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937Y1 -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937Y1
KR200479937Y1 KR2020150006290U KR20150006290U KR200479937Y1 KR 200479937 Y1 KR200479937 Y1 KR 200479937Y1 KR 2020150006290 U KR2020150006290 U KR 2020150006290U KR 20150006290 U KR20150006290 U KR 20150006290U KR 200479937 Y1 KR200479937 Y1 KR 20047993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artition wall
hot water
temperature sensing
temperatur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29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현정
Original Assignee
이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현정 filed Critical 이현정
Priority to KR202015000629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93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93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93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01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5/00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 G01K5/48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 G01K5/56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constrained so that expansion or contraction causes a deformation of the solid
    • G01K5/62Measuring temperature based on the expansion or contraction of a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solid constrained so that expansion or contraction causes a deformation of the solid the solid body being formed of compounded strips or plates, e.g. bimetallic str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7/00Thermally-actuated switches
    • H01H37/02Details
    • H01H37/32Thermally-sensitive members
    • H01H37/52Thermally-sensitive members actuated due to deflection of bimetallic ele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온도감지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매트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공급기의 PTC 가열장치 내에 용이하게 결착되어 온수관 외면에 밀착되며, 가열장치에서 본체로 전달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감지체에 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온도감지체를 갖는 온수조절기의 가열장치는, 온도센서와 온도퓨즈를 한 번에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조립 공정이 단순해 지고,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도센서와 온도퓨즈가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 배치 시킴으로써 노이즈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수지를 주입시키고 경화시켜, 온도센서와 온도퓨즈가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도감지체 내에 주입되는 수지가 신속하게 고른 위치로 배치되어, 균일하게 주입되고 경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도감지체가 가열장치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쉽게 빠지지 않고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Sensor device for Heating Apparatus}
본 고안은 온도감지체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수매트에 온수를 공급하기 위한 온수공급기의 PTC 가열장치 내에 용이하게 결착되고 온수관 외면에 밀착되며, 가열장치에서 본체로 전달되는 온수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온도감지체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매트는 온수를 이용하여 난방 또는 보온유지를 하기 위한 것으로, 매트의 내부에 온수가 유동되는 온수관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온수공급기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온수관에 유입 및 순환시킴으로써 매트를 난방하고 보온 유지를 하게 된다. 이러한 온수매트는 매트 내부에 전열선이 내장되도록 구성된 기존의 전기매트가 가진 문제점, 즉, 전열선에 의한 유해 전자파가 최소화되고, 화재나 감전 등의 전기 안전사고가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온수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온수매트는 사용자가 눕거나 앉을 수 있도록 구비된 매트부재(10), 상기 매트부재(10)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공급기(30), 상기 매트부재(10)와 상기 온수공급기(30)를 연결시키는 연결관(20)을 포함한다. 그리고 온수공급기(30)는 물탱크(미도시)의 물을 가열장치(40: 도 2 도시)를 이용하여 정해진 온도로 가열시키고, 이렇게 가열된 온수를 매트부재(10)로 공급 및 순환시킨다.
도 2는 종래 가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가열장치(40)는 물탱크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키는 것으로, 본체(42), 히터(44), 온도센서(46) 및 온도퓨즈(48)를 포함한다.
본체(42)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그 내부 길이방향을 따라 유체이동로(미도시)와, 히터 안내부(42a)가 각각 관통 형성되고, 그 외측 길이방향을 따라 걸림부(42b)가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42)의 상기 유체이동로의 양 단부에는 그 외측 방향으로 제1결합부(43a)와 제2결합부(43b)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제1결합부(43a)는 상기 물탱크와 연결되고 제2결합부(43b)는 상기 연결관과 연결되어, 물탱크의 물이 본체(42)의 상기 유체이동로를 통과하여 연결관으로 공급된다. 히터(44)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히터 등으로 구성되며, 본체(42)의 히터 안내부(42a)에 삽입된다. 그리고 히터(44)에서 발생된 열은 본체(42)로 전달되며, 본체(42)로 전달된 열은 본체(42)의 상기 유체이동로를 따라 흐르는 물을 가열시킨다.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는 본체(42)의 걸림부(42b)에 걸림 결합되는 것으로, 제어부(미도시) 및 히터(44)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온도센서(46)에서의 온도 감지 값에 따라 히터(44)로 공급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서, 본체(42)의 상기 유체이동로를 따라 흐르는 온수의 온도를 조절한다. 또한 온도퓨즈(48)는 과열 또는 단락시 안전장치의 역할을 하게 된다.
종래에는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를 각각 구비하고, 상측에 형성된 개방형의 걸림부(42b)에 각각 끼워 넣는 방식이었는데, 이를 위해 온도센서(46) 한 번, 온도퓨즈(48) 한 번씩 개별 삽입하는 동작이 필요하며, 각각의 모듈을 준비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공개특허 제10-2013-0106055호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온도센서와 온도퓨즈를 하나로 모듈화하여, 미리 제작된 모듈을 한 번의 삽입 과정으로 조립이 완료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도센서와 온도퓨즈를 하나의 모듈 내에 구비하되,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접촉에 따른 노이즈 발생이나 단락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도센서와 온도퓨즈를 이격 배치하면서도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내부에 수지를 주입하여 고정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도센서와 온도퓨즈가 배치된 모듈 내부로 주입된 수지가 내측에서 고르게 퍼지고 유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도감지체가 가열장치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쉽게 빠지지 않고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은, 장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온수관을 구비하는 가열장치의 상기 온수관에 밀착하여 형성된 센서삽입부에 삽입되기 위한 온도감지체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체는: 양 측벽, 상벽 및 하벽을 구비하고, 상기 양 측벽, 상벽 및 하벽이 형상하는 공간의 일측은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은 내측 단벽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온도센서 및 온도퓨즈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양 측벽,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양측으로 구간을 나누기 위한 구분벽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구분벽의 일측 방향에, 상기 온도퓨즈는 상기 구분벽의 타측 방향에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체의 내측 공간으로는,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퓨즈가 내입된 상태로, 수지가 주입되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분벽은: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을 수직 연결하며, 상기 내측단벽으로부터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분벽은: 상기 상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 구분벽; 및 상기 하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 구분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구분벽의 하단과 상기 하측 구분벽의 상단은 상호 마주보며 이격되어, 그 사이에 유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분벽은: 상기 상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 구분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구분벽의 하단과 상기 하벽 사이는 이격되어, 그 사이에 유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분벽은: 상기 하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 구분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 구분벽의 상단과 상기 상벽 사이는 이격되어, 그 사이에 유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분벽에는 관통되는 유동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분벽은: 상기 삽입공 표면까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공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상기 양 측벽 및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의 단부까지 연장되지 않고, 상기 양 측벽 및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의 내측 공간 내에만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온도감지체는 상기 상벽 또는 상기 하벽에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돌출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온도감지체가 상기 센서삽입부에 삽입시, 상기 센서삽입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돌출지지부를 가압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삽입공의 테두리 부분부터 상기 내측단벽 방향으로 장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상벽 또는 상기 하벽의 외측에 2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도 이에 대응되도록 2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지지부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돌출부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지지부는 너비를 갖는 면의 돌출 표면 형상을 구비하여, 막대형 또는 장형의 날형으로 돌출된 형상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며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온도감지체를 갖는 온수조절기의 가열장치는, 온도센서와 온도퓨즈를 한 번에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조립 공정이 단순해 지고, 제조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도센서와 온도퓨즈가 상호 접촉되지 않도록 이격 배치 시킴으로써 노이즈나 오동작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이격 배치된 상태에서 수지를 주입시키고 경화시켜, 온도센서와 온도퓨즈가 이격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도감지체 내에 주입되는 수지가 신속하게 고른 위치로 배치되어, 균일하게 주입되고 경화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고안은 온도감지체가 가열장치 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쉽게 빠지지 않고 밀착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온수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가열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가열장치에 온도감지체와 히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가열장치, 온도감지체 및 히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온도감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온도감지체 내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고안의 온도감지체에 수지를 유입할 때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고안의 온도감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의 온도감지체가 가열장치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밀착유도부를 구비하는 가열장치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가열장치에 온도감지체와 히터가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가열장치, 온도감지체 및 히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열장치(100)는 중앙으로 온수관(140)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개의 온수관이 결합되고, 그 상하 방향으로 센서삽입부(120) 및 히터삽입부(130)가 홀 또는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센서삽입부(120)로는 온도감지체(200)가 삽입되고, 히터삽입부(130)로는 히터(300)가 삽입되며, 온수관(140)으로는 온수공급기 탱크의 온수가 통과하며, 히터(300)의 발열에 따라 가열된다. 이때 센서삽입부(120)에 삽입된 온도감지체(200)의 내부에 구비된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에 의해 온수관(140) 내의 온수 온도를 감지하고 과열시 단전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가열장치(100)의 본체(110)는 알루미늄 등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어, 본체(110)의 히터삽입부(130)에 삽입된 히터(3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본체(110)의 온수관(140)을 따라 흐르는 유체로 신속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온수관(140)은 알루미늄, 구리 등과 같은 열전도율이 높은 재질로 구성되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본체(110)의 중앙에 위치된다. 그리고 온수관(140)의 외주연은 본체(110)의 히터삽입부(130)의 내주연과 밀착되도록 형성되어, 본체(110)의 열이 온수관(140)으로 용이하게 전도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온수관(140)의 길이방향 양 단부는 본체(110)의 양 단부보다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물탱크에 연결되는 물탱크연결관(미도시) 또는 매트부재에 연결되는 매트연결관(미도시)과 용이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히터(3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PTC 히터, 세라믹히터, 탄소나노튜브 등으로 구성되며, 본체(110)의 히터삽입부(130)에 삽입된다. 그리고 히터(300)의 외주연은 본체(110)의 히터삽입부(130)의 내주연에 밀착되어, 히터(300)에서 발산되는 열이 본체(110)로 용이하게 전도되고, 본체(110)로 전도된 열은 온수관(140)을 가열하여, 온수관(140)을 통과하는 물이 온수로 가열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온도감지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a)는 온도감지체(200)의 하우징(210) 내에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가 삽입되고, 이에 연결된 전선(461, 462, 481, 482)은 삽입공(230)으로 외측으로 연결된다.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는 삽입공(230)을 통해 각각 삽입되어 하우징(210) 내에 내입된다. 이때 (b)와 같이 내부에 수지(201)를 주입하고 경화시켜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가 이격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도센서(46)는 열팽창계수가 서로 다른 두 종류의 얇은 금속판을 포개어 붙여 한 장으로 제조한 바이메탈과 같은 것으로, 열을 가했을 때 휘는 성질을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할 수 있다. 온도퓨즈(48)는 히터(300)가 어느 한계점 이상의 온도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끊어져 과열을 방지하는 과열방지용 스위치이다. 이러한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는 일반적인 것으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히터(300)와,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는 연결선(461,462,481,482)에 의하여 상호 직렬로 연결되도록 한다.
온도센서(46)는 본체(110)의 상면에 구비되되, 본체(110)의 외면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밀착되어, 본체(110)의 온도가 일정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히터(300)로 인가되는 전원을 선택적으로 차단시켜서, 히터(300)가 더 이상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온도퓨즈(48)는 본체(110)의 온도가 일정 온도보다 높은 위험 온도 이상으로 가열되면, 자체적으로 단락되어, 히터(3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킨다. 즉, 온도센서(46)가 고장나서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 온도퓨즈(48)가 단락되어 히터(300)로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는 각각의 조립 절차에 의해 개별적으로 가열장치(100)에 삽입하여야 했으나, 사전에 미리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를 온도감지치(200)에 설치해 놓고 추가적으로 수지(201)로 경화시켜 모듈화 해놓으면, 온도감지체(200)만을 간편하게 삽입 조립하는 과정만으로 복잡한 조립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온도감지체 내부 단면을 도시한 도면으로 도 5의 A-A선에 따른 단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온도감지체(200)의 하우징(210) 내에는 양 측벽(214)의 사이를 나란히 내측단부(212)로부터 연장되는 구분벽(220)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분벽(220)은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가 상호 접촉되지 않고 이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벽(216) 및 하벽(218)을 수직으로 연결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수지(201)를 주입하여 경화하는 경우,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가 구분벽(220)에 의해 이격 구분된 상태에서 수지(201)를 통해 견고하게 고정된다.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과 상호 접촉하게 되면, 노이즈 발생에 따른 온도 측정 오류 및 단락의 위험이 있으므로, 이를 상호 이격 시키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단순히 구분벽(220) 없이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를 넣은 상태에서, 수지(201)를 넣어도 이격이 가능할 수도 있으나, 제조 공정 중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가 근접하게 되면, 상호 밀착된 상태에서 수지(201)가 유입되어 경화될 수도 있게 된다. 따라서 구분벽(220)을 기본적으로 구비함으로써,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를 구분벽(220)에 의해 분리된 공간에 사전에 분리 삽입시킬 수 있게 되어, 원천적으로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의 상호 접촉 문제가 없게 된다. 여기에 추가적으로 수지(201)가 유입되면, 이중적으로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 사이의 이격 공간을 절연 재질로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구분벽(220)은 삽입공(230)까지 연장되지 않고 삽입공(230) 표면보다 내측까지만 형성되도록 하여, 하우징(210) 내에 수지(201)가 유입될 때 굳이 각각의 구분된 공간을 겨냥하여 분사하지 않더라도, 어느 일측에서 넘친 수지(201)가 하우징(210) 내에서 구분벽(220)을 넘어 다른 측으로 넘어갈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다른 쪽으로 넘친 수지(201)가 자연스럽게 양측에 모두 분산되며 차오르도록 한다. 만약 구분벽(220)이 삽입공(230)의 표면 위치까지 측벽(214)과 나란히 형성되면, 삽입공(230)은 2개로 분할되며, 수지(201) 주입시 2개의 삽입공 각각에 고르게 주입하도록 신경써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고안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7 내지 도 9는 도 6의 B-B선에 따른 단면이고, 도 10은 도 6의 C-C선에 따른 단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구분벽(222)은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의 사이 공간이 구분되도록, 상벽(216)와 하벽(218)을 연결하며 연장 형성된다.
도 8을 참조하면, 하측 구분벽(223)과 상측 구분벽(224)이 구비되고, 양 구분벽(223, 224)의 사이에는 유동부(225)가 절개된 형상으로 빈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유동부(225)는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보다는 작은 것이어서, 하측 구분벽(223)과 상측 구분벽(224)에 의해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를 상호 이격시키면서, (b)와 같이 온도감지체(200)가 수평한 상태에서 수지(201)를 채워 넣으면 유동부(225)를 통해 좌우측에 수지(201)가 고르게 차오르면서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가 위치된 양측을 동시에 채우고 경화시킬 수 있게 된다. 만약 유동부(225)가 없다면 수지(201)를 채워 넣는 노즐의 방향에 따라 어느 한 쪽에만 수지(201)가 과도하게 주입될 수 있는데, 유동부(225)에 의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9를 참조하면, 하측 구분벽(223)만 구비되어, 양측을 분할하고, 하측 구분벽(223)의 상측은 양방 유동 가능하도록 빈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온도센서(46)와 온도퓨즈(48)는 하측 구분벽(223)에 의해 상호 이격 배치된다. 하측 구분벽(223) 대신에 상측 구분벽(224)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구분벽(222)에 유동공(226)을 관통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구분벽(222)에 의해 양측이 분리되어 있으나, 유동공(226)을 통해 양측 유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어느 일측의 수지(201)가 편중되어 채워지더라도 유동공(226)을 통해 상호 이동되며 고른 분포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본 고안의 온도감지체에 수지를 유입할 때의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a)와 같이 구분벽(220)이 설치시 수지(201)가 양측에 불균형하게 유입되어 경화되어 적절한 고정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 때 유동부(225), 유동공(226)을 설치함으로써 (b)와 같이 수지(201)가 고르게 채워져 올라올 수 있게 된다.
또한 유동부(225)나 유동공(226)이 없더라도, (a)의 형상과 같이 구분벽(220)이 중간까지만 설치되어 있고 개방공 표면까지 연장되지 않으면, 구분벽(220)에 의한 내부 공간의 수용량을 초과하도록 수지(201)를 계속 투입하면, 어느 일측의 수지(201)가 넘치며 부족한 타측까지 채워 도 5의 (b)와 같이 가득 채울 수 있게 된다.
도 12는 본 고안의 온도감지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도 12의 온도감지체가 가열장치에 삽입된 상태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온도감지체(200)가 가열장치(100)의 센서삽입부(12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하우징(210)의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지지부(219)를 장형으로 형성한다.
또한 센서삽입부(120)의 내측으로는 돌출된 돌출부(122)가 형성되도록 하고, 돌출부(122)와 돌출지지부(219)는 상호 대응되는 위치에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센서삽입부(120)가 삽입되면, 합성수지 재질의 돌출지지부(219)와 금속재질의 돌출부(122)가 상호 밀착되며 일부 변형되며, 상호 견고하게 고정 및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의 힘이 온도감지체(200)가 센서삽입부(120)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가해지더라도, 돌출부(122)와 돌출지지부(219)의 상호 마찰력에 의해 쉽게 이탈, 분리되지 않게 된다.
만약 돌출부(122)와 돌출지지부(219)가 없다면, 센서삽입부(120)가 상대적으로 큰 경우 온도감지체(200)는 센서삽입부(120)에서 쉽게 빠질 수 밖에 없게 된다. 또한 센서삽입부(120)와 온도감지체(200)의 사방을 과도히 밀착시켜 용이한 이탈을 방지할 수는 있겠으나, 면 대 면 접촉에 따라 삽입에 힘이 많이 든다는 단점을 유발하게 된다.
돌출부(122)는 선형 막대기 형상이거나, 내측으로 연장되는 수직 돌출면의 날형 형상일 수 있으며, 돌출지지부(219)는 좌우로 약간의 면적을 갖는 면형상으로 상방 돌출되어 돌출부(122)의 좌우 위치를 일정 범위 커버할 수 있도록 여유 면적을 갖는 형상이 되도록 한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고안을 이로 한정하지 않음은 당연하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0 : 매트부재 20 : 연결관
30 : 온수공급기 40 : 가열장치
46 : 온도센서 48 : 온도퓨즈
100 : 가열장치 110 : 본체
120 : 센서삽입부 122 : 돌출부
130 : 히터삽입부 140 : 온수관
200 : 온도감지체 201 : 수지
210 : 하우징 212 : 내측단부
214 : 측벽 216 : 상벽
218 : 하벽 219 : 돌출지지부
220, 222, 223, 224 : 구분벽
225 : 유동부 226 : 유동공
230 : 삽입공 300 : 히터

Claims (13)

  1. 장형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온수관을 구비하는 가열장치의 상기 온수관에 밀착하여 형성된 센서삽입부에 삽입되기 위한 온도감지체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체는:
    양 측벽, 상벽 및 하벽을 구비하고,
    상기 양 측벽, 상벽 및 하벽이 형상하는 공간의 일측은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타측은 내측 단벽이 형성되어, 상기 삽입공으로 온도센서 및 온도퓨즈를 삽입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양 측벽,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이 형성하는 내부 공간에는 양측으로 구간을 나누기 위한 구분벽이 형성되고,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구분벽의 일측 방향에, 상기 온도퓨즈는 상기 구분벽의 타측 방향에 상호 이격 배치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온도감지체의 내측 공간으로는,
    상기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퓨즈가 내입된 상태로, 수지가 주입되어 경화되고,
    상기 구분벽은: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을 수직 연결하며,
    상기 내측단벽으로부터 상기 삽입공 방향으로 수직 연장되고,
    상기 구분벽에는 절개되는 형상으로 빈 공간을 형성하는 유동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벽은:
    상기 상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 구분벽; 및
    상기 하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 구분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구분벽의 하단과 상기 하측 구분벽의 상단은 상호 마주보며 이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유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벽은:
    상기 상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상측 구분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측 구분벽의 하단과 상기 하벽 사이는 이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유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벽은:
    상기 하벽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하측 구분벽으로 구성되고,
    상기 하측 구분벽의 상단과 상기 상벽 사이는 이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유동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분벽은:
    상기 삽입공 표면까지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공의 테두리를 형성하는 상기 양 측벽 및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의 단부까지 연장되지 않고,
    상기 양 측벽 및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의 내측 공간 내에만 위치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감지체는 상기 상벽 또는 상기 하벽에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돌출지지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온도감지체가 상기 센서삽입부에 삽입시,
    상기 센서삽입부의 상측 또는 하측에는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가 상기 돌출지지부를 가압하며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삽입공의 테두리 부분부터 상기 내측단벽 방향으로 장형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상기 상벽 또는 상기 하벽의 외측에 2개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도 이에 대응되도록 2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합성수지재질로 형성되어,
    금속재질로 형성된 상기 돌출부에 맞물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지지부는 너비를 갖는 면의 돌출 표면 형상을 구비하여,
    막대형 또는 장형의 날형으로 돌출된 형상의 상기 돌출부와 대응되며 맞물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KR2020150006290U 2015-09-22 2015-09-22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KR20047993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90U KR200479937Y1 (ko) 2015-09-22 2015-09-22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290U KR200479937Y1 (ko) 2015-09-22 2015-09-22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937Y1 true KR200479937Y1 (ko) 2016-03-24

Family

ID=55645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290U KR200479937Y1 (ko) 2015-09-22 2015-09-22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937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011B1 (ko) * 2016-04-20 2016-12-07 에스텍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수모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
CN112781746A (zh) * 2019-11-07 2021-05-11 深圳市敏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底部温度传感器
KR20210111215A (ko) * 2019-10-16 2021-09-10 강홍구 파이프 온도 측정 센서의 보호 커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128B1 (ko) 2014-01-27 2015-05-20 주식회사 이벨리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1128B1 (ko) 2014-01-27 2015-05-20 주식회사 이벨리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011B1 (ko) * 2016-04-20 2016-12-07 에스텍전자 주식회사 플렉시블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수모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
KR20210111215A (ko) * 2019-10-16 2021-09-10 강홍구 파이프 온도 측정 센서의 보호 커버
KR102481783B1 (ko) * 2019-10-16 2022-12-27 강홍구 파이프 온도 측정 센서의 보호 커버
CN112781746A (zh) * 2019-11-07 2021-05-11 深圳市敏杰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底部温度传感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9937Y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US6442341B1 (en) Simple-type fluid heating tube structural arrangement
KR101911476B1 (ko)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밥솥
US7860381B2 (en) Heating device for diesel fuel and heatable diesel filter system
US10358764B2 (en) Steam iron comprising a heating body provided with a steam chamber and an ironing surface thermally connected to the heating body
KR20110020177A (ko) 유체 가열장치
US20180216863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US10717343B2 (en) Heating device
US7849873B2 (en) Heater unit for installation on valve
US20110129205A1 (en) Flow-through heater
KR101521128B1 (ko)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
TWI672459B (zh) 流體控制裝置
DE20202906U1 (de) Beheizbare Leitung
KR101629932B1 (ko) 차량용 프리히터 장치
CN107710866B (zh) 加热器装置及使用它的被加热体的加热方法
KR100681518B1 (ko) 열매체 순환식 발열시트
KR20110107492A (ko) 온수매트용 보일러
PT668710E (pt) Aparelho de aquecimento electrico
KR101174235B1 (ko) 배관 히터 장치
KR101611563B1 (ko) 온수 공급장치
US20090310949A1 (en) Fan blade heating unit
KR200472641Y1 (ko) 밀착유도부를 구비하는 가열장치
KR20140123392A (ko) 열 통로층을 구비한 온열매트
KR20160003808U (ko) 평판형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목재 침대용 난방장치
TWM550061U (zh) 鞋具定型機之加熱膠模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