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405B1 -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405B1
KR101291405B1 KR1020110147219A KR20110147219A KR101291405B1 KR 101291405 B1 KR101291405 B1 KR 101291405B1 KR 1020110147219 A KR1020110147219 A KR 1020110147219A KR 20110147219 A KR20110147219 A KR 20110147219A KR 101291405 B1 KR101291405 B1 KR 101291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lt
goat
ginseng
salt
bamboo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72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8334A (ko
Inventor
김윤수
Original Assignee
김윤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수 filed Critical 김윤수
Priority to KR10201101472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405B1/ko
Publication of KR20130078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8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7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in a gaseous atmosphere with forced air or gas circulation, in vacuum or under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양삼죽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생강을 얇게 썰어 산양삼을 훈제하는 제 1단계와, 훈제된 산양삼을 건조시켜 분말로 만드는 제 2단계와, 죽염에 상기 제 2단계의 산양삼과, 누룩, 맥아를 혼합하는 제 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산양삼죽염캡슐의 제조방법은, 생강을 얇게 썰어 산양삼을 훈제하는 제 1단계와, 훈제된 산양삼을 건조시켜 분말로 만드는 제 2단계와, 죽염에 상기 제 2단계의 산양삼과, 누룩, 맥아를 혼합하는 제 3단계와, 상기 제 3단계에서 혼합된 분말을 캡슐로 만드는 제 4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A Bamboo Salt Using Wood-cultivated Ginseng, A Bamboo Salt Capsule Using Wood-cultivated Ginseng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죽염, 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산양삼과 죽염을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죽염은 여러 인체에 이로운 약리효과 외에, 위염에 효과 있지만, 외국인이나 일반인에게 죽염을 복용시킬 때 캡슐제가 먹기 편리하나 죽염을 캡슐에 넣어 복용할 경우 위염이 있거나 위궤양이 있거나 위가 헌 사람은 자극이 심해 통증을 느낀다.
그리고, 한편, 고려인삼(Panax ginseng)은 두릅나무과(Araliacea)에 속하는 식물로서, 생육환경에 따라 자연상태에서 자생한 인삼인 산삼과, 인공적으로 기른인삼인 재배인삼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산삼은 다시 그 파종 기원에 따라 천연산삼과 산양삼으로 나뉘는데, 산양삼은 천연산삼의 종자를 산중에 파종하여 가꾸는 것, 천연산삼의 유근을 심산에서 채취하여 적당한 위치의 산림 중에 재이식하여 가꾸는 것, 재배인삼의 종자를 산림 중에 파종하여 가꾸는 것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장뇌삼이라고도 불린다.
일반적으로 상기 인삼들은 오장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며, 그 외의 다양한 인체에 유익한 작용을 하는 약초로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산양삼의 경우에도 알레르기 증상이 있는 경우 생으로 섭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등록 제 10-098955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산양삼과 죽염을 안전하고 간단하게 섭취할 수 있는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인 산양삼죽염은, 죽염, 산양삼, 누룩, 엿기름(맥아)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산양삼죽염캡슐은, 죽염, 산양삼, 누룩, 엿기름(맥아)의 분말을 캡슐에 포함하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산양삼죽염의 제조방법은, 생강을 얇게 썰어 산양삼을 훈제하는 제 1단계와, 훈제된 산양삼을 건조시켜 분말로 만드는 제 2단계와, 밀을 막걸리로 혼합하여 누룩을 제조하는 제 3단계와, 누룩과 엿기름(맥아)을 볶아서 분말로 만드는 제 4단계와, 죽염에 상기 제 2단계의 산양삼과, 상기 제 4단계의 누룩과 엿기름(맥아)을 혼합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산양삼죽염캡슐의 제조방법은, 생강을 얇게 썰어 산양삼을 훈제하는 제 1단계와, 훈제된 산양삼을 건조시켜 분말로 만드는 제 2단계와, 밀을 막걸리로 혼합하여 누룩을 제조하는 제 3단계와, 누룩과 엿기름(맥아)을 볶아서 분말로 만드는 제 4단계와, 죽염에 상기 제 2단계의 산양삼과, 상기 제 4단계의 누룩과 엿기름(맥아)을 혼합하는 제 5단계와, 상기 제 5단계에서 혼합되는 분말을 캡슐로 만다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생강연기에 의해 산양삼이 익고 겉의 수분이 즐어들고 훈제에 의해 살균되어 유통기한 길어지고 산양삼을 그냥 말리거나 쪄서 넣는 것보다 유효성분 손실 적고 산양삼알레르기 있는 사람에게 알레르기 일으키지 않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산양삼죽염을 캡슐로 제작시, 누룩과 맥아(엿기름)을 혼합하면 누룩과 엿기름의 효소가 위염 등의 상처를 다스리는 역할을 하여 위의 자극을 감소시켜 염증이 헐거나 커지는 부작용을 줄일 수 있으며 습기를 제거하여 유통기한을 늘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산양삼죽염은, 죽염, 산양삼, 누룩, 엿기름(맥아)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죽염은,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생산된 죽염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죽염은 위염에 효과 있지만 외국인이나 일반인에게 죽염을 복용시킬 때 캡슐제가 먹기 편리하나 죽염을 캡슐에 넣어 복용할 경우 위염이 있거나 위궤양이 있거나 위가 헌 사람은 죽염캡슐이 상처분위에서 녹으면서 상처를 자극해 통증을 일으끼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인 산양삼죽염에는 산양삼이 더 포함된다. 상기 산양삼은, 두릅나무과(Araliacea)에 속하는 식물로서, 생육환경에 따라 자연상태에서 자생한 인삼인 산삼과, 인공적으로 기른인삼인 재배인삼으로 크게 나눌 수 있고, 산삼은 다시 그 파종 기원에 따라 천연산삼과 산양삼으로 나뉘는데, 산양삼은 천연산삼의 종자를 산중에 파종하여 가꾸는 것, 천연산삼의 유근을 심산에서 채취하여 적당한 위치의 산림 중에 재이식하여 가꾸는 것, 재배인삼의 종자를 산림 중에 파종하여 가꾸는 것 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장뇌삼이라고도 불린다. 상기 산양삼 대신에 인삼 또는 홍삼 또는 산삼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산양삼은 상온에서 변질될 우려가 있으므로, 장기간 보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처리할 수 있다. 먼저, 상기 산양삼은 생강을 얇게 썰어 냄비에 3센티 두께로 깔고 산양삼을 그 생강 위에 넣고 뚜껑을 덮고 1시간 정도 훈제한다. 그리고, 겉을 적당히 말려 수분을 줄인 후 진공포장한다.
이와 같이, 생강연기에 의해 산양삼이 익고 겉의 수분이 줄어들고 훈제에 의해 살균되어 유통기한 길어지고 산양삼을 그냥 넣는 것보다 유효성분 손실 적고 산양삼알레르기 있는 사람에게 알레르기 일으키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한 산양삼죽염에는 누룩과 엿기름(맥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누룩은 통밀을 거칠게 분쇄하여 밀 100중량부에 막걸리 15 내지 33중량부를 혼합하여 단단하게 다져서 두께 3 내지 5cm로 네모 또는 둥근형태로 성형하여 온도 30 내지 37℃의 방에서 10일 내지 15일간 건조하여 제조한다. 기존 누룩제조법이 밀을 물과 혼합하는 것이지만 물 대신 막걸리를 사용하면 막걸리 속의 미생물에 이해 누룩의 소화촉진기능이 더 증진된다.
엿기름(맥아)은 껍질 있는 보리를 물에 3 내지 4시간 담궈 소쿠리에 건져놓은 후 광목을 덮어 보습을 유지하면 섭씨 10 내지 20℃에 보관하고 매일 2차례 물을 뿌리면 싹이 자란다. 온도에 따라 7일 내지 14일 지나서 싹이 0.5 내지 1cm 자잘 때 건조하여 제조한다.
상기 누룩과 맥아는 분말-소화 효소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 위장의 상처를 보호하여 자극이 없으며 위기능을 돕는다. 죽염을 단독 복용하는 것보다 자극은 훨씬 적고 위염개선기능은 강화된다.
또한, 상기 죽염에 산양삼, 누룩, 엿기름(맥아)를 적당량 혼합하여 캡슐제로 복용시키면 외국인도 먹기 편리하며 위염이 있는 사람도 위에 자극이 없어 통증없이 편리하게 복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죽염분말을 캡슐에 넣을 경우 죽염속의 염화나트륨이 습기를 끌어들이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캡슐이 습기에 접촉되어 변질되기 쉬워 장기 유통이 어려운데 볶은 누룩과 엿기름(맥아)분말이 죽염의 습기를 흡수해주므로 캡슐이 눅눅해지지 않아 장기 유통 가능하다.
이하, 상술한 산양삼죽염과 산양삼죽염캡슐의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 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을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
제 1공정:
생강을 얇게 썰어 산양삼을 훈제한다. 이때, 3cm두께로 1시간동안 훈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2공정:
상기 제 1공정에서 훈제된 산양삼을 건조시켜 분말로 만든다.
제 3공정:
통밀을 거칠게 빻아 막걸리로 반죽하고 성형하여 30 내지 37℃에서 10일 내지 15일 건조하여 누룩을 제조한다.
제 4공정:
누룩을 엿기름(맥아)을 90 내지 110℃에서 10분 내지 20분간 볶아서 분말한다.
제 5공정:
죽염에 상기 제 2단계의 산양삼과, 상기 제 4단계의 누룩, 엿기름(맥아)를 혼합한다. 죽염과 누룩과 엿기름(맥아) 및 산양삼의 비율이 1:1:1:0.1의 중량부의 비율로 한다.
제 6공정:
상기 제 3단계에서 혼합된 분말을 캡슐에 담고 포장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산양삼죽염과 산양삼죽염캡슐의 실험예를 비교예를 구체적으로 비교하여 설명한다.
[비교예 1]
시중에 판매하는 A사의 죽염정제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산양삼죽염캡슐에 대한 부작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30~40세의 위염증세가 있는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산양삼죽염캡슐을 10명에게 산양삼죽염캡슐 1회 3g씩 하루 3회 섭취토록 하였고(죽염만 계산하면 1g씩 3회) 다른 10명에게는 비교예 1의 죽염정제를 1g씩 3회 복용시켰으며 또 다른 10명에게는 비교예 1의 죽염정제를 3g씩 3회 복용시키고 부작용 여부를 조사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 검사기준
- : 부작용 없음
+ : 부작용 (속쓰림)
++ : 심한 부작용 (심각한 속쓰림과 통증)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실시예 1 10 10 0 0
비교예 1을 1g씩 3회 10 9 1 0
비교예 1을 3g씩 3회 10 7 2 1
상기 표 1을 보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산양삼죽염캡슐은 부작용이 전혀 나타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산양삼죽염캡슐에 대한 효력 시험을 실시하였다. 30~40세의 위염증세가 있는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10일간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산양삼죽염캡슐을 10명에게 1회 3g씩 하루 3회 섭취토록 하였고(죽염만 계산하면 1g씩 3회) 다른 10명에게는 비교예 1의 죽염정제를 1g씩 3회 복용시켰으며 또 다른 10명에게는 비교예 1의 죽염정제를 3g씩 3회 복용시키고 환자의 증상 개선 여부를 조사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 검사기준
- : 변화 없음
+ : 위염증세가 약간 개선되는 느낌
++ : 위염증세가 많이 개선되는 느낌
시험자수(명) 판정결과
- + ++
실시예 1 10 7 2 1
비교예 1을 1g씩 3회 10 9 1 0
비교예 1을 3g씩 3회 10 7 2 1
표 1과 2를 종합해 보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산양삼죽염캡슐은 비교예 1의 죽염정제에 비해 부작용은 없으면서 위염 개선 효과는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Claims (6)

  1. 죽염, 산양삼, 누룩, 엿기름(맥아)가 포함되어 구성되는 산양삼죽염.
  2. 죽염, 산양삼, 누룩, 엿기름(맥아)의 분말을 캡슐에 포함하는 산양삼죽염캡슐.
  3. 생강을 얇게 썰어 산양삼을 훈제하는 제 1단계;
    훈제된 산양삼을 건조시켜 분말로 만드는 제 2단계;
    밀을 막걸리로 혼합하여 누룩을 제조하는 제 3단계;
    누룩과 엿기름(맥아)을 볶아서 분말로 만드는 제 4단계; 그리고,
    죽염에 상기 제 2단계의 산양삼과, 상기 제 4단계의 누룩과 엿기름(맥아)을 혼합하는 제 5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죽염 제조방법.
  4. 생강을 얇게 썰어 산양삼을 훈제하는 제 1단계;
    훈제된 산양삼을 건조시켜 분말로 만드는 제 2단계;
    밀을 막걸리로 혼합하여 누룩을 제조하는 제 3단계;
    누룩과 엿기름(맥아)을 볶아서 분말로 만드는 제 4단계;
    죽염에 상기 제 2단계의 산양삼과, 상기 제 4단계의 누룩과 엿기름(맥아)을 혼합하는 제 5단계; 그리고,
    상기 제 5단계에서 혼합되는 분말을 캡슐로 만다는 제 6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죽염캡슐 제조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통밀을 거칠게 분쇄하여 밀 100중량부에 막걸리 15 내지 33중량부를 혼합하여 성형한 후 온도 30 내지 37℃의 방에서 10일 내지 15일간 건조하여 누룩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죽염 제조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3단계는,
    통밀을 거칠게 분쇄하여 밀 100중량부에 막걸리 15 내지 33중량부를 혼합하여 성형한 후 온도 30 내지 37℃의 방에서 10일 내지 15일간 건조하여 누룩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양삼죽염캡슐 제조방법.

KR1020110147219A 2011-12-30 2011-12-30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91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219A KR101291405B1 (ko) 2011-12-30 2011-12-30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7219A KR101291405B1 (ko) 2011-12-30 2011-12-30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334A KR20130078334A (ko) 2013-07-10
KR101291405B1 true KR101291405B1 (ko) 2013-07-30

Family

ID=48991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7219A KR101291405B1 (ko) 2011-12-30 2011-12-30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40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812A (ko) 2014-09-02 2016-03-10 인산죽염주식회사 산양삼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4418B1 (ko) * 2020-09-08 2022-12-08 인산죽염 주식회사 속쓰림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803A (ko) * 2007-09-21 2009-03-25 천지영농조합법인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파우치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00026228A (ko) * 2008-08-29 2010-03-10 천지영농조합법인 산양삼 추출물의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KR100989553B1 (ko) 2007-12-10 2010-10-25 (주)파인켐 산삼배양근 추출물 또는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밥 제조용캡슐
KR20110042608A (ko) * 2009-10-19 2011-04-27 송화용 산삼죽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0803A (ko) * 2007-09-21 2009-03-25 천지영농조합법인 산양삼을 이용한 기능성 파우치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89553B1 (ko) 2007-12-10 2010-10-25 (주)파인켐 산삼배양근 추출물 또는 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밥 제조용캡슐
KR20100026228A (ko) * 2008-08-29 2010-03-10 천지영농조합법인 산양삼 추출물의 마이크로캡슐화 방법
KR20110042608A (ko) * 2009-10-19 2011-04-27 송화용 산삼죽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7812A (ko) 2014-09-02 2016-03-10 인산죽염주식회사 산양삼죽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8334A (ko) 201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77245B1 (ko) 발효 현미 미강을 함유하는 건강 보조 식품 및 그 제조방법
CN103168872A (zh) 茶树花与茶叶复配工艺
CN103478367A (zh) 一种养生茶
CN104286250A (zh) 一种保健养生茶及其制备方法
Pala et al. Ethnomycological studies of some wild medicinal and edible mushrooms in the Kashmir Himalayas (India)
ES2767351T3 (es) Composición farmacéutica para promover la formación de tejido óseo, que contiene el extracto de hoja de Stauntonia hexaphylla como ingrediente activo
KR101014541B1 (ko) 당조고추 잎 덖음차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101291405B1 (ko) 산양삼죽염, 산양삼죽염캡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03852B1 (ko) 삼 품은 곶감의 제조방법
KR20150047756A (ko) 담팔수나무 잎과 열매를 이용한 환 제조방법
US4704279A (en) Manufacturing a product for treatment of the human body
KR20170065452A (ko) 연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140094850A (ko) 구강 병원균에 대한 항균성과 항바이오 필름 활성을 지닌 천연 추출물
KR20220090184A (ko) 콜라넛을 이용한 건강식품 제조방법 및 이 방법을 이용한 젤리형 건강식품
KR20130141834A (ko) 삼채를 이용한 건강식품의 제조방법
KR101513973B1 (ko) 한약재 혼합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103995A (ko) 건강보조식품용 환 및 그 제조방법
KR101890495B1 (ko) 민들레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122099A (ko) 예덕나무의 껍질와 잎을 이용한 티백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707342B1 (ko) 오디, 부추 및 백토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및 이의제조방법
KR20070034801A (ko) 높은 유해 산소 제거 능력을 갖는 차가버섯 발효 음료의제조
Yampolsky et al. Feijoa (lat. Ácca sellowiána)
KR101905329B1 (ko) 차가버섯 모링가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1744B1 (ko) 된장과 현미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6833A (ko) 한방 발효 모기향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