진 처리실(30)에 공급된 피처리물은 회전하는 배진 처리동(32)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되면서 덩어리상으로 된 피처리물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요동 선별장치(21)의 고정 시브(23) 상에 누하되거나, 또는 배진 처리실(30)의 종단부에 이른 후에 요동 선별장치(21)의 스트로 랙(24) 상에 배출된다.
(2번 처리실)
배진 처리실(30) 전방측에는 2번 수용홈통(29)에서 회수된 2번물을 처리해서 환원하기 위한 2번 처리실(40)이 설치되어 있다. 2번 처리실(40)의 내부에는 외주면에 간헐 나선 블레이드(41)를 구비하는 2번 처리동(42)이 축가설되어 있다. 2번 처리실(40)에 공급된 2번물은 회전하는 2번 처리동(42)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면서 곡립과 지경이 분리되고, 2번 처리물 환원구로부터 요동 선별장치(21)의 이송 선반(22)에 낙하되어 급실(10)로부터의 피처리물과 합류해서 재선별된다.
(배출짚 반송장치)
배출짚 반송장치(50)는 도 5∼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짚의 이삭끝을 후방으로 반송하는 이삭끝측의 이삭끝 반송부(60)와, 배출짚의 밑둥을 협지해서 후방으로 반송하는 밑둥측의 밑둥 반송부(80)로 이루어진다.
(이삭끝 반송장치)
이삭끝 반송부(60)는 이삭끝 반송장치(61)와,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와,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로 이루어지고, 이삭끝 반송장치(61)는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 종동 스프로킷(62)과, 후방부 구동 스프로킷(63)에 체인(64)이 걸려 있다. 또한, 체인(64)에는 소정 간격마다 기립·도복 가능한 반송 러그(64A)가 피봇 부착되어 있고, 반송 러그(64A)의 안내 부재에 의해 이삭끝 반송장치(61)의 하측의 반송 경로에서는 반송 러그(64A)는 기립하고,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상측에서는 반송 러그(64A)는 도복해서 이동한다. 또한, 이삭끝 반송장치(61)의 후방부는 배출짚 처리장치(95)의 좌측 전방부로부터 우측 전방으로 연신하는 프레임(65)에 긴 구멍(66A)이 형성된 브래킷(66)에 의해 상하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또한 브래킷(66)의 상부에는 프레임(65)을 관통시키는 홈(66B)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방부 구동 스프로킷(63)의 이삭끝 구동축(구동축)(63A)을 중심으로 해서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전방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삭끝 반송장치(61)는 도 6, 도 10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고,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전방부는 반송방향의 피드체인(18)의 하방을 향하고, 이삭끝 반송장치(61)의 후방부는 흡인 배진 팬(90)을 포위하는 케이싱(91)의 경사면(91A)보다 완만하게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며, 경사면(91A)의 종단부의 근방을 향하고 있다. 또한,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종단부는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흡인 배진 팬(90)을 축지지하는 회전축(축)(90A)의 전방측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이삭끝 체인 작용 시단부(68)(배출짚의 이삭끝과 반송 러그(64A)의 접촉 위치)는 밑둥 반송장치(81)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밑둥 체인 작용 시단부(86)(배출짚의 밑둥과 체인(85)의 접촉 위치)보다 전방측 하방에 설치되고, 급실(10)의 뒷판(10C)을 후방측에서 투영한 하단부보다 약간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이삭끝 반송장치(61)는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를 향해 피드체인(18)과 반대측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고, 밑둥 반송장치(81)와 대략 평행하게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전방부는 급실(10)의 배출짚구(17)의 근방을 향하고, 이삭끝 반송장치(61)의 후방부는 흡인 배진 팬(90)의 상면(91B)의 좌우 중간부의 전방부를 향하고 있다.
이삭끝 반송장치(61)의 후방부 구동 스프로킷(63)에는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실(10)의 급동(12)을 축지지하는 급동축(13)의 회전이 전동된다. 엔진의 회전은 급실(10) 앞판(10A) 전방측에 설치된 기어박스(14)를 통해서 급동축(13)에 전동되고, 급동축(13)의 회전은 급실(10)의 뒷판(10C)의 후방측으로 연신한 급동축(13)에 축지지된 풀리(70A)와 배진 처리실(30)의 좌측에 설치된 프레임(71)에 지지된 전동장치(기어박스)(72)의 입력축(72A)에 축지지된 풀리(70B)에 걸려진 벨트(70C)를 통해서 기어박스(72)에 전동된다. 또한, 벨트(70C)는 급실(10)의 뒷판(10C)과 대략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기어박스(72)에 전동된 회전은 일단이 기어박스(72)의 출력축(72B)에 연결되고, 타단이 이삭끝 반송장치(61)의 후방부 구동 스프로킷(63)을 축지지하는 구동축(63A)에 연결된 제 1 연결축(73)을 통해서 이삭끝 반송장치(61)에 전동된다.
또한, 이삭끝 반송장치(61)의 후방부 구동 스프로킷(63)을 축지지하는 구동축(63A)은 밑둥 반송부(80)의 밑둥 반송장치(81)의 중간부 구동 스프로킷(83)을 축지지하는 밑둥 구동축(구동축)(83A)과 제 2 연결축(74)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기어박스(72)에 전동된 회전은 제 1 연결축(73)과, 후방부 구동 스프로킷(63)의 구동축(63A)과, 제 2 연결축(74)을 통해서 밑둥 반송장치(81)에 전동된다.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우측 하방에 이삭끝 반송장치(61)와 대략 평행하게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고,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전방부는 반송방향의 피드체인(18)의 하방을 향하고,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 피드체인(18)의 상방에 이르고,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중간부는 이삭끝 반송장치(61)와 대략 평행하게 연신하여 흡인 배진 팬(90)을 포위하는 경사면(91A)의 종단부를 향하며,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후방부는 흡인 배진 팬(90)의 상면(91B)의 상측에서 완만하게 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또한,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전방부는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좌측에 위치하는 상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연신한 후 우측으로 경사지면서 후방 상향으로 급경사져서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우측으로 연신하여 중간부에 이르고 있다. 또한,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는 강재 등의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제 1 이삭끝 작용 시단부(76)(배출짚의 이삭끝과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접촉 위치)는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제 2 이삭끝 작용 시단부(79)(배출짚의 이삭끝과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접촉 위치) 및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전방부에 위치하는 밑둥 작용 시단부(89)(배출짚의 밑둥과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접촉 위치)보다 하방에 설치되고, 또한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제 1 이삭끝 작용 시단부(76)는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제 2 이삭끝 작용 시단부(79) 및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밑둥 작용 시단부(89)보다 후방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제 1 이삭끝 작용 시단부(76)는 이삭끝 반송장치(61)보다 우측 하방에 설치되어 있다.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는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우측에 이삭끝 반송장치(61)와 대략 평행하게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를 향해서 피드체인(18)과 반대측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전방부는 급실(10)의 배출짚구(17)의 근방을 향하고,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후방부는 배출짚 처리장치(95) 전방측 근방을 향하고 있다.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좌측 하방으로 이삭끝 반송장치(61) 및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와 대략 평행하게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고,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전방부는 반송 방향의 피드체인(18)의 하방을 향하고,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서 피드체인(18)의 상방에 이르고,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후방부는 흡인 배진 팬(90)의 케이싱(91)의 경사면(91A)의 종단부 근방을 향하고 있다. 또한,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전방부는 흡인 배진 팬(90)의 경사면(91A)보다 완만하게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고,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후방부는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흡인 배진 팬(90)을 축지지하는 축(90A)보다 후방 근방까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는 강재 등의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제 2 이삭끝 작용 시단부(79)는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밑둥 작용 시단부(89)보다 하방이며 또한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제 1 이삭끝 작용 시단부(76)보다 상방에 설치되고, 또한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제 2 이삭끝 작용 시단부(79)는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밑둥 작용 시단부(89)보다 후방이며 또한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제 1 이삭끝 작용 시단부(76)보다 전방에 설치되어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을 향해서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밑둥 작용 시단부(89),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제 2 이삭끝 작용 시단부(79),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제 1 이삭끝 작용 시단부(76)가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기체의 전방측으로부터 후방측을 향해서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밑둥 작용 시단부(89),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제 2 이삭끝 작용 시단부(79),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의 제 1 이삭끝 작용 시단부(76)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는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삭끝 반송장치(61)와 밑둥 반송장치(81) 사이에 이삭끝 반송장치(61)와 대략 평행하게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를 향해서 피드체인(18)과 반대측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전방부는 급실(10)의 배출짚구(17)의 근방을 향하고, 제 2 이삭끝 안내로드(78)의 후방부는 이삭끝 반송장치(61)보다 약간 후방까지 연신하여 흡인 배진 팬(90)의 케이싱(91) 상면(91B)의 전방부까지 설치되어 있다.
(밑둥 반송장치)
밑둥 반송부(80)는 밑둥 반송장치(81)와 밑둥 협지 안내로드(88)로 이루어지고, 밑둥 반송장치(81)는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방부 종동 스프로킷(82)과, 중간부 구동 스프로킷(83)과, 후방부 종동 스프로킷(84)에 체인(85)이 감겨 있다. 또한, 밑둥 반송장치(81)의 중간부는 배출짚 처리장치(95)의 좌측 전방부로부터 우측 전방으로 연신되는 프레임(65)에 긴 구멍(87A)이 형성된 브래킷(87)에 의해 상하 조정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고, 또한 브래킷(87)의 상부에는 프레임(65)을 관통시키는 홈(87B)이 형성되어 있으며, 중간부 구동 스프로킷(83)의 구동축(83A)을 중심으로 해서 밑둥 반송장치(81)의 전방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밑둥 반송장치(81)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삭끝 반송장치(61)보다 완만하게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고, 밑둥 반송장치(81)의 전방부는 반송 방향의 피드체인(18)의 상방 근방을 향하고, 밑둥 반송장치(81)의 후방부는 배출짚 처리장치(95)의 상측을 향하고 있다.
밑둥 반송장치(81)는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둥 반송장치(81)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를 향해서 피드체인(18)과 반대측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밑둥 반송장치(81)의 전방부는 피드체인(18)의 우측 근방을 향하고, 밑둥 반송장치(81)의 후방부는 흡인 배진 팬(90)의 케이싱(91) 상면(91B)을 연신하여 배출짚 처리장치(95)의 우측 후방부를 향하고 있다.
밑둥 협지 안내로드(88)는 도 6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둥 반송장치(81)의 하측에 밑둥 반송장치(81)와 대략 평행하게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고,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전방부는 반송 방향의 피드체인(18)의 하방을 향하고, 후방 상향으로 경사져서 피드체인(18)의 상방에 이르고,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후방부는 밑둥 반송장치(81)의 중간부의 후방측까지 연신하여 배출짚 처리장치(95)의 배출짚 커터(96)를 이루는 상측 로터리 커터날(96A)의 상측을 향하고 있다. 또한,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전방부는 하단부로부터 대략 수직으로 상방을 향해서 연신되고, 후방 상향으로 급경사져서 후방부에 이르고 있다. 또한, 밑둥 협지 안내로드(88)는 강재 등의 금속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밑둥 협지 안내로드(88)는 도 8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둥 반송장치(81)의 하측에 밑둥 반송장치(81)와 대략 평행하게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전방부로부터 후방부를 향해서 피드체인(18)과 반대측으로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전방부는 피드체인(18)의 우측을 따라 연신되고, 급실(10)의 뒷판(10C)을 넘어서 급동(12)의 후방부를 향하며,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전방부의 밑둥 작용 시단부(89)는 급동(12)의 종단부보다 전방에 설치되고,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후방부는 배출짚 처리장치(95)의 상측 로터리 커터날(96A)의 상측을 향하고 있다. 또한, 밑둥 협지 안내로드(88)의 밑둥 작용 시단부(89)는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이삭끝 체인 작용 시단부(68)보다 하방에 설치되고, 밑둥 협지 안내로드(88)는 측면으로 볼 때에 있어서 제 1 이삭끝 안내로드(75) 전방부의 제 1 이삭끝 작용 시단부(76)보다 후방에서는 피드체인(18)보다 상방에 설치되어 있다.
(배출짚 반송장치의 반송 속도)
엔진의 회전은 도시생략의 기어박스를 통해서 피드체인(18)에 전동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드체인(18)을 이동속도 V1로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엔진의 회전은 기어박스(72)를 통해서 이삭끝 반송장치(61)와 밑둥 반송장치(81)에 전동되고,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밑둥 반송장치(81)의 체인(85)을 이동속도 V2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체인(64)을 이동속도 V3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기어박스(72) 등에 전동되는 회전수는 각각 조종부(6)에 설치된 중앙제어장치에 의해 제어할 수 있고, 밑둥 반송장치(81)의 체인(85)을 이동속도 V2는 밑둥 반송장치(81)의 중간부 구동 스프로킷(83) 등을 변경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고, 이삭끝 반송장치(61)의 체인(64)을 이동속도 V3은 이삭끝 반송장치(61)의 후방부 구동 스프로킷(63) 등을 변경 함으로써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급실(10)에서 탈곡된 배출짚을 피드체인(18)으로부터 배출짚 반송장치(50)로 능률적으로 인계하여 반송하도록, 「피드체인(18)의 이동속도 V1<체인(85)의 이동속도 V2<체인(64)의 이동속도 V3」 또는 「피드체인(18)의 이동속도 V1=체인(85)의 이동속도 V2<체인(64)의 이동속도 V3」의 속도로 각각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피드체인(18)의 이동속도 V1<체인(85)의 이동 수평속도 Vx2<체인(64)의 이동 수평속도 Vx3」 또는 「피드체인(18)의 이동속도 V1=체인(85)의 이동 수평속도 Vx2 <체인(64)의 이동 수평속도 Vx3」의 속도로 각각 설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이동 수평속도 Vx2는 이동속도 V2의 전후방향의 수평속도이며, 이동 수평속도 Vx3은 이동속도 V3의 전후방향의 수평속도이며, 「Vx=Vcosθ(θ은 체인과 가상 수평방향 선이 이루는 각도)」로 산출된다.
(흡인 배진 팬)
탈곡·선별시에 발생하는 짚부스러기 등을 흡인하여 기계 밖으로 배출하는 흡인 배진 팬(90)은,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출짚 반송장치(50)의 하측이며, 또한 급실(10)의 후방측에 좌우 방향으로 축가설되어 설치되어 있다. 흡인 배진 팬(90)은 하부에 흡진구가 개구되어 형성된 케이싱(91)에 의해 덮여져 있다. 케이싱(91)은 흡인 배진 팬(90) 전방측을 덮고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91A)과, 흡인 배진 팬(90)의 상측을 덮고 수평 또는 완만하게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는 상면(91B)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배출짚 처리장치)
탈곡장치(3)의 후방측에는 좌우 방향으로 복수의 배출짚 커터(96)를 축가설하는 배출짚 처리장치(95)가 배치되어 있다. 배출짚 반송장치(50)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된 배출짚은 배출짚 반송장치(50)의 종단부로부터 배출짚 처리장치(95)에 공급된다. 배출짚 커터(96)는 한쌍의 상측 로터리 커터날(96A)과 하측 로터리 커터날(96B)로 이루어지고, 배출짚 반송장치(50)로부터 공급된 배출짚은 한쌍의 로터리 커터날(96A, 96B) 사이를 통과할 때에 잘게 재단된 후에 기계 밖으로 배출된다.
한쌍의 로터리 커터날(96A, 96B)의 외부측은 후드에 의해 덮여져 있고, 또한 상측 로터리 커터날(96A) 전방측에는 절단한 배출짚의 절단 짚부스러기를 후방으로 낙하시키기 위해 안내하는 절단짚 안내판(97)이 설치되어 있다. 절단짚 안내판(97)의 상부는 상측 로터리 커터날(96A)의 하부와 거의 같은 높이에 설치되고, 절단짚 안내판(97)의 하부는 하측 로터리 커터날(96B)의 하부보다 하측에 설치되어 있다.
3 : 탈곡장치 10 : 급실
12 : 급동 13 : 급동축
15 : 곡간 공급구 16 : 탈곡구
17 : 배출짚구 18 : 피드체인
20 : 선별실 21 : 요동 선별장치
25 : 풍구 28 : 1번 수용홈통
29 : 2번 수용홈통 32 : 배진 처리동
42 : 2번 처리동 50 : 배출짚 반송장치
60 : 이삭끝 반송부 61 : 이삭끝 반송장치
62 : 전방부 종동 스프로킷 63 : 후방부 구동 스프로킷
63A : 이삭끝 구동축(구동축) 72 : 전동장치(기어박스)
72A : 입력축 72B : 출력축
73 : 제 1 연결축 74 : 제 2 연결축
75 : 제 1 이삭끝 안내로드 78 : 제 2 이삭끝 안내로드
80 : 밑둥 반송부 81 : 밑둥 반송장치
82 : 전방부 종동 스프로킷 83 : 중간부 구동 스프로킷
83A : 밑둥 구동축(구동축) 84 : 후방부 종동 스프로킷
88 : 밑둥 협지 안내로드 90 : 흡인 배진 팬
90A : 회전축(축) 91 : 케이싱
91A : 경사면 91B : 상면
95 : 배출짚 처리장치 96 : 배출짚 커터

Claims (6)

  1. 급동(12)을 갖는 급실(10)의 하방에 요동 선별장치(21)를 설치하고, 상기 급실(10)의 좌우 한쪽에 곡간 반송용의 피드체인(18)을 설치하고, 그 피드체인(18)의 반송 종단부로부터 탈곡 후의 배출짚을 이어받아서 탈곡장치의 외부로 반송하는 배출짚 반송장치(50)를 설치하고, 그 배출짚 반송장치(50)의 하측에 상기 요동 선별장치(21) 상의 진애를 흡인하는 흡인 배진 팬(90)을 설치한 탈곡장치로서:
    상기 배출짚 반송장치(50)에는 밑둥 반송장치(81)와 이삭끝 반송장치(61)를 구비하고,
    상기 밑둥 반송장치(81)의 반송 종단부를 탈곡장치의 후방측에 배치된 배출짚 커터(96)의 상방을 향하게 하고,
    상기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종단부를 상기 흡인 배진 팬(90)의 회전축(90A) 전방측 상방에 배치하고,
    상기 흡인 배진 팬(90)의 전방측을 덮고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는 경사면(91A)과 상기 흡인 배진 팬(90)의 상측을 덮는 상면(91B)으로 이루어지는 케이싱(91)을 설치하고,
    상기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종단부를 상기 경사면(91A)의 후방측 상방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91)의 상면(91B)을 수평 또는 완만하게 후방 하향으로 경사지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삭끝 반송장치(61)를 흡인 배진 팬(90)의 전방측을 덮는 경사면(91A)보다 완만하게 후방 상향으로 경사지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삭끝 반송장치(61)의 후방부에 설치되어 그 이삭끝 반송장치(61)를 구동하는 이삭끝 구동축(63A)과, 밑둥 반송장치(81)의 중간부에 설치되어 그 밑둥 반송장치(81)를 구동하는 밑둥 구동축(83A)을 동일 축심 상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시단측의 부위를 그 이삭끝 반송장치(61)의 반송 종단측에 구비하는 이삭끝 구동축(63A)을 중심으로 해서 상하로 회동 가능한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곡장치.
  6. 삭제
KR1020110089955A 2011-06-29 2011-09-06 탈곡장치 KR1012961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4802 2011-06-29
JP2011144802A JP5472825B2 (ja) 2011-06-29 2011-06-29 脱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915A KR20130002915A (ko) 2013-01-08
KR101296181B1 true KR101296181B1 (ko) 2013-08-13

Family

ID=46354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9955A KR101296181B1 (ko) 2011-06-29 2011-09-06 탈곡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472825B2 (ko)
KR (1) KR101296181B1 (ko)
CN (2) CN102845192B (ko)
TW (1) TWI440427B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853A (ja) * 2007-08-31 2009-03-19 Iseki & Co Ltd 脱穀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98352U (ja) * 1983-12-14 1985-07-04 株式会社クボタ コンバイン搭載脱穀装置の排ワラ搬送装置
JP2823638B2 (ja) * 1990-03-10 1998-11-11 三菱農機株式会社 コンバインにおける排藁詰り感知装置
JPH09154383A (ja) * 1995-12-08 1997-06-17 Kubota Corp コンバイン
JPH1052159A (ja) * 1996-08-09 1998-02-24 Kubota Corp コンバインの排ワラ搬送装置
JP4366033B2 (ja) * 2001-09-28 2009-11-18 三菱農機株式会社 脱穀機における排稈搬送装置
JP2007074936A (ja) * 2005-09-12 2007-03-29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CN2860037Y (zh) * 2005-11-27 2007-01-24 韩明安 稻麦两用联合收割机
JP2008000025A (ja) * 2006-06-20 2008-01-10 Yanmar Co Ltd コンバイン
CN201011782Y (zh) * 2007-03-23 2008-01-30 梁保成 玉米脱粒机
JP2009055827A (ja) * 2007-08-31 2009-03-19 Iseki & Co Ltd 脱穀機の排藁搬送装置
JP2010193793A (ja) * 2009-02-25 2010-09-09 Iseki & Co Ltd 脱穀穀稈搬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5853A (ja) * 2007-08-31 2009-03-19 Iseki & Co Ltd 脱穀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472825B2 (ja) 2014-04-16
KR20130002915A (ko) 2013-01-08
TWI440427B (zh) 2014-06-11
CN102845192B (zh) 2015-09-16
JP2013009634A (ja) 2013-01-17
CN202285611U (zh) 2012-07-04
CN102845192A (zh) 2013-01-02
TW201300004A (zh) 2013-0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79311B2 (ja) ひまわり収穫機
JP2010220563A (ja) 普通型コンバイン
JP5910699B2 (ja) 脱穀装置
JP2006136335A (ja) コンバイン
JP2018139545A (ja) コンバイン
KR101296181B1 (ko) 탈곡장치
JP2008178303A (ja) コンバイン用脱穀装置
JP5668335B2 (ja) 脱穀装置
JP4730561B2 (ja) 脱穀装置
JP5472826B2 (ja) 脱穀装置
JP2006067814A (ja) 脱穀機のささり粒回収装置
JP5109523B2 (ja) 脱穀装置
JP4628289B2 (ja) コンバインの二番還元縦コンベア
JP5913649B2 (ja) 脱穀装置
JP4935601B2 (ja) 脱穀装置
JP6048605B2 (ja) 脱穀装置
JP4581457B2 (ja) 脱穀装置
JP6338514B2 (ja) コンバイン
JP5266973B2 (ja) 脱穀装置
JP2013132247A (ja) 脱穀装置
JP2005312354A (ja) 脱穀装置
JP2005328762A (ja) 脱穀装置
JP2009219399A (ja) コンバイン
JP2013094075A (ja) 脱穀装置
JP2018183076A (ja) 自脱型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