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5076B1 -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5076B1
KR101295076B1 KR1020110058625A KR20110058625A KR101295076B1 KR 101295076 B1 KR101295076 B1 KR 101295076B1 KR 1020110058625 A KR1020110058625 A KR 1020110058625A KR 20110058625 A KR20110058625 A KR 20110058625A KR 101295076 B1 KR101295076 B1 KR 1012950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layer
forming
toilet seat
edge portion
low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8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9068A (ko
Inventor
이동철
이승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1020110058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5076B1/ko
Publication of KR2012013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9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5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5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9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seat war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 및 그 제조방법은, 연성을 갖는 표피층을 성형하는 제1단계와, 상기 표피층의 하부에 발열체를 부착시켜 상부몸체를 성형하는 제2단계와, 상기 표피층이 상부에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단 테두리부위에 상부로 날을 이루는 절단부가 형성되도록 하부몸체를 성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 테두리 부위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 테두리 부위를 결합시켜, 상기 절단부에 의해 상기 표피층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불량 성형부분이 절단되도록 하는 제4단계 및,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의 공간부로 단열재를 주입시켜 발포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Warm seat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of bidet}
본 발명은 난방변좌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착좌하는 변좌의 표면에 연성을 갖는 표피층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변좌를 이루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간의 형합 과정에서 표피층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불량 성형부분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변 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제작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세정 변좌를 일컫는 것으로 호텔, 여관 등의 숙박업소는 물론 일반 가정 내 배변 설비인 좌변기에 설치되어 용변 후 적정 수압의 세정 수로 항문 및 그 주변을 세정함으로써,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뒷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일종의 위생 설비이다.
이와 같은 비데는, 본체와, 세정 수를 공급받아 일정 온도로 가열/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세정 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항문 및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 노즐을 전후로 동작시키는 구동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는 변좌가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비데의 변좌는 대부분 합성수지 계열이나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을 이용해 제작되며,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될 때 일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난방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변좌는 사용자가 착좌할 때 인체가 접하는 표면이 딱딱한 합성수지 계열이나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할 때 딱딱한 느낌에 의해 불쾌감을 느꼈으며, 사용자가 변좌에 오랫동안 착좌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불쾌감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불쾌감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탄성체를 구비한 변좌가 제안된 바 있으나, 탄성체를 구비한 변좌의 가공방법상에 사출로 하부몸체를 성형하고, 표피층의 테두리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이 추가로 더 필요하였다.
그리고, 하부몸체와 표피층을 갖는 상부몸체의 형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하부몸체와 상부몸체의 틈새로 발포된 단열재가 새어나와 추가적인 가공을 필요로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착좌하는 변좌의 표면에 연성을 갖는 표피층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변좌를 이루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간의 형합 과정에서 표피층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불량 성형부분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변 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제작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성을 갖는 표피층을 성형하는 제1단계와, 상기 표피층의 하부에 발열체를 부착시켜 상부몸체를 성형하는 제2단계와, 상기 표피층이 상부에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단의 외측 테두리부위와 중공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테두리 부위에 상부로 날을 이루는 절단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부몸체를 성형하는 제3단계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 테두리 부위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 테두리 부위를 결합시켜, 상기 절단부에 의해 상기 표피층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불량 성형부분이 절단되도록 하는 제4단계 및,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의 공간부로 단열재를 주입시켜 발포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계에서 성형되는 상기 표피층은, 상부 면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계 또는 상기 제2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도록 접촉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피층은, 우레탄계, 고무류, 실리콘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단계에서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 테두리 부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면을 형성시켜 상단이 날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5단계는, 상기 단열재가 상기 절단부의 경사면과 상기 표피층의 하단 테두리 부위 사이의 틈새를 채워 밀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재는, 발포 스티렌 계열, 우레탄 계열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는 융착 또는 본딩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착좌하는 변좌의 표면에 연성을 갖는 표피층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변좌를 이루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간의 형합 과정에서 표피층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불량 성형부분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변 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되고 제작의 용이성을 높이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를 보여주기 위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를 보여주기 위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가 변기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설치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의 단계를 순차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은, 표피층을 형성하는 제1단계(S100), 상기 표피층에 발열체를 부착시켜 상부몸체를 성형하는 제2단계(S200), 절단부가 형성되도록 하부몸체를 성형하는 제3단계(S300),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를 결합시켜 표피층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불량 성형부분을 절단하는 제4단계(S400), 상기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사이의 공간부에 단열재를 주입시키는 제5단계(S500)를 포함한다.
이하, 도 5를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단계(S100)는 수직으로 중공부를 형성하는 연성의 표피층(120)을 성형한다. 여기서, 상기 연성의 표피층(120)은 상부 면을 따라 안착홈(121)이 형성된다.
여기서, 표피층(120)은 사용자의 인체가 닫는 부분으로 우레탄계, 고무류, 실리콘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므로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탄성력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제1단계(S100)에는 안착홈(121)에는 사용자의 인체가 실질적으로 넓게 접하는 접촉층(110)을 부착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층(110)은 사용자의 인체가 실질적으로 닫는 부분이 되며, 표피층(120)으로 가해지는 무게를 탄성력에 의해 완충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표피층(120)은, 수직으로 관통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부 면을 따라 형성된 안착홈(121)에 대응되게 접촉층(110)이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표피층(120)은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하는 상부몸체(100)의 표면을 이룬다.
그리고, 표피층(120)은 하부몸체(200)의 재질보다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표피층(120)은 우레단 계열, 고무 계열 및 실리콘 계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표피층(120)이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연질의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변좌에 오랜 시간동안 착좌한 상태에서도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되며, 착좌시의 편안함 뿐 아니라 겨울철 온도 저하에 따른 불쾌감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제2단계(S200)는 표피층(120)의 하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발열체(130)를 부착시켜 상부몸체(100)를 성형한다. 즉, 상부몸체(100)는 일정 경도를 가지는 발열체(130)와 그 상부 면에 부착되는 연성의 표피층(120) 및 접촉층(110)이 한 몸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발열체(13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상부몸체(100)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상부몸체(100)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상부몸체(1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발열체(130)는 두께의 내부 또는 하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열선(131)이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으며, 상기 열선(131)에는 외부의 전원부(미도시)로부터 전원이 공급된다.
다음으로, 제3단계(S300)는 표피층(120)이 상부에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단 테두리부위에 상부로 날을 이루는 절단부(210)가 형성되도록 하부몸체(200)를 성형한다.
또한, 제3단계(S300)에서의 절단부(210)는 하부몸체(200)의 상단 테두리 부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면(211)을 형성시켜 상단이 날 형태를 갖는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절단부(210)는 하부몸체(200)의 중공부측 테두리 부위와 외측 테두리 부위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몸체(200)의 외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절단부(210)는 경사면이 내부로부터 외부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며, 중공부측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는 절단부(210)는 경사면이 내부로부터 중공부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즉, 한 쌍의 절단부(210)가 표피층(120)의 외측 테두리 부위와 중공부측 위치하는 내측 테두리 부위를 형합 과정에서 각각 절단할 수 있어, 표피층(120)의 테두리 절단 과정을 없앨 수 있다.
다음으로, 제4단계(S400)는 상부몸체(100)의 하단 테두리 부위와 하부몸체(200)의 상단 테두리 부위를 결합시켜, 절단부(210)에 의해 표피층(120)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불량 성형부분이 절단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4단계(S400)는 단열재(300)가 공간부의 내부를 채움으로써, 절단부(210)의 경사면(211)과 표피층(120)의 하단 테두리 부위 사이의 틈새를 채워 밀봉시킨다. 여기서, 상기 단열재(300)는 발포 스티렌 계열, 우레탄 계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몸체(100)와 상기 하부몸체(200)는 융착 또는 본딩 결합을 통해 형성된다.
최종적으로, 제5단계(S500)는 하부몸체(200)와 상부몸체(100) 사이의 공간부로 단열재(300)를 주입시켜 발포시킨다. 즉, 공간부에 용해된 상태로 주입된 단열재(300)는 발포되면서 공간부의 형태에 맞게 경화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착좌하는 변좌의 표면에 연성을 갖는 표피층을 형성시킴과 아울러, 변좌를 이루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 간의 형합 과정에서 표피층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불량 성형부분을 함께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용변 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제작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상부몸체 110: 접촉층
120: 표피층 121: 안착홈
122: 제1체결부 130: 발열체
200: 하부몸체 210: 절단부
211: 경사면 220: 제2체결부
300: 단열재

Claims (7)

  1.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에 있어서,
    연성을 갖는 표피층을 성형하는 제1단계;
    상기 표피층의 하부에 발열체를 부착시켜 상부몸체를 성형하는 제2단계;
    상기 표피층이 상부에 부착되도록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단의 외측 테두리 부위와 중공부측에 위치하는 내측 테두리 부위에 상부로 날을 이루는 절단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부몸체를 성형하는 제3단계;
    상기 상부몸체의 하단 테두리 부위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 테두리 부위를 결합시켜, 상기 하부몸체의 절단부에 의해 상기 표피층의 테두리 외측으로 돌출된 불량 성형부분이 절단되도록 하는 제4단계; 및
    상기 하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 사이의 공간부로 단열재를 주입시켜 발포시키는 제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성형되는 상기 표피층은, 상부 면을 따라 안착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단계 또는 상기 제2단계의 이후에는, 상기 안착홈에 대응되도록 접촉층을 부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층은, 우레탄계, 고무류, 실리콘류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에서의 상기 절단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상단 테두리 부위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상향 경사면을 형성시켜 상단이 날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는, 상기 단열재가 상기 절단부의 경사면과 상기 표피층의 하단 테두리 부위 사이의 틈새를 채워 밀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 스티렌 계열, 우레탄 계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는 융착 또는 본딩 결합을 통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KR1020110058625A 2011-06-16 2011-06-16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KR101295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625A KR101295076B1 (ko) 2011-06-16 2011-06-16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8625A KR101295076B1 (ko) 2011-06-16 2011-06-16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68A KR20120139068A (ko) 2012-12-27
KR101295076B1 true KR101295076B1 (ko) 2013-08-08

Family

ID=47905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8625A KR101295076B1 (ko) 2011-06-16 2011-06-16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5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647A (ko) * 1996-12-16 1998-09-15 유현복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
JPH10335051A (ja) * 1997-05-29 1998-12-18 Mitsubishi Cable Ind Ltd 便座ヒータ
JP2005131092A (ja) * 2003-10-30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便座ユニット
KR20060083856A (ko) * 2005-01-18 2006-07-21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난방 변좌 및 이를 구비한 변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7647A (ko) * 1996-12-16 1998-09-15 유현복 어린이용 변기시트의 제조방법
JPH10335051A (ja) * 1997-05-29 1998-12-18 Mitsubishi Cable Ind Ltd 便座ヒータ
JP2005131092A (ja) * 2003-10-30 2005-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便座ユニット
KR20060083856A (ko) * 2005-01-18 2006-07-21 아이신세이끼가부시끼가이샤 난방 변좌 및 이를 구비한 변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9068A (ko)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773B1 (ko) 비데의 난방변좌
JP2010125138A (ja) 乗物用シート
CN107752887B (zh) 冲厕装置
KR101295076B1 (ko)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KR20120008669U (ko) 비데의 난방변좌
JP4134039B2 (ja) シート用クッションパッド及びその製造方法
JP4440432B2 (ja) 浴室用クッショ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898203B1 (ko) 의자 방석
KR100854719B1 (ko) 건강베개 및 그 성형방법
KR101042100B1 (ko) 머리 받침구
JP3202128U (ja) 風呂椅子用クッション
JP2017086127A (ja) 風呂椅子
KR101320589B1 (ko) 온수 세정기의 변좌 시트
JP4100051B2 (ja) 便座装置
JP2007275376A (ja) 便座用クッション
CN219742568U (zh) 浴枕
JP3143021U (ja) 浴槽用枕
JP2006095778A (ja) 発泡成形型およびそれを用いたシート用パッドの製造方法
KR100577452B1 (ko) 열선이 매립된 발포패드 및 이의 제조를 위한 금형
KR20140086034A (ko) 비데
JP4205568B2 (ja) 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JP3117431U (ja) 浴室用椅子
JP3210353U (ja) 風呂椅子
JP3125741U (ja) 洋式便器
KR20080002257U (ko) 표면재가 부착된 온수세정기용 변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