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247B1 - 머리받침구 - Google Patents

머리받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247B1
KR101177247B1 KR1020120032017A KR20120032017A KR101177247B1 KR 101177247 B1 KR101177247 B1 KR 101177247B1 KR 1020120032017 A KR1020120032017 A KR 1020120032017A KR 20120032017 A KR20120032017 A KR 20120032017A KR 101177247 B1 KR101177247 B1 KR 10117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head
frame
headrest
adjus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9197A (ko
Inventor
남해현
Original Assignee
남해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해현 filed Critical 남해현
Priority to KR1020120032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247B1/ko
Publication of KR20120049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9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21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continuous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2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5Head-rests provided with side-re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로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서 사람의 머리가 닿는 부분에 설치되는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머리가 지지되는 상단 블록과 상기 상단 블록의 하부에 위치하며 목이 지지되는 하단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블록은 일부가 상기 상단 블록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은 각각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상단 블록은 상단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블록은 하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머리받침구{Headrest}
본 발명은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으로,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을 포함하되, 상기 상단 블록에는 머리가 안착 지지되는 상단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블록에는 목이 안착 지지되는 하단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단 블록의 전면은 상기 하단 블록의 전면보다 후퇴하여 위치됨으로써, 사람의 목과 머리를 자연스럽게 지지하여 편안한 자세를 유도하면서도, 귀 부분이 자유롭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주로 의자의 등받이 상부에서 사람의 머리가 닿는 부분에 설치되며, 인체공학적으로 머리 형상의 오목부를 구비하되, 머리가 수용되는 부분이 두상에 따라 적절히 이동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목과 머리를 안정되고 올바르게 지지하여 목 꺾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머리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경추는 직립 상태로 활동을 할 때에는 약간의 곡선형(C자형) 모양으로 세워져 있으나 일반적으로 의자에 앉아 머리와 등을 기대고 휴식과 수면을 취할 때에는 경추 부분이 허공에 뜨게 되며, 경추를 지탱하는 근육의 이완으로 전후좌우 방향으로 경추의 꺾임과 뒤틀림이 오게 되고 머리 뒷부분의 둥근 모양으로 인해 머리고정이 어렵고 좌우로 쏠려 목 꺾임 현상도 발생하며 또한 목과 머리의 기울기를 적절히 조절치 못하면 목 근육의 긴장과 함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과 불편함을 고려하지 않은 종래의 일반 의자나 머리 받침구 등을 사용하였을 때는 시간이 흐를수록 목과 어깨에 통증과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종래의 일반 의자는 모든 사람의 머리와 목의 크기와 형태에 맞추어 머리받침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추어져 있지 않아, 사용자마다 머리와 경추부분의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상태와 목 꺾임 현상을 방치할 수밖에 없는 현실로 의자에 있어서 목과 머리에 대한 근본적 문제점을 실제로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체공학적 형상과 기능을 갖추어 목과 머리의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자세의 지지상태와 목 꺾임 현상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형상과 기능을 갖춘 머리 받침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는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의자에 장착되는 머리 받침구로서, 머리가 지지되는 상단 블록과 상기 상단 블록의 하부에 위치하며 목이 지지되는 하단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블록은 일부가 상기 상단 블록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은 각각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상단 블록은 상단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블록은 하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단 블록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전방에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블록에는 사용자의 목이 안착되도록 전방에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단 프레임에 제공되며, 상기 하단 프레임과 상기 의자 등받이부 사이에서 틸트 조절이 가능한 틸트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단 블록의 전면이 하단 블록의 전면 보다 후방에 위치하여 목과 머리가 충분히 고정되면서도, 귀 부분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더욱이 상단 블록의 전면이 하단 블록보다 후퇴되어 상기 상단 블록와 하단 블록 사이에 경사진 단차면이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머리와 목을 기대어 머리와 목이 적절히 지지 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머리 받침구가 상하로 블록화되어, 각각 조절되므로 머리의 높이, 두상의 좌우방향 길이 및 전후방향 길이 등에 맞추어 가장 편안한 상태로 머리 받침구를 조절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가 의자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틸트 조절 수단 및 각도 조절 수단을 전방쪽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틸트 조절 수단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각도 조절 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가 결합되기 전의 의자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가 의자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의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실시예]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는, 크게 상단 블록(100c)과 상기 상단 블록(100c)의 하부에 고정되는 하단 블록(200c)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 블록(100c)은, 사람의 뒤통수 모양대로 전방에 대략 반구형의 오목한 홈이 파여 형성되는 상단 오목부(130c)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블록(200c)은 전방에 대략 반 원통형의 오목한 홈이 파여 형성되는 하단 오목부(230c)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단 오목부(130c)의 좌우 외측에서 상기 상단 블록(100c)의 전면은 상기 하단 블록(200c)의 전면 보다 후방에 위치하도록 단차진다.
따라서 상기 상단 블록(100c)의 전면과 상기 하단 블록(200c)의 전면 사이에는 단차면(240c)이 형성되는데, 상기 단차면(240c)은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상기와 같이 상기 상단 블록(100c)과 상기 하단 블록(200c)의 전면을 단차지게 하는 것은, 사용자의 목이 하단 오목부(230c)에 지지되어 목의 꺽임 현상이 어느 정도 충분히 방지되므로, 머리가 안착되는 상단 오목부(130c)의 좌우 외측을 조금 깍아내어 귀를 자유롭게 하기 위한 것이며 사람마다 각기 다른 머리의 좌우길이에 제한됨이 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단 블록(100c)과 상기 하단 블록(200c)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단 블록(100c) 및 하단 블록(300c)은 메인 프레임(300c)의 상부에 탑재된다. 메인 프레임은(300c)은 좌우 2개의 측판(310c)과, 상기 측판(310c)의 후단에 결합되는 후판(320c)과, 상기 측판 및 상기 후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저판(330c)을 포함하며, 상기 저판은 좌우 양 측판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후판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 만큼 연장되어 전체로서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다.
현재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는 금속류로 프레임을 만들고 그 외부에 얇은 스폰지를 덧댄 후 외피를 씌워 의자 본체와 결합하여 사용을 하고 있는 반면 본 실시예는 도1과 같이 머리받침을 목과 머리를 편안히 지지할 수 있는 오목면 형상을 라텍스와 메모리 폼 등과 같은 부드러운 소재에 만들고 외피를 씌워 메인 프레임(300c)에 탑재한 후에, 상기 메인 프레임 (300c)과 의자 본체와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있는 것이다.
의자 본체와의 결합방법은 도1에서와 같이 메인 프레임(300c)의 양측판에 틸트 조절 수단(800c), 각도 조절 수단(700c)을 설치하고 그 하우징으로부터 길게 연장된 그 하단을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자(10d)의 고정구멍 (14d)에 삽입되어 의자와 결합된다.
상기 틸트 조절 수단(800c) 및 각도 조절 수단(700c)은 후술하는 제2 실시예의 틸트 조절 수단(800d) 및 각도 조절 수단(700d)과 그 구성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상기 틸트 조절 수단(800d) 및 각도 조절 수단(700d)의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제2 실시예를 통해 후술한다.
상기 상단 블록(100c)과 상기 하단 블록(200c)은,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등의 탄성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형물 성형방식 (Foaming expansion molding system)으로 제작한 다음, 후가공 처리를 하여 탄성 부재의 외주 면에 연질의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 블록(100c) 및 하단 블록(200c)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외주 면에는 섬유 흡착제 70%, 방수제 20%, 항균 방취제 10%를 혼합한 코팅 액을 도포하여 세균 방지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상단 블록(100c) 및 하단 블록(200c)에 외피를 사용할 때에는 후가공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도2는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가 의자(10d)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를 구성하는 상단 블록(100d)과 하단 블록(100d)을 따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상단 블록(100d)은 상단 프레임(120d)과 상기 상단 프레임(120d)의 상부에 결합되는 상단 완충 부재(110d)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프레임(120d)은 좌우 2개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단에 결합되는 후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후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저판을 포함하며, 상기 저판은 좌우 양 측판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후판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전체로서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단 완충 부재(110d)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탄성을 갖는 부재에서 전방 일부를 대략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제거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단 완충 부재에서 오목하게 제거된 부분은 상단 오목부(130d)를 형성하며, 이 상단 오목부(130d)에는 사용자의 뒤통수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하단 블록(200d)은 하단 프레임(220d)과 상기 하단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하단 완충 부재(210d)를 포함한다.
*상기 하단 프레임(220d)은 좌우 2개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단에 결합되는 후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후판의 하단에 결합되는 저판을 포함하며, 상기 저판은 좌우 양 측판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후판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길이만큼 연장되어 전체로서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단 완충 부재(210d)는 직육면체의 탄성 부재에서 전방 상측 일부를 경사지게 제거하고, 전방 중앙 일부를 대략 반 원통 형상으로 제거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하단 완충 부재(210d)에서 전방 상측 일부가 경사지게 제거되어 형성된 부분에는 단차면(240d)이 형성되고, 전방 일부가 오목하게 제거되어 형성된 부분에는 하단 오목부(230d)가 형성된다.
상기 상단 완충 부재(110d) 및상기 하단 완충 부재(210d)는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등의 탄성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형물 성형방식 (Foaming expansion molding system)으로 제작한 다음, 후가공 처리를 하여 탄성부재의 외주 면에 연질의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외주 면에는 섬유 흡착제 70%, 방수제 20%, 항균 방취제 10%를 혼합한 코팅 액을 도포하여 세균 방지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완충 부재(110d,210d)에 외피를 사용할 때에는 후가공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10d, 210d)으로는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단 프레임(120d) 및 하단 프레임(220d)은 그 외측에 부착되는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d),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d), 및 각도 조절 수단(700d)을 통해 의자의 상부에 결합된다.
먼저,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d) 및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d)은 도4에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5에 우측에서 바라본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2개의 틸트 조절 수단(800d, 900d)은 현재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힘을 가하면, 전후방향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고 상하방향으로도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d)은 하우징(901d)과 상기 하우징(901d)의 내측에 수용되는 회동 부재(902d) 및 스프링(905d)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동 부재(902d)의 상단은 힌지 결합부 (903d)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힌지 결합부(903d)와 하우징(901d)은 상기 상단 프레임(120d)의 측면 하부에 결합되고, 그 하단은 또 다른 힌지 결합부(904d)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른 힌지 결합부(904d)는 하단 프레임 (220d)의 측면 상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도2에서와 같이 상기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d)과 상기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d)이 상하로 정렬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상기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d)의 회동 부재(902d)가 도5의 좌측 그림에서와 같이 비스듬히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지만, 상기 상단 프레임(120d)에 후방으로 힘을 가하면, 도5의 우측 그림에서와 같이 상기 회동부재(902d)가 상하로 수직하게 정렬되도록 회전하면서, 상기 상단 프레임(120d)이 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그리고 상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한다.
이러한 틸트 조절 수단(900d)의 내부 구성 및 원리는,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에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자동차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틸트 조절 수단의 구성 및 원리를 차용한 것이므로, 그 구성 및 작동 원리에 대한 더욱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틸트 조절 수단(900d)의 내부 구성은 공지된 것이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틸트 조절 수단(900d)을 상단 프레임과 하단 프레임에 고정 설치 사용하여 상단 블록(100d)과 하단 블록(200d) 사이에서 틸트 조절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단 프레임의 전후 조절 동작을 통해 사용자의 뒤통수 형상에 따라 가장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로 머리 받침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틸트 조절 수단은 이미 널리 사용되어지는 기술이지만 머리받침을 상단과 하단으로 분리하여 두상을 조절하는데 틸트 조절 수단을 활용한 예는 아직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d)은 상기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d)과 동일하게 하우징(801d)과 상기 하우징(801d)의 내측에 수용되는 회동 부재(802d) 및 스프링(805d)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동 부재(802d)는 그 상단이 힌지 결합부(803d)를 통해 상기 하단 프레임(220d)의 측면 하단에 결합되고 그 하단은 각도 조절 수단 (700d)의 하우징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하단 프레임(220d)을 전방에서 후방쪽으로 밀어주면, 상기 회동 부재(802d)가 회전하면서, 상기 하단 프레임(220d)이 상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그리고 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므로 목덜미 형상에 적합하도록 조절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d)은 현재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지 기술을 차용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하는 틸트 조절 수단(800d, 900d) 자체의 구성은 공지된 것이나, 본 실시예에 의하면, 틸트 조절 수단(800d, 900d)을 2개 사용하여 상단 블록(100d)과 하단 블록(200d) 사이에서도 틸트 조절이 추가로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뒤통수 형상에 따라 가장 편안하고 안정된 상태로 머리 받침구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도 조절 수단(700d)은 도4 및 도6에 그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4에는 정면에서 바라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6의 우측에는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6의 좌측에는 하우징의 일부를 제거한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각도 조절 수단(700d)은, 하우징(701d)과, 상기 하우징(701d)의 내측에 형성된 수용부(702d)와, 상기 수용부(702d)에 수용된 톱니부(703d)와, 상기 톱니부(703d)의 하부에 배치되며 스위칭 레버(707d)의 조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모서리가 라운드진 대략 삼각형의 스위칭 부재(704d)와, 상기 스위칭 부재(704d)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스토퍼(705d)와, 상기 스토퍼(705d)를 상기 스위칭 부재(704d) 쪽으로 가압하는 스프링(706d)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706d)은 일단이 상기 수용부(702d)의 벽면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705d)에 지지되어 상기 스토퍼(705d)를 상시 상기 스위칭 부재(704d) 쪽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상기 스토퍼(705d)가 상기 스위칭 부재(704d)의 모서리와 접촉하고 있을 때에는, 상기 스토퍼(705d) 와 상기 톱니부(703d)가 서로 이격되어 있게 되나, 상기 스위칭 부재 (704d)가 회전하여 모서리가 아니라 한 변이 상기 스토퍼(704d)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던 상기 스토퍼(705d)가 수직하게 배치되므로 톱니부(703d)와 접촉하게 된다.
이렇게 어느 하나의 스토퍼(705d)가 상기 톱니부(703d)의 톱니 사이에 끼워지게 되면, 상기 톱니부(703d)는 상기 스토퍼(705d)를 상기 스프링(706d)쪽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는 회전 가능하지만, 상기 스토퍼(705d)를 상기 스위칭 부재(704d)쪽으로 가압하는 방향으로는 회전할 수 없게 된다.
한편, 상기 각도 조절 수단(700d)의 하우징(701d)은 상하로 길게 연장되어 상측 일부는 상기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d)의 하우징 외측에 결합되며, 그 하단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자(10d)의 고정 구멍(14d)에 삽입되어 의자와 결합된다.
도7은 머리 받침구가 의자에 장착되기 이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7에서 도면부호 15d는 보강 부재로서,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교통사고시 강한 충격에 의해 머리 받침구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의 작동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의자에 착석하여, 상기 하단 오목부(230d)에 목이 안착되고, 상단 오목부(130d)에 머리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하단 오목부(230d)에 의해 목이 지지되고 목 꺽임 현상이 방지되므로, 상단 블록(100d)의 전면이 하단 블록(200d)의 전면 보다 후방에 위치하여도, 머리의 고정 및 지지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며, 사용자의 귀 부분은 상대적으로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각도 조절 수단(700d),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d), 및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d)을 조작하여, 머리 받침구를 편안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다.
먼저, 하단 프레임 양측판에 설치된 각도 조절 수단(700d)의 조절 레버(707d)를 중간위치로 조작하여 스위칭 부재(704d)를 중립위치가 되도록 하고, 톱니부(703d)를 전후방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한 후, 편안한 각도 까지 하단 프레임(220d)을 회전 시킨 이후에는, 양측면의 조절 레버 (707d)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조작하여 톱니부(703d)가 더 이상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시킨다.
그런 다음,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d)을 조작하여, 하단 블록(200d)을 적당한 위치로 이동시키고, 다시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d)을 조작하여 상단 블록(100d)을 적당한 위치로 옮긴다.
그러면, 사용자는 자신의 체형 및 두상에 가장 적합한 상태로 상단 블록(100) 및 하단 블록(200)을 조절하여, 머리가 편히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가 의자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머리 받침구는, 상단 블록(100e)과 하단 블록(200e)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블록(200e)은 우측 하단 블록(210e)과 좌측 하단 블록(220e)을 포함한다.
상기 상단 블록(100e)의 중앙에는 사람의 뒤통수 형상대로 오목하게 대략 반구형의 홈이 형성된 상단 오목부(130e)가 구비되며, 상기 하단 블록(200e)의 중앙에는 대략 원통 형상의 홈이 형성된 하단 오목부(230e)가 구비된다. 상기 상단 오목부(130e)에는 사용자의 뒤통수가 안착되며, 상기 하단 오목부(230e)에는 사용자의 목이 안착 고정되어, 목의 꺽임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상단 블록(100e), 우측 하단 블록(210e), 좌측 하단 블록(220e)은 각각 프레임(120e, 212e, 222e)과, 상기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110e, 211e, 221e)를 포함한다.
도8 및 도9를 참조하면, 상단 블록(100e)의 상단 프레임(120e)은 좌우 2개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후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저판을 포함하며, 상기 저판은 상기 측판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후판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대략 ㄷ자 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단 완충 부재(110e)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탄성을 갖는 부재에서 전방 일부를 대략 반구형으로 오목하게 제거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상단 완충 부재에서 오목하게 제거된 부분은 상단 오목부(130e)를 형성하며, 이 상단 오목부(130e)에는 사용자의 뒤통수가 안착되어 지지된다 상기 하단 블록(200e)의 하단 프레임(212e, 222e)은 각각 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단에 위치하는 후판과, 상기 측판 및 상기 후판의 하단에 위치하는 저판을 포함한다. 상기 저판은 상기 측판으로부터 내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고 상기 후판으로부터 전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어 대략 ㄱ자 형상을 갖는다.
이때 우측 하단 프레임(212e)의 후판에는 좌측을 향해 좌우 삽입 돌기(215e)가 돌출되며, 좌측 하단 프레임(222e)의 후판 에는 상기 삽입 돌기가 삽입되는 삽입 홈(미도시)이 우측을 향해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저판의 하부에는 각각 좌우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좌우 슬라이딩 돌기(214e, 224e)가 돌출된다.
또한, 상기 측판에는 좌우 조절공(503e)이 관통 형성되는데, 상기 좌우 조절공의 내주면에는 스크류 기어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완충 부재(110e 211e, 222e)는, 라텍스 폼, 메모리 폼, 우레탄 폼, 스폰지 등의 탄성을 갖는 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발포형물 성형방식 (Foaming expansion molding system)으로 제작한 다음, 후가공 처리를 하여 탄성부재의 외주 면에 연질의 폴리우레탄 수지가 코팅되도록 함으로써, 수분의 침투를 방지하고, 오염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완충 부재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외주 면에는 섬유 흡착제 70%, 방수제 20%, 항균 방취제 10%를 혼합한 코팅 액을 도포하여 세균 방지와 청결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완충 부재(110e 211e, 222e)에 외피를 사용할 때에는 후가공 처리를 생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프레임(120e, 212e, 222e)으로는 플라스틱 사출물 또는 금속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완충 부재 중, 상부 완충 부재(110e)는 상부 프레임(120e)의 저판 위에 결합되며, 하부 완충 부재(211e, 221e)는 하부 프레임(212e, 222e)의 저판 위에 결합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단 블록(100e) 및 하단 블록(200e)은 메인 프레임 (300e)의 상부에 수용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300e)은 좌우 양측으로 2개의 측판과, 상기 측판의 후방에 위치하는 후판과, 상기 측판부 및 후판부의 하단에 결합되는 저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판에는 좌우 방향으로 길게 2개의 좌우 슬라이딩 홈(301e)이 형성된다. 상기 좌우 슬라이딩 홈(301e)에는 전술한 상기 하부 프레임(212e, 222e)의 좌우 슬라이딩 돌기(214e, 224e)가 삽입된다.
한편, 상기 메인 프레임(300e)의 측판에는 좌우 양쪽으로 2개의 좌우 통공(302e)이 형성되며, 상기 좌우 통공(302e)에는 후술하는 좌우 조절 수단(500e)의 좌우 조절봉(502e)이 끼워진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300e)의 측판 외측에는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e),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e)이 결합되고, 상기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e)의 측면부에는 각도 조절 수단(700e)이 결합된다.
상기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e)은 상단 일부가 상기 상단 프레임(120e)의 측판 외측에 결합되고 하단 일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300e)의 측판 외측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e)은 상단 일부가 상기 메인 프레임(300e)의 측판 외측에서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e)의 아래쪽에 결합되며, 하단 일부는 각도 조절 수단(700e)에 결합된다.
상기 각도 조절 수단(700e)은 상단 일부가 상기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e)에 결합되며, 봉 형태로 연장되는 하단은 의자의 상부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상단 틸트 조절 수단(900e), 하단 틸트 조절 수단(800e) 및 각도 조절 수단(700e)의 구성 및 기능은 앞선 제2 실시예에서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좌우 조절 수단(500e)은 좌우 조절 핸들(501e)과, 상기 좌우 조절 핸들(501e)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며 외주면에 스크류 기어가 형성된 좌우 조절봉(502e)을 포함한다. 도9에서와 같이, 상기 좌우 조절 핸들로(501e)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좌우 조절봉(502e)은 상기 메인 프레임(300e)의 좌우 통공(302e)을 통과하여, 상기 하단 프레임(212e, 222e)의 좌우 조절공(503e) 내측으로 삽입 통과되는데, 이 때 상기 좌우 조절봉(502e)의 외주면에는 스크류 기어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하단 프레임(212e, 222e)의 좌우 조절공(503e) 내측에도 스크류 기어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좌우 조절 핸들(501e)이 회전됨에 따라 좌우 조절봉(502e)의 회전에 의해 상기 하단 프레임(212e, 222e)이 좌우 측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하단 프레임(212e, 222e)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할 때에는, 그 하단으로 돌출된 좌우 슬라이딩 돌기(214e, 224e)가 상기 메인 프레임의 저판에 형성된 좌우 슬라이딩 홈(301e)에 의해 가이드 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머리 받침구의 작동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는 상기 상단 오목부(130e)에 머리가 안착되고, 상기 하단 오목부(230e)에 목이 안착되도록 하여, 의자에 앉은 채로 머리를 기대는데, 이때 각도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앞선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각도 조절 수단(700e)을 조작하여 메인 프레임(300e)의 각도를 조절하며, 틸트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메인 프레임(300e) 전체가 후방으로 이동하며 틸트 조절 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단 프레임의 전후조절동작을 위해 상단 블록(100e)만 틸트 조절 하려는 경우에는 상단 블록(100e)에 후방으로 힘을 가하여 상기 상단 블록(100e)이 상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후방으로 소정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좌우 조절 핸들(501)을 돌려 우측 하단 블록(210e)과 좌측 하단 블록(220e)이 좌우로 벌어지거나 좁혀질 수 있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뒤통수 모양이나 목의 길이 또는 목의 각도 등에 맞게 머리 받침구를 조절하여, 가장 편안한 상태로 목과 머리가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100c: 상단 블록 130c: 상단 오목부
200c: 하단 블록 230c: 하단 오목부
240c: 단차면 300c: 메인 프레임
310c: 측판 320c: 후판
330c: 저판 700c: 각도 조절 수단
800c: 틸트 조절 수단 10d: 의자
14d: 고정 구멍 15d: 보강 부재
100d: 상단 블록 110d: 상단 완충 부재
120d: 상단 프레임 130d: 상단 오목부
200d: 하단 블록 210d: 하단 완충 부재
220d: 하단 프레임 230d: 하단 오목부
240d: 단차면 700d: 각도 조절 수단
701d: 하우징 702d: 수용부
703d: 톱니부 704d: 스위칭 부재
705d: 스토퍼 706d: 스프링
707d: 조절 레버 800d: 하단 틸트 조절 수단
801d: 하우징 802d: 회동 부재
803d: 힌지 결합부 804d: 힌지 결합부
805d: 스프링 900d: 상단 틸트 조절 수단
901d: 하우징 902d: 회동 부재
903d: 힌지 결합부 904d: 힌지 결합부
905d: 스프링 100e: 상단 블록
110e: 상단 완충 부재 120e: 상단 프레임
130e: 상단 오목부 200e: 하단 블록
210e: 우측 하단 블록 211e: 완충 부재
212e: 하단 프레임 214e: 좌우 슬라이딩 돌기
220e: 좌측 하단 블록 221e: 완충 부재
222e: 하단 프레임 224e: 좌우 슬라이딩 돌기
230e: 하단 오목부 240e: 단차면
300e: 메인 프레임 301e: 좌우 슬라이딩 홈
302e: 좌우 통공 500e: 좌우 조절 수단
501e: 좌우 조절 핸들 502e: 좌우 조절봉
503e: 좌우 조절공 700e: 각도 조절 수단
800e: 하단 틸트 조절 수단 900e: 상단 틸트 조절 수단

Claims (3)

  1. 의자에 장착되는 머리 받침구로서,
    머리가 지지되는 상단 블록과 상기 상단 블록의 하부에 위치하며 목을 지지하는 하단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하단 블록은 일부가 상기 상단 블록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기 상단 블록과 하단 블록은 각각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상단 블록은 상단 프레임과 상기 상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하단 블록은 하단 프레임과 상기 하단 프레임에 결합되는 완충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리 받침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블록에는 사용자의 머리가 안착되도록 전방에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단 블록에는 사용자의 목이 안착되도록 전방에 오목하게 오목부가 형성되는 머리 받침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받침구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게 하는 각도 조절 수단을 더 포함하는 머리 받침구.
KR1020120032017A 2012-03-29 2012-03-29 머리받침구 KR10117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017A KR101177247B1 (ko) 2012-03-29 2012-03-29 머리받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2017A KR101177247B1 (ko) 2012-03-29 2012-03-29 머리받침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0726A Division KR101193411B1 (ko) 2011-04-04 2011-04-04 머리 받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197A KR20120049197A (ko) 2012-05-16
KR101177247B1 true KR101177247B1 (ko) 2012-08-24

Family

ID=46267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2017A KR101177247B1 (ko) 2012-03-29 2012-03-29 머리받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772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33632A (zh) * 2015-11-18 2016-03-30 胡和萍 一种双向依靠式靠架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059Y1 (ko) 2000-11-21 2001-05-02 김현태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KR200230526Y1 (ko) 2001-02-12 2001-07-19 박호삼 의자용 목받침대
KR200355100Y1 (ko) 2004-01-19 2004-07-03 이응시 의자용 베개 와 이동장치
JP2005046553A (ja) 2003-07-31 2005-02-24 Shunichi Kihara 健康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2059Y1 (ko) 2000-11-21 2001-05-02 김현태 자동차 시트의 헤드 레스트
KR200230526Y1 (ko) 2001-02-12 2001-07-19 박호삼 의자용 목받침대
JP2005046553A (ja) 2003-07-31 2005-02-24 Shunichi Kihara 健康枕
KR200355100Y1 (ko) 2004-01-19 2004-07-03 이응시 의자용 베개 와 이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9197A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1489A1 (en) Headrest
US20060103204A1 (en) Seat with adjustable support system
KR101213814B1 (ko) 가변형 헤드레스트
JP4183084B2 (ja) 椅子及びその背もたれ
JP2003341401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2006311900A (ja) 身体支持装置
KR101177247B1 (ko) 머리받침구
KR101047664B1 (ko) 머리 받침구
KR101193411B1 (ko) 머리 받침구
KR102296210B1 (ko) 고정 지지구조가 개선된 등받이 틸팅 의자
KR101071022B1 (ko) 머리 받침구
KR101296612B1 (ko) 의자 등받이의 허리받침장치
CN201978048U (zh) 一种靠背可调节的轮椅
KR102258994B1 (ko) 분리 호환 및 커브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용 목쿠션
KR200423149Y1 (ko) 허리받침대가 구비된 기능성 의자
KR101193418B1 (ko) 머리 받침구
KR20190047879A (ko) 겨드랑이 지지체
KR20120100786A (ko) 다기능 헤드레스트
JP2634540B2 (ja) 座席装置
KR200401273Y1 (ko) 의자용 머리받침대
KR20060097783A (ko) 의자용 목받침대
JP2004290230A (ja) マッサージ機
JP2003010000A (ja) 椅子におけるランバーサポート機能付き背もたれ装置
JP4198014B2 (ja) ランバーサポート付き椅子
JP4097186B2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