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84716A -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84716A
KR20100084716A KR1020090004000A KR20090004000A KR20100084716A KR 20100084716 A KR20100084716 A KR 20100084716A KR 1020090004000 A KR1020090004000 A KR 1020090004000A KR 20090004000 A KR20090004000 A KR 20090004000A KR 20100084716 A KR20100084716 A KR 20100084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am
valve
deck
extinguishing agent
high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4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0231B1 (ko
Inventor
정호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케이
Priority to KR1020090004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231B1/ko
Priority to PCT/KR2010/000317 priority patent/WO2010082802A2/en
Publication of KR20100084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4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1/00Delivery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
    • A62C31/0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 A62C31/12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fire-extinguishing for delivering foam or atomised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A62C99/0036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using foa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에 개별로 설치되던 갑판 포말 소화장치와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한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각 소화장치에 공통으로 구성된 폼탱크, 펌프, 밸브 및 파이프를 공용으로 구성하고, 이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유닛이 구비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는바, 중복되는 구성을 1개만 이용하여 공용으로 사용 함으로써 제작 비용, 제작 공정 및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1개의 제어유닛으로 갑판 포말과 고팽창 포말을 모두 제어할 수 있기에 제어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Figure P1020090004000
갑판 포말, 고팽창 포말, DECK, High-Expantion, FOAM,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Description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Combind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ship}
본 발명은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선박에 개별로 설치되던 갑판 포말 소화장치와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한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화성, 가연성 물질을 취급하는 각종 선박에서는 성냥이나 철제공구 또는 기타 불꽃을 내기 쉬운 물품을 소지하거나, 쇠굽이 장착된 신발 등을 착용하여서는 아니되며, 인화성, 가연성 물질을 저장 또는 방출하는 갑판 영역 및 그 주변과, 심지어는 그 장소로부터 나와 있는 통풍구 부근에서는 절대 담배를 피우거나 화기를 취급해서는 안된다고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세심한 주의와 제한규정에도 불구하고 조그마한 부주의로 인하여 대형화재가 발생하면 선박 또는 인명에 엄청난 피해를 가져올 수 있으므로, 화재의 우려가 있는 방호구역에는 소화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대표적인 예로서는 선박의 갑판 화재 발생시 갑판으로 폼소화약제를 분사시키도록 하는 갑판 포말 소화장치(Deck Foam Fire extinguishing System)와 엔진룸이나 펌프룸 등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각 룸의 천장에서 폼소화약제를 고팽창시켜 분사하는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High Expantion Foam Fire extinguishing System)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시스템에 이용되는 폼소화약제는, 통상 원유나 오일 등의 가연물에 의하여 선박에서 발생한 B급 화재를 진압하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해수(또는 담수)와 혼합한 다음 이 혼합액인 폼소화약제를 이용하여 거품 형태의 폼을 발생시키도록 한 것이며, 평상시에는 선체의 내부에 설치된 폼저장탱크에 저장되었다가 화재발생시 밸브개방과 동시에 포말방사기 또는 분무기를 통하여 화재발생장소로 분사된다.
도 1은 종래 갑판 포말 소화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종래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 구성도이다.
먼저 종래 갑판 포말 소화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 포말 소화약제가 저장된 폼탱크(11), 폼탱크(11)로부터 갑판 포말 소화약제를 빼내는 펌프(P11), 바닷물을 끌어올리는 펌프(P13), 상기 펌프(P11)(P13)들로부터 전달되는 바닷물과 갑판 포말 소화약제가 혼합되는 혼합기(13), 혼합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포말방사기(17), 각 구성을 연결하는 파이프(19)에 구비되어 해당 파이프(19)내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V11)(V13)(V15)(V17)(V19) 및 화재발생시 상기 밸브(V11)(V13)(V15)(V17)(V19)와 펌프(P11)(P13)를 제어함으로써 혼합된 소화약제가 화재장소로 뿌려지도록 하는 제어유닛(1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갑판 포말 소화장치(10)는 선박의 갑판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제어유닛(15)이 펌프(P11)(P13)와 밸브(V11)(V13)(V15)(V17)(V19)들을 구동시켜 바닷물과 갑판 포말 소화약제가 혼합기(13)에서 혼합된 후 혼합 소화약제가 포 말방사기(17)를 통하여 화재장소로 뿌려지도록 한다.
다음 종래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가 저장된 폼탱크(21), 폼탱크(21)로부터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를 빼내는 펌프(P21), 바닷물을 끌어올리는 펌프(P23), 상기 펌프(P21)(P23)들로부터 전달되는 바닷물과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가 혼합되는 혼합기(23), 혼합된 소화약제가 분사되는 분무기(27), 각 구성을 연결하는 파이프(29)에 구비되어 해당 파이프내에 흐르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밸브(V21)(V23)(V25)(V27)(V29) 및 화재발생시 상기 밸브(V21)(V23)(V25)(V27)(V29)와 펌프(P21)(P23)를 제어함으로써 혼합된 소화약제가 화재장소로 뿌려지도록 하는 제어유닛(25)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종래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20)는 엔진룸 또는 펌프룸과 같은 실내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제어유닛(25)이 펌프(P21)(P23)와 밸브(V21)(V23)(V25)(V27)(V29)들을 구동시켜 바닷물과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가 혼합기에서 혼합된 후 혼합 소화약제가 분무기(27)를 통하여 화재장소로 뿌려지도록 한다.
한편, 종래 갑판 포말 소화장치(10)와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20)는 각각 고유한 화재진압 방법을 이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바, 화재장소에 따라 효율적인 화재진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선박에 모두 설치해야한다.
그러나 종래 갑판 포말 소화장치(10)와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20)를 하나의 선박에 모두 설치하는 경우, 각 장치에 공통된 구성요소 예를들어 폼탱크, 펌프, 밸브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장치의 모든 구성요소가 개별적 으로 설치되어야 하는바, 결과적으로 제조 비용 낭비, 설치공간 낭비 및 불필요한 제조공정이 추가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화재 발생시 각각의 제어유닛을 따로따로 작동시켜야 하는 등 소화설비 설치 및 운용에 있어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선박에 개별로 설치되던 갑판 포말 소화장치와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를 하나의 장치로 통합하여 중복되는 펌프, 밸브 및 배관을 1개만 구성하여 공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제작 비용, 제작 공정 및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1개의 제어유닛으로 갑판 포말 소화장치와 고팽창 포말소화장치를 모두 제어할 수 있도록 한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는 갑판 포말 소화약제와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가 분리되어 저장되며, 갑판 포말 배출구(31a) 및 고팽창 포말 배출구(31b)가 형성된 공용폼탱크(31); 갑판 포말 배출구(31a)에 결합된 제 1 갑판 포말 밸브(V31); 고팽창 포말 배출구(31b)에 결합된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V32); 흡입측이 제 1 갑판 포말 밸브(V31) 및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V32)와 연결되어 갑판 포말 소화약제와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를 흡입 및 배출하는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갑판 포말 소화악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갑판 포말 밸브(V33);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고팽창 포말 밸브(V34); 흡입측이 선박의 해수흡입구(41)와 연결되어 해수를 흡입 및 배출하는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 의 배출측에 연결된 공용 밸브(V35); 공용 밸브(V35)와 연결된 제 3 갑판 포말 밸브(V36); 공용 밸브(V35)와 연결된 제 3 고팽창 포말 밸브(V37); 제 3 갑판 포말 밸브(V36)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와 제 2 갑판 포말 밸브(V33)로부터 유입되는 갑판 포말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갑판 혼합 소화약제로 배출하는 갑판 포말 혼합기(32); 제 3 고팽창 포말 밸브(V37)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와 제 2 고팽창 포말 밸브(V34)로부터 유입되는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로 배출하는 고팽창 포말 혼합기(33); 갑판 포말 혼합기(32)와 연결되어 갑판 혼합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포말방사기 밸브(V38);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며, 포말방사기 밸브(V38)와 연결되어 갑판 혼합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포말방사기(36); 고팽창 포말 혼합기(33)와 연결되어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분무기 밸브(V39); 선박의 실내에 설치되며, 분무기 밸브(V39)와 연결되어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분무기(37); 및 갑판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 또는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 입력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들(V31)~(V39) 및 펌프들(P31)(P33) 중 미리정해진 밸브 및 펌프를 구동시키는 제어유닛(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어유닛(35)은 갑판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갑판 포말 밸브(V31), 제 2 갑판 포말 밸브(V33), 제 3 갑판 포말 밸브(V36), 공용 밸브(V35) 및 포말방사기 밸브(V38)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 및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를 구동시켜, 갑판 포말 소화약제와 해수가 혼합기에서 갑판 혼합 소화약제로 혼합된 후 포말방사기(36)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며,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V32), 제 2 고팽창 포말 밸브(V34), 제 3 고팽창 포말 밸브(V37), 공용 밸브(V35) 및 분무기 밸브(V39)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 및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를 구동시켜,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와 해수가 혼합기(32)(33)에서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로 혼합된 후 분무기(37)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에 따르면, 갑판 포말 소화장치 및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의 제작 비용, 제작 공정 및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으며, 1개의 제어유닛으로 통합제어가 가능함으로써 제어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이하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복합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복합 시스템은 크게 공용폼탱크, 밸브, 공용 펌프, 포말방사기, 분무기 및 제어유닛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공용폼탱크(31)는 갑판 포말 소화약제와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가 분리되어 저장되며, 갑판 포말 배출구(31a) 및 고팽창 포말 배출구(31b)가 형성되는바, 종래 폼탱크에 갑판 포말 소화약제와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가운데 격막을 설치한 후 분리된 공간 각각에 배출구를 형성시켜 만들 수 있다.
다음, 제 1 갑판 포말 밸브(V31)는 갑판 포말 배출구(31a)에 파이프(39)로 연결되는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밸브 및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V32)는 고팽창 포말 배출구(31b)에 파이프(39)로 연결되는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밸브 및 파이프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는 흡입측이 제 1 갑판 포말 밸브(V31) 및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V32)와 연결되어 갑판 포말 소화약제와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를 흡입 및 배출시키는 수단이다.
이때, 제 1 갑판 포말 밸브(V31) 및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V32)와의 연결은 Y 형상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한바, Y형상의 파이프에 단부가 2곳인 측은 각각 제 1 갑판 포말 밸브(V31)와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V32)를 연결하고 단부가 1곳인 측은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의 흡입측에 열결시킨다.
한편,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의 배출측에는 갑판 포말 소화악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갑판 포말 밸브(V33)와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고팽창 포말 밸브(V34)가 연결되는바, 이들 역시 Y형상의 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한다.
다음,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는 흡입측이 선박의 해수흡입구(41)와 연결되어 해수를 흡입 및 배출하는 수단인바, 당업계에서 널리 이용되는 Fire Pump, Bilge Pump, G/S Pump 또는 Emergency Fire Pump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의 배출측에는 파이프(39)를 통하여 공용 밸브(V35)와 연결되는바, 이때 공용 밸브(V35)는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밸브가 이용될 수 있다.
다음, 공용 밸브(V35)의 타측에는 제 3 갑판 포말 밸브(V36)와 제 3 고팽창 포말 밸브(V37)가 연결되는데, 이때 연결은 전술한 바와 같이 Y형 파이프를 이용하여 연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갑판 포말 혼합기(32)는 제 3 갑판 포말 밸브(V36)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와 제 2 갑판 포말 밸브(V33)로부터 유입되는 갑판 포말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갑판 혼합 소화약제로 배출하는 수단이며, 고팽창 포말 혼합기(33)는 제 3 고팽창 포말 밸브(V37)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와 제 2 고팽창 포말 밸브(V34)로부터 유입되는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로 배출하는 수단으로 당업계에서 널리 이용되는 혼합기가 이용된다.
다음 포말방사기 밸브(V38)는 갑판 혼합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갑판 포말 혼합기(32)와 포말방사기(36) 사이에 연결되며, 분무기 밸브(V39)는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해 고팽창 포말 혼합기(33)와 분무기(37) 사이에 연결된다.
다음 포말방사기(36)는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며, 포말방사기 밸브(V38)와 파이프(39)를 통하여 연결되어 갑판 혼합 소화약제를 화재가 발생한 곳에 분사하는 수단인바,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8-0017159호에 기재되어 있어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 분무기(37)는 선박의 실내 예를들어, 엔진룸, 펌프룸 등 실내에 설치되며, 분무기 밸브(V39)와 파이프(39)를 통하여 연결되어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를 화재가 발생한 곳에 분사하는 수단인바,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 제2020010022340 호에 기재되어 있어,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마지막으로 제어유닛(35)은 갑판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 또는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 입력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들 및 펌프들 중 미리정해진 밸브 및 펌프를 구동시키는바, 일반적인 제어장치 즉, 마이컴, PLC, PCB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유닛(35)은 외부로부터 갑판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미리 프로그램된 순서에 따라 제 1 갑판 포말 밸브(V31), 제 2 갑판 포말 밸브(V33), 제 3 갑판 포말 밸브(V36), 공용 밸브(V35) 및 해당 포말방사기 밸브(V38)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 및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를 구동시켜, 갑판 포말 소화약제와 해수가 갑판 포말 혼합기(32)에서 갑판 혼합 소화약제로 혼합된 후 포말방사기(36)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며,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V32), 제 2 고팽창 포말 밸브(V34), 제 3 고팽창 포말 밸브(V37), 공용 밸브(V35) 및 해당 분무기 밸브(V39)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 및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를 구동시켜,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와 해수가 고팽창 포말 혼합기(33)에서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로 혼합된 후 분무기(37)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공용 펌프(P33)에는 이용되는 펌프의 용량에 따라 해수양과 소화약제 양을 적절히 조절하기 위한 바이패스 역할을 하는 오버보드(OVER BOARD) 밸브(V41)를 더 구비시킬 수도 있으며, 제 2 갑판 포말 밸브(V33) 또는 제 2 고팽창 포말 밸브(V34)에는 각 혼합기(32)(33)에서 혼합되는 양을 조절하기 위한 보정 밸브(V42)를 더 구비시킬 수도 있다.
또한 공용폼탱크(31)에는 소화약제 배출에 필요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력조절 밸브(V43)를 더 구비시킬 수도 있으며, 혼합기(32)(33) 및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에는 흡입측과 배출측에 유량 및 압력을 확인하기 위한 게이지(GAUGE)(40)를 더 구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게이지(40) 또한 중복되는 게이지(40c)(40d)는 도면과 같이 공용으로 활용될 수 있다.
특히 제어유닛(35)에 무선통신수단을 구비시키는 경우 원거리에서 무선제어유닛(35')으로 원격제어가 가능할 것이며, 도면과 같이 세척 밸브(V45)를 설치하는 경우 서로다른 포말 소화약제를 공용으로 전달하는 파이프(39)의 내부를 세적함으로써 갑판 포말과 고팽창 포말이 섞여 일어날 수 있는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 부호 V44는 장치 내에서 발생되는 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드레인 밸브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기에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갑판 포말 소화장치의 구성도,
도 2는 종래 고팽창 포말 소화장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공용폼탱크 32: 갑판 포말 혼합기
33: 고팽창 포말 혼합기 35: 제어유닛
35': 무선제어유닛 36: 포말방사기
37: 분부기 39: 파이프
40: 게이지 41: 해수흡입구
P31: 폼탱크측 공용 펌프 P33: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
V31: 제 1 갑판 포말 밸브 V32: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
V33: 제 2 갑판 포말 밸브 V34: 제 2 고팽창 포말 밸브
V35: 공용 밸브 V36: 제 3 갑판 포말 밸브
V37: 제 3 고팽창 포말 밸브 V38: 포말방사기 밸브
V39: 분무기 밸브 V41: 오버보드 밸브
V42: 보정 밸브 V43: 압력조절 밸브
V44: 드레인 밸브 V45: 세척밸브

Claims (2)

  1. 갑판 포말 소화약제와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가 분리되어 저장되며, 갑판 포말 배출구(31a) 및 고팽창 포말 배출구(31b)가 형성된 공용폼탱크(31);
    갑판 포말 배출구(31a)에 결합된 제 1 갑판 포말 밸브(V31);
    고팽창 포말 배출구(31b)에 결합된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V32);
    흡입측이 제 1 갑판 포말 밸브(V31) 및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V32)와 연결되어 갑판 포말 소화약제와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를 흡입 및 배출하는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갑판 포말 소화악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갑판 포말 밸브(V33);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의 배출측에 연결되어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제 2 고팽창 포말 밸브(V34);
    흡입측이 선박의 해수흡입구(41)와 연결되어 해수를 흡입 및 배출하는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의 배출측에 연결된 공용 밸브(V35);
    공용 밸브(V35)와 연결된 제 3 갑판 포말 밸브(V36);
    공용 밸브(V35)와 연결된 제 3 고팽창 포말 밸브(V37);
    제 3 갑판 포말 밸브(V36)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와 제 2 갑판 포말 밸브(V33)로부터 유입되는 갑판 포말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갑판 혼합 소화약제로 배출하는 갑판 포말 혼합기(32);
    제 3 고팽창 포말 밸브(V37)로부터 유입되는 해수와 제 2 고팽창 포말 밸브(V34)로부터 유입되는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를 혼합하여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로 배출하는 고팽창 포말 혼합기(33);
    갑판 포말 혼합기(32)와 연결되어 갑판 혼합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포말방사기 밸브(V38);
    선박의 갑판에 설치되며, 포말방사기 밸브(V38)와 연결되어 갑판 혼합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포말방사기(36);
    고팽창 포말 혼합기(33)와 연결되어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한 분무기 밸브(V39);
    선박의 실내에 설치되며, 분무기 밸브(V39)와 연결되어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가 배출되는 분무기(37); 및
    갑판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 또는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 입력시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밸브들(V31)~(V39) 및 펌프들(P31)(P33) 중 미리정해진 밸브 및 펌프를 구동시키는 제어유닛(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35)은
    갑판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갑판 포말 밸 브(V31), 제 2 갑판 포말 밸브(V33), 제 3 갑판 포말 밸브(V36), 공용 밸브(V35) 및 포말방사기 밸브(V38)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 및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를 구동시켜, 갑판 포말 소화약제와 해수가 갑판 포말 혼합기(32)에서 갑판 혼합 소화약제로 혼합된 후 포말방사기(36)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며,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 방출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 1 고팽창 포말 밸브(V32), 제 2 고팽창 포말 밸브(V34), 제 3 고팽창 포말 밸브(V37), 공용 밸브(V35) 및 분무기 밸브(V39)를 개방시킴과 동시에 폼탱크측 공용 펌프(P31) 및 해수흡입구측 공용 펌프(P33)를 구동시켜, 고팽창 포말 소화약제와 해수가 고팽창 포말 혼합기(33)에서 고팽창 혼합 소화약제로 혼합된 후 분무기(37)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
KR1020090004000A 2009-01-19 2009-01-19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 KR101000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000A KR101000231B1 (ko) 2009-01-19 2009-01-19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
PCT/KR2010/000317 WO2010082802A2 (en) 2009-01-19 2010-01-18 Combined fire extinguishing system for a sh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4000A KR101000231B1 (ko) 2009-01-19 2009-01-19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4716A true KR20100084716A (ko) 2010-07-28
KR101000231B1 KR101000231B1 (ko) 2010-12-10

Family

ID=423402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4000A KR101000231B1 (ko) 2009-01-19 2009-01-19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0231B1 (ko)
WO (1) WO201008280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362A (ko) 2021-01-22 2022-07-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소화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6639Y1 (ko) 2011-01-21 2013-04-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소화수의 서지 방지 장치
DE102012012943B4 (de) * 2012-06-29 2018-05-30 ABEX-Feuerlöschgerätebau GmbH Löschvorrichtung für die maritime Brandbekämpfung zur Anwendung für Wasserfahrzeuge, Schwimmkörper oder Offshoreanlagen
CN103272350B (zh) * 2013-06-21 2015-04-22 公安部天津消防研究所 Lng、cng汽车防火抑爆系统
CN103736227B (zh) * 2013-12-25 2016-02-24 广州中船黄埔造船有限公司 一种保压式消防系统
CN105311781B (zh) * 2015-11-09 2018-07-24 哈尔滨工程大学 一种船舶消防控制系统的模块化操作显示终端
CN105344054B (zh) * 2015-12-03 2019-08-06 哈尔滨工程大学 一种船舶消防控制系统的输入模块检测装置
CN110639145B (zh) * 2019-10-22 2023-09-26 江龙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甲醇船舶消防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49064A (ja) * 1989-11-07 1991-06-25 Mitsubishi Heavy Ind Ltd 船舶の固定式ガス消火装置
JP3414693B2 (ja) * 2000-03-31 2003-06-09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車両運搬船用高膨張泡消火設備
FI20020001A (fi) * 2002-01-02 2003-07-03 Marioff Corp Oy Palonsammutusmenetelmä ja -laitteisto
KR100519426B1 (ko) * 2002-08-13 2005-10-07 고성곤 질소가스에 의해 포말액이 방출되는 이동 가능한 긴급화재진압용 소화장치
JP2006102307A (ja) * 2004-10-07 2006-04-20 Ihi Marine United Inc 船舶用液体放出装置及び船舶用災害沈静方法。
KR20070103797A (ko) * 2006-04-20 2007-10-25 주식회사 윈 선박용 소화 시스템 및 상기 시스템을 이용한 소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6362A (ko) 2021-01-22 2022-07-29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소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0082802A3 (en) 2010-11-04
WO2010082802A2 (en) 2010-07-22
KR101000231B1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231B1 (ko) 선박용 복합 포말 소화장치
AU684018B2 (en) A fire fighting installation for discharging a liquid-gas fog
CN205924767U (zh) 一种机械泵入式比例混合装置
US8882336B1 (en) Hydro-blender
JP4866409B2 (ja) 泡消火薬剤混合システム
CN104971454B (zh) 隧道专用压缩空气泡沫自动灭火系统
CN203154684U (zh) 消防车用压缩气体泡沫灭火系统
JP4782180B2 (ja) 泡消火薬剤混合システム
CN110639145B (zh) 一种甲醇船舶消防系统及方法
KR102046709B1 (ko) 농약 또는 소화약제 살포용 드론
KR20160001569U (ko) 선박용 복합 소화장치
KR20160053494A (ko) 소방차의 소화수와 폼 원액 혼합 시스템
CN113386900A (zh) 一种兼具消防、舱底和压载功能的船舶水系统
CN105396242A (zh) 一种消防车管路系统
CN219001836U (zh) 一种舰船对外泡沫消防装置
US20120247790A1 (en) Foam propellant system
CN110843998A (zh) 一种船舶洗舱水排放系统
CN211158275U (zh) 一种甲醇船舶消防系统
CN202236985U (zh) 轮式装甲消防车集中电控气动水路系统
CN204745423U (zh) 一种多功能灭火系统
CN114515401A (zh) 一种船舶消防系统
CN217938965U (zh) 灭火系统及作业机械
CN207970383U (zh) 一种码头消防泡沫发生装置
CN102423522A (zh) 轮式装甲消防车集中电控气动水路系统
KR20210027015A (ko) 압축공기를 이용한 소화용수 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