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714B1 -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 Google Patents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714B1
KR102289714B1 KR1020210005697A KR20210005697A KR102289714B1 KR 102289714 B1 KR102289714 B1 KR 102289714B1 KR 1020210005697 A KR1020210005697 A KR 1020210005697A KR 20210005697 A KR20210005697 A KR 20210005697A KR 102289714 B1 KR102289714 B1 KR 102289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loading box
battery cells
battery cell
she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714B9 (ko
Inventor
김종우
임진아
Original Assignee
퍼스트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스트 유한회사 filed Critical 퍼스트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10005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7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714B1/ko
Priority to PCT/KR2021/012458 priority patent/WO2022154211A1/ko
Publication of KR10228971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71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3Gases with forced flow, e.g. by blow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6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eat-exchange fluid
    • H01M10/6561Gases
    • H01M10/6566Means within the gas flow to guide the flow around one or more cells, e.g. manifolds, baffles or other barri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6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 H01M10/663Heat-exchang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lls and other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or fuel cells the system being an air-conditioner or an eng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49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specially adapted for aircraft or vehicles, e.g. cars or tra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01M2200/10Temperature 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추진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는 다수의 배터리셀을 탑재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그 배터리셀에 발생한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테이너 형상의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은 측면에 출입문이 구비되고, 상부에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컨테이너 형상의 적재함, 적재함의 내부에서 다수의 배터리셀을 보관하는 하나 이상의 선반부, 배터리셀이 하나씩 연결되는 다수의 단자로 구성되어 하나 이상의 선반부와 함께 설치되는 단자대, 적재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화재 감지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하나 이상의 선반부 각각의 상방에 설치되어 화재시 하방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및, 화재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Storage box for battery cell}
본 발명은 배터리셀을 탑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추진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는 다수의 배터리셀을 탑재하는 용도로 사용되고, 그 배터리셀에 발생한 화재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컨테이너 형상의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형 선박의 운행에는 가격이 저렴한 벙커C유가 사용되는데, 특히 선박용으로 사용되는 벙커C유에는 일반 벙커C유 보다 다량의 황이 함유되어 있어 연소시 발생하는 황산화물 등의 매연이 상당한 수준의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선박에서 발생하는 매연량 또는 매연의 농도를 규제하기 위한 강력한 법안들이 범세계적으로 발표되고 있는 상황이며, 이러한 이유로 각국에서는 종래의 화학 에너지를 대신하여 전기 에너지를 선박의 추진에 이용하는 전기추진 선박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전기추진 선박에는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위한 다수의 배터리셀을 안전하게 탑재할 수 있는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는데, 이와 관련해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1107호의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7666호의 “선박용 배터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1107호의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에는 내부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충전셀과 상기 충전셀에 연결되는 긴 막대 형상인 다수의 노출 전극들을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선박에의 전력 공급에 이용될 수 있는 컨테이너형 대용량의 배터리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7666호의 “선박용 배터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에는 다수의 배터리셀 중 이상이 발생한 배터리셀을 감지하고 감지된 배터리셀을 배터리랙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제거하되, 그에 따라 배터리시스템의 전체전압이 요구되는 전압을 충족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사용을 중단하도록 구성되어 다수의 배터리셀 중 어느 하나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안전한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다수의 배터리셀이나 그 다수의 배터리셀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방안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다수의 배터리셀을 탑재 및 운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컨테이너 내부의 구체적인 구조나 그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셀 화재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방안은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1173호의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8679호의 “선박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등에는 선박에서 발생한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나 장치 등에 관한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으나, 이러한 종래 발명들 또한 일반적인 화재와는 성격이 다른 배터리셀 화재에는 적절한 대응방안이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모두 해결할 수 있도록 전기추진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는 다수의 배터리셀을 탑재 및 운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컨테이너 내부의 구체적인 구조를 제시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서 발생한 배터리셀 화재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21107호(2016. 10. 19.)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7666호(2019. 07. 3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1173호(2013. 07. 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8679호(2020. 03. 09.)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
종래의 발명들은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다수의 배터리셀이나 그 다수의 배터리셀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안정적인 운용을 위한 방안만을 제시하고 있을 뿐, 다수의 배터리셀을 탑재 및 운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컨테이너 내부의 구체적인 구조나 그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셀 화재에 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방안은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측면에 출입문이 구비되고, 상부에 하나 이상의 유입구가 형성되며, 하부에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가 형성되는 컨테이너 형상의 적재함;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서 다수의 배터리셀을 보관하는 하나 이상의 선반부; 배터리셀이 하나씩 연결되는 다수의 단자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선반부의 사이에 설치되는 단자대;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화재 감지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한 쌍의 선반부 각각의 상방에 설치되어 화재시 하방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분사부; 및, 상기 화재 감지기의 신호에 따라 상기 분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은,
컨테이너 형상의 적재함 내부에 한 쌍의 선반부를 2열 횡대의 형태로 설치하고, 그 한 쌍의 선반부의 사이에 단자대를 설치하며, 각 선반부의 상방에는 분사부를 설치하는 등의 구체적인 구조를 제시함으로써 다수의 배터리셀을 탑재 및 운용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컨테이너의 내부 구조를 효과적으로 구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내부에서 발생할 수 있는 배터리셀 화재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a 및 도 1b은 본 발명에 의한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의 외부 사시도.
도 2a는 선반부에 트레이가 미장착된 상태인 적재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
도 2b는 선반부에 트레이가 장착된 상태인 적재함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
도 3은 트레이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적재함 내부에서의 기류를 나타낸 예시도.
도 5a 및 도 5b는 적재함 내부의 온도에 따른 제어부의 작동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적재함의 내부에 하우징이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내부 구성도.
본 발명은 배터리셀을 탑재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적재함에 관한 것으로써,
측면에 출입문(101)이 구비되고, 상부에 하나 이상의 유입구(102)가 형성되며, 하부에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03)가 형성되는 컨테이너 형상의 적재함(100);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서 다수의 배터리셀을 보관하는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 배터리셀이 하나씩 연결되는 다수의 단자로 구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와 함께 설치되는 단자대(120);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화재 감지기(130); 상기 유입구(102)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 각각의 상방에 설치되어 화재시 하방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분사부(140); 및, 상기 화재 감지기(1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분사부(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은 측면에 출입문(101)이 구비되고, 상부에 하나 이상의 유입구(102)가 형성되며, 하부에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03)가 형성되는 컨테이너 형상의 철재 구조물로써,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다수의 배터리셀을 포함한 전력 공급 장치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적재함(100)은 일반적인 컨테이너의 형상과 동일하게 내부에 공간을 가진 직사각의 형상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형상의 특징에 의해 다른 컨테이너들과 동일하게 이송이 간편해지는 효과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적재함(100)은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이송되거나 크레인에 의해 이송되어 선박의 지정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화재나 장시간의 항해로 인한 배터리셀의 방전 등의 상황을 대비하여 예비로 하나 이상의 적재함(100)이 더 선박에 준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100)은 그 재질의 특성과 다수의 배터리셀로부터 발생하는 열 등에 의하여 내부의 온도가 쉽게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기 때문에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내부에는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냉난방 장치(104)가 구비되어야 하며, 환기를 위한 환기 장치(106)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냉난방 장치(104)는 상기 적재함(100)의 측면부 중 출입문(101)이 구비된 측면부를 제외한 다른 측면부의 내측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된 상태로 전면부와 후면부를 향해 각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는 한 쌍의 덕트(105)를 이용하여 적재함(100)의 내부에 냉기 또는 온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환기 장치(106)는 환기의 효율성을 위해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직사각의 형상인 상기 적재함(100)은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상대적으로 짧은 폭을 가진 전면과 후면 그리고 상대적으로 긴 폭을 가진 양 측면으로 구성되고, 천장과 바닥으로 구성되는데 그 전면과 후면을 각각 전면부와 후면부로 지칭하기로 하고, 양 측면을 측면부로 지칭하기로 하며, 천장과 바닥을 각각 천장부와 바닥부로 지칭하기로 한다.
또한,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는 선반용도의 물품으로써, 동일한 너비와 높이를 가진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된 상태로 각 구역마다 다수의 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구조물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에는 동일한 크기를 가진 다수의 층 또는 칸이 형성될 수 있으며, 그 다수의 층 또는 칸에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셀이 내장되는 트레이(160)가 하나씩 삽입 체결됨으로써 다수의 배터리셀 각각이 독립적인 형태로 보관되며 전기추진 선박에의 전력 공급을 위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60)는 내부에 배터리셀을 보관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자 형태인 본체(161)와 플랜지를 형성하는 형태로 본체(161)를 폐쇄하는 덮개(1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 덮개(162)에 의해 형성되는 트레이(160)의 플랜지는 상기 선반부(110)에의 고정을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덮개(162)의 일측에는 상기 트레이(160)의 내부에서 배터리셀에 의해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소형의 환기팬(163)이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소형의 환기팬(163)이 내부의 열을 방출하는 방향은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중심부에 단자대(120)가 설치된 방향이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서는 상기 냉난방 장치(104)로부터 배출되는 냉기 또는 온기의 흐름이 적재함(100)의 전면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 중 어느 하나와의 사이 그리고 후면부와 다른 선반부(110)의 사이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트레이(160)로부터 방출되는 온기의 흐름이 중심부를 향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온기의 성질에 따른 상승 흐름이 형성될 수 있고, 환기 장치(106)의 작동에 의한 전면부와 후면부 측으로의 흐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서는 상기 트레이(160)의 환기팬(163), 상기 냉난방 장치(104) 그리고 상기 환기 장치(106) 등에 의한 공기의 순환이 활발하게 형성됨으로써 그 내부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고, 내부로 유입된 먼지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며, 결과적으로는 배터리셀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단자대(12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에 보관되는 배터리셀과 하나씩 연결될 수 있는 다수의 단자들로 구성되는 전력 공급 장치이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가 배치될 수 있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 즉, 2열 횡대의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적재함(100) 내부 구조의 최적화를 위해 그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에 보관되는 모든 배터리셀이 반드시 상기 단자대(120)에 구비되는 모든 단자들에 일대일로 매칭될 수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므로, 그 단자대(120)에는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에 보관되는 배터리셀이 연결될 수 있는 개수의 단자들이 구비될 수 있으나 일부의 배터리셀만이 연결될 수 있는 개수의 단자들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화재 감지기(13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상부측 등에 구비된 상태로 그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는 센서류의 장치이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반드시 포함하여 구성되고,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센서를 부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재 감지기(130)는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온도가 기설정된 특정온도에 도달하거나 단시간내에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급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화재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경보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연기센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그 적재함(100) 내부에서의 상당량의 연기발생을 화재발생의 감지에 부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140)는 배터리셀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는 소방용 장치이며,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 각각의 상방에 설치된 상태에서 화재시 하방으로 소화수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분사부(140)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 각각의 상방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구와 상기 적재함(100)의 상부인 천장부에 일부가 설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천장부에 형성된 유입구(102)를 통해 외부로 진출하는 형태로 설치되어 다수의 분사구를 향해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라인 그리고 공급 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적재함(100) 주변의 소화전 등으로부터 공급되는 소화수의 분사를 통해 배터리셀에 발생한 화재가 진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사부(140)에 공급되는 소화수는 전기추진 선박이 운행하는 장소에 따라 그 전기추진 선박 주변의 해수 또는 담수일 수 있고, 전기추진 선박에 저장되는 저장수일 수 있으며, 그 저장수에는 전기화재의 진압에 효과적인 탄산수소나트륨 분말이나 제1 인산암모늄 분말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100) 내부에는 적재함(100)의 내부로 유입된 소화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레벨 센서가 일정높이로 설치됨으로써 상기 분사부(140)에 의한 소화수의 공급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배터리셀에 발생한 화재의 진압을 위해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로 분사된 소화수는 적재함(1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배출구(10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나, 상기 배출구(103)를 통한 소화수의 배출은 배터리셀에 발생한 화재의 진압이 완료된 후에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즉, 일반적인 화재의 경우에는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로 분사된 소화수가 즉시 외부로 배출되어도 무방하나, 배터리셀에 발생한 화재의 진압에는 화재가 발생한 배터리셀을 침수시키는 방식이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므로 상기 배출구(103)는 적재함(100)의 내부가 소화수에 의해 침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밸브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밸브의 종류로는 자동 개폐를 위한 솔레노이드 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상부측에는 화재시 상기 선반부(110)를 향해 자동으로 소화용 분말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분말형 소화기(107)가 다수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분말형 소화기(107)에 의한 소화용 분말의 분사는 상기 분사부(140)에 의한 소화수의 분사보다 선행되도록 구성된다.
즉, 배터리셀에 발생한 화재의 경우에는 소화수에 의한 화재의 진압 방식이 소화용 분말에 의한 진압 방식보다 효과적이나 소화수에 의해 침수된 배터리셀은 이용이 불가하게 되므로 본 발명은 소화수의 분사에 앞서 소화용 분말의 분사가 발생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화재한 미발생한 배터리셀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서 발생한 배터리셀 화재에 대응하여 상기 분사부(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이며, 화재로부터의 피해가 방지될 있도록 적재함(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형태이다.
구체적으로,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화재 감지기(130)에 의하여 측정되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특정온도에 도달하거나 단시간내에 기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급상승하는 경우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사부(140)를 구성하는 공급라인의 일측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와 적재함(100)의 외부에 구비된 공급 펌프를 제어하여 그 공급라인을 따라 적재함(100)의 내부로 소화수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 하나 이상의 분말형 소화기(107)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분사부(140)의 제어에 앞서 그 하나 이상의 분말형 소화기(107)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소화용 분말의 분사에도 불구하고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하강하지 않는 경우에는 즉시 분사부(140)에 의한 소화수의 분사가 발생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정상범위 내의 온도로 하강한 이후로 일정시간이 경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배출구(103)에 관계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제어하여 소화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화재 감지기(130)에 의한 경보신호가 다시 발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분말형 소화기(107)에 대한 제어를 생략하고 상기 분사부(140)를 제어하여 적재함(100) 내부에서의 화재가 진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50)는 상기 화재 감지기(130)에 의하여 측정되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범위 이내에서 서서히 상승하게 되는 경우에는 냉난방 장치(104)를 제어하여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고, 환기 장치(106)를 제어하여 적재함(100)의 내부가 환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는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 각각을 내입시키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화재 감지기(130)와 분말형 소화기(107) 내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170)이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하우징(170)에는 개폐용의 도어(17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사부(140)는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에 의해 각각 개별 제어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50)는 화재시 상기 분말형 소화기(107)와 분사부(14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하나 이상의 하우징(170) 중 화재가 감지된 하우징(170)의 내부에만 소화형 분말 또는 소화수가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은 화재가 발생한 배터리셀이 위치한 하우징(170)의 내부에만 소화형 분말 또는 소화수에 의한 화재의 진압이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다른 하우징(170) 내부의 배터리셀들은 보호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함(100)은 전체의 크기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선박에서의 설치를 위한 공간이 미리 확보될 수 있도록 동일한 크기로 규격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재함(100)은 외부에서 측정되는 길이가 6,300㎜, 폭이 2,438㎜, 높이가 2700㎜인 직사각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전면부와 후면부의 두께가 각각 249㎜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양 측면부의 두께가 각각 100㎜로 구성될 수 있고,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가 각각 118㎜로 구성되어, 내부의 공간의 길이가 5,802㎜, 폭이 2,238㎜, 높이가 2,46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재함(100)의 일측에 구비되는 출입문(101)은 길이가 1,500㎜ 이상으로 구성되는 한 쌍의 개체로 구성되어 슬라이드 방식으로 그 적재함(100)을 개폐할 수 있으며, 적재함(100) 상부의 유입구(102)는 지름이 70㎜로 구성될 수 있고, 하부의 배출구(103)는 지름이 100㎜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는 전체의 길이가 1,990㎜, 폭이 840㎜, 높이가 2,240㎜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단자대(120)는 길이가 1,000㎜, 폭이 800㎜, 높이가 2,0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 각각에 트레이(160)가 삽입 체결되기 위해 진입하는 삽입구는 가로 길이가 530㎜, 세로 길이가 180㎜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트레이(160)는 본체(161)의 길이가 788㎜, 폭이 530㎜, 높이가 160㎜ 이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덮개(162)의 가로 길이가 610㎜, 세로 길이가 160㎜이하, 두께가 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가 상기 적재함(100)의 전면부 또는 후면부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는 각각 525㎜로 구성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와 상기 단자대(120) 간의 거리는 각각 1,132㎜로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적재함 → 101 : 출입문
→ 102 : 유입구
→ 103 : 배출구
→ 104 : 냉난방 장치
→ 105 : 덕트
→ 106 : 환기 장치
→ 107 : 분말형 소화기
110 : 선반부
120 : 단자대
130 : 화재 감지기
140 : 분사부
150 : 제어부
160 : 트레이 → 161 : 본체
→ 162 : 덮개
→ 163 : 환기팬
170 : 하우징 → 171 : 도어

Claims (5)

  1. 측면에 출입문(101)이 구비되고, 상부에 하나 이상의 유입구(102)가 형성되며, 하부에도 하나 이상의 배출구(103)가 형성되는 컨테이너 형상의 적재함(100);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서 다수의 배터리셀을 보관하는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
    배터리셀이 하나씩 연결되는 다수의 단자로 구성되어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와 함께 설치되는 단자대(120);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그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하는 하나 이상의 화재 감지기(130);
    상기 유입구(102)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는 형태로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 각각의 상방에 설치되어 화재시 하방으로 소화수를 분사하는 분사부(140); 및,
    상기 화재 감지기(130)의 신호에 따라 상기 분사부(1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5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배터리셀에 발생한 화재의 진압을 위해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로 분사된 소화수는, 상기 적재함(100)의 하부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상기 배출구(103)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배출구(103)를 통한 소화수의 배출은 배터리셀에 발생한 화재의 진압이 완료된 후에 발생하도록 밸브에 의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는,
    내측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된 상태로, 상기 적재함(100)의 전면과 후면을 향해 각각 연장되는 형태로 설치되되, 상기 적재함(100)의 전면부와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 중 어느 하나와의 사이 그리고 후면부와 다른 선반부(110)의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덕트(105)를 이용하여 냉기 또는 온기를 배출하는 냉난방 장치(104)가 구비되고,
    상기 적재함(10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하나 이상의 환기 장치(106)가 구비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는,
    동일한 너비와 높이를 가진 다수의 구역으로 구획된 상태로 각 구역마다 다수의 층이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되고, 각 층에는 배터리셀이 내장되는 트레이(160)가 하나씩 삽입 체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레이(160)는,
    내부에 배터리셀을 보관할 수 있도록 일측이 개방된 상자 형태인 본체(161) 및, 일측에 내부의 열을 상기 단자대(120)가 설치된 방향으로 방출하는 소형의 환기팬(163)이 구비되고, 플랜지를 형성하는 형태로 본체(161)를 폐쇄하는 덮개(1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100)의 상부측에는,
    화재시 상기 선반부(110)를 향해 자동으로 소화용 분말을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수의 분말형 소화기(10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화재시 상기 다수의 분말형 소화기(107)와 상기 분사부(14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화재 진압을 시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선반부(110) 각각을 내입시키는 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화재 감지기(130)와 분말형 소화기(107)가 내벽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나 이상의 하우징(170); 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50)는 화재시 상기 분말형 소화기(107)와, 하나 이상의 제어 밸브에 의해 개별 제어되도록 구성되는 상기 분사부(140)를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화재가 감지된 하우징(170)의 내부에만 소화형 분말 또는 소화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KR1020210005697A 2021-01-15 2021-01-15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KR102289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97A KR102289714B1 (ko) 2021-01-15 2021-01-15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PCT/KR2021/012458 WO2022154211A1 (ko) 2021-01-15 2021-09-14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697A KR102289714B1 (ko) 2021-01-15 2021-01-15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714B1 true KR102289714B1 (ko) 2021-08-13
KR102289714B9 KR102289714B9 (ko) 2022-10-21

Family

ID=77313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697A KR102289714B1 (ko) 2021-01-15 2021-01-15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89714B1 (ko)
WO (1) WO2022154211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211A1 (ko) * 2021-01-15 2022-07-21 퍼스트 유한회사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KR102560226B1 (ko) * 2023-02-07 2023-07-27 세호마린솔루션즈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 룸 화재 진압 장치 및 진압 방법
KR102569669B1 (ko) * 2023-02-07 2023-08-28 세호마린솔루션즈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 팩 화재 진압 장치 및 진압 방법
KR20230126894A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제이엠피네트웍스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배터리 랙 장치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73B1 (ko) 2011-06-23 201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20160121107A (ko) 2015-04-10 2016-10-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80002031U (ko) * 2016-12-27 2018-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내부에 스프링클러 소화 장치가 설치된 컨테이너 박스
KR101876227B1 (ko) * 2017-09-26 2018-08-02 (주)에이스엔지니어링 배터리 냉각 컨테이너
KR102007666B1 (ko) 2017-12-22 2019-08-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050803B1 (ko) * 2019-03-14 2019-12-04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에너지 저장장치(ess) 화재 감지 및 확산 방지용 자동소화시스템
KR102088679B1 (ko) 2018-10-16 2020-03-13 탱크테크 주식회사 선박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KR20200060869A (ko) * 2018-11-23 2020-06-02 (주)대은 안전성이 강화된 공조 기능을 포함하는 ess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9714B1 (ko) * 2021-01-15 2021-08-13 퍼스트 유한회사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1173B1 (ko) 2011-06-23 201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20160121107A (ko) 2015-04-10 2016-10-1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배터리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80002031U (ko) * 2016-12-27 2018-07-0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내부에 스프링클러 소화 장치가 설치된 컨테이너 박스
KR101876227B1 (ko) * 2017-09-26 2018-08-02 (주)에이스엔지니어링 배터리 냉각 컨테이너
KR102007666B1 (ko) 2017-12-22 2019-08-06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시스템 및 그 운용방법
KR102088679B1 (ko) 2018-10-16 2020-03-13 탱크테크 주식회사 선박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KR20200060869A (ko) * 2018-11-23 2020-06-02 (주)대은 안전성이 강화된 공조 기능을 포함하는 ess시스템
KR102050803B1 (ko) * 2019-03-14 2019-12-04 주식회사 창성에이스산업 에너지 저장장치(ess) 화재 감지 및 확산 방지용 자동소화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54211A1 (ko) * 2021-01-15 2022-07-21 퍼스트 유한회사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KR20230126894A (ko) * 2022-02-24 2023-08-31 주식회사 제이엠피네트웍스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배터리 랙 장치
KR102643296B1 (ko) * 2022-02-24 2024-03-05 주식회사 제이엠피네트웍스 선박 하이브리드 추진기용 배터리 랙 장치
KR102560226B1 (ko) * 2023-02-07 2023-07-27 세호마린솔루션즈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 룸 화재 진압 장치 및 진압 방법
KR102569669B1 (ko) * 2023-02-07 2023-08-28 세호마린솔루션즈 주식회사 선박용 배터리 팩 화재 진압 장치 및 진압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54211A1 (ko) 2022-07-21
KR102289714B9 (ko) 2022-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714B1 (ko)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CN210052822U (zh) 一种用于储能电池的封闭式液体消防装置
KR102289709B1 (ko)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ES2875741T3 (es) Sistema de almacenamiento estacionario para baterías
CN109939390A (zh) 一种基于气体灭火与机械通风散热的电化学储能站预制舱内灭火系统及方法
WO2012015001A1 (ja) 二次電池収納システムラック
US20220407176A1 (en) Fire mitigation system for energy storage systems
US20160278233A1 (en) Method and system to avoid fire of an electrical device
JP6779090B2 (ja) 二次電池の熱暴走抑止システム
JP6837310B2 (ja) 二次電池の熱暴走抑止システム
US11241599B2 (en) Fire suppression system
CN110960819A (zh) 淹浸式电池灭火系统及其灭火方法
KR20210012654A (ko) 리튬이온 배터리 셀 보관용 외함의 공조 장치
US20140196917A1 (en) Method and system to avoid fire of an electrical device
WO2012015004A1 (ja) 二次電池収納システムラック
KR20200087956A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이 강화된 외장 컨테이너형 에너지저장장치시스템
US20230155218A1 (en) Fire suppression system for lithium-ion battery containers
KR102120608B1 (ko) 안전성이 향상된 전기자동제어반
US20140202718A1 (en) Aircraft Fire Suppression
JP2003190312A (ja) チャンバ空間用消火装置
KR102442567B1 (ko) 이차 전지 시스템
CN113679987A (zh) 储能系统的消防控制方法、消防控制装置和储能系统
KR20210020443A (ko) 배터리 케이스
CN215275507U (zh) 电池柜通气结构、检测系统、消防系统与储能系统
CN216563297U (zh) 电池热管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