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177B1 -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0177B1 KR102080177B1 KR1020190092269A KR20190092269A KR102080177B1 KR 102080177 B1 KR102080177 B1 KR 102080177B1 KR 1020190092269 A KR1020190092269 A KR 1020190092269A KR 20190092269 A KR20190092269 A KR 20190092269A KR 102080177 B1 KR102080177 B1 KR 1020801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organic filler
- polyurethane foam
- duct
- building
- manufactu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44/12—Incorporating or moulding on preformed parts, e.g. inserts or reinforc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6—After-treatment of articles, e.g. for altering the shap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3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granules, powd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40—Impregna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81—Multilayer duc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32B2307/3065—Flame resistant or retardant, fire resistant or retardan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fireproof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고온의 열에 의해서 타지 않고 설혹 고온의 화염이 직접 접촉되었을 경우에도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보호하는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제조하여 준비하는 덕트 내부 내장재의 준비단계(S 210)와;
외부의 실외 공기를 건축물의 실내로 이동하게 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이루게 되는 내부 벽면층으로서의 하면표면재(30)와; 상기 내부 벽면층에 접촉되어 있고 실내외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주는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와; 화재시 화염에 의해 불타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위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무기불연층(40)과; 외부로부터 상기 무기불연층과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보호하는 외부 벽면층으로서의 상면표면재(20); 를 포함하고 있는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를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상기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를 서로 연달아 연결시킴으로써, 건축물의 내부에서 공조설비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덕트를 완성하는 단계(S 230); 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고온의 열에 의해서 타지 않고 설혹 고온의 화염이 직접 접촉되었을 경우에도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보호하는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제조하여 준비하는 덕트 내부 내장재의 준비단계(S 210)와;
외부의 실외 공기를 건축물의 실내로 이동하게 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이루게 되는 내부 벽면층으로서의 하면표면재(30)와; 상기 내부 벽면층에 접촉되어 있고 실내외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주는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와; 화재시 화염에 의해 불타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위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무기불연층(40)과; 외부로부터 상기 무기불연층과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보호하는 외부 벽면층으로서의 상면표면재(20); 를 포함하고 있는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를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상기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를 서로 연달아 연결시킴으로써, 건축물의 내부에서 공조설비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덕트를 완성하는 단계(S 230); 을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판넬을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건축물의 화재시 불연성 재질로 인하여 불에 타지 않고, 건축물의 내부에서 유해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평상시에는 건축물의 내부 공기 등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건축물의 내부 공기의 정화 및 온도조절을 행할 수 있는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판넬을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건축물들이 대형화되고 고층화되어지면서 각종 안전장치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고층화된 건축물의 경우, 건축물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었을 때 수많은 인명 피해를 야기할 수 있으므로, 화재의 사전 방지와 더불어 화재시 사후 대비책이 필수적인 사항으로 등장하고 있다.
건축물의 화재 발생시, 건축물의 내부에서 각종 차단설비들이 작동하고, 그와 동시에 내부의 스프링쿨러와 같은 소방설비들이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것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건축물에 화재가 발생되었을 경우, 그 건축물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지만,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각종 실내 인테리어 등으로부터 유독가스를 배출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
건축물 내부에는 실내 공기를 신선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공조설비가 필수적이다.
공조설비는 외부의 실외 공기를 빨아들여서 정화한 다음, 건축물의 실내로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도 하고, 그 과정에서 외부 공기를 실내 온도에 적합하게 하기 위하여, 또는 실내에서 활동하기에 적합한 온도로 조절하기 위하여, 외부 공기를 덥게 하거나 차갑게 하기도 한다. 또한, 공조설비는 실내에서 활동하면서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기도 한다.
공조설비에 있어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내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하여,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 덕트이다.
덕트는 건축물의 화재발생시 내부의 유해가스를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키는 소방설비 중의 하나로 규정되어 있으며, 제연 덕트는 통상적으로 건축물의 천장과 실내의 천정벽의 사이 공간에 설치되어지고, 예상제연구역이 벽으로 구획되어 있을 경우에는 천장 또는 반자와 바닥 사이의 중간 윗부분에 설치되어야 한다. 제연 덕트는 화재시 고열에 의해서도 제연 덕트의 배출통로를 유지해야 하므로, 아연도강판 또는 이와 유사한 재질의 금속판재로 제조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오늘날 건축물에 사용되는 제연 덕트는 단순히 강철판으로 사각형상의 배출통로를 제조하여 사용되고 있거나, 강철판의 배출통로의 주위에 통상적인 글라스 울 또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감싼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이와 같이 강철판으로 구성된 제연 덕트는 실제로 화재가 발생되어서, 고온의 화재가 상기 제연 덕트의 외부를 덮치게 될 경우, 고온의 열에 의해 덕트 내부의 재질로 인하여, 유독가스를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경우, 제연 덕트로서 사용되는 소방설비가 오히려 실제의 화재발생시에는 유독가스를 발생시키는 모순을 안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고, 건축물의 화재시 불연성 재질로 인하여 불에 타지 않고, 건축물의 내부에서 유해가스를 발생시키지 않으며, 평상시에는 건축물의 내부 공기 등을 외부로 신속하게 배출시킬 수 있고, 건축물의 내부 공기의 정화 및 온도조절을 행할 수 있는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판넬을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은,
화재 발생시 고온의 열에 의해서 타지 않고 설혹 고온의 화염이 직접 접촉되었을 경우에도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보호하는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제조하여 준비하는 덕트 내부 내장재의 준비단계(S 210)와;
외부의 실외 공기를 건축물의 실내로 이동하게 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구성하는 내부 벽면층과, 상기 내부 벽면층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주는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와, 화재시 화염에 의해 불타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 무기불연층과, 상기 무기불연층에 접촉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상기 무기불연층 및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보호하는 외부 벽면층으로 구성된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를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상기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를 서로 연달아 연결시킴으로써, 건축물의 내부에서 공조설비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덕트를 완성하는 단계(S 230); 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덕트 내부 내장재의 준비단계(S 210)를 수행하기 위하여, 종래와는 전혀 다른 제조공정을 거쳐서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덕트 내부 내장재의 준비단계(S 210)는,
폴리우레탄 제조원료들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원료분사단계(S 110)와;
폴리우레탄 원료들이 발포제에 의해 발포되면서 서서히 이송되는 과정에서 무기필러를 연속공정으로 고르게 투입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의 조직에 준불연성 특성을 부여하는 원료 물질들의 라이징단계(S 120)와;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의 내부로 투입되어 우레탄반응을 마무리하는 폴리우레탄 시트의 제조단계(S 130)와;
제품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고 보관하는 마무리단계(S 140); 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은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위치하여 시트형상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와,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면표면재와,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면표면재로 형성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폼 보드에 있어서, 상기 상면표면재와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사이에 존재하고 있는 무기불연층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무기불연층은 무기필러의 형태로 공급되어지고, 그 투입량은 100 센티미터 X 100 센티미터의 면적에 대해 60 그램 내지 300 그램의 비율로 형성하고 있으며, 화재시 화염에 타지 않고 불연성 재질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폴리올 성분과 첨가제들을 혼합한 폴리올 원료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구성된 이소시아네이트 원료를 고속으로 혼합하면서 분사하고, 분사된 원료 물질들이 우레탄반응과 더불어 발포제에 의해 발포되는 과정에서, 원료 물질들이 라이징단계(S 120)를 20% 내지 90% 정도 진행되는 상태에서, 무기필러를 미세한 분말상의 형태로 공급하되, 통상의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의 내부로 투입되기 이전에, 상기 라이징단계(S 120)를 수행하고 있는 원료물질들의 상부 표면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무기필러의 자동공급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필러의 자동공급장치는 상기 라이징단계(S 120)에서 무기필러를 자동적이고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제반 단계를 거쳐서 완성된 건축물 내부용 덕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는 건축물의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되어 고온 고열의 화염이 직접 덮칠 경우에도, 그 화염이 더 이상 확산되지 않으며, 또한 그 내부에 존재하는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가 유해가스를 발생하지 않으므로, 소방설비로서 최적으로 성능을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는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에 의하여 그 내부의 통로를 따라 흘러가는 공기의 온도를 충분히 보온하게 되므로, 역시 최적의 공조설비로서의 장점을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무기필러의 자동공급장치(300)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라이징 단계와 무기필러의 투입시점에 관한 개략적인 상관관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무기필러의 자동공급장치(300)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는 무기필러 자동공급장치(300)의 경사판(330)의 확대도,
도 7은 무기필러 자동공급장치(300)의 개략적인 좌측면도,
도 8은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자동 연속공정으로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개략도,
도 9a 내지 도 9d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의한 샘플들의 각 사진자료,
도 10a 및 도 10b는 비교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2에 의한 샘플의 사진자료,
도 11은 실시예 4에 의한 샘플의 토치실험 결과의 사진자료,
도 12는 비교실시예 2에 의한 샘플의 토치실험 결과의 사진자료,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덕트 단위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에 의한 덕트 단위체의 제조과정에 관한 개념도, 그리고,
도 15a 및 도 15b는 덕트 단위체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무기필러의 자동공급장치(300)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전체적인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라이징 단계와 무기필러의 투입시점에 관한 개략적인 상관관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무기필러의 자동공급장치(300)의 개략적인 정면도,
도 6는 무기필러 자동공급장치(300)의 경사판(330)의 확대도,
도 7은 무기필러 자동공급장치(300)의 개략적인 좌측면도,
도 8은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자동 연속공정으로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개략도,
도 9a 내지 도 9d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 의한 샘플들의 각 사진자료,
도 10a 및 도 10b는 비교실시예 1 및 비교실시예 2에 의한 샘플의 사진자료,
도 11은 실시예 4에 의한 샘플의 토치실험 결과의 사진자료,
도 12는 비교실시예 2에 의한 샘플의 토치실험 결과의 사진자료,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덕트 단위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에 의한 덕트 단위체의 제조과정에 관한 개념도, 그리고,
도 15a 및 도 15b는 덕트 단위체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이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구체적인 수치 또는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 있어서,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된 것으로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창작될 수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되는 공조설비의 일종으로서 실외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거나,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는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재 발생시 고온의 열에 의해서 타지 않고, 설혹 고온의 화염이 직접 접촉되었을 경우에도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보호하는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제조하여 준비하는 덕트 내부 내장재의 준비단계(S 21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덕트 내부 내장재의 준비단계(S 210)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었던 단열재용 폴리우레탄 재질을 벗어나, 고온의 화염에 의해서도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는 종래와는 전혀 다른 제조공정을 거쳐서 준불연성 특징을 나타내게 된다.
상기 덕트 내부 내장재의 준비단계(S 210)는,
폴리우레탄 제조원료들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원료분사단계(S 110)와;
폴리우레탄 원료들이 발포제에 의해 발포되면서 서서히 이송되는 과정에서 무기필러를 연속공정으로 고르게 투입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의 조직에 준불연성 특성을 부여하는 원료 물질들의 라이징단계(S 120)와;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의 내부로 투입되어 우레탄반응을 마무리하는 폴리우레탄 시트의 제조단계(S 130)와;
제품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고 보관하는 마무리단계(S 140); 를 포함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관한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단면도이다.
상기 원료분사단계(S 110)는 폴리올 성분과 첨가제들을 혼합한 폴리올 원료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구성된 이소시아네이트 원료를 고속으로 혼합하면서 분사하게 된다.
상기 원료분사단계(S 110)는 폴리올 성분과 각종 첨가제를 혼합하여 교반하고 있는 폴리올 원료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포함하고 있는 이소시아네이트 원료를 고압분사기(5)에서 고압으로 순간적으로 분사하여, 폴리올 성분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상호간에 세차게 부딪히고 혼련되어지도록 함으로써, 우레탄 반응을 일으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폴리올 원료와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원료는 각각 별도의 저장용기(도시되지 않음)에 보관한 다음, 상기 고압분사기(5)에서 고속으로 혼련시켜서 분사되어진다. 상기 원료분사단계(S 110)에서는 언코일러(8)에서 풀려나오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의 시트를 공급함으로써,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상면표면재(20)와 하면표면재(30)를 이루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제조방법은, 우레탄반응을 일으키기 시작하고 발포제에 의해 발포되면서 서서히 이송되는 과정에서 무기필러를 연속공정으로 고르게 투입하는 원료 물질들의 라이징단계(S 120)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무기필러의 자동공급장치(300)를 사용하였을 경우의 전체적인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라이징 단계와 무기필러의 투입시점에 관한 개략적인 상관관계도이다.
상기 라이징단계(S 120)는 상기 고압분사기(5)에 의해 고속으로 분사된 우레탄수지 배합액이 우레탄 반응과 동시에 발포현상을 일으키게 되면서, 크림타임이 시작되어지고, 반응을 진행중인 상기 우레탄수지 배합액이 서서히 부풀어오르게 되면서 블로잉 현상을 발현한다. 상기 라이징단계(S 120)에서 우레탄수지 배합액이 완전히 부풀어오르게 되면, 더블 컨베이어벨트 장치(50)의 내부로 이송되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라이징단계(S 120)를 수행하는 도중에, 무기필러를 투입하게 된다. 상기 무기 필러는 우레탄수지 배합액이 상기 라이징단계(S 120)의 20 % 내지 90 %의 진행율을 나타내는 상태에서, 분말상의 형태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좀더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무기필러의 투입시기는 그 진행율이 40 % 내지 70 %를 나타낼 경우이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그 진행율이 45 % 내지 60 %를 나타낼 경우이다. 상기 라이징단계(S 120)에서 그 진행율이 20 % 이전에 상기 무기필러를 투입하게 되면, 우레탄 반응에 의한 망상구조의 생성 정도가 미약하여서 위에서 투여된 무기필러가 원료물질의 내부로 대부분이 침적하게 되어지고, 결과적으로 상기 무기불연층(40)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야기한다. 한편, 상기 라이징단계(S 120)의 진행율이 90 % 이상 단계에서 상기 무기필러를 투입하게 되면, 우레탄 반응에 의한 망상구조가 거의 완료되어 있어서, 위에서 투여된 무기필러가 원료물질의 내부로 거의 침적되지 않고, 그 위에 대부분 잔존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 무기불연층(40)을 형성하는데 어려움을 야기한다.
또한, 상기 무기필러는 상기 라이징단계(S 120)를 수행하는 도중에, 통상의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의 내부로 투입되기 이전에, 투입작업이 종료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무기필러는 우레탄수지 배합액의 반응물 상부 표면으로 투입된 후 통상의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50)에 들어가서, 상기 원료물질이 우레탄 반응을 마무리하여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를 형성할 경우,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상부에 무기불연층(4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50)에는 통상적으로 상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가장 위쪽에 형성된 상면표면재(20)와, 하부에서 공급되어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저면에 형성된 하면표면재(3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우레탄 반응 과정은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50)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라이징단계(S 120)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무기필러의 자동공급장치(30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는 무기필러의 자동공급장치(300)의 개략적인 정면도이고,
도 6는 무기필러 자동공급장치(300)의 경사판(330)의 확대도이고,
도 7은 무기필러 자동공급장치(300)의 개략적인 좌측면도이며,
도 8은 종래의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자동 연속공정으로 생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개략도이다.
상기 자동공급장치(300)는 무기필러를 균일하고 얇은 시트형상으로 공급하는 무기필러 분배부(330)와, 상기 무기필러 분배부(330)에서 공급받은 무기필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라이징단계(S 120)를 수행하고 있는 우레탄수지 배합액의 상부 표면으로 공급하는 무기필러 투입부(3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무기필러 분배부(330)는 그 내부에 담겨져 있는 무기필러를 균일하고 얇은 시트 형상으로 만들어서 외부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기필러 분배부(330)는 그 내부에 경사판(332)을 가지고 있다. 상기 경사판(332)은 30 도 내지 70 도 정도의 각도를 가지고 있으며, 무기필러가 아래쪽으로 자연스럽게 하중에 의해 내려갈 수 있도로 함과 동시에, 최하단은 바닥면과 작은 틈새를 이루도록 하고, 그 틈새를 따라 상기 무기필러가 흘러나갈 때, 얇은 두께를 가진 시트 형상의 고른 분포를 가질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작은 틈새는 상기 경사판(332)의 뒷면에 형성된 기어(334)와 경사조절대의 맞물림기어(336)에 의해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기어(334)와 상기 맞물림기어(336)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경사판(332)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무기필러를 좀 더 많은 양으로 공급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경사판(332)을 위쪽으로 밀어올려서 그 틈새의 간격을 넓게 해주는 것이고, 상기 무기필러의 공급량을 적게 하고자 할 경우에는 상기 경사판(332)을 아래쪽으로 내려서 그 틈새의 간격을 좁게 해주는 것이다.
본 발명의 도면들에서는 기어의 맞물림 작업을 통하여 상기 경사판(33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사례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다른 수단으로 수행될 수 있다는 점은 명확하다.
상기 무기필러 투입부(340)는 상기 무기필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우레탄수지 배합액의 상부 표면으로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무기필러 투입부(340)는 수평방향으로 타원형 궤도를 그리면서 무한정으로 회전하는 이송벨트(342)와, 상기 이송벨트(342)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공회전하고 있는 다수의 회전롤러(344)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이송벨트(342)는 수평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그 위에 공급된 무기필러를 상기 무기필러 분배부(330)의 틈새의 위치에서 그 반대방향으로 이동시켜주게 되고, 그 끝단에서 상기 무기필러를 자유낙하시킴으로써, 상기 라이징단계(S 120)를 수행하고 있는 우레탄수지 배합액의 상부 표면으로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 자동공급장치(300)는 상기 무기필러 분배부(330)에 무기필러를 공급하는 호퍼(320)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호퍼(320)는 무기필러를 저장하고 있거나, 외부에서 공급받은 다음, 무기필러를 아래쪽에 있는 무기필러 분배부(330)로 보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호퍼(320)는 외부에서 공급된 무기필러의 덩어리를 제거하거나 분쇄하기 위한 필터부(325)를 더욱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필터부(325)는 덩어리로 존재하는 무기필러를 더욱 잘 분쇄하고 필러링 기능을 보증하기 위하여, 진동자(도시되지 않음)를 추가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자동공급장치(300)는 상기 호퍼(320)의 위쪽에 무기필러 보관부(310)를 더욱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무기필러 보관부(310)는 외부에서 구입하거나 내부에서 생산한 무기필러를 장기간 또는 일시적으로 보관하고자 할 경우,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필러 보관부(310)는 통상의 호퍼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균일하고 고른 입자의 무기필러를 공급하고자 할 경우, 추가적으로 갖추어 두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무기필러의 자동공급장치(300)를 사용할 경우, 무기필러를 고르고 균일하게 라이징단계(S 120)의 우레탄 반응물질에 투입할 수 있으므로, 최종 제품의 품질 향상에 크게 도움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제조방법은, 상기 라이징단계(S 120)를 거쳐서 통상의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의 내부로 투입되어 우레탄반응을 마무리하는 폴리우레탄 시트의 제조단계(S 1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시트의 제조단계(S 130)는 통상의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는 위쪽에서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상부 컨베이어벨트와, 아래쪽에서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하부 컨베이어벨트의 사이에서 우레탄반응을 완료함으로써, 경질의 폴리우레탄 폼 시트를 형성하게 된다. 이 단계를 경과하게 되면, 중앙의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와 그 위쪽에 형성된 상기 무기불연층(40)과 그 위쪽에 형성된 상면표면재(20)와,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아래쪽에 존재하는 하면표면재(30)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면표면재(20)와 상기 하면표면재(30)는 서로 그 위치를 바꾸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제조방법은, 상기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를 거쳐서 나온 후 제품에 따라 적절한 길이로 절단하고 보관하는 마무리단계(S 1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마무리단계(S 140)는 절단기(도시되지 않음)를 통하여 절단되어지고, 보관창고에 보관하여 제품의 숙성화를 도모한다.
상기 마무리단계(S 140)를 거쳐서 완성된 제품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상부 표면을 살펴보면, 고르고 균일하게 분포된 무기필러에 의한 상면표면재(20)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반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110)는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110)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상기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110)는 우레탄 반응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중앙에 위치하여 시트형상으로 이루어진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와,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면표면재(20)와,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하면표면재(30)로 형성되어 있는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상기 상면표면재(20)와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의 사이에 무기불연층(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무기불연층(40)은 무기필러의 형태로 공급되어지고, 화재시 화염에 타지 않고 불연성 재질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면표면재(2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그 내부에 있는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와 무기불연층(40)을 보호한다. 상기 상면표면재(20)는 알루미늄 박판이거나 아연철판이거나 스테인레스 박판 등과 같은 금속 패널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면표면재(20)는 건축물의 내부에 사용되는 덕트를 구성할 경우 내부 벽면층을 형성하거나 외부 벽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면표면재(30)는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외력으로부터 그 내부에 있는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를 보호한다. 상기 하면표면재(30)는 알루미늄 박판이거나 아연철판이거나 스테인레스 박판 등과 같은 금속 패널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면표면재(30)는 건축물의 내부에 사용되는 덕트를 구성할 경우 외부 벽면층을 형성하거나 내부 벽면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면표면재(20)와 상기 하면표면재(30)는 원형 롤러에 권취되어 있다가 풀려지면서, 우레탄 반응을 일으키는 우레탄 원료물질의 상부로 공급되어지고, 더블컨베이어 벨트 장치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상기 무기불연층(40)은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와 상기 상면표면재(2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무기필러의 형태로 공급되어 있고, 그 무기 필러의 투입양은 100 센티미터 X 100 센티미터의 면적에 대해 60 그램 내지 300 그램의 비율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준면적에 대해 60 그램 이하로 투입하였을 경우, 무기필러가 그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지 아니하고, 무기필러의 불연성능을 발휘하는데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다. 한편, 기준면적에 대해 300 그램 이상으로 투입하였을 경우, 무기필러가 그 표면에 고르게 분포되어지지만, 너무 과량이어서 경제성이 좋지 못하고, 그 위쪽에 존재하는 상면표면층(20)과의 사이에 결합력이 좋지 아니하므로, 바람직스럽지 못하다.
상기 무기불연층(40)은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에 일부 침적된 형태를 이루면서 그 위쪽에 얇은 피막형태로 존재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가 그 위쪽에 존재하는 상면표면재(20)와의 사이에서 양호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상기 무기필러는 난연성능을 높이기 위한 불연소재로서 상온에서 고체이고, 입자 형태로 존재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필러로서 사용가능한 종류로는 팽창흑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안티몬, 주석산아연, 적인,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몰리브덴산염, 지르코늄, 멜라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시아누릭산, 멜라민 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으며, 이들을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무기필러는 화재시 불에 타지 않는 불연성 재질로서 미세한 분말상의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불연층(40)은 무기필러를 이용하여 형성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보드에 고효율의 불연성을 부여하게 된다. 이는 외부에서 화염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폼 보드에 맞닿게 되더라도, 상기 무기불연층(40)이 화염에 대한 장벽 역할을 수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화염이 직접 그 내부의 우레탄 폼에 접촉할 수 없게 만들어주게 된다. 설혹, 화염이 내부의 폴리우레탄 폼에 일부 접촉하게 될지라도, 그 화염이 약할 뿐만 아니라, 상기 우레탄 폼의 자체에도 난연성 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므로, 불연 성능을 대폭적으로 향상시켜 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건축물의 실외공기를 건축물의 내부로 이동시키거나 건축물의 내부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시키기 위한 덕트의 기능을 가진 덕트 단위체(100)를 제조하는 단계(S 220)를 포함하고 있다.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덕트 단위체의 개략적인 사시도 및 단면도,
도 14a 내지 도 14d는 본 발명에 의한 덕트 단위체의 제조과정에 관한 개념도이다.
상기 덕트 단위체(100)는 위에서 설명한 제반공정을 거쳐서 완성된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110)를 선택하고, 그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가공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사용되는 덕트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덕트 단위체(100)는 상기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110)를 핵심적인 소재로 한 것으로서, 그의 양쪽 면에 금속 패널을 형성하고, 이들을 덕트의 형상으로 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덕트 단위체(100)는 외부의 실외 공기를 건축물의 실내로 이동하게 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이루게 되는 내부 벽면층으로서의 하면표면재(30)와; 상기 내부 벽면층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주는 단열재로서의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와; 상기 발포시트에 일부 침적되어 있고, 화재시 화염에 의해 불타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위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무기불연층(40)과; 상기 무기불연층과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에 접촉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상기 무기불연층과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보호하는 외부 벽면층으로서의 상면표면재(20); 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덕트 단위체(100)에 있어서, 상기 내부 벽면층은 위에서 설명한 하면표면재(30)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고, 상기 외부 벽면층은 상기 상면표면재(20)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이들을 서로 반대로 하여 덕트 단위체100)를 구성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때, 상기 상면표면재(20) 및 상기 하면표면재(30)는 알루미늄 박막이나 아연철판 또는 스테인리스 박막으로 형성된 금속 패널로 이루어져 있다는 점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덕트 단위체(100)의 내부는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와 무기불연층(40)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무기불연층(40)은 상대적으로 바깥쪽에 위치하는 것이 좋다. 이때, 고온의 화염이 상기 무기불연층(40)에 직접 접촉될 경우에도 그 고온의 화염은 꺼지게 되고, 그 내부에 존재하는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에 대하여 불꽃 화염이 접촉되지 못하게 막아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11 및 도 12 참조) 따라서, 건축물의 내부에서 고온의 화염이 발생할 경우에, 1차적으로 내부 벽면층 또는 외부 벽면층을 이루고 있는 하면 표면재 또는 상면표면재에 의해 화염이 차단되어지게 된다. 설혹, 고온의 열에 의해 상기 하면표면재 또는 상면표면재가 달구어져 있다고 할지라도, 상기 무기불연층(40)이 2차적으로 고온의 열 또는 고온의 화염을 막아주고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내부에 존재하는 폴리 우레탄재질을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 제품을 제조한 다음, 이것을 이용하여 덕트 단위체(100)를 제조하게 된다.
상기 덕트 단위체(100)는 다양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는 종래의 선행기술로 소개된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고, 이와 다른 방식으로 제조될 수도 있는 것이다. 종래의 선행기술을 이용할 경우에는, 예컨대 등록특허 제10-1160607호와 같이 덕트 제조용 밴딩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등록특허 제10-1080913호와 같은 덕트용 압착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등록특허 제10-1160606호와 같은 덕트패널용 컷팅 및 본딩 장치를 이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하면표면재(30)를 V형 홈(16)으로 커팅하여 제조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하면표면재(30)를 길이 방향으로 커팅하여 V형 홈(16)을 제조한다. 상기 V형 홈(16)과 V형 홈(16) 사이의 간격은 건축물 내부에 설치될 덕트의 가로 길이 및 세로 길이에 맞추어 형성한다. 상기 V형 홈(16)은 통상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V형 홈(16)의 내부에 접착제를 도포하거나 분무하여, 상기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접었을 경우, 서로의 접촉되는 단면이 용이하게 접착되도록 한다. 상기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모두 접어서 사각형상의 덕트를 완성한다. 필요한 경우, 각 접촉부위 또는 절곡부위에 밀폐용 접착제를 추가로 도포하거나 부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과정을 거치게 되면, 도 13a 및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덕트 단위체(100)를 완성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100)를 서로 연달아 연결시킴으로써, 건축물의 내부에서 공조설비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덕트를 완성하는 단계(S 2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덕트를 완성하는 단계(S 230)는 건축물의 실내 조건에 따라 다수의 덕트 단위체(100)를 선정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건축물의 내부에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의 덕트 단위체(100)를 서로 연결하는 방법에 관한 예시적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 덕트 단위체(100)들을 서로 연결시켜서, 각 단위체로서의 덕트제품을 일련의 연결통로를 형성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각각의 덕트 단위체(100)들을 서로 결합시키되, 체결구(150)를 매개로 하여 연속적으로 결합시키게 된다. 상기 체결구(150)는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실시예로 제시한다. 본 발명은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덕트의 내부에 사용하는 것을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으로 하고 있는 것이므로, 상기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에 관련된 기술을 구체적인 실시예로 제시하고자 한다. 아래에 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좀더 쉽게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구체적인 치수 또는 숫자에 의해 제한되지 아님함은 당연하다.
<< 실시예 1 >>
폴리올 저장통에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혼합물과 이소시아네이트 저장통에서 메틸렌디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를 1 : 1의 비율로 공급하여 우레탄 반응을 진행하였다. 고압분사기(5)에서 고압으로 분사하여 라이징단계(S 120)를 거치는 과정에서 무기필러로서 팽창흑연을 선택하고, 이를 우레탄반응을 진행하고 있는 우레탄 합성물질 표면위에 균일하게 공급하였다. 상기 라이징단계(S 120)는 고압분사기(5)에서 분사된 이후 15초 정도 경과될 때까지 진행되었고, 상기 팽창흑연은 상기 고압분사기(5)에서 분사된 이후 7초 정도 경과된 시점에서 투입되었다. 참고로, 본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상면표면재(20)와 하면표면재(30)를 공급하지 아니한 상태에서 작업을 진행하였음을 밝힌다.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핵심인 무기불연층(40)을 육안으로 직접 확인하기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이때, 팽창흑연의 투입량을 100 센티미터 X 100 센티미터의 면적에 100 g 으로 하였다.
우레탄 반응을 마치고, 그 결과를 확인하여 본 결과, 우레탄 발포체의 표면에 비교적 균일한 형태로 무기불연층(40)을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첨부도면 9a는 상기 실시예 1에 의한 우레탄 발포체 표면의 사진자료이다.
<< 실시예 2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만, 상기 팽창흑연의 투입량을 100 센티미터 X 100 센티미터의 면적에 150 g 으로 하였다.
우레탄 반응을 마치고, 그 결과를 확인하여 본 결과, 우레탄 발포체의 표면에 비교적 균일한 형태로 무기불연층(40)을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첨부도면 9b는 상기 실시예 2에 의한 우레탄 발포체 표면의 사진자료이다.
<< 실시예 3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만, 상기 팽창흑연의 투입량을 100 센티미터 X 100 센티미터의 면적에 200 g 으로 하였다.
우레탄 반응을 마치고, 그 결과를 확인하여 본 결과, 우레탄 발포체의 표면에 매우 조밀한 무기불연층(40)을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첨부도면 9c는 상기 실시예 3에 의한 우레탄 발포체 표면의 사진자료이다.
<< 실시예 4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만, 상기 팽창흑연의 투입량을 100 센티미터 X 100 센티미터의 면적에 250 g 으로 하였다.
우레탄 반응을 마치고, 그 결과를 확인하여 본 결과, 우레탄 발포체의 표면에 매우 조밀하고 촘촘하고 두꺼운 느낌으로 무기불연층(40)을 형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첨부도면 9d는 상기 실시예 4에 의한 우레탄 발포체 표면의 사진자료이다.
<< 비교 실시예 1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만, 상기 팽창흑연의 투입량을 100 센티미터 X 100 센티미터의 면적에 50 g 으로 하였다.
우레탄 반응을 마치고, 그 결과를 확인하여 본 결과, 우레탄 발포체의 표면에 무기불연층(40)이 불균일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첨부도면 10a는 상기 비교 실시예 1에 의한 우레탄 발포체 표면의 사진자료이다.
<< 비교 실시예 2 >>
실시예 1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만, 상기 팽창흑연의 투입량을 100 센티미터 X 100 센티미터의 면적에 25 g 으로 하였다.
우레탄 반응을 마치고, 그 결과를 확인하여 본 결과, 우레탄 발포체의 표면에 무기불연층(40)이 매우 불균일하고 약하게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첨부도면 10b는 상기 비교 실시예 2에 의한 우레탄 발포체 표면의 사진자료이다.
<< 실시예 5 >>
실시예 4에 의하여 얻은 우레탄 발포체 및 그 표면에 형성된 무기불연층(40)을 시료로 채택하고, 그 위에 토치에 의한 화염실험을 진행하였다.
토치에 불을 붙여서 화염토치를 형성하고, 그 화염토치의 화염을 상기 무기불연층(40)에 30초간 접촉시켜서 연소시험을 진행하였다.
30초를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화염토치를 떼어내고, 그 표면을 관찰한 결과, 화염에 의해 불탄 자국이 상기 무기불연층(40)에 의해 중심 안쪽으로 축소되어 있고, 화염이 무기불연층(40)에 의해 소멸된 것으로 여겨졌다.
첨부도면 11은 상기 실시예 5에 의한 우레탄 발포체 표면의 사진자료이다.
<< 비교 실시예 3 >>
실시예 5와 동일한 방식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다만, 상기 비교 실시예 1에 의하여 얻은 우레탄 발포체 및 그 표면에 형성된 무기불연층(40)을 시료로 채택하고, 그 위에 토치에 의한 화염실험을 진행하였다.
30초를 경과한 시점에서, 상기 화염토치를 떼어내고, 그 표면을 관찰한 결과, 화염에 의해 불탄 자국이 상기 무기불연층(40)에 의해 역시 비교적 적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상기 무기불연층(40)의 외곽으로 불탄 자국이 약간 확산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첨부도면 12는 상기 비교 실시예 3에 의한 우레탄 발포체 표면의 사진자료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포함한 건축물 내부의 덕트 및 그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구체화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모든 특징이 위에서 언급한 항목에만 적용되는 것이라고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0 :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20 : 상면표면재,
30 : 하면표면재, 40 : 무기불연층,
50 : 더블 컨베이어벨트 장치,
100 : 덕트 단위체, 150 : 체결구,
300 : 무기필러 자동공급장치, 310 : 무기필러 보관부,
320 : 호퍼, 325 : 필터부,
330 : 무기필러 분배부, 340 : 무기필러 투입부
30 : 하면표면재, 40 : 무기불연층,
50 : 더블 컨베이어벨트 장치,
100 : 덕트 단위체, 150 : 체결구,
300 : 무기필러 자동공급장치, 310 : 무기필러 보관부,
320 : 호퍼, 325 : 필터부,
330 : 무기필러 분배부, 340 : 무기필러 투입부
Claims (13)
- 폴리우레탄 제조원료들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원료분사단계(S 110)와;
폴리우레탄 원료들이 발포제에 의해 발포되면서 서서히 이송되는 과정에서 무기필러를 연속공정으로 고르게 투입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의 조직에 준불연성 특성을 부여하는 원료 물질들의 라이징단계(S 120)와;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의 내부로 투입되어 우레탄반응을 마무리하는 폴리우레탄 시트의 제조단계(S 130)와;
제품에 따라 규격화된 길이로 절단하고, 화재 발생시 고온의 열에 의해서 타지 않고 고온의 화염이 직접 접촉되었을 경우에도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보호할 수 있는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100)를 제조하는 덕트 내부 내장재의 준비단계(S 210)와;
상기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100)를 이용하여, 외부의 실외 공기를 건축물의 실내로 이동하게 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이루게 되는 내부 벽면층으로서의 하면표면재(30)와; 상기 내부 벽면층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주는 단열재로서의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와;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에 일부 침적되어 있고, 화재시 화염에 의해 불타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위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무기불연층(40)과; 상기 무기불연층과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에 접촉되어 있고 외부 벽면층으로서의 상면표면재(20); 로 구성된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100)를 제조하는 단계(S 22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의 제조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징단계(S 120)는 폴리올 성분과 첨가제들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구성된 우레탄수지 배합물을 고속으로 혼합하면서 분사하고, 우레탄수지 배합물이 우레탄반응과 더불어 발포되어 부풀어오르는 과정에서, 무기필러를 분말상의 형태로 공급하되, 상기 우레탄수지 배합물이 20% 내지 90% 정도 진행되는 상태에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의 제조방법.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징단계(S 120)는 상기 무기필러를 자동공정으로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무기불연층(40)을 형성하고,
상기 무기불연층(40)은 무기필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무기필러의 투입양은 100 센티미터 X 100 센티미터의 면적에 대해 60 그램 내지 300 그램의 비율로 투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의 제조방법.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징단계(S 120)는 상기 무기필러를 자동으로 연속공정으로 실행하기위하여 자동공급장치(300)를 사용하고,
상기 자동공급장치(300)는 무기필러를 균일하고 얇은 시트형상으로 공급하는 무기필러 분배부(330)와,
상기 무기필러 분배부(330)에서 공급받은 무기필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라이징단계(S 120)를 수행하고 있는 우레탄수지 배합액의 상부 표면으로 공급하는 무기필러 투입부(3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의 제조방법.
-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공급장치(300)는 분말상의 무기필러를 장기간 또는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무기필러 보관부(310)와,
상기 무기필러 보관부(31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무기필러를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아래쪽으로 보내주는 호퍼(320)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호퍼(320)는 무기필러를 그 아래쪽에 설치된 무기필러 분배부(330)로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의 제조방법.
- 폴리우레탄 제조원료들을 고압으로 분사하는 원료분사단계(S 110)와;
폴리우레탄 원료들이 발포제에 의해 발포되면서 서서히 이송되는 과정에서 무기필러를 연속공정으로 고르게 투입함으로써 폴리우레탄 폼의 조직에 준불연성 특성을 부여하는 원료 물질들의 라이징단계(S 120)와;
더블컨베이어벨트 장치의 내부로 투입되어 우레탄반응을 마무리하는 폴리우레탄 시트의 제조단계(S 130)와;
제품에 따라 규격화된 길이로 절단하고, 화재 발생시 고온의 열에 의해서 타지 않고 고온의 화염이 직접 접촉되었을 경우에도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보호하는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110)를 제조하는 덕트 내부 내장재의 준비단계(S 210)와;
상기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110)를 이용하여, 외부의 실외 공기를 건축물의 실내로 이동하게 하거나 실내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통로를 이루게 되는 내부 벽면층으로서의 하면표면재(30)와; 상기 내부 벽면층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실외 공기 또는 실내 공기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해주는 단열재로서의 폴리우레탄 발포시트(10)와; 상기 발포시트에 일부 침적되어 있고, 화재시 화염에 의해 불타지 않는 특성을 지니고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 위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고 있는 무기불연층(40)과; 상기 무기불연층과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에 접촉되어 있고 외부로부터 상기 무기불연층과 상기 폴리우레탄 발포시트를 보호하는 외부 벽면층으로서의 상면표면재(20); 를 포함하고 있는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100)를 제조하는 단계(S 220)와;
상기 건축물 내부용 덕트 단위체(100)를 서로 연달아 연결시킴으로써, 건축물의 내부에서 공조설비의 일종으로 사용되는 덕트를 완성하는 단계(S 230); 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징단계(S 120)는 폴리올 성분과 첨가제들과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으로 구성된 우레탄수지 배합물을 고속으로 혼합하면서 분사하고, 우레탄수지 배합물이 우레탄반응과 더불어 발포되어 부풀어오르는 과정에서, 무기필러를 분말상의 형태로 공급하되, 상기 우레탄수지 배합물이 20% 내지 90% 정도 진행되는 상태에서,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징단계(S 120)는 상기 무기필러를 자동공정으로 연속적으로 투입하여 무기불연층(40)을 형성하고,
상기 무기불연층(40)은 무기필러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무기필러의 투입양은 100 센티미터 X 100 센티미터의 면적에 대해 60 그램 내지 300 그램의 비율로 투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징단계(S 120)는 상기 무기필러를 자동으로 연속공정으로 실행하기위하여 자동공급장치(300)를 사용하고,
상기 자동공급장치(300)는 무기필러를 균일하고 얇은 시트형상으로 공급하는 무기필러 분배부(330)와,
상기 무기필러 분배부(330)에서 공급받은 무기필러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라이징단계(S 120)를 수행하고 있는 우레탄수지 배합액의 상부 표면으로 공급하는 무기필러 투입부(3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공급장치(300)는 분말상의 무기필러를 장기간 또는 일시적으로 보관하고 있는 무기필러 보관부(310)와,
상기 무기필러 보관부(310)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상기 무기필러를 일시적으로 보관하여 아래쪽으로 보내주는 호퍼(320)를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호퍼(320)는 무기필러를 그 아래쪽에 설치된 무기필러 분배부(330)로 보내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 투입부(340)는 상기 무기필러를 그 끝단에서 자유낙하시킴으로써, 우레탄 반응이 라이징 단계를 수행하는 도중에, 우레탄수지 배합물의 상부 표면으로 상기 무기필러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는 팽창흑연,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안티몬, 주석산아연, 적인, 암모늄 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몰리브덴산염, 지르코늄, 멜라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시아누릭산, 멜라민 포스페이트, 디멜라민 포스페이트, 멜라민 파이로포스페이트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표면재(20)는 알루미늄 박판과 아연철판과 스테인레스 박판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하면표면재(30)의 경우에도 알루미늄 박판과 아연철판과 스테인레스 박판으로 구성된 그룹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건축물 내부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2269A KR102080177B1 (ko) | 2019-07-30 | 2019-07-30 |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92269A KR102080177B1 (ko) | 2019-07-30 | 2019-07-30 |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80177B1 true KR102080177B1 (ko) | 2020-02-21 |
Family
ID=6967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92269A KR102080177B1 (ko) | 2019-07-30 | 2019-07-30 |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017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4822B1 (ko) * | 2020-12-01 | 2022-03-18 | 주식회사 케이와이우레탄 | 강화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강화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강화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66235B1 (ko) * | 2000-04-07 | 2003-01-09 | 김형식 |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 |
JP3388211B2 (ja) * | 1999-10-29 | 2003-03-17 | 松下冷機株式会社 | 断熱材及び断熱材の製造方法 |
KR20090085503A (ko) * | 2008-02-04 | 2009-08-0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화재 저항 성능이 향상된 조립식 패널 및 이의 생산방법 |
KR101296090B1 (ko) | 2012-05-24 | 2013-08-19 | (주)하이시스이엔지 |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 |
KR101811225B1 (ko) * | 2017-10-11 | 2017-12-21 | 주식회사 다인폼 | 팽창흑연을 함유한 마감재가 접착된 불연 단열성 우레탄 폼 |
KR101949228B1 (ko) | 2017-02-22 | 2019-02-18 | 김천 | 덕트용 보온 단열재 |
-
2019
- 2019-07-30 KR KR1020190092269A patent/KR10208017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388211B2 (ja) * | 1999-10-29 | 2003-03-17 | 松下冷機株式会社 | 断熱材及び断熱材の製造方法 |
KR100366235B1 (ko) * | 2000-04-07 | 2003-01-09 | 김형식 |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 |
KR20090085503A (ko) * | 2008-02-04 | 2009-08-07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화재 저항 성능이 향상된 조립식 패널 및 이의 생산방법 |
KR101296090B1 (ko) | 2012-05-24 | 2013-08-19 | (주)하이시스이엔지 |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 |
KR101949228B1 (ko) | 2017-02-22 | 2019-02-18 | 김천 | 덕트용 보온 단열재 |
KR101811225B1 (ko) * | 2017-10-11 | 2017-12-21 | 주식회사 다인폼 | 팽창흑연을 함유한 마감재가 접착된 불연 단열성 우레탄 폼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74822B1 (ko) * | 2020-12-01 | 2022-03-18 | 주식회사 케이와이우레탄 | 강화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강화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 제조방법과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강화 폴리우레탄 폼 단열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45440B2 (en) | Polyurethane foam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 |
KR100939000B1 (ko) |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판넬 및 그의 연속식 제조방법 | |
EP3334803B1 (en) | Flame retardant matrix | |
KR102080177B1 (ko) |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 |
JPH0310654B2 (ko) | ||
KR101811225B1 (ko) | 팽창흑연을 함유한 마감재가 접착된 불연 단열성 우레탄 폼 | |
JPH0335088A (ja) | 耐燃性要素 | |
KR102053658B1 (ko) |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제조방법 및 장치 | |
US20120156469A1 (en) | Process for producing flameproof (rigid) pur spray forms | |
CN101959918A (zh) | 阻燃性的柔性聚氨酯成型泡沫的制备 | |
CN102320100A (zh) | 一种改性防火保温聚氨酯泡沫板的生产方法 | |
KR20090072844A (ko) | 난연성 샌드위치 패널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 |
US20070212495A1 (en) | Intumescent coatings | |
CN109694685B (zh) | 一种阻燃型单组份泡沫填缝剂及其制备方法 | |
CN106243930A (zh) | 一种防火涂料 | |
CA2486668A1 (en) | Flame retardant polyurethane products | |
KR20070107583A (ko) | 인계 난연제를 이용한 난연성 폴리머 폼 제조방법 및 그에의해 제조된 난연성 폴리머 폼 | |
KR102026626B1 (ko) | 경질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제조방법 | |
WO2017184023A1 (ru) | Автономное средство пожаротушения | |
KR101405443B1 (ko) | 난연 코팅된 폴리스틸렌폼 단열재 제조장치 | |
KR102132638B1 (ko) |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의 제조용 무기필러의 자동공급장치 | |
KR20180111135A (ko) | 난연성 샌드위치 패널의 제조 방법 | |
KR102595658B1 (ko) | 폴리우레탄 및 무기질 파우더의 혼합 분사장치 | |
KR102560475B1 (ko) | 무기질 파우더가 균일하게 분산 배치되는 폴리우레탄 폼 복합 단열재의 형성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폼 복합 단열재 | |
KR20110018519A (ko) | 화재 저항 성능이 향상된 조립식 패널 및 그 제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