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11951B1 -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11951B1
KR102611951B1 KR1020220001385A KR20220001385A KR102611951B1 KR 102611951 B1 KR102611951 B1 KR 102611951B1 KR 1020220001385 A KR1020220001385 A KR 1020220001385A KR 20220001385 A KR20220001385 A KR 20220001385A KR 102611951 B1 KR102611951 B1 KR 102611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door
safety
control signal
hing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13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5851A (ko
Inventor
신 염
나재곤
함홍각
Original Assignee
염신
나재곤
함홍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신, 나재곤, 함홍각 filed Critical 염신
Priority to KR10202200013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11951B1/ko
Publication of KR20230105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5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1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19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24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 B66B13/26Safety devices in passenger lif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preventing trapping of passengers between clos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14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B13/143Control systems or devices electr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사이에 낀 가늘고 긴 물체를 감지해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도어 사이에 낀 물체를 감지하지 못해 발생되던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는 프레임모듈과 프레임모듈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프레임모듈을 개폐하는 도어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부, 전기적신호인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를 출력해 도어모듈에 인가하여 도어모듈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도어모듈의 일면에 설치된 이동제어모듈과, 도어모듈의 제1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도어모듈의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세이프티슈모듈을 포함하는 안전장치부 및 세이프티슈모듈의 일단에 설치되어 세이프티슈모듈이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면서 제3제어신호를 생성해 프레임모듈이 개방상태가 되도록 도어모듈을 작동시키는 힌지센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Jam Detection Devic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에 설치되어, 도어 사이에 낀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 장치 및 감지 시스템과 관련된 기술이다.
엘리베이터는 높은 건물에 설치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사람 또는 물건을 운송한다. 높은 건물 내에서 많은 사람 및 물건을 이동시키는 엘리베이터에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장치들이 설치되고 있다. 다양한 안전장치 가운데 하나로써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설치된 안전장치가 있다. 도어 안전장치는 도어에 사람이나 물건이 끼었을 때, 이를 감지하여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해, 승객 및 물건의 보호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현재의 도어 안전장치는 가늘고 긴 물체가 진입할 경우 이를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애완견 끈 등, 얇은 물체가 도어 사이에 끼었을 때 이를 감지하지 못해 도어가 닫혀 애완견이 위험에 처하는 상황이 발생되곤 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66413호 (공개일: 2011년 06월 17일)
본 발명은 도어가 가늘고 긴 물체를 감지하지 못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는, 프레임모듈과 프레임모듈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프레임모듈을 개폐하는 도어모듈을 포함하는 도어부, 전기적신호인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를 출력해 도어모듈에 인가하여 도어모듈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도어모듈의 일면에 설치된 이동제어모듈과, 도어모듈의 제1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도어모듈의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시계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세이프티슈모듈을 포함하는 안전장치부 및 세이프티슈모듈의 일단에 설치되어 세이프티슈모듈이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면서 제3제어신호를 생성해 프레임모듈이 개방상태가 되도록 도어모듈을 작동시키는 힌지센서부를 포함하고, 도어모듈은 제어부에서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며 프레임모듈을 개폐하는 제1도어와 제2도어를 포함하고, 세이프티슈모듈은 제1도어의 일면에 설치되는 돌기세이프티슈와 제2도어의 일면에 설치되어 돌기세이프티슈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세이프티슈를 포함하고, 수용세이프티슈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횡단면이‘’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도어와 제2도어가 접할 때 돌기세이프티슈의 일부를 수용하고, 힌지센서부는 돌기세이프티슈의 상단에 설치된 돌기힌지센서와 수용세이프티슈의 상단에 수용세이프티슈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횡단면이‘’형상으로 형성된 수용힌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힌지센서부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케이스모듈과,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상단이 이동제어모듈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케이스모듈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모듈과,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일면이 회전축모듈과 접하는 탄성모듈 및 회전축모듈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3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모듈은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모듈과 접하는 제1탄성축돌기와, 타방향으로 돌출되어 감지돌기를 포함하는 제1회전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모듈은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회전축모듈의 감지돌기를 수용 또는 미 수용하며 회전축모듈의 일부를 수용하지 않았을 때, 제3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1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모듈은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모듈과 접하는 제2탄성축돌기와, 타방향으로 돌출된 제1극성연결돌기와 제2극성연결돌기를 포함하는 제2회전체로 형성되고,
센서모듈은 양극단과 음극단을 포함하여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제1극성연결돌기에 양극단이 연결되고 제2극성연결돌기에 음극단이 연결되어, 외력에 의해 케이스모듈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양극단과 음극단이 접하면서 제3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2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어 사이에 낀 가늘고 긴 물체 일례로 끈을 감지해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도어 사이에 낀 물체를 감지하지 못해 발생되던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일례로, 본 발명은 도어 사이에 애완견 끈이 낀 채로, 엘리베이터가 작동되어 애완견이 위험에 처하는 상황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안전장치부와 힌지센서부의 상단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힌지센서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어모듈에 설치된 안전장치부 및 힌지센서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힌지센서부에 연결되는 브라켓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8의 안전장치부에 줄이 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브라켓모듈에 줄이 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안전장치부와 힌지센서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8의 안전장치부에 낀 줄에 장력이 형성되었을 때, 안전장치부와 힌지센서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브라켓모듈에 낀 줄에 장력이 형성되었을 때, 브라켓모듈 및 힌지센서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6의 제1힌지센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6의 제2힌지센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범위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기재된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는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1)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1)가 엘리베이터에 적용된 것을 일례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1)는 엘리베이터(A)에 설치되어 사용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술한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곳이라면 어느 곳이든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의 사시도이다.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1)는 도어모듈(120)사이에 애완견 리더 줄 등 가늘고 긴 물체가 끼었을 때, 이를 감지해 도어가 닫히지 않도록 함으로써, 줄과 연결되어 있는 애완견이 위험한 상황에 처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10), 제어부(20), 안전장치부(30) 및 힌지센서부(40) 등을 포함한다.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1)는 구성요소들 간의 유기적인 연결 작동을 통해 종래의 도어모듈 사이에 낀 얇은 물체 일례로, 줄 등을 정확하게 감지하지 못해 발생되던 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1)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엘리베이터(A)에 설치되어 애완견 리드줄이 엘리베이터(A)에 껴서 발생될 수 있는 사고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도 4 내지 도 9 그리고 전술 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1)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2의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안전장치부와 힌지센서부의 상단 부분의 확대 사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힌지센서부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어모듈에 설치된 안전장치부 및 힌지센서부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9는 힌지센서부에 연결되는 브라켓모듈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어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A)에 설치되어 카도어 및 카도어 주변에 설치된 프레임과 도어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도어부(10)는 프레임모듈(110)과 도어모듈(12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프레임모듈(110)은 도시된 도 3의 엘리베이터(A)의 전면에 설치되어 도어모듈(120)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구조물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어모듈(120)은 프레임모듈(110)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개구된 프레임모듈(110)의 개구면을 개폐하는 도어가 될 수 있다. 도어모듈(120)은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어부(20)에서 인가되는 전기적 신호인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에 따라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며 개구된 프레임모듈(110)을 개폐한다.
제어부(20)는 전기적신호인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를 출력해 도어모듈(120)에 인가하는 장치가 된다. 일례로, 제어부(2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 Unit)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엘리베이터의 내부에 설치되어 엘리베이터의 탑승자에 의해서도 제1제어신호 및 제2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장치가 된다. 일례로, 제어부(20)는 외부로 노출된 복수 개의 버튼과 연결된 제어기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부(20)는 제1도어(121) 및 제2도어(122)에 제1제어신호를 인가해 제1도어(121)를 3차원 좌표축의 Y축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도어(122)를 우측으로 이동시켜 프레임모듈(110)을 개방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어모듈(120)에 제2제어신호를 인가해 제1도어(121)를 차원 좌표축의 Y축을 따라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제2도어(122)를 좌측으로 이동시켜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의 일측면이 접하도록 하며 프레임모듈(110)을 폐쇄시킬 수 있다.
안전장치부(30)는 세이프티슈모듈(320)과 프레임모듈(110) 또는 제1도어(121)에 설치된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제2도어(122)에 설치된 수용세이프티슈(322) 사이에 줄이 끼고, 낀 줄(B)에 장력이 형성되면 이를 감지하여 프레임모듈(110)이 개방되도록 하는 장치가 된다. 이와 같은 안전장치부(30)는 세이프티슈모듈(320)과 세이프티슈모듈(320)과 연결된 이동제어모듈(310)을 구성요소로 포함하여 세이프티슈모듈(320)이 도어모듈(120)의 슬라이딩 이동 방향과 평행한 방향 및 도어모듈(120)의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세이프티슈모듈(32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21)의 일면에 설치되는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제2도어(122)의 일면에 설치되어 돌기세이프티슈(321)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세이프티슈(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수용세이프티슈(322)는 수용홈(322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가 접할 때 돌기세이프티슈(321)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힌지센서부(40)는 세이프티슈모듈(320)과 함께 회전하며 회전에 따른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장치가 된다. 이와 같은 힌지센서부(40)는 수용공간(400)이 형성된 케이스모듈(410), 수용공간(400)에 삽입되어 상단이 이동제어모듈(301)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케이스모듈(410)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모듈(420),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일면이 회전축모듈(420)과 접하는 탄성모듈(430) 및 회전축모듈(420)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3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모듈(44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힌지센서부(40)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힌지센서(40-1) 또는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힌지센서(4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힌지센서(40-1)는 케이스모듈(410),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모듈(430)과 접하는 제1탄성축돌기(4211)와 타방향으로 돌출되어 감지돌기(4212)를 포함하는 회전축모듈(420), 탄성모듈(43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힌지센서(40-2)는 케이스모듈(410),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모듈(430)과 접하는 제2탄성축돌기(4221)와 타방향으로 돌출된 제1극성연결돌기(42221)와 제2극성연결돌기(42222)를 포함하는 회전축모듈(420), 탄성모듈(430) 그리고 양극단과 음극단을 포함하여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제1극성연결돌기(42221)에 입전하게 위치하는 양극단(4421)과 제2극성연결돌기(42222)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음극단(4422)이 형성된 센서모듈(44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모듈(440)의 양극단(4421)과 음극단(4422)은 제1극성연결돌기(42221)와 제2극성연결돌기(42222)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치하여 제1극성연결돌기(42221) 또는 제2극성연결돌기(42222)의 가압력에 의해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아울러, 힌지센서부(40)는 돌기세이프티슈(321)의 상단에 설치될 경우 케이스모듈(410)이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 돌기힌지센서(4011)로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세이프티슈(322)의 상단에 설치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세이프티슈(322)의 형상과 대응되는 발굽 형상의 수용힌지센서(4012)로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수용힌지센서(4012)는 횡단면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21)의 일면에는 돌기세이프티슈(321)가 설치되고, 제2도어(122)의 일면에는 수용세이프티슈(322)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수용세이프티슈(322)는 접하는 지점이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가 접하는 지점과 중첩되지 않고,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가 접하는 지점보다 우측으로 ‘D1’만큼 이격된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센서부(40)의 작동에 대한 설명은 뒤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 한, 힌지센서부(40)는 제1힌지센서(40-1) 또는 제2힌지센서(40-2)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세이프티슈모듈(320)의 일단 즉, 상단 또는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될 수 있다. 세이프티슈모듈(320)의 상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된 힌지센서부(40)는 세이프티슈모듈(320)이 시계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면서 제3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힌지센서부(40)는 생성된 제3제어신호를 제어부(20)에 인가하여 제어부(20)에서 제2제어신호를 출력해 도어모듈(120)에 인가되도록 한다. 이때, 도어모듈(120)은 인가되는 제2제어신호에 의해 이동하며 프레임모듈(110)이 개방상태가 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힌지센서부(40)는 세이프티슈모듈(320)의 상단에 설치되는 상단힌지센서부(401) 및 하단에 설치되는 하단힌지센서부(402)를 포함하는 센서 장치가 될 수 있다. 여기서, 하단힌지센서부(402)의 하단면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의 브라켓모듈(4021)이 연결될 수 있다.
브라켓모듈(4021)은 하단힌지센서부(402)의 하단면에 볼트와 연결되는 연결체(40211)와 연결체(40211)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굴절된 걸림체(40212)가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브라켓모듈(4021)은 하단힌지센서부(402)와 연결되어, 걸림체(40212)에 걸린 줄에 장력이 가해지면 하단힌지센서부(402)를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아울러, 브라켓모듈(4021)은 돌기세이프티슈(321)의 하단에 설치된 하단힌지센서부(40)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1브라켓(4021-1)과 수용세이프티슈(322)의 하단에 설치된 하단힌지센서부(40)의 하단면에 형성된 제2브라켓(402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0은 도 8의 안전장치부에 줄이 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1은 도 7의 브라켓모듈에 줄이 낀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는 엘리베이터에 설치된 안전장치부와 힌지센서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3은 도 8의 안전장치부에 낀 줄에 장력이 형성되었을 때, 안전장치부와 힌지센서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1의 브라켓모듈에 낀 줄에 장력이 형성되었을 때, 브라켓모듈 및 힌지센서부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1도어(121)의 일면에는 돌기세이프티슈(321)가 설치되고, 제2도어(122)의 일면에는 수용세이프티슈(322)가 설치되며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가 접하는 지점과 중첩되지 않고,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가 접하는 지점보다 일측으로 ‘D1’만큼 이격된 곳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수용세이프티슈(322)에는 횡단면이‘]’모양이 되도록 줄이 낄 수 있다. 그리고, 제1브라켓(4021-1)과 제2브라켓(4021-2) 역시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수용세이프티슈(322)의 위치에 따라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가 접하는 지점과 중첩되지 않고,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가 접하는 지점보다 일측으로 이격된 곳에 설치되며,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4021-1)과 제2브라켓(4021-2)에는 횡단면이‘]’모양이 되도록 줄이 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브라켓(4021-1)과 제2브라켓(4021-2)은 엘리베이터(A)와 홀 샤시(C) 사이에 형성된 틈새로 내려간 줄이 걸리도록 하며, 걸린 줄에 장력이 형성되었을 때, 힌지센서부(40)를 회전시킨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수용세이프티슈(322) 사이 그리고 제1브라켓(4021-1)과 제2브라켓(4021-2) 사이에 줄이 끼고, 줄에 장력이 인가되면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수용세이프티슈(322)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줄에 인가되는 장력의 방향에 따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돌기세이프티슈(321)는 이동제어모듈(310)의 슬라이딩제어체(311)와 연결되어 슬라이딩제어체(311)가 돌기세이프티슈(321)를 당겨 좌측으로 이동시키면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돌기세이프티슈(321)의 상단에 연결된 돌기힌지센서(4011)는 돌기세이프티슈(321)의 이동과 동기화 되어 움직이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 그리고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수용세이프티슈(322) 사이에 줄이 끼고, 낀 줄에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의 내측 방향으로 장력이 형성되면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수용세이프티슈(322) 그리고 힌지센서부(40)는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 그리고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수용세이프티슈(322) 사이에 줄이 끼고, 낀 줄에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의 외측 방향으로 장력이 형성되면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수용세이프티슈(322) 그리고 힌지센서부(4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아울러,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 그리고 제1브라켓(4021-1)과 제2브라켓(4021-2) 사이에 줄이 끼고, 낀 줄에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의 내측 방향으로 장력이 형성되면 제1브라켓(4021-1)과 제2브라켓(4021-2)은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 그리고 제1브라켓(4021-1)과 제2브라켓(4021-2) 사이에 줄이 끼고, 낀 줄에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의 외측 방향으로 장력이 형성되면 제1브라켓(4021-1)과 제2브라켓(4021-2)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하,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제1힌지센서와 제2힌지센서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5는 도 6의 제1힌지센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도 6의 제2힌지센서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힌지센서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힌지센서(40-1) 또는 제2힌지센서(40-2)의 구조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힌지센서(40-1)는 회전축모듈(420)의 제1탄성축돌기(4211)가 탄성모듈에 의해 지지되어 센서모듈(440)에 감지돌기(4212)가 들어 갔다가 나왔다 하면서 제3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일례로, 제1힌지센서(40-1)는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모듈(440)의 내부에 있던 감지돌기(4212)가 도 15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모듈(440)을 벗어나게 되면 제3제어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센서모듈(440)은 상측면에 빛을 출력하는 발광장치와 하측면에 빛을 수신하는 수광모듈로 형성되어 수광모듈이 빛을 받았을 때 제3제어신호를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제2힌지센서(40-2)는 회전축모듈(420)의 제2탄성축돌기(4221)가 탄성모듈에 의해 지지되어 제1극성연결돌기(42221)에 인접한 양극단(4421)이 제2극성연결돌기(42222)과 인접한 음극단(4422)에 접촉하면서, 제3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일례로, 제2힌지센서(40-2)는 도 1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극성연결돌기(42221)와 제2극성연결돌기(42222) 사이에 양극단(4421)과 음극단(4422)이 서로 이격되어 있는 상태에서, 회전축모듈(420)이 도 16의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게 되면서, 회전축모듈(420)이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극성연결돌기(42221)와 접하여 굴절되는 양극단(4421)을 밀어, 음극단(4422)에 접촉되도록 하고, 회전축모듈(42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극성연결돌기(42222)와 접하여 굴절되는 음극단(4422)을 밀어, 양극단(4421)에 접촉되도록 한다. 제2힌지센서(40-2)는 양극단(4421)과 음극단(4422)이 접하면서 제3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구조 및 구조적 작동의 특징에 기반하여, 지금까지 엘리베이터의 도어에 가늘고 긴 물체가 끼었을 때, 감지하지 못해 발생되던 안전사고가 일어나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10: 도어부
110: 프레임모듈
120: 도어모듈
121: 제1도어 122: 제2도어
20: 제어부
30: 안전장치부
310: 이동제어모듈
311: 슬라이딩제어체 312: 회전제어체
320: 세이프티슈모듈
321: 돌기세이프티슈 322: 수용세이프티슈
3220: 수용홈
40: 힌지센서부
401: 상단힌지센서부 402: 하단힌지센서부
4011: 돌기힌지센서 4012: 수용힌지센서
4021: 브라켓모듈
40211: 연결체 40212: 걸림체
4021-1: 제1브라켓 4021-2: 제2브라켓
40211: 연결체 40212: 걸림체
400: 수용공간
410: 케이스모듈
420: 회전축모듈
421: 제1회전체
4211: 제1탄성축돌기 4212: 감지돌기
422: 제2회전체
4221: 탄성축돌기
42221: 제1극성연결돌기 42222: 제2극성연결돌기
430: 탄성모듈
431: 제1탄성체 432: 제2탄성체
440: 센서모듈
40-1: 제1힌지센서 40-2: 제2힌지센서
4421: 양극단 4422: 음극단
A: 엘리베이터 B: 줄
C: 홀 샤시

Claims (7)

  1. 프레임모듈(110)과 프레임모듈(110)에 설치되어 인가되는 전기적신호에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며 프레임모듈(110)을 개폐하는 도어모듈(120)을 포함하는 도어부(10);
    전기적신호인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를 출력해 도어모듈(120)에 인가하여 도어모듈(120)의 슬라이딩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0);
    도어모듈(120)의 일면에 설치된 이동제어모듈(310)과, 도어모듈의 제1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제1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도어모듈(120)의 제1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세이프티슈모듈(320)을 포함하는 안전장치부(30); 및
    세이프티슈모듈(320)의 일단에 설치되어 세이프티슈모듈(320)이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회전하면 함께 회전하면서 제3제어신호를 생성해 프레임모듈(110)이 개방상태가 되도록 도어모듈(120)을 작동시키는 힌지센서부(40)를 포함하고,
    도어모듈(120)은,
    제어부(20)에서 제1제어신호와 제2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며 프레임모듈(110)을 개폐하는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를 포함하고,
    세이프티슈모듈(320)은,
    제1도어(121)의 일면에 설치되는 돌기세이프티슈(321)와 제2도어(122)의 일면에 설치되어 돌기세이프티슈(321)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세이프티슈(322)를 포함하고,
    수용세이프티슈(322)는,
    수용홈(3220)을 포함하는 횡단면이‘’형상으로 형성되어 제1도어(121)와 제2도어(122)가 접할 때 돌기세이프티슈(321)의 일부를 수용하고,
    힌지센서부(40)는,
    돌기세이프티슈(321)의 상단에 설치된 돌기힌지센서(4011)와,
    수용세이프티슈(322)의 상단에 수용세이프티슈(322)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횡단면이‘’형상으로 형성된 수용힌지센서(4012)를 포함하는,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힌지센서부(40)는,
    내부에 수용공간(400)이 형성된 케이스모듈(410)과, 수용공간(400)에 삽입되어 상단이 이동제어모듈(301)에 설치되어 외력에 의해 케이스모듈(410)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회전축모듈(420)과,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일면이 회전축모듈(420)과 접하는 탄성모듈(430) 및 회전축모듈(420)의 회전을 감지하여 제3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센서모듈(440)을 포함하는,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힌지센서부(40)는,
    회전축모듈(420)이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모듈(430)과 접하는 제1탄성축돌기(4211)와 타방향으로 돌출되어 감지돌기(421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센서모듈(440)이 수용공간에 삽입되어 회전축모듈의 감지돌기(4212)를 수용 또는 미 수용하며 회전축모듈의 일부를 수용하지 않았을 때 제3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조로 형성된 제1힌지센서(40-1)가 되는,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힌지센서부(40)는,
    회전축모듈(420)이 일방향으로 돌출되어 탄성모듈(430)과 접하는 제2탄성축돌기(4221)와, 타방향으로 돌출된 제1극성연결돌기(42221)와 제2극성연결돌기(42222)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센서모듈(440)이 양극단과 음극단을 포함하여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회전축모듈(42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1극성연결돌기(42221)와 접하여 굴절되는 양극단(4421)과
    회전축모듈(420)이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제2극성연결돌기(42222)와 접하여 굴절되는 음극단(4422)을 포함하여, 외력에 의해 케이스모듈(410)이 시계 방향 또는 반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면 양극단(4421)과 음극단(4422)이 접하면서 제3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구조로 형성된 제2힌지센서(40-2)로 형성되는,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KR1020220001385A 2022-01-05 2022-01-05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KR1026119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385A KR102611951B1 (ko) 2022-01-05 2022-01-05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01385A KR102611951B1 (ko) 2022-01-05 2022-01-05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851A KR20230105851A (ko) 2023-07-12
KR102611951B1 true KR102611951B1 (ko) 2023-12-07

Family

ID=871635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1385A KR102611951B1 (ko) 2022-01-05 2022-01-05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119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7895A (ja) * 2013-07-30 2015-02-12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3051B1 (ko) 2009-12-11 2012-06-04 한국승강기 안전관리원 엘리베이터 도어 안전장치
JP5628715B2 (ja) * 2011-03-14 2014-11-19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27895A (ja) * 2013-07-30 2015-02-12 日本オーチス・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5851A (ko) 202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64394B2 (ja) エレベーター扉の安全装置と安全制御方法
US10590681B2 (en) Door latch system
US7717238B2 (en) Elevator control system
JP6804517B2 (ja) ドア枠ロックを備えたエレベータかごドアインターロック
JP4855839B2 (ja) エレベータ用ドア装置
JP2011102163A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の制御方法
CN102408047A (zh) 安全电梯
KR200381759Y1 (ko)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WO2007066375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安全装置
JP2018095457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KR102611951B1 (ko) 도어용 끼임 감지 장치
CA2176911A1 (en) Apparatus for preventing drift of an elevator car stopped at a floor
EP3461780A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JP2012001288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装置及びエレベーターのドア開閉方法
CN1777558A (zh) 电梯的层门解锁装置
KR102026109B1 (ko) 엘리베이터의 인터로크 장치
KR20060084054A (ko) 건축현장용 호이스트카 안전문
KR101117101B1 (ko) 전자기파 차폐문의 연동잠금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파 방호 유니트
KR102245816B1 (ko) 승강기 틈새 끼임 감지 장치
JP2013035677A (ja) エレベータかごの戸安全装置
WO2005042903A1 (ja) 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シャッターカーテンの持上げ防止構造
KR102349413B1 (ko) 개폐감지장치가 내장된 창호
EP1795486A1 (en) Interlock device for elevator
JP2017019643A (ja) 乗客コンベアの蓋検出装置
KR101856866B1 (ko) 엘리베이터 도어의 광학 안전 센서 진단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