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173B1 -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 Google Patents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173B1
KR101291173B1 KR1020110061202A KR20110061202A KR101291173B1 KR 101291173 B1 KR101291173 B1 KR 101291173B1 KR 1020110061202 A KR1020110061202 A KR 1020110061202A KR 20110061202 A KR20110061202 A KR 20110061202A KR 101291173 B1 KR101291173 B1 KR 101291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fire suppression
water supply
cabin
suppl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12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0590A (ko
Inventor
김형주
안창면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1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173B1/ko
Publication of KR20130000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09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telescopic or adjustabl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은, 선실의 측벽에 형성되는 은닉공간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부분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배치되며, 화재 진압을 위한 물이 내부로 공급될 때 은닉공간부로부터 선실의 내부로 펼쳐지는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에 연결되어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 내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 선실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및 화재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밸브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ship}
본 발명은, 화재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에 적용되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선박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특수 작업선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선박들 중에 크루즈선(cruise ship)이라는 선박이 존재한다. 크루즈선은 관광객들이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도의 방음 및 방진 기술과 고급 인테리어 기술이 갖춰진 선박을 가리킨다.
크루즈선에는 아트리움(atrium)이라는 넓은 홀(hall)이 존재한다. 아트리움은 의자나 테이블이 별로 놓여 있지 않은 통로 중심의 넓은 장소로서 회의장과 같이 모임과 연회를 할 수 있는 큰 방(room)을 말한다.
한편, 아트리움의 중앙 공간은 바닥으로부터 천장까지의 높이가 십여 미터 이상이 될 정도로 높기 때문에 화재에 취약하다. 즉 스프링클러를 아트리움의 천장에 설치하더라도 아트리움의 바닥 영역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진압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통상적으로는 아트리움의 일측에 층별로 마련되는 데크(deck)의 단부에 스프링클러를 아트리움의 바닥 영역으로 향하도록 설치하여 아트리움의 바닥 영역에 대한 화재 진압에 대응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구조만으로는 아트리움의 바닥 영역에 대한 화재 진압에 적절하게 대처하기 어렵다.
대안으로서, 아트리움의 측벽에 소화전을 설치하는 경우도 고려해볼 수 있지만 아트리움의 측벽에 소화전을 곳곳에 설치하는 경우, 아트리움 본연의 실내 인테리어의 품격이 감소될 수 있어 선주의 불만을 야기할 수 있으므로 새로운 대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실내 인테리어의 품격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예컨대, 아트리움(atrium)처럼 선실의 천장 높이가 높을 뿐만 아니라 바닥이 넓은 장소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실의 측벽에 형성되는 은닉공간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부분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배치되며, 화재 진압을 위한 물이 내부로 공급될 때 상기 은닉공간부로부터 상기 선실의 내부로 펼쳐지는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 내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 상기 선실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는, 다수의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 및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들 사이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주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외벽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부는, 상기 선실의 측벽과 천장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은닉되게 마련되고 화재 발생 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모듈; 및 상기 선실의 측벽과 천장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은닉되게 마련되고 화재 발생 시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실의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은닉공간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장식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식도어는 힌지에 의해 상기 선실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압입식으로 상기 은닉공간부의 개구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선실의 내부에 층별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크(deck)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컨트롤에 의해 물을 독립적으로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클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는, 상기 은닉공간부의 후벽면에 배치되는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의 단부에 마련되는 주름연결부; 및 상기 주름연결부에 의해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은닉공간부 내에 배치되며, 화재 진압을 위한 물이 내부로 공급될 때 수압에 의해 상기 은닉공간부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그 길이가 연장되는 텔레스코픽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은닉공간부의 벽면에 지지시키는 호스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밸브는 전자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있으며, 상기 선실은 크루즈선(cruise ship)의 아트리움(atriu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실내 인테리어의 품격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예컨대, 아트리움(atrium)처럼 선실의 천장 높이가 높을 뿐만 아니라 바닥이 넓은 장소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이 적용되는 크루즈선(cruise ship)의 아트리움(atrium)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이 동작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물분사노즐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이 동작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에서 물분사노즐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이 적용되는 크루즈선(cruise ship)의 아트리움(atrium)에 대한 개략적인 구조도이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선박은 상선, 군함, 어선, 운반선, 드릴쉽, 부유식 해상 구조물 및 특수 작업선 등 그 종류가 다양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을 크루즈선(cruise ship)이라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은 선박에 갖춰지는 다양한 선실에 적용될 수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선실을 크루즈선의 아트리움(100, atrium)이라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아트리움(100)은 의자나 테이블이 별로 놓여 있지 않은 통로 중심의 넓은 장소로서 회의장과 같이 모임과 연회를 할 수 있는 큰 방(room)을 가리키는데, 아트리움(100)의 중앙 공간은 바닥(101)으로부터 천장(102)까지의 높이가 십여 미터 이상이 될 정도로 높고, 바닥(101)의 면적 역시 상당히 넓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아트리움(100)의 일측에는 층별로 다수의 데크(deck)가 배치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개 층의 데크가 마련되고 있다. 아트리움(100)의 내부 넓은 공간과 달리 각 데크에는 의자가 갖춰질 수 있다.
데크의 단부에는 후술할 컨트롤러(140, 도 6 참조)의 컨트롤에 의해 물을 독립적으로 분사하는 스프링클러(S)가 마련된다. 스프링클러(S)는 아트리움(100)의 중앙 공간의 바닥(101) 영역을 향하도록 비스듬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회전식 스프링클러를 적용하는 경우라면 스프링클러(S)를 비스듬하게 배치할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은 아트리움(100)의 구조에서 만약 아트리움(100)의 바닥(101) 영역에 도 1처럼 화재가 발생될 경우, 본 실시예의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이 동작되어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하, 본 실시예의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에 대해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4는 각각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이 동작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고, 도 5는 물분사노즐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은,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 밸브(120), 화재 감지부(130, 도 1 참조) 및 컨트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는 아트리움(100)의 측벽(103)에 형성되는 은닉공간부(105)에 접철 가능하게 배치된다. 즉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도 2의 경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는 은닉공간부(105) 내에 접혀진 상태로 배치된다. 그렇지만, 도 3 및 도 4처럼 아트리움(100)에 화재가 발생되어 화재 진압을 위한 물이 내부로 공급될 때는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가 은닉공간부(105)로부터 아트리움(100)의 내부공간으로 펼쳐진다.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가 배치되는 은닉공간부(105)에 대해 먼저 알아보면, 은닉공간부(105)는 아트리움(100)의 측벽(103)을 함몰되게 가공함으로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은닉공간부(105)의 개구에는 장식도어(106)가 개폐 가능하게 마련된다.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아트리움(100)의 측벽(103)은 고품격 플라스틱이나 천연 혹은 인공 대리석 등의 인테리어 소품으로 장식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장식도어(106) 역시 그에 부합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장식도어(106)는 평상 시 도 2처럼 은닉공간부(105)의 개구를 차폐하고 있기 때문에, 은닉공간부(105) 내에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가 배치되어 있다 하더라도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단순히 소화전을 설치하는 것에 비해 실내 인테리어의 품격을 떨어뜨리지 않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도 3 및 도 4처럼 아트리움(100)에 화재가 발생되면 은닉공간부(105) 내에 배치되어 있던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가 펼쳐지면서 아트리움(100)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되어야 하는데, 이때는 장식도어(106)가 열려야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장식도어(106)가 힌지(107)에 의해 아트리움(100)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가 펼쳐질 때는 도 3 및 도 4처럼 장식도어(106)가 열릴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장식도어(106)가 압입식으로 되어 은닉공간부(105)의 개구에 배치될 수도 있는데, 이럴 경우에는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가 펼쳐질 때 장식도어(106)가 떨어져 나가게 된다. 물론, 장식도어(106)가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에 연결되어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와 함께 이동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는, 제1 내지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113)와, 제1 내지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113)들 사이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주름연결부(114)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3개의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113)를 개시하고 있지만 이의 개수는 3개보다 적어도 무방하고 많아도 무방하다.
제1 내지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113)가 도 4처럼 완전히 펼쳐져서 화재를 진압할 때, 제1 내지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113)가 제위치를 찾지 못하고 흔들리면 곤란하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113)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공급되는 물에 의해 임의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가 호스지지부(116)에 의해 은닉공간부(105)의 벽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있다. 호스지지부(116)는 제1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가 내부로 통과될 수 있도록 고리 형상의 브래킷으로 적용될 수 있다. 호스지지부(116)는 도 4와 같이 은닉공간부(105)의 하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나 상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일 최외곽에 위치되는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3)의 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11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커넥터(117)와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3) 간의 결합은 나사식일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117)의 외벽면에는 다수의 물분사공(미도시)을 구비한 물분사노즐(119)이 결합된다. 물분사노즐(119) 역시 노즐체결부(119a)가 커넥터(117)의 외벽면 통공(117a)에 나사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사항 역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데, 물분사노즐(119)은 그 위치에서 회전되는 것으로 대체될 수도 있고, 상기 커넥터(117)와 일체로 제작 및 설치될 수도 있다.
밸브(120)는 제1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에 연결되어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 내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밸브(120)는 제1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와 연결되어 아트리움(100)의 측벽(103)의 배후로 연장되는 연결관(109)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관(109)은 도시 않은 물탱크와 연결된다.
밸브(120)는 컨트롤러(140)에 의해 그 동작이 컨트롤되어야 하기 때문에 전자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로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기계식 밸브가 적용되더라도 관계는 없다.
화재 감지부(130)는 아트리움(100)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화재 감지부(13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트리움(100)의 천장(102)에 은닉되게 마련되고 화재 발생 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모듈(131)과, 아트리움(100)에 은닉되게 마련되고 화재 발생 시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모듈(13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기 감지모듈(131)과 열 감지모듈(132)을 은닉되게 설치함으로써 아트리움(100) 내의 실내 인테리어 품격이 저하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컨트롤러(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기 감지모듈(131)과 열 감지모듈(132)을 포함하는 화재 감지부(130)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밸브(120)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컨트롤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컨트롤러(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처리장치(141, CPU), 메모리(142, MEMORY), 서포트 회로(143, SUPPORT CIRCUIT)를 포함한다.
CPU(141)는 본 실시예의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을 구현 또는 컨트롤하기 위해서 산업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컴퓨터 프로세서들 중 하나일 수 있다. 메모리(142, MEMORY)는 CPU(141)와 동작으로 연결된다. 메모리(142)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서 로컬 또는 원격지에 설치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ROM,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임의의 디지털 저장 형태와 같이 쉽게 이용가능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메모리이다. 서포트 회로(143, SUPPORT CIRCUIT)는 CPU(141)와 작용적으로 결합되어 프로세서의 전형적인 동작을 지원한다. 이러한 서포트 회로(143)는 캐시, 파워 서플라이, 클록 회로, 입/출력 회로, 서브시스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에서 연기 감지모듈(131)과 열 감지모듈(132)을 포함하는 화재 감지부(130)로부터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밸브(120)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컨트롤하는 일련의 프로세스 등이 메모리(142)에 저장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는 소프트웨어 루틴이 메모리(142)에 저장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루틴은 또한 다른 CPU(미도시)에 의해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 있으며, 그러한 다른 CPU(미도시)는 화재 진압 시스템과는 거리적으로 이격된 곳에 위치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세스는 소프트웨어 루틴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 중 적어도 일부는 하드웨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처럼, 본 발명의 프로세스들은 컴퓨터 시스템 상에서 수행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또는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의 조합에 의해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2처럼 화재가 발생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110)가 아트리움(100)의 측벽(103)에 형성되는 은닉공간부(105)에 접혀서 배치된다. 이때는 장식도어(106)가 은닉공간부(105)의 개구를 차폐하고 있다.
그러다가 아트리움(100) 내에 화재가 발생되면, 연기 감지모듈(131)과 열 감지모듈(132) 중 어느 하나가 화재를 감지하여 컨트롤러(140)로 신호를 전송한다. 그러면 컨트롤러(140)가 밸브(120)의 동작을 온(on)시켜 제1 내지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113)를 통해 화재 진압용 물이 공급되도록 한다.
제1 내지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113)의 내부로 물이 공급되면 수압에 의해 제1 내지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113)가 펼쳐지면서 아트리움(100)의 내부공간으로 노출된다. 이때는 장식도어(106)가 열린다.
공급된 물은 제1 내지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113)를 통해 물분사노즐(119)을 경유하여 화재 쪽으로 분사됨에 따라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실내 인테리어의 품격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예컨대, 아트리움(100처럼 선실의 천장(102) 높이가 높을 뿐만 아니라 바닥(101)이 넓은 장소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도 7 및 도 8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이 동작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210)가 전술한 실시예와 다른 구조로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210)는 제2 및 제3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2,113) 대신에 제1 및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3,214)가 적용되고 있다.
제1 텔레스코픽 파이프(213)와 제1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 사이에는 주름연결부(215)가 마련되어 제1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에 대하여 제1 및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3,214)가 접혀지거나 펼쳐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주름연결부(215)의 작용에 기초하여 제1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에 대해 도 7처럼 접혀져 있던 제1 및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3,214)가 도 8처럼 펼쳐지기 위해, 제1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는 은닉공간부(105)의 후벽면(105a)에서 호스지지부(216)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제1 및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3,214)는 도 7처럼 은닉공간부(105)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래야만 제1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111)로 물이 공급될 때, 수압에 의해 제1 및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3,214)가 밀리면서 장식도어(106)를 밀고 노출되어 화재가 발생된 영역으로 향할 수 있다.
호스지지부(216)는 도 7과 같이 은닉공간부(105)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으나, 은닉공간부(105)의 하부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장식도어(106)는 압입식으로 형성되어야 수압에 의해 장식도어(106)의 개폐가 용이할 수 있다.
도 8의 확대된 부분을 살펴보면, 통상적인 직선형 안테나 구조를 갖는 제1 및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3,214)는 제1 텔레스코픽 파이프(213)에 비해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4)의 내부 단면 직경이 작다.
따라서 도 8의 확대된 부분의 화살표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3,214)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 제1 텔레스코픽 파이프(213)의 넓은 내부유로를 따라 흐르던 물이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4)의 좁은 내부유로를 따라 흐르면서 불가피하게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4)의 내측플랜지(214a)를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작용을 통해 제1 텔레스코픽 파이프(213)에 대해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4)가 길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4)의 내측플랜지(214a)는 수압에 의해 가압되어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4)를 연장시킬 수 있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4)의 내측플랜지(214a)는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4)가 제1 텔레스코픽 파이프(213)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부분이다.
즉, 제1 및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3,214)를 통해 물이 공급되면, 물분사노즐(119)로 물이 분사되면서 수압에 의해 제1 및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3,214)가 장식도어(106)로 외부로 펼쳐지게 되고, 계속해서 물이 공급되면 물이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4)의 내측플랜지(214a)를 가압하게 되어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4)를 제1 텔레스코픽 파이프(213)로부터 연장시키게 된다.
본 실시예처럼 제1 및 제2 텔레스코픽 파이프(213,214)가 적용되더라도 실내 인테리어의 품격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도 예컨대, 아트리움(100)처럼 선실의 천장 높이가 높을 뿐만 아니라 바닥이 넓은 장소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에서 물분사노즐 영역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 도면의 경우, 물분사노즐(119)이 커넥터(317)의 외벽면 둘레를 따라 다수 개 결합되고 있다. 이러한 경우, 화재의 발원지와 무관하게 화재 진압에 좀 더 유리한 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분사노즐(119)의 결합 방식은 전술한 설명으로 대체한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였는데, 화재 감지부는 통상적인 카메라 혹은 열 감지 카메라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열 감지 카메라가 적용되면 화재 발생 시 전기가 오프(off)되어 어두워진다 하더라도 열 감지 카메라가 화재를 명확하게 감지하여 컨트롤러로 신호를 전송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아트리움 101 : 바닥
102 : 천장 103 : 측벽
105 : 은닉공간부 106 : 장식도어
107 : 힌지 110 :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
111~113 :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 114 : 주름연결부
116 : 호스지지부 117 : 커넥터
119 : 물분사노즐 120 : 밸브
130 : 화재 감지부 140 : 컨트롤러

Claims (10)

  1. 선실의 측벽에 형성되는 은닉공간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부분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배치되며, 화재 진압을 위한 물이 내부로 공급될 때 상기 은닉공간부로부터 상기 선실의 내부로 펼쳐지는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에 연결되어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 내로 공급되는 물의 흐름을 단속하는 밸브;
    상기 선실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및
    상기 화재 감지부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밸브의 온/오프(on/off) 동작을 컨트롤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는,
    다수의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 및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들 사이를 접철 가능하게 연결하는 주름연결부를 포함하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의 단부에 결합되는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외벽면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물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부는,
    상기 선실의 측벽과 천장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은닉되게 마련되고 화재 발생 시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감지모듈; 및
    상기 선실의 측벽과 천장 중에서 적어도 어느 일측에 은닉되게 마련되고 화재 발생 시 열을 감지하는 열 감지모듈을 포함하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실의 측벽에 배치되어 상기 은닉공간부의 개구를 개폐하는 장식도어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식도어는 힌지에 의해 상기 선실의 측벽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압입식으로 상기 은닉공간부의 개구에 배치되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실의 내부에 층별로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데크(deck)의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컨트롤러의 컨트롤에 의해 물을 독립적으로 분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클러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는,
    상기 은닉공간부의 후벽면에 배치되는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의 단부에 마련되는 주름연결부; 및
    상기 주름연결부에 의해 상기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에 대해 접철 가능하게 연결되되 상기 은닉공간부 내에 배치되며, 화재 진압을 위한 물이 내부로 공급될 때 수압에 의해 상기 은닉공간부의 외부로 노출되면서 그 길이가 연장되는 텔레스코픽 파이프를 포함하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화재 진압용 물공급호스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은닉공간부의 벽면에 지지시키는 호스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전자제어가 가능한 솔레노이드 밸브이며,
    상기 선실은 크루즈선(cruise ship)의 아트리움(atrium)인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1020110061202A 2011-06-23 2011-06-23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291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202A KR101291173B1 (ko) 2011-06-23 2011-06-23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1202A KR101291173B1 (ko) 2011-06-23 2011-06-23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90A KR20130000590A (ko) 2013-01-03
KR101291173B1 true KR101291173B1 (ko) 2013-07-31

Family

ID=47834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1202A KR101291173B1 (ko) 2011-06-23 2011-06-23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1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132B1 (ko) * 2019-09-10 2020-07-13 고정근 질식소화장치
KR102289714B1 (ko) 2021-01-15 2021-08-13 퍼스트 유한회사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KR102289709B1 (ko) 2020-10-19 2021-08-13 퍼스트 유한회사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2953B1 (ko) * 2015-02-17 2015-07-09 주식회사 신화에프이원 방화 영역별 스프링 클러 모니터링 장치
KR102576198B1 (ko) 2016-10-14 2023-09-07 한화오션 주식회사 갠트리크레인식 화재진압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선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420A (ja) * 2000-03-24 2001-10-02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US7810577B2 (en) * 2005-08-30 2010-10-12 Federal Express Corporation Fire sensor, fire detection system, fire suppression system, and combinations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9420A (ja) * 2000-03-24 2001-10-02 Nohmi Bosai Ltd スプリンクラ消火設備
US7810577B2 (en) * 2005-08-30 2010-10-12 Federal Express Corporation Fire sensor, fire detection system, fire suppression system, and combinations thereof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3132B1 (ko) * 2019-09-10 2020-07-13 고정근 질식소화장치
KR102289709B1 (ko) 2020-10-19 2021-08-13 퍼스트 유한회사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WO2022085992A1 (ko) 2020-10-19 2022-04-28 퍼스트 유한회사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KR102289714B1 (ko) 2021-01-15 2021-08-13 퍼스트 유한회사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590A (ko) 2013-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173B1 (ko)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101553775B1 (ko) 화재 진압용 자동 소방장치
CN102256667B (zh) 喷头
AU2007336925B2 (en) Fryer fire suppression system
NO313407B1 (no) Fremgangsmåte og installasjon for brannslukning ved bruk av en kombinasjon av v¶sketåke og en ikke-brennbar gass
KR20140084967A (ko) 화재 방지 시스템
KR101662590B1 (ko) 스프링클러 방식의 건물용 소방장치
KR20160001569U (ko)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EP2543587A1 (en) Invasion preventing apparatus for ship
CN108042963A (zh) 一种自动喷水消防箱
KR100822385B1 (ko) 소형고속정의 수평배기관 적외선 감쇠장치
KR101635017B1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KR102576198B1 (ko) 갠트리크레인식 화재진압시스템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20190078983A (ko) 컨테이너선의 갑판 상부 소화시스템
KR200463826Y1 (ko) 선박용 소화수 배관 동파 방지장치
KR102175908B1 (ko) 소화방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713236B1 (ko) 소방 분사장치와 시스템
KR20150001166U (ko) 소화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JP4322115B2 (ja) 消火方法及び装置
KR20170058137A (ko) 소화장치
KR20170111227A (ko) 소방수 분사 시스템
KR20170123452A (ko) 소방장치
KR101309186B1 (ko) 선박용 폼제너레이터
KR101894322B1 (ko) 소화방재구조물 및 서지압력제어방법
KR101045660B1 (ko) 화재진압용 소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