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25029A - 머리 받침구 - Google Patents

머리 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25029A
KR20110025029A KR1020100006530A KR20100006530A KR20110025029A KR 20110025029 A KR20110025029 A KR 20110025029A KR 1020100006530 A KR1020100006530 A KR 1020100006530A KR 20100006530 A KR20100006530 A KR 20100006530A KR 20110025029 A KR20110025029 A KR 20110025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rame
adjustment
main frame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71022B1 (ko
Inventor
남해현
Original Assignee
남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해현 filed Critical 남해현
Priority to CN2010800393053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2665490A/zh
Priority to US13/393,321 priority patent/US20120161489A1/en
Priority to JP2012527806A priority patent/JP2013503686A/ja
Priority to PCT/KR2010/000457 priority patent/WO2011027953A1/ko
Publication of KR20110025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5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71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710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21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서 사람의 머리가 닿는 부분에 설치되는 조절식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인체공학 머리 형상 오목부’를 구비하되 상기 오목부를 사람마다 각기 다른 머리 크기, 머리 모양, 목덜미 체형 등에 적합하도록 조절하여 목과 머리를 편안하게 해줌으로써, 의자에 앉아서 안락하게 휴식과 수면을 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절식 머리 받침구는, 의자에 장착되는 머리 받침구로서, 머리가 안착되도록 전방에 오목하게 상단 오목부가 형성된 상단 블록과; 상기 상단 블록의 하부에 위치하며 목이 안착되도록 전방에 오목하게 하단 오목부가 형성된 하단 블록과; 상기 상단 블록과 상기 하단 블록은 서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머리 받침구{Headrest}
본 발명은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머리 받침구를 상하 또는 좌우의 블럭으로 구분하고 각각의 블럭이 전후좌우 또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람의 목과 머리를 자연스럽게 지지시켜주어 편안한 자세를 유도함으로써 안락함을 줄 수 있는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서 사람의 머리가 닿는 부분에 설치되며, 인체공학적인 머리 형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되, 머리가 수용되는 부분이 두상 또는 목 두께에 따라 적절히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목과 머리를 안정되고 올바르게 지지하여 목 꺾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람의 경추는 직립 상태로 활동을 할 때에는 약간의 곡선형(C자형) 모양으로 세워져 있으나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아 머리와 등을 기대고 휴식과 수면을 취할 때에는 경추 부분이 허공에 뜨게 되며, 경추를 지탱하는 근육의 이완으로 전후좌우 방향으로 경추의 꺾임과 뒤틀림이 오게 되고 머리 뒷부분의 둥근 모양으로 인해 머리고정이 어렵고 좌우로 쏠려 목 꺾임 현상도 발생하며 또한 목과 머리의 기울기를 적절히 조절치 못하면 목 근육의 긴장과 함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과 불편함을 고려하지 않은 종래의 일반 의자나 머리 받침구 등을 사용하였을 때는 시간이 흐를수록 목과 어깨에 통증과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종래의 일반 의자는 모든 사람의 머리와 목의 크기와 형태에 맞추어 머리받침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사용자마다 머리와 경추부분의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상태와 목 꺾임 현상을 방치할 수밖에 없는 현실로 의자에 있어서 목과 머리에 대한 근본적 문제점을 실제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체공학적 형상과 기능을 갖추어 목과 머리의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자세의 지지상태와 목 꺾임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형상과 기능을 갖춘 머리 받침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조절식 머리 받침구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자에 장착되는 머리 받침구로서, 머리가 안착되도록 전방에 오목하게 상단 오목부가 형성된 상단 블록과; 상기 상단 블록의 하부에 위치하며 목이 안착되도록 전방에 오목하게 하단 오목부가 형성된 하단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 블록과 상기 하단 블록은 서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단 블록과 상기 하단 블록을 전후 방향으로 서로 상대 이동하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전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블록 및 상기 하단 블록이 탑재되는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블록은 상단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블록은 하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 조절 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상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전후 조절 랙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후방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후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블록 및 상기 하단 블록은 상기 후벽부의 전방에서 상기 저판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후벽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 조절 랙기어는 상기 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와 치합할 수 있다.
상기 상단 블록의 하부에는 전후 슬라이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단 블록의 상부에는 상기 전후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 가이드 되는 전후 슬라이딩 홈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단 블록 또는 상기 하단 블록의 좌우 폭을 조절하는 좌우 조절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 블록 및 상기 하단 블록이 탑재되는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 블록은 우측 하단 블록과 좌측 하단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하단 블록은 좌측 하단 프레임과 상기 좌측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하단 블록은 우측 하단 프레임과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조절 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내장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의 스크류기어가 외주면에 구비된 좌우 조절봉과, 상기 좌우 조절봉의 스크류기어에 치합되는 스크류 기어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 및 상기 좌측 하단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좌우 조절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 조절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의 좌우 조절 돌출부와 상기 좌측 하단 프레임의 좌우 조절 돌출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후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후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벽부에는 상기 좌우 조절봉이 내장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벽부에는 상기 좌우 조절봉의 2개의 스크류 기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좌측 결합공과 우측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 조절 돌출부는 상기 좌측 하단 프레임과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좌측 결합공과 상기 우측 결합공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좌우 슬라이딩 홈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 및 좌측 하단 프레임에는 상기 좌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좌우 슬라이딩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는 높이 조절 랙기어가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높이 조절 랙기어는 높이 조절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높이 조절 피니언 기어이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상단 블록은 상단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블록은 하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은 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후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저판과, 상기 저판의 상부에 상기 저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중간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프레임의 중간판의 상부에는 상기 상단 프레임이 위치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중간판과 저판 사이에 완충 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상단 프레임의 측판 외측에는 전후 슬라이딩 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측판에는 상기 전후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전후 슬라이딩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판에는 하단 프레임의 전후 슬라이딩 슬릿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전후 슬라이딩 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
의자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단 블록 및 상기 하단 블록의 적어도 일부는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단 블록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후 조절 수단은, 상기 하단 블록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단이 상기 상단 블록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되는 전후 조절봉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전후 조절봉에 나사 결합하는 전후 조절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단 블록은 좌측 하단 블록과 우측 하단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전후 관통공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좌우 조절 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후 관통공을 통과하여 전단이 상기 좌측 하단 블록 및 상기 우측 하단 블록에각각 결합되며 후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 조절봉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좌우 조절봉에 나사 결합하는 좌우 조절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머리 받침구가 상하 또는 좌우로 블럭화되어, 각각 조절되므로, 머리의 높이, 두상의 좌우방향 길이 및 전후방향 길이, 머리각도, 머리높이 등에 맞추어 가장 편안한 상태로 머리 받침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가 의자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 전체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을 뒤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5는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이 결합된 메인 프레임을 뒤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가 의자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메인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좌우 조절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전후 조절 수단을 측면에서 바라본 투시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전후 조절 수단을 위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각도 조절 수단 및 틸트 조절 수단을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각도 조절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틸트 조절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를 블럭별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상단 블럭 및 좌우 조절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가 의자(10)에 상부에 형성된 수용부(11)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2는 상단 블록(100)과 하단 블록(200)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3은 본 실시에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분리 사시도이다. 또한, 도4는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상단 블록(100)과 하단 블록(200)을 뒤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5는 메인 프레임(300)을 뒤쪽에서 비스듬하게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는, 상단 블록(100)과 하단 블록(200)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 블록(100)은 우측 상단 블록(110)과 좌측 상단 블록(120)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 블록(200)은 우측 하단 블록(210)과 좌측 하단 블록(220)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 블록(100)의 중앙에는 사람의 뒤통수 형상대로 오목하게 대략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상단 오목부(130)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 블록(200)의 중앙에는 대략 반 원통 형상의 홈이 형성된 하단 오목부(230)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 오목부(130)에는 사용자의 뒤통수가 안착되며, 상기 하단 오목부(230)에는 사용자의 목이 안착 고정되어, 목의 꺽임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우측 상단 블록(110), 좌측 상단 블록(120), 우측 하단 블록(210), 좌측 하단 블록(220)은 각각 프레임(112, 122, 212, 222)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111, 121, 211, 221)를 포함한다.
도2를 참조하면, 상단 블록(100)의 상단 프레임(112, 122)은, 각각 측판(114, 124)과, 상기 측판(114, 124)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판(113, 123)과, 상기 측판(114, 124) 및 상기 후판(113, 123)의 하단에 위치하는 저판(115, 125)을 포함하며, 상기 저판(115, 125)은 상기 측판(114, 124)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후판(113, 123)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대략 ㄱ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저판(115, 125)의 하방으로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후 슬라이딩 돌기(116, 126)가 돌출되고, 상기 후판(113, 123)의 후방으로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후 조절 랙기어(604)가 돌출된다.
상기 하단 블록(200)의 하단 프레임(212, 222)은 각각 측판(214, 224)과, 상기 측판(214, 224)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판(213, 223)과, 상기 측판(214, 224) 및 상기 후판(213, 223)의 하단에 위치하는 저판(215, 225)을 포함하며, 상기 저판(215, 225)은 상기 측판(214, 224)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후판(213, 223)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대략 ㄱ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저판(215, 225)의 하방으로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좌우 슬라이딩 돌기(217, 227)가 돌출되고, 상기 측판(214, 224)의 상부에는 상기 전후 슬라이딩 돌기에 대응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전후 슬라이딩 홈(216, 22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완충 부재(111, 121, 211, 221)는,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등의 탄성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형물 성형방식 (Forming expansion molding system)으로 제작한 다음, 후가공 처리를 하여 탄성 부재의 외주 면에 연질의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외주 면에는 섬유 흡착제 70%, 방수제 20%, 항균 방취제 10%를 혼합한 코팅 액을 도포하여 세균 방지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완충 부재에 외피를 사용할 때에는 후가공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측 상단 프레임(112), 좌측 상단 프레임(122), 우측 하단 프레임(212), 좌측 하단 프레임(222)으로는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단 블록(200)의 하방에는, 도3에서와 같이 메인 프레임(300)이 위치한다.
상기 메인 프레임(300)은, 저판부(310)와 상기 저판부(310)의 후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후벽부(320)를 포함한다.
상기 저판부(310)의 좌우 가장자리에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슬라이딩 홈(330)이 각각 형성되며, 이 좌우 슬라이딩 홈(330)에는 상기 하단 프레임(212, 222) 하부의 좌우 슬라이딩 돌기(217, 227)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저판부(310)의 하부에는 높이 조절 랙기어(403)가 결합된다.
상기 후벽부(320)의 내측에는, 후술하는 좌우 조절 수단(500)이 수용되는 좌우 조절 수단 수용부(340)가 좌우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좌우 조절 수용부(340)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전후 조절 수단(600)이 수용되는 전후 조절 수단 수용부(350)가 좌우로 길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좌우 조절 수단 수용부(340)의 중앙 소정위치에는 전방으로 우측 결합공(341)과 좌측 결합공(342)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 조절 수단 수용부(350)의 좌우 양 단부 근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우측 통공(351)과 좌측 통공(352)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상단 블록(100) 및 하단 블록(200)은 후술하는 높이 조절 수단(400), 좌우 조절 수단(500) 및 전후 조절 수단(600)에 의해 상하, 좌우, 전후로 조절이 가능하다.
먼저, 높이 조절 수단(400)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 조절 핸들(401)과, 상기 높이 조절 핸들(401)의 내측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봉(402)과, 상기 높이 조절봉(402)의 외측에 형성된 높이 조절 피니언 기어(미도시)와, 상기 높이 조절 피니언 기어(미도시)에 맞물리며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그 상단이 상기 저판부(310)의 하부에 결합되는 높이 조절 랙기어(403)를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높이 조절 핸들(401)을 돌리면, 높이 조절봉(402) 및 높이 조절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회전하고, 상기 높이 조절 피니언 기어(미도시)의 회전에 의해 높이 조절 랙기어(40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메인 프레임(300)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결국 머리 받침구의 높이가 상하 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좌우 조절 수단(500)은 도3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조절 핸들(501)과, 상기 좌우 조절 핸들(501)로부터 내측으로 길게 연장되며 중앙 소정위치에는 2개의 스크류 기어(503, 504)가 형성되는 좌우 조절봉(502)과,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212)의 후방 및 상기 좌측 하단 프레임(222) 후방으로 돌출되며 내측에 스크류 기어가 형성된 좌우 조절 돌출부(505, 도4참조)를 포함한다. 상기 좌우 조절봉(502)에 형성되는 우측 스크류 기어(503)와 좌측 스크류 기어(504)는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기어가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우 조절 핸들(501)을 일방으로 돌리면, 좌우 조절봉(502), 우측 스크류 기어(503) 및 좌측 스크류 기어(504)가 회전하고, 이로 인해 상기 좌우 조절 돌출부(505)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좌측 하단 블록(210)과 우측 하단 블록(220)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거나 좁아지게 된다.
다음으로, 전후 조절 수단(600)은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 조절 핸들(601)과, 상기 전후 조절 핸들(601)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전후 조절봉(602) 및 상기 전후 조절봉(602)의 좌우 양단 근방에 형성되는 2개의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3)와, 상기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3)에 맞물리며 상기 상단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전후 조절 랙기어(604)를 포함한다. 상기 2개의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3)는 각각 도3에 도시된 상기 우측 통공(351) 및 좌측 통공(352)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우측 통공(351) 및 상기 좌측 통공(352)으로는 각각 전후 조절 랙기어(604)가 삽입되어 상기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3)와 치합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전후 조절 핸들(601)을 돌리면, 전후 조절봉(602) 및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3)가 회전을 하고, 이로 인해 전후 조절 랙기어(60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단 블록(10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머리 받침구가 의자에 장착됨에 있어, 수용부(11)의 일측면에는 스위치 수용 슬릿(12)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스위치 수용 슬릿(12)을 통해 좌우 조절봉(502) 또는 전후 조절봉(602)이 통과한다. 상기 스위치 수용 슬릿(12)은 상기 좌우 조절봉(502) 및 전후 조절봉(602)이 이동할 수 있도록 여유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의자에 앉아 상단 오목부(130)에 머리가 하단 오목부(230)에 목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머리 받침구가 머리의 위치에 비해 높거나 낮은 경우에는, 높이 조절 핸들(401)을 돌려, 높이 조절 피니언 기어(미도시)를 회전시킴으로써, 높이 조절 랙기어(403) 및 메인 프레임(300)이 상하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머리 받침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단 오목부(130) 또는 하단 오목부(230)의 좌우 폭이 다소 넓거나 좁은 경우에는, 좌우 조절 핸들(501)을 돌려, 좌우 조절봉(502)의 외측에 형성된 우측 스크류 기어(503) 및 좌측 스크류 기어(504)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이와 결합된 좌우 조절 돌출부(505)가 좌우 방향으로 벌어지거나 좁아짐으로써, 하단 프레임(212, 222)과 상단 프레임(112,122) 의 좌우 폭을 넓히거나 좁힐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뒤통수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튀어 나와 있거나, 혹은 반대로 뒤통수가 납작하여 전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후 조절 핸들(601)을 돌려,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3)를 회전시키고, 이와 결합된 전후 조절 랙기어(604)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후 조절 랙기어(604)와 결합된 상단 프레임(112, 122)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머리 또는 목이 편안한 상태로 머리 받침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높이 조절 피니언 기어(미도시), 우측 스크류 기어(503) 및 좌측 스크류 기어(504),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3) 등이 각각 수동의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하였으나, 이를 전동 모터로 회전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센서를 부착하여 사용자의 머리 크기 및 모양을 감지하도록 함으로써, 자동으로 머리 받침구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머리 받침구를 크게 4개의 블록으로 나누고, 높이 조절 수단(400), 좌우 조절 수단(500), 전후 조절 수단(600)을 각각 채용하여, 상하 전후 좌우 모든 방향으로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였으나, 머리 받침구를 좌우 2개의 블록으로만 나누어지도록 하거나, 상하 2개의 블록으로만 나누어지게 하여, 이에 필요한 조절 수단만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상단 블록만을 좌우로 나누거나 하단 블록만을 좌우로 나누어 머리 받침구가 3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이에 필요한 조절 수단만을 취사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6은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가 의자(10a)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상단 블록(100a)과 하단 블록(200a)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며, 도8은 메인 프레임(300a)를 도시한 도면이다.
앞선 제1 실시예에서는, 의자(10)의 상부에 수용부(11)가 형성되고, 이 수용부(11)에 머리 받침구가 내장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의자(10a)의 상측으로 돌출되게 메인 프레임(300a)이 결합 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300a) 내부에 머리 받침구의 블록들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는, 도6 및 도7에서와 같이, 상단 블록(100a)과 하단 블록(200a)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 블록(100a)은 다시 우측 상단 블록(110a)과 좌측 상단 블록(120a)을, 상기 하단 블록(200a)은 우측 하단 블록(210a)과 좌측 하단 블록(220a)을 각각 포함한다.
상기 상단 블록(100a)의 중앙에는 사람의 뒤통수 형상대로 오목하게 대략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상단 오목부(130a)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 블록(200a)의 중앙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홈이 형성된 하단 오목부(230a)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 오목부(130a)에는 사용자의 뒤통수가 안착되며, 상기 하단 오목부(230a)에는 사용자의 목이 안착 고정되어, 목의 꺽임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우측 상단 블록(110a), 좌측 상단 블록(120a), 우측 하단 블록(210a), 좌측 하단 블록(220a)은 각각 프레임(112a, 122a, 212a, 222a)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111a, 121a, 211a, 221a)를 포함한다.
도7을 참조하면, 상단 블록(100a)의 상단 프레임(112a, 122a)은 각각 측판(114a, 124a)과, 상기 측판(114a, 124a)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판(113a, 123a)과, 상기 측판(114a, 124a) 및 상기 후판(113a, 123a)의 하단에 위치하는 저판(115a, 125a)을 포함하며, 상기 저판(115a, 125a)은 상기 측판(114a, 124a)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후판(113a, 123a)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대략 ㄱ자 형상을 갖는다.
이때, 우측 상단 프레임(112a)의 후판(113a)에는 좌측을 향해 돌출되는 좌우 결합 돌기(118a)가 돌출되며, 좌측 상단 프레임(122a)의 후판(123a)에는 상기 좌우 결합돌기(118a)가 삽입되는 좌우 결합 홈(미도시)이 우측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우측 상단 프레임(112a) 및 상기 좌측 상단 프레임(122a)의 측판(114a,124a) 외측에는 전후 슬라이딩 돌기(116a, 126a)가 구비되며, 상기 전후 슬라이딩 돌기(116a, 126a)에는 좌우 방향으로 체결공(117a, 127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하단 블록(200a)의 하단 프레임(212a, 222a)은 각각 측판(214a, 224a)과, 상기 측판(214a, 224a)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판(213a, 223a)과, 상기 측판(214a, 224a) 및 상기 후판(213a, 223a)의 하단에 위치하는 저판(215a, 225a), 상기 저판(215a, 225a)의 상부에 이격되어 대략 평행하게 위치하는 중간판(216a, 226a)을 포함하며, 상기 저판(215a, 225a) 및 중간판(216a, 226a)은 상기 측판(214a, 224a)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후판(213a, 223a)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대략 ㄱ자 형상을 갖는다.
이때 상기 측판(214a, 224a)에는, 중간판(216a, 226a)의 상부에, 전방으로부터 전후 슬라이딩 슬릿(217a, 227a)이 절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판(214a, 224a)에는 중간판(216a, 226a)과 저판(215a, 225a)의 사이에, 내측에 스크류 기어가 형성된 좌우 조절공(503a)이 구비된다.
또한, 우측 하단 프레임(212a)의 후판(213a)에는 좌측을 향해 좌우 결합돌기(219a)가 돌출되며, 좌측 하단 프레임(222a)의 후판(223a) 에는 상기 좌우 결합돌기(219a)가 삽입되는 좌우 결합 홈(미도시)이 우측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판(215a, 225a)의 하부에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좌우 슬라이딩 돌기(218a, 228a)가 돌출된다.
한편, 완충 부재(111a, 121a, 211a, 221a)는,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등의 탄성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형물 성형방식 (Forming expansion molding system)으로 제작한 다음, 후가공 처리를 하여 탄성부재의 외주 면에 연질의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외주 면에는 섬유 흡착제 70%, 방수제 20%, 항균 방취제 10%를 혼합한 코팅 액을 도포하여 세균 방지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완충 부재에 외피를 사용할 때에는 후가공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으로는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 중, 상부 완충 부재(111a, 121a)는 상부 프레임(112a, 122a)의 저판(115a, 125a) 위에 결합되며, 하부 완충 부재(211a, 221a)는 하부 프레임(212a, 222a)의 중간판(216a, 226a)과 저판(215a, 225a) 사이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하단 프레임(212a, 222a)의 중간판(216a, 226a) 위에는 상기 상단 프레임(112a, 122a)이 올려진다.
이러한 머리 받침구의 상단 블록(100a) 및 하단 블록(200a)은 메인 프레임(300a) 내측에 결합되는데, 상기 메인 프레임(300a)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측의 측판부(310a)와, 상기 측판부(310a)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판부(320a)와, 상기 측판부(310a) 및 상기 후판부(320a)의 하단에 위치하는 저판부(330a)를 포함한다.
상기 측판부(310a)의 외측에는 후술하는 전후 조절 하우징(604a)이 결합되며, 상기 전후 조절 하우징의 전방 쪽으로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전후 슬라이딩 슬릿(311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판부(310a)에는 후술하는 좌우 조절봉(502a)이 통과할 수 있는 통공(312a)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측판부(310a)에는 메인 프레임(300a)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 조절 수단(700a)이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저판부에는 하단 프레임(212a)의 저판부(215a, 225a) 하부 좌우 슬라이딩 돌기(218a, 228a)와 결합되는 각각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좌우 슬라이딩 슬릿(331a)이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는 도8, 도9 내지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우 조절 수단(500a), 전후 조절 수단(600a), 각도 조절 수단(700a), 틸트 조절 수단(800a)을 포함하여, 좌우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고, 전후 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며, 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틸트 조절이 가능하다.
먼저, 좌우 조절 수단(500a)은, 도8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조절 핸들(501a)과, 외주면에 스크류 기어가 형성된 좌우 조절봉(502a)과, 하단 프레임(212, 222a)의 측판(214a, 224a)에 형성되며 내측에 스크류 기어가 구비된 좌우 조절공(503a)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좌우 조절 핸들(501a)을 회전시키면 좌우 조절봉(502a)이 회전하고, 그에 따라 좌우 조절봉(502a) 외주면의 스크류 기어와 좌우 조절공(503a) 내주면의 스크류 기어가 맞물려 회전함으로써, 하단 프레임(212a, 222a)이 좌우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좌측, 우측에 각각 구비된 좌우 조절 수단(500a)을 조절함으로써, 우측 하단 블록(210a)과 좌측 하단 블록(220a) 사이를 넓게 벌리거나 좁게 좁힐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단 프레임(212a, 222a)의 좌우 슬라이딩 돌기(218a, 228a)는 메인 프레임(300a)의 좌우 슬라이딩 슬릿(331a)에 의해 슬라이딩이 가이드된다.
다음으로, 전후 조절 수단(600a)은, 도10 및 도11에 도시되어 있는데, 도10은 상기 전후 조절 수단(600a)을 측면에서 바라본 개략적인 투시도이며, 도11은 상기 전후 조절 수단(600a)을 상부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상기 전후 조절 수단(600a)은 전후 조절 핸들(601a)과, 상기 전후 조절 핸들(601a)의 내측에 결합된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2a)와, 상기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2a)에 결합되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후 조절 랙기어(603a)와, 상기 전후 조절 랙기어(603a)의 일단과 상기 상단 프레임(112a, 122a)의 측판(114a, 124a) 외측의 전후 슬라이딩 돌기(116a, 126a)를 연결하는 연결핀(605a)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2a) 및 상기 전후 조절 랙기어(603a)의 일부는 측판부(310a)에 부착된 전후 조절 하우징(604a)의 내부에 수용된다. 또한, 상기 전후 슬라이딩 돌기(116a, 126a)는 상기 하단 프레임(212a, 222a)의 전후 슬라이딩 슬릿(217a, 227a)과 메인 프레임(300)의 전후 슬라이딩 슬릿(311a)에 삽입되어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전후 조절 핸들(601a)을 돌리면, 상기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2a)가 회전하고, 그에 따라 상기 전후 조절 랙기어(603a)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전후 조절 랙기어(603a)와 연결핀(605a)을 통해 연결된 상기 상단 프레임(112a, 122a)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각도 조절 수단(700a)은 도12에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13의 좌측에는 측면에서 바라본 외부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13의 우측에는 측면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수단(700a)은, 하우징(701a)과, 상기 하우징(701a)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702a)와, 상기 수용부(702a)에 수용된 톱니부(703a)와, 상기 톱니부(703a)의 하부에 배치되며 스위칭 레버(707a)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대략 삼각형의 스위칭 부재(704a)와, 상기 스위칭 부재(704a)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스토퍼(705a)와, 상기 스토퍼(705a)를 상기 스위칭 부재(704a)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06a)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706a)은 일단이 상기 수용부(702a)의 벽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705a)에 지지되어 상기 스토퍼(705a)를 상시 상기 스위칭 부재(704a) 쪽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705a)가 상기 스위칭 부재(704a)의 모서리와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스토퍼(705a)와 상기 톱니부(703a)가 서로 이격되어 있게 되나, 상기 스위칭 부재(704a)가 회전하여 모서리가 아니라 한 변이 상기 스토퍼(705a)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던 상기 스토퍼(705a)가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톱니부(703a)와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어느 하나의 스토퍼(705a)가 상기 톱니부(703a)의 톱니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톱니부(703a)는 상기 스토퍼(705a)를 상기 스프링(706a)쪽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지만, 상기 스토퍼(705a)를 상기 스위칭 부재(704a)쪽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 수단(700a)의 하우징(701a)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상측 일부는 후술하는 상기 틸트 조절 수단(800a)의 하우징 외측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의자의 상부에 삽입되어 의자와 결합된다.
한편, 틸트 조절 수단(800a)은 도12에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14에는 측면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틸트 조절 수단(800a)은 현재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후방에서 전방쪽으로 힘을 가하면, 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고 상방으로도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틸트 조절 수단(800a)은 하우징(801a)과 상기 하우징(801a)의 내측에 수용되는 회동 부재(802a) 및 스프링(805a)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동 부재(802a)의 상단은 힌지 결합부(803a)를 통해 상기 하우징(801a)의 내측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하단은 또 다른 힌지 결합부(804a)를 통해 상기 각도 조절 수단(700a)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틸트 조절 수단(800a)의 회동 부재(802a)가 도14의 위쪽 그림에서와 같이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에서, 상기 메인 프레임(300a)에 전방으로 힘을 가하면, 도14의 아래쪽 그림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802a)가 상하로 수직하게 정렬되도록 회전하면서, 상기 상단 프레임(120a)이 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그리고 상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러한 틸트 조절 수단(800a)의 내부 구성 및 원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틸트 조절 수단(800a)은, 현재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틸트 조절 수단의 구성 및 원리를 차용한 것이므로, 그 구성 및 작동 원리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작동 원리를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의자에 앉아 상단 오목부(130a)에 머리가 하단 오목부(230a)에 목이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단 오목부(130a) 또는 하단 오목부(230a)의 좌우 폭이 다소 넓거나 좁은 경우에는, 좌우 조절 핸들(501a)을 돌려, 외측에 스크류 기어가 형성된 좌우 조절봉(502a)을 회전 시키고, 하단 프레임(112a, 222a) 측판(214a, 224a)의 체결공(503a) 내측에 형성된 스크류 기어가 상기 좌우 조절봉(502a) 외측의 스크류 기어와 맞물려, 상기 하단 프레임(212a, 222a)와 상단 프레임(112a, 122a)가 함께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여, 오목부(130a, 230a)의 폭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뒤통수가 상대적으로 후방으로 튀어 나와 있거나, 혹은 반대로 뒤통수가 납작하여 전후 방향의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전후 조절 핸들(601a)을 돌려,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2a)를 회전시키고, 이와 결합된 전후 조절 랙기어(603a)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전후 조절 랙기어(603a)와 연결핀(605a)을 통해 결합된 전후 조절 돌기(116a, 126a)에 전후 방향으로 힘을 가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단 프레임(112a, 122a)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어, 머리 또는 목이 편안한 상태가 되도록 머리 받침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메인 프레임(300a)의 각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각도 조절 수단(700a)의 조절 레버(707a)를 중간위치로 조작하고 스위칭 부재(704a)를 중립위치가 되도록 하고, 톱니부(704a)를 전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후에, 편안한 각도 까지 메인 프레임(300a)을 회전 시킨 이후에는, 메인 프레임 양측에 설치된 조절 레버(707a)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조작하여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 한다.
그리고, 틸트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300a)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어주면, 상기 틸트 조절 수단(800a)의 회동 부재가 회전하며, 메인 프레임(300a)이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여 틸트 조절이 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 및 두상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상단 블록(100) 및 하단 블록(200)을 조절하여, 머리가 편히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좌우 조절봉(502a) 및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602a)가 각각 수동의 핸들 조작에 의해 회전하였으나, 이를 전동 모터로 회전 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의자(10a)에 대한 메인 프레임(300a)의 각도 조절 역시 전동 모터를 사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머리 받침구를 크게 4개의 블록으로 나누고, 좌우 조절 수단(500a), 전후 조절 수단(600a)을 각각 채용하여, 전후 좌우 모든 방향으로의 조절이 가능하게 하였으나, 머리 받침구를 좌우 2개의 블록으로만 나누어지도록 하거나, 상하 2개의 블록으로만 나누어지게 하여, 이에 필요한 조절 수단만을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도 있으며, 상단 블록만을 좌우로 나누거나 하단 블록만을 좌우로 나누어 머리 받침구가 3개의 블록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이에 필요한 조절 수단만을 취사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틸트 조절 수단을 의자(10a)와 상기 메인 프레임(300a) 사이에 하나만 설치하였으나, 상단 프레임(112a, 122a)과 하단 프레임(212a, 222a) 사이에 하나를 더 설치하여, 상기 상단 프레임(112a, 122a)과 상기 하단 프레임(212a, 222a) 사이에서 추가적인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
도1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16은 이를 블록별로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고, 도17은 상단 블록 및 좌우 조절 수단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는, 상단 블록(100f)과 하단 블록(200f)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 블록(100f)은 우측 상단 블록(110f)과 좌측 상단 블록(120f)을 포함하고, 상기 하단 블록(200f)은 우측 하단 블록(210f)과 좌측 하단 블록(220f)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 블록(100f)의 중앙에는 사람의 뒤통수 형상대로 오목하게 대략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상단 오목부(130f)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 블록(200f)의 중앙에는 대략 반 원통 형상의 홈이 형성된 하단 오목부(230f)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 오목부(130f)에는 사용자의 뒤통수가 안착되며, 상기 하단 오목부(230f)에는 사용자의 목이 안착 고정되어, 목의 꺽임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우측 상단 블록(110f), 좌측 상단 블록(120f), 우측 하단 블록(210f), 좌측 하단 블록(220f)은 각각 프레임(112f, 122f, 212f, 222f)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111f, 121f, 211f, 221f)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12f, 122f, 212f, 222f)은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금속 등으로 이루어지며, 대략 1/4 구형의 내측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완충 부재(111f, 121f, 211f, 221f)는,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등의 탄성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형물 성형방식 (Forming expansion molding system)으로 제작한 다음, 후가공 처리를 하여 탄성 부재의 외주 면에 연질의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외주 면에는 섬유 흡착제 70%, 방수제 20%, 항균 방취제 10%를 혼합한 코팅 액을 도포하여 세균 방지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완충 부재에 외피를 사용할 때에는 후가공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우측 상단 프레임(112f) 및 좌측 상단 프레임(122f)은 대략 1/4 구형의 내측면을 가지며, 상기 우측 상단 프레임(112f)의 후단에서는 좌측을 향해 결합 돌기(113f)가 돌출되고, 상기 좌측 상단 프레임(122f)의 후단에는 상기 결합 돌기(113f)가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한 결합 홈(미도시)이 우측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212f) 및 좌측 하단 프레임(222f)의 후방으로는 좌우조절봉(502f)이 결합되는데 상기 좌우 조절봉(502f)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후술하는 메인 프레임(300f)에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212f) 및 좌측 하단 프레임(222f)이 결합되는 경우, 메인 프레임(300f)의 후판부(320f)에 형성된 전후 관통공(321f)을 통과한다.
또한, 상기 우측 상단 프레임(112f) 및 좌측 상단 프레임(122f)의 하부로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전후 슬라이딩 돌기(미도시)가 돌출되는데, 상기 전후 슬라이딩 돌기는 후술하는 하단 프레임(212f, 222f)의 전후 가이드 홈(214f, 224f)에 삽입되어 가이드 된다.
한편, 우측 하단 프레임(212f) 및 좌측 하단 프레임(222f)은 대략 직육면체의 부재의 모서리를 원통의 1/4형상으로 제거한 것과 같은 형상을 가지며, 상부에는 전후 가이드 홈(213f, 223f)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방 소정 위치에는 상하 관통공(214f, 224f)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상하 관통공(214f, 224f)에는 후술하는 전후 조절 수단(600f)의 전후 조절봉(602f)이 관통된다.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212f)의 후단에는 좌측을 향해 돌출되는 결합 돌기(215f)가 구비되며, 상기 좌측 하단 프레임(222f)의 후단에는 상기 결합 돌기(215f)가 삽입되는 결합홈(미도시)이 우측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
메인 프레임(300f)은 좌우 양측으로 2개의 측판부(310f)와 상기 측판부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판부(320f)와 상기 측판부(310f) 및 상기 후판부(320f)의 좌우 하단에 구비되는 저판부(330f)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후판부(320f)에는 전후 관통공(321f)이 전후로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저판부(330f)에는 상하 관통공(331f)이 상하로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전후 관통공(321f)에는 좌우 조절 수단(500f)의 좌우 조절봉(502f)이 통과하며, 상기 상하 관통공(331f)에는 전후 조절 수단(600f)의 전후 조절봉(602f)이 통과한다.
한편, 좌우 조절 수단(500f)은 좌우 조절 핸들(501f)과 좌우 조절봉(502f)을 포함한다. 하단 블록(200f)이 메인 프레임(300f)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 조절봉(502f)은 메인 프레임(300f)의 전후 조절공(321f)을 통과하여 그 일부가 메인 프레임(300f)의 후판부(320f) 외측으로 돌출되며, 이 돌출된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이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에 좌우 조절 핸들(501f)이 끼워진다.
한편, 전후 조절 수단(600f)은 전후 조절 핸들(601f)과 전후 조절봉(602f)을 포함한다. 상기 전후 조절봉(602f)은 우측 상단 프레임(112f) 및 좌측 상단 프레임(122f)의 하단에 각각 고정되며, 하단 프레임(212f, 222f)의 상하 관통공(214f, 224f) 및 메인 프레임(300f)의 상하 관통공(331f)을 차례로 통과하여 그 일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300f)의 저판부(330f)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이렇게 돌출된 부분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이 나사산이 형성된 부분에 전후 조절 핸들(601f)이 결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300f)의 측판부(310f) 외측에는 틸트 조절 수단(800f)이 부착되고, 상기 틸트 조절 수단(800f)의 하단 외측에는 각도 조절 수단(700f)이 결합된다.
상기 각도 조절 수단(700f)은 하단 일부가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의자의 고정공에 삽입됨으로써, 의자와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를 결합시킨다.
여기서 상기 각도 조절 수단(700f) 및 상기 틸트 조절 수단(800f)에 구성 및 기능은 앞선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의자에 앉아 머리가 상단 오목부(130f)에, 목이 하단 오목부(230f)에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의 머리의 좌우 폭이 상단 오목부(130f)의 폭과 맞지 않는 경우에는, 전후 조절 핸들(501f)을 풀어 우측 하단 프레임(212f)과 좌측 하단 프레임(222f) 사이의 간격을 조절 한후, 전후 조절 핸들(501f)을 조이면, 상기 하단 블록(200f)이 적정한 폭으로 벌어진 채 고정된다.
한편, 뒤통수의 돌출 정도에 따라 상단 블록(100f)을 전후로 이동하고 싶은 경우에는, 전후 조절 핸들(601f)을 풀어 상단 블록(200f)의 전후 움직임이 자유롭게 한 후, 적정한 위치에서, 상기 전후 조절 핸들(601f)을 돌려 상단 블록(100f)을 상기 하단 블록(200f)의 상부에 고정시키면 된다.
10: 의자 11: 수용부
12: 스위치 수용 슬릿 100: 상단 블록
110: 우측 상단 블록 111: 완충 부재
112: 우측 상단 프레임 113: 후판
114: 측판 115: 저판
116: 전후 슬라이딩 돌기 120: 좌측 상단 블록
121: 완충 부재 122: 좌측 상단 프레임
123: 후판 124: 측판
125: 저판 126: 전후 슬라이딩 돌기
130: 상단 오목부 200: 하단 블록
210: 우측 하단 블록 211: 완충 부재
212: 우측 하단 프레임 213: 후판
214: 측판 215: 저판
216: 전후 슬라이딩 홈 217: 좌우 슬라이딩 돌기
220: 좌측 하단 블록 221: 완충 부재
222: 좌측 하단 프레임 223: 후판
224: 측판 225: 저판
226: 전후 슬라이딩 홈 227: 좌우 슬라이딩 돌기
230: 하단 오목부 300: 메인 프레임
310: 저판부 320: 후판부
330: 좌우 슬라이딩 홈 340: 좌우 조절 수단 수용부
341: 우측 결합공 342: 좌측 결합공
350: 전후 조절 수단 수용부 351: 우측 통공
352: 좌측 통공 400: 높이 조절 수단
401: 높이 조절 핸들 402: 높이 조절봉
403: 높이 조절 랙기어 500: 좌우 조절 수단
501: 좌우 조절 핸들 502: 좌우 조절봉
503: 우측 스크류 기어 504: 좌측 스크류 기어
505: 좌우 조절 돌출부 600: 전후 조절 수단
601: 전후 조절 핸들 602: 전후 조절봉
603: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 604: 전후 조절 랙기어
100a: 상단 블록 110a: 우측 상단 블록
111a: 완충 부재 112a: 우측 상단 프레임
113a: 후판 114a: 측판
115a: 저판 116a: 전후 슬라이딩 돌기
117a: 체결공 118a: 상단 좌우 결합돌기
120a: 좌측 상단 블록 121a: 완충 부재
122a: 좌측 상단 프레임 123a: 후판
124a: 측판 125a: 저판
126a: 전후 슬라이딩 돌기 127a: 체결공
130a: 상단 오목부 200a: 하단 블록
210a: 우측 하단 블록 211a: 완충 부재
212a: 우측 하단 프레임 213a: 후판
214a: 측판 215a: 저판
216a: 중간판 217a: 전후 슬라이딩 슬릿
218a: 좌우 슬라이딩 돌기 219a: 좌우 결합 돌기
220a: 좌측 하단 블록 221a: 완충 부재
222a: 좌측 하단 프레임 223a: 후판
224a: 측판 225a: 저판
226a: 중간판 227a: 전후 슬라이딩 슬릿
230a: 하단 오목부 300a: 메인 프레임
310a: 측판부 311a: 전후 슬라이딩 슬릿
312a: 통공 320a: 후판부
330a: 저판부 331a: 좌우 슬라이딩 슬릿
500a: 좌우 조절 수단 501a: 좌우 조절 핸들
502a: 좌우 조절봉 503a: 좌우 조절공
600a: 전후 조절 수단 601a: 전후 조절 핸들
602a: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 603a: 전후 조절 랙기어
604a: 전후 조절 하우징 605a: 연결핀
700a: 각도 조절 수단 701a: 하우징
702a: 수용부 703a: 톱니부
704a: 스위칭 부재 705a: 스토퍼
706a: 스프링 707a: 조절 레버
800a: 틸트 조절 수단 801a: 하우징
802a: 회동 부재 803a: 힌지 결합부
804a: 힌지 결합부 805a: 스프링
100f: 상단 블록 110f: 우측 상단 블록
111f: 완충 부재 112f: 우측 상단 프레임
113f: 전후 결합 돌기 120f: 좌측 상단 블록
121f: 완충 부제 122f: 좌측 상단 프레임
200f: 하단 블록 210f: 우측 하단 블록
211f: 완충 부재 212f: 우측 하단 프레임
213: 전후 슬라이딩 홈 214f: 상하 관통공
220f: 좌측 하단 블록 221f: 완충 부재
222f: 우측 하단 프레임 223f: 전후 슬라이딩 홈
224f: 상하 관통공 300f: 메인 프레임
310f: 측판부 320f: 후판부
321f: 전후 관통공 330f: 저판부
331f: 상하 관통공 500f: 좌우 조절 수단
501f: 좌우 조절 핸들 502f: 좌우 조절봉
600f: 전후 조절 수단 601f: 전후 조절 핸들
602f: 전후 조절봉 700f: 각도 조절 수단
800f: 틸트 조절 수단

Claims (19)

  1. 의자에 장착되는 머리 받침구로서,
    머리가 안착되도록 전방에 오목하게 상단 오목부가 형성된 상단 블록과;
    상기 상단 블록의 하부에 위치하며 목이 안착되도록 전방에 오목하게 하단 오목부가 형성된 하단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상단 블록과 상기 하단 블록은 서로 상대 이동이 가능한 머리 받침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블록과 상기 하단 블록을 전후 방향으로 서로 상대 이동하도록 슬라이딩시키는 전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머리 받침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블록 및 상기 하단 블록이 탑재되는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머리 받침구.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블록은 상단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블록은 하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에 수용되어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 조절 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구비되는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와, 상기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에 치합되도록 상기 상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전후 조절 랙기어를 포함하는 머리 받침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후방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후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상단 블록 및 상기 하단 블록은 상기 후벽부의 전방에서 상기 저판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후벽부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전후 조절 랙기어는 상기 통공을 관통하며 상기 전후 조절 피니언 기어와 치합하는 머리 받침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블록의 하부에는 전후 슬라이딩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하단 블록의 상부에는 상기 전후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 가이드 되는 전후 슬라이딩 홈이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머리 받침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블록 또는 상기 하단 블록의 좌우 폭을 조절하는 좌우 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머리 받침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블록 및 상기 하단 블록이 탑재되는 메인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머리 받침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블록은 우측 하단 블록과 좌측 하단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좌측 하단 블록은 좌측 하단 프레임과 상기 좌측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우측 하단 블록은 우측 하단 프레임과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우 조절 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에 내장되며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 2개의 스크류기어가 외주면에 구비된 좌우 조절봉과,
    상기 좌우 조절봉의 스크류기어에 치합되는 스크류 기어가 내주면에 형성되며,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 및 상기 좌측 하단 프레임에 각각 결합되는 좌우 조절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좌우 조절봉의 회전에 의해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의 좌우 조절 돌출부와 상기 좌측 하단 프레임의 좌우 조절 돌출부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머리 받침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은 저판부와 상기 저판부의 후단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후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벽부에는 상기 좌우 조절봉이 내장되고,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벽부에는 상기 좌우 조절봉의 2개의 스크류 기어에 대응되는 위치에 좌측 결합공과 우측 결합공이 형성되고,
    상기 좌우 조절 돌출부는 상기 좌측 하단 프레임과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좌측 결합공과 상기 우측 결합공에 삽입되는 머리 받침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좌우 슬라이딩 홈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우측 하단 프레임 및 좌측 하단 프레임에는 상기 좌우 슬라이딩 홈에 삽입되는 좌우 슬라이딩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되는 머리 받침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는 높이 조절 랙기어가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높이 조절 랙기어는 높이 조절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어 상기 높이 조절 피니언 기어이 회전에 의해 상기 메인 프레임이 상하로 이동하는 머리 받침구.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블록은 상단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블록은 하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은 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후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저판과, 상기 저판의 상부에 상기 저판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하는 중간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프레임의 중간판의 상부에는 상기 상단 프레임이 위치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중간판과 저판 사이에 완충 부재가 위치하는 머리 받침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프레임의 측판 외측에는 전후 슬라이딩 돌기가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하단 프레임의 측판에는 상기 전후 슬라이딩 돌기가 삽입되어 가이드되는 전후 슬라이딩 슬릿이 형성되는 머리 받침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의 측판에는 하단 프레임의 전후 슬라이딩 슬릿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전후 슬라이딩 슬릿이 형성되는 머리 받침구.
  16. 제1항에 있어서,
    의자와 상기 메인 프레임 사이의 각도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머리 받침구.
  1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블록 및 상기 하단 블록의 적어도 일부는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머리 받침구.
  1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블록 및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상하 관통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전후 조절 수단은,
    상기 하단 블록 및 상기 메인 프레임의 상하 관통공을 통과하여 상단이 상기 상단 블록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로 돌출되는 전후 조절봉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부에서 상기 전후 조절봉에 나사 결합하는 전후 조절 핸들을 포함하는 머리 받침구.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 블록은 좌측 하단 블록과 우측 하단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 프레임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전후 관통공이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좌우 조절 수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전후 관통공을 통과하여 전단이 상기 좌측 하단 블록 및 상기 우측 하단 블록에각각 결합되며 후단은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으로 돌출되는 좌우 조절봉과,
    상기 메인 프레임의 후방에서 상기 좌우 조절봉에 나사 결합하는 좌우 조절 핸들을 포함하는 머리받침구.


KR1020100006530A 2009-09-03 2010-01-25 머리 받침구 KR101071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0800393053A CN102665490A (zh) 2009-09-03 2010-01-26 头枕
US13/393,321 US20120161489A1 (en) 2009-09-03 2010-01-26 Headrest
JP2012527806A JP2013503686A (ja) 2009-09-03 2010-01-26 頭部保持具
PCT/KR2010/000457 WO2011027953A1 (ko) 2009-09-03 2010-01-26 머리 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083188 2009-09-03
KR1020090083188 2009-09-0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667A Division KR101193418B1 (ko) 2011-04-04 2011-04-04 머리 받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029A true KR20110025029A (ko) 2011-03-09
KR101071022B1 KR101071022B1 (ko) 2011-10-06

Family

ID=4393277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530A KR101071022B1 (ko) 2009-09-03 2010-01-25 머리 받침구
KR1020100006589A KR101042100B1 (ko) 2009-09-03 2010-01-25 머리 받침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6589A KR101042100B1 (ko) 2009-09-03 2010-01-25 머리 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071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030B1 (ko) * 2013-06-12 2014-09-23 조성범 헤드레스트 겸용 지압장치
KR20190030038A (ko) * 2017-09-13 2019-03-21 이진관 골반 교정 겸용 다기능 지압 베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3483U (ko) * 1993-07-20 1995-02-16 강석재 자동차 의자용 진동머리받침구
KR20020030526A (ko) * 2000-10-18 2002-04-25 이설민 자율이동 로봇을 이용한 홈 오토메이션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30526Y1 (ko) * 2001-02-12 2001-07-19 박호삼 의자용 목받침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030B1 (ko) * 2013-06-12 2014-09-23 조성범 헤드레스트 겸용 지압장치
KR20190030038A (ko) * 2017-09-13 2019-03-21 이진관 골반 교정 겸용 다기능 지압 베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5030A (ko) 2011-03-09
KR101042100B1 (ko) 2011-06-16
KR101071022B1 (ko)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1489A1 (en) Headrest
US7213884B2 (en) Vehicle seat with headrest comprising nuchal and lateral supports
EP1123023A1 (en) Chair
JP4183084B2 (ja) 椅子及びその背もたれ
KR20200003727A (ko) 경추교정기
KR101071022B1 (ko) 머리 받침구
KR100916753B1 (ko) 의자 등받이용 메모리 장치
KR101839782B1 (ko) 의자 등받이의 요추받이 틸팅장치
KR101193418B1 (ko) 머리 받침구
JP2006296960A (ja) マッサージ機能付き椅子
KR101174458B1 (ko) 의자용 등받이
KR101152803B1 (ko) 기능성 쿠션시트
JPH01170412A (ja) いす用の座部と背部とから成るユニット
KR101047664B1 (ko) 머리 받침구
KR101177247B1 (ko) 머리받침구
KR20190047879A (ko) 겨드랑이 지지체
PL207232B1 (pl) Urządzenie zabiegowe z łóżkiem zabiegowym i łóżko zabiegowe
KR200304612Y1 (ko) 의자의 헤드 레스트의 각도조절장치
KR101193411B1 (ko) 머리 받침구
JPH0795913A (ja) 背もたれ付き椅子
KR20120100786A (ko) 다기능 헤드레스트
KR20060097783A (ko) 의자용 목받침대
JP2917287B2 (ja) シートバック
JP2007130352A (ja) 椅子
KR102170934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