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1569U -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1569U
KR20160001569U KR2020140007864U KR20140007864U KR20160001569U KR 20160001569 U KR20160001569 U KR 20160001569U KR 2020140007864 U KR2020140007864 U KR 2020140007864U KR 20140007864 U KR20140007864 U KR 20140007864U KR 20160001569 U KR20160001569 U KR 2016000156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water
fire extinguishing
foam
fresh water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8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복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400078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1569U/ko
Publication of KR201600015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1569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선박의 화재 진화시 동작하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말 소화 장치의 동작 후에도 화재가 진화되지 않은 경우 해수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고안은 소화영역에 구비되는 소화 분사노즐; 상기 소화 분사노즐의 상류측에 구비되며 포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폼 탱크; 상기 폼 탱크로 청수(Fresh water)를 공급하는 청수공급배관; 청수 또는 해수를 분사하는 압력을 발생하는 공용펌프; 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공용펌프의 입측으로 연결하는 해수유입배관; 및 청수탱크와 상기 공용펌프의 입측을 연결하는 청수유입배관;을 포함하는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FIRE PROTECTION DEVICE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의 화재 진화시 동작하는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포말 소화 장치의 동작 후에도 화재가 진화되지 않은 경우 해수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화재를 진화할 수 있도록 하는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서 화재가 발생할 경우 선박 또는 인명에 막대한 피해를 가져울 수 있으므로, 화재의 우려가 있는 방호구역에는 소화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대표적인 예로서는 선박의 갑판 화재 발생시 갑판으로 폼소화약제를 분사시키도록 하는 갑판 포말소화장치와 엔진룸이나 펌프룸 등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각 룰의 천장에서 폼소화약제를 고팽창시켜 분사하는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를 들 수 있다.
관련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특허 공개번호 10-2010-0084716호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가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선박의 화재 발생시 작동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선박용 복합 소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포말 소화제의 분사로도 화재가 진압되지 않을 경우 해수를 공급하여 연속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선박용 복합 소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포말 소화제 분사에 소요되는 펌프와, 해수의 공급에 소요되는 펌프를 공용화한 선박용 복합 소화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소화영역에 구비되는 소화 분사노즐; 상기 소화 분사노즐의 상류측에 구비되며 포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폼 탱크; 상기 폼 탱크로 청수(Fresh water)를 공급하는 청수공급배관; 청수 또는 해수를 분사하는 압력을 발생하는 공용펌프; 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공용펌프의 입측으로 연결하는 해수유입배관; 및 청수탱크와 상기 공용펌프의 입측을 연결하는 청수유입배관;을 포함하는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해수유입배관은 상기 청수유입배관에 분기관형태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해수유입배관과 상기 청수유입배관에 각각 차단밸브가 구비되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용펌프의 출측과 상기 소화분사 노즐을 연결하는 우회배관;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공용펌프와 상기 폼 탱크 사이에 구비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우회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2개폐밸브를 포함하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복합 소화 장치는 포말 소화제의 분사와 해수의 분사가 공용펌프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소화 장치를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소화장치 설치에 따른 작업공수와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도 1은 종래의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임.
본 명세서 및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는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는 소화영역(10)에 구비되는 분사노즐(20)과, 상기 분사노즐(20)의 상류측에 구비되는 폼 저장 탱크(30)와, 청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된 청수를 압송하여 상기 폼 저장 탱크(30)로 공급하는 폼 분사용 펌프(40)를 포함한다.
화재의 발생시 청수 저장탱크(50)에 저장된 청수가 폼 분사용 펌프(40)에 의하여 압송되며 폼 저장 탱크(30)에 저장된 폼과 혼합되며 발포되어 상기 분사노즐(20)로 소화 포말을 분사하게 된다.
또한,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는 폼 용액만으로 소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해수를 추가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구성도 구비하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해수공급펌프(60)를 구비하고, 해수공급펌프(60)의 출측이 폼 저장탱크(50)의 전단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 해수공급펌프(60)가 퍼 올린 해수를 상기 분사노즐(20)로 분사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폼 분사용 펌프(40)와 해수공급펌프(60)는 동시에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이므로, 중복적인 펌프 구성으로 인하여 설비원가 및 작업공수 증가의 요인이 되고 있었다.
본 고안은 종래의 이러한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의 펌프를 공용화하여, 설비를 간소화하고 작업공수와 설비원가를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는 포말 소화약제를 분사하기 위한 펌프와, 해수를 공급하여 분사하는 펌프를 공용화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본 고안은 소화영역(10)에 구비되는 소화 분사노즐(110)과, 상기 소화 분사노즐(110)의 상류측에 구비되며 포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폼 탱크(120)와, 상기 폼 탱크로 청수(Fresh water)를 공급하는 청수공급배관(130)과, 청수 또는 해수를 분사하는 압력을 발생하는 공용펌프(140)와, 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공용펌프의 입측으로 연결하는 해수유입배관(150)과, 청수탱크(50)와 상기 공용펌프의 입측을 연결하는 청수유입배관(16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해수유입배관은 상기 청수유입배관에 분기관형태로 연결되어, 상기 공용펌프(140)의 입측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본적으로 공용펌프(140)의 용량 등의 성능은 청수탱크(50)의 청수를 공급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청수와 포말 소화약제가 혼합되어 발생되는 소화액은 혼합비율과 압력에 따라 소화 성능에 차이를 가질 수 있으므로, 초기에 동작하는 청수공급에 적합한 성능의 공용펌프(14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적인 소화인 해수의 분사는 보조적인 역할이며 해수의 경우 혼합이 필요치 않고 따라서 공용펌프의 용량등에 의한 소화성능의 변화가 적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해수유입배관(150)과 상기 청수유입배관(160)에 각각 차단밸브(155, 165)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일측의 배관을 통해서만 청수 또는 해수가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소화장치는 화재가 발생하게 되면 공용펌프(140)가 작동하게 된다. 공용펌프(140)의 작동으로 인해서 1차적으로 청수탱크(50)에 저장된 청수가 폼 탱크(120)에 저장된 폼과 혼합되어 포말 소화제가 생성되고, 포말 소화제가 상기 소화 분사노즐(110)을 통해 분사되며 소화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청수탱크(50)에는 약 30분 정도 사용될 수 있는 정도의 청수가 저장되어 있는데, 청수탱크(50)에 저장된 청수가 모두 소모되어도 소화가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공용펌프(140)는 지속적으로 작동하게 되고 공용펌프(140)가 2차적으로 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소화 분사노즐을 통해 해수를 분사하여 추가적인 소화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복합 소화장치는 포말 소화제를 분사한 후, 백업용으로 해수를 분사하는 동작을 동일하게 수행하나, 단일의 공용 펌프를 이용하여 이러한 소화작업이 진행되도록 하는 효과를 가져온다.
따라서, 종래에 2개의 개별적인 펌프를 사용하던 것에 비하여 설비를 간소화할 수 있으며, 그에 따른 작업 공수의 절감과 원가 절감의 효과를 가져온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는 해수가 공급되는 폼 노즐을 경유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해수 분사시의 압력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는 소화영역(10)에 구비되는 소화 분사노즐(110)과, 상기 소화 분사노즐(110)의 상류측에 구비되며 포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폼 탱크(120)와, 상기 폼 탱크로 청수(Fresh water)를 공급하는 청수공급배관(130)과, 청수 또는 해수를 분사하는 압력을 발생하는 공용펌프(140)와, 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공용펌프의 입측으로 연결하는 해수유입배관(150)과, 청수탱크(50)와 상기 공용펌프의 입측을 연결하는 청수유입배관(160)과, 상기 공용펌프의 출측과 상기 소화분사 노즐을 연결하는 우회배관(170)을 포함한다.
우회 배관은 해수 분사시에 해수가 폼 탱크(120)를 거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해수가 폼 탱크(120)를 거치게되면 불필요한 압력 손실을 가져오게 되어, 소화 성능이 저하된다.
이 때, 상기 공용펌프(140)와 상기 폼 탱크(120) 사이에 구비되는 제1개폐밸브(171)와, 상기 우회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2개폐밸브(172)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폼 탱크(120)로 청수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제1개폐밸브(171)가 개방되고, 제2개폐밸브(172)가 폐쇄되며, 해수가 공급되는 경우에는 반대로 제1개폐밸브(171)가 폐쇄되고, 제2개폐밸브(172)가 개방되도록 작동한다.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고안의 범위는 전술된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질 것이다. 그리고 후술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는 물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 가능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소화영역
50 : 청수탱크
110 : 소화 분사노즐
120 : 폼 탱크
130 : 청수 공급배관
140 : 공용펌프
150 : 해수유입배관
160 : 청수유입배관
170 : 우회배관

Claims (5)

  1. 소화영역에 구비되는 소화 분사노즐;
    상기 소화 분사노즐의 상류측에 구비되며 포말 소화약제를 저장하는 폼 탱크;
    상기 폼 탱크로 청수(Fresh water)를 공급하는 청수공급배관;
    청수 또는 해수를 분사하는 압력을 발생하는 공용펌프;
    해수를 유입하여 상기 공용펌프의 입측으로 연결하는 해수유입배관; 및
    청수탱크와 상기 공용펌프의 입측을 연결하는 청수유입배관;을 포함하는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배관은
    상기 청수유입배관에 분기관형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배관과 상기 청수유입배관에 각각 차단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펌프의 출측과 상기 소화 분사노즐을 연결하는 우회배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공용펌프와 상기 폼 탱크 사이에 구비되는 제1개폐밸브와,
    상기 우회배관의 개폐를 조절하는 제2개폐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KR2020140007864U 2014-10-29 2014-10-29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KR2016000156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64U KR20160001569U (ko) 2014-10-29 2014-10-29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864U KR20160001569U (ko) 2014-10-29 2014-10-29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1569U true KR20160001569U (ko) 2016-05-13

Family

ID=56023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864U KR20160001569U (ko) 2014-10-29 2014-10-29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1569U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235A (ko) *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21234A (ko) *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보조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21237A (ko) *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고팽창 포말 이중펌핑 시스템
KR20180121236A (ko) *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청수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31285A (ko) * 2017-05-31 2018-1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진공압을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CN111001108A (zh) * 2019-12-23 2020-04-14 江苏扬子三井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喷淋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1235A (ko) *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21234A (ko) *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보조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21237A (ko) *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의 고팽창 포말 이중펌핑 시스템
KR20180121236A (ko) * 2017-04-28 2018-11-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청수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20180131285A (ko) * 2017-05-31 2018-12-10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진공압을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CN111001108A (zh) * 2019-12-23 2020-04-14 江苏扬子三井造船有限公司 一种船用喷淋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01569U (ko)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FI96175C (fi) Menetelmä ja laitteisto tulen sammuttamiseksi
KR101044053B1 (ko) 에어폼 방수시스템을 사용한 소방자동차
KR100995148B1 (ko) 셔틀탱커의 보우로딩시스템용 자동소화장치
DK201170108A (da) System til behandling af ballastvand i ballasttanke
KR20120022380A (ko) 선박용 해수 소방시스템
KR101690936B1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KR20100084716A (ko)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
JP3553947B2 (ja) 消防方法
CN103736227B (zh) 一种保压式消防系统
CN203154679U (zh) 一种消防车上的灭火装置
CN204121649U (zh) 一种水雾灭火系统
KR20070103797A (ko) 선박용 소화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화 방법
KR102420943B1 (ko) 선박의 고팽창 포말 이중펌핑 시스템
CN207785700U (zh) 一种适用于油库的消防泡沫系统
KR102130844B1 (ko) 소화 펌프를 이용한 씨 체스트 그리드의 청소 장치
KR20120014777A (ko) 방화수 공급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498287B1 (ko) 진공압을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101635014B1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KR20160038299A (ko) 청수탱크 결빙방지장치
CN219001836U (zh) 一种舰船对外泡沫消防装置
KR20180121235A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102474685B1 (ko) 청수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KR102455873B1 (ko) 보조탱크를 이용한 고팽창 포말 시스템
JP3144124U (ja) 消防用給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