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4262A - 경추 베개 - Google Patents

경추 베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4262A
KR20220054262A KR1020220046574A KR20220046574A KR20220054262A KR 20220054262 A KR20220054262 A KR 20220054262A KR 1020220046574 A KR1020220046574 A KR 1020220046574A KR 20220046574 A KR20220046574 A KR 20220046574A KR 20220054262 A KR20220054262 A KR 202200542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wall
interior material
cervical
present
pillow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65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지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깅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깅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깅미
Priority to KR10202200465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4262A/ko
Publication of KR202200542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4262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81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 A47G9/109Pillows comprising a neck support, e.g. a neck roll adapted to lie on the side and in supine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9/1036Pillows with cooling or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10Pillows
    • A47G2009/1018Foam pill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8SADDLERY; UPHOLSTERY
    • B68GMETHODS, EQUIPMENT, OR MACHINES FOR USE IN UPHOLSTERING; UPHOLSTERY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8G7/00Making upholstery
    • B68G7/06Filling of cushions, mattresse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edding Item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추 베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6개의 면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각각 상이한 밀도를 갖는 복수개의 내장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하고자 하는 인체 부위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밀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내장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경추 베개{A CERVICAL PILLOW}
본 발명은 경추베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경추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면서도 원활한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경추 베개에 관한 것이다.
베개(pillow)는 누울 때 머리를 편하게 받치기 위해 사용되는 침구 중의 하나인데, 최근 들어 베개를 단순히 머리에 베는 것만이 아니라 허리, 얼굴, 목 등 신체부분에 따라 피로를 풀고 가장 편안한 잠을 잘 수 있도록 하는 기능성 부분이 강조됨에 따라 세라믹이나 옥 등의 원적외선이 방출되는 베개, 한약이나 씨앗 등을 베개 내부에 넣은 베개 등 건강을 위한 베개를 비롯하여 지압, 허리받침, 경추 보호용 베개와 같이 목디스크 또는 요통환자들을 위한 다양한 종류의 기능성 베개들이 많이 개발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베개는 면 원단을 맞대어 봉제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 곡면을 갖는 내장재를 넣은 형태가 일반적인데, 이 경우에는 양 끝 부분과 중앙 부분이 각기 다른 높이를 갖게 되어 베개의 위치와 방향에 따라 사용감이 달라져 불편함을 준다.
사람의 경추(목뼈)는 평상시 서있을 때 머리의 무게를 잘 지탱하는 완충 역할을 하기 위해서 앞쪽으로 자연스런 C자형 곡선형태로 되어 있으며, 취침 시에도 이런 자세를 유지해 주어야만 머리와 경추 및 어깨근육의 이완과 피로회복에 효과적이고 숙면을 취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베개의 높낮이도 매우 중요한데, 너무 높은 베개를 사용하게 되면 경추의 정상적인 C자형 곡선이 일자형이 되거나 반대방향으로 휘어 어깨 결림 증상과 함께 기도 부위가 좁아져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으며, 목 부위의 근육이 긴장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못해 두통, 눈의 피로, 만성피로가 생기며 심한 경우에는 허리통증, 목디스크 등을 초래하기도 한다.
또한, 너무 낮은 베개를 사용하거나 또는 베개를 전혀 사용하지 않게 되면 머리가 뒤로 젖혀지고 턱이 들려 경추 곡선이 부자연스러워져 심장, 간, 폐로 압력이 전달되면서 심장과 호흡이 가빠지며, 뇌 속으로 혈액순환장애가 올 우려가 있으므로 적절한 높이의 베개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베개는 전면이 막힌 폐쇄형 구조를 가지고 있어 내부에 수용되는 내장재를 따로 꺼내어 환기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와 박테리아 등 내부 및 외부 오염 물질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입체적인 형태를 통해 사용자의 경추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면서도 원활한 통풍이 가능한 구조를 갖는 베개가 개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면서 경추 부분과 후두부 부분에 각각 밀도감이 상이한 내장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정감 및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경추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베개 커버의 측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3D 메쉬 소재로 구성하여 통풍이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내장재에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경추 베개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경추 베개는, 6개의 면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각각 상이한 밀도를 갖는 복수개의 내장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하고자 하는 인체 부위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밀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내장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입체적인 형태를 가지면서 경추 부분과 후두부 부분에 각각 밀도감이 상이한 내장재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의 경추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안정감 및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베개 커버의 측면 중 일부 또는 전부를 3D 메쉬 소재로 구성하여 통풍이 원활하도록 함으로써, 내장재에 세균이 서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베개에서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베개에서 격벽부의 사시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베개에서 격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경추 베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경추 베개의 우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베개의 실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증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상이한 밀도를 갖는 내장재를 복수개 구비하여 사용자의 인체 각 부위에 적절한 쿠션감을 제공하고, 일부에 3D 메쉬 소재를 적용하여 원활한 통풍을 제공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기반으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베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경추 베개(10)는 커버부(10) 및 복수개의 내장재(20)를 포함한다.
커버부(10)는 입체적으로 구성되는데, 구체적으로 6개의 면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태를 갖는다. 또한, 커버부(10)의 내부에는 상이한 밀도를 갖는 복수개의 내장재(2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커버부(10)는 THERMIC과 같은 온도 조절 기능을 갖는 신소재 원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내장재(20)는 상이한 밀도를 갖는 두 개의 내장재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내장재(20)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제1 내장재(21) 및 경추를 지지하는 제2 내장재(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장재(22)는 제1 내장재 보다 높은 밀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인체에서 후두부 부위는 뇌와 뼈로 구성되어 가장 무거운 부위이기 때문에 낮은 밀도로 지지해주도록 하고, C자형 곡선으로 유지되어야 하는 경추 부위는 후두부 부위 대비 높은 밀도로 지지해주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제1 내장재 및 제2 내장재가 상이한 밀도를 갖도록 하기 위해서 상이한 중량을 갖도록 구성하거나 상이한 물성으로 구성하되, 제1 내장재 및 제2 내장재는 동일한 높이 값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 복수개의 내장재(20)는 예를 들어, 라텍스, 메모리폼, 목침, 솜, 구스, 미네랄 섬유 등 다양한 충전재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복수개의 내장재(20)가 두 개로 구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일 실시예일 뿐, 그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변경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베개에서 커버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커버부(10)는 6개의 면으로 구성되며, 구체적으로 제1 측벽(11), 제2 측벽(12), 제3 측벽(13), 제4 측벽(14), 상면(15) 및 하면(16)을 포함한다.
상면(15) 및 하면(16)이 일정 간격을 갖고 마주보도록 구성되고, 그 상면(15) 및 하면(16) 사이를 네 개의 측벽, 즉, 제1 측벽(11), 제2 측벽(12), 제3 측벽(13) 및 제4 측벽(14)이 둘러싸도록 구성됨에 따라 육면체 형태를 갖는다. 이로써, 커버부(10)에는 그 내부에 복수개의 내장재(2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1 측벽(11), 제2 측벽(12), 제3 측벽(13), 제4 측벽(14), 상면(15) 및 하면(16)은 봉제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0)는 수용공간에 복수개의 내장재(20) 각각이 수용되는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격벽부(30)는 제1 내장재(21)가 수용되는 제1 공간과 제2 내장재(22)가 수용되는 제2 공간을 분리한다.
도 2에서는 커버부(10)의 수용공간에 두 개의 내장재를 수용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일 실시예일 뿐, 복수개의 내장재(20)의 개수에 따라 격벽부(30)의 개수 또한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커버부(10)를 구성하는 6개의 면 중 측면에 위치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는 3D 메쉬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커버부(10)에 수용된 복수개의 내장재(20)를 그 커버부(10)로부터 꺼내지 않더라도 원활한 통풍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베개에서 격벽부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베개에서 격벽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격벽부(30)는 상단제봉부(31), 하단제봉부(32) 및 격벽(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단제봉부(31)는 커버부(10)의 상면(15)에 제봉되고, 하단제봉부(32)는 커버부(10)의 하면(16)에 제봉된다.
한편, 격벽(33)은 격벽 봉제 마감과 생산성 향상을 위해 2 피스(peice)의 원단을 합봉하는 방식을 적용한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 일 뿐, 예를 들어 벨크로 등의 별도의 부착부재를 통해 격벽부가 커버부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그 결합되는 방식은 어느 하나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경추 베개의 정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경추 베개의 우측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경추 베개는 내부의 수용공간을 격벽을 통해 분리하여 각각 상이한 밀도를 갖는 내장재가 각각 수용함에 따라,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 베개(40)는 후두부를 지지하는 후두부 지지부(41) 및 경추 지지부(42)로 구성된다. 또한, 그 측면부(43)는 3D 메쉬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베개의 실 사용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후두부를 지지하는 제1 내장재(21)와 경추를 지지하는 제2 내장재(22)라 서술하였으나,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추 베개(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쿠션감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 가능하다. 즉, 베개에 맞춘 수면 자세가 아닌 사용자의 평소 수면 습관에 따라 자유롭게 이용이 가능하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경추 베개는 굴곡을 갖거나 상이한 높이값을 갖도록 구성된 기존의 베개와는 다르게 전체적으로 동일한 높이값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 사용하여도 안정감과 편안함을 줄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이한 밀도를 갖는 내장재를 복수개 구비하여 사용자의 인체 각 부위에 적절한 쿠션감을 제공함으로써 바른 수면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베개를 구성하는 면의 일부 또는 전부를 3D 메쉬 소재로 구성하여 원활한 통풍을 제공함으로써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경추 베개 10: 커버부
11: 제1 측면 12: 제2 측면
13: 제3 측면 14: 제4 측면
15: 상면 16: 하면
20: 복수개의 내장재 21: 제1 내장재
22: 제2 내장재 30: 격벽부
40: 경추 베개 41: 후두부 지지부
42: 경추 지지부 43: 측면부

Claims (1)

  1. 경추 베개에 있어서,
    6개의 면으로 둘러싸인 육면체 형태를 가지며, 내부에 각각 상이한 밀도를 갖는 복수개의 내장재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커버부; 및
    상기 내부에 수용되어 지지하고자 하는 인체 부위에 따라 서로 상이한 밀도를 갖도록 구성되는 복수개의 내장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내장재는,
    후두부를 지지하는 제1 내장재 및 경추를 지지하는 제2 내장재를 포함하되, C자형 곡선의 유지를 위해 상기 제2 내장재는 상기 제1 내장재 보다 높은 밀도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버부는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측벽과, 상기 제1 측벽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측벽과 마주한 상태에서 상기 제1 측벽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로 이격 배치되는 제3 측벽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3 측벽의 일측에 양단이 결합되는 제2 측벽과, 상기 제1 측벽 및 상기 제3 측벽의 타측에 양단이 결합되는 제4 측벽과, 상기 제1 측벽 내지 상기 제4 측벽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면과, 상기 제1 측벽 내지 상기 제4 측벽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면을 포함하고, 온도조절 기능을 갖는 THERMIC 원단으로 구성되며,
    벨크로에 의하여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며, 상기 제1 내장재가 수용되는 제1 공간과 상기 제2 내장재가 수용되는 제2 공간을 분리하는 격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부는 2피스의 원단이 상하 방향으로 합봉되어 상기 상면과 상기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격벽을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6개의 면 중 측면에 위치하는 면의 적어도 하나는 3D 메쉬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제1 내장재 및 상기 제2 내장재는 상이한 중량을 갖도록 구성되거나, 상이한 물성으로 구성되어 상이한 밀도를 갖도록 형성되되,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추 베개.
KR1020220046574A 2020-07-13 2022-04-14 경추 베개 Ceased KR2022005426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6574A KR20220054262A (ko) 2020-07-13 2022-04-14 경추 베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6431A KR20220008166A (ko) 2020-07-13 2020-07-13 경추 베개
KR1020220046574A KR20220054262A (ko) 2020-07-13 2022-04-14 경추 베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431A Division KR20220008166A (ko) 2020-07-13 2020-07-13 경추 베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4262A true KR20220054262A (ko) 2022-05-02

Family

ID=8005313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431A Ceased KR20220008166A (ko) 2020-07-13 2020-07-13 경추 베개
KR1020220046574A Ceased KR20220054262A (ko) 2020-07-13 2022-04-14 경추 베개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6431A Ceased KR20220008166A (ko) 2020-07-13 2020-07-13 경추 베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22000816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884B1 (ko) 2022-09-29 2023-10-23 케이비아이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1884B1 (ko) 2022-09-29 2023-10-23 케이비아이 주식회사 높이 조절이 가능한 경추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8166A (ko) 2022-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5670B2 (ja)
KR101883182B1 (ko) 기능성 베개
US20130318722A1 (en) Functional Pillow
KR102280491B1 (ko) 경추 서포트가 구비된 이중 베개
US5644810A (en) Pillow for supine and side-orientated sleeping positions
KR200489782Y1 (ko) 3중 구조 베개
US6701555B1 (en) Dual-filled, adjustable postural health pillow
WO2017076245A1 (zh) 一种符合脊椎医学理论的睡枕
KR102075262B1 (ko) 베개
KR101293259B1 (ko) 사용자 체형 맞춤 베개
KR20220054262A (ko) 경추 베개
KR101930643B1 (ko) 베개
JPH11266985A (ja) 人体工学枕
KR102475466B1 (ko) 교정용 경추베개
KR20170129576A (ko) 황토볼이 내장된 베개
KR101730806B1 (ko) 구획정리와 높낮이조절을 겸비한 기능성 베개
KR200496001Y1 (ko) 경추 목 베개
KR200226847Y1 (ko) 경추 보호용 목베개
KR101488605B1 (ko) 기능성 베개
KR100444950B1 (ko) 기능성베개
KR102611491B1 (ko) 기능성 방음 베개
KR200393585Y1 (ko) 등베개
KR102366370B1 (ko) 통기성을 구비하고 귀 눌림과 눈가 세로주름이 방지되는 기능성 베개
KR102639636B1 (ko) 경추 베개
KR200497420Y1 (ko) 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414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200713

Application number text: 10202000864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20913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206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