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4445B1 - 덕트의 이음매 구조 - Google Patents
덕트의 이음매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484445B1 KR100484445B1 KR10-2002-7014231A KR20027014231A KR100484445B1 KR 100484445 B1 KR100484445 B1 KR 100484445B1 KR 20027014231 A KR20027014231 A KR 20027014231A KR 100484445 B1 KR100484445 B1 KR 10048444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uct
- shaped groove
- plate
- joint structure
- bent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9/00—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 B21D39/02—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 B21D39/021—Application of procedures in order to connect objects or parts, e.g. coating with sheet metal otherwise than by plating; Tube expanders of sheet metal by folding, e.g. connecting edges of a sheet to form a cylinder for panels, e.g. vehicle do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09—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connecting means, e.g. flang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38/00—Pipes and tubular conduits
- Y10S138/04—Air condit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성형가공이 용이하며 본 출원인에 의하여 이미 출원된 신규한 덕트의 이음매 구조의 장점을 구비하도록 구성한 덕트 이음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2개의 판재 중 일방의 판재의 선단부가, 사이각이 90도 이상이 되도록 절곡됨과 함께, 타방의 판재의 단부에, 상기 일방의 판재의 절곡된 선단부를 수용하도록 그 선단부에 U자형 홈을, 적어도 그 홈의 개구 근방 부분이 상기 일방의 판재의 절곡 각도에 맞도록 형성하며, 또한, 상기 타방의 판재의 U자형 홈의 적어도 아래 쪽 부분을, 상기 U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보다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을 구성하였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설 설비의 일종인 공조용 또는 흡배기용 등으로 사용되는 덕트를 구성하는 판재 사이의 이음매 부분의 이음매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자는, 종래 100년 간 이상에 걸쳐 채용되어 왔던 전통적인 형태의 공조용 또는 흡배기용 등으로 사용되는 덕트(도 19 참조)에 대해서, 도 17,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 시에 소음이 없고, 보관과 반송 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며, 더욱이 매달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매단 위치에 관하여 자유도를 가지는, 새로운 형태의 덕트를 개발한 바 있다(일본국 특허 공개 평성 10년 제47741호).
상기 도 17, 18에 도시된 새로운 형태의 덕트는, 상술한 장점으로 인하여 일본은 물론이고, 미국 및 유럽을 비롯해 여러 외국의 덕트 업계부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런데, 상기 새로운 형태의 덕트는, 덕트의 연결 부분의 구조가 종래 것에 비해 복잡하고 신규한 구조이므로, 종래의 덕트 성형기는 물론, 그것을 개량한 정도의 성형기로는 제조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즉, 도 17,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덕트 이음매 구조에 비하여 얇은 판재를 2번 절곡한 부분을 더 절곡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왜곡 등의 영향이 복잡하고 커서 판금가공 기술로서는 가공이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종래의 판금가공 기술을 집적한 신규의 성형기를 사용하더라도, 누구나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아주 많은 조건을 모두 만족시킨 경우에는 소망하는 형상을 얻을 수 있지만, 예를 들어 성형 롤러 표면의 거칠기 등이 사용에 의해 조금이라도 변화하는 등, 다수의 조건 중 하나의 조건이 변화하면 소망하는 형상으로의 성형이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은, 이러한 현황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보다 성형가공이 용이하고 상기 신규한 덕트의 연결구조의 장점도 구비하도록 구성한 덕트 이음매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로서, 도 1a는 조립 완료 전의 상태를, 도 1b는 조립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의 판재와 타방의 판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a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타방 부재(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일방 부재(판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3a는 조립완료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3b는 조립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의 판재와 타방의 판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4a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타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일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5a는 조립완료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5b는 조립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의 판재와 타방의 판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6a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타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b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일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 7a는 조립완료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7b는 조립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의 판재와 탕방의 판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8a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타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일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의 판재와 타방의 판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0a는 도 9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타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일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의 판재와 타방의 판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2a는 도 11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타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b는 도 11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일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의 판재와 타방의 판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4a는 도 13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일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b는 도 13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타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의 판재와 타방의 판재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16a는 도 15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타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6b는 도 15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의 일방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자의 선행 발명에 따른 덕트의 이음매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자의 선행 발명에 따른 다른 형태의 덕트의 이음매 구조를 나타내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19는 덕트의 전체 외관 형상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덕트 이음매의 조립에 사용되는 수동 공구와 그것에 의해 조립되는 이음매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덕트 이음매의 조립에 사용되는 전동 공구와 그것에 의해 조립되는 이음매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이음매 구조에 의해 조립된 덕트를 천장 등에 매달아 설치하기 위한 행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발명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는,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덕트의 2개 판재의, 상기 직교하는 근방 부위에, 접합 라인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이 연장 설치된 형태의 덕트 이음매 구조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판재 중 일방의 판재의 단부가 사이 각이 90도 이상이 되도록 절곡됨과 함께, 타방의 판재의 단부에 상기 일방의 판재의 절곡된 선단 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 선단부에 U자형 홈(엄밀하게는 「U」자형 만이 아니라 한쪽이 개방된 역 Ω형 또는 V자형 홈도 포함하는 넓은 개념을 말한다. 이하 마찬가지이다)을, 적어도 상기 홈의 개구 근방 부분이 상기 일방의 판재의 절곡 각도에 맞도록 형성하며, 또한 상기 타방의 판재의 U자형 홈의 적어도 아래 쪽 부분을, 상기 U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보다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음매 구조에서는, 종래의 새로운 덕트의 이음매 구조에 비하여, 성형 가공시의 절곡 부분을 1/2 정도로 줄일 수 있으며, 이중으로 절곡된 부분을 더 절곡시켜야 하는 성형 가공부분을 배제할 수 있으므로, 더욱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술한 「조립시에 소음이 없고, 보관과 운송 효율이 비약적으로 향상되며, 매달아 설치하는 것이 용이하고 자유도를 갖는」다는 종래의 새로운 덕트의 이음매 구조의 장점은 고스란히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덕트 이음매 구조에 있어서, 상기 U자형 홈이, 그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직선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하면 매우 간단하면서 더욱 바람직한 실시형태가 된다.
또한, 상기 덕트 이음매 구조에 있어서, 상기 U자형 홈이 개구 근방 부분에서 상기 일방의 부재의 굴절된 선단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U자형 홈의 아래쪽 부분이 상기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에 대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의 실시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1)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를, 소위 「피츠버그 시임(Pittsburgh seam)」에 적용한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덕트의 이음매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로서, 도 1a는 조립 완료 전의 상태를, 도 1b는 조립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a 및 도 2b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의 부재(판재)와 타방의 부재(판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참조부호 1은 일방의 판재(예를 들면, 금속제의 얇은 판재)를 나타내며, 참조부호 2는 타방의 판재(예를 들면, 금속제의 얇은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일방의 판재(1)의 선단부(1A), 즉 도 2b에서의 왼쪽 단부는, 그 사이 각이 약 90도 이상,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약 135도의 각도가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방의 판재(2)의 선단부(2c)에는, U자형의 홈(2A)이 상기 일방 부재(1)의 절곡 각도에 맞춰서,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U자형의 홈(2A)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외면(2B)에 대하여 약 45도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U자형 홈(2A)은, 상기 타방 부재(2)의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2B)으로부터, 비스듬하게(도 1에 있어서 왼쪽 아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U자형의 홈(2A)에 의하여 덕트의 길이 방향(2개의 판재의 접합 라인; 도 1b의 화살표 Y방향 참조)을 따라 가이드 레일(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U자형 홈(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그 선단 쪽에 위치하는 자유단(2e)은, 상기 기단측의 외면(2B)을 연장한 가상선으로부터 U자형의 홈(2A)의 반대측(도 1a에서의 우측)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 부분의 치수 L은, 적당하게 결정하면 되지만, 적어도 후술하는 덕트 조립 완료 후에, 상기 일방 부재(1)가 U자형 홈(2A)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치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덕트의 이음매 구조에 의하면, 도 17에 도시된 덕트의 이음매 구조에 비하여, 절곡부가 적을 뿐만 아니라 이중으로 된 부분을 더욱 절곡한 듯한 절곡부가 없기 때문에, 간단하면서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고, 따라서 전용 성형기를 제작하면 자동적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굴곡부가 적으며 이중으로 절곡된 부분을 더욱 절곡한 듯한 절곡부가 없기 때문에, 성형 롤러의 수(다시 말하면, 성형의 공정의 수)가 적어지고, 단순한 구성의 성형기로 성형 가공을 할 수 있다.
또한, 강도 면에서는, 도 17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에 비하여 절곡부가 적기 때문에, 단면 2차 모멘트가 작아져 강성은 저하되지만, 이 점에 대해서는 판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일방 부재(1)와 타방 부재(2)를 이용한 이음매를 조립할 때에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방 부재(1)의 절곡된 선단부(좌단부)(1A)를 타방 부재(2)의 U자형의 홈(2A)의 개구로부터 내부로 삽입한 다음, 상기 타방 부재(2)의 자유단(2e) 측의 연장된 부분을 상기 일방 부재(1)의 표면에 부합되도록,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하여, 덕트를 형성하는 2개의 부재의 이음매 부분을 접속시킬 수 있다. 또한, 덕트의 경우에는 이와 같은 이음매 부분이 네 모서리에, 즉 4군데에 형성되게 된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이음매 구조를 소위 「피츠버그 시임」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덕트의 이음매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로서, 도 3a는 조립 완료 전의 상태를, 도 3b는 조립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4a 및 도 4b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 부재와 타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참조부호 11은 일방 판재를, 12는 타방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일방 판재(11)의 선단부(11A), 즉 도 4b에서의 좌단부는, 그 사이 각이 약 90도 이상,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약 135도의 각도가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는,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타방 판재(12)의 선단부(12c)에는, U자형의 홈(12A)이 상기 일방 부재(11)의 절곡 각도에 맞춰서,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U자형 홈(12A)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외면(12B)에 대하여 약 45도로, 절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U자형 홈(12A)은, 상기 타방 부재(12)의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12B)으로부터, 비스듬하게(도 3에서 왼쪽 아래 방향으로) 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U자형 홈(12A)에 의해 덕트의 길이 방향(2개의 판재의 접합 라인; 도 3b의 화살표 Y방향 참조)을 따라 가이드 레일(1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U자형 홈(12A)이 형성되어 있는 선단 쪽에 위치하는 자유단(12e)은, 상기 기단측의 외면(12B)을 연장한 가상선으로부터, U자형 홈(12A)의 반대측(그림3(a)에 있어서 우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부분의 치수 L은,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런데, 본 실시예 2에서는, 상기 타방 부재(12)의 기단측 외면(12B)의 하단부(12b)가 그 상단부(12a)에 비하여, U자형 홈(12A)쪽으로 돌출되도록, 상단부(12a)와 하단부(12b) 사이에 계단식의 굴곡부(R)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성된 덕트의 이음매 구조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1의 경우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상단부(12a)와 하단부(12b) 사이에 계단식 굴곡부(R)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타방 부재, 나아가서는 덕트의 이음매구조 부분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지게 되어, 덕트의 이음매구조 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U자형 홈(12A)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외면(12B)의 하단부(12b)로부터의 돌출 치수를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외면(12B)에 대한 가이드 레일(3)의 돌출량이 적은 덕트를 실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동일한 외형 치수를 갖는 덕트의 경우에, 유효 통풍 단면적이 더 큰 덕트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3)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이음매 구조를 소위 「피츠버그 시임」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제 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덕트의 이음매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로서, 도 5a는 조립 완료 전의 상태를, 도 5b는 조립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6a 및 도 6b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 부재와 타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참조부호 21은 일방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며, 참조부호 22는 타방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일방 판재(21)의 선단부(21A), 즉 도 6b에서의 좌측 단부는, 사이 각이 약 90도 이상,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약 90도의 각도가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방 판재(22)의 선단부(22c)에는, U자형 홈(22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3의 경우, U자형 홈(22A)의 상단부(개구 근방 부분)(22a)는 상기 일방 부재(21)의 절곡 각도에 맞춰서, 즉 본 실시예 3의 경우에는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되며, 하단부(바닥쪽 부분)22b는 U자형 홈(22A)의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22B)에 대하여 약 45도의 각도로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 3의 경우에는, U자형 홈(22A)은 중간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진 방향(옆방향; 도 5a, 도 5b, 도 6a에서의 왼쪽 아래방향)으로 절곡되어 U자형 홈(22A)의 아래쪽이 외면(22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U자형 홈(22A)의 아래쪽 부분에 의하여, 덕트의 길이 방향(2개의 판재의 접합 라인; 도 5b의 화살표 Y방향 참조)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23)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U자형 홈(22A)이 형성되어 있는 선단측에 위치하는 자유단(22e)은 상기 기단측의 외면(22B) 상단보다 위쪽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 부분의 치수 L는, 상기 실시예1 및 2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덕트 이음매 구조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경우와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U자형 홈(22A)이 중간부에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타방 부재(22), 나아가서는 덕트의 이음매구조 부분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서 이음매구조 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실시예4)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이음매 구조를 소위 「피츠버그 시임」에 적용한 다른 실시예(제 4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는 덕트의 이음매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로서, 도 7a는 조립 완료 전의 상태를, 도 7b는 조립 완료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8a 및 도 8b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 부재와 타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참조부호 31은 일방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며, 참조부호 32는 타방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일방 판재(31)의 선단부(31A), 즉 도 8b에서의 좌측 단부는, 사이 각이 약 90도 이상,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약 90도의 각도가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방 판재(32)의 선단부(32c)에는, U자형 홈(32A)이 형성 되어 있다. 본 실시예 4의 경우, U자형의 홈(32A)의 상단부(개구 근방 부분)(32a)는 상기 일방 부재(31)의 절곡 각도에 맞춰서, 즉 본 실시예 4의 경우에는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되며, 하단부(아래쪽 부분)(32b)는 U자형 홈(32A)의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32B)에 대하여 약 45도의 각도로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 4의 경우에는, U자형의 홈(32A)은 중간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진 방향(옆방향; 도 7a, 도 7b, 도 8a에서의 왼쪽 아래방향)으로 굴곡되어 U자형 홈(32A)의 아래쪽이 외면(32B)으로부터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U자형의 홈(32A)의 아래쪽 부분에 의하여, 덕트의 길이방향(2개의 판재의 접합 라인; 도 7b의 화살표 Y방향 참조)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33)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 4의 경우도, 실시예 2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타방 부재(32)의 기단측 외면(32B)의 하단부(32g)가 그 상단부(32k)에 비하여, U자형 홈(32A)쪽으로 돌출되도록, 상단부(32k)와 하단부(32g) 사이에 계단식의 굴곡부(R)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U자형 홈(32A)이 형성되어 있는 자유단(32e)은 상기 기단측의 외면(32B) 상단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하도록 연장되어 있다. 이러한 연장 부분의 치수 L은, 상기 실시예 1??3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덕트의 이음매구조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1??3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U자형 홈(32A)이 중간에서 절곡되어 있으며, 외면(32B)도 중간에서 절곡되어 있기 때문에, 실시예 2 및 3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타방 부재(32), 나아가서는 이음매구조 부분의 단면 2차 모멘트가 커져, 덕트의 이음매구조 부분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실시예5)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이음매 구조를 소위 「버튼 펀치 스냅 시임(button punch snap seam)」에 적용한 제 5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덕트의 이음매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10a 및 도 10b는 도 9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 부재와 타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참조부호 41은 일방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며, 참조부호 42는 타방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일방 판재(41)의 선단부(41A), 즉 도 10b에서의 좌측 단부는, 사이 각이 약 90도 이상,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약 135도의 각도가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 5의 경우에는,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일방 판재(41)의 선단부(41A)에 결합용 돌기(N)가 덕트의 길이방향(도 10b의 화살표 Y방향 참조)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방 판재(42)의 선단부(42c)에는, 도 10(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홈(42A)이 상기 일방 부재(41)의 절곡 각도에 맞추어, 즉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U자형 홈(42A)의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42B)에 대하여 약 45도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 U자형 홈(42A)은, 상기 타방 부재(42)의 기단측에 위치하는 외면(42B)에 다하여 비스듬하게(도 9, 도 10a에서는 왼쪽 아래방향으로)직선적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U자형 홈(42A)에 의해 덕트의 길이방향(2개의 판재의 접합라인; 도 9의 화살표 Y방향 참조)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4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U자형 홈(42A)이 형성되어 있는 자유단부(42c)는, 도 9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형 홈(42A) 내측에 그 자유단(42c)이 U자형 홈(42A)의 홈 바닥측을 향하도록, U자형으로 다시 절곡 됨으로써, 상기 일방 부재(41)의 단부(41A)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용 돌기(N)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N)는, 본 실시예에서는 단속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지만,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성으로 할 경우 타방 부재(42), 나아가서는 덕트의 이음매 부분의 단면 2차 모멘트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덕트의 이음매 구조에 의하면, 도 18에 도시된 덕트의 이음매 구조에 비하여, 절곡된 부분이 적을 뿐만 아니라, 이중으로 된 부분을 더욱 절곡한 것 같은 절곡부도 없기 때문에, 간단하고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따라서 성형기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절곡된 부분이 적고, 이중으로 된 부분을 더욱 절곡한 것과 같은 절곡부가 없기 때문에, 성형 롤러의 수(다시 말하면, 성형공정의 수)가 적고, 게다가 단순한 구성 성형기로 성형 가공할 수 있다.
또한, 강도 면에서는, 도 18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에 비하여, 절곡부가 적기 때문에 강성은 저하되지만,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판자 두께를 두껍게 함으로써 간단하게 대응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일방 부재(41)와 타방 부재(42)를 사용한 이음매를 조립할 때에는, 도 10a에 도시된 일방 부재(41)의 절곡된 왼쪽 단부를, 도10b에 도시된 타방 부재(42)의 U자형 홈(42A)의 개구 안으로 삽입(압입)하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방 부재(41)의 돌기(N)가, 타방 부재(42)의 U자형 홈(42A)의 자유단(42c)에 걸리게 되며, 상기 일방 부재(41)가 타방 부재(42)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6)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이음매 구조를 소위 「버튼 펀치 스냅 시임」에 적용한 제 6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덕트의 이음매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 부재와 타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참조부호 51은 일방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며, 참조부호 52는 타방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일방 판재(51)의 선단부(51A), 즉 도 14b에서의 좌측 단부는, 사이 각이 약 90도 이상,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약 90도의 각도가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 6의 경우에는, 도 14b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일방 판재(51)의 선단부(51A)에 결합용 돌기(N)가 덕트의 길이방향(도 14b의 화살표 Y방향 참조)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단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방 판재(52)의 선단부(52c)에는 U자형 홈(52A),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정확하게는 약간 내부에서 확장된 U자형의 홈(52A)이 상기 일방 부재(51)의 절곡 각도에 맞추어, 즉 U자형 홈(52A)의 외면(52B)쪽 벽 부분의 상단부(52a)가 상기 일방 부재(51)의 절곡 각도에 맞추어, 외면(52B)에 대하여 거의 평행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상기 U자형 홈(52A)의 상기 상단부(52a)의 아래쪽에 위치하는 하단부(52b)는, 외면(52B)에 대하여 약 45도의 각도로 절곡되며, 이 하단부(아래쪽 부분)(52b)에 의하여 가이드 레일(53)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U자형 홈(52A)이 형성되어 있는 자유단부(52C)는, U자형 홈(52A)의 내측에서 그 자유단(52e)이 U자형 홈(52A)의 홈 바닥측을 향하도록, U자형으로 다시 절곡됨으로써, 상기 일방 부재(51)의 선단부(51A)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용 돌기(N)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N)는, 본 실시예에서는 단속적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있지만, 별도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렇게 구성되는 경우, 일방 부재(51), 나아가서는 덕트의 이음매 부분의 단면 2차 모멘트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덕트의 이음매 구조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5의 경우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U자형 홈(52A)이 단면 형상에 있어서 개구에 비하여 홈의 내부에서 약간 확장되어 있으므로, 성형이 하기 쉽고, 단면 2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다.
(실시예7)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이음매 구조를 소위 「버튼 펀치 스냅 시임」에 적용한 제 7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5는 덕트의 이음매 부분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확대도이며, 도 16a 및 도 16b는 도 15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를 구성하는 일방 부재와 타방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참조부호 61은 일방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며, 참조부호 62는 타방 판재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일방 판재(61)의 선단부(61A), 즉 도 16b에서의 좌측 단부는, 사이 각이 약 90도 이상,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약 90도의 각도가 되도록 절곡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 7의 경우에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방 판재(61)의 선단부(61A)에는 결합용 돌기(N)가 덕트의 길이방향(도 16b의 화살표 Y방향 참조)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타방 판재(62)의 선단부(62c)에는 U자형 홈(62A)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 7의 경우, U자형 홈(62A)의 상단부(개구 근방 부분)(62a)는 상기 일방 부재(61)의 선단부(61A)의 굴곡 각도에 맞추어, 즉 본 실시예 7의 경우에는 약 90도의 각도로 절곡됨과 함께, 하단부(아래쪽 부분)(62b)는 외면(62B)에 대하여 약 45도의 각도로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 7의 경우에는, U자형 홈(62A)은 중간부로부터 외측으로 경사진 방향(옆 방향; 도 15 및 도 16a에서의 좌측 아래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U자형 홈(62A)의 아래쪽 부분에 의하여, 타방 부재(62), 다시 말하면 덕트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63)이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이 U자형 홈(62A)이 형성되어 있는 자유단부(62C)는, U자형 홈(62A)의 내측에서 그 자유단(62e)이 U자형 홈(62A)의 홈 바닥측을 향하도록, U자형으로 다시 절곡됨으로써, 상기 일방 부재(61)의 선단부(61A)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용 돌기(N)에 걸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N)는, 본 실시예에서는 길이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지만, 단속적으로 복수 개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 7과 같이, 돌기(N)를 연속적으로 구성하면 일방 부재(61), 나아가서는 덕트의 이음매 부분의 단면 2차 모멘트를 더욱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덕트의 이음매 구조에 의하면, 상기 실시예 5 및 6의 경우와 기본적으로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돌기(N)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일방 부재(61)의 단면 2차 모멘트를 크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덕트 이음매 구조에 의하면,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덕트 이음매 구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도 20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용 수작업용 조립공구 또는 도 21에 도시된 것과 같은 전동 조립 공구를 사용하여, 큰 소음을 내지 않으면서, 매우 높은 효율로, 더욱이 여성 등 힘이 약한 사람도 혼자서 조립할 수 있다. 도 20에서, 화살표 R은 조립할 때의 동작을 나타내고, 도 21의 화살표 Q는, 이러한 조립공구가 지면(紙面) 안쪽 방향으로 조립해 나갈 때, 롤러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
또한, 판 형상의 일방 부재 및 타방 부재를, 필요에 따라 현장에서 수시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창고 및 현장에서의 보관 효율이 현저하게 높으며, 운송 효율도 현저하게 높아진다.
이에 더하여, 덕트를 매다는 경우에, 상기 가이드 레일을 이용하여, 도 22에 도시된 것과 같은 행거의 설편(T)에 결합하고, 또한 양 날개부(Wl, W2)를 설편(T) 쪽으로 절곡함으로써, 설편(T)과 양 날개부(Wl, W2)에 고정하고, 좌우 제각각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행거를 이용하여 매달 수 있기 때문에, 건물의 대들보가 있어도 간단하게 매달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일방 부재와 타방 부재 사이의 하나의 접합 부분에 대한 이음매 구조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 이음매 구조는 타방 부재의 다른 한쪽의 단부에도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이음매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일방 부재 2매와 타방 부재 2매를, 각각의 접합부, 즉 네 모서리의 접합부를 각각 조립함으로써,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덕트가 형성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설명할 필요조차 없는 당연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덕트의 이음매 구조에 의하면, 간단하면서 안정적으로 성형할 수 있으며, 또한 심플한 구성의 성형기로 성형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이음매 구조를 구비한 덕트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이음매 구조와 동일하게, 소음 없이 간단하게, 여성이라도 신속하게 덕트를 조립할 수 있으므로, 현장에서의 공사 진척 상태에 따라서 조립할 수 있다.
따라서, 판재로서 보관할 수 있으므로, 제조공장에서 표준품으로 생산하여도 보관할 수 있으며, 또한 현장으로의 운송에 있어서도 트럭의 허용량 가득 적재하여 운송할 수 있고, 따라서 운송효율이 양호하게 된다.
Claims (3)
- 단면에서 볼 때 실질적으로 직교하는 덕트의 2개 판재의 상기 직교하는 근방 부위에, 접합 라인을 따라서 가이드 레일이 연장 설치된 형태의 덕트 이음매 구조에 있어서,상기 2개의 판재 중 일방의 판재의 단부가 사이 각이 90도 이상이 되도록 절곡됨과 함께,타방의 판재의 단부에 상기 일방의 판재의 절곡된 선단 부분을 수용하기 위하여 그 선단부에 U자형 홈을, 적어도 상기 홈의 개구 근방 부분이 상기 일방의 판재의 절곡 각도에 맞도록 형성하며, 또한 상기 타방의 판재의 U자형 홈의 적어도 아래 쪽 부분을, 상기 U자형 홈이 형성되어 있는 부위보다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레일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이음매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U자형 홈이, 그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로 직선적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이음매 구조.
- 제 1 항에 있어서,상기 U자형 홈이 개구 근방 부분에서 상기 일방의 부재의 굴절된 선단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U자형 홈의 아래쪽 부분이 상기 기단측에 위치하여 덕트의 한 벽면을 형성하는 외면에 대하여 돌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의 이음매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JP2000/002746 WO2001084058A1 (fr) | 2000-04-27 | 2000-04-27 | Structure de joint de conduit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20091236A KR20020091236A (ko) | 2002-12-05 |
KR100484445B1 true KR100484445B1 (ko) | 2005-04-22 |
Family
ID=117359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2-7014231A KR100484445B1 (ko) | 2000-04-27 | 2000-04-27 | 덕트의 이음매 구조 |
Country Status (8)
Country | Link |
---|---|
US (1) | US6814106B1 (ko) |
EP (1) | EP1278023B1 (ko) |
JP (1) | JP3701243B2 (ko) |
KR (1) | KR100484445B1 (ko) |
CN (1) | CN1249389C (ko) |
AU (1) | AU2000241427A1 (ko) |
DE (1) | DE60032028T2 (ko) |
WO (1) | WO2001084058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7567B1 (ko) | 2004-09-17 | 2006-07-10 |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 덕트의 포켓형 플랜지 |
KR101296090B1 (ko) | 2012-05-24 | 2013-08-19 | (주)하이시스이엔지 |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832160B2 (en) * | 2001-03-22 | 2010-11-16 | Media Curtainwall Corp. | Seismic safe and fire resistant rated edge attached stopless glazing |
WO2004027303A2 (en) * | 2002-09-23 | 2004-04-01 | Met-Coil Systems Corporation | Duct fastseam |
WO2004038301A1 (ja) * | 2002-10-22 | 2004-05-06 | Obayashi Corporation | コーナピースレス・ダクトとその製造方法及びダクト成形機 |
US7104068B2 (en) * | 2003-08-28 | 2006-09-12 | Siemens Power Generation, Inc. | Turbine component with enhanced stagnation prevention and corner heat distribution |
CN1333215C (zh) * | 2005-09-13 | 2007-08-22 | 张乙钟 | 有螺旋结构管和防逆流及防火节气阀的干式通风管道系统 |
US8276425B2 (en) * | 2007-10-02 | 2012-10-02 | Mestek Machinery, Inc. | Ductmaking apparatus |
US8499604B2 (en) * | 2008-10-01 | 2013-08-06 | Mestek Machinery, Inc. | Duct making apparatus and method |
JP2012518154A (ja) | 2009-02-18 | 2012-08-09 | ウォルシュ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リミテッド | 管状のダクト部材 |
GB2475269B (en) * | 2009-11-12 | 2015-01-14 | Nuaire Ltd | A double skin panel |
JP4714794B1 (ja) * | 2010-08-17 | 2011-06-29 | 株式会社ヤブサダイナミックス | ダクト |
JP4862097B1 (ja) * | 2011-02-07 | 2012-01-25 | 株式会社ヤブサダイナミックス | ダクト |
CN102345770A (zh) * | 2011-09-16 | 2012-02-08 | 侯初 | 通风管端口连接结构 |
US11402121B2 (en) * | 2015-03-25 | 2022-08-02 | Sterling Custom Sheet Metal, Inc. | Insulated register box with boot rail adaptor |
USD792576S1 (en) * | 2015-07-30 | 2017-07-18 | Graceland Properties, Llc | Soffit vent |
JP7294869B2 (ja) * | 2019-04-25 | 2023-06-20 | 株式会社Subaru | ローラヘム加工装置及び該装置を用いた予備曲げ加工方法 |
IT202100003482A1 (it) * | 2021-02-16 | 2022-08-16 | Dallan Spa | Metodo di unione di lamiere metalliche e assieme laminare metallico, in particolare realizzato con tale metodo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286118A (en) * | 1941-03-24 | 1942-06-09 | John E Sleeth | Pipe hanger |
US2847034A (en) * | 1956-05-18 | 1958-08-12 | Duc Pac Inc | Duct construction |
US3089521A (en) * | 1960-09-20 | 1963-05-14 | Flintkote Co | Chimney housing |
DE6907503U (de) * | 1969-02-25 | 1969-07-10 | Heinrich Brinkmann Kg Fa | Rohrartiger hohlkoerper |
US3701194A (en) * | 1969-12-18 | 1972-10-31 | Erwin Richard Widman | Tool for assembling ducts having pittsburgh type joints |
BE791859A (fr) * | 1971-12-09 | 1973-03-16 | Svenska Flaektfabriken Ab | Procede pour reunir de maniere continue deux elements a surfaces paralleles et dispositif de mise en oeuvre du procede |
JPS58127279U (ja) | 1982-02-22 | 1983-08-29 | 明治ナシヨナル工業株式会社 | 空調用ダクト |
US4423284A (en) * | 1982-06-04 | 1983-12-27 | Kaplan Steve E | Moulding duct |
US4681155A (en) * | 1986-05-01 | 1987-07-21 | The Garrett Corporation | Lightweight, compact heat exchanger |
US5125199A (en) * | 1989-11-13 | 1992-06-30 | Square D Company | Floor duct with integral interlock |
US5353616A (en) * | 1991-04-24 | 1994-10-11 | Engel Industries, Inc. | Pittsburgh seam closer having single seaming roll |
JPH07234005A (ja) | 1994-02-22 | 1995-09-05 | Mitsubishi Heavy Ind Ltd | 角形ダクト |
US6056021A (en) * | 1996-05-14 | 2000-05-02 | Jam Kabushiki Kaisha | Duct joint structure, assembly tool, duct assembly method and hanger |
JP3108651B2 (ja) | 1996-05-14 | 2000-11-13 | エアシステム株式会社 | ダクトの継手構造とその組立工具とダクトの組立方法および該継手構造用吊り金具 |
-
2000
- 2000-04-27 CN CNB008194785A patent/CN1249389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4-27 KR KR10-2002-7014231A patent/KR100484445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0-04-27 EP EP00921044A patent/EP1278023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0-04-27 WO PCT/JP2000/002746 patent/WO2001084058A1/ja active IP Right Grant
- 2000-04-27 US US10/258,707 patent/US6814106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4-27 AU AU2000241427A patent/AU2000241427A1/en not_active Abandoned
- 2000-04-27 DE DE60032028T patent/DE60032028T2/de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0-04-27 JP JP2001581038A patent/JP3701243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97567B1 (ko) | 2004-09-17 | 2006-07-10 | 주식회사 진웅테크놀러지 | 덕트의 포켓형 플랜지 |
KR101296090B1 (ko) | 2012-05-24 | 2013-08-19 | (주)하이시스이엔지 | 천정형 공기조화기의 덕트 구조 및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249389C (zh) | 2006-04-05 |
EP1278023A1 (en) | 2003-01-22 |
WO2001084058A1 (fr) | 2001-11-08 |
CN1452709A (zh) | 2003-10-29 |
US6814106B1 (en) | 2004-11-09 |
DE60032028D1 (de) | 2007-01-04 |
AU2000241427A1 (en) | 2001-11-12 |
EP1278023A4 (en) | 2005-10-26 |
KR20020091236A (ko) | 2002-12-05 |
EP1278023B1 (en) | 2006-11-22 |
DE60032028T2 (de) | 2007-06-21 |
JP3701243B2 (ja) | 2005-09-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484445B1 (ko) | 덕트의 이음매 구조 | |
US5660012A (en) | Frame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 |
US6568873B1 (en) | In-line connector for window spacer frame tubing | |
US20150040495A1 (en) | Channel cross member | |
JP2012518154A (ja) | 管状のダクト部材 | |
JP2001526782A (ja) | 磁気コア | |
CA2404320A1 (en) | Steel stud with openings and edge formations and method | |
DE69804496D1 (de) | Lasche für behälterdeckel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 |
US4555002A (en) | Combined spring mount and sectioned cage construction | |
CN111734089B (zh) | 一种飘窗口三面收口线条的收口结构及安装方法 | |
US7681930B2 (en) | Duct flange | |
JPS60431Y2 (ja) | 建築用パネル | |
GB2121848A (en) | Wall studs and connectors therefor | |
CN213418202U (zh) | 装饰面板及应用该面板的吊顶 | |
CN210217002U (zh) | 一种小规格木饰面板装配式安装结构 | |
KR200438277Y1 (ko) | 케이블 트레이의 결합구조 | |
EP4397207A1 (en) | Composite board, furni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 |
CN217924643U (zh) | 装配式墙板阳角安装结构 | |
JP3031353U (ja) | シート定着用溝形材の接続構造及びジョイント片 | |
CN207935222U (zh) | 一种拼接塑胶条 | |
KR200163581Y1 (ko) | 문틀조립장치 | |
EP0878590A3 (en) | Kit and process for constructing buildings | |
AU785325B2 (en) | In-line connector for window spacer frame tubing | |
JP2005207715A (ja) | 空調用ダクト | |
JP5080874B2 (ja) | 配線ダクトのダクト本体及びその製造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