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132B1 -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 - Google Patents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132B1
KR101291132B1 KR1020120082605A KR20120082605A KR101291132B1 KR 101291132 B1 KR101291132 B1 KR 101291132B1 KR 1020120082605 A KR1020120082605 A KR 1020120082605A KR 20120082605 A KR20120082605 A KR 20120082605A KR 101291132 B1 KR101291132 B1 KR 1012911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gh
frying pan
cooking
side wall
pan doug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26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무
장은지
Original Assignee
유정무
장은지
거산유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무, 장은지, 거산유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정무
Priority to KR10201200826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1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1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1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0/00Batters, dough or mixtures before baking
    • A21D10/02Ready-for-oven dough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04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forming the dough into a substantially disc-like shape with or without an outer rim, e.g. for making pie crusts, cake shells or pizza base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6/00Other treatment of flour or dough before baking, e.g. cooling, irradiating, heating
    • A21D6/001Cooling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8/00Methods for preparing or baking dough
    • A21D8/02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 A21D8/04Methods for preparing dough; Treating dough prior to baking treating dough with microorganisms or enzym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rying-Pans Or F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에 관한 것으로, 밀과 소백분 및 예스파이, 음용수, 정제염, 프로피온산칼슘, 도우컨디셔너를 포함하는 도우조성물을 살균소독하여 준비하고, 분쇄하는 재료조성단계(S100)와; 상기 재료조성단계를 통해 준비된 도우조성물을 믹서기를 통해 반죽 및 배합하는 재료혼합단계(S200)와; 상기 재료혼합단계를 통해 반죽 및 배합된 도우조성물을 80~800g을 분할 및 성형하여 폴리에틸렌 도우박스에 외부공기가 차단되도록 기밀유지하여 2℃~4℃로 냉장보관하고, 48~72시간동안 저온발효하는 분할성형발효단계(S300)와; 상기 분할성형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도우조성물을 프라이팬 도우형상의 성형장치에 6inch~18inch 크기로 형성하되, 원형의 판상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측벽(14)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이 형성된 원형 내부에 식재료 수용부(16)가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 본체(12)를 성형하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의 측벽 상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지게 연장형성하여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열조리기구로부터 프라이팬 도우(1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도우손잡이부(20)로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를 도우손잡이(20) 부분는 경화처리하고, 프라이팬 도우 본체(12) 부분은 연화처리하여 성형하는 모형성상단계(S400)와; 상기 모형성상단계를 통해 형성된 상기 프라이팬 도우의 전체를 가열기구를 통해 고온 450°F로 약 5분간 가열처리하는 가열처리단계(S500)와; 상기 가열처리단계를 통해 생산된 상기 프라이팬 도우를 폴리에틸렌재질의 포장재에 밀봉포장한 후, 급속 냉결기에 넣어 -40℃~-60℃의 조건하에서 30분간 급속냉동하는 밀봉급속냉동포장단밀과 소백분 및 예스파이, 음용수, 정제염, 프로피온산칼슘, 도우컨디셔너를 포함하는 도우조성물을 살균소독하여 준비하고, 분쇄하는 재료조성단계(S100)와; 상기 재료조성단계를 통해 준비된 도우조성물을 믹서기를 통해 반죽 및 배합하는 재료혼합단계(S200)와; 상기 재료혼합단계를 통해 반죽 및 배합된 도우조성물을 80~800g을 분할 및 성형하여 폴리에틸렌 도우박스에 외부공기가 차단되도록 기밀유지하여 2℃~4℃로 냉장보관하고, 48~72시간동안 저온발효하는 분할성형발효단계(S300)와; 상기 분할성형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도우조성물을 프라이팬 도우형상의 성형장치에 6inch~18inch 크기로 원형의 판상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측벽(14)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이 형성된 원형 내부에 식재료 수용부(16)가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 본체(12)를 성형하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의 측벽 상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지게 연장형성하여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열조리기구로부터 프라이팬 도우(1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도우손잡이부(20)로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를 도우손잡이(20) 부분는 경화처리하고, 프라이팬 도우 본체(12) 부분은 연화처리하여 성형하는 모형성상단계(S400)와; 상기 모형성상단계를 통해 형성된 상기 프라이팬 도우의 전체를 가열기구를 통해 고온 450°F로 약 5분간 가열처리하는 가열처리단계(S500)와; 상기 가열처리단계를 통해 생산된 상기 프라이팬 도우를 폴리에틸렌재질의 포장재에 밀봉포장한 후, 급속 냉결기에 넣어 -40℃~-60℃의 조건하에서 30분간 급속냉동하는 밀봉급속냉동포장단계(S600);를 통해 제조되는 것으로, 도우를 프라이팬 형태로 가장자리 테두리가 상향돌출되고, 상향돌출된 테두리 끝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되도록 피자도우를 성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식재료의 수용이 가능하여 피자, 파스타, 그라탕과 같은 다양한 조리에 사용이 가능하면서 별도의 포장제 없이 조리된 요리와 함께 시식할 수 있고, 피자, 파스타, 그라탕과 같은 다양한 요리를 오븐이나 프라이팬, 전자레인지 등의 가열조리기구에 조리시, 편리하게 넣고 꺼내기가 용이하여 요리의 형태보존이 유리하고, 이에 따라 요리의 장식성이 향상되어 요리품질 및 가치향상이 가능하며, 도우 내부에 식재료가 편리하게 수용이 가능하여 별도의 용기가 필요없고, 용기 자체를 시식할 수 있어 폐기물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어 자원절약이 가능하고,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A frying pan as possible Frying Pan dough a variety of cooking methods and manufacturing molding device and Frying Pan dough}
본 발명은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피자, 파스타, 그라탕 등의 제조에 범용으로 사용이 가능하고, 조리시 토핑, 스파게티재료 등의 다양한 식재료를 수용하도록 가장자리 테두리가 상향 돌출되도록 하여 파이형태의 그릇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수용된 토핑, 스파게티재료 등의 다양한 식재료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깔끔한 조리가 가능하고, 가장자리 테두리를 외측으로 둥글게 말아 오븐, 레인지 등의 가열조리기구로부터 요리의 흐트러짐 없이 손쉽게 꺼내어 요리의 형태를 온전하게 보전이 가능하여 요리의 시각적 미감을 표출할 수 있는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자는 이탈리아 파이의 한 종류로 밀가루를 주원료로 한 피자빵에 토마토소스와 치즈 등의 토핑(topping)을 첨가하여 구워낸 요리로서, 근래에 들어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간식이나 식사대용의 음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이러한, 피자는 주재료와 부재료 및 소스로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하면서 부재료인 토핑재료의 다양화와 소스의 다양화에 따라 많은 종류의 피자가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피자 제조방법은 보통 주재료의 배합, 부재료의 배합, 소스의 조성물을 만들어 상기 재료들을 조리기에 넣어 가열하고 구워내는 것이다. 이러한 피자의 일반적인 제조공정은 먼저, 피자 도우(dough)로써 밀가루, 물, 생이스트, 설탕, 소금, 우유 및 버터 등을 사용하여 적당히 배합 반죽한 다음 이를 약 150g 정도씩 잘라서 얇게 눌려지게 하여 피자 망 위에 올려놓은 다음, 잘게 다진 토마토, 마늘, 향신유 및 소금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피자 소스를 상기 반죽된 도우에 바른 다음 골고루 섞어 주게 되는 것이다.
그 다음 도우에 발려진 피자 소스 위에 치즈, 햄, 양파, 양송이, 올리브, 피망, 칠리, 케이터, 소세지 및, 잘게 다져진 고기 등을 친 후, 그 위에 다시 피자 토핑하여 피자를 굽게 되는 것인 바, 이러한 피자의 독특한 맛은 주로 배합 재료, 반죽, 배합량에 따라 결정되며 또한 굽는 과정에 있어서도 그 맛을 고유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피자의 제조하는 과정에서 피자 도우 위에 얻혀진 토핑은 조리과정에서 치즈와 식재료가 피자도우 측면으로 흘러내리거나 유출되어 피자의 상품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피자도우의 테두리를 말아올려 토핑이 피자 테두리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함께 피자를 잘라 시식시 소비자가 손으로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하여 피자를 제조하고 있고, 현재 대부분의 피자도우의 형태가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욕구와 소비패턴의 다양화로 인해 다양한 피자가 속속 개발되어 개시되고 있다. 또한, 피자를 판매하는 판매처에서는 피자와 별도로 스파게티, 그라탕과 같은 요리를 함께 조리판매하고 있고, 피자 이외에 별도의 요리도 상당한 수요로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허나, 피자와는 달리 스파게티나 그라탕과 같은 요리의 경우에는 피자도우가 필요치 않고, 별도의 오븐용 용기 또는 은박용기를 사용하고 있어 다량의 폐기물이 발생되고 있고, 자원낭비를 초래하는 경향이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최근 개시되고 있는 피자도우와 관련하여 개시되고 있는 것으로는 피자도우를 고깔 형태로 형성하여 고깔 내부에 토핑 등의 식재료를 수용하여 오분에 구워내는 제품이 속속 출시되고 있고, 상당한 인기를 끌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고깔 형태의 도우는 오븐 내부에 고깔을 세워 구워낼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하다. 만일 오븐에 그대로 식재료가 투입된 상태의 고깔도우를 수용할 경우에는 고깔 내부에 수용된 식재료가 조리과정에서 팽창하고, 끓고 하는 과정을 통해 외부로 식재료가 유출되는 문제가 빈번하다. 또한, 오븐 내부에서 조리가 완성된 고깔 도우의 피자를 꺼낼 때 특별히 파지할 수 있는 구성이 없어, 자칫 고깔도우가 부스러지거나 파손되어 제품으로써의 가치를 잃어 생산단가에서 큰 비용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이와 같은 고깔도우의 경우에는 피자에 한정된 조리방법으로 스파게티, 그라탕 등의 다양한 요리에는 적용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단지 소비자의 호기심만을 자극하는 정도의 제품으로 제한되고,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깔도우의 성형을 위한 장비 이외에 별도 조리장비가 추가적으로 마련되어야 함에 따라 생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 도우를 프라이팬 형태로 가장자리 테두리가 상향돌출되고, 상향돌출된 테두리 끝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되도록 피자도우를 성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식재료의 수용이 가능하여 피자, 파스타, 그라탕과 같은 다양한 조리에 사용이 가능하면서 별도의 포장제 없이 조리된 요리와 함께 시식할 수 있는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자, 파스타, 그라탕과 같은 다양한 요리를 오븐이나 프라이팬, 전자레인지 등의 가열조리기구에 조리시, 편리하게 넣고 꺼내기가 용이하여 요리의 형태보존이 유리하고, 이에 따라 요리의 장식성이 향상되어 요리품질 및 가치향상이 가능한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도우 내부에 식재료가 편리하게 수용이 가능하여 별도의 용기가 필요없고, 용기자체를 시식할 수 있어 폐기물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어 자원절약이 가능하고,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은 밀과 소백분 및 예스파이, 음용수, 정제염, 프로피온산칼슘, 도우컨디셔너를 포함하는 도우조성물을 살균소독하여 준비하고, 분쇄하는 재료조성단계(S100)와; 상기 재료조성단계를 통해 준비된 도우조성물을 믹서기를 통해 반죽 및 배합하는 재료혼합단계(S200)와; 상기 재료혼합단계를 통해 반죽 및 배합된 도우조성물을 80~800g을 분할 및 성형하여 폴리에틸렌 도우박스에 외부공기가 차단되도록 기밀유지하여 2℃~4℃로 냉장보관하고, 48~72시간동안 저온발효하는 분할성형발효단계(S300)와; 상기 분할성형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도우조성물을 프라이팬 도우형상의 성형장치에 6inch~18inch 크기로 형성하되, 원형의 판상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측벽(14)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이 형성된 원형 내부에 식재료 수용부(16)가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 본체(12)를 성형하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의 측벽 상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지게 연장형성하여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열조리기구로부터 프라이팬 도우(1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도우손잡이부(20)로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를 도우손잡이(20) 부분는 경화처리하고, 프라이팬 도우 본체(12) 부분은 연화처리하여 성형하는 모형성상단계(S400)와; 상기 모형성상단계를 통해 형성된 상기 프라이팬 도우의 전체를 가열기구를 통해 고온 450°F로 약 5분간 가열처리하는 가열처리단계(S500)와; 상기 가열처리단계를 통해 생산된 상기 프라이팬 도우를 폴리에틸렌재질의 포장재에 밀봉포장한 후, 급속 냉결기에 넣어 -40℃~-60℃의 조건하에서 30분간 급속냉동하는 밀봉급속냉동포장단계(S60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도우조성물은 밀/소백분 500g~10,000g 중량부, 예스파이 300g~1,000g 중량부, 음용수 350g~700g 중량부, 정제염 100g~200g 중량부, 프로피온산칼슘 50g~100kg 중량부, 발효 및 질감을 위한 효모 또는 효소로 형성된 도우컨시셔너 2.0g 중량부로 배합 및 분쇄되어 반죽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성형장치는 상기 상부몰드프레임(101)에 복수의 상부단위몰드(110)의 상부가 고정배치된 상부몰드(100)와; 하부몰드프레임(201)에 상기 상부단위몰드(110)와 겹쳐져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만곡지게 절곡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원형의 바닥면과 측면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단위몰드(210)의 상부가 고정배치된 하부몰드(200)와; 상기 하부단위몰드(210)의 바닥면과 측면에는 상기 공동의 가스를 배출하는 다수의 가스배출공(212)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몰드(200)의 만곡지게 절곡형성되는 테두리에 경화열선(300)이 둘레를 따라 감겨 형성되어 프라이팬 도우(10)의 외측으로 만곡진 도우손잡이부(20)를 1차경화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성형장치에 의해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는 식재료를 수용하여 조리하고, 시식할 수 있는 도우에 있어서, 원형의 판상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측벽(14)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이 형성된 원형 내부에 식재료 수용부(16)가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와;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의 측벽 상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의 식재료 수용부(16)에 식재료를 수용하여 가열조리기구에 가열조리 후,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열조리기구로부터 프라이팬 도우(1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된 도우손잡이부(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도우손잡이(20)는 상부로 열원이 손실되지 않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 측벽으로 순환되도록 만곡진 각도가 상기 측벽(14)을 기준으로 30°~45°각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보다 열경화되어 원형 테두리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우를 프라이팬 형태로 가장자리 테두리가 상향돌출되고, 상향돌출된 테두리 끝단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지게 절곡되도록 형성되도록 피자도우를 성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식재료의 수용이 가능하여 피자, 파스타, 그라탕과 같은 다양한 조리에 사용이 가능하면서 별도의 포장제 없이 조리된 요리와 함께 시식할 수 있고, 피자, 파스타, 그라탕과 같은 다양한 요리를 오븐이나 프라이팬, 전자레인지 등의 가열조리기구에 조리시, 편리하게 넣고 꺼내기가 용이하여 요리의 형태보존이 유리하고, 이에 따라 요리의 장식성이 향상되어 요리품질 및 가치향상이 가능하며, 도우 내부에 식재료가 편리하게 수용이 가능하여 별도의 용기가 필요없고, 용기 자체를 시식할 수 있어 폐기물 발생이 현저히 줄어들어 자원절약이 가능하고,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라이팬 도우의 성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라이팬 도우의 성형장치의 측면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라이팬 도우의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과정을 도시한 계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라이팬 도우의 전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라이팬 도우의 측면 단면도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의 실시예를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의 블럭도로서, 블럭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의 제조방법은 재료조성단계(S100), 재료혼합단계(S200), 분할성형발효단계(S300), 모형성상단계(S400), 가열처리단계(S500), 밀봉급속냉동포장단계(S600)를 통해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 재료조성단계(S100)는 생산근로자의 기본적 위생점검 및 소독처리 후, 재료 조성을 위한 작업장에 입실을 체크하고, 생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 제품이 공기 중 세균이나 설비에 감염되지 않도록 생산 실 내 공기를 차단하고, 소독한 후, 밀과 소백분 및 예스파이, 음용수, 정제염, 프로피온산칼슘, 도우컨디셔너를 포함하는 도우조성물을 재차 살균소독하여 준비하고, 분쇄한다.
여기서, 도우조성물은 밀/소백분 500g~10,000g 중량부, 예스파이 300g~1,000g 중량부, 음용수 350g~700g 중량부, 정제염 100g~200g 중량부, 프라이팬 도우의 보존을 위한 보존료로 프로피온산칼슘 50g~100kg 중량부, 발효 및 질감을 위한 효모 또는 효소로 형성된 도우컨시셔너 2.0g 중량부로 배합 및 분쇄되어 반죽한다. 상기 예스파이는 일반적으로 버터, 마아가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재료혼합단계(S20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도우조성물을 각각의 조성물에 따른 중량부를 측정하여 준비하고, 이렇게 준비된 도우조성물을 믹서기를 통해 반죽 및 배합한다.
상기 분할성형발효단계(S300)는 상기 재료혼합단계를 통해 반죽 및 배합된 도우조성물을 80~800g을 분할(프라이팬 도우의 크기에 따라 분할되는 중량이 변동이 발생된다) 및 성형하여 폴리에틸렌 도우박스에 외부공기가 차단되도록 기밀유지하여 2℃~4℃로 냉장보관하고, 48~72시간동안 저온발효한다.
상기 모형성상단계(S400)는 전술한 상기 분할성형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도우조성물을 후술되는 프라이팬 도우형상의 성형장치에 6inch~18inch 크기로 사용처및 조리대상에 따라 선택적으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프라이팬 도우(10)의 형상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판상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측벽(14)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이 형성된 원형 내부에 식재료 수용부(16)가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 본체(12)를 성형하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의 측벽 상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지게 연장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열조리기구로부터 프라이팬 도우(1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도우손잡이부(20)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프라이팬 도우(10)는 도우손잡이(20) 부분는 경화처리하고, 프라이팬 도우 본체(12) 부분은 연화처리하여 성형한다.
상기 가열처리단계(S500)는 상기 모형성상단계를 통해 형성된 상기 프라이팬 도우(10)의 전체를 가열기구를 통해 고온 450°F로 약 5분간 가열처리하여 전체적으로 시식이 가능하도록 형성하고, 1차로 경화처리된 도우손잡이(20) 부분을 2차로 가열처리하여 프라이팬 도우 본체(12)보다 더 단단하게 경화시켜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밀봉급속냉동포장단계(S600)는 상기 가열처리단계를 통해 생산된 상기 프라이팬 도우를 폴리에틸렌재질의 포장재에 밀봉포장한 후, 급속 냉결기에 넣어 -40℃~-60℃의 조건하에서 30분간 급속냉동하여 살균된 상태로 냉장보존기간이 증대되도록 한 후, 프라이팬 도우 완제품을 생산출하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라이팬 도우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라이팬 도우의 측면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는 프라이팬 도우 본체(12), 도우손잡이부(20)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는 원형의 판상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측벽(14)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이 형성된 원형 내부에 식재료 수용부(1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은 피자, 파스타, 그라탕 등 다양한 요리를 담아 조리할 수 있도록 상향 기립되어 형성되고, 용도에 따라 측벽의 높이를 달리 성형이 가능하다. 즉, 예를 들면 피자를 제조하고자 할 경우에는 측벽과 내부 식재료 수용부(16)에 토마토소스 및 치즈, 토핑을 두른 후, 오븐에 구워낸다. 이 때, 토핑의 양을 일반 종래 피자와 같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취향에 따라 많은 양의 새로운 형태의 피자가 가능하고, 조리과정에서 토핑이 외부로 유출되거나 흘러내려 제품품질을 떨어뜨리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파스타를 담아 내어 함께 시식이 가능하고, 그라탕도 마찬가지로 그릇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함과 함께 시식이 가능하다.
상기 도우손잡이부(20)는 전술한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의 측벽 상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의 식재료 수용부(16)에 식재료를 수용하여 가열조리기구에 가열조리 후,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열조리기구로부터 프라이팬 도우(1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우손잡이부(20)는 후술되는 성형장치의 경화열선을 통해 1차가열 경화되고, 앞서 제조방법의 가열처리단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화씨450도에서 2차가열 경화함으로써, 프라이팬 도우 본체(12) 보다 경화된 상태로 사용자가 전체 프라이팬 도우의 전체형상의 흐트러짐 없이 파지 이동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도우손잡이(20)는 상부로 열원이 손실되지 않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 측벽으로 순환되도록 만곡진 각도가 상기 측벽(14)을 기준으로 30°~45°각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프라이팬 도우 하부에서 열원이 발생되면 열원은 측벽으로 전도되어 상측으로 방출되지만 상기 도우손잡이(20)의 만곡진 부분을 통해 상측으로 상승하는 열원이 다시 측벽측으로 하강순환하여 열원이 보다 효율적으로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에 전달되어 식재료 수용부(16)에 수용된 다양한 식재료의 조리가 용이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라이팬 도우의 성형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라이팬 도우의 성형장치의 측면단면도이다. 이와 같은 성형장치는 앞서 상술한 제조방법을 통해 생산된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를 성형하기 위한 성형장치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몰드프레임(101)에 복수의 상부단위몰드(110)의 상부가 고정배치된 상부몰드(100)와; 하부몰드프레임(201)에 상기 상부단위몰드(110)와 겹쳐져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만곡지게 절곡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원형의 바닥면과 측면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단위몰드(210)의 상부가 고정배치된 하부몰드(200)와; 상기 하부단위몰드(210)의 바닥면과 측면에는 상기 공동의 가스를 배출하는 다수의 가스배출공(2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몰드(200)의 만곡지게 절곡형성되는 테두리에 경화열선(300)이 둘레를 따라 감겨 형성되어 프라이팬 도우(10)의 외측으로 만곡진 도우손잡이부(20)를 1차경화하도록 구비된다. 즉, 경화열선(300)을 통해 상하부몰드에 의해 가압성형된 프라이팬 도우의 도우손잡이부(20)를 1차 경화함에 따라 프라이팬 도우 전체의 형상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성형된 프라이팬 도우를 다양한 식재료의 수용과 함께 오븐에 투입시 보다 용이하게 파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성형장치를 통해 생산되는 프라이팬 도우는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프라이팬 도우의 성형장치에 의해 성형되는 과정을 도시한 계략도를 통해 알수 있다. 즉, 하부몰드(200)를 형성하는 하부몰드프레임(201)상에 다수 형성된 하부단위몰드(210) 각각에 반죽된 도우조성물을 대응시키고, 상부몰드(100)를 하부몰드(200)의 하부몰드프레임(201)에 상부몰드프레임(101)이 대응되도록 한다.
이후, 상부몰드프레임(101)을 하부몰드프레임(201)측으로 대응밀착함에 따라 상부단위몰드(110)가 하부단위몰드(210) 내측으로 요입압축하고, 상부단위몰드(110)와 하부단위몰드(210) 사이 공간에 도우조성물이 채워져 전체적으로 프라이팬 도우 형상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하부단위몰드(210) 각각에 감겨 형성된 경화열선(300)에 의해 프라이팬 도우의 도우손잡이부(20)를 경화함에 따라 하부단위몰드(210)로부터 성형된 프라이팬 도우(10)의 분리가 용이하다.
따라서, 종합하면 프라이팬 도우를 통해 다양한 식재료의 수용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형태의 요리 즉, 피자, 파스타, 그라탕 등을 담는 용기대용으로 사용이 가능함은 물론, 조리가 간편하면서, 조리된 요리와 함께 시식이 가능하고, 불필요한 포장재 또는 용기가 필요없어 폐기물이나 용기를 세척하기 위한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자명한 것이며, 도우손잡이부(20)를 통해 조리시 사용자 편의성을 추구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한 음식에 적용 및 조리가 가능한 것이다.
더욱이, 별도의 오븐이 없더라도 가정에서 손쉽게 후라이팬상에 올려놓고 가열하여도 도우손잡이부(20)에 의해 열원이 순환되어 상하부에 식재료가 고르게 익을 수 있고, 이를 통해 보다 높은 품질의 음식조리가 가능함은 물론, 오븐이 없는 가정에서도 손쉽게 조리가 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명백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와 실질적 균등범위까지 포함된다 할 것이다.
S100 : 재료조성단계 S200 : 재료혼합단계
S300 : 분할성형발효단계 S400 : 모형성상단계
S500 : 가열처리단계 S600 :밀봉급속냉동포장단계
100 : 상부몰드 101 : 상부몰드프레임
110 : 상부단위몰드 200 : 하부몰드
201 : 하부몰드프레임 210 : 하부단위몰드
212 : 가스 배출공 300 : 경화열선
10 : 프라이팬 도우 12 : 프라이팬 도우 본체
14 : 측벽 16 : 식재료 수용부
20 : 도우손잡이

Claims (6)

  1. 밀과 소백분 및 예스파이, 음용수, 정제염, 프로피온산칼슘, 도우컨디셔너를 포함하는 도우조성물을 살균소독하여 준비하고, 분쇄하는 재료조성단계(S100)와;
    상기 재료조성단계를 통해 준비된 도우조성물을 믹서기를 통해 반죽 및 배합하는 재료혼합단계(S200)와;
    상기 재료혼합단계를 통해 반죽 및 배합된 도우조성물을 80~800g을 분할 및 성형하여 폴리에틸렌 도우박스에 외부공기가 차단되도록 기밀유지하여 2℃~4℃로 냉장보관하고, 48~72시간동안 저온발효하는 분할성형발효단계(S300)와;
    상기 분할성형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도우조성물을 프라이팬 도우형상의 성형장치에 6inch~18inch 크기로 형성하되, 원형의 판상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측벽(14)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이 형성된 원형 내부에 식재료 수용부(16)가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 본체(12)를 성형하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의 측벽 상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지게 연장형성하여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열조리기구로부터 프라이팬 도우(1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도우손잡이부(20)로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를 도우손잡이(20) 부분는 경화처리하고, 프라이팬 도우 본체(12) 부분은 연화처리하여 성형하는 모형성상단계(S400)와;
    상기 모형성상단계를 통해 형성된 상기 프라이팬 도우의 전체를 가열기구를 통해 고온 450°F로 약 5분간 가열처리하는 가열처리단계(S500)와;
    상기 가열처리단계를 통해 생산된 상기 프라이팬 도우를 폴리에틸렌재질의 포장재에 밀봉포장한 후, 급속 냉결기에 넣어 -40℃~-60℃의 조건하에서 30분간 급속냉동하는 밀봉급속냉동포장단계(S600);를 포함하는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조성물은 밀/소백분 500g~10,000g 중량부, 예스파이 300g~1,000g 중량부, 음용수 350g~700g 중량부, 정제염 100g~200g 중량부, 프로피온산칼슘 50g~100kg 중량부, 발효 및 질감을 위한 효모 또는 효소로 형성된 도우컨시셔너 2.0g 중량부로 배합 및 분쇄되어 반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3. 상부몰드프레임(101)에 복수의 상부단위몰드(110)의 상부가 고정배치된 상부몰드(100)와; 하부몰드프레임(201)에 상기 상부단위몰드(110)와 겹쳐져 테두리가 바깥쪽으로 만곡지게 절곡형성되도록 마련되고, 원형의 바닥면과 측면으로 공동이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단위몰드(210)의 상부가 고정배치된 하부몰드(200)와; 상기 하부단위몰드(210)의 바닥면과 측면에는 상기 공동의 가스를 배출하는 다수의 가스배출공(212)이 형성되되,
    상기 하부몰드(200)의 만곡지게 절곡형성되는 테두리에 경화열선(300)이 둘레를 따라 감겨 형성되어 프라이팬 도우(10)의 외측으로 만곡진 도우손잡이부(20)를 1차경화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성형장치.
  4. 식재료를 수용하여 조리하고, 시식할 수 있는 도우에 있어서,
    원형의 판상 둘레를 따라 상향으로 측벽(14)이 형성되고, 상기 측벽이 형성된 원형 내부에 식재료 수용부(16)가 형성된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와;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의 측벽 상단 테두리 둘레를 따라 외측으로 만곡지게 연장형성되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의 식재료 수용부(16)에 식재료를 수용하여 가열조리기구에 가열조리 후, 사용자가 파지하여 가열조리기구로부터 프라이팬 도우(10)를 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형성된 도우손잡이부(20);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도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손잡이(20)는 상부로 열원이 손실되지 않고,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 측벽으로 순환되도록 만곡진 각도가 상기 측벽(14)을 기준으로 30°~45°각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도우.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도우손잡이(20)는 상기 프라이팬 도우 본체(12)보다 열경화되어 원형 테두리 형태를 유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팬 도우.
KR1020120082605A 2012-07-27 2012-07-27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 KR1012911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605A KR101291132B1 (ko) 2012-07-27 2012-07-27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2605A KR101291132B1 (ko) 2012-07-27 2012-07-27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132B1 true KR101291132B1 (ko) 2013-08-13

Family

ID=49219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2605A KR101291132B1 (ko) 2012-07-27 2012-07-27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13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641A (ko) * 2020-10-13 2022-04-20 강민호 컵 빵 제조방법
KR20230025996A (ko) * 2021-08-17 2023-02-24 박진성 일체형 컵형상 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컵형상 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024B1 (ko) 2006-07-25 2007-08-28 차정문 피자용 크러스트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크러스트성형틀
KR100793742B1 (ko) 2006-12-08 2008-01-10 (주)해밀에프엔씨 피자 도우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1515A (ko) * 2008-01-24 2009-07-29 정원영 2번 구운 보관용 빵을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 냉동피자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즉석 냉동피자
KR20100012707A (ko) * 2008-07-29 2010-02-08 임신재 자판기용 냉동피자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024B1 (ko) 2006-07-25 2007-08-28 차정문 피자용 크러스트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크러스트성형틀
KR100793742B1 (ko) 2006-12-08 2008-01-10 (주)해밀에프엔씨 피자 도우용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90081515A (ko) * 2008-01-24 2009-07-29 정원영 2번 구운 보관용 빵을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 냉동피자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즉석 냉동피자
KR20100012707A (ko) * 2008-07-29 2010-02-08 임신재 자판기용 냉동피자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8641A (ko) * 2020-10-13 2022-04-20 강민호 컵 빵 제조방법
KR102505366B1 (ko) * 2020-10-13 2023-02-28 강민호 컵 빵 제조방법
KR20230025996A (ko) * 2021-08-17 2023-02-24 박진성 일체형 컵형상 김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컵형상 김
KR102661989B1 (ko) 2021-08-17 2024-04-30 박세기 일체형 컵형상 김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3443B1 (ko) 마늘바게트빵 제조방법
KR20170061813A (ko) 진공포장용 패티 제조방법
KR102047941B1 (ko) 라이징 피자 도우 제조방법
CA3097572A1 (en) Packaged food product and process and packaging therefor
KR101291132B1 (ko) 다양한 조리가 가능한 프라이팬 도우 제조방법 및 성형장치와 이에 따른 프라이팬 도우
US6733808B2 (en) One-dish frozen dinner product having an integral bread ring and apparatus for shipping and preparing same
KR100898060B1 (ko) 홈 베이커리용 반구운 바게트 및 그의 제조방법
US6743452B2 (en) One-dish frozen dinner product having an integral bread ring and apparatus for shipping and preparing same
KR20170090671A (ko) 피자 도우 제조방법
KR20090081515A (ko) 2번 구운 보관용 빵을 이용하여 제조된 즉석 냉동피자의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즉석 냉동피자
US20160122118A1 (en) Preserved Microwavable Food Products
KR20150061509A (ko) 김치볶음밥 찐빵의 제조방법
KR100752024B1 (ko) 피자용 크러스트 제조방법 및 이를 제조하기 위한 크러스트성형틀
RU2627090C2 (ru) Тесто для пиццы, содержащее осоложенную ячменную муку
KR101548807B1 (ko) 피자 둘레에 달걀 크림이 적용된 피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634060B1 (ko) 피자빵 가장자리에 토핑물이 적용된 피자 제조방법
RU188313U1 (ru) Съедобная емкость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KR101799375B1 (ko) 밥, 익힌 죽, 또는 익힌 면을 이용한 와플 및 그 제조방법
JP3089335U (ja) ピザ様食品
CA2377205C (en) One-dish frozen dinner product having an integral bread ring and apparatus for shipping and preparing same
KR20100058881A (ko) 피자 제조방법
KR100499548B1 (ko) 스위트 시럽 크러스트 피자의 제조방법
RU2259739C1 (ru) Пищевой продукт быстрого приготовления "разогриль"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US20170135354A1 (en) Excellent Pizza Recipe
JP2753843B2 (ja) 蒸しピザパ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