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5171B1 -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5171B1
KR101515171B1 KR1020140130754A KR20140130754A KR101515171B1 KR 101515171 B1 KR101515171 B1 KR 101515171B1 KR 1020140130754 A KR1020140130754 A KR 1020140130754A KR 20140130754 A KR20140130754 A KR 20140130754A KR 101515171 B1 KR101515171 B1 KR 1015151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weight
inorganic binder
parts
flame retar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원
이지은
Original Assignee
이종원
친환경품질시험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원, 친환경품질시험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원
Priority to KR1020140130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1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1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34Silicon-containing compounds
    • C08K3/36Silica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08K2003/2296Oxides; Hydroxides of metals of zinc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재, 볏짚, 의류, 종이 등의 가연성 물체에 도포하거나 분사함으로써 가연성 물체의 표면 및 내·외부의 난연성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열화(劣化)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과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연성 물체을 난연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 {Inorganic Binder Composition Resisting Flame and Hardening at Normal Temperature and Treating Method of Combustible Article for Resisting Flam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목재, 볏짚, 의류, 종이 등의 가연성 물체에 도포하거나 분사함으로써 가연성 물체의 표면 및 내·외부의 난연성을 증진시키는 동시에 열화(劣化)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과 이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연성 물체을 난연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가연성재질의 제품 및 목재류와 섬유 및 플라스틱류를 난연처리 한다는 것은 기술적으로나 경제성으로 보아 어려운 측면이 있다. 하지만 실제로 꼭 그럴 필요성이 없으므로 각 나라에서는 방화측면에서 볼 때 꼭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대상물만을 난연처리 하도록 법으로 규정해 놓고 있다.
미국 유럽 선진국과 일본의 경우를 보면 난연처리를 요구하는 대상물로는 건축 내외장재 이외에도 차량, 기차, 선박, 항공기, 등의 각종 수송체의 내외장재, 각종 전기, 전자제품의 가연성 부품, 공산품 등 어린이들의 완구류 의류 등 광범위하게 규정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고층건물과 극장, 호텔, 병원 등 특수장소의 내외장재인 합판, 섬유판, 카페트, 커텐 등의 난연처리 대상이 소방법에 규정되어 있고, 목조문화재의 경우는 아직 소방법에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문화재 관리국에서 별도로 난연처리를 강력히 권장하고 있다.
난연처리 대상물을 재료별로 보면 목재류와 섬유류, 플라스틱류 등 크게 세가지로 구분되는데 난연처리 방법은 처리대상의 종류에 따라서도 다르지만 처리대상물의 재료에 따라 크게 달라진다.
현존하는 우리나라 목조 문화재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절한 보존방법만 강구된다면 목재의 수명은 1,000년 이상이 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이러한 우수한 목조 문화재에 대한 보존기술은 현재까지 매우 취약하다.
목조 문화재는 재질이 주로 나무로 되어 있어 화재에 매우 취약한 점이 있고 곰팡이, 곤충 등에 대한 저항력이 약하여 문제가 되어 왔다. 목조 문화재는 효과적인 난연, 방미, 방부, 방충처리 등을 하지 않을 경우 화재 및 생물 열화에 대한 위험성이 매우 높다.
기존의 일반적인 목재 난연약제로 수용성 무기염류계로 인산염이나, 황산염, 붕산 등이 사용되어 왔다. 수용성 무기염류는 난연효과는 비교적 우수하나 목조 문화재에 적용한 경우 건조 후 목재 표면에 결정성 분말이나 백분현상을 일으키거나, 난연성을 저하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
종래 목조 건축물 등의 난연을 위해 한국공개특허 제 2010-0074444 호 및 제 2007-0103884 호와 한국등록특허 제 776377 호 등이 개시되었으나, 상기 문제들의 해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KR 10-2010-007444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0.7.2. KR 10-0776377 (강미년 등) 2007.11.7. KR 10-2007-0103884 (하진욱 등) 2007.10.25.
본 발명의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연성 물체의 난연성능을 증진시키며, 일반 건축물 및 목조 건축물, 문화재를 비롯한 각종 목조 구조물, 볏짚, 의류, 종이 등에 백분 또는 백화 현상을 수반하지 않고, 방부, 방미, 방충 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으며, 다공성 건축자재 및 목구조물의 열화현상을 지속적이면서도 반영구적으로 방지하고, 건축물의 외관을 장기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내약품성을 지님은 물론, 가연성 물체와의 결합성 및 친화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처리로 단시간에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친환경적 상온 경화용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이용하여 가연성 물체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온 경화용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물 100 중량부,
콜로이달 실리카 (colloidal silica) 1 내지 45 중량부,
칼륨 실리케이트 (kalium silicate) 0.1 내지 25 중량부,
나트륨 실리케이트 (natrium silicate) 0.1 내지 20 중량부,
인산염 0.1 내지 10 중량부, 및
산화아연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산염은 제일인산암모늄, 제이인산암모늄, 제삼인산암모늄, 제일인산나트륨, 제이인산나트륨, 제삼인산나트륨, 제일인산칼륨, 제이인산칼륨, 제삼인산칼륨, 제일인산구아니딘, 제이인산구아니딘, 축합도가 1 내지 250의 저축합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 구아닐유레아포스페이트, 인산의 아민염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은 나노기포수(nano氣泡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기포수의 기포 평균입경은 1 내지 500 n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노기포수를 구성하는 기체는 공기, 질소, 산소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나노기포수의 물 및 기체의 중량비는 물 : 기체 = 70 내지 99.9 : 0.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은
(A) 상기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가연성 물체 표면에 도포, 침적, 함침 또는 분산하는 단계; 및
(B) 상기 가연성 물체 표면에 도포, 침적, 함침 또는 분산된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은 단계 (A) 이전에 주기율표의 1 족, 2 족 또는 13 족 원소, 또는 그 이온, 바람직하게는 Ca2+, Mg2+, 또는 Al3+ 이온을 상기 가연성 물체에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휘발성 상온 경화용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은 목재나 짚 등과 같은 가연성 물체에 간단히 도포, 침적 또는 분사함으로써 작업이 간편하다. 이처럼 가연성 물체에 적용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가연성 물체 내부까지 침투하여, 구조물 구축과 그 구조물의 지속적인 난연성을 유지하며, 화학생물적 열화현상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건축물 등의 외관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단시간에 구조물을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대표적인 처리효과를 들면 다음과 같다.
1) 난연(방염)/내구성 증진 효과:
본 발명에 따른 상온 경화형 난연 조성물을 가연성 물체에 도포하면, 구조물 내·외부에 분자 결합체를 형성하기 때문에, 화염전파를 억제하여 질량감소율 및 최고온도와 최종평형온도의 차로부터 불연성 측면에서 우수한 난연효과를 거둘 수 있고, 행동정지시간으로부터 가스유해성이 현저히 낮으며 휨파괴하중 측정 결과 구조물의 강도가 증대되고 내마모성이 향상된다.
2) 화학생물적/열화 방지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조성물은 다공성 목재 구조물 등의 생물적 열화 내지는 중성화 현상의 요인인 물, CO2, NOx, SOx 등의 진입을 차단함으로써 산성화와 그로 인한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생물학적 저항성이 뛰어나 외부로부터 곤충이나 애벌레의 침투를 막아 가연성 물체에 효과적이다.
3) 내후성/동결융해 방지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조성물을 가연성 물체에 도포하면, 내후성이 향상되고 자외선에 의한 열화를 억제시킨다. 또한,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여 동결/융해 사이클에 의해 발생하는 크랙을 감소시킨다.
4) 외관 향상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조성물을 가연성 물체에 도포하면, 개질 반응에 의해 재료의 표면이 봉인되어 건축물의 외관이 미려해지는 효과가 있다. 더구나, 곰팡이의 발생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5) 난연 향상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난연 조성물을 가연성 물체에 도포하면, 고분자의 열분해 경로를 변경하여 가연성 기체의 양을 감소시키고 잔존 탄화물의 양을 증가시켜 난연성을 부여한다.
그리고, 연소시 고분자 표면에 막을 형성하여 가연성 기체와 공기 중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여 연소가 일어나지 않게 하거나, 발열량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연소 반응에 참여하는 Hㆍ, OHㆍ 와 같은 활성 라디칼을 난연제가 흡수하고, 연소과정에서 유지되어야 하는 열에너지를 소비시킴으로써 연속반응을 억제한다.
본 발명의 난연 조성물은 목조 문화재를 비롯한 목재류 및 볏짚류, 섬유류에 방염, 방미, 방부, 방충효과를 동시에 부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백분이나 백화현상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더욱이 일액형 액체로 제공되므로 처리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고 사용이 간편하다.
이와 같은 난연 원리를 이용하여 범용 고분자 제품에 난연성을 부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ㆍ분자구조 변경을 통한 난연성 고분자의 제조
ㆍ반응형 난연제를 분자 구조내에 화학적으로 결합시키는 방법
ㆍ첨가형 난연제를 분자 내에 물리적으로 첨가시키는 방법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많은 특정사항들이 설명되어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목조 문화재"라 함은 문화재 보호법에 의해 관리되는 국보, 보물, 유형 문화재 등으로 지정된 문화재는 물론, 보존가치가 있는 여타의 모든 목조 건축물, 목조 구조물을 가리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온 경화용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은
물 100 중량부,
콜로이달 실리카 (colloidal silica) 1 내지 45 중량부,
칼륨 실리케이트 (kalium silicate) 0.1 내지 25 중량부,
나트륨 실리케이트 (natrium silicate) 0.1 내지 20 중량부,
인산염 0.1 내지 10 중량부, 및
산화아연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의 구성성분 중 가연성 물체를 처리할 때 촉매로 작용하는 콜로이달 실리카는, 단분산 형태를 갖는 나노입자로서, 평균 입자크기가 약 10 내지 200 nm이며, 통상의 물 유리를 이온교환법으로 제조하거나, 메틸 트리메톡시 실란 (methyl tri-methoxy silane) 등으로 대표되는 알킬 알콕시 실란 (alkyl alkoxy silane)이나 테트라 에톡시 실란 (tetra ethoxy silane) 등으로 대표되는 테트라 알콕시 실란으로부터 제조한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콜로이달 실리카의 함량이 물 100 중량부 당 1 중량부보다 작은 경우에는 실록산 형성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열방출 피크율을 줄일 수 없으며, 45 중량부보다 큰 경우에는 다른 조합물의 반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얻어진 조성물의 안정성이 떨어져, 제조 후 곧바로 침전현상을 일으키기 쉽고, 점도의 증가로 인해 침투율이 저하되며 그 결과 결합력 약화 및 작업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칼륨 실리케이트의 함량이 물 100 중량부 당 0.1 중량부보다 작은 경우에는 분산보조제로서의 역할을 발휘하기 어려우며, 25 중량부보다 큰 경우에는 밀도가 증가하여 침투에 방해를 일으키고 최종적으로 얻어진 조성물이 곧바로 겔화(gelation)되어, 고화된 규산염 화합물을 생성하므로 가연성 물체의 처리에 사용할 수 없고, 점도의 증가로 인해 결합력 약화 및 작업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나트륨 실리케이트의 함량이 물 100 중량부 당 0.1 중량부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콜로이달 실리카의 분산을 방해하고 상온에서 경화를 지연시키며, 20 중량부보다 큰 경우에는 반응속도가 저하되고 최종적으로 얻어진 조성물이 곧바로 겔화(gelation)되어, 고화된 규산염 화합물을 생성하므로 가연성 물체의 표면처리에 사용할 수 없고, 점도의 증가로 인해 결합력 약화 및 작업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난연 조성물을 구성하는 인산염은 제일인산암모늄, 제이인산암모늄, 제삼인산암모늄, 제일인산나트륨, 제이인산나트륨, 제삼인산나트륨, 제일인산칼륨, 제이인산칼륨, 제삼인산칼륨, 제일인산구아니딘, 제이인산구아니딘, 축합도가 1 내지 250의 저축합 암모늄폴리포스페이트, 구아닐유레아포스페이트, 인산의 아민염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인산염은 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10 중량부만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중량부보다 작은 경우에는 본 발명의 난연조성물에 있어서 바인더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으며, 반대로 10 중량부보다 큰 경우에는 바인더로서의 역할은 충분하나 미반응 물질로 인해 시간이 충분히 경과한 후 해리가 일어날 가능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산화아연은 저독성 및 저발연성의 촉매 및 가교결합제로서, 그 함량이 0.01 중량부보다 작은 경우에는 상기 촉매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없고, 반대로 5 중량부보다 큰 경우에는 가교결합제로서 상기 칼륨 실리케이트나 나트륨 실리케이트의 반응에 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
최근 작은 직경을 갖는 기포(버블)에 여러가지 작용 효과가 있다는 것이 밝혀졌으며, 현재 이러한 기포를 제조하는 기술 및 그 효과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상기 기포는 그 직경에 따라서 마이크로 기포, 마이크로 나노기포 및 나노기포로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마이크로 기포는 그 발생시에 있어서 10 내지 수십 ㎛의 직경을 갖는 기포이고, 마이크로 나노기포는 그 발생시에 있어서 수백 ㎚ 내지 10 ㎛의 직경을 갖는 기포이며, 나노기포는 그 발생시에 있어서 수백 ㎚ 이하의 직경을 갖는 기포이다. 또한, 마이크로 기포는 발생 후의 수축 운동에 의해 그 일부가 마이크로 나노기포로 변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 나노기포는 장기간에 걸쳐 액체 중에 존재할 수 있다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4-121962호에는 물을 전기분해함과 함께 당해 물에 초음파 진동을 가함으로써 제조한 나노기포가 부력의 감소, 표면적의 증가, 표면 활성의 증대, 국소 고압장(高壓場)의 생성 또는 정전 분극의 실현에 따라 계면 활성 작용 및 살균 작용을 나타낸다는 것이 기재되어 있으며, 한국특허출원 제2010-0110141호에는 한 쌍의 펌프와 상기 펌프들 사이에 위치하며 별도로 공기가 유입되는 관으로 이루어진 나노기포수 발생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나노기포를 함유한 나노기포수를 사용함으로써 별도의 분산제 없이도 무기물들을 용이하게 혼합시킬 수 있고, 오랜 시간 경과 후에도 상기 무기물들이 안정적으로 혼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을 가장 큰 특징으로 한다. 분산제는 분산질이 분산매에 잘 분산되도록 첨가하는 성분인데, 이 자체가 환경에 유해할 수 있고, 더군다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콜로이달 실리카의 촉매 작용을 저해하므로 그 사용을 지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노기포수를 구성하는 기포의 평균입경은 1 내지 500 nm인 것이 바람직한데, 1 nm 미만의 나노기포를 형성시키려면 초음파를 더 많이 가하거나 펌핑 압력을 상승시켜야 하므로 불필요한 운전비용의 상승을 가져오고, 반대로 평균입경이 500 nm를 초과하면 본 발명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나노기포수를 구성하는 기체는 공기가 일반적이나, 산화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산소를, 반대로 산화가 문제되는 경우에는 질소를 사용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이들의 혼합 기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나노기포수를 구성하는 물 및 기체의 중량비는 물 : 기체 = 70 내지 99.9 : 0.1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한데, 기체가 0.1 중량비 미만인 경우 본 발명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곤란하고, 30 중량비를 초과하는 경우 과도한 기포 주입으로 인한 운전비 상승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은, 상기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가연성 물체의 표면에 도포, 상압의 침적, 가압의 함침 또는 분사한 후, 상기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가연성 물체에 도포, 침적, 함침 또는 분사하게 되면, 상기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은 가연성 물체의 표면 또는 내부에 존재하는 공극으로 스며들게 된다.
이렇게 공극으로 스며든 본 발명의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구성하는 화학종은 가연성 물체 내부에 존재하는 이온 등과 치환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의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의 구성성분 중 콜로이드 실리카가 이 치환반응의 촉매로 작용하게 된다. 즉, 가연성 물체 내부에 존재하는 잉여의 금속이온, 구체적으로 주기율표의 1 족, 2 족, 또는 13 족 원소, 또는 그 이온, 바람직하게는 Ca2+, Mg2+, Al3+ 등의 이온종 및 CaO, MgO 등의 산화물과 본 발명의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이 반응하여, 반응 후 재용해되지 않는 칼슘 실리케이트 및 복합 콜로이달 규산 화합물 등의 유리질(glass) 불용성 화합물을 생성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불용성 화합물은 가연성 물체의 표면 및 내부에 존재하는 공극을 메움으로써, 가연성 물체에 존재하는 구멍을 완전히 충진시키게 되고 그 결과 가연성 물체가 무공화되어 구조물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은 금속이온, 구체적으로 주기율표의 1 족, 2 족, 또는 13 족 원소의 이온, 바람직하게는 Ca2+, Mg2+, Al3+ 등의 이온이 결핍된 가연성 물체에 대해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미리 이들 원소 또는 그 이온을 상기 가연성 물체에 공급하여 건조시킨 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침투시킴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효과를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분야를 열거하면 다음과 같다:
재생 : 스레트 지붕, 기와, 블록 담장;
보수 : 파손된 콘크리트 바닥 및 벽체, 콘크리트 옹벽 및 도로, 교량, 교각 등;
접착 : 바닥재, 벽재, 단열재, 방청재, 기공성타일 돌붙임, 각종 방수재;
방수 : 슬라브, 지하실, 물탱크, 수영장, 터널 내부 등;
방청 : 철골, 교각, 철탑, 철파이프, 각종 철구조물;
포장 : 공장, 하치장, 도로, 축사, 플랫폼;
단열 : 무기질 단열재의 접착 및 마감;
마감 : 토목/건축물의 도장전 마감처리;
목재용 방수 박리 기능의 최상부 마감제 : 목재를 이용한 외부 노출 조형물 일체의 오염방지 및 방수기능이 필요한 곳, 벤치나 난간처럼 부드러운 촉감을 필요로 하는 목구조물 외부데크, 외부목재의 사이딩, 외부도어, 펜스,테이블, 창문틀과 외부 몰딩, 학교 및 유치원의 목재 놀이기구, 교보재, 사찰 목제건축물, 외장용 목재 제품 가제보, 꽃박스, 격자무늬목재, 목조주택 등.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실시예 1: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에 나타낸 조성비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성성분 함량 (g)
60
콜로이달 실리카 20
나트륨 실리케이트 12
칼륨 실리케이트 5
제일인산나트륨 2
산화아연 1
시험예 1: 불연성 시험
밀도 1553 kg/m3, 두께 6 mm, 지름 45 mm의 석고시멘트판에 본 발명의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도포하여 두께 1 mm의 도막을 형성하고, 이를 적층하여 KS F ISO 1182:2004 시험방법에 의해 시험한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연 조성물은 질량감소율 및 최고온도와 최종평형온도의 차가 기준 이하의 값을 나타내므로, 우수한 불연성을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가스유해성 시험
밀도 1553 kg/m3이고 220 × 220 × 6 mm의 석고시멘트판에 본 발명의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도포하여 두께 1 mm의 도막을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KS F 2271:2006 시험방법에 의해 가스유해성을 시험하였다. 구체적으로, ICR계 암컷 마우스를 이용하여, 행동정지시간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결과, 행동정지시간이 기준 이상의 값을 나타내므로 유해성이 적은 난연 조성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112014093186332-pat00001
시험예 3: 휨파괴하중
상기 시험예 2의 도막이 형성된 석고시켄트판을 이용하여 KS F 2263:2005 시험방법에 의해 휨파괴하중을 시험하였다. 시험 결과 236.5 N으로 조사되어, 본 발명의 난연 조성물에 의해 휨파괴강도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유기물 및 중금속 방출
상기 시험예 1의 도막이 형성된 석고시켄트판을 이용하여 하기 표 3의 시험방법에 의해 유기물 및 중금속의 방출 여부를 시험하고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항목 단위 시험방법 시험결과
As mg/kg US EPA 3051A 불검출 (검출한계 5)
Cd mg/kg US EPA 3051A 불검출 (검출한계 5)
Cr6+ mg/kg US EPA 3051A 불검출 (검출한계 5)
Cu mg/kg US EPA 3051A 불검출 (검출한계 5)
Hg mg/kg US EPA 3051A 불검출 (검출한계 5)
Ni mg/kg US EPA 3051A 불검출 (검출한계 5)
Pb mg/kg US EPA 3051A 불검출 (검출한계 10)
포름알데히드 mg/kg US EPA 8315A 불검출 (검출한계 20)
VOCs g/l KS M ISO 11890-2:2007 불검출 (검출한계 1)
상기 표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은 유기물질 및 중금속을 전혀 방출하지 않음으로써, 환경에 무해하고 작업자에게 위생적으로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원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국한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물 100 중량부,
    콜로이달 실리카 (colloidal silica) 1 내지 45 중량부,
    칼륨 실리케이트 (kalium silicate) 0.1 내지 25 중량부,
    나트륨 실리케이트 (natrium silicate) 0.1 내지 20 중량부,
    제일인산구아니딘, 제이인산구아니딘, 구아닐유레아포스페이트 및 그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인산염 0.1 내지 10 중량부, 및
    산화아연 0.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은 나노기포수(nano氣泡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나노기포수의 기포 평균입경은 1 내지 500 n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5. (A) 청구항 1,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 중 어느 한 청구항의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을 가연성 물체 표면에 도포, 침적, 함침 또는 분산하는 단계; 및
    (B) 상기 가연성 물체 표면에 도포, 침적, 함침 또는 분산된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단계 (A) 이전에 주기율표의 1 족, 2 족 또는 13 족 원소, 또는 그 이온을 상기 가연성 물체에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
KR1020140130754A 2014-09-30 2014-09-30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 KR1015151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54A KR101515171B1 (ko) 2014-09-30 2014-09-30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0754A KR101515171B1 (ko) 2014-09-30 2014-09-30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171B1 true KR101515171B1 (ko) 2015-05-11

Family

ID=5339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754A KR101515171B1 (ko) 2014-09-30 2014-09-30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1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398A (ko) * 2019-01-21 2020-07-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급결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387B1 (ko) * 1988-12-30 1991-08-21 고려화학주식회사 무기질계 피복조성물
KR20010100274A (ko) * 2000-04-07 2001-11-14 김형식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
KR20080048399A (ko) * 2006-11-28 2008-06-02 주식회사 웰쳐화인텍 무기계 고경도 코팅제 조성물
KR20110046214A (ko) * 2009-10-28 2011-05-04 주식회사 젠트로 내수성이 우수한 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03374A (ko) * 2011-03-11 2012-09-19 이종원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구조물의 표면처리방법
KR101434221B1 (ko) * 2013-04-19 2014-08-27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불연성 섬유코팅제, 이를 피복한 섬유 및 원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6387B1 (ko) * 1988-12-30 1991-08-21 고려화학주식회사 무기질계 피복조성물
KR20010100274A (ko) * 2000-04-07 2001-11-14 김형식 불연제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처리한 불연재
KR20080048399A (ko) * 2006-11-28 2008-06-02 주식회사 웰쳐화인텍 무기계 고경도 코팅제 조성물
KR20110046214A (ko) * 2009-10-28 2011-05-04 주식회사 젠트로 내수성이 우수한 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103374A (ko) * 2011-03-11 2012-09-19 이종원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구조물의 표면처리방법
KR101434221B1 (ko) * 2013-04-19 2014-08-27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불연성 섬유코팅제, 이를 피복한 섬유 및 원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0398A (ko) * 2019-01-21 2020-07-29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급결용 조성물
KR102251569B1 (ko) 2019-01-21 2021-05-12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시멘트 급결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15540B2 (en) Aqueous and dry duel-action flame and smoke retardant and microbe inhibiting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Shen et al. Performance of silane-based surface treatments for protecting degraded historic concrete
KR101832164B1 (ko) 구조물 보수·보강용 자기 치유성 친환경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수·보강 방법
KR101366514B1 (ko) 콘크리트 함수율 100% 습윤상태에서 프라이머 없이 시공이 가능한 무기질계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마감재 도료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중성화방지, 방수, 방식, 바닥재 시공방법
EP2660224A1 (de) Wasserdichte zusammensetzung
US20220259442A1 (en) Weather-Resistant, Fungal-Resistant, And Stain-Resistant Coatings And Methods Of Applying On Wood, Masonry, Or Other Porous Materials
KR100820276B1 (ko)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콘크리트 보수재용 조성물을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KR100954450B1 (ko) 축중합 스마트 세라믹계 도료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구조물 또는 강구조물의 표면처리방법
KR1010627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방식 기능을 가지고 있는 침투형 보호코팅제 및 그 시공방법
KR101310041B1 (ko)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다공질 구조물의 표면처리방법
KR101596816B1 (ko) 타일의 접착제와 줄눈재로 동시에 이용 가능한 조성물을 적용하여 상하수도용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을 처리하는 방법
KR101722299B1 (ko) 건설물의 내, 외장 마감재용 친환경 탄성도막방수 수성페인트 조성물의 제조방법
DE102010046678A1 (de) Mikroporöser, hydrophober Dämmformkörper mit hygrisch aktiver, oberflächennaher Schicht
KR101029150B1 (ko) 콘크리트 표층 강화 및 보호용 폴리머 에멀젼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공법
CN101580356A (zh) 水乳型有机硅防水剂
KR101439210B1 (ko) 발수 및 불연성 단열소재 조성물, 미장용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631485B1 (ko) 콘크리트 구조물 및 강 구조물의 내구성 증대 및 중성화와염해방지를 위한 속경화 피막 형성 공법
KR100963484B1 (ko) 무기계 콘크리트 표면 강화 및 착색 조성물
KR101049032B1 (ko) 복합 도막구조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표면 보호 및 수명연장 공법
KR102393955B1 (ko) 아미노점토 기반의 친환경 라돈 차폐용 코팅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596968B1 (ko) 콘크리트 침투성 흡수방지제용 수성실리콘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15171B1 (ko) 상온 경화형 무기질 결합제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연성 물체의 난연처리방법
KR101350975B1 (ko) 방염 조성물
KR101311703B1 (ko) 불연성 및 내구성이 우수한 마감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마감용 뿜칠 시공방법
CN105670497A (zh) 一种外墙抗碱封闭底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