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709B1 -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709B1
KR102289709B1 KR1020200135097A KR20200135097A KR102289709B1 KR 102289709 B1 KR102289709 B1 KR 102289709B1 KR 1020200135097 A KR1020200135097 A KR 1020200135097A KR 20200135097 A KR20200135097 A KR 20200135097A KR 102289709 B1 KR102289709 B1 KR 102289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box
fire
inlet valve
temperatur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709B9 (ko
Inventor
김종우
임진아
Original Assignee
퍼스트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퍼스트 유한회사 filed Critical 퍼스트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5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7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709B1/ko
Priority to US18/030,556 priority patent/US20230364455A1/en
Priority to EP21883064.4A priority patent/EP4230270A1/en
Priority to PCT/KR2021/013595 priority patent/WO2022085992A1/ko
Publication of KR10228970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709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B63H21/17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by electric 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추진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배터리셀을 해수의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가진 박스 형태의 이동식 적재함의 내부에 구비하여 해상에서 발생한 전기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은 상단의 일측에 소화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밸브가 구비되고, 하부의 일측에 소화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밸브가 구비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다수의 배터리셀을 포함한 전력 공급 장치가 구비되는 박스 형태의 이동식 적재함, 적재함 내부의 상부측에 구비된 상태로 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유입밸브에 연결되는 공급호스와 펌프를 이용하여 적재함의 내부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화재 감지기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유입밸브, 배출밸브 및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Fire extinguishing system of battery loading of electric propulsion ship}
본 발명은 전기추진 선박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해상에서 발생한 전기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추진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배터리셀을 해수의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가진 박스 형태의 이동식 적재함의 내부에 구비하여 해상에서 발생한 전기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신속하게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화재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추진을 위해 사용되는 연료의 종류는 주로 경유이나, 이러한 경유는 연소시 휘발유에 비해 불완전 연소되는 비율이 높고, 매연을 발생시킴으로써 상당한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2050년까지 온실가스의 배출을 2008년 대비 50% 이상 감축하기 위한 강력한 선박환경규제를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라 각국에서는 전기 에너지를 추진에 이용하는 전기추진 선박의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기추진 선박에는 전기 에너지의 공급을 위한 다수의 배터리셀이 안전하게 보관될 수 있는 전용 공간이 반드시 구비되어야 하고 배터리셀의 과열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화재에 대비하기 위한 소화 설비가 구비되어야 하는데, 해상이라는 공간적인 제약과 전기화재의 특성상 기존의 소화기를 이용한 화재 대응의 방식만으로는 화재의 진화에 많은 어려움이 있을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선박에 발생한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장치 등에 관한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1173호의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및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8679호의 “선박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1291173호의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에는 선실의 측벽에 형성되는 은닉공간부에 적어도 일부분이 부분적으로 접철 가능하게 배치되며, 화재 진압을 위한 물이 내부로 공급될 때 은닉공간부로부터 선실의 내부로 펼쳐지는 화재 진압용 물공급부재와 선실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부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천장의 높이가 높고 바닥의 면적이 넓은 선실에서 발생하는 화재를 용이하게 진압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어 공개되었다.
또한, 상기 등록특허공보 제10-2088679호의 “선박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에는 선박의 갑판 폭방향 양측에 선체 길이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 가이드레일과 그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발화지점을 향해 소화수를 분사하는 소화유닛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선박과 같은 협소한 공간에서 발생되는 화재를 신속하게 진압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른 선박에서 발생한 화재의 진압 및 선박 주변의 안개 제거에도 활용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명들은 화재의 진화에 단순히 물을 분사하는 방식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등 전기화재의 진화에 특화된 것이라 할 수 없기 때문에 전기추진 선박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배터리셀의 과열 등으로 인해 해상에서 발생한 전기화재의 진화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그로 인한 상당한 피해가 누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추진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셀의 과열 등으로 인해 해상에서 발생한 전기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 등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91173호(2013. 07. 2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88679호(2020. 03. 09.)
본 발명에 의한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기술로써,
종래의 발명들은 화재의 진화에 단순히 물을 분사하는 방식을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등 전기화재의 진화에 특화된 것이라 할 수 없기 때문에 전기추진 선박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배터리셀의 과열 등으로 인해 해상에서 발생한 전기화재의 진화에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고, 그로 인한 상당한 피해가 누적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상단의 일측에 소화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밸브가 구비되고, 하부의 일측에 소화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밸브가 구비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다수의 배터리셀을 포함한 전력 공급 장치가 구비되는 박스 형태의 이동식 적재함; 상기 적재함 내부의 상부측에 구비된 상태로 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 상기 유입밸브에 연결되는 공급호스와 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함의 내부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부; 및, 상기 화재 감지기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유입밸브, 상기 배출밸브 및 상기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적재함에 구비되는 유입밸브와 배출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은,
전기추진 선박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의 배터리셀을 해수의 공급 및 배출 구조를 가진 박스 형태의 이동식 적재함의 내부에 구비하여 그 배터리셀의 과열 등으로 인한 전기화재의 발생범위를 한정함으로써, 해상에서 발생한 전기화재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을 구성하는 적재함의 내부 및 외부의 기본 형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을 이용한 화재진화의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적재함 내부의 온도 변화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적재함 내부의 온도 변화와 압력 변화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적재함 내부의 온도 변화와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본 발명은 전기추진 선박의 피해를 최소화하며 해상에서 발생한 전기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상단의 일측에 소화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밸브(101)가 구비되고, 하부의 일측에 소화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밸브(102)가 구비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다수의 배터리셀을 포함한 전력 공급 장치가 구비되는 박스 형태의 이동식 적재함(100);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상부측에 구비된 상태로 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110); 상기 유입밸브(101)에 연결되는 공급호스와 펌프(121)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부(120); 및, 상기 화재 감지기(110)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유입밸브(101), 상기 배출밸브(102) 및 상기 펌프(1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은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다수의 배터리셀을 포함한 전력 공급 장치가 구비되는 박스 형태의 컨테이너로써, 내부에서 발생한 전기화재의 영향에 의한 외부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몸체의 전체 또는 대부분이 스틸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는 냉난방 장치와 환기 장치가 구비되어 그 내부의 온도가 적정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내부의 공기가 환기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적재함(100)의 상단의 일측에는 유입밸브(101)가 구비되고, 하부의 일측에는 배출밸브(102)가 구비되어 전기화재의 발생시 유입밸브(101)를 통한 소화수의 유입과 배출밸브(102)를 통한 소화수의 배출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러한 유입밸브(101)와 배출밸브(102)는 모두 소화수의 유입과 배출을 자동으로 조절하기 위한 목적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는 압력 센서(103)가 구비되어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는 적재함(100) 내부 압력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압력 센서(103)에 의한 측정값은 화재 감지기(110)에 의한 측정값과 함께 제어부(130)에 의한 유입밸브(101)와 배출밸브(102)의 자동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는 수위 센서(104)가 구비되어 적재함(100) 내부의 수위 변화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하며, 그 수위 센서(104)에 의한 측정값은 화재 감지기(110)에 의한 측정값과 함께 제어부(130)에 의한 유입밸브(101)와 배출밸브(102)의 자동 제어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상기 화재 감지기(11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상부측에 구비된 상태로 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장치이며,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를 반드시 포함하여 구성되고, 연기를 감지하는 연기 센서 등을 부가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재 감지기(11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특정 온도에 도달하거나 급상승하는 경우에 화재의 발생을 알리기 위한 화재 신호를 생성하게 되며, 연기 센서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적재함(100) 내부에서의 상당량의 연기 발생을 화재 발생의 감지에 부가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 일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부(120)는 상기 적재함(100) 상단의 유입밸브(101)에 일측 말단부가 연결되고 타측 말단부가 해수 또는 담수에 잠기는 형태로 설치되거나 주변의 소화전 등에 연결될 수 있는 공급호스 및 유입밸브(101) 측으로 해수를 이송시키는 펌프(121)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공급 장치이며, 필요에 따라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로 소화수를 공급함으로써 그 내부에서 발생한 전기화재가 신속하게 진화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공급부(120)에 의하여 전기화재가 발생한 적재함(100)의 내부로 공급되는 소화수는 전기추진 선박이 위치한 장소에 따라 해수 또는 담수일 수 있고, 주변의 소화전으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는 수돗물일 수 있으며, 적재함(100)과 함께 설치된 별도의 저장부에 저장된 염수, 증류수 또는 수돗물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적재함(100)에 구비되는 배출밸브(102)는 하나일 수 있으나, 다수일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모두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다수의 배출밸브(102)가 상기 제어부(130)에 동시 또는 순차로 제어됨으로써 적재함(100)의 내부로 유입된 소화수의 배출속도가 필요에 따라 조절되도록 할 수 있고, 화재나 소화수의 유입으로 의해 발생하여 적재함(100) 내부에 잔존하는 부유물 등에 의한 배출밸브(102)의 막힘 현상에 대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적재함(100)에 다수의 배출밸브(102)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막힘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이유로 그 다수의 배출밸브(102) 각각이 서로 상당거리 이격되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함(100)에는 유입밸브(101)와 배출밸브(102)의 설치를 위한 다수의 설치구가 서로 다른 방향과 위치에 개폐 가능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전기추진 선박의 탑승한 작업자 등은 적재함(100)이 설치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유입밸브(101)와 배출밸브(102)가 설치되는 위치를 변경할 수 있고, 설치되는 수량을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화재 감지기(110)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유입밸브(101), 배출밸브(102) 및 펌프(12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가 자동으로 진화될 수 있도록 하는 대응 장치이며, 적재함(100) 내부에서 발생한 화재에 의한 영향을 받지않도록 적재함(100)의 외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유입밸브(101)를 개방함과 동시에 펌프(121)를 구동시킴으로써 공급호스를 따라 적재함(100)의 내부로 소화수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냉난방 장치와 환기 장치에 공급되는 전원을 즉시 차단하여 적재함(100) 내부에서 발생한 전기화재의 빠른 확산을 방지한다.
따라서, 전기화재가 발생한 상태인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는 상기 공급부(120)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다량의 소화수에 의하여 일정높이 이상으로 잠기게 되며, 상기 제어부(130)는 일정시간의 경과 후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배출밸브(102)를 개방함으로써 적재함(100) 내부의 소화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130)는 배출밸브(102)를 개방함에 있어 상기 화재 감지기(110)에서 측정되는 온도를 배출밸브(102) 개방의 기준으로 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화재 감지기(1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통상의 화재 경보장치가 발동하는 온도인 70℃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유입밸브(101)를 개방함과 동시에 펌프(121)를 구동시킬 수 있고, 그 상태에서 화재 감지기(1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65℃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유입밸브(101)를 폐쇄함과 동시에 펌프(121)의 구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적재함(100) 내부로의 소화수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상부층의 온도가 70℃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이를 적재함(100)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으나, 소화수의 공급에 의하여 그 온도가 65℃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화재가 진화된 상황으로 판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적재함(100) 내부에 구비된 배터리셀의 발화 지속 시간을 고려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화재 감지기(1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55 내지 60℃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배출밸브(102)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소화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화재 감지기(1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기설정된 시간 내에 기설정된 기준 이상으로 급상승하여 화재 신호가 생성되는 경우에는 유입밸브(101)를 개방함과 동시에 펌프(121)를 구동시킬 수 있고, 그 상태에서 화재 감지기(1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5℃ 이상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유입밸브(101)를 폐쇄함과 동시에 펌프(121)의 구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적재함(100) 내부로의 소화수의 공급이 중단되도록 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화재 감지기(110)에서 감지되는 온도가 추가로 5 내지 10℃ 이상 하강하는 경우에는 배출밸브(102)를 개방함으로써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소화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그 이유는 상기한 바와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유입밸브(101), 배출밸브(102) 및 펌프(121)를 제어함에 있어 상기 화재 감지기(110)에서 측정되는 온도에 더하여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압력 센서(103)에 의해 측정되는 압력의 변화를 이용할 수 있으며, 이에 관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상부층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유입밸브(101)를 개방하고 펌프(121)를 구동시킴으로써 적재함(100)의 내부로 소화수가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30)는 유입밸브(10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적재함(100)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유입밸브(101)를 폐쇄함과 동시에 배출밸브(102)를 개방하고 펌프(121)의 구동을 중단시킴으로써 적재함(100) 내부의 소화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후 적재함(100)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배출밸브(102)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밸브(101) 및 상기 배출밸브(102) 배출밸브를 개방하고 펌프(121)를 구동시킴으로써 적재함(100)의 내부로 소화수가 재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로 다량의 소화수를 유입시킴으로써 그 내부에서 발생한 전기화재가 진화될 수 있도록 하나, 그 과정에서 배터리셀 등의 장치가 폭발하는 등 다양한 원인으로 적재함(100)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에는 유입밸브(101)를 폐쇄하여 소화수의 유입으로 인한 압력의 추가 상승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출밸브(102)의 개방을 통해 적재함(100) 내부의 압력이 감소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1 설정 온도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에 구비되는 다수의 배터리셀에 의한 발열과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를 고려하여 기설정된 온도로써 화재에 의해서만 도달 가능한 고온의 온도이며, 통상의 화재 경보장치가 발동하는 온도가 70℃ 임을 고려하여 70 내지 90℃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설정 온도는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서의 재발화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이며, 적재함(100) 내부의 상부층의 온도가 가열된 상태임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설정 온도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의 온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그러나 상기 제1 설정 온도와 상기 제2 설정 온도는 상기 적재함(100) 외부의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성의 실현을 위해 적재함(100)의 외부에는 온도를 측정하는 외부 온도 센서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130)에 의한 제1 설정 온도와 제2 설정 온도의 자동 변경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상기 적재함(100)이 현재 위치한 장소의 온도가 30℃ 이상의 고온인 상태에서 냉난방 장치의 미작동이나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에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다른 때에 비해 고온으로 형성되는 현상을 고려한 것이며, 이러한 경우에 있어 상기 제1 설정 온도와 상기 제2 설정 온도의 변경 범위는 30℃를 기준으로 하여 외부의 온도가 1℃ 상승할 때마다 0.3 내지 0.35℃의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기설정된 제1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유입밸브(101)를 개방함과 동시에 펌프(121)를 구동시킴으로써 공급호스를 따라 적재함(100)의 내부로 소화수가 유입되도록 하되, 상기 유입밸브(10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적재함(100) 내부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유입밸브(101)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화재가 발생한 상태인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는 상기 공급부(120)에 의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다량의 소화수에 의하여 점점 잠기게 되나, 상기 수위 센서(104)에 의하여 감지되는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인 경우에는 유입밸브(101)의 폐쇄로 인해 수위의 증가가 방지되는 구성이다.
이에 더하여,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인 상태에서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밸브(101)와 상기 배출밸브(102)를 동시에 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로 다량의 소화수를 유입시킴으로써 그 내부에서 발생한 전기화재가 진화될 수 있도록 하나, 배터리셀은 소화수에 잠긴 상태로도 상단시간 발화할 수 있고, 이러한 경우에는 적재함(100)의 내부로 유입된 상태인 소화수의 온도가 점차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수위가 설정 수위 이상인 상태에서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밸브(101)와 상기 배출밸브(102)를 동시에 개방함으로써 적재함(100) 내부의 수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가열된 상태인 소화수가 새로운 소화수로 교체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적재함(100)은 박스 형태의 콘테이너이므로, 트럭 등의 운송수단에 탑재되어 이동한 후 전기추진 선박에 설치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트럭 등의 운송수단에 탑재된 상태 그대로도 전기추진 선박 또는 다른 장치들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적재함(100)은 트럭 등의 운송수단에 탑재된 상태 또는 전기추진 선박에 설치된 상태에서 흔들림 없이 견고하게 지지되기 위하여 외부에 다수의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적재함 → 101 : 유입밸브
102 : 배출밸브
103 : 압력 센서
104 : 수위 센서
110 : 화재 감지기
120 : 공급부 → 121 : 펌프
130 : 제어부

Claims (5)

  1. 상단의 일측에 소화수의 유입을 위한 유입밸브(101)가 구비되고, 하부의 일측에 소화수의 배출을 위한 배출밸브(102)가 구비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다수의 배터리셀을 포함한 전력 공급 장치가 구비되는 박스 형태의 이동식 적재함(100);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상부측에 구비된 상태로 그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 감지기(110);
    상기 유입밸브(101)에 연결되는 공급호스와 펌프(121)를 이용하여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로 소화수를 공급하는 공급부(120); 및,
    상기 화재 감지기(110)에서 측정된 온도에 따라 상기 유입밸브(101), 상기 배출밸브(102) 및 상기 펌프(12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유입밸브(101)와 상기 배출밸브(102)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는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 센서(10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밸브(101)를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입밸브(10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유입밸브(101)를 폐쇄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밸브(102)를 개방하되, 이후 적재함(100)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하로 하강하는 경우에는 배출밸브(102)를 폐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밸브(101) 및 상기 배출밸브(102)를 재개방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밸브(101)를 폐쇄하여 소화수의 유입으로 인한 압력의 추가 상승을 방지함과 동시에 상기 배출밸브(102)의 개방을 통해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압력이 감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설정 온도는 70 내지 80℃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설정 온도는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서의 재발화를 판단하기 위한 온도로서 81 내지 90℃의 범위 중 어느 하나의 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밸브(101)와 상기 배출밸브(102)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적재함(100)의 내부에는 유입된 소화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센서(104)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제1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밸브(101)를 개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입밸브(101)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으로 감지되는 경우에는 유입밸브(101)를 폐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30)는,
    상기 적재함(100) 내부의 수위가 일정 수위 이상인 상태에서 적재함(100) 내부의 온도가 제2 설정 온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경우에는 상기 유입밸브(101)와 상기 배출밸브(102)를 개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KR1020200135097A 2020-10-19 2020-10-19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KR102289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97A KR102289709B1 (ko) 2020-10-19 2020-10-19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US18/030,556 US20230364455A1 (en) 2020-10-19 2021-10-05 System for extinguishing fire in battery loading container in electric propulsion ship
EP21883064.4A EP4230270A1 (en) 2020-10-19 2021-10-05 System for extinguishing fire in battery loading container in electric propulsion ship
PCT/KR2021/013595 WO2022085992A1 (ko) 2020-10-19 2021-10-05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097A KR102289709B1 (ko) 2020-10-19 2020-10-19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709B1 true KR102289709B1 (ko) 2021-08-13
KR102289709B9 KR102289709B9 (ko) 2022-10-21

Family

ID=7731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097A KR102289709B1 (ko) 2020-10-19 2020-10-19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30364455A1 (ko)
EP (1) EP4230270A1 (ko)
KR (1) KR102289709B1 (ko)
WO (1) WO2022085992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77324A (zh) * 2022-01-19 2022-04-22 浙江中扬立库技术有限公司 一种锂电池智能物流防火货架系统及其喷淋装置
WO2022085992A1 (ko) * 2020-10-19 2022-04-28 퍼스트 유한회사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KR102545135B1 (ko) * 2022-10-14 2023-06-20 주식회사 퍼스트씨앤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 진압용 장치
CN116311783A (zh) * 2023-05-16 2023-06-23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基于人工智能的船舶机舱监测报警系统
WO2024096415A1 (ko) * 2022-11-01 2024-05-10 유광희 배터리화재 외부소화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334A (ko) * 2010-12-20 2012-06-2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호장치
KR101291173B1 (ko) 2011-06-23 201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20160010762A (ko) * 2014-07-18 2016-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소화시스템
KR102021072B1 (ko) * 2019-05-15 2019-11-05 주식회사 아산정밀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예방 시스템
KR102088679B1 (ko) 2018-10-16 2020-03-13 탱크테크 주식회사 선박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3988B1 (ko) * 2016-09-21 2019-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에너지 저장 장치 및 에너지 저장 장치의 화재 관리 방법
JP2017060805A (ja) * 2016-11-16 2017-03-30 ホーチキ株式会社 電気自動車向け消火システム
KR102289709B1 (ko) * 2020-10-19 2021-08-13 퍼스트 유한회사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9334A (ko) * 2010-12-20 2012-06-28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보호장치
KR101291173B1 (ko) 2011-06-23 2013-07-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화재 진압 시스템
KR20160010762A (ko) * 2014-07-18 2016-0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소화시스템
KR102088679B1 (ko) 2018-10-16 2020-03-13 탱크테크 주식회사 선박용 이동식 화재진압 소화장치
KR102021072B1 (ko) * 2019-05-15 2019-11-05 주식회사 아산정밀 에너지저장장치의 화재예방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85992A1 (ko) * 2020-10-19 2022-04-28 퍼스트 유한회사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CN114377324A (zh) * 2022-01-19 2022-04-22 浙江中扬立库技术有限公司 一种锂电池智能物流防火货架系统及其喷淋装置
KR102545135B1 (ko) * 2022-10-14 2023-06-20 주식회사 퍼스트씨앤디 전기차 충전소의 화재 진압용 장치
WO2024096415A1 (ko) * 2022-11-01 2024-05-10 유광희 배터리화재 외부소화장치
CN116311783A (zh) * 2023-05-16 2023-06-23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基于人工智能的船舶机舱监测报警系统
CN116311783B (zh) * 2023-05-16 2024-01-02 中国船舶集团有限公司第七一九研究所 一种基于人工智能的船舶机舱监测报警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85992A1 (ko) 2022-04-28
US20230364455A1 (en) 2023-11-16
KR102289709B9 (ko) 2022-10-21
EP4230270A1 (en) 2023-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709B1 (ko) 전기추진 선박의 배터리 적재함 화재진화 시스템
RU2143937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гашения огня
KR102289714B1 (ko) 배터리셀 탑재용 적재함
CN113047994A (zh) 一种甲醇燃油双燃料船舶
US9220937B2 (en) Inerting method and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ES1273159U (es) Contenedor de almacenamiento para baterias
CN208339955U (zh) 一种船舶灭火装置
US10039943B2 (en) Aircraft fire suppression
CN114814100A (zh) 一种保护系统、燃料准备舱及船舶
WO2014155520A1 (ja) ハイブリッド・タグボートの電池室
AU2013276275B2 (en) Fire prevention in storage silos
JP5301345B2 (ja) 塵芥収集車及び塵芥収集車の消火方法
JP2022156549A (ja) 船舶
KR102659928B1 (ko) 화재 진압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부유식 구조물
KR102420943B1 (ko) 선박의 고팽창 포말 이중펌핑 시스템
KR101380647B1 (ko) 선박 경보 시스템
KR102498287B1 (ko) 진공압을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102569669B1 (ko) 선박용 배터리 팩 화재 진압 장치 및 진압 방법
KR102455873B1 (ko) 보조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CN218248209U (zh) 消防系统及换电站
KR101686230B1 (ko) 컨테이너 베이 추가 확보를 위한 선미 펀넬장치 및 이를 가지는 선박
KR102560226B1 (ko) 선박용 배터리 룸 화재 진압 장치 및 진압 방법
KR102624529B1 (ko) 배터리 화재의 선별적 진화 시스템
KR102498284B1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CN207886559U (zh) 一种全自动控制船舶灭火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