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4376B1 - 준불연 실내장식물 마감재 - Google Patents

준불연 실내장식물 마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4376B1
KR102384376B1 KR1020200045573A KR20200045573A KR102384376B1 KR 102384376 B1 KR102384376 B1 KR 102384376B1 KR 1020200045573 A KR1020200045573 A KR 1020200045573A KR 20200045573 A KR20200045573 A KR 20200045573A KR 102384376 B1 KR102384376 B1 KR 102384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semi
weight
flame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45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7549A (ko
Inventor
손명현
Original Assignee
손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명현 filed Critical 손명현
Priority to KR1020200045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4376B1/ko
Publication of KR2021012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7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4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4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07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for making fire- or flame-proof filament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25Cellulose series
    • D04H1/4258Regenerated cellulose seri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26Condensation or reaction polymers
    • D04H1/435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준불연성을 갖는 실내장식물 마감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할로겐 무기계 난연제를 이용하여 개질된 레이온섬유 50~99 중량% 및 저융점 접착 섬유로 개질된 폴리에스터섬유 1~50 중량%를 포함하는 섬유 소재로 제직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준불연성을 갖는 실내장식물 마감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준불연 실내장식물 마감재 {Semi-Fireproof of Interior Decorations}
본 발명은 준불연 실내장식물 마감재에 관한 것이다.
환경 및 소득의 변화는 주거생활, 이동수단, 소방, 기타 특수 분야의 변화를 가져오고 있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그 속도 및 파장력은 증가하고 있다. 그 중 화재사고는 수시로 발생되고, 상기 화재사고로 인한 인명 및 재산의 대량피해가 직결되는 바, 소방 분야와 관련한 정부차원의 법적규제, 국민들과 민간단체들의 견제 등이 더욱 강화되고 있다.
종래 실내장식물에 사용되는 마감재에 대한 인식은 싸고, 손이 덜 가고, 오래가고,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제품들을 선호해 왔으며, 산업화 초기에 자본을 형성한 몇몇 대기업 위주로 독과점형식으로 보급되어 왔다. 그러나, 화재사고 등으로부터 안전에 대한 욕구와 법적 규제가 강해지는 것이 맞물려, 저렴한 제품보다는 난연성과 같은 기능성을 갖춘 실내 마감재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 난연 실내 마감재로 석면, 암면, 유리면 등 제품이 가격이 저렴하고 화재에 안전하다는 것, 시공이 편한 장점으로 지금까지 널리 사용되어져 왔다. 그러나, 기존 소재의 경우 발암물질의 함유, 공기 중 유해입자 비산 문제 등 인체 유해성 및 환경오염의 문제가 끊이질 않고 있다. 특히 일부 품목(석면, 암면 등)은 법적 사용금지 품목으로 지정되어 법적 강제철거 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국내 소방법에서도 『다중이용업소에 설치하는 실내장식물은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설치하여야 한다』고 규정하면서 화재사고에 대해서 화재 확산에 대한 규제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성과 친환경적인 요소에 대하여 강하게 예방대책을 요구하고 있다.
실내장식물이라 함은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 제2조』에서 정의한 바와 같이 건축물 내부의 미관 또는 장식을 위하여 천장 또는 벽에 설치하는 것으로서 가구류, 집기류와 다음 중 하나에 해당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면, 1) 종이류(2㎜ 이상인 것에 한한다), 합성수지류 또는 섬유류를 주원료로 한 물품. 2) 합판 또는 목재 3) 실 또는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칸막이 또는 간이 칸막이 등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제12조 제1항』에 보면 대통령이 정하는 특정소방대상물에서 사용하는 실내장식물과 그밖에 이와 유사한 물품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물품은 방염성능기준 이상의 것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즉 다중이용업소에 설치하는 실내장식물(합판 또는 목재로 설치한 실내장식물의 면적이 천장과 벽을 합한 면적의 10분의 3(스프링쿨러설비 또는 간이 스크링쿨러설비가 설치된 경우 10분의 5)이하인 경우와 반자돌림대등 너비가 10㎝ 이하인 경우의 실내장식물을 제외함)은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재료로 하여야 한다.
이에 더하여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 제19조』에서 규정한 방염설치대상은 다중이용시설로서 불특정 다수인이 많이 모이는 장소나 취침 및 재해약자가 있는 장소, 고층건물로서 초기 대응이 늦을 수 있는 장소 등으로서 다음과 같다.
가. 근린생활시설 중 안마시술소 및 헬스클럽장, 건축물의 옥내에 있는 문화집회 및 운동시설로서 수영장을 제외한 것, 숙박시설, 종합병원, 통신촬영시설 중 방송국 및 촬영소.
나. 노유자시설, 의료시설 중 정신보건시설 및 숙박시설이 있는 청소년시설,
다. 법 제8조1항의 규정에 의한 다중이용업의 영업장.
라.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아파트를 제외한다)
아울러,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 제20조』에서 규정한 방염대상물품은 다음과 같다.
가. 창문에 설치하는 커텐류(브라인드를 포함한다)
나. 카페트, 두께가 2㎜ 미만인 벽지류로서 종이벽지를 제외한 것
다. 전시용 합판 또는 섬유판, 무대용 합판 또는 섬유판
라. 암막, 무대막
이와 관련하여, 방염 처리란 착화에 필요한 시간을 늘려주는 것으로 화재 자체를 일어나지 않게 하는 것은 아니다. 방염 처리시 화학성분 때문에 화재가 확산되면 유독가스가 더 많이 방출되는 해로운 점도 발견되었으며, 이로 인해 플래시오버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는 지적이 있다.
플래시오버란 화재의 초기 단계에서 연소물로부터의 가연성 가스가 천장 부근에 모이고 그것이 일시에 인화해서 폭발적으로 방 전체가 불꽃이 도는 현상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실내화재에서 플래시오버가 발생되면 사람의 생존률은 제로에 가깝다고 한다.
이에 플래시오버를 방지하는 대책이 중요한데, 그 중에 실내장식물이 플래시오버를 발생시키는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이기 때문에 실내장식물의 선정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방염은 최선이 아닌 차선의 방법으로, 내장재의 불연화 및 준불연화가 필요하며 불가피한 경우에 한하여 방염물품을 사용하는 것이 근본적인 방법이다. 따라서 인테리어용 자재를 선택할 때는 방염자재를 넘어서, 불연재료나 준불연재료의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5-0076040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요구를 충족할 수 있는 자재를 개발하고자 연구한 결과, 준불연등급에 맞는 섬유소재로 된 실내장식물 마감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무기계 난연제를 이용하여 개질된 레이온섬유로 제직된 부직포를 포함하는, 준불연성을 갖는 실내장식물 마감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상기 부직포는 폴리에스터섬유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상기 폴리에스터섬유는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부직포는 레이온섬유 50 내지 99 중량% 및 폴리에스터섬유 1 내지 50 중량%로 제직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레이온섬유는 섬도가 1데니어 내지 7데니어이고, 섬유장은 22mm에서 84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폴리에스터섬유는 섬도가 2데니어 내지 15데니어이고, 섬유장은 22mm 내지 84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레이온 섬유는 방사 단계에서 무기계 난연제로 개질된 것으로, 상기 무기계 난연제는 황산암모늄, 이산화규소, 및 인산암모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내장식물 마감재는 준불연등급(난연2급) 성능을 갖는 것으로, 법적으로 요구되는 화재 안전 요건을 충족시키는 것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하여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으며, 미적 가치를 위한 후가공이 용이한 섬유재료로 제조되었으므로 다양한 형태로 제조되어 미적 부가가치를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자재의 최대열방출율(Heat Release Rate)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자재의 총방출열량(Total Heat Released)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상의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준불연성을 갖는 섬유소재의 실내장식물 마감재를 개발하였다.
불연(난연1급)재료란 불에 타지 않는 성질을 가진 재료를 말하는 것으로, 상기 불연재료는 KS F ISO 1182(건축 재료의 불연성 시험방법), KS F 2271(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 등에 의해 그 불연성이 판정된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석재, 벽돌, 철강, 유리, 알루미늄, 글라스울, 회(두께24㎜ 이상), 시멘트판, 섬유시멘트판, 석고시멘트판, 압출시멘트판 등이 불연성을 갖는 재료이다.
준불연(난연2급)재료란 불연재료에 준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를 말하는 것으로, 준불연 재료는 KS F ISO 5660-1〔연소성능시험-열 방출, 연기발생, 질량감소율-제1부:열방출률(콘칼로리미터법)〕, KS F 2271(건축물의 내장 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에 의해 그 준불연성에 판정된다. 상기 준불연성의 판단 기준은, 가) 가열시험 개시 후 10분간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이어야 하고, 나) 10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를 초과하지 않아야 하며, 다) 10분간 가열 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복합자재의 경우 심재가 전부 용융, 소멸되는 것을 포함한다) 등이 없어야 하고, 라) 가열종료 후 시험체의 수축률이 15% 이하이어야 하며, 마) 시험결과,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 시간이 9분 이상이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석고보드, 목모시멘트판, 펄프시멘트판, 미네랄텍스 등이 준불연성을 갖는 재료이다.
그러나 이런 자재들의 일부는 친환경적이지 못하고, 인체유해성 논란이 있으며, 가공이 쉽지않아 미적 부가가치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준불연 등급 요구 성능에 맞으면서도 미적 부가가치를 높이는데 유리한 섬유자재를 개발하여 실내장식물 자재를 제공하고자 연구하였고,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현재 섬유실내장식물 마감재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것들은 주로 열가소성 화학섬유인 폴리에스터 위주로 되어 있고, 일부 나일론이나 기타 석유화학섬유소재로 되어 있다. 상기 소재들은 발열량이 높은 석유화학섬유소재로 이루어진 것으로, 작은 불꽃에도 구멍이 뚫려 불길이 내부로 쉽게 침투하게 되므로, 난연 처리를 해도 방염등급 이상의 제품화가 용이하지 않다.
이에 본 발명은 천연 셀룰로오스섬유를 이용해서 섬유 고유의 특성은 살리면서, 석유화학섬유소재가 갖고 있는 작은 불꽃에도 구멍이 뚫리는 문제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특히, 셀룰로오스 섬유 중에서도 소재 자체에 미세한 다공질 구멍이 나 있는 레이온 소재를 이용하였다. 상기 레이온 소재는 난연제가 섬유 속 깊은 곳까지 침투될 수 있고 이로 인해 석유화학섬유소재 대비 발열량을 현저히 낮출 뿐 아니라 소재 자체의 형태가 흐트러짐 없이 그 원래의 모양을 유지함으로서 불길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준불연 등급이 요구하는 성능인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 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게 되고, 수축률이 15% 이하인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레이온섬유를 50~99 중량%로 포함하여 제직된 실내장식물 마감재를 제공한다. 상기 레이온섬유는 섬도가 1데니어 내지 7데니어이고, 섬유장은 22mm 내지 84mm 일 수 있다.
또한 준불연성 섬유 소재는 총 방출열량이 8MJ/㎡ 이하인 조건을 만족해야하고, 최대 열방출률이 200KW/㎡를 초과하는 시간이 10초 이내여야한다.
섬유실내장식물 마감재는 그 용도에 따라 두께가 두꺼울 수도 있고 얇을 수도 있다. 실내장식물의 마감재는 그 자체로서 어느 정도 형태안정성이 구비되어야하고, 이를 위해 약간의 강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실내장식물 마감재로 사용되는 섬유 소재는 형태안정성과 약간의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기본 레이온섬유의 결합을 강하게 하는 접착제 역할의 소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를 1~50 중량%로 포함시켜 제직된 마감재를 사용한다. 상기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는 섬도가 2데니어 에서 15데니어 사이이고, 섬유장은 22mm에서 84mm 사이인 것일 수 있다.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 섬유는 융점(또는 연화점)이 100 내지 200℃인 폴리에스터 섬유를 의미하는 것이다.
상기 섬유 소재는 방사단계에서 난연제로 개질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 역시 '총 방출열량이 8MJ/㎡ 이하일 것', '최대 열방출률이 200KW/㎡를 초과하는 시간이 10초 이내일 것', 및 '실험용 쥐의 행동정지시간이 9분 이상일 것'의 조건을 만족해야한다.
상기 난연제란 연소하기 어려운 재료로서 일반재료에 첨가되어 화재의 확산을 막아주는 물질이다. 난연제는 난연작용방식에 따라 할로겐계와 비할로겐 무기계 난연제로 구분할 수 있는데 할로겐계 난연제는 난연성이 좋고 경제적이나 화재 시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가스를 발생하므로 인체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자동차, 가전, 건축내장 등 일부분에서는 사용이 규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할로겐계 난연제 대신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난연성도 우수한 비할로겐 무기계 난연제를 사용하였다. 바람직하게는 황산암모늄, 이산화규소, 및 인산암모늄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무기계 난연제는 방사 단계에서 제조되는 전체 레이온 섬유 100 중량%에 대하여 28 중량% 내지 32 중량%로 첨가되어 처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비할로겐 무기계 난연제를 사용함으로써 총 방출열량을 8MJ/㎡ 이하로 할 수 있고, 10분간 최대 열방출률이 10초 이상 연속으로 200KW/㎡를 초과하지 않게 할 수 있으며, 실험용 쥐의 행동정지시간이 9분 이상 되게 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부직포 제직방법
1. 원료 혼합공정 : 규격에 맞춰 난연 레이온 섬유를 50~99 중량%,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 섬유를 1~50 중량%를 투입한 후 잘 섞이도록 혼합하였다.
상기 난연 레이온 섬유는 방사단계에서 이산화규소를 기본으로 하는 난연제를 30중량% 첨가하여 만든 것을 사용하였다.
2. 카딩공정 : 혼합된 원료가 잘 해면되도록 카딩하였다.
3. 성형공정 : 카딩된 원료를 갖고 원하는 중량이 되도록 웹형성을 해주었다.
4. 펀칭공정 : 카딩된 웹이 서로 잘 결속되도록 펀칭하였다. 이때, 펀칭된 원단이 원하는 두께가 되도록 펀칭 속도를 조정하였다.
5. 건조공정 : 펀칭된 원단이 적절한 강도를 갖도록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를 용융하였다.
6. 검사공정 : 두께, 중량, 성능, 외관 등이 규격에 맞는지 검사하였다.
상기 난연 레이온 섬유와 폴리에스터 섬유의 혼합중량비는 하기 표 1과 같다.
난연레이온섬유
중량%
저융점 접착폴리에스터섬유 중량% 원단중량
(g/㎡)
A 90 10 596
B 95 5 769
C 95 5 585
D 85 15 656
E 70 30 730
F 60 40 764
G 70 30 560
H
원단1+원단2접착
원단1: 70
원단2: 100
원단1: 30
원단2: 0
원단1: 560
원단2: 150
A. 난연 레이온섬유 90중량%와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 10중량%를 혼합하여 원단중량 596g/m2의 연베이지색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B. 난연 레이온섬유 95중량%와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 5중량%를 혼합하여 원단중량 769g/m2의 진베이지색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C. 난연 레이온섬유 95중량%와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 5중량%를 혼합하여 원단중량 585g/m2의 연그레이색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D. 난연 레이온섬유 85중량%와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 15중량%를 혼합하여 원단중량 656g/m2의 연그레이색 부직포를 만들어 제조하였다.
E. 난연 레이온섬유 70중량%와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 30중량%를 혼합하여 원단중량 730g/m2의 연그레이색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F. 난연 레이온섬유 60중량%와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 40중량%를 혼합하여 원단중량 764g/m2의 연그레이색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G. 난연 레이온섬유 70중량%와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 30중량%를 혼합하여 원단중량 560g/m2의 화이트색 부직포를 제조하였다.
H. 난연 레이온섬유 70중량%와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 30중량%를 혼합하여 원단중량 560g/m2의 화이트색 부직포와 난연 레이온섬유 100중량% 원단중량 150g/m2의 블랙색 부직포를 만들어 접착하였다.
실시예 2. KS F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으로 10분간 가열 후 총방출열량(MJ/m2) 확인
제조된 A 내지 H 부직포에 대하여 KS F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으로 10분간 가열 후, 총방출열량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도 1 및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총방출열량
(MJ/㎡)
A 6.95
B 8.11
C 6.16
D 7.96
E 9.76
F 13.95
G 8.16
H
원단1+원단2접착
9.81
실시예 3. KS F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으로 10분간 가열 후 최대열방출율이 200 KW/㎡를 초과하는 시간 확인
A 내지 H의 KS F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으로 10분간 가열 후 최대열방출율이 10초이상 200 KW/m2 를 초과하는지 여부를 시험한 결과를 도 2 및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모든 부직포의 열 방출율이 200 KW/m2를 초과하는 시간은 0.0초로 확인되었다.
최대열방출율
(KW/㎡)
200 KW/㎡
초과시간(초)
A 156.1 0.0
B 112.3 0.0
C 117.0 0.0
D 152.6 0.0
E 152.2 0.0
F 190.4 0.0
G 185.0 0.0
H
원단1+원단2
접착
94.2 0.0
실시예 4. 난연레이온섬유 85중량%와 저융점 접착폴리에스터섬유 15중량%, 원단중량 500g/㎡인 부직포의 준불연성능 확인
1. 난연 레이온섬유 85중량%와 저융점 접착 폴리에스터섬유 15중량%를 혼합하여 원단중량 500g/m2의 블랙색 부직포를 만들어 한국 소방산업기술원에서 준불연성능을 확인하였다.
2. KS F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으로 10분간 가열 후 세 차례에 걸쳐 총방출열량을 시험한 결과 1차 2.6 MJ/m2, 2차 4.2 MJ/m2, 3차 3.9 MJ/m2의 총방출열량이 검출되었다. 평균 3.6 MJ/m2로서 준불연등급 기준인 『총방출열량이 8.0 MJ/m2이하』 기준을 만족시켜 합격판정을 받았다.
3. KS F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으로 10분간 가열 후 최대열방출율이 10초이상 200 KW/㎡를 초과하는지 세 차례에 걸쳐 시험한 결과 1차 0.0초, 2차 0.0초, 3차 0.0초의 최대열방출율이 검출되었다. 평균 0.0초로서 준불연등급 기준인 『최대열방출율이 200 KW/㎡를 초과하는 시간이 10초 이내』인 기준을 만족시켜 합격판정을 받았다.
4. KS F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으로 10분간 가열 후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는지에 대해 세 차례에 걸쳐 시험한 결과 1차 없음, 2차 없음, 3차 없음의 결과가 나와 준불연등급 기준인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을 것』이라는 기준을 만족시켜 합격판정을 받았다.
5. KS F ISO 5660-1 콘칼로리미터법으로 10분간 가열 후 세 차례에 걸쳐 수축율을 시험한 결과 1차 11.0%, 2차 10.0%, 3차 10.0%의 결과가 나왔다. 평균수축율 10.3%로서 준불연등급 기준인 『수축율 15% 이하』인 기준을 만족시켜 합격판정을 받았다.
6. KS F ISO 2271 건축물의 내장재료 및 구조의 난연성 시험방법에 의거 가열 시작 후 15분 동안 8마리의 시험용 흰쥐마다 행동을 정지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고 시험용 흰쥐의 평균 행동정지시간을 계산하는 가스유해성 시험을 두 차례 한 결과 1차 14분 52초, 2차 12분 12초의 결과가 나와 준불연등급 기준인 『시험체 2개에 대한 각각의 흰쥐 평균 행동정지시간의 값이 9분 이상일 것』이라는 기준을 만족시켜 합격판정을 받았다.
7. 45도 연소시험을 통한 방염성능 시험방법에 의거 120초 동안 가열 후 세차례의 잔염시간을 시험한 결과 1차 0.0초, 2차 0.0초, 3차 0.0초의 결과가 나왔다. 평균 잔염시간 0.0초로서 준불연등급 기준인 『잔염시간 5초 이내』인 기준을 만족시켜 합격판정을 받았다.
8. 45도 연소시험을 통한 방염성능 시험방법에 의거 120초 동안 가열 후 세차례의 잔신시간을 시험한 결과 1차 0.0초, 2차 0.0초, 3차 0.0초의 결과가 나왔다. 평균 잔신시간 0.0초로서 준불연등급 기준인 『잔신시간 20초 이내』인 기준을 만족시켜 합격판정을 받았다.
9. 45도 연소시험을 통한 방염성능 시험방법에 의거 120초 동안 가열 후 세차례의 탄화면적을 시험한 결과 1차 26.5㎠, 2차 29.1㎠, 3차 28.4㎠의 결과가 나왔다. 평균 탄화면적 28.0㎠로서 준불연등급 기준인 『탄화면적 40㎠ 이내』인 기준을 만족시켜 합격판정을 받았다.
10. 45도 연소시험을 통한 방염성능 시험방법에 의거 120초 동안 가열 후 세차례의 탄화길이를 시험한 결과 1차 6.5㎝, 2차 6.9㎝, 3차 6.7㎝의 결과가 나왔다. 평균 탄화길이 6.7㎝로서 준불연등급 기준인 『탄화길이 20㎝ 이내』인 기준을 만족시켜 합격판정을 받았다.
그 결과를 종합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항목 기준 검 사 결 과 판정
열방출율
시험
총방출열량이 8MJ/㎡ 이하 2.6 MJ 4.2 MJ 3.9 MJ 합격
최대열방출율이 200KW/㎡를 초과하는 시간이 10초 이내 0.0초 0.0초 0.0초 합격
시험체를 관통하는 방화상 유해한 균열, 구멍 및 용융 등이 없을 것 없음 없음 없음 합격
수축율 15% 이하 11.0% 10.0% 10.0% 합격
가스유해성 시험 실험용 쥐의 행동정지시간이
9분 이상
14분 52초 12분 12초 합격
방염성능
시험
잔염시간 5s 이내 0.0s 0.0s 0.0s 적합
잔신시간 20s 이내 0.0s 0.0s 0.0s 적합
탄화면적 40㎠ 이내 26.5㎠ 29.1㎠ 28.4㎠ 적합
탄화길이 20㎝ 이내 6.5㎝ 6.9㎝ 6.7㎝ 적합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부직포의 준불연 성능이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몇 가지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이들 실시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는 없다. 이들 신규의 실시형태는 그 밖의 다른 여러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 생략, 치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이들 실시형태나 그 변경은 발명의 범위나 요지에 포함되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과 그 균등한 범위에 포함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직물 제조 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7)

  1. 무기계 난연제를 이용하여 개질된 레이온섬유 및 폴리에스터섬유로 제직된 부직포를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는 레이온섬유 85 내지 95 중량% 및 폴리에스터섬유 5 내지 15 중량%로 제직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을 갖는 실내장식물 마감재.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섬유는 저융점 폴리에스터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을 갖는 실내장식물 마감재.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온섬유는 섬도가 1데니어 내지 7데니어이고, 섬유장은 22mm 내지 84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을 갖는 실내장식물 마감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터섬유는 섬도가 2데니어 내지 15데니어이고, 섬유장은 22mm 내지 84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을 갖는 실내장식물 마감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온 섬유는 방사 단계에서 무기계 난연제로 개질된 것으로, 상기 무기계 난연제는 황산암모늄, 이산화규소, 및 인산암모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준불연성을 갖는 실내장식물 마감재.
KR1020200045573A 2020-04-14 2020-04-14 준불연 실내장식물 마감재 KR102384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73A KR102384376B1 (ko) 2020-04-14 2020-04-14 준불연 실내장식물 마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45573A KR102384376B1 (ko) 2020-04-14 2020-04-14 준불연 실내장식물 마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549A KR20210127549A (ko) 2021-10-22
KR102384376B1 true KR102384376B1 (ko) 2022-04-07

Family

ID=78275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45573A KR102384376B1 (ko) 2020-04-14 2020-04-14 준불연 실내장식물 마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43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045A (ja) * 1999-06-08 2000-12-12 Asahi Chem Ind Co Ltd ケイ素系非ハロゲン難燃組成物
KR100756557B1 (ko) * 2006-04-27 2007-09-11 (주)리디아 난연처리된 레이온 단사를 이용한 방염 부직포 및 원단 및그 제조방법
KR101280553B1 (ko) * 2012-01-03 2013-07-01 남택욱 레이온 단섬유와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준 불연 방적사 및 이를 사용한 원단
JP2015187317A (ja) * 2014-03-27 2015-10-29 帝人株式会社 繊維用防炎加工剤、防炎繊維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防炎繊維製品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6040A (ko) 2013-12-26 2015-07-06 심대근 난연성(難燃性) 마감재 패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5045A (ja) * 1999-06-08 2000-12-12 Asahi Chem Ind Co Ltd ケイ素系非ハロゲン難燃組成物
KR100756557B1 (ko) * 2006-04-27 2007-09-11 (주)리디아 난연처리된 레이온 단사를 이용한 방염 부직포 및 원단 및그 제조방법
KR101280553B1 (ko) * 2012-01-03 2013-07-01 남택욱 레이온 단섬유와 탄소섬유를 포함하는 준 불연 방적사 및 이를 사용한 원단
JP2015187317A (ja) * 2014-03-27 2015-10-29 帝人株式会社 繊維用防炎加工剤、防炎繊維製品の製造方法、および防炎繊維製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7549A (ko) 2021-10-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175881B (zh) 带有屏障外皮的无纺材料
US20050138888A1 (en) Fire resistance rating system
US20050022466A1 (en) Fire resistance rating system
US5955386A (en) Fire hydrant thermal and acoustic insulation material
CN102817415A (zh) 一种新型的玄武岩纤维墙体保温板的制造方法
AU201620439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a nonwoven ceiling tile and wall panel
KR102384376B1 (ko) 준불연 실내장식물 마감재
CN103820944A (zh) 一种阻燃无纺布
KR101999686B1 (ko) 건축 내장 마감용 불연성 발열보드
EP1037740B1 (en) Fire retardant thermal and acoustic insulation material
KR20210094425A (ko) 친환경 천장재 및 제조 방법
KR101876205B1 (ko) 솔잎분말이 함유된 불연성 스프레이 몰탈 보온재, 이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및 샌드위치 패널
KR200421094Y1 (ko) 난연성, 흡음 및 차음 특성이 우수한 건축내장재용 부직포복합판재
CN206091806U (zh) 一种隔音防火不锈钢门扇
KR100895704B1 (ko) 불연제 조성물, 및 이를 처리한 준불연성 직물
McNeil et al. The Development of Wool-Based Passive Filters Toimprove Indoor Air Quality
KR100485138B1 (ko) 난연성 섬유판재
KR20170115867A (ko) Pvc 방염 판넬 및 그의 제조방법, 및 방염 도어
KR200219294Y1 (ko) 방염 벽지
JP3245412U (ja) 難燃材
CN214354691U (zh) 一种具有阻燃功能的细木工板
KR200310389Y1 (ko) 난연성 섬유판재
DE19512582A1 (de) Auskleidungen von Raumschießanlagen
KR102139231B1 (ko) 멀티기능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멀티기능형 실내장식용 패널
KR20170021486A (ko) 단열흡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