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6847Y1 - 경추 보호용 목베개 - Google Patents

경추 보호용 목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6847Y1
KR200226847Y1 KR2020000030105U KR20000030105U KR200226847Y1 KR 200226847 Y1 KR200226847 Y1 KR 200226847Y1 KR 2020000030105 U KR2020000030105 U KR 2020000030105U KR 20000030105 U KR20000030105 U KR 20000030105U KR 200226847 Y1 KR200226847 Y1 KR 20022684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ck
head
pillow
spin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301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규
Original Assignee
김창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창규 filed Critical 김창규
Priority to KR20200000301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684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684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6847Y1/ko
Priority to TW090125511A priority patent/TWI225391B/zh
Priority to JP2001322305A priority patent/JP2002177116A/ja
Priority to US09/983,346 priority patent/US20020050007A1/en
Priority to CN01136676.1A priority patent/CN1257695C/zh
Priority to FR0113784A priority patent/FR2815837B1/fr

Links

Landscapes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목부위를 지지하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이같은 본 고안은, 취침을 할 때 목부위를 지지하고 머리부위는 지면(또는 이불)과 닿게 하여 머리와 등을 일직선으로 유지시키는 목베개를 통해 장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취침상태에서 목의 경추(목뼈)가 정상적인 모양('C'자 형태)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여 뒷목의 근육이 긴장되지 않고 편안하게 쉴수 있는 시간을 주고, 이에따라 취침 후에 발생되는 뒷목의 근육이 뻣뻣하게 경직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일상생활에서의 고개를 앞으로만 숙이게 되는 편향적인 자세로 부터 나타나는 현상들 즉, 뒷목의 근육과 어깨의 근육이 딱딱하게 경직되고 굳으면서 마침내 목, 어깨 통증, 두통, 잦은 피로감과 함께 뭉친 근육이 뇌로 올라가는 혈관을 압박해서 뇌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머리가 무겁고 집중력이 떨어지면서 모든 일에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해소하는 한편,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양측으로 귀 안착홈을 구성하므로서,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서 쉴때나 취침을 할 때 귀의 압박을 예방하면서 보다 편안함을 제공하고, 양측의 높이를 높여 옆으로 잘 때 목뼈(경추)가 등뼈(흉추)와 수평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경추보호용 목베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경추 보호용 목베개{Neck pillow for protection of the cervical vertebrae}
본 고안은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취침을 할 때 목부위를 지지하고 머리부위는 지면(또는 이불)과 달수 있도록 하는 목베개를 통해 장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취침상태에서 목의 경추(頸椎)(일명 목뼈)가 정상적인 모양('C'자 형태)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고, 이와함께 뒷목의 근육을 쉬게 하여 뒷목의 근육이 경직되는 현상을 방지할수 있도록 하는 경추보호용 목베개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은 컴퓨터 앞에서 또는 수험생, 가정주부들이 항상 고개를 앞으로만 숙이게 되는 편향적인 자세를 취하고 있는 바, 이로인하여 뒷목의 근육과 어깨의 근육이 딱딱하게 경직되고 굳으면서 마침내 목, 어깨 통증, 두통, 잦은 피로감과 함께 뭉친 근육이 뇌로 올라가는 혈관을 압박해서 뇌의 혈액순환을 방해하므로서 머리가 맑지 못하고 집중력이 떨어지면서 모든 일에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겪고 있는데도 불구하고 종래의 베개는 머리에 베고 자므로 인해 고개를 앞으로 숙이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므로 상기와 같은 증상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현상은 취침으로 부터 그 피로감을 해소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은 취침에 필요한 도구로서 잠자리의 편안함을 위한 베개가 제공된다.
이러한, 베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베개로 머리부위가 얹혀질 때 머리부위를 압박하지 않도록 그 내부에 쿠션재(예; 솜)를 넣어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이때, 상기와 같은 쿠션기능의 베개는 휴대용이 아닌 침실용으로서만 사용하는 반면, 이동(여행이나 출자)중에 사용할수 있도록 하는 휴대용 베개도 제공되고 있다.
즉, 상기 이동식 베개의 경우 공기주입 방식으로 사람이 대중교통(예; 버스, 비행기, 배)을 통해 이동할 때 의자에 편안히 앉은 상태에서 머리부위를 고정시킨 후 취침을 할수 있도록 목부위를 감싸는 기능이 추가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베개들은 모두 머리부위를 받쳐주는 역할만을 수행하므로서, 머리와 연결된 목의 경추가 갖는 원래의 모양('C'자 형태)을 유지하지 못하고 역방향으로 휘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에따라 뒷목의 근육이 취침을 할때에도 제대로 쉬지 못하고 계속적인 힘이 가해지면서 뒷목의 근육이 경직되어 자고 일어날 때 목이 뻐근해지는 등의 불편함이 많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취침을 할 때 목부위를 지지하고 머리부위는 지면(또는 이불)과 달수 있도록 머리와 등을 일직선으로 유지시키는 목베개를 통해 장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취침상태에서 목의 경추(목뼈)가 정상적인 모양('C'자 형태)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여 뒷목의 근육이 경직되지 않고 편안하게 쉴수 있는 시간을 주고, 이에따라 취침 후에 발생되는 뒷목이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일상생활에서의 고개를 앞으로 숙이게 되는 편향적인 자세로 부터 나타나는 현상들 즉, 뒷목의 근육과 어깨의 근육이 딱딱하게 경직되고 굳으면서 마침내 목, 어깨 통증, 두통, 작은 피로감과 함께 뭉친 근육이 뇌로 올라가는 혈관을 압박해서 뇌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머리가 맑지 못하고 집중력이 떨어지면서 모든 일에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해소하는 경추보호용 목베개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양측으로 귀 안착홈을 구성하고, 양측 옆을 높여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서 쉴때나 취침을 할 때 귀의 압박을 예방하고, 경추(목뼈)와 흉추(등뼈)가 수평을 이루게 해서 보다 편안함을 제공하는 한편, 목뼈가 휘는 것을 방지하려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2의 A-A'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2의 B-B'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튜브 2 ; 내피
3 ; 외피 3a; 통풍구
4 ; 쟉크 10; 목지지부
20; 보조지지부 30; 귀 안착홈
100; 목베개 P ; 요입부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구조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2의 A-A'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도 2의 B-B' 단면도 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구조를 보인 배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사용상태를 보인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사용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합성수지로된 다수의 튜브(1)가 내피(2)를 통해 분할 내장되고 그 외부는 외피(3)로 덮혀지면서 목지지부(10)와 보조지지부(20)로 나누어지는 안대모양의 목베개(100)를 구성하고,
상기 외피(3)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누울 때 통풍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통풍구(3a)를 형성하며,
상기 목지지부(10)는 사용자가 누울 때 목부위를 지지하면서 머리와 등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높이(h2)로 형성하고,
상기 보조지지부(20)는 목지지부(10)의 좌우측에 위치시키면서 목이 지지된 사용자의 머리부위가 요입되는 요입부(P)를 두면서 그 전·후면 높이(h1)(h3)는 목지지부(10)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하여 옆으로 누었을 때 목뼈(경추)와 등뼈(흉추)가 바닥과 수평을 이루게 하되,
상기 보조지지부(20)의 전면 높이(h1)는 어깨부위와 옆의 목부위를 지지할수 있도록 머리부위 방향의 후면 높이(h3)보다 높게 형성하며(h1>h3),
상기 보조지지부(20)의 평면과 저면에는 각각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서 쉴때나 취침을 할 때 귀가 안착될수 있는 귀 안착홈(30)을 형성시킨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귀 안착홈(30)은 내피(2)와 외피(3)를 보조지지부(20)의 평면과 저면에서 동시에 재봉하므로서 형성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상기 경추보호용 목베개(100)는 평면과 저면이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이하, 미설명된 도면부호 4는 외피(3)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외피(3)의 개폐를 통해 튜브(1)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는 쟉크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내피(2)를 통해 분할되고 그 외부는 다수의 통풍구(3a)를 형성한 외피(3)로 덮혀지는 목베개(100)를 만든다.
이때, 상기 목베개(100)를 목부위를 지지하는 목지지부(10)와, 상기 목지지부(10)의 양측에 보조지지부(20)로 나누어지는 안대모양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외피(3)에 형성된 쟉크(4)를 개방하여 합성수지로된 다수의 튜브(1)를 상기 외피(3) 내부로 내장시키면, 상기 튜브(1)는 외피(3)와 재봉으로 연결되는 내피(2)를 통해 분할되면서 외피(3)의 내부에 내장된다.
이때, 상기 튜브(1)를 외피(3)의 내부로 내장시키면, 상기 목지지부(10)와 그 양측의 보조지지부(20)는 서로 다른 높이를 이루면서 경추를 보호하기 위한 목베개(100)가 완성된다.
즉, 상기 목지지부(10)는 사용자가 누울 때 목부위를 지지하면서 경추와 척추가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높이(h2)를 갖게 되고,
상기 보조지지부(20)는 목지지부(10)의 좌우측에 위치시키면서 목이 지지된 사용자의 머리부위가 요입되는 요입부(P)를 두면서 그 전·후면 높이(h1)(h3)를 목지지부(10)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보조지지부(20)의 전면 높이(h1)는 어깨부위와 옆의 목부위를 지지할수 있도록 머리부위 방향의 후면 높이(h3)보다 높게 형성되는 바(h1>h3),
도 7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목지지부(10)로 목을 지지시킨 상태에서 누우면, 사용자의 머리부위는 보조지지부(20) 사이에 형성되는 요입부(P)로 요입되어 지면과 거의 밀착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의 목부위에 있는 경추와 사용자의 등부위에 있는 척추는 상기 목지지부(10)의 높이(h2)에 따라 서로 일직선상에 위치하게 되므로서, 취침을 할 때 사용자의 목부위에 있는 경추는 정상적인 모양('C'자 형태)을 유지될수 있을뿐만 아니라 목뼈(경추)가 좌우로 휘는 것을 방지하고 뒷목의 근육이 뻣뻣하게 경직되지 않아 사용자가 편안한 취침을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외피(3)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통풍구(3a)는 사용자가 목베개(100)로 누울때 그 내부의 튜브(1)와 함께 통풍기능을 수행하므로서, 목베개(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머리를 맑게 해주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보조지지부(20)의 평면과 저면에는 내피(2)와 외피(3)의 재봉으로 부터 소정깊이의 귀 안착홈(30)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귀 안착홈(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서 쉴때나 취침을 할 때 귀가 안착될수 있도록 하여 취침 중에 귀로의 압박상태를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취침을 할 때 목부위를 지지하고 머리부위는 지면(또는 이불)과 달수 있도록 머리와 등을 일직선으로 유지시키는 목베개를 통해 장시간 동안 이루어지는 취침상태에서 목의 경추(목뼈)가 정상적인 모양('C'자 형태)을 유지할수 있도록 하여 뒷목의 근육이 압박되지 않고 편안하게 쉴수 있는 시간을 주고, 이에따라 취침 후에 발생되는 뒷목이 경직되는 현상을 방지하면서 일상생활에서의 고개를 앞으로만 숙이게 되는 편향적인 자세로 부터 나타나는 현상들 즉, 뒷목의 근육과 어깨의 근육이 딱딱하게 경직되고 굳으면서 마침내 목, 어깨 통증, 두통, 작은 피로감과 함께 뭉친 근육이 뇌로 올라가는 혈관을 압박해서 뇌의 혈액순환을 방해하여 머리가 맑지 못하고 집중력이 떨어지면서 모든 일에 무기력해지는 현상을 해소하는 한편, 경추보호용 목베개의 양측으로 귀 안착홈을 구성하고, 양측옆을 높여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서 쉴때나 취침을 할 때 귀의 압박을 예방하고, 경추(목뼈)와 흉추(등뼈)가 수평을 이루게 해서 보다 편안함을 제공하고, 목뼈가 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1)

  1. 합성수지로된 다수의 튜브가 내피를 통해 분할 내장되고 그 외부는 외피로 덮혀지면서 목지지부와 보조지지부로 나누어지는 안대모양의 목베개를 구성하고,
    상기 외피의 표면에는 사용자가 누울 때 통풍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통풍구를 형성하며,
    상기 목지지부는 사용자가 누울 때 목부위를 지지하면서 머리와 등이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하는 높이로 형성하고,
    상기 보조지지부는 목지지부의 좌우측에 위치시키면서 목이 지지된 사용자의 머리부위가 요입되는 요입부를 두면서 그 전·후면 높이는 목지지부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여 옆으로 누었을 때 목뼈(경추)와 등뼈(흉추)가 바닥과 수평을 이루게 하되,
    상기 보조지지부의 전면 높이는 어깨부위와 옆의 목부위를 지지할수 있도록 머리부위 방향의 후면 높이보다 높게 형성하며,
    상기 보조지지부의 평면과 저면에는 각각 사용자가 옆으로 누워서 쉴때나 취침을 할 때 귀가 안착될수 있는 귀 안착홈을 형성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보호용 목베개.
KR2020000030105U 2000-10-27 2000-10-27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200226847Y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105U KR200226847Y1 (ko) 2000-10-27 2000-10-27 경추 보호용 목베개
TW090125511A TWI225391B (en) 2000-10-27 2001-10-16 Cervical pillow for protection of cervical vertebrae
JP2001322305A JP2002177116A (ja) 2000-10-27 2001-10-19 頚椎保護用首枕
US09/983,346 US20020050007A1 (en) 2000-10-27 2001-10-24 Cervical pillow for protection of cervical vertebrae
CN01136676.1A CN1257695C (zh) 2000-10-27 2001-10-24 用于保护颈椎的颈部枕头
FR0113784A FR2815837B1 (fr) 2000-10-27 2001-10-25 Coussin pour la protection des vertebres cervical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30105U KR200226847Y1 (ko) 2000-10-27 2000-10-27 경추 보호용 목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6847Y1 true KR200226847Y1 (ko) 2001-06-15

Family

ID=7305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0105U KR200226847Y1 (ko) 2000-10-27 2000-10-27 경추 보호용 목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684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58Y1 (ko) 2008-04-21 2010-04-26 김용포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KR200463044Y1 (ko) 2010-07-05 2012-10-15 김대길 유아용 목 베개
KR20150139271A (ko) * 2014-06-03 2015-12-11 이승용 귀 기형 방지용 베개
KR102224741B1 (ko) 2019-11-27 2021-03-05 이효정 경추 및 척추 지압용 베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58Y1 (ko) 2008-04-21 2010-04-26 김용포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KR200463044Y1 (ko) 2010-07-05 2012-10-15 김대길 유아용 목 베개
KR20150139271A (ko) * 2014-06-03 2015-12-11 이승용 귀 기형 방지용 베개
KR101596825B1 (ko) 2014-06-03 2016-02-23 이승용 귀 기형 방지용 베개
KR102224741B1 (ko) 2019-11-27 2021-03-05 이효정 경추 및 척추 지압용 베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5894B1 (ko) 베개
US11596247B2 (en) Pillow for healthy ergonomic positioning of the neck and spine
EP1700544A1 (en) A support for supporting the neck and head of an individual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US20180256387A1 (en) A pillow
CN102421336A (zh) 枕头
KR101966297B1 (ko) 라운드형 베개
KR200469632Y1 (ko) 수면자세 교정용 베개
KR100982080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베개
KR100982116B1 (ko) 머리 지지 및 경추 보호용 기능성 머리받침베개
KR200226847Y1 (ko)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200469631Y1 (ko) 안면 주름방지용 베개
KR20140130885A (ko) 경추베개
KR20170074496A (ko) 기능성 베개
KR101768611B1 (ko) 체압 분산형 인체공학 베개
KR20220054262A (ko) 경추 베개
KR101488605B1 (ko) 기능성 베개
JP2005118397A (ja) 快適枕
KR200480282Y1 (ko) 다기능 라텍스 베개
KR200419801Y1 (ko) 메모리 폼 베개
KR200360219Y1 (ko) 베개
KR102102538B1 (ko) 기능성 베개
JP3047525U (ja) 寝具用補助装置
KR200237755Y1 (ko) 경추보호용 목베개
KR102639636B1 (ko) 경추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