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8669U - 비데의 난방변좌 - Google Patents

비데의 난방변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08669U
KR20120008669U KR2020110005088U KR20110005088U KR20120008669U KR 20120008669 U KR20120008669 U KR 20120008669U KR 2020110005088 U KR2020110005088 U KR 2020110005088U KR 20110005088 U KR20110005088 U KR 20110005088U KR 20120008669 U KR20120008669 U KR 201200086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ing
bidet
heating element
toilet
sk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5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문
엄인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Priority to KR2020110005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08669U/ko
Publication of KR201200086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8669U/ko

Links

Images

Landscapes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비데의 난방변좌는, 수직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연질의 표피층과, 상기 표피층의 하부에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도록 발열체가 구비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며, 수직으로 중공부를 형성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와 상기 발열체의 하부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어, 상기 발열체의 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데의 난방변좌{Warm seat for electric bidet}
본 고안은 난방변좌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체가 접촉하는 변좌의 표면에 낮은 경도를 갖는 표피층을 형성시킴으로, 사용자가 용변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Bidet)는 세정 변좌를 일컫는 것으로 호텔, 여관 등의 숙박업소는 물론 일반 가정 내 배변 설비인 좌변기에 설치되어 용변 후 적정 수압의 세정 수로 항문 및 그 주변을 세정함으로써,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도 뒷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하여 주는 일종의 위생 설비이다.
이와 같은 비데는, 본체와, 세정 수를 공급받아 일정 온도로 가열/저장하는 온수탱크와, 상기 온수탱크로부터 세정 수를 공급받아 사용자의 항문 및 국부를 세정하는 세정 노즐과, 상기 세정 노즐을 전후로 동작시키는 구동장치 등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체의 전방에는 사용자가 착좌할 수 있는 변좌가 회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비데의 변좌는 대부분 합성수지 계열이나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을 이용해 제작되며, 사용자의 착좌가 감지될 때 일정 온도로 가열될 수 있도록 난방기능이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변좌는 사용자가 착좌할 때 인체가 접하는 표면이 딱딱한 합성수지 계열이나 금속 또는 세라믹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변좌에 착좌할 때 딱딱한 느낌에 의해 불쾌감을 느꼈으며, 사용자가 변좌에 오랫동안 착좌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불쾌감이 더욱 가중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가 접촉하는 변좌의 표면에 낮은 경도를 갖는 표피층을 적용하고, 발열체의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제를 액상으로 주입하여 발포시킴으로써, 사용자가 용변을 볼기 위해 변좌에 착좌할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고, 열 손실을 줄여 전력 소비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비데의 난방변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는, 수직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연질의 표피층과, 상기 표피층의 하부에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도록 발열체가 구비되는 상부몸체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며, 수직으로 중공부를 형성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와 상기 발열체의 하부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어, 상기 발열체의 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몸체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구비되며, 상기 표피층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피층은, 우레단 계열, 고무 계열 및 실리콘 계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재는, 액상 형태의 합성수지 형태로 상기 공간부에 주입시킨 후에 발포 성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열재는, 발포 스티렌 수지(스티로폼) 계열, 우레탄 계열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발열체는, 두께의 내부 또는 하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열선이 배열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열선이 삽입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열선의 돌출되는 형상과 대응하는 안착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몸체는, 상부 면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테두리 부위가 상기 상부몸체의 테두리 부위와 융착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열재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인체가 접촉하는 변좌의 표면에 낮은 경도를 갖는 표피층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용변을 보기 위해 변좌에 착좌할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정점이 있다. 그리고 발열체의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제를 액상으로 주입하여 발포시킴으로써, 발열체의 열 손실이 적어 전력 소비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의 결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요소를 한정하는 의미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 1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는 수직으로 중공부를 형성하며, 상부에 연질의 표피층(110)과, 상기 표피층(10)의 하부 면에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도록 발열체(120)가 구비되는 상부몸체(100)와, 상기 상부몸체(10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호 간에 공간부를 형성하며, 수직으로 중공부를 형성하는 하부몸체(200) 및, 상기 하부몸체(200)와 상기 발열체(120)의 하부 공간부에 충진되어 발열체(120)의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300)를 포함한다.
먼저, 표피층(110)은 사용자의 인체가 접촉하는 상부몸체(100)의 표면을 이루는 것으로, 하부몸체(200)의 재질보다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표피층(110)은 우레단 계열, 고무 계열 및 실리콘 계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즉, 표피층(110)이 일정한 탄성력을 가지는 연질의 표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변좌에 오랜 시간동안 착좌한 상태에서도 불쾌감을 느끼지 않게 되며, 착좌시의 편안함 뿐 아니라, 겨울철 온도 저하에 따른 불쾌감도 줄일 수 있게 된다.
발열체(12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상부몸체(100)를 일정 온도로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을 이용하여 상부몸체(100)의 형상과 유사한 형태로 상부몸체(100)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발열체(120)는 두께의 내부 또는 하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열선(122)이 균일하게 배열될 수 있다.
단열재(300)는, 발열체(120)에서 발생하는 열이 하부몸체(200)의 하방으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열 손실에 따른 전력 낭비를 줄이기 위한 것으로, 액상 형태의 합성수지로 주입시킨 후에 발포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고체 상태로 성형하여 공간부 내에 체결할 수도 있다.
여기서, 단열재(300)는 단열 성능이 우수한 발포 스티렌 수지(스티로폼)계열, 우레탄 계열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될 수 있다.
한편, 하부몸체(200)는 공간부 내에 위치한 상부 면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210)가 형성될 수 있는데, 하부몸체(200)와 상부몸체(100)의 테두리 부위가 서로 융착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210)가 단열재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된다.
즉, 상부몸체(100)와 하부몸체(200) 사이의 공간부에 액상 형태로 주입되어 발포된 상태로 경화된 단열제(300)가 발포된 상태로 경화되는 경우, 상기 단열제(300)의 내부에 돌출부(210)가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므로, 단열제(300)가 외부 충격에 의해 유동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단열재(120)는 전술한 발열체(120)의 열선(122)이 삽입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열선(122)의 돌출되는 형상과 대응하는 안착홈(310)이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연선(122)의 돌출되는 형상에 대응하는 안착홈(310)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고안은 인체가 접촉하는 변좌의 표면에 낮은 경도를 갖는 표피층(110)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용변을 볼 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정점이 있다. 그리고 발열체(120)의 열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제(300)를 액상으로 주입하여 발포시킴으로써, 발열체(120)의 열 손실이 적어 전력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따른 비데의 난방변좌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 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위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수 및 모양 그리고 구조 등의 다양한 변형 및 모방할 수 있음은 명백한 사실이며 이러한 변형 및 모방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에 포함된다.
100: 상부몸체 110: 표피층
120: 발열체 122: 열선
200: 하부몸체 210: 돌출부
300: 단열제 310: 안착홈

Claims (7)

  1. 수직으로 중공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연질의 표피층과, 상기 표피층의 하부에 전원 공급에 의해 발열하도록 발열체가 구비되는 상부몸체;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결합되어 공간부를 형성하며, 수직으로 중공부를 형성하는 하부몸체; 및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와 상기 발열체의 하부 사이의 공간부에 충진되어, 상기 발열체의 열의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경질의 합성수지재로 구비되며,
    상기 표피층은, 연질의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표피층은, 우레단 계열, 고무 계열 및 실리콘 계열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액상 형태의 합성수지 형태로 상기 공간부 내에 주입시킨 후에 발포시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는, 발포 스티렌 수지(스티로폼) 계열, 우레탄 계열 중 어느 하나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두께의 내부 또는 하부에 전원이 공급되는 열선이 배열되며,
    상기 단열재는, 상기 열선이 삽입된 상태로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열선의 돌출되는 형상과 대응하는 안착홈이 상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상부 면에 상향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며, 테두리 부위가 상기 상부몸체의 테두리 부위와 융착 결합되고, 상기 돌출부가 상기 단열재에 삽입된 상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데의 난방변좌.
KR2020110005088U 2011-06-08 2011-06-08 비데의 난방변좌 KR201200086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88U KR20120008669U (ko) 2011-06-08 2011-06-08 비데의 난방변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5088U KR20120008669U (ko) 2011-06-08 2011-06-08 비데의 난방변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8669U true KR20120008669U (ko) 2012-12-18

Family

ID=5368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5088U KR20120008669U (ko) 2011-06-08 2011-06-08 비데의 난방변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0866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037A (ko) * 2015-11-09 2017-05-17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장치
KR20170062257A (ko) * 2015-11-27 2017-06-07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4037A (ko) * 2015-11-09 2017-05-17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장치
KR20170062257A (ko) * 2015-11-27 2017-06-07 코웨이 주식회사 변좌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4773B1 (ko) 비데의 난방변좌
KR20120008669U (ko) 비데의 난방변좌
JP4830440B2 (ja) 便座装置
JP3193493U (ja) 温熱座席を備えた椅子
JP4915132B2 (ja) 便座装置
KR101295076B1 (ko) 비데의 난방변좌 제조방법
JP2008284260A (ja) 便座装置
JP2017086127A (ja) 風呂椅子
JP3202128U (ja) 風呂椅子用クッション
JP3210353U (ja) 風呂椅子
KR20140030461A (ko) 착좌감 개선을 위한 비데용 난방 변좌
KR101042100B1 (ko) 머리 받침구
JP2006334163A (ja) 暖房便座装置
KR20080002257U (ko) 표면재가 부착된 온수세정기용 변좌
JP4440432B2 (ja) 浴室用クッション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15133B2 (ja) 便座装置
KR20160001830U (ko) 미끄럼방지 변기커버
JP3201257U (ja) 冷ショックを受けない断熱マット
JP2006334162A (ja) 暖房便座装置
KR200374738Y1 (ko) 목욕용 의자
KR20180001801U (ko) 폼방석
JP2001245823A (ja) 便 座
KR101893924B1 (ko) 의자
KR200341476Y1 (ko) 욕조용 베개 겸용 방석
JP3195659U (ja) 車両シート用腰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