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1128B1 -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 - Google Patents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1128B1
KR101521128B1 KR1020140009566A KR20140009566A KR101521128B1 KR 101521128 B1 KR101521128 B1 KR 101521128B1 KR 1020140009566 A KR1020140009566 A KR 1020140009566A KR 20140009566 A KR20140009566 A KR 20140009566A KR 101521128 B1 KR101521128 B1 KR 1015211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insertion hole
heater housing
housing
senso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9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5339494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521128(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벨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벨리
Priority to KR1020140009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11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11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11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0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 F24H1/1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 F24H1/14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 F24H1/142Continuous-flow heaters, i.e. heaters in which heat is generated only while the water is flowing, e.g. with direct contact of the water with the heating medium in which the water is kept separate from the heating medium by tubes, e.g. bent in serpentine form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24H9/139Continuous flow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 F24H9/2014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using electrical energy supply
    • F24H9/2028Continuous-flow hea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KMEASURING TEMPERATURE; MEASURING QUANTITY OF HEAT; THERMALLY-SENSITIVE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K1/00Details of thermomet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thermometer
    • G01K1/14Supports; Fastening devices; Arrangements for mounting thermometers in particular lo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04Sensors
    • F24D2220/042Temperature sens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stantaneous Water Boilers,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nd Control Of Portable Hot-Water Supply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수매트 등에 장착되어 유체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체 가열모듈는, 양단이 개방 형성된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히터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 장착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히터하우징은 상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을 통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어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 { FLUID HEATING MODULE AND HOT WATER MAT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온수매트 등에 장착되어 유체를 가열하여 공급하는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매트는, 그 내부에 균일하게 배열된 순환관을 내장하고 있다.
이러한 온수매트는 보일러 등과 같은 유체온도조절기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유체온도조절기에서 가열된 온수가 상기 순환관 내를 이동하면서 매트를 가열하게 된다.
통상적으로 온수매트용 유체온도조절기는, 순환수 즉 유체를 가열하기 위해 그 내부에 히터와, 수조와, 온도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온도센서는 히터 또는 수조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순환관을 통해 유동하는 유체의 온도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유체온도조절기의 구조를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유체를 가열하는 히터와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가 상호 분리되어 있거나, 그 조립 및 고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0-0001576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및 센서부를 히터하우징에 용이하게 결합시켜 하나로 모듈화시킬 수 있는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유체 가열모듈는, 양단이 개방 형성된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히터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 장착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히터하우징은 상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을 통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어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결합시키는 클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립은 상기 히터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클립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어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제1삽입공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삽입공은 상기 제1삽입공보다 하부에 배치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삽입공을 중심으로 상기 제1삽입공의 반대방향인 상기 히터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밀착된다.
상기 히터하우징의 양측에는 제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클립의 양단에는 상기 제1걸림턱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탄성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탄성부가 상기 제1걸림턱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는 상기 클립과 히터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히터하우징의 하부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삽입공에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유체는 상기 파이프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며, 상기 제2삽입공에는 상기 제1걸림턱 방향으로 가압공이 연통되어 형성되되, 상기 제2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걸림턱이 상기 가압공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2삽입공에 가압 고정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히터하우징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단선되는 퓨즈로 이루어지되,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퓨즈의 상태에 따라 상기 히터가 인가되는 전원이 제어되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온도센서 및 퓨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센서하우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하우징을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삽입공의 양측에는 상기 제1삽입공 방향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되,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절곡부가 안쪽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1삽입공에 가압 고정된다.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히터 사이에는 진동방지스프링이 배치된다.
또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걸림턱이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클립의 양단에는 상기 제2걸림턱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탄성부가 형성되되, 상기 센서부는 한 쌍의 상기 제2걸림턱 사이에는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가 상기 제2걸림턱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는 상기 클립과 히터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2걸림턱의 끝단은 양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클립의 양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턱의 끝단에 걸린다.
또는, 상기 제1삽입공은 2개로 이루어져 상기 제2삽입공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1삽입공에는 상기 히터가 삽입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클립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과 인접하게 상기 히터하우징의 측면에 밀착된다.
이때, 상기 히터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센서부가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안착홈에 안착된 상기 센서부를 감싸면서 상기 히터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면 및 하면에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홈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탄성부가 형성된다.
또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히터하우징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부는 한 쌍의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외력에 의해 코킹되어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게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온수매트는, 청구항1 내지 청구항15 중 어느 한 항의 유체 가열모듈가 설치되어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온도조절기와; 상기 유체온도조절기와 연결되어 가열된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이 내부에 배치되는 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히터하우징에 히터를 삽입 장착하고, 결합부를 통해 센서부를 히터하우징에 밀착되게 결합시킴으로써, 히터와 센서부를 히터하우징을 통해 하나의 모듈로 형성할 수 있어, 타구성요소와의 조립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가 적용된 온수매트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의 체구구조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11은 도 9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의 체구구조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가 적용된 온수매트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유체 가열모듈(100)의 체결구조는, 히터하우징(110)과, 히터(120)와, 센서부(130)와, 결합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하우징(110)은 금속(알루미늄 등) 재질로 이루어지고, 긴 막대 형상을 갖는다.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양단이 개방된 제1삽입공(111)과 제2삽입공(112)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삽입공(111)이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삽입공(112)은 상기 제1삽입공(111)보다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삽입공(111)과 제2삽입공(112)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있지만, 경우에 따라 상기 제1삽입공(111)과 제2삽입공(112)은 좌우 방향 등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히터(120)는 상기 제1삽입공(111)에 삽입 장착되어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가열한다.
이러한 상기 히터(120)는 상기 히터하우징(110)을 가열함으로써, 상기 히터하우징(110)이 상기 제2삽입공(112)을 통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하도록 한다.
상기 히터(120)는 평판 형상의 PTC히터(120)로 이루어져 상기 제1삽입공(111)에 삽입 장착되도록 한다.
상기 히터(120)를 상기 제1삽입공(111)에 용이하게 삽입한 후 고정시키기 위해, 상기 제1삽입공(111)의 양측에는 상기 제1삽입공(111) 방향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113)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히터(120)를 상기 제1삽입공(111)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상부에서 가압력을 가하면, 상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절곡부(113)는 미리 약간 절곡되어 있는 안쪽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1삽입공(111)의 높이가 낮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삽입공(111)에 삽입되어 있던 상기 히터(120)는 압착된 상기 제1삽입공(111)의 내부에서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가압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삽입공(111)과 상기 히터(120) 사이에는 판 형상의 진동방지스프링(119)이 배치되어, 상기 히터(120)가 흔들림없이 더욱 잘 가압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진동방지스프링(119)은 단면이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휘어진 원호 형성을 갖도록 한다.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히터(120)에 의해 가열된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온도 등의 상태를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제2삽입공(112)을 중심으로 상기 제1삽입공(111)의 반대방향인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하부에 배치되어 밀착된다.
따라서, 고열의 상기 히터(12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센서부(1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센서부(130)가 유체가 유동하는 상기 제2삽입공(112)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궁극적으로 가열하고자 하는 유체의 온도 등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31)와,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단선되는 퓨즈(132)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상기 온도센서(131)와 상기 퓨즈(132)의 상태에 따라 별도로 구비된 제어부를 통해 상기 히터(120)에 인가되는 전원이 제어되게 된다.
즉, 상기 온도센서(131)에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으로 너무 높을 경우에는, 상기 히터(1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일시적 차단한다.
그러다가, 상기 온도센서(131)에서 감지된 온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온도 미만이 되면, 상기 히터(120)에 전원을 다시 인가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퓨즈(132)가 고온으로 단선되는 경우에는, 상기 퓨즈(132)가 교체될 때까지 상기 히터(120)에 인가되는 전원을 지속적으로 차단하도록 한다.
위와 같이 상기 온도센서(131)와 퓨즈(132)를 함께 장착함으로써, 과열을 2중으로 감지하여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부(130)를 상기 하우징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밀착되어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상태를 감지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부(130)를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결합시키는 클립(141)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클립(141)은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센서부(130) 즉 상기 온도센서(131) 및 퓨즈(132)는 상기 클립(141)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밀착되어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클립(141)이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해 본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양측에 제1걸림턱(114)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클립(141)의 양단에 상기 제1걸림턱(114)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탄성부(142)가 형성된다.
상기 제1탄성부(142)가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걸림턱(114)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클립(141)과 히터하우징(110) 사이에서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하부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위와 같은 상기 클립(141)에 의해 상기 센서부(130) 즉 온도센서(131)와 퓨즈(132)를 한꺼번에 쉽게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삽입공(112)의 양단은 다른 튜브 등에 직접 연결되어 상기 제2삽입공(112)의 내부로 유체가 직접 유동하도록 할 수도 있고, 본 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삽입공(112)에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150)가 장착되고 상기 파이프(150)의 내부로 유체가 유동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제2삽입공(112)에는 상기 제1걸림턱(114) 방향으로 가압공(115)이 연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가압공(115)은 상기 제1걸림턱(114)의 내부까지 연장 형성되어, 상기 제1걸림턱(114)이 외력에 의해 상기 가압공(115) 방향으로 쉽게 절곡될 수 있도록 한다.
초기에 상기 제2삽입공(112)의 직경은 상기 파이프(150)의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상기 파이프(150)는 상기 제2삽입공(112)에 쉽게 삽입 배치될 수 있다.
그 후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상부에서 가압력을 가하면, 상기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걸림턱(114)은 상기 가압공(115) 방향으로 절곡되고, 이로 인해 상기 제2삽입공(112)은 그 높이가 낮아지면서 상기 제2삽입공(112)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150)를 가압 고정하게 된다.
위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112)을 통해 유동하는 액체를 쉽게 가열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액체의 온도 등을 측정하는 상기 센서부(130)를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쉽게 탈착 가능하게 장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유체 가열모듈(100)은 온수매트, 온수기, 건조기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곳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본 발명의 유체 가열모듈(100)을 온수매트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였다.
본 발명의 온수매트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온도조절기(210)와, 순환관(220)과, 매트(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유체온도조절기(210)는 상술한 유체 가열모듈(100)의 체결구조가 내부에 설치되어 유체를 가열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유체 가열모듈(100)을 제외한 상기 유체온도조절기(210)의 다른 구조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온수매트의 온도조절기와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순환관(220)은 대부분이 상기 매트(230)의 내부에 배치도고, 양단이 상기 유체온도조절기(210)에 연결되어, 상기 히터하우징(110)에서 가열된 유체를 상기 매트(230)로 순환시킨다.
상기 매트(230)는 상부에 사용자들이 앉는 곳으로써, 그 내부에는 상기 순환관(220)이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체온도조절기(210)에서 가열된 유체가 상기 순환관(220)을 통해 순환하게 되면, 상기 매트(230)는 가열된 상기 유체에 의해 가열되게 된다.
제2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100)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100)의 체결구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7은 도 5의 B-B'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100)의 체구구조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의 유체 가열모듈(100)의 체결구조는, 히터하우징(110)과, 히터(120)와, 센서부(130)와, 결합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히터하우징(110)과, 센서부(130) 및 결합부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히터하우징(110)은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1삽입공(111)과 제2삽입공(112)이 상하방향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삽입공(111)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나, 상기 제2삽입공(112)은 단순히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서의 상기 히터하우징(110)은 상기 제2삽입공(112)에 파이프(150)를 장착함이 없이 상기 제2삽입공(112) 내부로 유체가 직접 유동하도록 한 구조인바, 파이프(150)를 삽입한 후 가압하는 구조가 없다.
물론, 경우에 따라 제1실시예와 같이 파이프(150)를 장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걸림턱(116)이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센서부(130)는 한 쌍의 상기 제2걸림턱(116) 사이에는 삽입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130)는, 온도센서(131), 퓨즈(132) 뿐만 아니라 상기 온도센서(131)와 퓨즈(132)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센서하우징(1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센서하우징(133)은 절연체인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온도센서(131) 및 퓨즈(132)는 상기 센서하우징(133)에 형성된 홀에 각각 삽입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온도센서(131)와 퓨즈(132)를 상기 센서하우징(133)에 삽입 장착한 상기 센서부(130)를 한 쌍의 상기 제2걸림턱(116) 사이에 삽입하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하우징(133)의 내부에는 상기 온도센서(131)와 퓨즈(132) 사이에 배치되는 칸막이부(1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칸막이부(134)에 의해 상기 온도센서(131)와 퓨즈(132)는 상호 접촉하지 않고 이격되게 된다.
위와 같이 절연체인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칸막이부(134)에 의해 상기 온도센서(131)와 퓨즈(132)가 서로 접촉되지 않음으로써, 상기 온도센서(131)와 퓨즈(132)가 서로 접촉하여 쑈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클립(141)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141)의 양단에는 상기 제2걸림턱(116)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탄성부(14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걸림턱(116)의 끝단은 양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143)는 상기 클립(141)의 양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턱(116)의 끝단에 걸리도록 한다.
즉, 상기 제2걸림턱(116)과 제2탄성부(143)는 후크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 즉 상기 클립(141)은 한 쌍의 상기 제2걸림턱(116) 사이에 배치된 상기 센서하우징(133)을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밀착시켜 고정시킨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제2탄성부(143)가 상기 제2걸림턱(116)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130)는 한 쌍의 상기 제2걸림턱(116)과 상기 클립(141)과 히터하우징(110) 사이에서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는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하부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145)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130)는 한 쌍의 상기 결합돌기(14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돌기(145)는 외력에 의해 코킹되어 상기 센서부(130)를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밀착되게 결합시킨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3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100)의 체결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100)의 체결구조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C-C'선을 취하여 본 단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유체 가열모듈(100)의 체구구조의 변형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2실시예의 유체 가열모듈(100)의 체결구조는, 히터하우징(110)과, 히터(120)와, 센서부(130)와, 결합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히터하우징(110)과, 센서부(130) 및 결합부에 차이가 있는바, 이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히터하우징(110)에는 2개의 제1삽입공(111)과 1개의 제2삽입공(112)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상기 제1삽입공(111)은 상기 제2삽입공(112)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상기 제1삽입공(111)에는 상기 히터(120)가 각각 삽입 배치된다.
상기 센서부(130)는 제2실시예와 같이, 온도센서(131), 퓨즈(132), 센서하우징(133)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제2삽입공(112)과 인접하게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측면에 밀착된다.
상기 결합부는 클립(141)으로 이루어져, 상기 센서부(130)를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측면에는 상기 센서부(130)가 안착되는 안착홈(117)이 형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안착홈(117)에 의해 상기 센서부(130)를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측면에 보다 용이하게 배치시켜 조립할 수 있다.
상기 클립(141)은 상기 안착홈(117)에 안착된 상기 센서부(130)를 감싸면서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상면 및 하면에 걸림홈(118)이 형성되고, 상기 클립(141)의 양단에는 상기 걸림홈(118)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3탄성부(144)가 형성된다.
상기 제3탄성부(144)는 상기 클립(141)의 양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18)에 삽입되도록 한다.
즉, 상기 걸림홈(118)과 제3탄성부(144)는 후크 방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센서부(130)는 상기 안착홈(117)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클립(141)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되게 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는 상기 히터하우징(110)의 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145)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센서부(130)는 한 쌍의 상기 결합돌기(145)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돌기(145)는 외력에 의해 코킹되어 상기 센서부(130)를 상기 히터하우징(110)에 밀착되게 결합시킨다.
그 외 다른 사항은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와 동일 유사한 바, 그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인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유체 가열모듈,
110 : 히터하우징, 111 : 제1삽입공, 112 : 제2삽입공, 113 : 절곡부, 114 : 제1걸림턱, 115 : 가압공, 116 : 제2걸림턱, 117 : 안착홈, 118 : 걸림홈, 119 : 진동방지스프링,
120 : 히터,
130 : 센서부, 131 : 온도센서, 132 : 퓨즈, 133 : 센서하우징, 134 : 칸막이부,
141 : 클립, 142 : 제1탄성부, 143 : 제2탄성부, 144 : 제3탄성부, 145 : 결합돌기,
150 : 파이프,
210 : 유체온도조절기, 220 : 순환관, 230 : 매트,

Claims (1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양단이 개방 형성된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히터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 장착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체 가열모듈에 있어서,
    상기 히터하우징은 상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을 통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어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결합시키는 클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립은 상기 히터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삽입공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삽입공은 상기 제1삽입공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삽입공을 중심으로 상기 제1삽입공의 반대방향인 상기 히터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밀착되고,
    상기 히터하우징의 양측에는 제1걸림턱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클립의 양단에는 상기 제1걸림턱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1탄성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부가 상기 제1걸림턱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는 상기 클립과 히터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히터하우징의 하부에 밀착되어 고정되며,
    상기 제2삽입공에는 양단이 개방된 파이프가 장착되고 상기 유체는 상기 파이프의 내부를 통해 유동하며,
    상기 제2삽입공에는 상기 제1걸림턱의 내부로 가압공이 연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제1걸림턱이 내부에 형성된 상기 가압공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2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파이프는 상기 제2삽입공에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모듈.
  6. 삭제
  7. 양단이 개방 형성된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히터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 장착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체 가열모듈에 있어서,
    상기 히터하우징은 상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을 통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어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감지하되,
    상기 센서부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와;
    상기 히터하우징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일정온도 이상이 되면 단선되는 퓨즈와;
    내부에 상기 온도센서 및 퓨즈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합성수지 재질의 센서하우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온도센서와 상기 퓨즈의 상태에 따라 상기 히터가 인가되는 전원이 제어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하우징을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시켜 고정시키며,
    상기 퓨즈 및 온도센서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기 센서하우징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과 이격되어 절연되고,
    상기 센서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온도센서와 퓨즈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온도센서와 퓨즈의 접촉을 차단하는 합성수지 재질의 칸막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모듈.
  8. 양단이 개방 형성된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히터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 장착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체 가열모듈에 있어서,
    상기 히터하우징은 상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을 통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어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감지하되,
    상기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삽입공의 양측에는 상기 제1삽입공 방향을 향해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된 상기 히터는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부에서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상기 절곡부가 안쪽으로 절곡되면서 상기 제1삽입공에 가압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모듈.
  9. 양단이 개방 형성된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히터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 장착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체 가열모듈에 있어서,
    상기 히터하우징은 상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을 통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어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감지하되,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히터 사이에는 진동방지스프링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모듈.
  10. 양단이 개방 형성된 제1삽입공과 제2삽입공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금속재질로 이루어진 히터하우징과; 상기 제1삽입공에 삽입 장착되는 히터와;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된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측정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유체 가열모듈에 있어서,
    상기 히터하우징은 상기 히터에서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제2삽입공을 통해 일단에서 타단방향으로 유동하는 유체를 가열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어 상기 히터하우징의 상태를 감지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결합시키는 클립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클립은 상기 히터하우징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삽입공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삽입공은 상기 제1삽입공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제2삽입공을 중심으로 상기 제1삽입공의 반대방향인 상기 히터하우징의 하부에 배치되어 밀착되고,
    상기 히터하우징의 하부에는 한 쌍의 제2걸림턱이 상호 이격되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클립의 양단에는 상기 제2걸림턱에 탈착 가능하게 체결되는 제2탄성부가 형성되며,
    상기 센서부는 한 쌍의 상기 제2걸림턱 사이에 삽입 배치되고,
    상기 제2탄성부가 상기 제2걸림턱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는 상기 클립과 히터하우징 사이에서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모듈.
  11. 청구항10에 있어서,
    상기 제2걸림턱의 끝단은 양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제2탄성부는 상기 클립의 양단에서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제2걸림턱의 끝단에 걸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모듈.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청구항7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히터하우징에서 돌출 형성된 한 쌍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되,
    상기 센서부는 한 쌍의 상기 결합돌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결합돌기는 외력에 의해 코킹되어 상기 센서부를 상기 히터하우징에 밀착되게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가열모듈.
  16. 청구항5, 청구항7 내지 청구항11, 청구항15 중 어느 한 항의 유체 가열모듈이 설치되어 유체를 가열하는 유체온도조절기와;
    상기 유체온도조절기와 연결되어 가열된 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관과;
    상기 순환관이 내부에 배치되는 매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KR1020140009566A 2014-01-27 2014-01-27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 KR1015211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566A KR101521128B1 (ko) 2014-01-27 2014-01-27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9566A KR101521128B1 (ko) 2014-01-27 2014-01-27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21128B1 true KR101521128B1 (ko) 2015-05-20

Family

ID=53394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566A KR101521128B1 (ko) 2014-01-27 2014-01-27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112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937Y1 (ko) 2015-09-22 2016-03-24 이현정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KR101805789B1 (ko) * 2015-12-28 2017-12-12 김용후 온수 보일러용 세라믹 히터
KR20190133406A (ko) * 2018-05-23 201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KR20200102559A (ko) 2019-02-20 2020-09-01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활력징후 값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이 가능한 전기매트
KR102666976B1 (ko) 2024-01-15 2024-05-20 주식회사 바론 히팅블록모듈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16U (ko) * 1998-09-26 2000-04-25 임진석 보일러용 온도센서 취부장치
KR200316403Y1 (ko) * 2003-03-17 2003-06-18 현대티타늄 주식회사 온수시스템용 파이프
KR20110036197A (ko) * 2009-10-01 2011-04-07 (주)대도실업 온수매트
KR20110004693U (ko) * 2009-11-05 2011-05-12 고준석 족탕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7116U (ko) * 1998-09-26 2000-04-25 임진석 보일러용 온도센서 취부장치
KR200316403Y1 (ko) * 2003-03-17 2003-06-18 현대티타늄 주식회사 온수시스템용 파이프
KR20110036197A (ko) * 2009-10-01 2011-04-07 (주)대도실업 온수매트
KR20110004693U (ko) * 2009-11-05 2011-05-12 고준석 족탕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9937Y1 (ko) 2015-09-22 2016-03-24 이현정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KR101805789B1 (ko) * 2015-12-28 2017-12-12 김용후 온수 보일러용 세라믹 히터
KR20190133406A (ko) * 2018-05-23 2019-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KR102060182B1 (ko) * 2018-05-23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팀발생장치
US11197571B2 (en) 2018-05-23 2021-12-14 Lg Electronics Inc. Steam generator
KR20200102559A (ko) 2019-02-20 2020-09-01 경운대학교 산학협력단 활력징후 값에 따른 자동 온도조절이 가능한 전기매트
KR102666976B1 (ko) 2024-01-15 2024-05-20 주식회사 바론 히팅블록모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1128B1 (ko) 유체 가열모듈 및 이를 적용한 온수매트
KR101911476B1 (ko) 전기밥솥에 적용되는 커버 바디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전기밥솥
ITTO20090049U1 (it) A milk froth maker
KR200479937Y1 (ko) 온수매트용 온수공급기의 가열장치의 온도감지체
TW201623849A (zh) 流體控制器用加熱裝置及流體控制裝置
US20170248324A1 (en) Heating device for hot water mat
KR200400451Y1 (ko) 온수관이 삽입된 판재
KR101683011B1 (ko) 플렉시블 필름히터를 적용한 온수모듈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온수매트
KR101990139B1 (ko) 파이프용 고정클립
KR200496946Y1 (ko) 전기 보일러
CN215959367U (zh) 一种温度探头与面板的安装结构及电磁烹饪器具
KR200488201Y1 (ko) 전열식 난방장치용 난방 파이프의 과열 방지 장치
KR100834079B1 (ko) 냉온정수기용 온수조의 온도조절수단고정구
KR200202453Y1 (ko) 전기식 가열장치
KR200481984Y1 (ko) 전열 침구류용 전원코드 연결장치
JP2020193653A (ja) 熱動弁
KR200367127Y1 (ko) 냉온정수기용 온수조의 서모스탯고정구
KR102119114B1 (ko) 온수 매트용 호스 연결장치
CN203132732U (zh) 电热电器及其热敏电阻组件
KR101014716B1 (ko) 커피 메이커 겸용 전자 레인지의 히터 어셈블리
JPS6028078Y2 (ja) 調理器
KR200358433Y1 (ko) 전기식 가열장치
JP4687524B2 (ja) ホットプレート
CN209499472U (zh) 液体加热容器和用于液体加热容器的控制单元
KR200183531Y1 (ko) 전기후라이팬의 열감지봉 이중 접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50908

Effective date: 20160510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20151230

Effective date: 2016052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