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8558Y1 -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 Google Patents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558Y1
KR200448558Y1 KR2020080005328U KR20080005328U KR200448558Y1 KR 200448558 Y1 KR200448558 Y1 KR 200448558Y1 KR 2020080005328 U KR2020080005328 U KR 2020080005328U KR 20080005328 U KR20080005328 U KR 20080005328U KR 200448558 Y1 KR200448558 Y1 KR 200448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illow
headrest
head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053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0858U (ko
Inventor
김용포
Original Assignee
김용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포 filed Critical 김용포
Priority to KR20200800053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558Y1/ko
Publication of KR200900108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085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5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09Rigid frame construc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취침하는 경우에는 머리의 무게에 따라 중심부가 낮아지고 사용자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탄성결합부를 구성하는 일 요소인 비틀림탄성장치에 의해 평평하게 회복되어 취침시에 머리가 베개에서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바로 누웠을 때에는 베개가 낮아져 척추와 머리의 높이가 같아져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해 사람이 수면을 취할 경우 베개에서 머리가 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람이 바로 눕도록 누웠을 때 베개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머리와 허리의 위치를 조정하여 수면시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베개, 탄성결합구, 귀안착부

Description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PILLOW WITH ELASTIC DEVICE}
본 고안은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사용자가 취침하는 경우에는 머리의 무게에 따라 중심부가 낮아지고 사용자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탄성결합부를 구성하고 있는 1요소인 비틀림 탄성장치에 의해 평평하게 회복되도록 하여, 취침시에 머리가 베개에서 굴러 떨어지지 않도록 하며 바로 누웠을 때에는 베개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척추와 머리의 높이가 같아져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하는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잠을 잘 때, 똑 바로 누워자는 것이 아니고, 바로 누웠다 옆으로 누웠다 하루 밤에 20∼30번을 뒤척인다고 한다. 베개를 베고 바로 누워서 잘 때와 옆으로 누워 잘 때 인체의 구조상 바닥으로부터 베개와 접촉하는 사용자의 머리 및 목의 높이가 달라지게 된다. 사용자의 머리가 몸체와 인체 공학적으로 직선을 이루기 위해서는 바로 누울 때는 베개 자체의 높이는 낮아져야 하고 옆으로 누울 때는 베개의 높이가 높아져야 한다. 그러나 잠을 자면서 스스로 베개를 높이거나 낮추는 것은 불가능하며 베개의 높이가 맞지 않아 코를 심하게 골거나 숙면을 취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5-29130호에서는 높낮이 변환 베개를 제안한 바 있으며, 목과 머리 부분의 구분이 없이 머리를 높이변환기능 구조물을 통해 단순하게 받쳐주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베개는, 사용자의 목과 척추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보호할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구조물이 딱딱하게 경직되어 사용자의 머리 뒤통수에 딱딱함이 그대로 전달되어 베개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피로를 덜어주지 못하는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베개를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몸을 뒤척이면 베개에서 머리가 떨어져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종래의 문제점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베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취침을 할 때에는 머리 자체의 무게에 의해 머리받침부가 각각 중심부를 향하여 아래로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봤을 때 그 단면이 중간에 틈이 있는 V자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몸무림을 치더라도 베개에서 머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취침시에는 머리의 무게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자연스럽게 목과 경추가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목과 척추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보호하여 베개 사용자가 취침시 사용자의 피로를 쉽게 덜어주도록 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에 의한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는, 가로변이 세로변보다 더 긴 얇은 다각형 판 형태로 이루어진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윗면에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각각 수직상방으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세로축에 위한 측면의 상부에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며 대응되는 지지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다각형 통 구조의 지지부; 상기 바닥부 양측의 상부에 각각 분리되어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2개의 판으로 구성되는 머리받침부; 상기 지지부의 측면 중 지지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의 외면에 각각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머리받침부의 아래면에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곳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쌍으로 나란히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결합통공이 생성되어 있는 작은 판 형태의 지지부결합구; 상기 머리받침부가 상기 지지부에 의해 결합된 일측을 고정축으로 하여 타측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통공과 상기 결합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와 머리받침부를 회동결합시키는 가는 막대형태의 핀과 핀고정구로 구성되는 회동결합구와 나선부는 상기 핀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일측단은 머리받침부의 아래면에 접하고 타측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 접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틀림탄성체로 구성되는 탄성결합부; 및 상기 머리받침부가 아래로 회동할 때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에 일측이 닿고, 타측은 상기 머리받침부의 아래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가는 봉 형태의 머리받침부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머리받침부 중 사람이 눕는 방향의 일측 부분에는 일정한 깊이로 함몰되어 함몰공간으로 구성되는 귀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은데 이는 사용자가 몸을 뒤척일 때 귀가 닿는 부분이 있으면 불편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비틀림탄성체는 비틀림스프링인 것을 바람직하며, 사용자의 편의 및 머리에 닿는 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상기 머리받침부의 재질은 탄력성 있는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은 베개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취침을 할 때에는 머리 자체의 무게에 의해 머리받침부가 각각 중심부를 향하여 아래로 기울어져 전체적으로 봤을 때 그 단면이 중간에 틈이 있는 V자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몸무림을 치더라도 베개에서 머리가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취침시에는 머리의 무게에 따라 베개의 높낮이가 조절되어 자연스럽게 목과 경추가 동일한 위치에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목과 척추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보호하여 베개 사용자가 취침시 사용자의 피로를 쉽게 덜어주도록 하는 다른 장점이 있다.
이하. 제출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에 대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에 관한 사시도이다.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지는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 바닥부(100)는 바닥에 접하여 본 고안에 의한 베개가 안정되게 위치하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바닥부는 재질을 목재로 하거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부(100)의 윗면에는 수직상방으로 4개의 지지부(200)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00)는 2개씩 상하로 서로 마주보며 있도록 하여야 지지부에 회동결합된 머리받침부(300)의 일측을 고정축으로 하여 바닥부의 중심을 향하고 있는 머리받침부(300)의 타측이 상하로 회동할 때 회동축으로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한편 머리받침부(300)는 상기 바닥부(100)의 면적의 1/3 정도를 가지게 하여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태의 2개의 얇은 판이 서로 마주 보도록 하여 구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머리받침부(300)를 구성하고 있는 부분 중에 사용자가 본 고안에 의한 베개를 베고 누웠을 때 몸이 향하는 방향에 있는 가로측에는 아래로 함몰되어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귀안착부(350)를 추가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귀안착부(350)는 사용자가 몸을 좌우로 뒤척이거나 머리를 돌릴 때 귀가 상기 함몰된 부분의 공간에 안착되도록 하여 귀가 눌려서 불편함을 느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아울러, 상기 머리받침부(300)의 하부에는 상기 지지부(200)와 머리받침부(300)의 결합을 위해 사용되는 지지부결합구(400)가 각각의 지지대(200)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2개씩 한 쌍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상기 지지부(200)의 외면에 접하여 결합되어 상기 회동결합구(510)에 의해 함께 결합된다. 한편 상기 머리받침부(300) 중 상기 바닥부(100)의 중심을 향한 측의 아래면에는 가는 봉 형태의 머리받침부지지대(600)가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상기 머리받침부지지대(600)는 사용자가 본 고안에 의한 베개를 사용할 때 중심을 향한 측으로 상기 머리받침부(300)가 경사를 이루며 하부로 회동했을 때 심하게 경사가 지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본 도면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것 은 사용자가 본 고안에 의한 베개를 사용했을 때 머리받침부(300)가 회동되는 방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중 지지부와 머리받침부가 탄성결합부에 의해 결합된 구조의 일부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중 지지부와 머리받침부가 탄성결합부에 의해 결합된 것의 일측면의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상기 지지부결합구(400)는 상기 지지부(200)의 외면에 접하여 결합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지지부(200)가 지지부결합구(400)를 구성하고 있는 중심부에 결합통공이 형성된 쌍으로 된 얇은 판 사이에 삽입된 후 상기 지지부(200)의 상부 측면에 형성된 지지부통공과 상기 지지부결합구(400)에 형성된 결합통공이 서로 맞추어져 하나의 구멍을 형성하게 한 후에 이 구멍을 통해 핀을 삽입하여 관통시켜 결합한 후 핀고정구를 이용하여 고정시키게 되며, 핀과 핀고정구가 회동결합구(510)을 구성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사각형 통구조의 지지부(200)를 구성하는 측면 중 지지부통공이 형성되지 않은 바깥 측면에 일측이 닿아 있고 타측은 상기 머리받침부(300)의 아랫면에 닿아 있어 사용을 안할 때에는 머리받침부(300)가 서로 평행되게 하였다가 사용자가 사용을 하면 머리 자체의 무게에 따라 위치가 조절되면서 하부로 회동되도록 한 후에 다시 머리를 떼면 원위치로 복원하게 하는 탄성복원력을 가진 비틀림탄성체(520)의 나선부가 상기 핀 둘레를 따라 설치된다. 이때 상기 비틀림탄성체(520)는 비틀림스프링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비틀림스프링의 나선형을 이루는 탄성체 사이에 상기 핀이 관통되어 끼워지며, 핀은 상기 지지부통공 및 결합통공을 함께 관통하여 결합되어 핀고정구에 의해 고정된 후 회동결합구(510)로서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상기 회동결합구(510)와 비틀림탄성체(520)로 사용되는 비틀림스프링이 탄성결합부(500)를 구성하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에 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중 지지부와 머리받침부가 탄성결합부에 의해 결합된 것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중 지지부와 머리받침부가 탄성결합부에 의해 결합된 것의 일측면의 단면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0 : 바닥부 200 : 지지부
300 : 머리받침부 350 : 귀안착부
400 : 지지부결합구 500 : 탄성결합부
510 : 회동결합구 520 : 비틀림탄성체
600 : 머리받침부지지대

Claims (4)

  1. 가로변이 세로변보다 더 긴 얇은 다각형 판 형태로 이루어진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윗면에 가로가 긴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며 각각 수직상방으로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고, 세로축에 위한 측면의 상부에는 서로 평행하게 마주보며 대응되는 지지부통공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속이 빈 다각형 통 구조의 지지부;
    상기 바닥부 양측의 상부에 각각 분리되어 위치하고 상기 지지부에 의해 서로 마주보며 결합되는 2개의 판으로 구성되는 머리받침부;
    상기 지지부의 측면 중 지지부통공이 형성되어 있는 측면의 외면에 각각 접하여 결합되고, 상기 머리받침부의 아래면에 상기 지지부와 대응되는 곳에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쌍으로 나란히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중심부에 결합통공이 생성되어 있는 작은 판 형태의 지지부결합구;
    상기 머리받침부가 상기 지지부에 의해 결합된 일측을 고정축으로 하여 타측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지지부통공과 상기 결합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지지부와 머리받침부를 회동결합시키는 가는 막대형태의 핀과 핀고정구로 구성되는 회동결합구와 나선부는 상기 핀의 외주면에 끼워지며 일측단은 머리받침부의 아래면에 접하고 타측단은 상기 지지부의 일측면에 접하고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틀림탄성체로 구성되는 탄성결합부; 및
    상기 머리받침부가 아래로 회동할 때 상기 바닥부의 중심부에 일측이 닿고, 타측은 상기 머리받침부의 아래에 일체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가는 봉 형태의 머리 받침부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받침부 중 사람이 눕는 방향의 일측 부분에는 일정한 깊이로 함몰되어 함몰공간으로 구성되는 귀안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탄성체는 비틀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4. 삭제
KR2020080005328U 2008-04-21 2008-04-21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KR200448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328U KR200448558Y1 (ko) 2008-04-21 2008-04-21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05328U KR200448558Y1 (ko) 2008-04-21 2008-04-21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58U KR20090010858U (ko) 2009-10-26
KR200448558Y1 true KR200448558Y1 (ko) 2010-04-26

Family

ID=41539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05328U KR200448558Y1 (ko) 2008-04-21 2008-04-21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8558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381Y1 (ko) * 1988-10-31 1991-07-25 정호경 베개
KR200226847Y1 (ko) 2000-10-27 2001-06-15 김창규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100771895B1 (ko) 2006-11-16 2007-11-01 박준희 회동식 베개
KR100796244B1 (ko) 2006-11-13 2008-01-21 김선상 베개용 높낮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5381Y1 (ko) * 1988-10-31 1991-07-25 정호경 베개
KR200226847Y1 (ko) 2000-10-27 2001-06-15 김창규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100796244B1 (ko) 2006-11-13 2008-01-21 김선상 베개용 높낮이 조절장치
KR100771895B1 (ko) 2006-11-16 2007-11-01 박준희 회동식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0858U (ko) 2009-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0348B1 (ko) 베개
US8261386B2 (en) Back support
CA2843250C (en) Arm protector head rest
KR20130135511A (ko) 기능성 베개
US20150128348A1 (en) Head Stabilizing Headrest
JP3201160U (ja)
AU2016262706A1 (en) A sitting device for prevention of spinal diseases
KR101559482B1 (ko) 기능성 베개
KR20110122608A (ko) 회동부를 가지는 베개
KR200482254Y1 (ko) 충전부재 교체식 경추보호, 일자목 및 거북목 교정 및 코골이 방지용 베개
KR200448558Y1 (ko) 탄성결합구를 가지는 베개
KR102642764B1 (ko) 건강 베개
KR101053093B1 (ko) 높이 조절 베개
JP4282747B1 (ja)
KR102135906B1 (ko) 결합형 기능성 베개
KR200466308Y1 (ko) 기능성 미용베개
CN202136021U (zh) 一种床垫内部的独立支撑筒
WO2014141407A1 (ja) 椅子
KR101838733B1 (ko) 침대 매트리스
JP3181802U (ja) 座席用ヘッドレスト
CN219661325U (zh) 一种防扁头儿童床垫
TWI744944B (zh) 適用於側睡與仰睡的枕頭
CN218044435U (zh) 一种午睡枕
KR102623043B1 (ko) 기능성 베개
JP2019110966A (j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