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444B1 - 신규한 홍삼 발효용 미생물, 이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 및 홍삼 발효 음료 - Google Patents
신규한 홍삼 발효용 미생물, 이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 및 홍삼 발효 음료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95444B1 KR101295444B1 KR1020120151862A KR20120151862A KR101295444B1 KR 101295444 B1 KR101295444 B1 KR 101295444B1 KR 1020120151862 A KR1020120151862 A KR 1020120151862A KR 20120151862 A KR20120151862 A KR 20120151862A KR 101295444 B1 KR101295444 B1 KR 10129544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d ginseng
- fermentation
- fermentation broth
- extract
- cells
- Prior art date
Links
- 235000002789 Panax ginseng Nutritio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5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4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4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2
- 229930182490 saponin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150000007949 saponin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54
- 239000001397 quillaja saponaria molina bark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9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44000000626 Daucus carot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02767 Daucus caro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41000186605 Lactobacillus paracasei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5000003228 Lactuc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02000006995 beta-Glucosidase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08010047754 beta-Glucosidase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FVIZARNDLVOMSU-UHFFFAOYSA-N ginsenoside K Natural products C1CC(C2(CCC3C(C)(C)C(O)CCC3(C)C2CC2O)C)(C)C2C1C(C)(CCC=C(C)C)OC1OC(CO)C(O)C(O)C1O FVIZARNDLVOMS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6
- 102000004190 Enzymes Human gene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108090000790 Enzymes Protein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9629 microbiological cult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40000007124 Brassica olerace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03899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11301 Brassica oleracea var capitat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5000001169 Brassica oleracea var oleracea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40000008415 Lactuca sativ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06140 Raphanus sativus var sativu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40000008790 Musa x paradisiac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44000061456 Solanum tuberosum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02595 Solanum tuberos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21015 banana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4000088415 Raphanus sativu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2015 potatoes Nutrition 0.000 claims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68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5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4
- 235000017709 sapon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2
- JVTAAEKCZFNVCJ-UHFFFAOYSA-N lactic acid Chemical compound CC(O)C(O)=O JVTAAEKCZFNVC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6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28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4310 lact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3
- 235000014655 lact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3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1
- 229920006008 lipo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1
- 108060008682 Tumor Necrosis Factor Protein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9
- 241000699666 Mus <mouse, ge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8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39000002609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6
- 210000003024 peritoneal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15
- 235000018290 Musa x paradisia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4
- 102000000852 Tumor Necrosis Factor-alph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5418 vegetabl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MZOFCQQQCNRIBI-VMXHOPILSA-N (3s)-4-[[(2s)-1-[[(2s)-1-[[(1s)-1-carboxy-2-hydroxyethyl]amino]-4-methyl-1-oxopentan-2-yl]amino]-5-(diaminomethylideneamino)-1-oxopentan-2-yl]amino]-3-[[2-[[(2s)-2,6-diaminohexanoyl]amino]acetyl]amino]-4-oxo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C(O)=O)NC(=O)[C@H](CC(C)C)NC(=O)[C@H](CCCN=C(N)N)NC(=O)[C@H](CC(O)=O)NC(=O)CNC(=O)[C@@H](N)CCCCN MZOFCQQQCNRIBI-VMXHOPILSA-N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41000220259 Raphanus Speci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0
- 229940041514 candida albicans extract Drug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1534 incub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2138 yeas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9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9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41000218587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 Species 0.000 description 9
- 206010057249 Phagocyt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782 phagocytosi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9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8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8
- 241000234295 Mus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28993 immun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108020004465 16S ribosomal RNA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102000004889 Interleukin-6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108090001005 Interleukin-6 Protein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2980 RPMI-1640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9702 cancer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4663 cell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01963 growth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10000004988 sple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7
- 102000003390 tumor necrosis factor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7
- 206010009944 Colon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41000208822 Lactuc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DLRVVLDZNNYCBX-UHFFFAOYSA-N Polydextrose Polymers OC1C(O)C(O)C(CO)OC1OCC1C(O)C(O)C(O)C(O)O1 DLRVVLDZNNYCB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08000005718 Stomach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1744 T-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9000012228 culture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ZPWVASYFFYYZEW-UHFFFAOYSA-L dipotassium hydrogen phosphate Chemical group [K+].[K+].OP([O-])([O-])=O ZPWVASYFFYYZEW-UHFFFAOYSA-L 0.000 description 6
- 229910000396 dipotass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797 dipotassium phos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985 fermen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06010017758 gastric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3028 medium composi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LWIHDJKSTIGBAC-UHFFFAOYSA-K potassium phosphate Substances [K+].[K+].[K+].[O-]P([O-])([O-])=O LWIHDJKSTIGBAC-UHFFFAOYSA-K 0.000 description 6
- 201000011549 stomach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83 surviv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108020004414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6144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41000186679 Lactobacillus buchneri Species 0.000 description 5
- 206010058467 Lung neoplasm malignant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719 b-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088 calibration curv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01000005202 lung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20816 lung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0822 natural kille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242 pagocy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48 secre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1 soyt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41000208340 Araliacea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5035 Panax pseudoginseng ssp. pseudo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03140 Panax quinquefolius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4680 Saccharomyces cerevisia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29920000392 Zymosa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113 cell cultur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8434 ginseng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865 immune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36039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LPXPTNMVRIOKMN-UHFFFAOYSA-M sodium nitrite Chemical compound [Na+].[O-]N=O LPXPTNMVRIOKMN-UHFFFAOYSA-M 0.000 description 4
- 150000008163 sugar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4881 tumor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4
- WEVYAHXRMPXWCK-UHFFFAOYSA-N Acetonitrile Chemical compound CC#N WEVYAHXRMPXWC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PLXMOAALOJOTIY-FPTXNFDTSA-N Aesculin Natural products OC[C@@H]1[C@@H](O)[C@H](O)[C@@H](O)[C@H](O)[C@H]1Oc2cc3C=CC(=O)Oc3cc2O PLXMOAALOJOTIY-FPTXNFDTSA-N 0.000 description 3
- WNBCMONIPIJTSB-BGNCJLHMSA-N Cichoriin Natural products O([C@H]1[C@H](O)[C@@H](O)[C@@H](O)[C@@H](CO)O1)c1c(O)cc2c(OC(=O)C=C2)c1 WNBCMONIPIJTSB-BGNCJLHMSA-N 0.000 description 3
- 208000001333 Colorectal Neoplasms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62580 Concanavalin A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XEKOWRVHYACXOJ-UHFFFAOYSA-N Ethyl acetate Chemical compound CCOC(C)=O XEKOWRVHYACXO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981 Hank's balanced salt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002 MTT assay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134 MTT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LRHPLDYGYMQRHN-UHFFFAOYSA-N N-Butanol Chemical class CCCCO LRHPLDYGYMQRH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00 Polydextr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27 anti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8091007433 antigen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36639 antige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833 cell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512 characteriz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08000029742 colonic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258 cul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93496 esculin Drugs 0.000 description 3
- XHCADAYNFIFUHF-TVKJYDDYSA-N esculin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C(=C1)O)=CC2=C1OC(=O)C=C2 XHCADAYNFIFUHF-TVKJYDDYSA-N 0.000 description 3
- AWRMZKLXZLNBBK-UHFFFAOYSA-N esculin Natural products OC1OC(COc2cc3C=CC(=O)Oc3cc2O)C(O)C(O)C1O AWRMZKLXZLNBB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965 immune ac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411 induc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5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226 mit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259 poly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856 polydextr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29940035035 polydextrose Drug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062 prolif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433 tumor necrosis factor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YLZOPXRUQYQQID-UHFFFAOYSA-N 3-(2,4,6,7-tetrahydrotriazolo[4,5-c]pyridin-5-yl)-1-[4-[2-[[3-(trifluoromethoxy)phenyl]methylamino]pyrimidin-5-yl]piperazin-1-yl]propan-1-one Chemical compound N1N=NC=2CN(CCC=21)CCC(=O)N1CCN(CC1)C=1C=NC(=NC=1)NCC1=CC(=CC=C1)OC(F)(F)F YLZOPXRUQYQQI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817 Aga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149 Brassica rapa subsp ch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05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499436 Brassica rapa subsp. pek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400 DNA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925032 Lactobacillus harb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1643453 Lactobacillus parabuchner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06010027476 Metastase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101000981253 Mus musculus GPI-linked NAD(P)(+)-arginine ADP-ribosyltransferase 1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IOVCWXUNBOPUCH-UHFFFAOYSA-M Nitrite anion Chemical compound [O-]N=O IOVCWXUNBOPUCH-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888 Pep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80698 Pepto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86 active pharmaceutical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464 adher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72 a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43 agarose 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37 ann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093 anti-cance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531 blood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021 butanolic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0261 cell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285 cell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969 cellular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25 dena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425 denatu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071 enzymatic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6047 enzymatic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2041 food compon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06 food intak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035 gastrointestinal tract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394 haemopoie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727 humoral immun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00 immun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27 in vivo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7306 interleukin-6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68 intes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908 liv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01 meta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616 mo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319 pept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257 pre-denatu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163 sequencing techniqu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288 sodium nitr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0952 splee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989 spleen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UCSJYZPVAKXKNQ-HZYVHMACSA-N streptomycin Chemical compound CN[C@H]1[C@H](O)[C@@H](O)[C@H](CO)O[C@H]1O[C@@H]1[C@](C=O)(O)[C@H](C)O[C@H]1O[C@@H]1[C@@H](NC(N)=N)[C@H](O)[C@@H](NC(N)=N)[C@H](O)[C@H]1O UCSJYZPVAKXKNQ-HZYVHMAC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137 trypt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260 vorte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UFPHBVGCFYCNW-UHFFFAOYSA-N 1-naphthylamine Chemical compound C1=CC=C2C(N)=CC=CC2=C1 RUFPHBVGCFYCN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VOZDNCFKGOLECZ-BTVCFUMJSA-N 2-hydroxypropanoic acid;(2r,3s,4r,5r)-2,3,4,5,6-pentahydroxyhexanal Chemical compound CC(O)C(O)=O.OC[C@@H](O)[C@@H](O)[C@H](O)[C@@H](O)C=O VOZDNCFKGOLECZ-BTVCFUMJSA-N 0.000 description 1
- FWMNVWWHGCHHJJ-SKKKGAJSSA-N 4-amino-1-[(2r)-6-amino-2-[[(2r)-2-[[(2r)-2-[[(2r)-2-amino-3-phenylpropanoyl]amino]-3-phenylpropanoyl]amino]-4-methylpentanoyl]amino]hexanoyl]piperidine-4-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C([C@H](C(=O)N[C@H](CC(C)C)C(=O)N[C@H](CCCCN)C(=O)N1CCC(N)(CC1)C(O)=O)NC(=O)[C@H](N)CC=1C=CC=CC=1)C1=CC=CC=C1 FWMNVWWHGCHHJJ-SKKKGAJSSA-N 0.000 description 1
- USFZMSVCRYTOJT-UHFFFAOYSA-N Ammonium acetate Chemical compound N.CC(O)=O USFZMSVCRYTOJ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695 Ammonium acet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08020000946 Bacterial DN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473 Communicabl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289 Dement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LTMHDMANZUZIPE-AMTYYWEZSA-N Digoxin Natural products O([C@H]1[C@H](C)O[C@H](O[C@@H]2C[C@@H]3[C@@](C)([C@@H]4[C@H]([C@]5(O)[C@](C)([C@H](O)C4)[C@H](C4=CC(=O)OC4)CC5)CC3)CC2)C[C@@H]1O)[C@H]1O[C@H](C)[C@@H](O[C@H]2O[C@@H](C)[C@H](O)[C@@H](O)C2)[C@@H](O)C1 LTMHDMANZUZIPE-AMTYYWEZ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8157 ELISA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3886 Glyco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288 Glyco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412 Homo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1953 Hypo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37850 Interferon gamma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74328 Interferon-gamma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58 Lactobacillus casei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8091028043 Nucleic acid sequenc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08 PCR ampl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30182555 Penicill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JGSARLDLIJGVTE-MBNYWOFBSA-N Penicillin G Chemical compound N([C@H]1[C@H]2SC([C@@H](N2C1=O)C(O)=O)(C)C)C(=O)CC1=CC=CC=C1 JGSARLDLIJGVTE-MBNYWOFBSA-N 0.000 description 1
- 108010059820 Polygalacturo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044 T cell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10006785 Taq Polym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683 abdominal cavity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903 acid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96 add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NHQEUFMIKRNTB-UHFFFAOYSA-N aesculetin Natural products C1CC(=O)OC2=C1C=C(O)C(O)=C2 QNHQEUFMIKRNT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UAFOGOEJLSQBT-UHFFFAOYSA-N aesculetin dimethyl ether Natural products C1=CC(=O)OC2=C1C=C(OC)C(OC)=C2 GUAFOGOEJLSQB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56 agoni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57 ammonium acet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43376 ammonium acet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FRHBOQMZUOWXQL-UHFFFAOYSA-L ammonium ferric citrate Chemical compound [NH4+].[Fe+3].[O-]C(=O)CC(O)(CC([O-])=O)C([O-])=O FRHBOQMZUOWXQL-UHFFFAOYSA-L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21 ampl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02 analges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12 anti-ag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5 anti-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59 anti-tumo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1375 antifungal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07 apopto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49 assay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5 b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709 cell inva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93 chemical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SIHHLZPXQLFPMC-UHFFFAOYSA-N chloroform;methanol;hydrate Chemical compound O.OC.ClC(Cl)Cl SIHHLZPXQLFP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87 chromatography analy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11 chromosomal DNA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349 chromosom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87 circ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69 different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9 diges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TMHDMANZUZIPE-PUGKRICDSA-N digoxin Chemical compound C1[C@H](O)[C@H](O)[C@@H](C)O[C@H]1O[C@@H]1[C@@H](C)O[C@@H](O[C@@H]2[C@H](O[C@@H](O[C@@H]3C[C@@H]4[C@]([C@@H]5[C@H]([C@]6(CC[C@@H]([C@@]6(C)[C@H](O)C5)C=5COC(=O)C=5)O)CC4)(C)CC3)C[C@@H]2O)C)C[C@@H]1O LTMHDMANZUZIPE-PUGKRICD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156 digoxin Drugs 0.000 description 1
- LTMHDMANZUZIPE-UHFFFAOYSA-N digoxine Natural products C1C(O)C(O)C(C)OC1OC1C(C)OC(OC2C(OC(OC3CC4C(C5C(C6(CCC(C6(C)C(O)C5)C=5COC(=O)C=5)O)CC4)(C)CC3)CC2O)C)CC1O LTMHDMANZUZIP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JKVHSBPTUYDLN-UHFFFAOYSA-N dihydroxy(oxo)silane Chemical compound O[Si](O)=O IJKVHSBPTUYDL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86 dish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2 eli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ILEDWLMCKZNDJK-UHFFFAOYSA-N esculetin Chemical compound C1=CC(=O)OC2=C1C=C(O)C(O)=C2 ILEDWLMCKZNDJ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3305 exopolygalacturon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723 extracellular sp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4642 ferric ammonium citr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46 foo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17 food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710 ginseng extra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30 histamin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15 host defense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3 hypoten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6784 immunoglobulin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08 immuno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1 inoc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9189 interleukin-1 beta pro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13 iron ammonium ci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0011 iron ammonium cit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5 iso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7800 lactobacillus casei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698 lymph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49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13 microb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046 mixed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872 mrs me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400 mucous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VMGAPWLDMVPYIA-HIDZBRGKSA-N n'-amino-n-iminomethanimidamide Chemical compound N\N=C\N=N VMGAPWLDMVPYIA-HIDZBRGK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62 natural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4451 negative regulation of catecholamine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392 neighbor-join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829 nitroge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899 nucle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99 nucleic acid amplific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3 nucleot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3729 nucleotide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09 nutriti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056 orga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49954 penicill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39 phagocyt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057 potassium phosphate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70 pro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35 reaction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41 reaction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BOLDJAUMGUJJKM-LSDHHAIUSA-N renifolin D Natural products CC(=C)[C@@H]1Cc2c(O)c(O)ccc2[C@H]1CC(=O)c3ccc(O)cc3O BOLDJAUMGUJJKM-LSDHHAIU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207 serial di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23 steril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36 stimul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322 streptomy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FDDDEECHVMSUSB-UHFFFAOYSA-N sulfanilamide Chemical compound NC1=CC=C(S(N)(=O)=O)C=C1 FDDDEECHVMSUS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530 sulfonamid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97 system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99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23L2/382—Other non-alcoholic beverages fermented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35—Bacteria or derivatives thereof, e.g. probiotic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cancer preventio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11—Lactobacillus
- A23V2400/125—Casei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ir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서열 번호 8의 서열을 갖는, 홍삼 발효용 미생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한 홍삼 발효용 미생물, 이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 제조방법 및 홍삼 발효 음료에 관한 것이다.
홍삼의 사포닌은 피로 회복, 면역력 증진, 혈행 개선 등의 효과가 입증되었을 뿐만 아니라, 노화방지, 간 기능보호, 혈액순환 개선, 치매, 간 기능 개선 등 지속적인 연구 결과가 보고되고 있다.
특히, 홍삼의 사포닌 중 흡수가 어려운 메이져(major) 사포닌 (Rg1, Re, Rb1, Rc, Rb2 및 Rd)이 가수 분해되어 생성된 마이너(minor) 사포닌 (Rg3, Rh2, Compound-K등)은, 마우스에서 종양 세포 전이의 저해, 시험관 내 종양 세포 침입 저해, 암세포 세포자살 유발, 암세포 전이 억제, 혈압 강하, 카테콜아민(catecholamine) 분비 억제, 진통제 활성 및 면역력 증강 등 탁월한 약리 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렇게 마이너(minor) 사포닌의 우수한 약리 활성이 검증됨에 따라 마이너(minor) 사포닌 생성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주로 산 가수분해, 열처리, 효소가수분해 및 유기합성 등의 방법이 시도되었다. 그 중에서도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 방법은 낮은 온도에서 진행할 수 있고 조작이 간편하며 효소의 기질특이성 때문에 부산물이 적다는 점에서 마이너(minor) 사포닌 생산에 가장 적합한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지금까지의 효소에 의한 사포닌의 전환연구는 주로 장내 세균, 토양 미생물 및 식물 조직에서 분리한 미생물에 집중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들 방법들은 식용에 적합하지 않다는 점에서 실용화에 다소 어려움이 있다.
한편,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유산(lactic acid)을 다량으로 생성하는 세균을 의미하며, 식품 내의 당(glucose)을 이용하여 유산을 생산하여 식품의 맛을 개선할 뿐 아니라 식품을 산성화시켜 다른 유해미생물이 잘 자라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유산균은 각종 동물의 장관 내에 서식하여 소화관내의 점막의 보호 및 장내 이상발효의 개선, 소화흡수 촉진, 비타민 합성, 칼슘의 체내흡수 촉진 등 여러 가지 유익한 작용을 하며, 홍삼의 메이져(major) 사포닌으로부터의 마이너(minor) 사포닌 생성을 위해 활용 가능하다.
이러한, 유산균의 배양은 대표적 유산균 상업용 배지인 MRS배지 등을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러한 상업용 배지는 그 조성물이나 화학적 가공처리 방법에 있어서 어떠한 재료를 사용하였는지, 어떠한 화학적 처리를 하였는지 알 수가 없어 식용으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680318호에는, 트립톤, 소이톤, 펩톤 등을 포함하는 미생물 배양용 영양배지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트립톤, 소이톤, 펩톤 등을 제조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할 뿐 아니라, 상기 제조 과정에 수산화나트륨 등의 강염기를 처리하는 등 인체에 해가 되는 화학적 처리 과정이 포함되어 있어, 이와 같은 배지에서 배양된 미생물은 바로 식용으로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홍삼의 메이져(major) 사포닌으로부터의 마이너(minor) 사포닌 생성을 위한 신규한 유산균 균주, 이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의 제조 방법 및 식용으로 바로 이용할 수 있도록 인체에 무해한 소재를 사용한 유산균 배양용 배지의 개발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홍삼 추출액에 포함되어 있는 기능성 마이너(minor) 사포닌의 전환 효율을 상승키는, 신규한 홍삼 발효용 미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홍삼 발효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추출액의 기능성 마이너(minor) 사포닌 함량을 극대화하여 면역 활성 및 항암 활성을 가지며,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는 홍삼 발효 음료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서열 번호 8의 서열을 갖는, 홍삼 발효용 미생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미생물은, 홍삼에 포함된 Rg1, Re, Rb1, Rc, Rb2 및 Rd 중 하나 이상의 메이져 사포닌을 F2, Rg3, Rh2 및 컴파운드-k(Compound-K) 중 하나 이상의 마이너 사포닌으로 전환시키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미생물은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 의 염기 서열과 상동성 99% 이상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미생물은 KCTC12108BP의 기탁 번호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을 홍삼 추출액에 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 발효액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 후 효소를 첨가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시 설탕(sucrose) 또는 염(NaCl)을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발효시 사용되는 미생물 배양액이 배추, 무, 양상추, 양배추, 당근, 바나나, 감자, 상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조된 것 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홍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홍삼 발효 음료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홍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암 개선 및 예방용 홍삼 발효 음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신규한 홍삼 발효용 미생물은, 홍삼에 포함된 메이져 사포닌을 매우 우수한 효율로 마이너 사포닌으로 전환시키는 특성을 가지며, 이에 따라 체내의 사포닌 흡수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신규한 홍삼 발효용 미생물의 발효 환경을 최적화시켜 마이너(minor) 사포닌으로의 전환 효율을 2 ~ 3배 더욱 증가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식용 가능한 미생물 배양 배지를 사용함으로서 식품에 대한 안전성과 원가 절감의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홍삼 발효 음료는 매우 우수한 면역활성 및 항암활성(암 개선 및 예방 효과)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하여 선별된 WJ-1, 2, 4, 6, 23, 33 발효 균주의 16S DNA 염기서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a는 WJ-1 균주, 1b는 WJ-2 균주, 도 1c는 WJ-4 균주, 도 1d는 WJ-6 균주, 도 1e는 WJ-23 균주, 도 1f는 WJ-33 균주의 16S rDNA 염기 서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선별된 발효 균주의 minor 사포닌으로의 전환 능력을 TLC 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로서,
도 2a는 WJ-1, 2, 4, 및 6 균주의 홍삼 추출액에서 major 사포닌을 minor 사포닌으로 전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며(1번 레인: WJ-1, 2번 레인: WJ-2, 3번 레인: WJ-3, 4번 레인: WJ-4, 5번 레인: 스탠다드, 6번 레인: WJ-5, 7번 레인: WJ-6, 8번 레인: WJ-8, 9번 레인: WJ-9),
도 2b WJ-23, WJ-33 균주의 홍삼 추출액에서 major 사포닌을 minor 사포닌으로 전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1번 레인: WJ-32, 2번 레인: WJ-33, 3번 레인: WJ-34, 4번 레인: WJ-35, 5번 레인: Standard, 6번 레인: WJ-36).
도 3은 WJ-33 균주를 이용한 발효 과정 시, Sucrose 또는 NaCl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의 minor 사포닌으로의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 사진이다(1번 레인: WJ-32, 2번 레인: WJ-33, 3번 레인: WJ-34, 4번 레인: WJ-35, 5번 레인: Standard, 6번 레인: WJ-36).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선별된 발효 균주와 유도 인자로서 설탕(sucrose) 또는 염(NaCl)을 함께 이용하였을 때, minor 사포닌으로의 전환 효율을 관찰한 결과로서,
도 4a는 WJ-2 또는 WJ-4 균주와 설탕(sucrose)을 홍삼 추출액에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minor 사포닌의 생성을 관찰한 사진이며(1번 레인: WJ-1, 2번 레인: WJ-2, 3번 레인: WJ-3, 4번 레인: WJ-4, 5번 레인: 스탠다드, 6번 레인: WJ-5, 7번 레인: WJ-6, 8번 레인: WJ-8, 9번 레인: WJ-9),
4b는 WJ-2 또는 WJ-4 균주와 염(NaCl)을 홍삼 추출액에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minor 사포닌의 생성을 관찰한 사진이다(1번 레인: WJ-1, 2번 레인: WJ-2 3번 레인: WJ-3, 4번 레인: WJ-4, 5번 레인: 스탠다드, 6번 레인: WJ-5, 7번 레인: WJ-6, 8번 레인: WJ-8, 9번 레인: WJ-9).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선별된 발효 균주로 발효 후 스크리닝한 Enzyme 함께 이용하였을 때, minor 사포닌으로의 전환 효율을 관찰한 결과이다.(각 레인별로
%를 다르게 접종 반응 시켰다.)
도 6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NO 생성량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세포 생존률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TNF-α 발현량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Phagocytosis activity 확인한 결과이다.
(Wild type; DMEM Media (10% FBS), P-CON; Zymosan,
I-CON; DMEM Media (10% FBS) + Inhibitor (2μM / 24hr) + zymosan,
홍삼; 미발효 홍삼 추출액 + zymosan,
발효홍삼 ;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 zymosan)
도 10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을 경구투여 한 마우스의 비장세포 증식능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을 경구투여 한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에서의 TNF-α 발현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을 경구투여 한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에서의 IL-1β 발현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을 경구투여 한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에서의 IL-6 발현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을 경구투여 한 마우스 혈장에서의 Compound K 함량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폐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위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확인 결과
도 17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식물성 소재를 종류별로 각각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배양한 후 O·D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9는 당을 종류별로 각각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배양한 후 O·D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0은 염분 및 영양성분을 농도별로 각각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배양한 후 O·D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1은 식물성 소재를 추가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배양한 후 O·D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2은 식물성 소재 혼합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24h 동안 배양한 후 O·D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하여 선별된 발효 균주의 minor 사포닌으로의 전환 능력을 TLC 크로마토그램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로서,
도 2a는 WJ-1, 2, 4, 및 6 균주의 홍삼 추출액에서 major 사포닌을 minor 사포닌으로 전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며(1번 레인: WJ-1, 2번 레인: WJ-2, 3번 레인: WJ-3, 4번 레인: WJ-4, 5번 레인: 스탠다드, 6번 레인: WJ-5, 7번 레인: WJ-6, 8번 레인: WJ-8, 9번 레인: WJ-9),
도 2b WJ-23, WJ-33 균주의 홍삼 추출액에서 major 사포닌을 minor 사포닌으로 전환 효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1번 레인: WJ-32, 2번 레인: WJ-33, 3번 레인: WJ-34, 4번 레인: WJ-35, 5번 레인: Standard, 6번 레인: WJ-36).
도 3은 WJ-33 균주를 이용한 발효 과정 시, Sucrose 또는 NaCl을 각각 첨가하였을 때의 minor 사포닌으로의 전환되는 것을 나타내는 결과 사진이다(1번 레인: WJ-32, 2번 레인: WJ-33, 3번 레인: WJ-34, 4번 레인: WJ-35, 5번 레인: Standard, 6번 레인: WJ-36).
도 4는 본 발명에 의하여 선별된 발효 균주와 유도 인자로서 설탕(sucrose) 또는 염(NaCl)을 함께 이용하였을 때, minor 사포닌으로의 전환 효율을 관찰한 결과로서,
도 4a는 WJ-2 또는 WJ-4 균주와 설탕(sucrose)을 홍삼 추출액에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minor 사포닌의 생성을 관찰한 사진이며(1번 레인: WJ-1, 2번 레인: WJ-2, 3번 레인: WJ-3, 4번 레인: WJ-4, 5번 레인: 스탠다드, 6번 레인: WJ-5, 7번 레인: WJ-6, 8번 레인: WJ-8, 9번 레인: WJ-9),
4b는 WJ-2 또는 WJ-4 균주와 염(NaCl)을 홍삼 추출액에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minor 사포닌의 생성을 관찰한 사진이다(1번 레인: WJ-1, 2번 레인: WJ-2 3번 레인: WJ-3, 4번 레인: WJ-4, 5번 레인: 스탠다드, 6번 레인: WJ-5, 7번 레인: WJ-6, 8번 레인: WJ-8, 9번 레인: WJ-9).
도 5는 본 발명에 의하여 선별된 발효 균주로 발효 후 스크리닝한 Enzyme 함께 이용하였을 때, minor 사포닌으로의 전환 효율을 관찰한 결과이다.(각 레인별로
%를 다르게 접종 반응 시켰다.)
도 6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NO 생성량 확인한 결과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세포 생존률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TNF-α 발현량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Phagocytosis activity 확인한 결과이다.
(Wild type; DMEM Media (10% FBS), P-CON; Zymosan,
I-CON; DMEM Media (10% FBS) + Inhibitor (2μM / 24hr) + zymosan,
홍삼; 미발효 홍삼 추출액 + zymosan,
발효홍삼 ;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 zymosan)
도 10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을 경구투여 한 마우스의 비장세포 증식능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을 경구투여 한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에서의 TNF-α 발현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을 경구투여 한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에서의 IL-1β 발현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을 경구투여 한 마우스 복강대식세포에서의 IL-6 발현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을 경구투여 한 마우스 혈장에서의 Compound K 함량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폐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위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확인 결과
도 17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발효 홍삼”)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홍삼”)의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활성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8은 식물성 소재를 종류별로 각각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배양한 후 O·D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9는 당을 종류별로 각각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배양한 후 O·D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0은 염분 및 영양성분을 농도별로 각각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배양한 후 O·D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1은 식물성 소재를 추가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배양한 후 O·D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2은 식물성 소재 혼합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24h 동안 배양한 후 O·D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신규한 미생물, 이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의 제조방법 및 홍삼 발효 음료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미생물은, 홍삼에 포함된 메이져 사포닌을 고효율로 마이너 사포닌으로 전환시키는 특성을 갖는 것으로, 홍삼막걸리 등에서 분리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신규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홍삼을 발효하여 음료를 제조하는 경우, 마이너 사포닌이 고함량 함유되어, 우수한 면역 증강 효과 및 항함 효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메이져 사포닌은, Rg1, Re, Rb1, Rc, Rb2 및 Rd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마이너 사포닌은 F2, Rg3, Rh2 및 컴파운드-k(Compound-K)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신규한 미생물은 신규한 유산균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파라부크네리(Lactobacillus parabuchner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하빈엔시스(Lactobacillus harbinensis) 또는 효모균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 CBS405)의 염기 서열과 상동성 99% 이상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며, 락토바실러스 부크네리(Lactobacillus buchneri), 락토바실러스 파라부크네리(Lactobacillus parabuchneri),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 락토바실러스 하빈엔시스(Lactobacillus harbinensis) 또는 효모균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제(Saccharomyces cerevisiae CBS405)에 비해 현저히 우수한 마이너 사포닌 전환 효율을 나타내는 신규한 균주이다. 즉, 본 발명의 신규한 미생물은, 홍삼에 포함된 Rg1, Re, Rb1, Rc, Rb2 및 Rd 중 하나 이상의 메이져 사포닌을 F2, Rg3, Rh2 및 컴파운드-k(Compound-K) 중 하나 이상의 마이너 사포닌으로 전환시키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신규한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와 상동성 99%이상을 나타내는 신규 균주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생물은 서열 번호 3 내지 8 중 어느 하나의 서열을 갖는 것일 수 있으며, 특히, 서열 번호 8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장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미생물은 KCTC12108BP의 기탁 번호를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신규한 미생물을 홍삼 추출액에 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 발효액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예에 의하면, 상기 미생물은 홍삼 추출액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 ~ 3 %(v/w)로 접종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 추출액은 홍삼으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공지의 방법으로 수득한 추출액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홍삼 추출액은, 홍삼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농축하여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홍삼 추출액 또는 농축된 홍삼 추출액을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이 희석하여 사용하는 경우, 3brix에서 15brix까지 희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 제조방법은, 설탕(sucrose) 또는 염(NaCl)을 홍삼 발효액 부피를 기준으로 0.001 ~ 3 %(v/v)로 더 첨가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규한 미생물에 의한 홍삼 발효 후 사포닌(saponin) 전환 능력을 배가 시키기 위하여, 상기 홍삼 발효액에, 식용 가능 효소(Enzyme)를 더 첨가할 수 있으며, 상기 효소는 식용 가능한 효소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상기 발효 시 사용되는 미생물 배양액이 식용 가능한 물질로부터 만들어진 배양액일 수 있다. 상기 식용 가능한 물질은 식물성 소재; 당원; 및 영양성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물성 소재는 배추, 무, 양상추, 양배추, 당근, 바나나, 감자 및 상추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특히 무가 바람직하다. 또한, 식물성 소재로 무 및 당근 및 바나나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소재는 미생물 배양용 배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3 ~ 25%의 중량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여러 식물성 소재가 혼합되어 에너지 원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상기 식물성 소재는 농축액 형태(type) 또는 분말형태(type)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당원은 설탕(sugar), 폴리덱스트로스(polydextrose), 프럭토오스(fructose), 말토올리고(maltooligo), 글루코오스(glucose), 덱스트린(dextrin), 프럭토올리고(fructooligo) 및 락토오즈(lactose) 중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특히 락토오즈 및 글루코오스 중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원은 미생물 배양용 배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 2.5% 의 중량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위 유산균이 어느 정도의 당원이 있을 때 생육이 활발히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영양성분은 효모추출물(yeast extract)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효모추출물은 아미노산과 비타민등의 성분을 가지고 있는 천연 첨가물로서 상업용 식용 효모추출물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영양성분은 미생물 배양용 배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7 ~ 11%의 중량이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미생물 배양용 배지 조성물은 염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염분은, 제2인산칼륨(Dipotassium phosphate;K2HPO4)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염분은 미생물 배양용 배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 0.03%의 중량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미생물 배양용 배지 조성물은 식물성 재료를 이용한 것으로, 바로 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것에 특징이 있다. 특히, 발효식품 제조에 사용되는 미생물의 배양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제조된 홍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홍삼 발효 음료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홍삼 발효 음료는, 매우 우수한 면역 증강 효과 및 암 개선 및 예방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에서 홍삼 발효 음료의 제조 방법에 관하여 기재된 내용은 본 발명의 홍삼 발효 음료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될 수 있다.
< 신규한 홍삼 발효 균주의 수득 및 동정 >
실시예 1.
신규한
발효 균주의 수득
(1) 막걸리로부터 유산균의 분리 및 배양
홍삼 발효를 위한 유산균을 분리하기 위하여, 충남 금산, 충남 마전, 대전광역시의 인삼, 홍삼 막걸리 및 생 막걸리 등의 시료를 수집하였다(금산 장터에서 구매). 이로부터 유산균 100여 균주를 분리한 후, 상기 홍삼 막걸리의 멸균수를 이용하여 10-1~10-5까지 계열 희석(serial dilution)하여 MRS agar plate에 100 ㎕씩 스프레딩(spreading) 한 후, 37℃ 배양기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2) 베타-
글루코시다제
(β-
glucosidase
) 분비 능력에 따른 발효 균주의 선별
상기 1)에서 분리 및 배양한 발효 균주 중 사포닌 전환 능력이 있는 균주를 선별하기 하고자, 사포닌 전환 능력을 검증할 수 있는 에스쿨린 아가(Esculin agar)방법을 이용하여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 분비 균주를 다음과 같이 선별하였다.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분비 균주는 에스쿨린의 베타-글루코오스(β-glucose)를 절단하여 생성된 esculetin(에스쿨린에서 β-glucose가 떨어진 구조)이 구연산 철 암모늄(ferric ammonium citrate)과 반응하여 플레이트 상의 콜로니(colony) 주위에 흑색의 복합체(complex)를 형성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 즉, 이러한 흑색의 복합체를 형성한 유산균들은 사포닌 전환 능력이 있으므로,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 분비 균주를 우선적으로 선별하였다. 즉, 육안으로 보았을 때 유산균 주변으로 검정색 라운드가 생긴 균주를 선별하였으며, 이와 같이 선별된 균주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명명하였다.
베타-글루코시다제(β- glucosidase )분비 균주 |
WJ-1 |
WJ-2 |
WJ-4 |
WJ-6 |
WJ-23 |
WJ-33 |
비교예
1. 비교 균주의 수득
상기 실시예 1.(1)에서 분리, 배양된 100여 균주 중, 상기 실시예 1.(2)에서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 분비능력을 평가한 결과,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를 분비하지 않는 균주를 비교예로 분류하였다.
실험예
1.
신규한
발효 균주의 동정
(1)
DNA
추출
상기 실시예 1의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 분비 미생물로부터 염색체 DNA(chromosomal DNA)를 추출하였으며, 이 때 CoreOne bacterial DNA extraction kit(Coretech. Co. Ltd. Korea)를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염색체 DNA를 추출하기 위하여, 분비 미생물은 플레이트 상에서 순수 배양된 균주를 1.5 ㎖ 튜브에 현탁하여 1번 세척 후 사용하였다. 그리고 추출한 DNA는 1% agarose gel을 이용하여 전기 영동을 통해 확인하였다.
(2) 16S
rDNA
의
PCR
증폭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된 미생물의 동정을 위하여 16S rDNA 영역을 증폭시키고자 PCR을 수행하였다. PCR 반응을 위하여 주형DNA(100 ng/㎕) 1 ㎕, 9F(100 pmol)(서열번호 1) 및 1512R(100 pmol) 프라이머 각각 1 ㎕, Taq polymerase(5 U/㎕) 0.5 ㎕, dNTP mix(10 mM each) 4 ㎕, 10 X 반응 버퍼 10 ㎕, 증류수 82.5 ㎕를 넣어 총 부피를 100 ㎕로 하여 반응 혼합물을 만들었다.
PCR 반응은 94℃에서 5분 선-변성 과정을 거친 다음, 94℃에서 1분간 변성(denaturation), 60℃에서 1분간 어닐링(annealing), 72℃에서 1분간 연장(extension) 과정을 거친 후, 최종적으로 72℃에서 7분간 추가 증폭(extra-extension) 과정을 통해서 수행되었다. 그 후, 실험에 사용하기 전까지 4℃에서 보관하였다.
상기 16S rDNA 영역의 증폭을 위한 9F 및 1512R 프라이머는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으며, PCR 반응 후 증폭된 16S rDNA는 1% 아가로우즈 젤을 이용하여 전기 영동을 통해 확인하였다 (표 2 참조).
선-변성(Pre-denaturation) | 94 ℃, 5 분 | 1 cycle |
변성(Denaturation) | 94 ℃, 1 분 | 30 cycles |
어닐링(Annealing) | 60 ℃, 1 분 | |
연장(Elongation) | 72 ℃, 1 분 | |
Extra-extension | 72 ℃, 7 분 | 1 cycle |
보관 | 4 ℃ ∞ |
서열 | |
9F(서열번호 1) | 5'-GAGTTTGATCCTGGCTCAG-3' |
1512R(서열번호 2) | 5'-ACGGCTACCTTGTTACGACTT-3' |
(3)
PCR
산물 정제 및 시퀀싱
상기 PCR 산물은 PCR purification kit(Bioneer, Korea)를 이용하여 DNA를 정제하였다. 상기 정제된 16S rDNA의 염기서열은 ABI Prism BigDye Terminator cycle sequencing ready reaction kit(Applied Biosystems)와 Automatic DNA sequencer(model 3700, Applied Biosystem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4) 염기 서열의
계통학적
분석
NCBI의 Blast을 이용하여 막걸리에서 분리한 WJ-1, 2, 4, 6, 23 및 33번 활성 균주와 가장 가까운 종류의 스트레인(strain)을 결정하였다. 또한 분리된 균주의 계통수를 그리기 위해서 GenBank에 등록되어 있는 서열 데이터(sequence data)를 이용하여 상기 선별된 균주와 비교적 가까운 위치에 있는 여러 종들의 type strain의 16S rDNA 염기 서열을 조사하고 이들의 염기 서열을 Bioedit program(Hall, 1999)과 Clustal X program을 이용하여 정렬(alignment)하였다(Thompson et al., 1997). 균주들의 진화 과정을 추적하는 작업은 Kimura two-parameter model을 이용하였고(Kimura, 1983), MEGA 3 Program 의 neighbor-joining 방법으로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 분비 균주의 계통분류학적 위치를 결정하였다(Kumar et al., 2004).
그 결과, 각각 WJ-1은 1462bp, WJ-2는 854bp, WJ-4는 848bp, WJ-6은 1478bp, WJ-23은 1461bp, WJ-33은 1460bp의 염기로 구성되어 있으며(도 1의 a 내지 f), WJ-1은 Lactobacillus buchneri와 99.9%의 상동성을 나타냈으며, WJ-2 및 4는 Saccharomyces cerevisiae CBS405와 99%, WJ-6은 Lactobacillus buchneri와 99.9%, WJ-23 및 33은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와 99.4%, 99.6%의 상동성을 나타내었다(표 4 및 도 1의 a 내지 f).
Bp | 유사 균주 | 상동성 | 서열번호 | |
WJ-1 | 1462bp | Lactobacillus buchneri | 99.9% | 3 |
WJ-2 | 854bp | Saccharomyces cerevisiae CBS405 | 99% | 4 |
WJ-4 | 848bp | Saccharomyces cerevisiae CBS405 | 99% | 5 |
WJ-6 | 1478bp | Lactobacillus buchneri | 99.9% | 6 |
WJ-23 | 1461bp |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 | 99.4% | 7 |
WJ-33 | 1460bp | 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 | 99.6% | 8 |
< 신규한 홍삼 발효 균주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의 제조 및 특성 분석 >
실시예 2.
신규한
홍삼 발효 균주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의 제조
실시예 2-1.
신규한
홍삼 발효 균주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의 제조 (
유도인자
첨가하지 않음)
상기 실시예 1.에서 선별된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를 분비하는 6개의 균주를 각각 ㈜성신에서 구입한 홍삼 농축액을 희석하여 500㎖에 0.001 ~ 3 %(v/w)의 농도로 접종한 후, 37℃에서 6 ~ 72 시간 발효시켰다.
실시예 2-2.
신규한
홍삼 발효 균주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의 제조 (유도인자(
elicitor
)를 첨가)
상기 발효 균주의 사포닌 전환 활성을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유도인자로서, 염(NaCl)과 설탕(Sucrose)을 발효 시 첨가하였다.
즉, 발효 균주의 발효 조건 및 TLC 분석 방법은 상기 실시예 2-1과 동일하나, 단지 발효 시작 시 염(NaCl) 또는 설탕(Sucrose)을 첨가하였다는 점만이 상이하다. 이 때, 염(NaCl)은 1% 농도로 발효 시 첨가하였으며, 설탕(Sucrose)은 1% 농도로 상기 균주에 각각 첨가하였으며 24시간 이내로 처리하였다.
비교예
2. 미발효 홍삼 추출액의 제조
상기 실시예 2-1에서, 발효과정을 거치지 않은 홍삼추출액을 준비하였다. 홍삼농축액은 ㈜성신에서 홍삼 농축액을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실시예 2-1의 홍삼 발효액의 특성 분석
(1) 마이너(
minor
) 사포닌으로의 전환 정도 분석
본 실험에 사용된 사포닌 Rb1은 경희대학교 인삼 유전자원 소재 은행에서 분양 받아 사용하였다.
발효 산물을 분석하기 위하여, TLC 크로마토그램을 수행하였다. TLC 크로마토그램을 수행하기 위해서 상기 홍삼 농축액에 균주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홍삼 농축액을 수포화 부탄올과 1:1로 튜브에 넣은 뒤 볼텍스(vortex)한 후, 원심 분리하여, 부탄올층과 홍삼 농축액층을 분리하여 부탄올 추출액을 수득하였다. 구체적으로 silica gel 60 F254 TLC plate를 사용하였으며, 부탄올 추출액을 TLC plate에 점적한 후 CHCl3-MeOH-H2O 65:35:10 v/v/v, lower phase의 혼합 용매를 이용하여 전개하였다. 전개한 TLC plate는 10% 황산을 분무한 후 열을 가해 발색시켜 결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2에서 관찰된 바와 같이 선별된 균주 모두 메이져(major)사포닌을 체내에 흡수 가능한 Rg3, Rd, Rb1과 같은 마이너(minor) 사포닌으로 전환시키는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WJ-1과 6 균주의 경우 Rd와 Rg3을 WJ-2와 4는 Rd를, WJ-23과 33은 Rg3과 F2로 전환시키는 능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2 참조).
(2)
pH
변화 분석
홍삼 농축액과 각각의 발효 균주와의 발효 전과 후의 pH의 변화를 분석 하기 위해 pH meter(Orion-550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발효 전에는 pH 4.44의 수치였으며, 각 균주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약간의 산성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었다(표 5 참조).
2h | 4h | 8h | 12h | 16h | 20h | 24h | 28h | 36h | 44h | |
WJ-1 | 4.4 | 4.35 | 4.34 | 4.37 | 4.34 | 4.31 | 4.31 | 4.32 | 4.23 | 4.15 |
WJ-2 | 4.39 | 4.36 | 4.36 | 4.39 | 4.34 | 4.3 | 4.29 | 4.34 | 4.32 | 4.27 |
WJ-4 | 4.39 | 4.36 | 4.35 | 4.35 | 4.35 | 4.32 | 4.27 | 4.34 | 4.29 | 4.28 |
WJ-6 | 4.36 | 4.37 | 4.35 | 4.21 | 4.37 | 4.38 | 4.37 | 4.4 | 4.36 | 4.34 |
WJ-23 | 4.35 | 4.33 | 4.36 | 4.35 | 4.4 | 4.4 | 4.36 | 4.41 | 4.35 | 4.37 |
WJ-33 | 4.36 | 4.35 | 4.35 | 4.31 | 4.37 | 4.39 | 4.37 | 4.4 | 4.34 | 4.37 |
(3) 당도의 변화 분석
발효 전과 후의 Brix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해 Brix meter(ATAGO-Rx-5000α)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 발효 전에는 8.13 브릭스(Brix)였으며, 각 균주 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발효 전 보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당도가 약간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표 6 참조).
2h | 4h | 8h | 12h | 16h | 20h | 24h | 28h | 36h | 44h | |
WJ-1 | 7.87 | 7.9 | 7.89 | 7.96 | 7.91 | 7.77 | 7.9 | 7.9 | 7.92 | 7.91 |
WJ-2 | 7.9 | 7.87 | 7.86 | 7.82 | 7.64 | 6.76 | 6.67 | 6.62 | 6.6 | 6.43 |
WJ-4 | 7.88 | 7.87 | 7.86 | 7.82 | 7.64 | 6.91 | 6.67 | 6.77 | 6.9 | 6.88 |
WJ-6 | 7.9 | 7.9 | 7.93 | 7.96 | 7.93 | 7.89 | 7.92 | 7.9 | 7.91 | 7.96 |
WJ-23 | 7.94 | 7.94 | 7.91 | 7.94 | 7.9 | 7.73 | 7.96 | 7.92 | 7.91 | 7.93 |
WJ-33 | 7.91 | 7.9 | 7.9 | 7.93 | 7.92 | 7.94 | 7.95 | 7.9 | 7.91 | 7.94 |
실험예
3. 실시예 2-2의 발효액의 특성 분석 (
유도인자
첨가에 따른 효과)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WJ-33 균주는 sucrose 보다 NaCl을 첨가하였을 때 Rg3와 F2가 더 많이 생성되었다(도 3 참조).
또한, WJ-2 균주의 경우에는 sucrose를 첨가하였을 때 major 사포닌 Rb1이 모두 분해되어 Rd와 compound-K가 생성되었고, WJ-4 균주의 경우에는 NaCl을 첨가하였을 때 Rd와 compound-K가 생성되었다(도 4a 및 4b 참조). 또한 WJ-1과 6 균주의 경우 sucrose보다 NaCl을 첨가하였을 때 베타-글루코시다제(β-glucosidase) 활성이 높아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 신규한 홍삼 발효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홍삼 발효액의 기능성 확인( in vitro ) >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의 체내 흡수율 및 면역력 증강 효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유래의 대식세포주인 Raw 264.7 cell을 이용하여 면역관련 인자들의 발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신규한
홍삼 발효 균주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의 제조(발효 후 효소 첨가)
유산균 발효 후 사포닌(saponin) 전환 능력을 배가 시키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2-1에서 제조한 홍삼 발효액에, 식용 가능 효소(Enzyme)를 첨가하여 처리하였다.
먼저 시중에 판매중인 모든 식용가능 β-glucosidase activity가 있는 효소를 수집하였다.
(주)성신에서 구입한 홍삼농축액을 3brix에서 15brix까지 희석하여 상기 실시예 2-1의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산균 발효 후, 수집한 효소를 각각 0.5 ~ 5% 까지 접종한 후 45~60℃ 인큐베이터에서 10h ~ 72h 까지 반응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많은 효소 중에서 (주)비젼바이오캠의 Multifect pectinase FE와 Novozymes사의Viscozyme L을 각각 3%씩 55℃ 40~48h 조건으로 반응시킨결과 일반 홍삼에는 없는 compound-K가 생성되었음을 확인하고(도 5), 위 방법으로 홍삼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4.
Raw
264.7 (
mouse
leukemic
monocyte
macrophage
cell
)을 이용한
Nitric
Oxide 생성량 확인
(1)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비교예
2) 의
Nitric
Oxide(NO) 생성 확인
Nitric Oxide(NO)는 각종 종양 세포나 미생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지닌다고 알려져 있다. NO가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에 의해 유도되는지의 유무를 RAW264.7 세포주를 자극하여 얻은 배양 상등액 내에 유리된 NO의 양을 그 산화물 형태인 NO2 -(nitrite)의 양을 Griess reagent 와 표준물질(sodium nitrite)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1) 세포 배양
Mouse macrophage cell 인 RAW 264.7 cell 은 한국세포주은행(서울대학교 의과 대학, Korea)에서 분양 받아 연구실에서 계대 배양 하여 사용하였다. RAW 264.7 mouse macrophage 세포를 세포 배양 접시에 부착시키고 penicillin 및 streptomycin 이 함유된 1% antibacterial-antifungal solution (PAA, Canada)과 10% FBS (PAA, Canada)를 첨가한 DMEM (PAA, Canada)을 사용하여 5% CO2, 37℃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액은 2~3일에 한번씩 교체하며, cell seeding 시 세포를 혼합한 배지 와 Tryphan blue 용액을 1:1로 혼합하여 hemocytometer 를 이용하여 tryphan blue 에 의해 염색되지 않은 세포를 계수하였다.
2)
NO
assay
RAW 264.7 세포를 48 well plate에 5×104 cell/well로 분주한 다음 24시간 후,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1, 10, 100 ㎍/㎖의 농도로 처리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시료 처리 24시간 후에 세포배양 상등액 50 ㎕와 Griess 시약 (1% sulfanilamide in 5% phosphoric acid + 1% α-naphthylamide in H2O) 50 ㎕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s에서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 를 이용하여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는 NO2 로 Standard curve를 작성하여 세포배양 상층액에 함유되어있는 NO 의 값을 계산하였다.
3)
MTT
assay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세포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세포생존율을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를 48 well plate에 5×104 cell/well로 분주한 다음 24시간 후 홍삼 및 발효 홍삼 sample을 1, 10, 100 ㎍/㎖의 농도로 처리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24시간 후, 각 well 당 MTT(10 ㎕/well) 시약을 첨가하고 3시간 동안 37℃에서 배양한 후 MTT가 formazan 으로 분해되는 양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6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처리 군은 3 well씩 3회 반복실험을 하였으며, 홍삼 및 발효 홍삼에 대한 세포 증식효과는 3번 반복 실험의 평균값을 취한 후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DMEM 용액에 배양한 대조군에 대한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Nitric Oxide(NO)는 각종 종양 세포나 미생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지닌다고 알려져 있다. 이에 NO가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에 의해 유도되는지의 유무를 RAW264.7 세포주를 자극하여 얻은 배양 상등액 내에 유리된 NO의 양을 그 산화물 형태인 NO2 -(nitrite)의 양을 Griess reagent 와 표준물질(sodium nitrite)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4)
Nitric
Oxide
(
NO
) 생성 확인 결과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가 Nitric Oxide(NO) 생성에 미치는 효과 조사한 결과, LPS(1ug/ml) 만을 단독으로 처리하였을 때에는 NO의 생성이 4.5배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물질인 LPS에 의하여 대식세포의 반응이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경우 100ug/ml의 농도에서 2.5배,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의 경우 100ug/ml의 농도에서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3.7배 NO의 생산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도 6).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경우, 염증 유발 인자인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보다 NO의 생성을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는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이 염증반응을 일으키지는 않지만 대식세포에서의 NO의 생성을 증가 시켜, 면역 반응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 된다. 또한,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 내의 조사포닌을 기준으로 하여 조사포닌의 농도를 동일하게 처리하였지만,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의 경우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 보다 생리활성 기능이 많은 minor saponin인 Compound K, F2 등의 함량이 증가하여 면역 효능이 증가할 것으로 판단 된다.
실험예
5.
Raw
264.7 (
mouse
leukemic
monocyte
macrophage
cell
)을 이용한
TNF
-α 생성량 확인
1)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비교예
2)의
TNF
-α 생성 확인 방법
RAW 264.7 세포를 이용하여 pro-inflammatory cytokine인 TNF-α의 생성에 미치는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10% FBS가 함유된 DMEM에서 배양한 RAW 264.7 세포를 24 well plate에 2 x 106 cell/ml의 농도로 접종한 후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LSP와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여 각각의 세포에서 분비한 상등액을 이용하여, ELISA Kit를 사용하여 TNF-α의 발현 량을 확인하였다.
2)
RAW
264.7의 세포 생존율 확인 결과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RAW 264.7 세포에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확인한 결과 홍삼 및 발효 홍삼 추출물에서 세포독성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도 7).
3)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비교예
2)의
TNF
-α 생성에 미치는 효과 확인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이 대식세포주에서 활성을 지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cytokine인 TNF-α의 생성 유도능을 확인한 결과, 대식세포의 활성을 유발하는 LPS를 처리하지 않고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 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는 TNF-α의 생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대식세포의 활성을 유발하는 LPS를 단독 또는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과 함께 처리한 경우에는, LPS 및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TNF-α 생성량 0.593 nM인 것에 비하여 1ug/ml 농도의 LPS 단독으로 세포를 자극하였을 경우 0.866 nM 로 약 46% 정도 증가 하였으며,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경우 100ug/ml의 농도에서 1.03 nM로 대조군에 비하여 약 70%, 양성대조군인 LPS 처리군에 비하여는 18% 증가 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의 경우에는 100ug/ml의 농도에서 1.166 nM로 대조군에 비하여 약 96%, 양성대조군인 LPS 처리군에 비하여 34% 증가 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이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과 비교하였을 때에도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켜 면역관련 인자인 TNF-α의 생성을 20% 이상 증가시킨 것으로 확인 되어 면역반응을 활발히 일으킬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가 된다(도 8).
실험예
6.
Raw
264.7
cell
을 이용한 대식세포의 식작용 효능 확인
Raw 264.7 Cell에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처리하여 시료가 가지는 대식세포의 식작용 효능을 확인하였다
1)
Raw
264.7
cell
을 이용한 대식세포의 식작용 효능 확인 방법
RAW 264.7 세포를 48 well plate에 5×104 cell/well로 분주한 다음 24시간 후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100 ㎍/㎖의 농도로 처리하고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phagocytosis assay kit를 사용하여 대식세포의 식작용 효능을 확인하였다.
2)
Phagocytosis
activity
확인 결과
대식세포 대다수는 움직이지 않는 세포로 조직 안에 남아서, 이물질을 걸러 파괴시킨다. 그러나 일부는 떨어져 나와 순환계나 세포사이공간 안에서 떠돌아다닌다. 이러한 대식세포는 면역반응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대식세포의 식세포작용이 이물질의 표면분자(항원)를 표출시켜 림프구 반응을 자극하고 항체의 형성은 다시 대식세포의 식작용을 크게 자극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이용하여 대식세포의 식작용 활성 정도를 확인하였다.(도 9)
in vitro 상에서 phagocytosis assay를 통해 대식세포의 식작용을 확인한 결과 추출물을 처리하지 않은 Wild type과 대식세포의 식작용을 억제하는 Inhibitor를 처리한 음성대조군의 경우 양성대조군(P-con)에 비하여 대식세포의 식작용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100ug/ml 처리한 경우에는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을 100ug/ml 처리한 경우에는 양성대조군과 비교하여 16% 이상 대식세포의 식작용을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지만, 유의적인 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 신규한 홍삼 발효 균주를 이용하여 제조한 홍삼 발효액의 기능성 확인( in vivo ) >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의 체내 흡수율 및 면역력 증강 효과 확인하기 위하여, 마우스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홍삼 및 발효 홍삼의 면역 증진 효능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7. 면역세포
증식능
확인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3주간 경구투여 한 후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비장세포의 증식능을 확인함으로써 시료의 면역증진 효능을 확인하였다.
1) 면역세포
증식능
확인 방법
무균 상태에서 비장을 취하여 적당량의 무균 HBSS 용액이 담긴 용기에 넣고, 핀셋으로 잘게 절단하여 단일 세포 현탁액으로 만든다. Filter로 여과하여 HBSS액에 세 번 세척한다. 매 세척 시 1,000 rpm에서 원심분리 한다. 세포를 완전배양액 2 ㎖에 띄워 염색한 후 생존 세포 수를 계산한다(95%이상 생존도). 세포 농도를 2 × 106 cells/㎖로 조절한다.
세포 현탁액을 24 well plate에 넣고 각 well마다 1 ㎖씩 넣고 B cell을 자극하는 인자인 LPS와 T cell을 자극하는 인자인 Con A 용액 (5 ㎍/㎖에 해당)을 넣는다. 대조군과 함께 CO2 5%, 37℃ 배양기에서 72시간 배양한다. 배양 종료 4시간 전에 각 well마다 상등액 0.7 ㎖를 빼고 FBS를 함유하지 않은 RPMI 1640 배양액 0.7 ㎖를 넣는 동시에 MTT액 (5 ㎎/㎖)을 50 ㎕/well의 양으로 넣고 4시간 동안 계속 배양 한다. 배양 종료 후 well마다 1 ㎖의 산성 아이소프로페놀을 넣어 보라색 결정체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혼합한다. 그런 후 96 well plate에 나눠 담는다. 각 well은 3-6 well에 나눠 570 nm 파장에서 ELISA(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로 측정 한다.
2) 면역세포
증식능
확인 결과
비장은 세포성 면역과 체액성 면역에 관여하는 중요한 이차면역 기관으로 생체 내 초기 면역 반응을 담당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경구투여가 마우스 비장세포 증식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지표로 MTT assay를 이용하여 비장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에 의한 비장세포 증식능의 결과는 도 10 에 나타내었다.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3주간 경구투여 한 후,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T cell이나 B cell을 활성화시키는 mitogen을 첨가하지 않은 경우의 세포 증식률은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경구 투여한 군에서 모두 세포 증식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성 면역에서 T cell을 선택적으로 증가 시키는 Concanavalin A(Con A, 5ug/ml)를 처리한 경우에는,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을 200mg/kg의 농도로 경구 투여한 군에서 약 38%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과 비교하여도 15%이상 증식률이 좋은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하지만, 체액성 면역에서 B cell을 선택적으로 증가 시키는 Lipopolysaccharide(LPS, 5ug/ml)를 처리한 경우에는 모든 군에서 세포증식률의 차이가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이 T cell의 면역 반응을 활성화 시켜 인체의 면역 증진에 도움을 줄 것으로 판단 된다.
실험예
8. 복강대식세포에서의
Cytokine
분비능
확인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3주간 경구투여 한 후 마우스의 복강대식세포를 분리하여 마우스의 복강대식세포에서 분비하는 TNF-α 및 IL-6의 발현량을 확인함으로써 시료의 면역증진 효능을 확인하였다
1) 복강대식세포에서의
Cytokine
분비능
확인 방법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3주간 경구투여 한 후, 마취한 마우스의 복강에 20ml의 RPMI 1640 배지를 주사기로 주입한 후, 10분간 마사지하여 준다. 그 후 pipette을 사용하여 배지를 다시 회수하고, 50ml 튜브에 옮겨 4℃에서 1500rpm으로 10분간 원심분리 하였다. RPMI 1640 배지로 3회 세척한 후 10% FBS가 포함된 RPMI 1640 배지를 사용하여 1 × 106 cells/㎖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세포액 100ul를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5% CO2, 37℃ 배양기에서 2시간 배양하여 부착시켰다. 부유 된 세포를 제거한 후 부착된 대식세포를 이용하였다.
분리한 복강대식세포를 배양하여 생긴 배양 상층액으로부터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IL-1β, TNF-α)분비량을 각각 측정하였다. 비부착성 세포를 제거하고 부착성 세포만을 얻은 후, 10%-FBS RPMI 1640, 900 μL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미토젠인 LPS와 배지를 100 μL 가한 후 37℃, 5% CO2 incubator (Sanyo)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상층액을 분리하여 배양액에 축적된 IL-1β, TNF-α의 양을 ELISA 사이토카인 kit (R&D system, USA)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 자연살해세포(
NK
cell
) 활성 측정
홍삼 및 발효 홍삼을 경구투여 한 후 마우스의 비장세포를 분리하여 표적세포인 YAC-1 세포와 함께 배양하여 Natural Killer cell의 활성을 확인함으로써 시료의 면역증진 효능을 확인하였다.
- 표적세포 및 효능세포의 배양
실험 24시간 전에 표적세포(YAC-1 cell)를 배양한다. 사용 전 HBSS용액으로 3번 세척하고 RPMI-1640 배양액으로 세포농도를 1 × 105 cells/㎖ 로 조정하였다.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3주간 경구 투여한 마우스에서 비장세포를 분리한 후, RPMI-1640 배양액으로 세포농도를 1 × 105 cells/㎖ 로 조정하였다.
3) 사이토카인
분비능
확인 결과
-. 복강대식세포를 이용한
TNF
-α의 발현량 확인
Tumor necrosis factor (TNF)은 대식세포에서 주로 분비되며 항원에 의해 자극된 T 세포, NK세포 그리고 비만세포에 의해서도 생산이 되는 사이토카인으로 17kD 크기의 당단백질이다. TNF는 대식세포의 활성화에 T 세포와 NK 세포가 생산한 IFN-γ와 함께 상승 작용하며, 특히 반응성 질소 대사물인 NO를 유도하여 대식세포가 폭 넓은 항 미생물 작용을 갖도록 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3주간 경구투여 한 마우스의 복강대식세포의 TNF-α 발현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복강대식세포에서 LPS의 자극으로 인한 TNF-α의 생성 유도능을 확인한 결과, LPS 및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TNF-α 생성량은 4571 pg/ml 이었으며, LPS만을 처리한 양성대조군의 경우에는 6293 pg/ml로 무처리군에 비하여 37% 증가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경우 20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 한 군에서 6312 pg/ml로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38% 정도 증가하여 LPS를 처리한 양성대조군과 비슷한 생성량을 보였다. 하지만,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의 경우 20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 한 군에서 6976 pg/ml로 무처리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52% 정도 증가 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과 비교하여도 14% 이상 증가한 것을 확인 하였다(도 11).
또한, LPS의 자극 없이 홍삼 및 발효 홍삼 추출물 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경우,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 보다 TNF-α 생성량은 증가하지만, 시료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실시예 3) 섭취에 의하여 면역 활성을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다가 외부물질(항원물질)이 체내로 침입하게 될 경우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이 면역세포의 활성화에 작용하여 면역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 된다.
- 복강대식세포를 이용한
IL
-1β의 발현량 확인
IL-1β는 사이토카인 중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염증반응의 매개체로서 대식세포에서 가장 만이 생성되며, 특정한 염증 자극을 받았을 때 그 반응의 결과로 생성된다. 또한, IL-1β는 T cell의 활성화와 같은 사이토카인 네트워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IL-1β의 감소는 감염성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약화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복강대식세포에서의 IL-1β의 생성 유도능을 확인한 결과,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IL-1β 생성량은 198 pg/ml 이었으며, 대식세포의 자극원으로 LPS를 처리한 경우에는 337 pg/ml로 약 70%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경우 20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 한 군에서 280 pg/ml 로 확인 되었으며, 이는 IL-1β의 생성이 대조군 보다는 40%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의 경우 20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 한 군에서 348 pg/ml 로 약 73% 정도 증가 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2).
하지만, IL-1β 생성의 경우에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LPS 보다 홍삼 및 발효 홍삼 추출물의 효능이 유의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은 것을 확인 하였다.
- 복강대식세포를 이용한
IL
-6의 발현량 확인
IL-6는 inflammatory, metabolic, physiological, haematopoietic과 같은 immunological 활성도와같은 여러 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다. IL-6는 원래 B세포의 분화 인자로 B세포의 항체 생산을 증가시키는 단백질로 알려져 있었다.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IL-6는 면역 반응 및 조혈조절 등 숙주 방어기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으로 밝혀져 면역 반응에서 중요한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3주간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복강대식세포에서의 IL-6의 생성 유도능을 확인한 결과,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의 IL-6 생성량은 107 pg/ml 이었으며, 대식세포에 자극을 주기 위하여 LPS를 처리한 경우 193 pg/ml로 약 180% 정도 IL-6의 생성을 증가시켰다.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경우 20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 한 군에서 208 pg/ml로 확인 된 반면,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의 경우 20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 한 군에서 227pg/ml로 대조군에 비하여 약 212% 정도 증가 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13). 또한,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은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과 비교하여도 IL-6 생성량을 18% 이상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홍삼 발효액(실시예 3) 섭취에 의하여 면역 활성을 잠재적으로 가지고 있다가 외부물질(항원물질)이 체내로 침입하게 될 경우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이 마우스의 복강 대식세포를 활성화시켜 IL-6의 생성을 촉진 시킴으로써 면역기능 증강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 된다.
실험예
9. 홍삼 및 발효 홍삼의
채내
흡수율 확인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경구투여 한 후 마우스의 혈액을 채취한 후, 혈액에서 혈장을 분리하여 혈장내의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기능성 성분이라 판단되는 Compound K의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시료의 체내 흡수율을 확인하였다.
1) 분석 장비 및 기기
- Mass spectrometry: API 4000 Q-trap Mass Spectrometer
- LC system: Agilent 1100 series
- Peak Simple Chromatography Data System: Analyst 1.4.2 (Applied Biosystems)
2)
분석 조건
하기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다.
Analysis method | LC-MS/MS |
Detector | API 4000 Q-trap Mass Spectrometer |
Column | Luna C18 (2.0ⅹ100 mm i.d, 3 m) |
Mobile phase | 10mM ammonium acetate/Methanol/Acetonitrile (5/47.5/47.5, v/v/v) |
Flow rate | 0.5 mL/min |
Injection volumn | 10 μL |
MS/MS parameter | MRM mode Compound K: 621.494 → 161.0 Internal standard (digoxin): 779.395 → 649.500 |
3)
검량선 작성
Compound K 표준품을 methanol에 녹여 compound K의 농도를 1 mg/mL로 만든 후 mouse plasma에 녹여 1, 2, 5, 10, 100, 400, 800, 1000 ng/mL의 농도가 되도록 표준혈장시료를 만들었다. 각각의 100 μL 시료에 1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 7.4)를 100 μL씩을 가한 후, ethyl acetate 900 μL를 넣고 vortexing하고, 2,500 g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상층액 300 μL를 30°C에서 증발 농축하고 이동상 100 μL로 용해시킨 후, 내부표준물질 10 μL를 넣어 vortexing 한 후 LC-MS/MS에 주입하여 분석하였다. 검체 분석 중에는 검량선 작성시료를 먼저 측정한 후 시료 분석 전 QC 시료들을 측정하여 이론치의 ±15% 이내에 들어오는지 확인하였다.
4) 혈장시료의 처리
-20°C에 보관하였던 각 mouse plasma를 실온에 방치하여 녹인 후 vortexing 하고 필요량만큼 취하여 검량선 작성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전처리 한 후 LC-MS/MS에 주입하였다.
5) 혈중농도 계산
얻어진 크로마토그램으로부터 내부표준물질의 피크면적에 대한 compound K의 피크 면적비를 구하여 미리 작성한 검량선으로부터 혈장 시료 중 compound K의 농도를 구하였다.
6)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 비교예 2)의 체내 흡수율 확인결과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경구투여 한 후 마우스의 혈액을 채취한 후, 혈액에서 혈장을 분리하여 혈장내의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기능성 성분이라 판단되는 Compound K의 함량을 분석함으로써 시료의 체내 흡수율을 확인하였다.(도 14 및 도 15)
그 결과 대조군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경구투여 한 마우스의 혈장에서는 Compound K의 함량이 1ng/ml 이하로 확인은 되었지만, 이러한 결과는 검량선 작성시 측정한 이론치의 ±15% 이내에 들어오지 않아 체내에 흡수가 되지 않은 것으로 사료 되었다.
하지만,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을 200mg/kg의 농도로 경구투여 한 마우스의 혈장에서는 6ng/ml로 확인되어, Compound K가 마우스의 체내에 흡수가 된 것으로 판단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의 기능 성분인 Compound K가 체내에 흡수되어 면역 증진에 영향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의 암세포의 증식억제 결과>
본 발명자는 폐암세포주인 A549-1 세포, 위암세포주인 AGS-1 세포, 대장암세포주인 HT 29 세포를 사용하여 각각의 암세포의 세포 증식억제에 미치는 홍삼 발효액(실시예 3) 및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10.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의 폐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확인
폐암세포주인 A549-2 세포의 세포증식률은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을 100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20% 정도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페암세포의 증식률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100u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폐암세포의 증식률을 크게 억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도 15)
실험예
11.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의 위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확인
다음으로, 위암세포주인 AGS-1 세포의 세포증식률은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을 100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25% 정도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위암세포의 증식률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100u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위암세포의 증식률을 크게 억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도 16)
실험예
12. 본 발명의 홍삼 발효액의 대장암세포 증식 억제 효과 확인
다음으로, 대장암세포주인 HT 29 세포의 세포증식률은 홍삼 발효액(실시예 3)을 100ug/ml의 농도로 처리하였을 때 40% 정도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대장암세포의 증식률을 유의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미발효 홍삼 추출액(비교예 2)을 100ug/ml의 농도로 처리한 경우에는 7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대장암세포의 증식률을 크게 억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도 17)
< 식물성 소재를 포함하는 배지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의 제조 >
실험 재료
1. 실험재료
본 실험에 사용된 재료들은 식품제조 회사인 (주)세계에프엘에서 각 식품재료를 공급받아 사용하였다.
2. 실험에 사용한 유산균
웅진식품(주)에서 한국미생물 보존센터에 기탁한 특허 출원 유산균(KCTC 12108BP)인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예
13. 기본 배지 조성 실험
(1) 식물성 소재의 종류에 따른 미생물 배양 실험
유산균의 생육에 관여할 수 있는 소재(material)인 당근(Carrot), 바나나(Banana), 무(Radish) 및 양상추(Lettuce)를 각각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을 배양하여, 개별적으로 유산균의 O?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8 및 도 18에 나타내었다.
1% | 5% | 10% | 20% | 30% | |
당근(Carrot) | 0.131 | 0.492 | 0.354 | 0.078 | 0.091 |
바나나(Banana) | 0.031 | 0.383 | 0.417 | 0.329 | 0.305 |
무(Radish) | 0.046 | 0.211 | 0.551 | 0.884 | 0.748 |
양상추(Lettuce) | 0.018 | 0.065 | 0.104 | 0.13 | 0.211 |
표 8과 도 18을 참고하면, 무, 당근, 바나나, 양상추 순으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의 생육에 적합하며, 가장 적합한 것은 무임을 알 수 있다.
(2) 당의 종류에 따른 미생물 배양 실험
유산균이 이용가능한 당원인 설탕(sugar), 폴리덱스트로스(polydextrose), 프럭토오스(fructose), 말토올리고(maltooligo), 글루코오스(glucose), 덱스트린(dextrin), 프럭토올리고(fructooligo) 및 락토오즈(lactose)을 각각 첨가한 배지에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을 배양하여, 개별적으로 유산균의 O?값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9 및 도 19에 나타내었다.
당 종류 (Carbon source) |
OD600 | 당 종류 (Carbon source) |
OD600 |
Control | 0.363 | 글루코오스(glucose) | 0.71 |
설탕(sugar) | 0.69 | 덱스트린(dextrin) | 0.692 |
폴리덱스트로스(polydextrose) | 0.663 | 프럭토올리고(fructooligo) | 0.695 |
프럭토오스(fructose) | 0.681 | 락토오즈(lactose) | 0.745 |
말토올리고(maltooligo) | 0.66 |
표 9와 도 19을 참고하면, 락토오즈와 글루코오스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의 생육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3) 염분 및 영양성분의 종류에 따른 미생물 배양 실험
유산균이 이용가능한 염분과 영양성분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를, 표 10 및 도 20에 나타내었다. 표 10 및 도 20을 참고하면, 제2인산칼륨(Dipotassium phosphate;K2HPO4)의 농도 0.1 대비 효모추출물(yeast extract)을 0.5 내지 5의 농도로 첨가한 경우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의 생육에 적합함을 알 수 있다.
Salt | OD600 | Salt | OD600 | Salt | OD600 |
K 0.1 Y 0.1 | 0.52 | K 0.5 Y 0.1 | 0.319 | K 1 Y 0.1 | 0.326 |
K 0.1 Y 0.5 | 0.821 | K 0.5 Y 0.5 | 0.442 | K 1 Y 0.5 | 0.392 |
K 0.1 Y 1 | 0.952 | K 0.5 Y 1 | 0.493 | K 1 Y 1 | 0.491 |
K 0.1 Y 5 | 0.984 | K 0.5 Y 5 | 0.581 | K 1 Y 5 | 0.564 |
표 10 및 도 20에서 K는 제2인산칼륨(Dipotassium phosphate;K2HPO4)을 나타내며, Y는 효모추출물(yeast extract)을 나타낸다.
위 결과를 토대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의 생육에는, 전체 배지 조성물 중량 대비, 무와 락토오즈 0.2중량%, 글루코오스 0.2중량% 그리고 제2인산칼륨(Dipotassium phosphate;K2HPO4) 0.1중량% 와 5중량%의 효모추출물(yeast extract)의 함량이 가장 적합한 배합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4. 추가 첨가물 조성 실험
(1) 식물성 소재 추가에 따른 미생물 배양 실험
상기 실험예 12의 결과에 따라, 전체 배지 조성물 중량 대비, 무와 락토오즈 0.2중량%, 글루코오스 0.2중량% 그리고 제2인산칼륨(Dipotassium phosphate;K2HPO4) 0.1중량% 와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5중량%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에 식물성 소재로 배추(Cabbage), 당근(Carrot), 바나나(Banana), 양상추(Lettuce) 등을 각각 0.1중량%, 0.5중량%, 1중량%의 비율로 첨가한 배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를 24h 동안 배양한 후 O?값을 측정하여, 표 11 및 도 21에 각각 나타내었다.
소재(농도) | OD600 | 소재(농도) | OD600 |
배추(Cabbage) 0.1% | 0.988 | 당근(Carrot) 0.1% | 0.789 |
배추(Cabbage) 0.5% | 0.609 | 당근(Carrot) 0.5% | 0.852 |
배추(Cabbage) 1% | 0.569 | 당근(Carrot) 1% | 1.052 |
소재(농도) | OD600 | 소재(농도) | OD600 |
바나나(Banana) 0.1% | 1.053 | 양상추(Lettuce) 0.1% | 0.835 |
바나나(Banana) 0.5% | 1.06 | 양상추(Lettuce) 0.5% | 1.043 |
바나나(Banana) 1% | 1.088 | 양상추(Lettuce) 1% | 1.059 |
그 결과 당근과 바나나를 각각 1중량%로 첨가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배양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2) 식물성 소재 혼합 첨가에 따른 미생물 배양 실험
상기 실험예 12의 결과에 따라, 전체 배지 조성물 중량 대비, 무와 락토오즈 0.2중량%, 글루코오스 0.2중량% 그리고 제2인산칼륨(Dipotassium phosphate;K2HPO4) 0.1중량% 와 효모추출물(yeast extract) 5중량%를 포함하는 배지 조성물에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물성 소재를 혼합 첨가한 배지 조성물을 제조하여,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 paracasei)를 24h 동안 배양한 후 O?값을 측정하여, 표 12 및 도 22에 각각 나타내었다.
MatrialMix concentration |
Control | 바나나+양상추 (Banana+ Lettuce)1% |
배추+바나나(Cabbage+ Banana)1% |
배추+양상추(Cabbage+ Lettuce)1% |
OD600 | 0.815 | 1.096 | 1.069 | 0.968 |
MatrialMix concentration |
당근+바나나 (Carrot+ Banana)1% |
당근+양상추 (Carrot+ Lettuce)1% |
배추+당근 (Cabbage+ Carrot)1% |
|
OD600 | 1.127 | 0.983 | 1.053 |
그 결과 당근과 바나나를 총 조성물 중량 대비 1 중량 %씩 혼합하여 첨가하였을 때 가장 우수한 배양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10)
- 서열 번호 8의 서열을 갖는, 홍삼 발효용 미생물(기탁 번호: KCTC12108BP)로,
상기 미생물은, 홍삼에 포함된 Rg1, Re, Rb1, Rc, Rb2 및 Rd 중 하나 이상의 메이져 사포닌을 F2, Rg3, Rh2 및 컴파운드-k(Compound-K) 중 하나 이상의 마이너 사포닌으로 전환시키는 특성을 나타내는, 홍삼 발효용 미생물. - 삭제
-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생물은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Lactobacillus paracasei subsp. paracasei)의 염기 서열과 상동성 99% 이상을 나타내는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발효용 미생물. - 삭제
- 청구항 제1항 또는 제3항의 미생물을 홍삼 추출액에 가하여 발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홍삼 발효액 제조방법.
-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키는 단계 후, 베타-글루코시다제 활성(β-glucosidase activity)이 있는 효소를 첨가하여 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발효액 제조방법. -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 설탕(sucrose) 또는 염(NaCl)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발효액 제조방법. - 청구항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시 사용되는 미생물 배양액이, 배추, 무, 양상추, 양배추, 당근, 바나나, 감자, 상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발효액 제조방법. - 청구항 제5항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홍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홍삼 발효 음료.
- 청구항 제5항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홍삼 발효액을 포함하는, 암 개선 및 암 예방용 홍삼 발효 음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10140564 | 2011-12-22 | ||
KR1020110140564 | 2011-12-22 | ||
KR20120053240 | 2012-05-18 | ||
KR1020120053240 | 2012-05-1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79227A KR20130079227A (ko) | 2013-07-10 |
KR101295444B1 true KR101295444B1 (ko) | 2013-08-09 |
Family
ID=48633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51862A KR101295444B1 (ko) | 2011-12-22 | 2012-12-24 | 신규한 홍삼 발효용 미생물, 이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 및 홍삼 발효 음료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295444B1 (ko) |
CN (1) | CN103173379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5082A (ko) * | 2020-12-29 | 2022-07-06 | 오헌식 | 유기물 분해능력 및 악취절감 효능이 있는 축산용 생균 복합제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738636A (zh) * | 2015-04-19 | 2015-07-01 | 通化青山实业集团有限公司 | 一种发酵红参保健口服液 |
CN106498018B (zh) * | 2016-11-07 | 2019-06-07 | 江南大学 | 一种复合菌制备人参稀有抗癌皂苷Compound K的方法 |
KR102147103B1 (ko) * | 2018-08-24 | 2020-08-24 | 주식회사 진켐 | 홍삼 추출물 및 시알릴락토스를 포함하는 면역 증강용 약학 조성물 |
CN109182441A (zh) * | 2018-08-31 | 2019-01-11 | 吉林农业大学 | 人参皂苷Rb1发酵液的制备方法及其应用 |
KR102175436B1 (ko) * | 2018-09-03 | 2020-11-06 |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 홍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제대혈 줄기세포의 기능회복, 태반혈관형성 촉진, 및 임신 중독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
CN110591952B (zh) * | 2019-09-24 | 2020-11-13 | 扬州大学 | 具有分解油脂能力的副干酪乳杆菌及其应用 |
KR102587892B1 (ko) * | 2021-07-21 | 2023-10-12 | 주식회사 에치와이 | 홍삼을 영양원으로 이용하여 균주의 특성이 강화되고 면역 기능이 증진된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이 hy7017 균주 및 이의 용도 |
CN113841888A (zh) * | 2021-09-24 | 2021-12-28 | 安敏燮 | 一种红参发酵液及红参的发酵方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0061756A (ko) * | 2003-06-25 | 2003-07-22 | 오인교 | 기능성 및 관능성이 우수한 인삼발효액의 제조방법 |
KR100618171B1 (ko) | 2003-04-30 | 2006-08-29 | 김재백 | 인삼사포닌분해물을 함유하는 발효홍삼 및 그 제조방법 |
KR100866504B1 (ko) | 2008-09-23 | 2008-11-11 | 주식회사 비티씨 | 홍삼 발효용 미생물 및 발효 홍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08350B2 (ja) * | 1998-11-27 | 2009-08-05 | 小林製薬株式会社 | シイタケ菌糸体抽出物を含有するlak活性スクリーニング物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lak活性スクリーニング法 |
CN1330302C (zh) * | 1999-12-15 | 2007-08-08 | 株式会社氨基厄普化学 | 来源于担子菌培养物的物质、其制造方法及其用途 |
KR20020048778A (ko) * | 2000-12-18 | 2002-06-24 | 서권일 | 택사발효주 및 그 제조방법 |
SE527555C2 (sv) * | 2003-04-04 | 2006-04-11 | Probi Ab | Anti-inflammatorisk komposition innehållande tannasproducerande Lactobacillusstammar |
TW201016259A (en) * | 2008-10-30 | 2010-05-01 | Hsu Shui Long | Antibacterial activities and antioxidant properties of food |
US20120156760A1 (en) * | 2009-03-24 | 2012-06-21 | Suntory Holdings Limited | Method for producing lactic acid bacteria having enhanced immunoregulating activities |
CN101851593B (zh) * | 2010-03-09 | 2012-10-31 | 生合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 植物乳酸杆菌株lp28及其减缓过敏反应之用途 |
-
2012
- 2012-12-24 CN CN2012105681132A patent/CN103173379A/zh active Pending
- 2012-12-24 KR KR1020120151862A patent/KR10129544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8171B1 (ko) | 2003-04-30 | 2006-08-29 | 김재백 | 인삼사포닌분해물을 함유하는 발효홍삼 및 그 제조방법 |
KR20030061756A (ko) * | 2003-06-25 | 2003-07-22 | 오인교 | 기능성 및 관능성이 우수한 인삼발효액의 제조방법 |
KR100866504B1 (ko) | 2008-09-23 | 2008-11-11 | 주식회사 비티씨 | 홍삼 발효용 미생물 및 발효 홍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
Non-Patent Citations (2)
Title |
---|
J. Trad. Med., Vol.23, pp.42-46(2006.) * |
J. Trad. Med., Vol.23, pp.42-46(2006.)*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20095082A (ko) * | 2020-12-29 | 2022-07-06 | 오헌식 | 유기물 분해능력 및 악취절감 효능이 있는 축산용 생균 복합제 |
KR102697040B1 (ko) | 2020-12-29 | 2024-08-21 | 오헌식 | 유기물 분해능력 및 악취절감 효능이 있는 축산용 생균 복합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3173379A (zh) | 2013-06-26 |
KR20130079227A (ko) | 2013-07-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95444B1 (ko) | 신규한 홍삼 발효용 미생물, 이를 이용한 홍삼 발효액 및 홍삼 발효 음료 | |
KR101330864B1 (ko) | 펙티나아제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Rd가 강화된 발효인삼 또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 |
KR101423100B1 (ko) | 진세노사이드 Rg3 및 Rb1의 함량을 증폭시키는 발효홍삼의 제조방법 | |
KR101402031B1 (ko) |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룸 k154를 이용한 gaba 증진 발효 식물 추출물 제조방법 | |
TWI410494B (zh) | Il-8抑制劑與其製造方法 | |
KR101343410B1 (ko) | 인삼 발효능을 갖는 신규 락토바실러스 플랜타럼 crnb―22 〔kctc11931 bp〕균주 및 이를 이용한 사포닌 전환 방법 | |
KR100734975B1 (ko) | 1-데옥시노지리마이신을 생산하는 바실러스 서브틸리스s10 균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 |
KR20220059972A (ko) | 비타민 k2를 함유하는 유산균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101647631B1 (ko) | 락토바실러스플란타룸 wikim18을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용 조성물 | |
CN113604410B (zh) | 一种植物乳杆菌yt013及其应用 | |
KR101965582B1 (ko) | 유산균 발효를 이용한 홍삼 유효성분의 체내 흡수 및 혈중 농도 유지시간이 개선된 발효홍삼 농축액 및 그 발효홍삼 농축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품 | |
KR101980450B1 (ko) | 진세노사이드 Rd와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활성산양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JP4426506B2 (ja) | 新規乳酸菌及び新規乳酸菌を利用した飲料 | |
KR101181269B1 (ko) | 김치로부터 분리된 바실러스 속 균주가 생산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지닌 세포외다당류 및 그 생산방법 | |
KR20100074382A (ko) | 인삼발효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 |
WO2013176320A1 (ko) | 인체에서 유래한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 hk-9 및 그를 이용한 발효물과 화장료 조성물 | |
CN113337427A (zh) | 一种植物乳杆菌hnu082、组合物及其应用 | |
KR20220071718A (ko) | 발효 노니를 포함하는 아토피 예방 및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20160040790A (ko) | 발효한 두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가축 사료 첨가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11133B1 (ko) | 알파-람노시다제 효소 활성이 우수하고, 진세노사이드 Re 및 Rb1을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로 생물전환하는 활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MBE/L2990 균주 및 이의 용도 | |
KR101892615B1 (ko) | 락토바실러스 사케이 2-6-4 균주 및 이의 용도 | |
KR102466825B1 (ko) | 사포닌에 대해 생물전환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애시도필러스 bla-9 균주, 이를 이용한 화합물 k의 함량이 증대된 발효 홍삼 추출물의 제조 방법, 이에 따른 발효 홍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 |
KR20140039742A (ko) | 홍삼 발효용 신규 미생물 락토바실러스 파낙시카세이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발효 홍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
KR101063624B1 (ko) | 오미자 발효물, 그 발효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 |
KR20140022652A (ko) | 신규한 류코노스톡 사이트리움 및 이를 함유한 식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