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5138B1 - 난연성 섬유판재 - Google Patents

난연성 섬유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5138B1
KR100485138B1 KR10-2003-0000827A KR20030000827A KR100485138B1 KR 100485138 B1 KR100485138 B1 KR 100485138B1 KR 20030000827 A KR20030000827 A KR 20030000827A KR 100485138 B1 KR100485138 B1 KR 100485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mixture
fiber board
bentoni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0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3418A (ko
Inventor
박윤태
Original Assignee
민준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민준호 filed Critical 민준호
Priority to KR10-2003-0000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51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63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34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5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513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in the form of pants or brief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2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specially adapted for female 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Abstract

본 발명은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 섬유판재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난연성 섬유판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벤토나이트(Bentonite)와 방염제를 혼합한 혼합물(20)과 물을 부피기준 0.5~4:1의 비율로 혼합하여서된 조성물을 통상의 섬유판재(10)에 도포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혼합물(20)은 벤토나이트 20~80중량%와 방염제 80~20중량%가 혼합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여,
불에 잘 타지 않고, 양이온 교환성, 탈취성등을 가진 벤토나이트가 도포됨으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오염의 우려가 적은 섬유판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난연성 섬유판재{uninflammable fiber board}
본 발명은 난연성 섬유판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방염제와 벤토라이트가 적절한 비율로 혼합된 다공질 구조체로서 단열 및 방음 효과가 뛰어나며 불에 잘 타지 않는 섬유판재에 관한 것이다.
섬유판재는 건축내장재에 사용되어 흡음 및 단열, 불연성등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으며, 또한 부직포 형태로 압축시켜 보온 및 신축성, 탄력성등을 가진 침구류를 제조 하는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섬유판재는 주로 잘게 잘려진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불규칙하게 적층한 후 접착제등을 첨가하여 열 가압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며, 폴리에스테르 섬유외에도 여러 재료들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섬유판재는 소정크기로 가공되어 건축물의 단열재등으로 사용되는 바 섬유판재의 원재료가 폴리에스테르와 같이 가연성인 것은 건축물의 화재시 쉽게 연소되어 유해가스를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단열재로 사용하기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석면을 이용한 단열재나 유리섬유를 이용한 단열재등이 제안되었으나 석면가루 및 유리가루등이 날려 인체에 유해하고 환경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어,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을 가지면서도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오염 우려가 적은 섬유판재의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섬유판재 및 단열재등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을 가지면서도 인체에 무해한 섬유판재를 얻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난연성 섬유판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벤토나트와 방염제를 혼합한 혼합물과 물을 부피기준 0.5~4:1의 비율로 혼합하여서된 조성물을 통상의 섬유판재에 도포하여서 구성된 섬유판재를 제안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및 도 2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난연성 섬유판재이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 이다.
먼저 발명의 기본 구성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의한 난연성 섬유판재는 벤토나이트(Bentonite)와 방염제를 혼합한 혼합물(20)과 물을 부피기준 0.5~4:1의 비율로 혼합하여서된 조성물을 통상의 섬유판재(10)에 도포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기본 구성외에 상기 혼합물(20)은 벤토나이트 20~80중량%와 방염제 80~20중량%가 혼합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바탕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벤토나이트는 팽윤(澎潤)특성을 지는 광물로서 응회암과 유리질 유문암이 변질된 것이다. 상기 벤토나이트의 특성으로는 팽윤성, 상온에서의 가소성외에도 점결점착성, 윤활성, 양이온 교환성, 콜로이드성, 건조강도우수, 탈취기능, 흡수성등이 있는 것으로 일종의 화산재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벤토나이트를 방염(防焰)성을 가진 방염제와 20~80중량% : 80~20중량%로 혼합하여서 혼합물(20)을 구성하고, 이 혼합물(20)을 물과 0.5~4 : 1 의 부피비로 혼합한 후 섬유판재(10)에 도포하여서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섬유판재(10)에 혼합물(20)을 도포하는 것은 스프레이식 분사 혹은 침적등의 방법 중 필요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것으로,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도포하게 되면 짧은 섬유가 불규칙적으로 얽혀서 구성된 섬유판재(10)의 특성에 따라, 섬유판재(10)가 가지고 있는 공극 사이로 자연스럽게 혼합물이(20)이 스며들게 되며, 따라서 섬유판재(10) 내부 깊숙한 곳까지 혼합물(20)이 스며들어 침투하게 된다.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건조되면서 섬유판재(10)의 외측으로는 혼합물층(30)이 형성되는 것이다.이와 같이 혼합물층(30)이 형성된 섬유판재(10)에 대해서 한국화재보험협회 부설 방재시험연구원에서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에 따라 난연성 및 연소시 발생하는 가스의 유해성을 시험한 결과 다음과 같이 모두 판정기준을 초과하지 않고 적합하다는 결과를 얻었다.[실험예1 : 표면,부가시험]가. 시험방법1) 주열원 및 부열원 : 전열 1.5 kW, 프로판가스 350 cc/min2) 가열시간 : 10분나. 표면시험결과
시험명 표면시험 판정기준
시험체 번호 1 2 3 공란
크기(mm) 220 x 220 220 x 220 220 x 220
두께(mm) 35.0 35.0 35.0
중량(g) 671.1 605.3 811.5
시험후감량(g) 36.5 25.5 27.2
배기온도및 연기 온도시간면적(℃ x 분) 3분이내 초과않을것
3분이후 0 0 55.5 100이하
단위면적당발열계수(CA) 6.0 11.0 8.0 60이하
잔염시간(초) 4 0 0 30미만
전체두께에 걸친 용융 없음 없음 없음 없을것
균열폭(mm) 0 0 0 두께 x 1/10 미만
방화상 유해한 변형등 없음 없음 없음 없을것
판정 적합 적합 적합 -
다. 부가시험결과
시험명 부가시험 판정기준
시험체 번호 1 2 3
크기(mm) 220 x 220 220 x 220 220 x 220
두께(mm) 35.0 35.0 35.0
중량(g) 645.1 723.9 645.2
시험후 감량(g) 28.1 39.5 27.8
배기온도및 연기 온도시간면적(℃ x 분) 0 40.7 3.9 150이하
단위면적당발열계수(CA) 10.0 17.0 9.0 60이하
잔염시간(초) 17 0 0 90이하
판정 적합 적합 적합 -
[실험예 2 : 가스유해성 시험]가. 시험방법1) 주열원 및 부열원 : 전열 1.5 kW, 프로판가스 350 cc/min2) 가열시간 : 6분3) 급기량 : 1차 3 ℓ/min, 2차 25 ℓ/min4) 중간배기량 : 10 ℓ/min5) 표준판 : 석면 펄라이트판, 두께 10.0 mm6) 마우스 : 혈통 ICR계, 성별 암컷, 주령 5주, 체중 18~22 g나. 시험결과
시험명 가스유해성시험 판정기준
시험체 번호 1 2 공란
크기(mm) 220 x 220 220 x 220
두께(mm) 35 35
중량(g) 698.4 873.9
시험후감량(g) 21.2 23.8
마우스 혈통,성별 ICR,암컷 ICR,암컷
평균중량 20.5 20.5
시험상자온도(℃) 초기 33.8 31.2
최고 33.8 31.3
마우스평균행동정지시간 14분 58초 14분 57초
표준편차 00분 02초 00분 02초
마우스행동정지시간 14분 56초 14분 55초 9분이상
판정 적합 적합 -
상기와 실험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섬유판재(10)에 방염제와 열을 가할수록 경화되기만 할 뿐 불에 타지 않는 벤토나이트가 혼합된 혼합물(20)을 도포함으로 인해 섬유판재(10)가 불에 잘 타지 않는 난연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며, 더불어 방염제가 첨가된 혼합물(20)을 도포하여 줌으로써 유해가스의 발생이 억제되는 섬유판재(10)가 얻어지는 것이다.
삭제
상기와 같이 섬유판재에 난연성을 가진 혼합물이 도포됨으로 인해 불에 잘 타지 않는 섬유판재를 얻을 수 있으며, 양이온 교환성, 탈취성등을 가진 벤토나이트가 도포됨으로서 인체에 무해하며 환경오염의 우려가 적은 섬유판재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난연성 섬유판재이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A-A 선 단면도 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섬유판재 20 : 혼합물
30 : 혼합물층

Claims (2)

  1. 난연성 섬유판재를 구성함에 있어서;
    벤토나이트(Bentonite)와 방염제를 혼합한 혼합물(20)과 물을 부피기준 0.5~4:1의 비율로 혼합하여서된 조성물을 통상의 섬유판재(10)에 도포하여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섬유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20)은 벤토나이트 20~80중량%와 방염제 80~20중량%가 혼합되어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난연성 섬유판재.
KR10-2003-0000827A 2003-01-07 2003-01-07 난연성 섬유판재 KR100485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827A KR100485138B1 (ko) 2003-01-07 2003-01-07 난연성 섬유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0827A KR100485138B1 (ko) 2003-01-07 2003-01-07 난연성 섬유판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0411U Division KR200310389Y1 (ko) 2003-01-07 2003-01-07 난연성 섬유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418A KR20040063418A (ko) 2004-07-14
KR100485138B1 true KR100485138B1 (ko) 2005-05-03

Family

ID=374342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0827A KR100485138B1 (ko) 2003-01-07 2003-01-07 난연성 섬유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51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820B1 (ko) 2011-09-28 2012-07-03 주식회사에너씨스 다용도 기능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9635B1 (ko) * 2012-05-08 2013-08-23 주식회사 아성이엔지 유리장섬유용 난연사 및 그 유리장섬유용 난연사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820B1 (ko) 2011-09-28 2012-07-03 주식회사에너씨스 다용도 기능성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US9850605B2 (en) 2011-09-28 2017-12-26 Korea Cotton Co., Ltd. Multipurpose functional nonwoven fib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299635B1 (ko) * 2012-05-08 2013-08-23 주식회사 아성이엔지 유리장섬유용 난연사 및 그 유리장섬유용 난연사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3418A (ko)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5694B2 (ja) 難燃性及び疎油性/疎水性特性を有する連続気泡フォーム及びその製造方法
CN108658507B (zh) 一种建筑室内用复合功能材料及其制备工艺
KR101047315B1 (ko) 목질패널로 제조한 난연 탄화보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2163A (ko) 유리장섬유 단열재 성형용 에어로젤 바인더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 성형방법
KR100485138B1 (ko) 난연성 섬유판재
KR20180115579A (ko) 건축 내장 마감용 불연성 발열보드
CN212641796U (zh) 防火性能好的建筑保温墙
KR101068928B1 (ko) 난연재로 표면처리된 내연성 실내장식재
KR100799497B1 (ko) 난연과 흡음 방음 기능을 갖는 내장재의 제조방법 및내장재의 구조
JP2008223165A (ja) 断熱吸音材
KR101876205B1 (ko) 솔잎분말이 함유된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102248679B1 (ko) 플렉시블한 고분자소재를 코어로 갖는 불연성 재료
JP2009029103A (ja) 難燃化処理又は不燃化処理した製品
KR20180075268A (ko) 케나프 부직포를 이용한 준불연보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10389Y1 (ko) 난연성 섬유판재
JP4015144B2 (ja) 不燃断熱フォーム材を用いる断熱構造
KR20100107632A (ko) 톱밥과 목재칩을 이용한 불연내장 인테리어판넬의 제조방법
KR100895704B1 (ko) 불연제 조성물, 및 이를 처리한 준불연성 직물
KR101686447B1 (ko)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 충전재, 이를 이용한 불연성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100832141B1 (ko) 수용성 무기질 난연제
KR20200083820A (ko) 오산화안티몬화합물을 이용한 무기질바인더 제조와 이를 이용한 흡음기능이 있는 경량다공질 건축용 불연 무기질 패널제조방법
KR100355431B1 (ko) 난연성 폴리에스터 섬유판재
CN110499671A (zh) 一种阻燃纤维壁纸的制备方法
KR102603122B1 (ko) 난연성 및 흡음성이 향상된 셀룰로오스 섬유 기반의 친환경 복합소재
KR102384376B1 (ko) 준불연 실내장식물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