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227A - 소방수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소방수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227A
KR20170111227A KR1020160036215A KR20160036215A KR20170111227A KR 20170111227 A KR20170111227 A KR 20170111227A KR 1020160036215 A KR1020160036215 A KR 1020160036215A KR 20160036215 A KR20160036215 A KR 20160036215A KR 20170111227 A KR20170111227 A KR 20170111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water
fighting water
fighting
de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6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36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227A/ko
Publication of KR20170111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62C3/1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in shi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58Pipe-line systems
    • A62C35/68Details, e.g. of pipes or valve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A62D1/0028Liquid extinguishing substan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소방수 분사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은 더블데크 사이 공간에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소방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소방수 저장부, 데크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방수 저장부와 연결되어 화재 시 상기 소방수가 분출되는 소방수 분사장치, 상기 소방수 저장부와 상기 소방수 분사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소방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밸브, 상기 데크 상부에 배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소방수 분사 시스템{Fire Water ystem}
본 발명은 소방수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크 상부에 화재 발생 시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는 소방수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데크 상부에는 다수의 구조물이 설치된다. 따라서, 데크 상부에 화재가 발생하면 신속하게 화재를 진압해야 구조물의 손상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소방수 분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는 화재가 발생하면 사람이 직접 소방호스를 통해 소방수를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 분사하였다. 그러나, 화재가 난 즉시 화재를 발생하기 어려우며, 화재 진압 시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선급 규정에 따라 데크 위로 노출되는 구조물에는 방화재를 시공 규격에 따른 두께만큼 도포해야 한다.
방화재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방화재를 도포하기에 앞서 데크의 표면을 청소하고 프라이머를 도포한다. 그리고,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1차로 방화재를 분사한 후 헤라를 이용하여 방화재가 도포된 표면을 정리하고 도포된 방화재의 두께를 측정한다.
이 때, 방화재는 시공 규격의 1/2의 두께로 도포되어야 한다. 만약, 도포된 방화재의 두께가 이에 미치지 못할 경우 방화재를 도포하고 표면을 정리한 후 두께를 측정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1차 스프레이 작업이 완료되면 접착력을 높이기 위한 메쉬를 부착한다. 그리고, 다시 스프레이로 나머지 1/2 두께의 방화재를 분사하는 2차 스프레이 작업을 한 후 표면을 정리하고 방화재의 두께를 측정한다. 이 때, 도포된 방화재의 두께가 시공 규격에 미치지 못할 경우 방화재를 추가 도포하고 표면을 정리한 후 두께를 측정하는 작업을 반복한다.
2차 스프레이 작업이 완료되면 방화재를 건조시키고 마감도장을 한다.
데크의 상부에는 설치되는 구조물이 많을수록 방화재를 도포하기 위한 시간 및 비용이 더 많이 소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데크 상부의 공한 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소방수 분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선체의 중량을 줄일 수 있는 소방수 분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단축할 수 있는 소방수 분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넷째, 본 발명은 데크 상부에서 탑사이드 크레인 작동 시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배관의 손상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소방수 분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은 소방수 저장부, 소방수 분사장치, 개폐밸브, 화재 감지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방수 저장부는 더블데크 사이 공간에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소방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소방수 분사장지는 데크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방수 저장부와 연결되어 화재 시 상기 소방수를 분사한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소방수 저장부와 상기 소방수 분사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소방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화재 감지 센서는 상기 데크 상부에 다수 배치되어 화재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한다.
상기 소방수 저장부의 내부에는 상기 소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서 입력된 값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면 가장 인접한 상기 소방수 저장부에 연결된 상기 개폐밸브를 열어 상기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은 소방수 이동부, 소방수 분사장치, 개폐밸브, 화재 감지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소방수 이동부는 소방수 저장 탱크 또는 소방수 공급부와 연결되며, 더블데크 사이 공간에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소방수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소방수 분사장지는 데크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방수 이동부와 연결되어 화재 시 상기 소방수를 분사한다.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소방수 이동부와 상기 소방수 분사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소방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화재 감지 센서는 상기 데크 상부에 다수 배치되어 화재를 감지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또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센서에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상기 소방수 분사장치를 통해 상기 소방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에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화재가 감지된 상기 화재 감지 센서와 가장 인접한 상기 소방수 분사장치를 통해 상기 소방수를 분사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에 더 이상 화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개폐밸브를 잠글 수 있다.
상기 화재 감지 센서는 불꽃과 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불꽃이 감지되거나,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에 의하면 소방수 저장부 또는 소방수 이동부가 더블데크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데크 상부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데크 상부에 배관 설치 시 배관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배관 지지대가 불필요하므로 선체의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데크 상부 구조물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방화재 도포 규정에 의한 방화재 도포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데크 상부에 배관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데크에서 탑사이드 크레인 작동 시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배관의 손상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소방수 분사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X-X'단면도;
도 4 및 도 5는 가상의 소방수 분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모든 선박에는 데크가 형성되는데, 특히 FPSO 선박의 경우에는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상부데크와 하부데크로 이루어지는 더블데크(10)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부데크와 하부데크 사이의 공간은 비어있는 공간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더블데크(10) 사이의 비어있는 공간을 활용할 수 있는 소방수 분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X-X’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은 소방수 저장부(110), 소방수 분사장치(130), 개폐밸브(140), 화재 감지 센서(2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소방수 저장부(110)는 더블데크(10) 사이 공간에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소방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소방수 분사장치(130)는 더블데크(10) 상부에 구비되며, 소방수 저장부(110)와 배관에 의해 연결되어 화재 시 소방수가 분사된다..
개폐밸브(140)는 소방수 저장부(110)와 소방수 분사장치(130) 사이에 구비되어 열리고 닫힘에 따라 소방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화재 감지 센서(200)는 더블데크(10) 상부에 다수가 배치되며, 더블데크(10) 상부에서 발생한 화재를 감지한다. 화재 감지 센서(200)는 불꽃과 열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화재 감지 센서(20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개폐밸브(140)를 제어한다. 제어부는 화재 감지 센서(200)로부터 불꽃이 감지되거나,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화재 감지 센서(20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개폐밸브(140)를 열어 소방수 저장부(110)에 저장된 소방수가 소방수 분사장치(130)를 통해 분사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화재 감지 센서(20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화재가 감지된 화재 감지 센서(200)로부터 일정 반경 내(A)의 소방수 분사장치(130)를 통해 소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개폐밸브(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화재 감지 센서(200a)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제 1 화재 감지 센서(200a)를 중심으로 일정 반경 내(A)에 위치하는 소방수 분사장치(130)인 제 1 내지 제 3 소방수 분사장치(130a, 130b, 130c)에서 소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개폐밸브(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는 화재 감지 센서(20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화재가 발생했다고 판단되면, 화재가 감지된 화재 감지 센서(200)와 가장 인접한 소방수 분사장치(130)를 통해 소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개폐밸브(14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화재 감지 센서(200a)에서 화재가 감지되면, 제어부는 이와 가장 인접한 소방수 분사장치(130)인 제 2 소방수 분사장치(130b)에서 소방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개폐밸브(14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화재 감지 센서(200)에 더 이상 화재가 감지되지 않으면 개폐밸브(140)를 잠궈 소방수의 분사를 중단할 수 있다.
한편, 소방수 저장부(110)의 내부에는 소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30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300)에서 입력된 값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면 가장 인접한 개폐밸브(140)를 열어 상기 소방수를 분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소방수 저장부(110a)에 소방수가 기 설정된 수위 이하로 내려가면, 제 1 소방수 저장부(110a)와 가장 인접한 제 2 소방수 저장부(110b)와 연결된 개폐밸브(140)를 열어 제 2 소방수 분사장치(130b)를 통해 소방수가 분사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가상의 소방수 분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소방수 분사 시스템은 소방수 이동 배관(50)이 모두 더블데크(10)의 상부에 위치한다. 따라서, 배관을 더블데크(10)의 상부에 지지하고 고정하기 위한 배관 지지대(60)가 설치되어야 한다.
소방수 이동 배관(50) 및 배관 지지대(60)가 더블데크(10)의 상부에 위치함으로써 더블데크(10) 상부의 공간 활용도가 매우 떨어질 뿐만 아니라, 이 외에도 다양한 문제점이 존재한다.
우선, 소방수 이동 배관(50) 및 배관 서포트가 선체에 구비됨으로써 소방수 이동 배관(50) 및 배관 서포트의 중량이 선체 중량에 포함되어 선체 중량이 증가한다.
그리고, 선급 규정에 따라 더블데크(10) 상부에 위치하는 모든 구조물에는 일정 두께 이상의 방화재가 도포되어야 하는데, 더블데크(10) 상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이 많을수록 방화재를 도포하기가 어렵고, 작업 시간이 늘어나게 된다.
또한, FPSO 선박의 특성 상 원유 생산 및 하역에 관련된 작업을 많이 하게 되는데, 이 때 더블데크(10) 상부에서 탑사이드 크레인 작동 시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배관의 손상을 고려해야 한다.
반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살펴보면, 소방수 저장부(110)가 더블데크(10) 사이의 빈 공간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더블데크(10) 상부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이에 따라 더블데크(10) 상부에 배관 설치 시 배관을 지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배관 지지대(60)가 불필요하므로 선체의 전체적인 중량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블데크(10) 상부 구조물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방화재 도포 규정에 의한 방화재 도포를 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시간 및 인건비를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더블데크(10) 상부에 배관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더블데크(10)에서 탑사이드 크레인 작동 시 떨어지는 물체에 의한 배관의 손상을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장점이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분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방수 시스템은 소방수 이동부(120), 소방수 분사장치(130), 개폐밸브(140), 화재 감지 센서(200)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소방수 이동부(120)는 소방수 공급부(400)와 연결되며, 더블데크(10) 사이 공간에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소방수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즉, 격벽에 의해 구획된 공간 자체가 소방수가 이동하는 배관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별도의 배관을 설치할 필요 없이 더블데크(10) 사이의 버리는 공간을 소방수 배관으로 활용할 수 있다.
소방수 분사장치(130)는 더블데크(10) 상부에 구비되며, 소방수 이동부(120)와 연결되어 화재 시 소방수가 분출된다.
개폐밸브(140)는 소방수 이동부(120)와 소방수 분사장치(130) 사이에 구비되어 소방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한다.
화재 감지 센서(200)는 더블데크(10) 상부에 배치되어 화재를 감지하하며, 제어부는 화재 감지 센서(200)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140)를 제어한다.
화재 감지 센서(200)와 제어부의 작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또한 소방수 이동부(120)가 더블데크(10) 사이 공간에 위치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지닌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더블데크 50: 소방수 이동 배관
60: 배관 서포트 110: 소방수 저장부
120: 소방수 이동부 130: 소방수 분사장치
140: 개폐밸브 200: 화재 감지 센서
300: 수위 감지 센서 400: 소방수 공급부

Claims (5)

  1. 더블데크 사이 공간에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소방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소방수 저장부;
    데크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방수 저장부와 연결되어 화재 시 상기 소방수가 분출되는 소방수 분사장치;
    상기 소방수 저장부와 상기 소방수 분사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소방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밸브;
    상기 데크 상부에 배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소방수 분사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방수 저장부의 내부에는 상기 소방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 감지 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 감지 센서에서 입력된 값이 기 설정된 값 이하이면 가장 인접한 상기 소방수 저장부에 연결된 상기 개폐밸브를 열어 상기 소방수를 분사하는 소방수 분사 시스템.
  3. 소방수 저장 탱크 또는 소방수 공급부와 연결되며, 더블데크 사이 공간에 격벽에 의해 구획되어 소방수가 이동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소방수 이동부;
    데크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소방수 이동부와 연결되어 화재 시 상기 소방수가 분출되는 소방수 분사장치;
    상기 소방수 이동부와 상기 소방수 분사장치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소방수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개폐밸브;
    상기 데크 상부에 배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다수의 화재 감지 센서; 및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따라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소방수 분사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화재 감지 센서에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감지센서로부터 일정 반경 내의 상기 소방수 분사장치를 통해 상기 소방수가 분사되도록 상기 개폐밸브를 제어하는 소방수 분사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재 감지 센서로부터 불꽃이 감지되거나,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온도가 감지되면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는 소방수 분사 시스템.
KR1020160036215A 2016-03-25 2016-03-25 소방수 분사 시스템 KR20170111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15A KR20170111227A (ko) 2016-03-25 2016-03-25 소방수 분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6215A KR20170111227A (ko) 2016-03-25 2016-03-25 소방수 분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227A true KR20170111227A (ko) 2017-10-12

Family

ID=60140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6215A KR20170111227A (ko) 2016-03-25 2016-03-25 소방수 분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22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682A (ko) 2020-04-29 2021-1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419690B1 (ko) * 2021-08-17 2022-07-11 (주)케이제이종합감리 화재 정보 분석 기능을 갖는 고층 빌딩용 화재 진압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3682A (ko) 2020-04-29 2021-11-0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화재 감지 시스템
KR102419690B1 (ko) * 2021-08-17 2022-07-11 (주)케이제이종합감리 화재 정보 분석 기능을 갖는 고층 빌딩용 화재 진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63711B2 (en) Dry pipe sprinkler system
US7032681B1 (en) Device for extinguishing a fire
KR20170111227A (ko) 소방수 분사 시스템
KR101162065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 시스템
CN114053627A (zh) 灭火系统及船舶
KR20160007942A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KR101690921B1 (ko) 펌프타워
JP6957316B2 (ja) 消火システム
KR20200030323A (ko) 발전소 외부화재 진압설비 및 이를 이용한 발전소 외부화재 진압방법
KR101635017B1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KR200154487Y1 (ko) 소화와 식수용수 공급장치
KR20230038637A (ko) 자동으로 유수를 제어하는 스프링클러 배관용 분기티 및 이를 포함하는 스프링클러 배관 시스템
KR200463826Y1 (ko) 선박용 소화수 배관 동파 방지장치
JP7250597B2 (ja) スプリンクラーヘッドの作動状態検知システム、消火システム、送水部品
KR20150087571A (ko) 진동저감 구조물을 구비한 데크 하우스
KR20150001166U (ko) 소화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20170058137A (ko) 소화장치
KR20200044498A (ko) 컨테이너 선박용 화재 확산방지 시스템
KR20220046125A (ko) 노즐 가변형 스프링클러
KR200466639Y1 (ko) 선박용 소화수의 서지 방지 장치
US20220401775A1 (en) Fire supression systems and methods
KR102585484B1 (ko) 스프링클러 환상배관 시스템
KR101635014B1 (ko) 선박용 소화시스템
KR20200042107A (ko) 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화재 진압 방법
KR102648769B1 (ko) 내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스프링클러용 배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