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6235B1 -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 - Google Patents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6235B1
KR100366235B1 KR1020000018133A KR20000018133A KR100366235B1 KR 100366235 B1 KR100366235 B1 KR 100366235B1 KR 1020000018133 A KR1020000018133 A KR 1020000018133A KR 20000018133 A KR20000018133 A KR 20000018133A KR 100366235 B1 KR100366235 B1 KR 1003662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flame retardant
nonflammable
hydroxide
carbo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81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274A (ko
Inventor
김형식
Original Assignee
김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형식 filed Critical 김형식
Priority to KR10200000181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623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0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62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6235B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 제품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염도가 기존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 조성물에 필적하는 불연제 조성물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직물, 부직포, 벽지, 목판재 등의 피처리재에 처리시 내구성(마모 강도)과 인장강도, 인렬강도가 우수한 불연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Non-flammable compositions, a process for the production thereof and non-flammable materials treated therewith }
본 발명은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不燃材), 특히 방염도와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열성, 인장강도 및 인렬강도가 우수한 불연재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화재로 인한 피해의 방지와 인명 존중의 관점에서 세계적으로 난연화에 관한 법규제가 강화되고 있고, 이에 따라 관련 업계에서는 난연제 또는 불연제의 개발에 상당한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직물의 경우, 방염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세 가지 방법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즉 (1) 방염제를 직물의 표면에 처리하는 방법, (2) 섬유로 방사하기 전에 합성단계에서 중합체에 첨가하는 방법 및 (3) 방염성이 있는 섬유를 개발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방법으로 나눌 수 있다.
한편, 방염 가공에 사용되는 방염 가공제는 비내구성 방염 가공제(예: 인산암모늄, 붕사, 붕산, 설파민산 등), 반내구성 방염 가공제(예: 주석, 아연, 알루미늄의 불용성 인산염 또는 붕산염 및 제2주석, 제2철, 아연, 실리콘 등의 산화물 등) 및 내구성 방염 가공제(예: THPC와 TMM과의 축합물 등) 세 가지로 나누어진다.
규산나트륨(Na2SiO3)은 위의 세 가지 방염 가공제 중에서 반내구성 방염 가공제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알칼리성의 회백색 분말로서, 물에는 가용성이지만, 알콜과 산에는 불용성인 물질이며, 넓은 의미에서 물유리(water glass, Na2O·nSiO2)에 포함된다.
또한, 물유리는 산화나트륨(Na2O)과 이산화규소(SiO2)의 결합 비율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하는데, Na2O : SiO2의 비가 1:1.6 내지 1:4인 것을 콜로이달 실리카(colloidal silica)라고 하고, Na2O : SiO2의 비가 1:1인 것을 메타규산나트륨(sodium metasilicate), Na2O : SiO2의 비가 1.5:1인 것을 세스퀴실리케이트(sesqui-silicate), Na2O : SiO2의 비가 1.5:1인 것을 오르토 실리케이트(ortho-silicate)라고 한다.
일반적으로, 물유리는 다음과 같은 건식법(乾式法)과 습식법(濕式法) 두 가지 방법으로 제조되고 있다.
(1) 건식법
규사(硅砂)와 탄산나트륨과의 혼합물을 1300 내지 1500℃의 온도 범위에서 가열, 용융시켜 유리를 만들고, 이를 저압 오토클레이브 속에서 처리한다.
(2) 습식법
콜로이드질 규산 또는 규조토와 수산화나트륨을 오토클레이브 속에서 가열, 반응, 융해시킨다.
한편, 물유리는 세제, 세정제, 침투제, 접합제, 접착제, 방화제, 토양 경화제, 내화 시멘트용 원료, 경수 연화제 제조용 원료, 실리카 겔 제조용 원료, 난(卵)의 방부제 등으로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방염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물유리를 직물, 부직포, 벽지, 펠트(felt), 목판재, 판넬 등의 피처리재에 직접 처리하여 피처리재에 불연성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물유리 자체의 취성(脆性)으로 인하여 사용시 내구성이 열악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현재 시판되고 있는 방염제 또는 난연제 중에서 특히 할로겐을 함유하는 방염제 또는 난연제는 열원(熱源)에 노출되면 인체에 유해한 유독 가스를 발생하여, 사람이 이를 흡입하는 경우, 호흡기계 기관(器官)이 치명적으로 손상됨에 따라 심한 경우에는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물유리에 1a족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과 고체 이산화탄소를 특정 중량비로 혼합, 반응시켜 수득한 규산나트륨계의 불연성 반응 생성물(A)와 1a족 알칼리 금속 또는 3b족 금속의 수산화물(B)로 이루어진 조성물을 불연제 조성물로서 사용하는 경우, 물유리를 직물, 부직포, 벽지, 펠트, 목판재, 판넬 등에 직접 처리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취성이 나타나지 않게 되고, 열원과 접촉하여 연소되더라도 유독 가스를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탄화 흔적을 거의 나타내지 않으며 내구성, 인장강도, 인렬강도 등이 향상된다는 사실을 밝혀내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의 제1 목적은 내구성(마모 강도), 내열성, 인장강도, 인렬강도 및 방염도가 우수한 불연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을 용이하고도 간단한 방법으로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고도의 방염 효과를 필요로 하는 각종 피처리제, 예를 들면, 부직포, 펠트, 커텐용 직물, 항공기 및 자동차 내장용 직물, 실내 장식용 벽지, 비닐 하우스용 보온 덮게 등을 처리하여 방염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내열성, 인장강도 및 인렬강도가 우수한 방염재(防炎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은 1a족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물유리 및 고체 이산화탄소를 특정 중량비로 혼합, 반응시켜 수득한 규산나트륨계의 불연성 반응 생성물(A)와, 당해 반응 생성물(A)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0중량%의 1a족 알칼리 금속 또는 3b족 금속의 수산화물(B)를 포함한다.
규산나트륨계의 불연성 반응 생성물(A)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물유리로서는, Na2O : SiO2의 비가 1:1.6 내지 1:4인 콜로이달 실리카, Na2O : SiO2의 비가 1:1인 메타규산나트륨, Na2O : SiO2의 비가 1.5:1인 세스퀴실리케이트, Na2O : SiO2의 비가 1.5:1인 오르토 실리케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시판품을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건식법 또는 습식법에 따라 직접 합성하여 제조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들 중에서 Na2O : SiO2의 비가 1:1인 메타규산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 중의 하나인 반응 생성물(A)는 1a족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물유리 및 고체 이산화탄소를 0.25 : 1 : 0.25의 중량비로 반응시켜 수득한 것이다.
반응 생성물(A)의 제조에 있어서, 1a족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은 경화용으로 사용되고, 고체 이산화탄소(드라이 아이스)는 습기 제거용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는 1a족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은, 예를 들면,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중탄산리튬, 중탄산나트륨, 중탄산칼륨을 포함하며, 시중에서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는 탄산나트륨과 중탄산나트륨이 바람직하며, 탄산나트륨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을 구성하는 또다른 성분인 1a족 알칼리 금속 또는 3b족 금속의 수산화물(B)는, 예를 들면,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시중에서 통상적으로 시판되고 있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하는 데 있어서는 수산화나트륨과 수산화알루미늄이 바람직하며, 수산화알루미늄이 특히 바람직하다.
당해 성분(B)는, 반응 생성물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에 있어서, 1a족 알칼리 금속 또는 3b족 금속의 수산화물(B)는, 반응 생성물(A)가 pH 11.5 내지 13의 강알칼리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이를 중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당해 성분(B)는 시판 중인 것이라면 특별한 지장을 받지 않고 본 발명에서 사용할 수 있다.
1a족 알칼리 금속 또는 3b족 금속의 수산화물(B)의 사용량이, 반응 생성물(A)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10중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피처리재의 제품 강도가 저하되며, 따라서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부적합하게 되어 바람직스럽지 않다. 한편, 이의 사용량이 20중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이 급결(急結)되는 경향을 나타내어, 결과적으로 내구성이 열악해지므로, 실제 사용에 있어서 바람직스럽지 않다.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불연재(不燃材)는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을 25 내지 30%의 함침율로 피처리재를 함침시키고, 150℃ 이상의 온도에서 열경화시킴으로써 수득된다.
피처리재는 방염 또는 방화처리를 필요로 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의 것이라도 상관 없으며, 이의 예로써는 부직 웹, 펠트, 폐섬유 매트, 커텐용 직물, 실내 장식용 벽지, 목판재, 판넬, 비닐 하우스용 보온 덮게 등을 들 수 있다.
불연재의 제조에 있어서, 피처리재의 함침율이 25%보다 낮은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수득한 불연재의 강도가 낮아서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피처리재의 함침율이 3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도가 지나치게 커져서 유연성이 부족해지므로, 산업 현장에서 취급하기가 곤란해진다.
열경화시 사용하는 온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150℃ 이상이면 상관 없다.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 및 당해 조성물로 함침처리되거나, 피복처리된 불연재가 나타내는 방염도, 내구성(마모 강도), 인장강도 및 인렬강도를 측정하는 실험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방염도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과 당해 조성물로 함침처리된 불연재의 방염도는 KS K 0585(수직법)에 따라 측정한다:
2. 내구성(마모 강도)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로 함침처리된 불연재의 내구성(마모 강도)은 KS K 0540(팽창막법)에 따라 측정한다.
당해 측정법에서 다이아프램 압력은 4psi이고, 적용 하중은 1lbf이며, 마모자는 CW-320이다.
3. 인장강도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로 함침처리된 불연재의 인장강도는 KS K 0520(C.R.E., 그래브법)에 따라 측정한다.
4. 인장신도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로 함침처리된 불연재의 인장신도는 KS K 0520(C.R.E., 그래브법)에 따라 측정한다.
5. 인렬강도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로 함침처리된 불연재의 인렬강도는 KS K 0537(C.R.E., 트래피조이드법)에 따라 측정한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하며,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비교실시예 1
콜로이달 실리카 10㎖와 수산화알루미늄 0.2g을 혼합하여 불연성 조성물을 0.3ℓ 수득한다. 이어서, 당해 조성물을 사용하여 부직포를 다음 실시예 1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함침처리하여 대조용의 불연성 부직포를 수득한다.
비교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대조용의 불연성 부직포는 불연제가 부직포의 표면으로부터 부스러기로 떨어져나와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비교실시예 2
탄산칼륨 4g, 오르토 실리케이트 16g 및 고체 이산화탄소 4g을 혼합, 반응시켜 반응물을 0.2ℓ 수득하고, 이를 다음 실시예 1의 과정과 동일한 과정으로 부직포에 함침처리하여 대조용의 불연성 부직포를 수득한다.
비교실시예 2에 따라 수득한 대조용의 불연성 부직포는 불연제가 부직포의표면으로부터 부스러기로 떨어져나와 실제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였다.
실시예 1
탄산나트륨 0.2g, 콜로이달 실리카 0.8ℓ 및 고체 이산화탄소(드라이 아이스) 0.2g을 환류 콘덴서, 온도계 및 자기 교반기가 구비되어 있는 2ℓ들이 3구 환저 플라스크 속에 넣고, 환류하에 150℃로 가열한다. 이어서, 생성된 불연성 반응 혼합물에 수산화알루미늄을, 반응 혼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중량%의 양으로 첨가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성 조성물을 0.5ℓ 수득한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되, 콜로이달 실리카를 메타규산나트륨으로 대체하고 수산화알루미늄 대신에 수산화나트륨을 동일한 양으로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성 조성물을 0.5ℓ 수득한다.
실시예 3
실시예 1의 과정을 반복하되, 콜로이달 실리카를 메타규산나트륨으로 대체하고 탄산나트륨 대신에 탄산칼륨을 동일한 양으로 사용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성 조성물을 0.8ℓ 수득한다.
실시예 4
실시예 1을 통하여 수득한 불연성 조성물을 20㎝ × 20㎝ 부직포[WD 300,세원산업(주) 제품]에 함침시키고, 한 쌍의 스퀴즈 롤러의 닙(nip) 사이를 통과시켜 함침율이 25%로 되도록 조정한 다음, 18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경화시켜 불연성 부직포를 수득한다.
이렇게 하여 수득한 불연성 부직포에 대하여 방염도, 내구성(마모 강도), 인장강도, 인장신도 및 인렬강도를 측정한다:
측정 결과는 다음 표 1 내지 표 5에 기재되어 있다.
방염도 시험 결과
불연제 미처리 부직포 불연제 처리 부직포
잔염시간(sec)
경사 30.4 0
위사 33.6 0
잔진시간(sec)
경사 30.4 0
위사 33.6 0
탄화거리(mm)
경사 22.4 0.8
위사 21.5 0.6
내구성(마모 강도) 시험 결과
불연제 미처리 부직포 불연제 처리 부직포
252회 3000회 이상
인장강도 시험 결과
불연제 미처리 부직포 불연제 처리 부직포
길이 61.3Kgf 104.1Kgf
58.8Kgf 152.4Kgf
인장신도 시험 결과
불연제 미처리 부직포 불연제 처리 부직포
길이 112% 29%
86% 38%
인렬강도 시험 결과
불연제 미처리 부직포 불연제 처리 부직포
길이 27.0Kg 23.5Kg
21.8Kg 33.7Kg
위의 표 1 내지 표 5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을 처리하여 수득한 불연 제품은 방염도, 내구성(마모 강도), 인렬강도가 우수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은, 피처리재인 부직포를 함침처리하여 불연성을 시험하는 경우, 표 1의 결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기를 전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탄화 흔적을 거의 나타내지 않았다.
한편, 본 발명의 불연제 조성물로 처리된 부직포는 미처리 부직포에 비하여 약 10배 이상의 내구성을 나타낸다는 사실을 표 2의 결과로부터 잘 알 수 있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 피처리재로서 사용한 부직포 대신에 벽지를 사용하고 함침율을 30%로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의 과정을 반복하여 불연성 벽지를 수득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방염제를 피처리재에 처리하였을 때 수득할 수 있는 방염도에 필적하는 방염도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마모 강도), 인장강도, 인렬강도 또한 우수한 불연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을 이의 특정 양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당해 기술 분야의 숙련가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화와 수정이 가능함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9)

1a족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물유리 및 고체 이산화탄소를 0.25 : 1 : 0.25의 중량비로 혼합, 반응시켜 수득한 규산나트륨계의 불연성 반응 생성물(A)와, 당해 반응 생성물(A) 100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20중량%의 1a족 알칼리 금속 또는 3b족 금속의 수산화물(B)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연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1a족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이 탄산리튬,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중탄산리튬, 중탄산나트륨 및 중탄산칼륨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연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물유리가 콜로이달 실리카, 메타규산나트륨, 세스퀴실리케이트 및 오르토 실리케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연제 조성물.
제1항에 있어서, 1a족 알칼리 금속 또는 3b족 금속의 수산화물이 수산화리튬,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및 수산화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불연제 조성물.
1a족 알칼리 금속의 탄산염 또는 중탄산염, 물유리 및 고체 이산화탄소를0.25 : 1 : 0.25의 중량비로 혼합, 반응시켜 수득한 규산나트륨계의 불연성 반응 생성물을 대기압하에 150 내지 250℃의 온도 범위에서 1a족 알칼리 금속 또는 3b족 금속의 수산화물과 혼합함을 특징으로 하여, 불연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피처리재를 제1항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로 함침시키고, 함침율이 25 내지 30%가 되도록 스퀴즈 롤러의 닙 사이를 통과시킨 다음, 150℃ 이상의 온도에서 열경화시킴을 특징으로 하여 피처리재를 불연처리하는 방법.
제6항에 있어서, 피처리재가 직물, 부직포, 폐섬유 매트, 농업용 보온재, 건축용 내장재 및 건축용 외장재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제1항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불연처리한 직물.
제1항에 따르는 불연제 조성물을 사용하여 불연처리한 부직포.
KR1020000018133A 2000-04-07 2000-04-07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 KR1003662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133A KR100366235B1 (ko) 2000-04-07 2000-04-07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8133A KR100366235B1 (ko) 2000-04-07 2000-04-07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274A KR20010100274A (ko) 2001-11-14
KR100366235B1 true KR100366235B1 (ko) 2003-01-09

Family

ID=45787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8133A KR100366235B1 (ko) 2000-04-07 2000-04-07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623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348B1 (ko) 2007-04-20 2010-10-18 주식회사 일진유니스코 방염제, 방염 섬유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9096B1 (ko) 2008-08-04 2011-09-30 우명운 난연성 합성수지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1316786B1 (ko) * 2012-02-03 2013-10-10 (주) 세이크 불연성 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불연성 복합소재를 이용한 준불연재
KR102080177B1 (ko) * 2019-07-30 2020-02-21 김유석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KR20240040145A (ko) 2022-09-20 2024-03-28 강신화 불연제 조성물, 이를 처리한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직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3652B1 (ko) 2008-05-01 2008-12-15 주식회사 에이스산업 난연화 도포제, 이의 제조방법 및 발포 스티로폼 입자 난연처리 방법
KR101515171B1 (ko) * 2014-09-30 2015-05-11 이종원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2043A (en) * 1976-12-09 1978-06-27 Kansai Paint Co Ltd Composition for forming coating films
US4362640A (en) * 1979-10-04 1982-12-07 Colgate-Palmolive Company Method for retarding gelation of crutcher slurries containing bicarbonate, carbonate and silicate
JPH03243668A (ja) * 1990-02-21 1991-10-30 Taoka Chem Co Ltd 塗布組成物
JPH08143309A (ja) * 1994-11-17 1996-06-04 Tokuyama Corp 非晶質珪酸ナトリウム・炭酸ナトリウム複合体の製造方法
JPH08269397A (ja) * 1995-04-03 1996-10-15 Denki Kagaku Kogyo Kk 耐火被覆材
JPH09309719A (ja) * 1996-05-24 1997-12-02 Nippon Chem Ind Co Ltd 複合アルカリ金属塩、その製造方法及び洗剤用ビルダー
KR19990071845A (ko) * 1995-12-01 1999-09-27 카프톤 피터 수용성 실리케이트 조성물
JPH11302655A (ja) * 1998-04-22 1999-11-02 Saidai Kk 耐火材と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2043A (en) * 1976-12-09 1978-06-27 Kansai Paint Co Ltd Composition for forming coating films
US4362640A (en) * 1979-10-04 1982-12-07 Colgate-Palmolive Company Method for retarding gelation of crutcher slurries containing bicarbonate, carbonate and silicate
JPH03243668A (ja) * 1990-02-21 1991-10-30 Taoka Chem Co Ltd 塗布組成物
JPH08143309A (ja) * 1994-11-17 1996-06-04 Tokuyama Corp 非晶質珪酸ナトリウム・炭酸ナトリウム複合体の製造方法
JPH08269397A (ja) * 1995-04-03 1996-10-15 Denki Kagaku Kogyo Kk 耐火被覆材
KR19990071845A (ko) * 1995-12-01 1999-09-27 카프톤 피터 수용성 실리케이트 조성물
JPH09309719A (ja) * 1996-05-24 1997-12-02 Nippon Chem Ind Co Ltd 複合アルカリ金属塩、その製造方法及び洗剤用ビルダー
JPH11302655A (ja) * 1998-04-22 1999-11-02 Saidai Kk 耐火材とその製造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348B1 (ko) 2007-04-20 2010-10-18 주식회사 일진유니스코 방염제, 방염 섬유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069096B1 (ko) 2008-08-04 2011-09-30 우명운 난연성 합성수지 발포체의 제조방법
KR101316786B1 (ko) * 2012-02-03 2013-10-10 (주) 세이크 불연성 복합소재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불연성 복합소재를 이용한 준불연재
KR102080177B1 (ko) * 2019-07-30 2020-02-21 김유석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폼 보드를 포함한 건축물 내장용 덕트의 제조방법
KR20240040145A (ko) 2022-09-20 2024-03-28 강신화 불연제 조성물, 이를 처리한 준불연성 폴리우레탄 직물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274A (ko)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2434A (en) Fire-resistant glass fiber products
KR100366235B1 (ko)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
KR20190054879A (ko) 준불연 건축내장재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한 준불연 건축내장재
CA2777818C (en) Fiberglass composites with improved flame resistance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JP3491181B2 (ja) 高濃度硼酸化合物及びこれを含有する防火・耐火用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結合材と防火・耐火材
KR100498226B1 (ko) 난연성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코팅방법
JP2668378B2 (ja) 難燃化植物繊維成形物の製造方法
JP5506277B2 (ja) 化粧板
KR101989968B1 (ko) 방염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0199194A (ja) 加熱膨張型無機質繊維フェルト
KR101900849B1 (ko) 난연성 건축용 경량 패널 및 그 제조방법
JP2001329461A (ja) 難燃化多糖類系繊維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0228960A (ja) スラリー及びプリプレグ並びに不燃基材
KR20150111690A (ko) 불연성 흡음보드
KR101876205B1 (ko) 솔잎분말이 함유된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0140405B1 (ko) 섬유계 단열.흡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85611B1 (ko) 건축용 흡,차음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101766894B1 (ko) 난연성 셀룰로오즈계 섬유 구조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한 섬유 구조물
RU2197374C1 (ru) Огнезащитный состав для древесины (его варианты)
KR860002059B1 (ko) 건축용 섬유판
KR102526168B1 (ko) 친환경 하이트린 유리장섬유 보드의 제조방법
KR100485138B1 (ko) 난연성 섬유판재
KR101517307B1 (ko) 식물성 펄프를 이용한 개질 셀룰로오스 섬유 및 그의 조성물과 제조방법
KR100366261B1 (ko) 난연제 조성물
KR200279956Y1 (ko) 난연성 단열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