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2257A - 변좌 장치 - Google Patents

변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2257A
KR20170062257A KR1020150167856A KR20150167856A KR20170062257A KR 20170062257 A KR20170062257 A KR 20170062257A KR 1020150167856 A KR1020150167856 A KR 1020150167856A KR 20150167856 A KR20150167856 A KR 20150167856A KR 20170062257 A KR20170062257 A KR 20170062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film heater
seat portion
shape
upper toi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973B1 (ko
Inventor
김근환
진성월
안중근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97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24Parts or details not covered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A47K13/02 - A47K13/22, e.g. devices imparting a swinging or vibrating motion to the seats
    • A47K13/30Seats having provisions for heating, deodorising or the like, e.g. ventilating, noise-damping or cleaning devices
    • A47K13/305Seats with hea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3/00Seats or covers for all kinds of closets
    • A47K13/14Protecting covers for closet sea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78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immersion heating
    • H05B3/82Fixedly-mounted immersion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29Heaters specially adapted for seat war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oilet Suppl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히터와 지지부를 구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균일하게 변좌를 가열할 수 있는 변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변좌 장치는 착좌면을 갖는 상부 변좌부와 상기 상부 변좌부에 결합되며 변기에 안착되는 하부 변좌부를 구비하는 변좌와, 상기 상부 변좌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 변좌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필름 히터, 그리고 상기 변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름 히터를 상기 상부 변좌부에 밀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필름 히터를 변좌부에 밀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여 고온의 필름 히터가 변좌부에 탈락되지 않고 항시 변좌부에 밀착되게 하여 변좌부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변좌 장치{TOILET SEAT}
본 발명은 변좌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필름 히터와 지지부를 구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균일하게 변좌를 가열할 수 있는 변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변기는 사용자가 앉아서 용변을 볼 수 있는 기기인데, 최근에는 위생을 위해서 비데가 설치된 변기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비데는 용변 후 사용자의 국부에 물을 분사하여 세정하는 장치로, 휴지를 사용하지 않고 물로 세척하므로 국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착좌하는 변좌를 가열하는 히터가 변좌에 구비된다.
도 1은 종래의 변좌에 적용되는 히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종래의 히터는 코일형 열선(20)을 직렬로 연결하여 변좌(10)의 하측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열선(20)을 이용하여 상기 변좌(10)를 가열하는 경우, 어느 일 영역에서 융착 등에 의하여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 변좌(10) 전체를 가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전기적으로 안정적인 필름 히터를 사용하고, 발열 소자를 병렬로 배치하여 발열 소자 어느 하나가 단선되어도 변좌를 가열할 수 있는 변좌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필름 히터를 변좌부에 밀착되게 지지하여 고온의 필름 히터가 변좌부에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고, 변좌부 전체에 균일하게 가열되게 할 수 있는 변좌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변좌 장치는, 착좌면을 갖는 상부 변좌부와, 상기 상부 변좌부에 결합되며 변기에 안착되는 하부 변좌부를 구비하는 변좌; 상기 상부 변좌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 변좌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필름 히터; 및 상기 변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름 히터를 상기 상부 변좌부에 밀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측면이 상기 상부 변좌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고, 하측면에는 허니콤 형태로 지지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변좌부 체결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난연ABS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나아가,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과 상기 필름 히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필름 히터를 상기 상부 변좌부에 탄성 가압하는 탄성패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필름 히터는, 병렬 구조로 배치되어 복수의 패턴을 형성하는 발열 소자; 및 상기 발열 소자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름 히터는, 상기 단자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 사이에 상기 발열 소자가 수직하게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소자는, PTC 소자로 마련되고, 복수의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 소자는, 중심부에서 발열이 시작되도록 중심부의 단면적이 양측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발열 소자는, 카본 블랙 또는 탄소 섬유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변좌 장치에 따르면, 필름 히터의 발열 소자로 PTC 소자를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변좌를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발열 소자를 병렬로 배치하고 복수의 패턴으로 형성하여 어느 하나의 발열 소자가 단선되어도 변좌를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 히터를 변좌부에 밀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를 구비하여 고온의 필름 히터가 변좌부에 탈락되지 않고 항시 변좌부에 밀착되게 하여 변좌부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변좌를 가열하는 히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단면도,
도 4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좌 장치에서 지지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상부 사시도,
도 4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좌 장치에서 지지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하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좌 장치에서 상부 변좌부에 부착된 필름 히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좌 장치의 필름 히터에서 발열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7의 (a)는 변좌부에 필름 히터만 부착된 상태에서의 시간에 따른 변좌부 특정 영역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좌 장치에서 시간에 따른 변좌부 특정 영역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변좌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좌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상기 변좌 장치에서 지지부를 발췌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이다. 도 5는 상기 변좌 장치에서 상부 변좌부에 부착된 필름 히터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변좌 장치의 필름 히터에서 발열 소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변좌 장치(100)는 착좌면을 갖는 상부 변좌부(110)와, 상기 상부 변좌부(110)에 결합되며 변기에 안착되는 하부 변좌부(120)를 구비하는 변좌와, 상기 상부 변좌부(11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 변좌부(110)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전원에 연결되어 발열하는 필름 히터(200), 그리고 상기 변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름 히터(200)를 상기 상부 변좌부(110)에 밀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변좌는 변기에 사용자가 용변을 위하여 착좌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내부에 상기 필름 히터(200)를 배치하기 위한 중공부를 가지도록 상부 변좌부(110)와 하부 변좌부(120)가 체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변좌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변좌의 착좌면을 가열하도록 상기 필름 히터(200)가 부착될 수 있는 공간부만 형성되면 어떠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필름 히터(200)는 상기 변좌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 변좌부(110)의 착좌면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변좌부(110)의 착좌면의 반대면 즉, 상기 상부 변좌부(110)의 내측면(111)에 접착제 등에 의하여 부착된다.
상기 지지부(300)는 상기 변좌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 변좌부(110)와 하부 변좌부(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부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상부 변좌부(110)에 부착된 상기 필름 히터(200)를 상기 상부 변좌부(110)에 밀착되게 지지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지부(300)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홀(320)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변좌부(110)의 나사홈이 형성된 돌기(111)에 나사 체결되어 상기 필름 히터(200)가 상기 상부 변좌부(110)에 밀착된 상태에서 탈락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즉, 상기 필름 히터(200)는 전원이 인가되면 고온의 열을 발생시키므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상기 상부 변좌부(110)와 상기 필름 히터(200) 간의 접착력이 약화되고, 또한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사용하므로 접착력이 더 약화되어 상기 필름 히터(200)가 쉽게 탈락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변좌 장치(100)에서는 상기 지지부(300)가 상기 상부 변좌부(11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필름 히터(200)를 상기 상부 변좌부(110)에 밀착 고정할 수 있어 상기 변좌를 항시 일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부(300)는 상측면이 상기 상부 변좌부(110)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고, 하측면에는 허니콤 형태로 지지부재(310)가 형성된다. 여기서, 하측면에 형성된 지지부재(310)는 상기 지지부(300)가 변형되지 않도록 강성을 부여하고, 허니콤 형태로 구성되어 경량화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지지부재(310)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지지부(30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300)는 난연ABS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ABS수지는 난연성을 높인 스타이렌수지에 해당하여 고온의 환경에서도 안전하고, 약품에 견디는 성질이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다. 폴리카보네이트는 열가소성 플라시틱의 일종으로 내충격성, 내열성, 내후성 등의 특성이 있다. 물론, 상기 지지부(300)의 소재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열성, 내식성이 우수한 어떠한 소재로도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00)의 상측면과 상기 필름 히터(200) 사이에 탄성패드(400)를 더 마련하여 상기 필름 히터(200)를 상기 상부 변좌부(110)에 탄성 가압하여 밀착력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패드(400)는 고온에도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름 히터(200)는 상기 변좌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상부 변좌부(110)의 착좌면을 가열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변좌부(110)의 착좌면의 반대면 즉, 상기 상부 변좌부(110)의 내측면(111)에 부착된다.
이러한, 상기 필름 히터(200)는 병렬 구조로 배치되어 복수의 패턴을 형성하는 발열 소자(210)와, 상기 발열 소자(210)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부(220)는 전원 공급부(230)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어느 하나의 단자부는 플러스 단자와 연결되고, 나머지 다른 하나의 단자부는 마이너스 단자와 연결되어 병렬 구조로 연결된 발열 소자(210) 각각에 전원을 공급한다.
예를 들어, 상기 필름 히터(200)는 상기 단자부(220)가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220) 사이에 상기 발열 소자(210)가 수직하게 복수로 배치되어 병렬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단자부(220)와 상기 발열 소자(210)의 배열 형태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열 소자(210)가 병렬 형태로 복수로 배치되고 이러한 발열 소자(210)에 단자부(220)가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발열 소자(210)는 저온에서 급속 발열이 가능하고, 고온에서는 저항증가로 인하여 발열이 저감되어 별도의 온도 제어장치 없이 안전하게 가열할 수 있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소자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발열 소자(210) 즉, PTC 소자는 카본 블랙 또는 탄소 섬유로 인쇄되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소재가 이에 한정되지 않고 PTC 소자를 이룰 수 있는 공지의 어떠한 소재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 소자(21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태로 마련되어 복수의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단자부(220)에 병렬로 연결된다. 즉, 상하로 평행하게 마련되는 단자부(220)에 수직한 방향으로 복수의 상기 발열 소자(210)가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복수의 상기 발열 소자(210) 각각은 병렬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하나의 발열 소자(210)가 단선되어도 다른 발열 소자(210)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지속적으로 변좌를 가열할 수 있다.
나아가,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 소자(211)는 특정 영역에서 발열이 시작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원하는 구간에 선택적으로 발열이 되게 하기 위하여 즉, 발열이 시작되는 영역을 용이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발열이 시작되는 영역을 다른 영역보다 단면적을 작게 형성한다.
따라서, 발열 소자(211)의 중심부에서 발열이 시작할 필요가 있는 경우 중심부의 단면적이 양측단부의 단면적 즉, 다른 영역보다 단면적을 작게 형성한다. 이는, 중심부의 단면적이 다른 영역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면 중심부에서 전류의 이동 면적이 작아져 저항이 높아지게 되어 최대 저항 포인트인 중심부에서 발열이 시작된다.
도 6의 (a)와 같이, 발열 소자(210)를 단순히 바 형태로 마련하는 경우에는 발열 소자(210)의 길이 방향에서 불규칙 적으로 발열이 시작된다. 이는 PTC 소자를 인쇄하는 과정에서 PTC 소자의 잉크가 불규칙하게 인쇄되어 최대 저항 포인트가 랜덤하게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발열 소자(210)의 길이 방향으로 불규칙하게 발열이 시작되는 경우에는 열분포가 불규칙하게 발생하여 전체적으로 가열이 늦어질 수 있다.
이와 비교하여, 도 6의 (b)와 같이, 발열 소자(211)의 중심부의 단면적을 다른 영역보다 작게 형성하여 중심부에서 발열이 시작되게 마련하면 일정 간격으로 발열이 시작되어 열분포가 균일해져 전체적으로 빨리 가열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발열 소자(211)는 중심부가 다른 영역보다 단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발열 소자(211)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원하는 발열 포인트를 다른 영역보다 작게 형성하는 어떠한 형태로도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변좌부(110)에 구비되어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240)와, 상기 온도 센서(24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필름 히터(200)에 인가되는 전원을 제어하는 제어부(250)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50)는 상기 온도 센서(240)로부터 상기 상부 변좌부(110)의 온도를 측정하고, 그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필름 히터(200)에 연결되어 상기 필름 히터(200)에 전원을 인가하는 전원 공급부(23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7의 (a)는 변좌부에 필름 히터만 부착된 상태에서의 시간에 따른 변좌부 특정 영역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7의 (b)는 상기 변좌 장치에서 시간에 따른 변좌부 특정 영역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의 (a)는 상부 변좌부에 필름 히터만 부착한 상태에서 상부 변좌부의 특정 다섯 곳의 위치에서의 10분 동안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0분 경과 후 상부 변좌부의 다섯 곳 중에서 최대 온도는 40.3℃ 이고 최저 온도는 31.7℃ 이다. 즉, 상기 상부 변좌부의 다섯 곳의 최대 온도 편차(Ta)는 8.6℃에 해당한다.
이와 비교하여, 도 7의 (b)는 상부 변좌부에 필름 히터를 부착하고 지지부로 필름 히터를 지지한 상태에서 상기 상부 변좌부에서 온도를 측정한 동일한 위치에서의 10분 동안의 온도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10분 경과 후 상부 변좌부의 다섯 곳 중에서 최대 온도는 40.4℃ 이고 최저 온도는 37.6℃ 이다. 즉, 상기 상부 변좌부의 다섯 곳의 최대 온도 편차(Tb)는 2.8℃에 불과하다.
결론적으로, 상부 변좌부에 필름 히터를 부착하고 지지부로 필름 히터를 지지하는 경우에는 지지부가 없을 때와 비교하여 상부 변좌부에 온도가 고르게 분포되게 하고, 장기간 사용에 따른 접착력 약화로 필름 히터가 변좌부에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여 항시 변좌부 전체를 균일하게 가열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변좌 장치 110 : 상부 변좌부
120 : 하부 변좌부 200 : 필름 히터
210, 211 : 발열 소자 220 : 단자부
230 : 전원 공급부 240 : 온도 센서
250 : 제어부 300 : 지지부
310 : 지지부재

Claims (10)

  1. 착좌면을 갖는 상부 변좌부와, 상기 상부 변좌부에 결합되며 변기에 안착되는 하부 변좌부를 구비하는 변좌;
    상기 상부 변좌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부 변좌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필름 히터; 및
    상기 변좌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필름 히터를 상기 상부 변좌부에 밀착되게 지지하는 지지부;
    를 포함하는 변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측면이 상기 상부 변좌부의 형상에 대응되게 마련되고, 하측면에는 허니콤 형태로 지지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둘레를 따라 복수의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상부 변좌부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난연ABS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소재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의 상측면과 상기 필름 히터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필름 히터를 상기 상부 변좌부에 탄성 가압하는 탄성패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히터는,
    병렬 구조로 배치되어 복수의 패턴을 형성하는 발열 소자; 및
    상기 발열 소자의 양단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단자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히터는,
    상기 단자부가 평행하게 복수로 배치되고, 상기 단자부 사이에 상기 발열 소자가 수직하게 복수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는,
    PTC 소자로 마련되고, 복수의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는,
    중심부에서 발열이 시작되도록 중심부의 단면적이 양측단부의 단면적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 소자는,
    카본 블랙 또는 탄소 섬유로 인쇄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좌 장치.

KR1020150167856A 2015-11-27 2015-11-27 변좌 장치 KR102451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856A KR102451973B1 (ko) 2015-11-27 2015-11-27 변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856A KR102451973B1 (ko) 2015-11-27 2015-11-27 변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257A true KR20170062257A (ko) 2017-06-07
KR102451973B1 KR102451973B1 (ko) 2022-10-07

Family

ID=59223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856A KR102451973B1 (ko) 2015-11-27 2015-11-27 변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97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462A (ja) * 1999-10-25 2001-05-08 Toto Ltd 暖房便座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58793A (ja) * 2000-03-23 2001-09-25 Toto Ltd 便座装置
JP2007054455A (ja) * 2005-08-26 2007-03-08 Inax Corp 暖房便座
KR20080100724A (ko) * 2007-05-14 2008-11-19 (주)메이드전자 필름보일러를 구비한 좌변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8669U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난방변좌
KR20140007175A (ko) * 2012-07-09 2014-01-1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피티씨 히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0462A (ja) * 1999-10-25 2001-05-08 Toto Ltd 暖房便座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1258793A (ja) * 2000-03-23 2001-09-25 Toto Ltd 便座装置
JP2007054455A (ja) * 2005-08-26 2007-03-08 Inax Corp 暖房便座
KR20080100724A (ko) * 2007-05-14 2008-11-19 (주)메이드전자 필름보일러를 구비한 좌변기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08669U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콜러노비타 비데의 난방변좌
KR20140007175A (ko) * 2012-07-09 2014-01-17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피티씨 히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973B1 (ko) 2022-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8056B1 (ko) 차량용 복사열 히터
KR102011096B1 (ko) 근적외선 led를 이용한 매트 및 이불
CN105451606A (zh) 利用球振动传感器的温度调节装置及温度调节方法
KR20170062257A (ko) 변좌 장치
KR101659688B1 (ko) 온열매트
JP2007280788A (ja) 面状発熱体
KR101134155B1 (ko) 온수매트
KR20140007024A (ko) 변기 시트 장치
KR102436119B1 (ko) 변좌 장치
US4626667A (en) Radiant heater of short response time
KR200479937Y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KR20070112903A (ko) 차량시트 맞춤형 원적외선 방사 면상발열시트
JP7152852B2 (ja) 電位治療器
KR20170056834A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
KR100972367B1 (ko) 온열 치료기용 도자 및 이를 이용한 온열 치료기
KR200300692Y1 (ko) 스크린 인쇄에 의한 면상발열체
KR101804985B1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차량용 시트
KR101263803B1 (ko) 난방장치가 내장된 책상
KR20020077864A (ko) 스크린 인쇄에 의한 면상발열체 및 그 제조방법
JP3122911U (ja) 携帯加温治療器
KR20190138249A (ko) 온열기능을 갖는 조립식 패널
JP3144116U (ja) 自動エンボッシングカレンダー
KR100585193B1 (ko) 보온기능이 구비된 비데 시트
KR100455488B1 (ko) 온열치료 방석
US20170238366A1 (en) Heating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