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7093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7093B1
KR101287093B1 KR1020120014267A KR20120014267A KR101287093B1 KR 101287093 B1 KR101287093 B1 KR 101287093B1 KR 1020120014267 A KR1020120014267 A KR 1020120014267A KR 20120014267 A KR20120014267 A KR 20120014267A KR 101287093 B1 KR101287093 B1 KR 1012870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ovable contact
operation member
switch devic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4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04932A (ko
Inventor
다카히토 사토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49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49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70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70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2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36Driving mechanisms
    • H01H21/40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 H01H21/42Driving mechanisms having snap action produced by compression or extension of coil spring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로의 장착시에 가동 접점이 변형되기 어려워, 조립성이 양호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복수의 고정 접점(32a, 31a, 33a)이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된 절연 기체(2)와, 절연 기체(2)에 대하여 유한 각도의 회전 조작 영역 내에서 조작되도록 배치하여 설치된 조작 부재(4)와, 조작 부재(4)에 설치되어 복수의 고정 접점(32a, 31a, 33a) 사이의 도통 상태의 전환을 행함과 함께 고정 접점(32a, 31a, 33a)을 협지하도록 형성된 가동 접점(5)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고정 접점(32a, 31a, 33a) 중 양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일방의 고정 접점(32a)의 단부에는 가동 접점(5)의 이동 경로의 연장상에서 가동 접점(5)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32c)가 설치되어 있고, 회전 조작 영역 외에 있는 조작 부재(4)를 회전시키면, 가동 접점(5)이 가이드부(32c)를 경유하여 고정 접점(32a)을 협지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위치 장치{SWITC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조작 부재를 유한 각도의 회전 조작 영역 내에서 회전 조작함으로써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접촉시키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위치 장치는, 회전 조작 가능한 레버의 하방 스페이스에 작동 부재나 접점 전환 기구 등이 장착되어 있어, 조작자에 의해 레버가 회전 조작되면, 작동 부재를 거쳐서 접점 전환 기구의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접촉하여 소정의 전기 신호가 출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실용신안공보 평6-48697호
그러나, 종래의 스위치 장치에서는, 클립 형상의 가동 접점에 의해 고정 접점을 끼워넣도록 설치하여 스위치 장치에 장착하는 구조를 취한다. 이 때문에, 장착시에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에 맞닿아, 가동 접점이 변형될 우려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위치 장치로의 장착시에 가동 접점이 변형되기 어려워, 조립성이 양호한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스위치 장치는, 복수의 고정 접점이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된 절연 기체(基體)와, 상기 절연 기체에 대하여 유한 각도의 회전 조작 영역의 범위 내에서 조작되도록 배치하여 설치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 접점 사이의 도통 상태의 전환을 행함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을 협지(sandwich)하도록 형성된 가동 접점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접점 중 양단(兩端)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일방의 상기 고정 접점의 단부에, 상기 회전 조작 영역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가동 접점의 이동 경로의 연장상에서 상기 가동 접점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회전 조작 영역의 외측에 있는 조작 부재를 회전시키면, 가동 접점이 가이드부를 경유하여 고정 접점을 협지하도록 안내되는 점에서, 고정 접점에 대하여 가동 접점이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로의 장착시에 있어서 가동 접점이 변형되기 어려워,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선단에서부터 점차 두께가 증가해 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테이퍼 형상의 가이드부가 조작 부재의 회전에 수반하여, 고정 접점에 대응하는 두께까지 접점부 사이의 간극을 무리 없이 넓히기 때문에, 더 원활하게 가동 접점을 장착할 수 있다.
또,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기부(基部)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서로 대향하는 탄성 아암부와, 상기 탄성 아암부의 선단측에 각각 설치된 접점부를 가지고,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회전 조작 영역의 외측으로부터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접점부 사이로 들어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걸리기 어렵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원활하게 가동 접점을 고정 접점에 협지시킬 수 있어, 스위치 장치의 장착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의 변형을 더욱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평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에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장착시에 가이드부와 가동 접점의 중심이 어긋나 있어도, 가동 접점이 그 어긋남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더 확실하게 가동 접점을 가이드부에서 안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조작시에 균등한 접점 하중이 고정 접점에 가해지기 때문에,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스위치 장치를 장수명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고정 접점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절연 부재의 표면은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가동 접점의 접점부의 이동을 절연 부재에서 안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접점 전환의 타이밍의 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접점 전환시에 가동 접점이 고정 접점의 단부에 걸리는 사태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회전축 방향으로 연신됨과 함께 회전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을 선단부에 가지는 축부를 가지고, 상기 절연 기체는, 상기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돌출편과 맞물리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된 베어링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 조작 영역의 외측으로부터의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가이드부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돌출편이 상기 걸어맞춤부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가동 접점이 가이드부에 도달하기 전에 돌출편이 걸어맞춤부와 맞물림으로써, 조작 부재가 절연 기체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에 의한 가동 접점의 안내를 양호한 정밀도로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스위치 장치의 조립성을 더욱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체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일부가 삽입 통과되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조작 영역을 유한 각도 내로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설치한 케이스가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스위치 장치 자체에서 조작 부재의 회전 조작 영역을 유한 각도 내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의 조립 후에 조작 부재가 부주의하게 회전 조작 영역 외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 조작 영역의 외측에 있는 조작 부재를 회전시키면, 가동 접점이 가이드부를 경유하여 고정 접점을 협지하도록 안내되는 점에서, 고정 접점에 대하여 가동 접점이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로의 장착시에 있어서 가동 접점이 변형되기 어려워,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고정 접점이 매설된 절연 기체의 (a) 정면도, (b) 배면도, (c) 좌측면도이다.
도 4는 가이드부가 형성된 전환 접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조작 부재의 (a) 정면도, (b) 배면도, (c) 가동 접점이 장착된 상태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스위치 장치로부터 케이스를 떼어낸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스위치 장치로부터 케이스를 떼어낸 경우의 배면도이다.
도 9는 절연 기체에 조작 부재를 장착하는 초기 상태의 (a) 전면측, (b) 배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절연 기체에 조작 부재를 장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는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1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3은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의 제2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는, 예를 들면, 자동차 도어록의 검출 등에 적합한 차량 탑재용 스위치 장치로서 이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1)를 전방에서 보았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1)를 후방에서 보았을 때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이하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1, 도 2에 나타내는 상하 방향을 「스위치 장치(1)의 상하 방향」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또, 도 1에 나타내는 앞쪽을 「스위치 장치(1)의 전방측」이라고 부르고, 도 1에 나타내는 안쪽을 「스위치 장치(1)의 후방측」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1)는, 절연 기체(2)와, 절연 기체(2)에 설치된 복수의 외부 접속 단자(3)와, 스위치 장치(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여 유한 각도의 회전 조작 영역 내에서 회전 조작 가능하게 설치된 조작 부재(4)와, 조작 부재(4)에 설치되는 클립 형상의 가동 접점(5)과, 조작 부재(4)에 설치되는 탄성 부재(6)와, 이것들을 수용하는 케이스(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연 기체(2)는, 합성 수지 등의 절연체로 형성되고, 대체로 직방체 형상을 가지는 기부(2a)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2a)의 상면으로서 후방측의 측단부에는, 한 쌍의 아암부에 의해 지지된 지지벽부(2b)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벽부(2b)는, 대체로 원반 형상을 가지고, 기부(2a)보다 약간 상방측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기부(2a)의 폭 방향 중앙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 외부 접속 단자(3)가 병설되어 있다. 이들 외부 접속 단자(3)는, 상방측 및 하방측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인서트 성형에 의해 매설된다. 도 3은, 외부 접속 단자(3)가 매설된 절연 기체(2)의 (a) 정면도, (b) 배면도, (c) 좌측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2a)의 대향하는 전면, 후면에는, 후술하는 케이스(7)의 스냅 구멍(7a)에 걸어맞출 수 있는 돌기(2c)가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기부(2a)의 좌방측 단부의 근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 구멍(2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부(2a)의 우방측 측면에는, 반원기둥 형상의 오목부(2e)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2a)의 상면에는, 원호 형상을 가지는 오목부(2f)가 설치되어 있다. 후술하는 복수의 고정 접점(31a, 32a, 33a)은, 이 오목부(2f)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지지벽부(2b)의 중앙에는, 대체로 원통 형상을 가지는 베어링부(2g)가 전면측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2g)의 중앙에는, 구멍(2h)이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2g)의 일부에는, 후술하는 조작 부재(4)의 돌출편(4k)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컷아웃부(2i)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베어링부(2g)는, 컷아웃부(2i)를 개방한, 정면에서 보아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컷아웃부(2i)는, 구멍(2h)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베어링부(2g)의 후면으로서, 구멍(2h)의 주위에는, 걸어맞춤부(2j)가 설치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부(2j)는, 컷아웃부(2i)를 제외한 위치에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부 접속 단자(3)는, 각각이 도전성의 금속판으로 형성된, 코먼 단자(31) 및 전환 단자(32, 33)로 구성된다. 코먼 단자(31)는, 기부(2a)의 중앙에 배치되고, 전환 단자(32, 33)는, 각각 코먼 단자(31)의 좌방측, 우방측에 배치된다. 코먼 단자(31)는, 기부(2a)로의 매설 부분으로부터 절연 기체(2)의 기부(2a)의 상부에 돌출되는 고정 접점(31a)과, 기부(2a)의 하부에 돌출되는 접속부(31b)로 구성된다. 전환 단자(32)(33)도 마찬가지로, 고정 접점(32a)(33a) 및 접속부(32b)(33b)로 구성된다. 금속판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접점(31a, 32a, 33a)은 서로 이간하면서, 베어링부(2g)의 구멍(2h)의 중심으로부터 동일 반경 상에 배치되고, 전체적으로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웃하는 고정 접점(31a, 32a, 33a) 사이에는 절연 부재(2k)가 설치되고, 코먼 단자(31) 및 전환 단자(32, 33)는 서로 절연되어 있다. 또한, 고정 접점(31a, 32a, 33a) 및 절연 부재(2k)의 표면은,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고정 접점(32a)의 선단부에는, 가이드부(32c)가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32c)는, 외부 접속 단자(3)를 형성하는 금속판에 크러쉬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형성된다.
도 4는, 가이드부(32c)가 형성된 전환 단자(32)의 사시도이다. 전환 단자(32)의 고정 접점(32a)은, 후술하는 가동 접점(5)이 이동하는 경로의 연장상의 외주에 위치하는 단부가 예각 형상이고, 이 선단부에 가이드부(32c)가 형성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이드부(32c)는, 금속판의 판 두께로 형성되는 본체부로서의 고정 접점(32a)과 비교하여 두께가 얇고, 가이드부(32c)의 상하 방향에 있어서는, 대략 균일한 두께이다. 또, 가이드부(32c)는, 도 4에 있어서의 좌측에 위치하는 선단으로부터 우측에 위치하는 고정 접점(32a)(본체부)을 향함에 따라서 점차 두께가 증가하는 테이퍼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32b)(31b, 33b)는, 대략 U자 형상의 폴드백부(32d)와, 아래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제1 탄성부(32e) 및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으로 만곡한 제2 탄성부(32f)로 구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4)는,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되고, 스위치 장치(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작축부(4a)와, 조작축부(4a)를 가지는 기부(4b)로 구성된다. 도 5는, 조작 부재(4)의 (a) 정면도, (b) 배면도, (c) 가동 접점(5)이 장착된 상태를 하방에서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축부(4a)의 하단부에는, 좌우 대칭인 위로 볼록한 원호 형상의 아암부(4c)가 설치되어 있다. 조작축부(4a)는, 아암부(4c)의 후방측의 일부에서 기부(4b)에 연결된다. 기부(4b)는, 정면에서 보아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기부(4b)의 전면에는, 전방측으로 돌출하도록, 원기둥 형상의 지지축(4d)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4d)은, 원기둥의 하반(下半) 부분을 비스듬하게 잘라낸 형상이다. 지지축(4d)은, 후술하는 탄성 부재(6)의 권회부(6c)에 삽입되어서, 이것을 지지한다.
지지축(4d)의 주위에는, 후술하는 탄성 부재(6)의 권회부(6c)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4e)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용부(4e)의 전방측에는, 수용한 탄성 부재(6)의 전방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스프링 걸림편(4f)이 형성되어 있다. 또, 아암부(4c)의 바닥부 평면에는, 후술하는 탄성 부재(6)의, 일단부(6a)에 대향하는 위치에 스프링 걸림부(4g)가, 타단부(6b)에 대향하는 위치에 스프링 걸림부(4h)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기부(4b)의 후면 중앙에는, 원 형상의 오목부(4i)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i)의 중앙에는, 후방측[조작 부재(4)의 회전 축선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축부(4j)가 설치되어 있다. 축부(4j)는, 외주면이 대체로 원통 형상을 이루고 있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부(4b)의 후면보다 후방측의 위치까지 돌출되어 있다. 축부(4j)의 선단에는, 조작 부재(4)의 회전 축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4k)이 설치되어 있다.
기부(4b)의 하면에는, 후술하는 가동 접점(5)을 유지할 수 있는 접점 수납부(41)가 형성되어 있다. 접점 수납부(41)에는, 복수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의 클로부(4m) 및 돌기(4n)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클로부(4m)는, 후방측[도 5(c)에 나타내는 하방측]의 일단부가 접점 수납부(41)에 있어서의 기부(4b)의 바닥면과 접속되고, 전방측으로 연신하여 캔틸레버 형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돌기(4n)는, 후술하는 가동 접점(5)의 스냅 구멍(5f)에 대응한 형상인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5)은, 인청동판 등의 탄성을 가지는 금속판을 구부려서 형성된다. 가동 접점(5)은, 스위치 장치(1)의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부(5a)와, 기부(5a)의 전방측 및 후방측의 측연부(側緣部)로부터 연장 돌출하고, 서로 대향하는 탄성 아암부(5b)(5d)와, 탄성 아암부(5b)의 선단측에 설치된 곡면 형상의 접점부(5c)(5e)로 구성된다. 또한, 가동 접점(5)에는, 선단측에 접점부(5c)를 가지는 탄성 아암부(5b)와, 선단측에 접점부(5e)를 가지는 탄성 아암부(5d)의 두 쌍의 탄성 아암부가 설치되어 있고, 접점부(5c)(5e)끼리도 대향 배치되어 있다. 또, 기부(5a)의 중앙부에는, 조작 부재(4)의 접점 수납부(41)에 있어서의 돌기(4n)와 스냅 걸어맞추게 하기 위한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는 스냅 구멍(5f)이 형성되어 있다.
가동 접점(5)은, 기부(4b)의 접점 수납부(41)에 장착된다. 접점 수납부(41)에 가동 접점(5)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기부(4b)의 바닥면과 클로부(4m) 사이에 가동 접점(5)의 기부(5a)를 도 5(c)에 나타내는 상방으로부터 끼워넣어, 돌기(4n)와 스냅 구멍(5f)을 스냅 걸어맞추게 하면 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5)이 조작 부재(4)에 유지된다. 또한, 클로부(4m)의 상단(上端)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5)은, 기부(4b)의 바닥면에 대하여 도 5(c)에 나타내는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로 장착된다. 단, 가동 접점(5)의 이동 가능 범위는, 스냅 걸어맞추는 돌기(4n)와 스냅 구멍(5f)에 설치된 유격(裕隔)의 범위로 한정된다.
또, 가동 접점(5)은, 조작 부재(4)가 회전 조작 영역 안을 이동할 때에는, 고정 접점(31a)을 사이에 두고 고정 접점(32a)과 고정 접점(33a)을 양단으로 하는 이동 경로 내에서 고정 접점(31a∼33a) 위를 이동한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6)는, 권회부(6c)를 가지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고, 일단부(6a)와 타단부(6b)가 대략 180°가 되도록 외측에 도출 형성되어 있다. 권회부(6c)의 내경은, 조작 부재(4)의 지지축(4d)을 수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권회부(6c)의 외경은, 조작 부재(4)의 수용부(4e)에 수용할 수 있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일단부(6a) 및 타단부(6b)는, 각각 약간 내측으로 휘어져, 동일 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케이스(7)는, 수지 재료 등으로 형성되고, 대체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케이스(7)는, 내부에 공동부(空洞部)가 형성되고, 하방이 개방되어 있다. 케이스(7)의 전면 및 후면의 소정 위치에는, 절연 기체(2)의 돌기(2c) 각각에 걸어맞출 수 있는 스냅 구멍(7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케이스(7)의 상면으로서 전방측의 위치에는, 조작 부재(4)의 조작축부(4a)가 삽입 통과할 수 있는 조작축 삽입 통과 구멍(7b)이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축 삽입 통과 구멍(7b)의 개구 양단에는, 조작 부재(4)에 있어서의 조작축부(4a)의 회전 조작 영역을 유한 각도 내로 규정하기 위한 스토퍼부(7c)가 형성되어 있다. 즉, 조작축부(4a)의 회전 조작 영역이란, 조작축부(4a)가 일방의 스토퍼부(7c)에 맞닿은 상태로부터 타방의 스토퍼부(7c)에 맞닿을 때까지의 회전 조작 가능 영역을 의미하고 있다. 또, 케이스(7)에는, 절연 기체(2)의 관통 구멍(2d)과 겹치는 위치 결정 구멍(7d)과, 절연 기체(2)의 오목부(2e)와 겹치는 컷아웃부(7e)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7)에는, 외부 접속 단자(3)의 접속부(31b, 32b, 33b)와 겹치고, 외부 접속 부재가 삽입 통과할 수 있는 삽입 통과 구멍(7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7) 내의 공동부 상방에는, 탄성 부재(6)의 일단부(6a) 및 타단부(6b)와 맞닿는 도시 생략한 스프링 걸림부(7g)(도 11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1)를 조립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또한, 도 6에 있어서는, 조작 부재(4)에 조작을 받지 않은 초기 상태의 스위치 장치(1)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러한 구성의 스위치 장치(1)를 조립하면, 케이스(7)의 조작축 삽입 통과 구멍(7b)으로부터 조작 부재(4)의 조작축부(4a)가 노출된다. 또, 케이스(7)의 스냅 구멍(7a)에 절연 기체(2)의 돌기(2c)가 스냅 걸어맞춤으로써, 케이스(7)가 고정된다. 이때, 케이스(7)의 위치 결정 구멍(7d)과 절연 기체(2)의 관통 구멍(2d), 컷아웃부(7e)와 오목부(2e), 삽입 통과 구멍(7f)과 외부 접속 단자(3)의 접속부(31b, 32b, 33b)가 각각 겹쳐진 상태에서, 케이스(7) 내의 공동부에 각 구성 부품이 수용된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스위치 장치(1)로부터 케이스를 떼어낸 경우의 사시도이다. 케이스(7) 내에 있어서는, 절연 기체(2)의 베어링부(2g)에 조작 부재(4)의 축부(4j)가 삽입 통과된 상태로 설치된다. 조작 부재(4)의 접점 수납부(41)에 유지된 가동 접점(5)의 접점부(5c, 5e)는, 각각 절연 부재(2k)를 끼워넣고 있다. 조작 부재(4)의 지지축(4d)에는 탄성 부재(6)가 설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6)는, 권회부(6c)가 수용부(4e)에 수용되고, 스프링 걸림편(4f)에 의해 전측(前側)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로 되어 있다. 탄성 부재(6)의 일단부(6a) 및 타단부(6b)는, 각각 조작 부재(4)의 스프링 걸림부(4g, 4h)에 걸린 상태로 되어 있다.
도 8은, 도 6에 나타내는 스위치 장치(1)로부터 케이스를 떼어낸 경우의 배면도이다. 배면측에 있어서는,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부재(4)에 있어서의 축부(4j)에 형성된 돌출편(4k)은, 절연 기체(2)의 걸어맞춤부(2j)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돌출편(4k)은, 걸어맞춤부(2j)와 걸어맞춰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 부재(4)는, 절연 기체(2)로부터의 탈락이 규제되고, 절연 기체(2)에 유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구성의 스위치 장치(1)의 조립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조작 부재(4)의 접점 수납부(41)에 가동 접점(5)을 장착한다[도 5(c) 참조]. 계속해서, 조작 부재(4)의 지지축(4d)에 탄성 부재(6)를 설치하고, 스프링 걸림편(4f)에 의해 권회부(6c)를 고정함으로써 조작 부재(4)에 탄성부재(6)를 장착한다. 또한, 조작 부재(4)에 가동 접점(5)을 장착하기 전에, 탄성 부재(6)를 조작 부재(4)에 장착해도 상관없다.
계속해서, 절연 기체(2)에 조작 부재(4)를 장착한다. 도 9는, 절연 기체(2)에 조작 부재(4)를 장착하는 초기 상태의 (a) 전면측, (b) 배면측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9(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연 기체(2)에 있어서의 베어링부(2g)의 일부에 형성된 컷아웃부(2i)와, 조작 부재(4)에 있어서의 축부(4j)의 선단부에 형성된 돌출편(4k)이 겹치도록, 축부(4j)를 베어링부(2g)[구멍(2h)]에 삽입한다. 이때, 절연 기체(2)의 전면측으로부터 돌출하는 베어링부(2g)의 일부는, 조작 부재(4)의 배면측에 설치된 오목부(4i)에 수용된다. 컷아웃부(2i)와 돌출편(4k)과 가이드부(32c)의 위치 관계는, 컷아웃부(2i)와 돌출편(4k)이 겹친 상태에서, 도 9(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접점(5)의 접점부(5e)가, 가이드부(32c)에 대하여, 유한 각도 내로 제한된 회전 조작 영역 내에 있어서의 이동 경로의 연장선상에 이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도 9(a)에 있어서, 회전 조작 영역 내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5)의 접점부(5e)의 이동 경로를 점선으로, 이 이동 경로의 회전 조작 영역 외에 있어서의 연장선을 1점 쇄선으로 각각 나타내고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부재(4)의 축부(4j)를 베어링부(2g)와 겹치도록 위치 맞춤하여 삽입한 시점에서는, 조작 부재(4)는 회전 조작 영역 외에 있고, 고정 접점(32a)과 가동 접점(5)은 아직 접촉하고 있지 않다.
도 9(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축부(4j)의 선단부에 돌출 형성된 돌출편(4k)과 컷아웃부(2i)의 상대적인 위치가 변경되고, 돌출편(4k)이 절연 기체(2)의 걸어맞춤부(2j)와 맞물림으로써, 조작 부재(4)는 절연 기체(2)에 대하여 빠짐 방지된다. 또한, 조작 부재(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전환 단자(32)에 있어서의 가이드부(32c)의 선단이 예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5)의 기부(5a) 측으로부터 접점부(5e) 사이로 들어간다. 가이드부(32c)의 구조는, 선단부가 전환 단자(32)의 고정 접점(32a)보다 얇고, 고정 접점(32a)과의 경계에 있어서 점차 두께가 고정 접점(32a)의 두께(금속판의 판 두께)까지 증가해 가는 테이퍼 형상이다. 그리고, 이 테이퍼 형상의 가이드부(32c)는, 가동 접점(5)의 접점부(5e)(5c)가 고정 접점(31a∼33a) 위를 이동하는 경로의 연장선과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조작 부재(4)를 더 회전시키면, 접점부(5e) 사이에 들어간 가이드부(32c)에 의해, 접점부(5e) 사이의 간극은 점차 넓어지고, 고정 접점(32a)에 대응하는 두께까지 접점부(5e) 사이의 간극을 무리 없이 넓혀, 접점부(5e)에 의해 고정 접점(32a)을 표리의 양면에서 협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0은, 절연 기체(2)에 조작 부재(4)를 장착하는 도중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는, 조작 부재(4)가 절연 기체(2)에 대하여 빠짐 방지되고, 가동 접점(5)의 접점부(5e)를 가이드부(32c)에서 고정 접점(32a)으로 안내한 상태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조작 부재(4)를 더 회전시킨 상태이다. 이때, 조작 부재(4)는 아직 회전 조작 영역 외에 있다.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조작 부재(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접점부(5e)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환 단자(32)에 있어서의 가이드부(32c)가, 가동 접점(5)의 기부(5a) 측으로부터 접점부(5c) 사이로 들어간다. 또한, 조작 부재(4)를 회전시키면, 접점부(5c) 사이로 들어간 가이드부(32c)에 의해, 접점부(5c) 사이의 간극은 점차 넓어져, 고정 접점(32a)에 대응하는 두께까지 접점부(5c) 사이의 간극을 무리 없이 넓혀, 접점부(5c)에 의해 고정 접점(32a)을 표리의 양면으로 협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가동 접점(5)의 접점부(5e)(5c)가 외부 접속 단자(3)를 구성하는 전환 단자(32)에 있어서의 가이드부(32c)를 경유하여 고정 접점(32a)에 안내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동 접점(5)의 접점부(5e)(5c)가 고정 접점(32a)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가동 접점(5)에 의해 외부 접속 단자(3)를 협지할 수 있다.
또, 가이드부(32c)의 선단 형상은 예각 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접점부(5e)(5c)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테이퍼부(테이퍼 형상의 부분)가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접촉하도록 해도 된다. 가이드부(32c)의 선단부를 예각 형상으로 형성한 경우에는, 접점부(5e)(5c)의 이동 경로에 대하여 테이퍼부가 기울어져서 접촉하기 때문에,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의 접촉에 비해 테이퍼부와의 슬라이딩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어, 접점부(5e)(5c) 사이의 간극을 더욱 원활하게 넓힐 수 있다.
또, 가동 접점(5)은, 조작 부재(4)의 회전 평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도 10에 나타내는 지면 앞쪽 - 안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조작 부재(4)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5)을 고정 접점(32a)에 설치할 때에, 가이드부(32c)와 가동 접점(5)의 중심이 어긋나 있었다고 해도, 그 어긋남을 해소하는 방향으로 가동 접점(5)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32c)에 의한 가동 접점(5)의 안내를 확실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마지막으로, 절연 기체(2)에 케이스(7)를 설치하면, 스위치 장치(1)의 조립이 완료된다. 케이스(7)는 절연 기체(2) 및 조작 부재(4)의 상방으로부터 조작축부(4a)가 조작축 삽입 통과 구멍(7b)을 거쳐서 외부로 돌출하도록 씌우고, 케이스(7)의 스냅 구멍(7a)에 절연 기체(2)의 돌기(2c)를 스냅 걸어맞추게 하여, 케이스(7)를 고정한다. 이것에 의해, 조작축부(4a)는 케이스(7)의 조작축 삽입 통과 구멍(7b)에 형성된 스토퍼부(7c)에 의해 회전 조작 영역이 일방의 스토퍼부(7c)로부터 타방의 스토퍼부(7c)까지의 유한 각도 내로 제한된다. 즉, 스위치 장치(1) 자체에서 조작 부재(4)의 회전 조작 영역을 유한 각도 내로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1)의 조립 후에 조작 부재(4)가 부주의하게 회전 조작 영역 외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11 내지 도 13에 의거하여 스위치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스위치 장치(1)의 초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위치 장치(1)의 초기 상태에 있어서, 탄성 부재(6)의 일단부(6a) 및 타단부(6b)가 각각 케이스(7)의 스프링 걸림부(7g)에 맞닿은 상태에서, 탄성 부재(6)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 부재(4)의 조작축부(4a)가 조작축 삽입 통과 구멍(7b)의 중앙 위치에 힘이 가해져서 유지되어 있다. 또, 조작 부재(4)의 접점 수납부(41)에 수납된 클립 형상의 가동 접점(5)의 접점부(5c, 5e)는, 코먼 단자(31) 및 전환 단자(32, 33)의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절연 부재(2k)를 협지하고 있다. 또한, 스위치 장치(1)는, 코먼 단자(31) 및 전환 단자(32)가 가동 접점(5)을 거쳐서 도통 상태가 되면 제1 회로가 온 되고, 코먼 단자(31) 및 전환 단자(33)가 가동 접점(5)을 거쳐서 도통 상태가 되면 제2 회로가 온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초기 상태에서는, 코먼 단자(31) 및 전환 단자(32) 또는 전환 단자(33)가 비도통 상태이기 때문에, 스위치는 오프 상태로 되어 있다.
계속해서,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조작 부재(4)의 조작축부(4a)를 도면 좌측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탄성 부재(6)의 일단부(6a)가 케이스(7)의 스프링 걸림부(7g)로부터 멀어지고, 조작 부재(4)의 스프링 걸림부(4g)에 접촉한 상태에서, 그대로 스프링 걸림부(4g)에 눌리도록 일단부(6a) 측의 아암이 휜다. 한편, 타단부(6b)는, 케이스(7)의 스프링 걸림부(7g)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조작 부재(4)는, 베어링부(2g)[구멍(2h)] 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축부(4j)의 중심을 회전 축선으로 하여 회전하고, 기부(4b)가 중앙 위치로부터 도면 우측 방향으로 회전 이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조작 부재(4)의 접점 수납부(41)에 수납된 가동 접점(5)도, 코먼 단자(31)의 고정 접점(31a), 전환 단자(33)의 고정 접점(33a) 및 절연 부재(2k) 위를 도면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 접점(5)의 접점부(5c)가 코먼 단자(31)의 고정 접점(31a)과 접촉하고, 가동 접점(5)의 접점부(5e)가 전환 단자(33)의 고정 접점(33a)과 접촉하기 때문에, 코먼 단자(31) 및 전환 단자(33)가 가동 접점(5)을 거쳐서 도통 상태가 된다. 따라서,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어, 제2 회로가 온 상태가 된다.
여기서, 고정 접점(31a, 32a, 33a) 및 절연 부재(2k)의 표면은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접점(5)의 접점부(5c, 5e)는, 고정 접점(31a, 32a, 33a)의 단부에 걸리지 않고 원활한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따라서, 조작시에 있어서의 가동 접점(5)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가동 접점(5)은, 조작 부재(4)의 회전 평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도 12에 나타내는 지면 앞쪽 - 안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조작 부재(4)에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가이드부(32c)와 가동 접점(5)의 중심에 어긋남이 생겨 있었다고 해도, 절연 기체(2)로의 조작 부재(4)의 장착시에 그 어긋남은 해소되어 있다. 따라서, 조작시에는 균등한 접점 하중이 고정 접점(31a, 32a, 33a)에 가해지기 때문에, 접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스위치 장치(1)를 장수명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이 상태로부터,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6)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다시 조작 부재(4)의 조작축부(4a)를 도면 좌측 방향으로 회전 조작시키면, 조작축부(4a)는, 케이스(7)의 조작축 삽입 통과 구멍(7b)의 개구단에 설치된 스토퍼부(7c)에 접촉함으로써 그 회전 조작을 정지한다. 이때, 조작 부재(4)의 스프링 걸림부(4g)에 접촉하는 일단부(6a) 측의 아암은 더욱 휜다. 한편, 타단부(6b)는, 케이스(7)의 스프링 걸림부(7g)에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 조작 부재(4)의 회전 이동에 수반하여, 가동 접점(5)도 도면 우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나, 가동 접점(5)의 접점부(5c)가 코먼 단자(31)의 고정 접점(31a)과 접촉하고, 가동 접점(5)의 접점부(5e)가 전환 단자(33)의 고정 접점(33a)과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코먼 단자(31) 및 전환 단자(33)의 도통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로부터, 조작축부(4a)로의 가압 조작력을 해제하면, 조작 부재(4)가 탄성 부재(6)의 탄성력에 의해 도면 우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져서 조작축부(4a)가 조작축 삽입 통과 구멍(7b)의 중앙 위치로 회전 이동한다. 이것에 수반하여, 가동 접점(5)도 도면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고, 접점부(5c, 5e)가, 각각 절연 부재(2k)와 접촉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코먼 단자(31) 및 전환 단자(33)가 비도통 상태가 되어,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된다.
또한, 도면 우측 방향으로 조작축부(4a)를 회전 조작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서는, 상기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 우측 방향(시계 방향)으로 조작축부(4a)를 회전 조작한 경우에는, 가동 접점(5)의 접점부(5c)가 전환 단자(32)의 고정 접점(32a)과 접촉하고, 가동 접점(5)의 접점부(5e)가 코먼 단자(31)의 고정 접점(31a)와 접촉하기 때문에, 코먼 단자(31) 및 전환 단자(32)가 가동 접점(5)을 거쳐서 도통 상태가 되어, 제1 회로가 온 상태가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스위치 장치(1)에 있어서는, 회전 조작 영역 외에 있는 조작 부재(4)를 회전시키면, 가동 접점(5)이 가이드부(32c)를 경유하여 외부 접속 단자(3)를 협지하도록 안내되는 점에서, 고정 접점에 대하여 가동 접점이 맞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스위치 장치(1)로의 장착시에 있어서 가동 접점(5)이 변형되기 어려워, 조립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가지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은 크기나 형상 등에 대해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효과를 발휘하는 범위 내에서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그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는 한에 있어서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전환 단자(32)의 고정 접점(32a)에 가이드부(32c)가 형성되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가이드부는, 고정 접점(32a, 33a)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형성되는 구성이면 된다. 따라서, 가이드부는, 고정 접점(32a, 33a)의 양방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가이드부(32c)는, 선단으로부터 점차 두께가 고정 접점(32a)의 판 두께까지 증가해 가는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가이드부를, 복수의 단차를 가지는 계단 형상으로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케이스(7)에 스토퍼부(7c)를 설치함으로써, 회전 조작 영역을 유한 각도 내로 제한하는 구성을 스위치 장치(1) 자체가 가지는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스위치 장치(1) 자체는 스토퍼를 가지지 않고, 스위치 장치(1)가 장착되는 상위 장치의 박스체나 기판 측에, 스위치 장치(1)가 장착됨으로써 조작 부재와 대향하여 회전 조작 영역을 유한 각도 내로 제한하는 보스 등의 스토퍼를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1 : 스위치 장치 2 : 절연 기체
2a : 기부 2b : 지지벽부
2c : 돌기 2d : 관통 구멍
2e : 오목부 2f : 오목부
2g : 베어링부 2h : 구멍
2i : 컷아웃부 2j : 걸어맞춤부
2k : 절연 부재 3 : 외부 접속 단자
31 :코먼 단자 32, 33 : 전환 단자
31a, 32a, 33a : 고정 접점
31b, 32b, 33b : 접속부
32c : 가이드부 32d : 폴드백부
32e : 제1 탄성부 32f : 제2 탄성부
4 : 조작 부재 4a : 조작축부
4b : 기부 4c : 아암부
4d : 지지축 4e : 수용부
4f : 걸림편 4g, 4h : 걸림부
4i : 오목부 4j : 축부
4k : 돌출편 4l : 접점 수납부
4m : 클로부 4n : 돌기
5 : 가동 접점 5a : 기부
5b, 5d : 탄성 아암부 5c, 5e : 접점부
5f : 스냅 구멍 6 : 탄성 부재
6a : 일단부 6b : 타단부
6c : 권회부 7 : 케이스
7a : 스냅 구멍 7b : 조작축 삽입 통과 구멍
7c : 스토퍼부 7d :위치 결정 구멍
7e : 컷아웃부 7f : 삽입 통과 구멍
7g : 걸림부

Claims (7)

  1. 복수의 고정 접점이 둘레 방향으로 이간하여 설치된 절연 기체와, 상기 절연 기체에 대하여 유한 각도의 회전 조작 영역의 범위 내에서 조작되도록 배치하여 설치된 조작 부재와, 상기 조작 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 접점 사이의 도통 상태의 전환을 행함과 함께 상기 고정 접점을 협지하도록 형성된 가동 접점을 구비한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고정 접점 중 양단에 위치하는 적어도 어느 일방의 고정 접점의 단부에, 상기 회전 조작 영역의 범위 내에 있어서의 상기 가동 접점의 이동 경로의 연장상에서 상기 가동 접점을 안내할 수 있는 가이드부를 설치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선단에서부터 점차 두께가 증가해 가는 테이퍼 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기부와, 상기 기부로부터 연장 돌출된 서로 대향하는 탄성 아암부와, 상기 탄성 아암부의 선단측에 각각 설치된 접점부를 가지고,
    상기 조작 부재를 상기 회전 조작 영역의 외측으로부터 회전시키면, 상기 가이드부가 상기 기부측으로부터 상기 접점부 사이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접점은,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평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에서 상기 조작 부재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고정 접점 사이에는 절연 부재가 설치되고, 상기 고정 접점 및 상기 절연 부재의 표면은 동일 평면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6.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회전축 방향으로 연신됨과 함께 회전축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편을 선단부에 가지는 축부를 가지고, 상기 절연 기체는, 상기 축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과 함께 상기 돌출편과 맞물리는 걸어맞춤부가 설치된 베어링부를 가지고, 상기 회전 조작 영역의 외측으로부터의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접점이 상기 가이드부에 도달하기 전에 상기 돌출편이 상기 걸어맞춤부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기체에는, 상기 조작 부재의 일부가 삽입 통과되어서 상기 조작 부재의 회전 조작 영역을 유한 각도 내로 제한하는 스토퍼부를 설치한 케이스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KR1020120014267A 2011-03-14 2012-02-13 스위치 장치 KR1012870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55378 2011-03-14
JP2011055378A JP5628715B2 (ja) 2011-03-14 2011-03-14 スイッ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4932A KR20120104932A (ko) 2012-09-24
KR101287093B1 true KR101287093B1 (ko) 2013-07-17

Family

ID=46814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4267A KR101287093B1 (ko) 2011-03-14 2012-02-13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628715B2 (ko)
KR (1) KR101287093B1 (ko)
CN (1) CN1026830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52765B2 (ja) 2013-09-13 2015-07-22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ーム回転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6774219B2 (ja) 2016-05-17 2020-10-21 株式会社アルファ ロータリースイッチ装置
US10748727B2 (en) * 2018-05-30 2020-08-18 Mei Mei Memie WONG Electrical switch
WO2021070637A1 (ja) * 2019-10-10 2021-04-15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および製造方法
WO2023007818A1 (ja) * 2021-07-28 2023-02-02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電気接続部品およびスイッチ装置
KR102611951B1 (ko) * 2022-01-05 2023-12-07 염신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903A (ja) * 1997-03-21 1998-10-09 Jewel Denshi Kk レバー式プッシュスイッチ
US20080121502A1 (en) 2005-01-31 2008-05-29 Yasunori Naganuma Rotary Switch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089Y2 (ja) * 1978-12-26 1983-04-01 株式会社宝製作所 スライドスイツチ
JPH031865Y2 (ko) * 1985-04-04 1991-01-21
JPH0411316Y2 (ko) * 1987-02-24 1992-03-19
JPH07211192A (ja) * 1994-01-26 1995-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スイッチ
JP3796051B2 (ja) * 1998-07-23 2006-07-12 東洋電装株式会社 回転スイッチ
JP4087626B2 (ja) * 2002-03-18 2008-05-21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レバー型スイッチ
JP4495613B2 (ja) * 2005-02-22 2010-07-07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69903A (ja) * 1997-03-21 1998-10-09 Jewel Denshi Kk レバー式プッシュスイッチ
US20080121502A1 (en) 2005-01-31 2008-05-29 Yasunori Naganuma Rotary Switch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83081A (zh) 2012-09-19
JP2012190750A (ja) 2012-10-04
KR20120104932A (ko) 2012-09-24
CN102683081B (zh) 2015-02-11
JP5628715B2 (ja) 2014-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7093B1 (ko) 스위치 장치
US9291259B2 (en) Shift device
EP2637184B1 (en) Switch
EP2637258B1 (en) Terminal and connection structure of the same
JPH08247171A (ja) 電磁装置
KR20020001725A (ko) 액면검출장치
JP2020019418A (ja) サンバイザ用コネクタ
KR20020061492A (ko) 스위치장치
US20170372851A1 (en) Switch
WO2002037517A1 (fr) Commutateur de dimension reduite
KR100423776B1 (ko) 스위치 장치
WO2012090521A1 (ja) スイッチ
JP3764799B2 (ja) 回転型電気部品
US20180181160A1 (en) Lever device
JP2009259660A (ja) スイッチユニット
JP5230517B2 (ja) 位置検出装置
JP2007305458A (ja) スイッチ
US20140202842A1 (en) Push button switch
JP6629620B2 (ja) 回転コネクタ
JP2509394Y2 (ja) 光・電変復調器
JP2001256860A (ja) 防水型スイッチ装置
JP3380682B2 (ja) 電気部品
JP3964093B2 (ja) スイッチ装置
JPH048588Y2 (ko)
JP2000222983A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の接触片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