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6090B1 -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090B1
KR101296090B1 KR1020120055124A KR20120055124A KR101296090B1 KR 101296090 B1 KR101296090 B1 KR 101296090B1 KR 1020120055124 A KR1020120055124 A KR 1020120055124A KR 20120055124 A KR20120055124 A KR 20120055124A KR 101296090 B1 KR101296090 B1 KR 101296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nding
bent
duct
discharge duc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주)하이시스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시스이엔지 filed Critical (주)하이시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055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0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63Insulation for air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덕트의 본체와 뚜껑에 결합구조를 형성하고 상호 압박에 의해서 결합시키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조립용 볼트를 적용하지 않게 되어 덕트 조립 과정이 간단해지고, 보온재로 덮었을 때 단열작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있어서, 배출덕트용 본체는, 직사각형 패널에 수직한 절곡라인을 형성후 상기 절곡라인을 따라 접어서 제작하되 직사각통 형태 또는 정사각통 형태를 포함하는 다각형통 형태 또는 일측이 오픈된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부면과 하부면에 결합면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면은 다수개의 절곡면으로 이루어지되 기본면에 제 1 절곡면 접면되어 이루어지는 캡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꺽어진 제 2 절곡면 및 제 2 절곡면으로부터 수직하게 꺽어진 제 3 절곡면 및 제 3 절곡면으로부터 내측으로 꺽어지면서 밀착되는 제 4 절곡면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절곡면과 제 2 절곡면과 제 3 절곡면 및 제 4 절곡면 사이에 결합홈이 존재하면서 이루어지는 유자형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은, 테두리면이 직각으로 절곡시켜 연장면을 형성하고, 상기 연장면이 배출덕트용 본체의 결합면을 구성하는 제 1 절곡면과 제 3 절곡면 사이의 결합홈에 삽입되는 구성인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Air Conditioner Duct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덕트의 본체와 뚜껑에 결합구조를 형성하고 상호 압박에 의해서 결합시키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조립용 볼트를 적용하지 않게 되어 덕트 조립 과정이 간단해지고, 아울러 매끈한 외관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보온재로 덮었을 때 단열작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는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가 압축과정, 응축과정, 팽창과정 및 증발과정이라는 냉동 사이클을 수행하게 된다. 특히, 에어컨의 경우, 냉매가 고온 및 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에서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팽창밸브를 통과하면서 온도와 압력이 현저히 떨어지게 된다. 그리고, 저온 및 저압의 냉매가 증발기를 지나면서 열을 흡수한 다음, 응축기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압축과정, 응축과정 및 팽창과정은 에어컨의 실외기 내에서 수행되고, 상기 증발과정은 실내기의 송풍팬과 열교환기에 의하여 수행된다.
또한, 상기 에어컨은 크게 냉동 사이클 장치가 하나의 몸체내에 장착되어 창문 등에 설치되는 창문형 에어컨, 실내기와 실외기가 분리되어 실내와 실외에 각각 설치되는 분리형 에어컨으로 구분된다.
또한, 상기 분리형 에어컨의 경우, 설치방법에 따라 벽걸이형, 상치형, 천정 걸이형 및 천정 매립형 등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인 천정형 공기 조화기는 천정에 형성된 홀부를 통해 천정에 삽입 설치되고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여 냉기로 바꾼 후 실내로 다시 토출하는 것으로 공기 조화기가 실내의 공간을 차지하지 않는 이점 때문에 그 이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종래의 천정형 공기 조화기는 천정에 형성된 홀을 통해 천정 내부에 삽입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내에 설치되어 냉매와의 열교환을 통해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하면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받도록 하는 드레인 팬과,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교환기를 통과시킨 후 실내로 다시 토출되도록 하는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본체에 고정된 모터와, 상기 본체의 저면측에 결합되어 실내로 노출되고 중앙에 실내측의 공기를 흡입그릴이 배치되며 상기 흡입그릴의 둘레 네 방향으로 토출구가 형성된 전면 패널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가 장착되는 실내 이외이 다른 실내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연결되어 다른 실내로 냉기가 유동하도록 하는 토출덕트가 형성되며, 상기 토출덕트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스크류에 의해 체결된다.
종래의 천정형 공기 조화기 구조를 도 1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특허출원 제 10-2005-0063306호에 기재되어 있는바와 같이, 종래의 천정형 공기 조화기(1)는 천정(5)에 삽입되어 설치되는 본체(2)와, 상기 본체(2)의 하면 에 형성되며, 상기 천정형 공기 조화기(1)의 내부 구성을 차폐하는 전면 패널(3)과, 상기 본체(2)의 일측에 연결되며, 상기 천정형 공기 조화기(1)가 설치된 실내 이외에 다른 실내로 냉기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덕트(50)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전면 패널(3)은 상기 전면 패널(3)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24)와, 상기 흡입부(24)의 둘레 네 방향에 형성되며, 상기 흡입부(24)를 통하여 본체(2) 내부로 흡입되어 냉각된 공기가 상기 실내로 다시 토출되도록 하는 토출부(22)가 형성된다.
한편, 종래 산업용 토출덕트는 주로 원형의 것을 사용하였으며 건축물의 실내에서 사용하는 냉풍기나 열풍 난방기 등 냉난방 기기를 통하여 만들어진 따뜻하거나 찬 공기를 이송하는 보온 토출덕트는 건축물의 실내 공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주로 직사각형 형태의 각형 구조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각형 토출덕트는 두께가 0.5~1㎜ 정도의 함석 강판이나 철판 또는 아연도금 강판이나 스테인레스스틸 시트 등의 금속시트를 필요한 형태로 절곡하여 가장 자리를 서로 맞물리게 하여 접합하는 등의 방식으로 제작한 금속재 토출덕트를 널리 사용하였다. 이하 전술한 아연도금 강판 등의 금속재 시트를 각형 형태로 접어서 만든 토출덕트를 금속재 토출덕트라 통칭한다.
또한 전술한 토출덕트의 하나로서 냉난방기를 통하여 차거나 데워진 공기를 필요한 장소로 이송하여 사용할 경우는 주로 전술한 금속재 토출덕트 내에 흐르는 냉난방 에너지가 금속재 토출덕트의 표면을 통해 토출덕트의 외부로 누출되어 낭비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전술한 금속재 시트로 만들어진 토출덕트의 외면에 발포 폴리스티렌, 또는 발포 폴리우레탄, 그라스 울 또는 암면 등의 보온재를 필요한 단열 계수에 따라 두께를 선택하여 금속재 토출덕트의 외부 면을 감싸며 또한 전술한 단열재의 외면을 난연 및 미장마감하기 위하여 얇은 두께를 가진 알루미늄 호일(Foil) 등의 피복재로 다시 감싸서 피복하여 최종 마감하는 방식으로 현장에서 제작 및 설치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토출덕트의 배관을 완성시에 외부 배관이 연결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뚜껑을 별도로 제작한후에 볼트 결합에 의해서 상호 조립하였는바, 상기와 같이 본체와 뚜껑의 상호 결합을 위해서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된 플렌지면을 별도로 형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연장된 플렌지면을 통해 볼트로 상호 조립하게 됨으로서 상기 결합면의 단열이 용이하지 못할뿐만 아니라 보온재로 감싸기도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즉, 토출덕트의 조립과정에서 본체와 뚜껑의 결합면이 돌출되게 형성되므로 조립과정이 복잡해지고, 또한 상기 결합면이 취약하여 단열이 용이하게 되지 못할뿐만 아니라 보온재로 감쌀때에도 튀어나온 부분 때문에 작업의 어려움이 있는 것이며, 상기 결합면에서 보온재가 들뜰 수 있으므로 토출덕트의 완벽한 단열에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토출덕트의 본체와 뚜껑의 결합이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슬라이딩 결합으로 원터치 결합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조립성을 높이도록 하고, 결합면이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토록 함으로서 보온재로 감싸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배출덕트용 본체(100)와, 배출덕트용 뚜껑(200)으로 이루어지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100)는, 직사각형 패널에 수직한 절곡라인을 형성후 상기 절곡라인(20)을 따라 접어서 제작하되 상부면과 하부면 및 측면이 존재하는 직사각통 형태 또는 정사각통 형태를 포함하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측이 오픈된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결합면(11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면(110)은 다수개의 절곡면으로 이루어지되 기본면(111)에 제 1 절곡면(112)이 접면되어 이루어지는 캡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곡면(112)으로부터 수직하게 꺽어진 제 2 절곡면(113)과, 제 2 절곡면(113)으로부터 수직하게 꺽어진 제 3 절곡(114)면, 및 제 3 절곡면(114)으로부터 내측으로 꺽어 밀착되는 제 4 절곡면(115)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절곡면(112)과 제 2 절곡면(113)과 제 3 절곡면(114) 및 제 4 절곡면(115) 사이에 결합홈(116)이 존재하면서 이루어지는 유자형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200)은, 테두리면이 직각으로 절곡시켜 절곡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면(210)이 배출덕트 본체(100)의 결합홈(116)에 삽입되는 구성인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100)는, 절곡라인(20)이 위치하는 지점에 0도 초과 180도 미만의 모따기를 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100)는, 제 1 절곡면(112)과 제 3 절곡면(113)의 상부가 밀착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100)는, 기본면((111)과 제 1 절곡면(112) 사이에 열선을 더 부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200)은, 절곡면(210)에 다수개의 돌기(211)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배출덕트용 본체 제작단계와, 배출덕트용 뚜껑 제작단계와, 배출덕트용 본체 및 배출덕트용 뚜껑을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1)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 제작단계는, 직사각형 패널을 제작한후에 수직한 절곡라인을 형성하고, 상부면과 하부면 중에서 절곡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모따기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모따기가 되면 결합면을 형성하기 위해, 기본면을 중심으로 제 1 절곡지점을 절곡시켜 제 1 절곡면을 형성하고, 제 1 절곡면이 형성되면 제 2 절곡지점을 절곡시켜 제 2 절곡면을 형성하며, 또한 제 3 절곡지점을 절곡시켜 제 3 절곡면을 형성하고, 제 4 절곡지점을 절곡시켜 제 4 절곡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절곡라인을 따라 접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2)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 제작단계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패널을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의 4곳 모서리면에 절곡라인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라인이 만나는 꼭지점으로부터 모따기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라인을 중심으로 접어서 기본면에 수직한 연장면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3) 배출덕트용 본체 및 배출덕트용 뚜껑을 결합하는 단계는, 배출덕트용 뚜껑의 연장면을 배출덕트용 본체의 제 1 절곡면 및 제 2 절곡면 사이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의 연장면을 압박하여 배출덕트용 본체의 결합홈에 삽입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모따기 각도는 절곡면이 45도이면 모따기 부분의 각도가 45도가 되도록하고, 절곡면이 90도이면 모따기 부분의 각도가 90도가 되도록하며, 절곡면이 135도이면 모따기 부분의 각도가 135도가 되도록 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 제작단계는, 기본면을 중심으로 제 1 절곡지점을 절곡시켜 제 1 절곡면을 형성하기전에 열선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토출덕트의 본체와 뚜껑의 결합이 볼트를 이용하지 않고 슬라이딩 결합으로 원터치 결합에 의해서 결합되도록 함으로서 조립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적용한 토출덕트는 결합면이 외부로 튀어나오지 않토록 함으로서 보온재로 감싸는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천정형 에어컨 구성도.
도 2a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 및 뚜껑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를 결합한 상태의 제 1 실시예도.
도 2c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를 결합한 상태의 제 2 실시예도.
도 2d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를 결합한 상태의 제 3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토출덕트 수직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중 사각통 형태의 전개도.
도 4b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중 일측이 오픈된 사각통 형태의 전개도.
도 4c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뚜껑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a - 6g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를 절곡시키는 순서도.
도 7a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의 결합면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에 토출덕트 뚜껑을 근접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에 토출덕트를 결합하는 단면도.
도 7d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에 토출덕트를 결합한 후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 및 뚜껑 구성도.
도 2b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를 결합한 상태의 제 1 실시예도.
도 2c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를 결합한 상태의 제 2 실시예도.
도 2d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를 결합한 상태의 제 3 실시예도.
도 3은 본 발명의 토출덕트 수직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중 사각통 형태의 전개도.
도 4b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중 일측이 오픈된 사각통 형태의 전개도.
도 4c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뚜껑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사시도.
도 6a - 6g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를 절곡시키는 순서도.
도 7a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의 결합면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에 토출덕트 뚜껑을 근접시킨 상태의 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에 토출덕트 뚜껑을 결합하는 단면도.
도 7d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에 토출덕트 뚜껑을 결합한 후의 단면도.
도 8a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에 열선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도면.
도 8b는 본 발명의 토출덕트 본체에 열선이 장착된 것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배출덕트 구성요소는 크게 도 2a와 같이 배출덕트용 본체(100)와, 배출덕트용 뚜껑(200)으로 이루어지며, 도 3 및 도 5와 같이 배출덕트용 본체 및 배출덕트용 뚜껑이 결합된다.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100)는 직사각통 형태 또는 정사각통 형태 등 다각형통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도 2b와 같이 직육면체나 정육면체에서 양측이 오픈된 형태로서 직사각통 형태 또는 정사각통 형태가 구현되는 것이다. 또한, 도 2c와 같이 직사각통 형태 또는 정사각통 형태에서 일측이 오픈된 디긋자 형태의 통형상으로 제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의 단면을 살펴보았을때 직사각형 형태나 정사각형 형태나 디긋자형 형태가 가능하고, 아울러 사다리꼴 형태도 가능하다. 또한, 통상적으로 절곡면의 꺽음 각도가 직사각형이나 정사각형일때에는 90도이나 필요에 따라서 도 2d와 같은 형태로 제작할 경우 0도 초과 180도 미만으로 꺽어서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출덕트용 본체(100)는 상부 끝단과 하부 끝단에 결합면(110)을 형성하는바, 상기 결합면은 다수개의 절곡면으로 이루어지되 기본면(111)에 제 1 절곡면(112) 접면되어 이루어지는 캡형 구조와 제 1 절곡면(112)과 제 2 절곡면(113)과 제 3 절곡면(114)및 제 4 절곡면(115) 사이에 결합홈(116)이 존재하면서 이루어지는 유자형 구조가 반복되는 형태이다. 참고로 본 발명에서 캡형 구조와 유자형 구조는 배출덕트용 본체의 상부면을 기준으로한 설명이며 하부면은 그 형태가 동일하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즉, 본 발명의 배출덕트용 본체의 하부면은 상부면과 대칭적으로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상기 제 1 절곡면(112)과 제 2 절곡면(113) 및 제 3 절곡면(114)은 제 2 절곡면(113)을 중심으로 제 1 절곡면(112)과 제 3 절곡면(114)의 상부가 밀착되고 제 4 절곡면(115)이 내측으로 꺽인 상태에서 결합홈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홈(116)은 삼각형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200)은 테두리면이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이며, 꼭지점 부분은 모따기를 진행하여 절곡면(210)들이 겹치지 않토록 한다.
그리고, 배출덕트용 뚜껑이 완성되면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200)의 절곡면(210)을 배출 덕트용 본체의 제 1 절곡면(112)과 제 3 절곡면(114) 사이에 배치시킨후에 배출덕트용 뚜껑(200)의 모서리면을 압박하여 배출덕트용 뚜껑(200)의 절곡면(210)이 배출덕트용 본체(100)의 제 1 절곡면(112)과 제 3 절곡면(114) 및 제 4 절곡면(115)사이로 삽입되도록 한다.
즉, 배출덕트용 뚜껑(200)의 절곡면(210)을 배출덕트용 본체(100)의 결합면(110)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부를 고무망치나 나무 망치등으로 타격하여 배출덕트용 뚜껑(200)의 절곡면(210)이 배출덕트용 본체(100)의 결합면(110)을 구성하는 제 1 절곡면(112)과 제 3 절곡면(114) 및 제 4 절곡면(115) 사이의 결합홈(116)에 삽입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200)의 절곡면(210)에는 다수개의 돌기(211)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배출덕트용 뚜껑(200)의 절곡면(210)이 배출덕트용 본체(100)의 결합면(110)에 삽입된 후에는 돌기(211)가 제 4 절곡면(115)에 걸리게 되어 결합작용을 보조하게 되므로 다시 후퇴하여 빠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배출덕트용 뚜껑(200)의 절곡면(210)을 배출덕트 본체(100)에 삽입할 때에는 제 4 절곡면(115)과 제 1 절곡면(112) 사이를 쉽게 삽입되면서 다수개의 돌기(211)가 결합홈(116)에 쉽게 삽입되어지나, 삽입후에는 제 4 절곡면(115)에 돌기(211)가 걸리게 되므로 배출덕트용 뚜껑(200)을 후퇴하려할 때에는 상기 돌기(211)와 제 4 절곡면(115)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본면(111)과 제 1 절곡면(112) 사이에 열선(300)을 더 부가 설치할 수 있는바,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본면과 제 1 절곡면 사이에 열선을 배치한다.
아울러, 상기 열선(300)에는 전원공급장치를 연결시켜 기준온도 이하이면 열선을 가동시킴으로서 덕트의 테두리면이 단열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전원공급장치와 열선의 연결 구성등은 일반적인 기술이기 때문에 더이상의 기재를 생략토록 한다. 즉, 전원공급장치에 열선이 연결되고 여기에 제어부를 구성하게 되면, 덕트의 내부온도가 일정이하가 되면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가열되도록 함으로서 덕트의 테두리와 덕트 외부의 온도차이를 줄이도록 하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열선을 가열하게 되면 덕트의 단열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가 있어서 덕트의 테두리와 덕트 외부의 온도차이가 줄게 되며, 이에 따라 덕트의 테두리면에서 수증기의 응결과 같은 현상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본 발명의 배출덕트 본체(100)의 제조과정을 살펴보면,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 패널을 제작한후에 상부면과 하부면 중에서 결합면(110)에 해당하는 부분을 모따기 한다. 이때 모따기의 각도를 결정하는바, 결합면(110)이 45도이면 모따기 부분의 각도가 45도가 되도록하고, 절곡면이 90도이면 모따기 부분의 각도가 90도가 되도록하며, 절곡면이 135도이면 모따기 부분의 각도가 135도가 되도록 한다.
상기 모따기 과정에서 필요시에 다른 덕트와 연결하기 위한 원형 또는 사각형 형태의 홈을 기본면에 형성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이 모따기가 되면 결합면(110)을 제작하는바, 이를 위해서 도 6a에서 도 6g까지의 순서대로 절곡 작업을 진행하는바, 기본면(111)을 중심으로 제 1 절곡지점(11)을 절곡시켜 제 1 절곡면(112)을 형성하고, 제 1 절곡면(112)이 형성되면 제 2 절곡지점(12)을 절곡시켜 제 2 절곡면(113)을 형성하며, 또한 제 3 절곡지점(13)을 절곡시켜 제 3 절곡면(114)을 형성하고, 제 4 절곡지점(14)을 절곡시켜 제 4 절곡면(115)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배출덕트 본체(100)의 결합면(110)에 제 1 절곡면(112)과 제 2 절곡면(113)과 제 3 절곡면(114) 및 제 4 절곡면(115)을 형성한 후에는 절곡라인(20)들을 따라 접어서 직사각형 형태나 정사각형 형태로 접는다.
만약에 일측이 오픈된 직사각통 형태로 제작하면 2개의 수직한 절곡라인(20)으로 이루어지고, 직사각통 형태로 제작하면 3개의 수직한 절곡라인(20)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는 도 4a, 4b에 세로축 라인 형태로 절곡라인(20)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모따기와 덕트 절곡면(112, 113, 114, 115) 형성 및 절곡라인(20)을 따라 접는 과정이 마무리되면 배출덕트 본체의 제조과정이 완료된다.
두번째로 본 발명의 배출덕트 뚜껑(200) 제작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패널을 구비하고, 도 4c와 같이 상기 패널의 4곳 모서리면에 절곡라인(21)을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절곡라인(21)이 만나는 꼭지점으로부터 모따기를 하여 절곡후 상호 겹쳐지지 않토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90도로 모따기를 한다.
이후, 상기 절곡라인(21)을 중심으로 접어서 기본면에 수직한 절곡면(210)이 형성되며, 상기 연장면은 배출덕트 본체의 결합홈에 결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절곡면(210)에는 다수개의 돌기(211)를 더 형성하여 결합홈에 결합후에는 외부로 빠져나오지 않토록 한다.
본 발명의 도 7b 내지 도 7d는 배출덕트 본체와 배출덕트 뚜껑의 결합과정을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으며, 도 7a는 결합이 완료된 상태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본면과 제 1 절곡면 사이에 열선을 배치하는 과정을 더 갖도록 하는바,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열선을 배치하게 되면 필요시에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여 열선이 가열되도록 함으로서 덕트의 단열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11: 제 1 절곡지점
12: 제 2 절곡지점
13: 제 3 절곡지점
14: 제 4 절곡지점
20, 21: 절곡라인
100: 배출 덕트용 본체
110: 결합면
111: 기본면
112: 제 1 절곡면
113: 제 2 절곡면
114: 제 3 절곡면
115: 제 4 절곡면
116: 결합홈
200: 배출 덕트용 뚜껑
210: 절곡면
300: 열선

Claims (8)

  1. 배출덕트용 본체(100)와, 배출덕트용 뚜껑(200)으로 이루어지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100)는,
    직사각형 패널에 수직한 절곡라인을 형성후 상기 절곡라인(20)을 따라 접어서 제작하되 상부면과 하부면 및 측면이 존재하는 직사각통 형태 또는 정사각통 형태를 포함하는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일측이 오픈된 다각형통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면과 하부면에 결합면(110)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면(110)은 다수개의 절곡면으로 이루어지되 기본면(111)에 제 1 절곡면(112)이 접면되어 이루어지는 캡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제 1 절곡면(112)으로부터 수직하게 꺽어진 제 2 절곡면(113)과, 제 2 절곡면(113)으로부터 수직하게 꺽어진 제 3 절곡(114)면, 및 제 3 절곡면(114)으로부터 내측으로 꺽어 밀착되는 제 4 절곡면(115)으로 이루어지되, 제 1 절곡면(112)과 제 2 절곡면(113)과 제 3 절곡면(114) 및 제 4 절곡면(115) 사이에 결합홈(116)이 존재하면서 이루어지는 유자형 구조를 형성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200)은,
    테두리면이 직각으로 절곡시켜 절곡면(210)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면(210)이 배출덕트 본체(100)의 결합홈(116)에 삽입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100)는,
    절곡라인(20)이 위치하는 지점에 0도 초과 180도 미만의 모따기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100)는,
    제 1 절곡면(112)과 제 3 절곡면(113)의 상부가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100)는,
    기본면((111)과 제 1 절곡면(112) 사이에 열선(300)을 더 부가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200)은,
    절곡면(210)에 다수개의 돌기(211)를 더 형성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6.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배출덕트용 본체 제작단계와, 배출덕트용 뚜껑 제작단계와, 배출덕트용 본체 및 배출덕트용 뚜껑을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되;
    (1)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 제작단계는,
    직사각형 패널을 제작한후에 수직한 절곡라인을 형성하고, 상부면과 하부면 중에서 절곡면에 해당하는 부분을 모따기하는 단계와;
    상기와 같이 모따기가 되면 결합면을 형성하기 위해, 기본면을 중심으로 제 1 절곡지점을 절곡시켜 제 1 절곡면을 형성하고, 제 1 절곡면이 형성되면 제 2 절곡지점을 절곡시켜 제 2 절곡면을 형성하며, 또한 제 3 절곡지점을 절곡시켜 제 3 절곡면을 형성하고, 제 4 절곡지점을 절곡시켜 제 4 절곡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절곡라인을 따라 접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2)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 제작단계는,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태의 패널을 구비하는 단계와;
    상기 패널의 4곳 모서리면에 절곡라인을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라인이 만나는 꼭지점으로부터 모따기하는 단계와;
    상기 절곡라인을 중심으로 접어서 기본면에 수직한 연장면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3) 배출덕트용 본체 및 배출덕트용 뚜껑을 결합하는 단계는,
    배출덕트용 뚜껑의 연장면을 배출덕트용 본체의 제 1 절곡면 및 제 2 절곡면 사이에 배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출덕트용 뚜껑의 연장면을 압박하여 배출덕트용 본체의 결합홈에 삽입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 각도는 절곡면이 45도이면 모따기 부분의 각도가 45도가 되도록하고, 절곡면이 90도이면 모따기 부분의 각도가 90도가 되도록하며, 절곡면이 135도이면 모따기 부분의 각도가 135도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제조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덕트용 본체 제작단계는,
    기본면을 중심으로 제 1 절곡지점을 절곡시켜 제 1 절곡면을 형성하기전에 기본면과 제 1 절곡면 사이에 열선을 삽입시키는 단계를 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제조방법.
KR1020120055124A 2012-05-24 2012-05-24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 KR1012960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124A KR101296090B1 (ko) 2012-05-24 2012-05-24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124A KR101296090B1 (ko) 2012-05-24 2012-05-24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6090B1 true KR101296090B1 (ko) 2013-08-19

Family

ID=492204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124A KR101296090B1 (ko) 2012-05-24 2012-05-24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09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071B1 (ko) * 2016-10-25 2017-07-25 권정호 철도 차량용 에어 덕트
KR102080177B1 (ko) 2019-07-30 2020-02-21 김유석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KR20200038359A (ko) 2018-10-02 2020-04-13 하경도 공기조화용 천정형 공조덕트
CN116748808A (zh) * 2023-06-16 2023-09-15 广州市全风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防火风管加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445B1 (ko) 2000-04-27 2005-04-22 에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덕트의 이음매 구조
KR20100084305A (ko) * 2009-01-16 2010-07-26 최관식 기밀성 스파이럴 덕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445B1 (ko) 2000-04-27 2005-04-22 에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덕트의 이음매 구조
KR20100084305A (ko) * 2009-01-16 2010-07-26 최관식 기밀성 스파이럴 덕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071B1 (ko) * 2016-10-25 2017-07-25 권정호 철도 차량용 에어 덕트
KR20200038359A (ko) 2018-10-02 2020-04-13 하경도 공기조화용 천정형 공조덕트
KR102080177B1 (ko) 2019-07-30 2020-02-21 김유석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CN116748808A (zh) * 2023-06-16 2023-09-15 广州市全风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防火风管加工方法
CN116748808B (zh) * 2023-06-16 2024-02-23 广州市全风机电设备有限公司 一种防火风管加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090B1 (ko)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
WO2016103441A1 (ja) 室外機
KR101294097B1 (ko) 복층 패널 구조를 갖는 에너지 절감형 공기조화기
JP2012225517A (ja) 輻射冷暖房装置及び除加湿冷暖房システム
JP6415742B2 (ja) 室内機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7207244A (ja)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の制御方法
CN209101415U (zh) 空调
JP4542507B2 (ja) 断熱パネル及びそれを利用した断熱構造体
KR100898120B1 (ko) 천장용 에어컨의 드레인호스 설치 구조
WO2020217447A1 (ja) 空気調和機
KR200440907Y1 (ko) 에어컨 냉매배관용 보온호스
KR100337174B1 (ko) 에어컨용 단열 프론트 패널
US20180094429A1 (en) Systems for insulating panels in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applications
KR101064556B1 (ko) 이종 케이싱 조립용 프레임 구조를 갖는 공기조화기
WO2023013730A1 (ja) 空気調和装置
CN220355575U (zh) 换热器组件和空调室内机
JP6227167B2 (ja) 室外機
JPS6132267Y2 (ko)
KR200147562Y1 (ko) 공조기 프로파일의 결로방지용 보온재 장착구조
JP2003156267A (ja) セパレート型空気調和機およびこれに用いる断熱二重管
KR200278214Y1 (ko) 벽걸이형 실내기의 스페이서 구조
KR100606271B1 (ko) 공간활용형 인테리어 룸에어콘
KR20020097379A (ko) 적층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실외기
KR101308026B1 (ko) 열손실 및 결로방지를 위한 단열 프레임
CN110285095A (zh) 蜗壳、制冷系统及具有其的制冷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