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2100B1 - 머리 받침구 - Google Patents

머리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2100B1
KR101042100B1 KR1020100006589A KR20100006589A KR101042100B1 KR 101042100 B1 KR101042100 B1 KR 101042100B1 KR 1020100006589 A KR1020100006589 A KR 1020100006589A KR 20100006589 A KR20100006589 A KR 20100006589A KR 101042100 B1 KR101042100 B1 KR 101042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pper support
neck
recess
inc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5030A (ko
Inventor
남해현
Original Assignee
남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해현 filed Critical 남해현
Priority to CN201080039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665490A/zh
Priority to US13/393,321 priority patent/US20120161489A1/en
Priority to JP2012527806A priority patent/JP2013503686A/ja
Priority to PCT/KR2010/000457 priority patent/WO2011027953A1/ko
Publication of KR20110025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2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2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21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서 사람의 머리가 닿는 부분에 설치되는 조절식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인체공학 머리 형상 오목부’를 구비하되 상기 오목부를 사람마다 각기 다른 머리 크기, 머리 모양, 목덜미 체형 등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목과 머리를 편안하게 해줌으로써, 의자에 앉아서 안락하게 휴식과 수면을 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절식 머리 받침구는, 머리가 안착되는 상단 오목부가 전방에 형성된 상단 지지부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방에 목이 안착되는 하단 오목부가 형성된 하단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지지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상단 지지부가 확장 및 수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머리 받침구{Headrest}
본 발명은 조절식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중앙에 절개부를 형성하여 절개부를 중심으로 머리 받침구가 전후좌우 확장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목과 머리를 자연스럽게 지지 시켜주어 편안한 자세를 유도하고 안락함을 줄 수 있는 조절식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서 사람의 머리가 닿는 부분에 설치되며, 인체공학적으로 머리 형상을 갖는 오목부를 구비하되, 머리가 수용되는 부분이 두상 또는 목 두께에 따라 적절히 확장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목과 머리를 안정되고 올바르게 지지하여 목 꺾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람의 경추는 직립 상태로 활동을 할 때에는 약간의 곡선형(C자형) 모양으로 세워져 있으나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아 머리와 등을 기대고 휴식과 수면을 취할 때에는 경추 부분이 허공에 뜨게 되며, 경추를 지탱하는 근육의 이완으로 전후좌우 방향으로 경추의 꺾임과 뒤틀림이 오게 되고 머리 뒷부분의 둥근 모양으로 인해 머리고정이 어렵고 좌우로 쏠려 목 꺾임 현상도 발생하며 또한 목과 머리의 기울기를 적절히 조절치 못하면 목 근육의 긴장과 함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과 불편함을 고려하지 않은 종래의 일반 의자나 머리 받침구 등을 사용하였을 때는 시간이 흐를수록 목과 어깨에 통증과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종래의 일반 의자는 모든 사람의 머리와 목의 크기와 형태에 맞추어 머리받침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사용자 마다 머리와 경추부분의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상태와 목 꺾임 현상을 방치할 수밖에 없는 현실로 의자에 있어서 목과 머리에 대한 근본적 문제점을 실제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체공학적 형상과 기능을 갖추어 목과 머리의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자세의 지지상태와 목 꺾임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형상과 기능을 갖춘 조절식 머리 받침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절식 머리 받침구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머리가 안착되는 상단 오목부가 전방에 형성된 상단 지지부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 위치하며 전방에 목이 안착되는 하단 오목부가 형성된 하단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지지부에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절개부를 중심으로 상기 상단 지지부가 전후좌우 확장 및 수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단 지지부의 후방에는 후방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지지부의 전단은 상기 상단 오목부 좌우 외측이 상기 하단 지지부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방 오목부에는 에어백이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에 공기가 채워지거나 빠져나감에 의해 상기 절개부가 전후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좁아질 수 있다.
상기 상단 지지부 및 하단 지지부는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지지부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사이에는 단차면이 형성되며, 상기 단차면은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높아지게 경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절개부가 형성됨으로 인해, 사용자의 머리에 맞도록 상단 오목부의 크기가 조절될 수 있어 보다 머리를 편안하게 적절히 고정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목 꺾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절개부가 형성된 부분이 사람의 머리 무게 또는 에어백의 공기 이동에 따라 확장 및 수축이 용이해진다.
또한, 상단 지지부가 하단 지지부보다 후퇴되어 있도록 상기 상단 지지부와 하단 지지부 사이의 단차면이 형성되어, 목과 머리가 충분히 고정되면서도, 귀 부분이 자유로워질 수 있으며, 더욱이 단차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머리와 목을 기대어 머리와 목이 적절히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절식 머리 받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절식 머리 받침구가 의자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절식 머리 받침구가 의자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절식 머리 받침구에서 에어백이 수축된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조절식 머리 받침구에서 에어백이 팽창된 모습을 상부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절식 머리 받침구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절식 머리 받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는 상단 지지부(100)와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단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전방에는 사람의 뒤통수 형상대로 오목하게 대략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상단 오목부(130)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좌우방향 중앙으로 갈수록 전방을 향해 깊게 홈이 형성된 후방 오목부(1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 지지부(10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중앙이 전후 방향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며, 좌우 양 끝단으로 갈수록 전후 방향 두께가 커지는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좌우 방향 중앙 부분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소정 깊이 만큼 절개된 절개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상단 지지부(100)를 좌우방향으로 중앙에서 소정 깊이만큼 절단하는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 지지부(200)는 전방에 대략 원통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하단 오목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 오목부(230)에는 사용자의 목이 안착, 고정되어, 목의 꺾임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하단 지지부(200)의 하단 오목부(230) 좌우 외측 전면은,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상기 상단 오목부(130) 좌우 외측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즉,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전면이 상기 하단 지지부(200)의 전면보다 후퇴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상단 지지부(100)와 상기 하단 지지부(200)는 전면이 단차진 형상을 갖게 되어 단차면(240)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차면(24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단 지지부(100)와 상기 하단 지지부(200)의 전면이 단차지게 하는 것은, 사용자의 목이 하단 오목부(230)에 지지되어 목의 꺽임 현상이 어느 정도 충분히 방지되므로, 머리가 안착되는 상단 오목부(130)의 좌우 외측을 조금 깍아내어 귀를 자유롭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단 지지부(100) 및 하단 지지부(200)는,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등의 탄성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형물 성형방식 (Foaming expansion molding system)으로 제작한 다음, 후가공 처리를 하여 탄성부재의 외주 면에 연질의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외주 면에는 섬유 흡착제 70%, 방수제 200%, 항균 방취제 100%를 혼합한 코팅 액을 도포하여 세균 방지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머리 받침구에 외피를 사용할 때에는 후가공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도2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머리 받침구가 의자(10)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의자(10)의 등받이 부분 상부에 상기 머리 받침구가 수용될 수 있는 수용부(11)를 형성하고, 상기 수용부(11)에 상기 머리 받침구를 안착,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머리 받침구를 사용 가능한 형태로 배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의자에 앉아 상기 하단 오목부(230)에 목을 안착시키고, 상기 상단 오목부(130)에 머리를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하단 오목부(230)에 안착된 목은 자연스럽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좌우 또는 후방으로 꺽이지 않게 되며, 상단 오목부(130)에 뒤통수가 안착됨으로 인해 머리도 좌우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게 되어 목 꺽임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두상이 뒤짱구인 경우 절개부(150)가 존재함으로 인해, 상기 상단 오목부(130)가 전후로 확장될 수 있어,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상단 오목부(130)에 딱 맞게 안착이 되어, 보다 편안한 상태로 의자에 앉아 있을 수 있게 되며, 목 꺽임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3은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가 의자에 장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4 및 도5는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를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선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는 상단 지지부(100)와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단 지지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전방에는 사람의 뒤통수 형상대로 오목하게 대략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상단 오목부(130)가 구비되며, 후방에는 상기 상단 오목부(130)와 대칭이 되는 대략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후방 오목부(1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 지지부(100)는 상부에서 바라볼 때 중앙이 전후 방향으로 얇은 두께를 가지며, 좌우 양 끝단으로 갈수록 전후 방향 두께가 커지는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좌우 방향 중앙 부분에는,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소정 깊이 만큼 절개된 절개부(150)가 형성된다. 상기 절개부(150)는 상기 상단 지지부(100)를 좌우방향으로 중앙에서 소정 깊이만큼 절단하는 형상을 갖는다.
한편,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 지지부(200)는 전방에 대략 원통 형상의 홈으로 형성된 하단 오목부(230)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 오목부(230)에는 사용자의 목이 삽입 고정되어, 목의 꺽임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하단 지지부(200)의 하단 오목부(230) 좌우 외측 전면은,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상기 상단 오목부(130) 좌우 외측의 전면 보다 전방에 위치한다. 즉, 상기 상단 지지부(100)의 전면이 상기 하단 지지부(200)의 전면보다 후퇴된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상단 지지부(100)와 상기 하단 지지부(200)는 전면이 단차진 형상을 갖게 되어 단차면(240)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차면(240)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비스듬히 상승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단 지지부(100)와 상기 하단 지지부(200)의 전면이 단차지게 하는 것은, 사용자의 목이 하단 오목부(230)에 지지되어 목의 꺽임 현상이 어느 정도 충분히 방지되므로, 머리가 안착되는 상단 오목부(130)의 좌우 외측을 조금 깍아내어 귀를 자유롭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후방 오목부(140)에는 에어백(160)이 배치된다. 상기 에어백(160)은 공기 공급 수단(미도시)으로부터 공기를 공급 받아 팽창하거나, 공기를 배출하여 수축되는 구성을 갖는다.
이때 공기 공급 수단으로는 상기 에어백(160)의 내부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수동의 고무 펌프 또는 자동 펌프 등 어떠한 수단이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도4는 에어백(160)이 수축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5는 상기 에어백(160)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낸다. 에어백(160)이 수축된 상태에서는 사람의 머리 무게에 의해 절개부(150)의 좌우 폭이 넓어지며 후방으로 밀려나 두상의 지름이 크거나 뒤짱구인 사용자가 사용하기에 적합한 형태를 갖는다. 이에 반해 에어백(160)이 팽창된 상태에서는 절개부(150)의 좌우 폭이 좁아지며 후방 오목부(140)가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되어 상대적으로 두상의 지름이 작거나 뒷머리가 납작한 사용자에게 적합한 형태가 갖추어진다.
한편, 상기 후방 오목부(140)의 후방에는 격벽부(170)가 위치한다. 상기 격벽부(170)는, 상기 상단 지지부(100)에서 후방 오목부(140)에 삽입된 에어백이 이탈 되지 않도록 상기 후방 오목부(140)의 후방에 별도의 딱딱한 판을 덧대어 결합시킨 부재일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단 지지부(100) 및 하단 지지부(200)는,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등의 탄성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형물 성형방식 (Foaming expansion molding system)으로 제작한 다음, 후가공 처리를 하여 탄성부재의 외주 면에 연질의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폴리우레탄 외주 면에는 섬유 흡착제 70%, 방수제 200%, 항균 방취제 100%를 혼합한 코팅 액을 도포하여 세균 방지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머리 받침구에 외피를 사용할 때에는 후가공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작용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의자(10)에 앉아 상기 하단 오목부(230)에 목을 안착시키고, 상기 상단 오목부(130)에 머리를 안착시킨다.
그러면, 상기 하단 오목부(230)에 안착된 목은 자연스럽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고 좌우 또는 후방으로 꺽이지 않게 되며, 상단 오목부(130)에 뒤통수가 안착됨으로 인해 머리도 좌우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게 되어 목 꺾임 현상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두상의 지름이 크거나 뒤짱구인 경우에는 에어백(160) 내부에 공기를 빼내어, 절개부(150)의 좌우 폭을 넓히고 후방으로 밀려나게 하여, 상단 오목부 (130)의 면적을 넓힘으로써, 사용자의 머리가 상단 오목부(130)에 딱 맞게 안착되어 편안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반면, 사용자의 두상의 지름이 작거나 뒷머리가 납작한 경우에는, 에어백 (160) 내부의 공기를 채워 넣어 절개부(150)의 좌우 폭을 좁히고 후방 오목부와 상단 오목부(130)의 형태를 원래대로 유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가 상기 상단 오목부(130)에 딱 맞게 안착되도록 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편안한 상태로 의자에 앉아 있을 수 있게 되며, 목 꺽임 현상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에어백(160)을 설치한 본 실시예에서는, 머리 받침구의 후방 오목부(140) 후방에 격벽부가 구비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머리 받침구에는 후방 격벽부가 구비되지 않고, 의자(10)의 수용부(11) 전면이 격벽부의 역할을 할 수도 있다.
한편, 앞선 실시예에서 방향을 지시하는 전방은 머리 받침구에 머리가 지지될 때 사용자의 얼굴이 향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10b: 의자
11b: 수용부
100b: 상단 지지부
130b: 상단 오목부
150b: 절개부
140b: 후방 오목부
160b: 에어백
170b: 격벽부
200b: 하단 지지부
230b: 하단 오목부
240b: 단차면

Claims (7)

  1. 삭제
  2. 머리가 안착되는 상단 오목부가 전방에 형성된 상단 지지부와;
    상기 상단 지지부의 하부에 위치하는 하단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지지부에는 상하로 연장되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상단 오목부가 확장 및 수축 가능한 조절식 머리 맏침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부의 후방에는 후방 오목부가 형성되는 조절식 머리 받침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오목부에는 에어백이 결합되어,
    상기 에어백에 공기가 채워지거나 빠져나감에 의해 상기 후방 오목부가 수축 및 확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절식 머리 받침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부의 전단은 상기 상단 오목부 좌우 외측이 상기 하단 지지부의 전단보다 후방에 위치하는 조절식 머리 받침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부와 상기 하단 지지부의 사이에는 단차면이 형성되는
    조절식 머리 받침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부 및 하단 지지부는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형성되는 조절식 머리 받침구.
KR1020100006589A 2009-09-03 2010-01-25 머리 받침구 KR101042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393053A CN102665490A (zh) 2009-09-03 2010-01-26 头枕
US13/393,321 US20120161489A1 (en) 2009-09-03 2010-01-26 Headrest
JP2012527806A JP2013503686A (ja) 2009-09-03 2010-01-26 頭部保持具
PCT/KR2010/000457 WO2011027953A1 (ko) 2009-09-03 2010-01-26 머리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3188 2009-09-03
KR1020090083188 2009-09-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030A KR20110025030A (ko) 2011-03-09
KR101042100B1 true KR101042100B1 (ko) 2011-06-16

Family

ID=439327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530A KR101071022B1 (ko) 2009-09-03 2010-01-25 머리 받침구
KR1020100006589A KR101042100B1 (ko) 2009-09-03 2010-01-25 머리 받침구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530A KR101071022B1 (ko) 2009-09-03 2010-01-25 머리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0710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030B1 (ko) * 2013-06-12 2014-09-23 조성범 헤드레스트 겸용 지압장치
KR101992923B1 (ko) * 2017-09-13 2019-06-25 이진복 골반 교정 겸용 다기능 지압 베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483U (ko) * 1993-07-20 1995-02-16 강석재 자동차 의자용 진동머리받침구
KR200230526Y1 (ko) * 2001-02-12 2001-07-19 박호삼 의자용 목받침대
KR20020030526A (ko) * 2000-10-18 2002-04-25 이설민 자율이동 로봇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483U (ko) * 1993-07-20 1995-02-16 강석재 자동차 의자용 진동머리받침구
KR20020030526A (ko) * 2000-10-18 2002-04-25 이설민 자율이동 로봇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30526Y1 (ko) * 2001-02-12 2001-07-19 박호삼 의자용 목받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030A (ko) 2011-03-09
KR20110025029A (ko) 2011-03-09
KR101071022B1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7155B2 (ja) 人の頭頸部を支持するためのサポート
US20080229498A1 (en) Inflatable cervical cushion
JP2013503686A5 (ko)
US20140075677A1 (en) Neck support pillow
US20090236888A1 (en) Portable,Inflatable and Self-Adjusting Cushion for Upper and Lower Back Support
KR101966297B1 (ko) 라운드형 베개
US8719983B2 (en) Inflatable body contour support cushion
KR200483330Y1 (ko) 기능성 베개
KR101042100B1 (ko) 머리 받침구
KR20180004482A (ko) 앉은 자세 교정 및 허리 받침용 쿠션방석
KR200469631Y1 (ko) 안면 주름방지용 베개
KR20140143018A (ko) 의자 보조용 머리 받침구
KR101768611B1 (ko) 체압 분산형 인체공학 베개
KR102260087B1 (ko) 체중분산과 냉각 및 통기성 기능을 갖는 메모리폼 방석
KR101703326B1 (ko) 등받이 쿠션
KR20100092302A (ko) 메모리폼 건강베개
KR101312256B1 (ko) 높이 조절 베개
KR101908059B1 (ko) 기능성 베개
KR102102538B1 (ko) 기능성 베개
KR200226847Y1 (ko)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200340688Y1 (ko) 자세교정용 의자
JP3093532U (ja) バルーンチェアー
KR101697136B1 (ko) 창가 좌석용 베개
KR102482778B1 (ko) 의자용 등받이 쿠션
KR200460471Y1 (ko) 의자용 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