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2731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2731B1
KR101282731B1 KR1020110069178A KR20110069178A KR101282731B1 KR 101282731 B1 KR101282731 B1 KR 101282731B1 KR 1020110069178 A KR1020110069178 A KR 1020110069178A KR 20110069178 A KR20110069178 A KR 20110069178A KR 101282731 B1 KR101282731 B1 KR 1012827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insulator
support
connector
connection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91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3167A (ko
Inventor
나오키 키타가와
Original Assignee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우세라 커넥터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23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3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2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2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컨택트에 액츄에이터를 누르기 위한 스타비라이져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액츄에이터의 캠부의 강도를 높이고 커넥터 전체를 저배화 할 수 있고 게다가 열림 위치에 위치하는 액츄에이터의 인슐레이터에 대한 뽑힘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그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액츄에이터(50)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캠부를 구성하며 또 접속대상물(70)의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축부(54)를 가진 제 1 돌출부(55)와, 인슐레이터(20)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 1 돌출부와 상기 폭 방향에 나란하며 또 접속대상물과 대향하는 면 및 상기 제 1 돌출부와의 대향면에 걸치도록 형성하며 제 1축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오목부(31)를 가진 지지 돌출부(30)와, 제 1돌출부를 지지 오목부 내에 위치시키도록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지지부(64)와, 상기 제 1축부와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폭 방향으로 나란하고 또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에 구비되는 제 2축부(53)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발명은 FPC 나 FFC 등의 박판상의 접속대상물을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박판상의 접속대상물(FPC 나 FFC)을 접속가능한 커넥터는 접속대상물을 빼고 끼우기가 가능한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에 삽입한 접속대상물과 접촉가능하고 회로기판에 접속하는 커넥터와, 자신의 캠부에 의하여 인슐레이터에 삽입한 접속대상물을 컨택트 측으로 누르는 닫음 위치와 캠부로부터 접속대상물에 대한 누르는 힘이 소실하는 열림 위치의 사이를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액츄에이터는 인슐레이터의 폭 방향으로 뻗어있는 회전축이 돌출되게 설치되어있고 스타비라이져(누름암)에 의하여 끼워넣어지면서 지지함으로써 액츄에이터를 인슐레이터(및 컨택트)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있다.
그러나 스타비라이져를 구비한 컨택트는 제조 코스트가 높기 때문에 컨택트에서 스타비라이져를 생략한 커넥터가 종래부터 제안되고 있다.
특허문헌 1(일본국 특개 2010-272227호 공보)은 이러한 타입의 종래기술이며 인슐레이터에 돌출되게 설치한 복수의 볼록부에 상면 및 측면에 걸쳐서 지지 오목부(축받이부)를 오목하게 설치하고 액츄에이터에 형성한 탄성변형 가능한 복수의 유저오목부의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회전축(축부)을 각 지지 오목부에 상방으로부터 각각 걸어맞추고 유저(有底) 오목부를 캠부로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축과 지지 오목부내를 회전함으로써 액츄에이터가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여 닫음 위치에 위치할 때 그의 캠부에 의하여 접속대상물을 컨택트 측으로 누른다.
또한 액츄에이터가 닫음 위치에 위치할 때는 지지 오목부의 유저오목부(캠부)가 볼록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의 회전축이 대응하는 지지 오목부에서 상방으로 뽑혀 나오는 일이 없다.
특허문헌 1의 커넥터는 액츄에이터에 형성한 유저오목부의 저면을 캠부로 이용하고 있지만 유저오목부의 저면(저부)은 두께가 얇기 때문에 캠부의 기계적 강도가 낮다. 그 때문에 액츄에이터를 닫음 위치로 위치시켜서 캠부를 접속대상물에 눌러서 접하게 할 때 캠부가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액츄에이터가 닫음 위치에 위치할 때 지지 오목부의 캠부가 볼록부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볼록부와 캠부가 커넥터의 두께방향으로 뻗어있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를 저배화 하는 것이 어렵다.
또한 액츄에이터가 열림 위치에 있을 때는 지지 오목부의 캠부가 볼록부의 하방으로부터 측방으로 뽑혀 나오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에 상방향으로의 외력이 걸리면 액츄에이터(회전축)가 인슐레이터(지지 오목부)로부터 상방으로 뽑혀 나올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컨택트에 액츄에이터를 누르기 위한 스타비라이져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액츄에이터의 캠부의 강도를 높이고 커넥터 전체를 저배화 할 수 있으면서도 열림위치에 위치하는 액츄에이터의 인슐레이터에 대한 뽑힘을 방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박판상의 접속대상물을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인슐레이터와, 이 인슐레이터에 삽입한 상기 접속대상물과 접촉가능하고 회전기판에 접속하는 컨택트와 캠부에 의하여 상기 접속대상물을 상기 컨택트 측으로 누르는 닫음 위치와 상기 캠부로부터 상기 접속대상물에 미치는 누르는 힘이 소실하는 열림 위치사이를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캠부를 구성하고 또 상기 접속대상물의 폭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축부를 가진 돌출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돌출부와 상기 폭방향에 나란하고 또 상기 접속대상물과 대향하는 면 및 상기 돌출부와의 대향면에 걸치도록 형성한 제 1축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오목부를 가진 지지 돌출부와, 상기 제 1돌출부를 상기 지지 오목부 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제 1축부와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폭 방향으로 나란하고 또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에 구비되는 제 2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액츄에이터가 보다 원활하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축부가 상기 지지 오목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고정금구이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액츄에이터의 인슐레이터에 대한 부착이 보다 간편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인슐레이터에 돌출되게 설치한 지지 돌출부의 지지 오목부에 액츄에이터의 제 1축부를 지지시키고 또 지지부의 움직임에 의하여 제 1돌출부를 지지 오목부 내에 멈추게 하고 있기 때문에 컨택트에 스타비라이져를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도 액츄에이터가 어느 회전방향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가에 관계없이 액츄에이터의 인슐레이터에 대한 뽑힘을 방지할 수 있고 액츄에이터의 원할한 회전을 실현할 수 있다.
게다가 액츄에이터의 돌출부를 캠부로 하여 있기 때문에 캠부의 기계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액츄에이터를 닫음 위치에 위치시켜서 캠부를 접속대상물에 누를 때에 캠부가 손상될 우려가 거의 없다. 그리고 액츄에이터의 회동이 안정하기 때문에 특히 다극의 커넥터의 경우에 큰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액츄에이터의 돌출부(및 제 1축부)는 지지 돌출부와 커넥터의 두께방향에 나란하기 때문에 커넥터 전체를 저배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의 커넥터를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커넥터의 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액츄에이터가 열림 위치에 위치할 때의 커넥터와 FPC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상방에서 본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액츄에이터가 열림 위치에 위치할 때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인슐레이터에 FPC를 삽입하여 액츄에이터를 닫음 위치에 위치시킬 때의 커넥터의 전방으로 경사지게 하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화살표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화살표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4의 -화살표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9는 인슐레이터에 액츄에이터를 장착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서로 분리 상태에 있는 인슐레이터와 액슐레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인슐레이터에 고정금구를 장착하는 수순을 설명하기 위한 서로 분리 상태에 있는 고정금구와 인슐레이터 및 액츄에이터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인슐레이터에 FPC를 삽입하여 액츄에이터를 닫음 위치에 위치시킬 때의 도 6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인슐레이터에 FPC를 삽입하여 액츄에이터를 닫음 위치에 위치시킬 때의 도 7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인슐레이터에 FPC를 삽입하여 액츄에이터를 닫음 위치에 위치시킬 때의 도 8과 마찬가지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1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이하의 설명 중의 전후, 좌우, 및 상하의 방향은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큰 구성요소로서 인슐레이터(20), 시그널 컨택트(40), 액츄에이터(50) 및 고정금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인슐레이터(20)는 절연성이고 또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사출성형한 것이다. 인슐레이터(20)의 상면의 전면에는 FPC(70)와 거의 같은 폭의 FPC 삽입홈(21)이 오목하게 설치되어있다. FPC 삽입홈(21)의 전면 및 전부의 상면은 개방되어있고 FPC 삽입홈(21)의 후부는 인슐레이터(20)의 내부에까지 이르러 있다(도 7, 도 8 참조). 인슐레이터(20)의 전부의 좌우 양측부에는 한 쌍의 측벽(22)이 형성되어있고 좌우의 측벽(22)의 내측에는 FPC 삽입홈(21)의 좌우 양단을 규정하는 한 쌍의 규제벽(23)이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있다. 좌우의 측벽(22)의 내측면에는 잠금 유지홈(24)이 형성되어있고 좌우의 측벽(22)과 규제벽(23) 사이에는 FPC 삽입홈(21)와 대략 같은 깊이의 측방홈(25)이 각각 형성되어있다. 또한 좌우의 측방홈(25)의 상면(저면)에는 전단이 인슐레이터(20)의 전단면에서 열려져 있고 또 하면의 일부가 열려져 있는 금구 고정홈(28)이 형성되어있다. 금구 고정홈(28)은 인슐레이터(20)의 후부의 내부에까지 이르러 있다(도 6, 도 11 참조). 인슐레이터(20)의 후부의 상반부(FPC 삽입홈(21)의 후부의 바로 위에 위치하는 부분)의 전단부에는 11개의 지지 돌출부(300가 전방향으로 향하여 돌출되어 있고 각 지지 돌출부(30)의 하면에는 좌우 양면이 열려진(하면 및 양 측면에 걸쳐서 형성된) 지지 오목부(31)가 오목하게 형성되어있다(도 8,도 9 등을 참조). 인슐레이터(20)에는 전후 방향으로 뻗어있는 합계 45 본의 컨택트 삽입홈(32)이 형성되어있다. 각 컨택트 삽입홈(32)의 후부는 인슐레이터(20)의 후부를 전후방향으로 관통하여 있고 각 컨택트 삽입홈(32)의 전부는 FPC 삽입홈(21)의 저면에 오목하게 설치되어있다.
합계 45 본의 시그널 컨택트(40)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동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동, 티탄동)이나 코르손계 동합금의 박판을 순차적으로 이송되는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시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며 표면에 니켈 도금으로 하지를 형성한 후에 금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도 1, 도 2, 도 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그널 컨택트(40)의 후단부에는 대략 L자 형상으로 굴곡한 테일부(41)가 형성되어있다. 또한 시그널 컨택트(40)의 전부에는 전방으로 경사지고 상방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탄성 변형부(42)로 이루어져 있고 탄성 변형부(42)의 전단 근방부에는 상방향으로 굴곡한 접촉 돌출부(43)가 형성되어있다.
좌우 방향으로 뻗어있는 판상 부재인 회전식 액츄에이터(50)는 내열성의 합성수지재료를 금속제의 성형틀을 이용하여 사출 형성한 것이다. 액츄에이터(50)의 좌우 양 측부에는 빠짐 홈(52)을 가진 측방 돌출부(51)가 돌출되게 형성되어있다. 좌우의 측방 돌출부(51)의 외측 면에는 서로 동축을 이루며 좌우방향(FPC(70)의 폭 방향)으로 향하여 뻗어있는 원기둥 형상의 큰 직경의 회전축(제 2축부)(53)이 돌출되게 설치되어있고 좌우의 측방 돌출부(51)의 내측 면에는 큰 직경의 회전축과 동축이고 또 큰 직경의 회전축(53)보다 작은 직경의 원기둥 부재인 작은 직경의 회전축(제 1축부)(54)이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또한 액츄에이터(50)에는 좌우의 측방 돌출부(51)의 사이에 위치하는 합계 10 개의 캠부(돌출부)(55)가 돌출되게 설치되어있고 각 캠부(55)의 좌우 양 측면에는 큰 직경의 회전축(53)과 동축을 이루는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이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액츄에이터(50)의 두께방향의 한쪽 면에는 편평면(56)이 형성되어있고 편평면(56)의 가장자리에는 편평면(56)에 대하여 경사하는 열린 위치유지면(57)이 형성되어있다. 한 편 액츄에이터(50)의 다른 쪽 면에는 편평면(56)과 평행한 편평면으로 이루어지는 누름면(58)이 형성되어있다. 또한 액츄에이터(50)의 좌우 양 단면에는 각 각 잠금 갈고리(59)가 돌출되게 설치되어있다.
좌우 한 쌍의 고정금구(60)는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품이고 하단부에 돌출되게 설치한 테일부(61)와, 후단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압입부(62)와,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후면에는 원호상의 지지홈(지지부)(64)를 가지고 있다.
액츄에이터(50)와 고정금구(60)는 이하의 수순에 의하여 인슐레이터(20)에 부착된다.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기(도시 생략)로 인슐레이터(50)에 대하여 대략 직교시킨(수평상태로도 좋다) 액츄에이터(50)를 쥐어서 액츄에이터(50)의 하단부(캠부(55)가 형성된 부분)를 전방으로부터 FPC 삽입홈(21) 내로 삽입하고 각 캠부(55)를 서로 이웃하는 지지 돌출부(30) 사이에 형성된 오목부의 하방으로 삽입시키며 이어서 각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을 대응하는 지지 오목부(31)의 바로 아래에 위치시킨다(도시 생략). 이 상태에서 조립기를 이용하여 액츄에이터(50)를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시키면 각 캠부(55)가 각 지지 돌출부(30)와 좌우 방향으로 나란하고(서로 이웃하는 지지 돌출부(30) 사이의 오목부 내에 위치하고) 각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이 대응하는 지지 오목부(31)의 전단부에 하단부로부터 걸어 맞추어진다(도 10 참조). 그리고 좌우의 큰 직경의 회전축(53)과 좌우의 측방홈((25)의 저면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어서 조립기로 액츄에이터(50)를 이 상태를 유지하면서 고정금구(60)를 좌우의 금구 고정홈(28)에 대하여 전방으로부터 압입한다. 그러하면 금구고정홈(28)의 후단부에 압입부(62)가 압입되고 압입부(62)의 상면에 돌출되게 설치한 걸림돌기가 금구고정홈(28)의 후단부 상면에 구속되기 때문에 고정금구(60)의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전후 움직임 및 상하움직임이 규제되며, 또한 테일부(61)의 하면이 인슐레이터(20)의 하면의 하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빠짐방지 돌출부(63)가 측방홈(25) 내에 위치하고 빠짐방지 돌출부(63)의 지지홈(64)이 좌우의 큰 직경의 회전축(53)의 전반부를 하방 및 전방으로부터 지지하기 때문에(도 6 참조), 상기 조립기에 의한 액츄에이터(50)의 지지를 해제하여도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은 대응하는 지지 오목부(31)의 전단부와의 걸어 맞춤을 유지한다.
그리고 인슐레이터(20)로의 액츄에이터(50)와 고정금구(60)의 부착을 인슐레이터(20)를 상하 반전시킨 뒤집은 상태에서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액츄에이터(50)의 자중에 의해 각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이 대응하는 지지 오목부(31)의 전단부와 걸어 맞추기 때문에 조립기에 의한 액츄에이터(50)의 유지를 생략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50)를 인슐레이터(20)에 부착하려면, 각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이 지지 오목부(31)의 전단부에 걸어 맞춤과 동시에 좌우의 큰 직경의 회전축(53)의 전면이 지지홈(64)에 의하여 지지되고 또 좌우의 큰 직경의 회전축(53)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대응하는 인슐레이터(20)에 의하여 지지되기 때문에(도 6, 도 11 등 참조), 액츄에이터(50)의 기단부(도 1, 도 2에서는 하단부)의 인슐레이터(20에 대한 전후 움직임이 규제된다. 그래서 액츄에이터(50)는 큰 직경의 회전축(53) 및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을 중심으로 하여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직교하는 위치보다 약간 후방까지 회전한 열림 위치(풀림위치 도 3, 도 6 ~ 도 13에 나타낸 위치)와 열림 위치 사이를 회전 가능하게 된다. 액츄에이터(50)가 열림 위치까지 회전하면 측방 돌출부(51)가 좌우의 측벽(22)과 좌우 양단의 지지 돌출부(30) 사이에 끼워맞추어지고 캠부(55)가 서로 이웃하는 지지 돌출부(30) 사이에 위치하여 측방 돌출부(51)의 빠짐 홈(52)에 대응하는 규제벽(23)이 진입한다. 또한 열림위치유지면 (57)이 인슐레이터(20)의 상면에 접촉하기 때문에 액츄에이터(50)는 열림 위치에 유지된다(도 6 ~ 도 8 참조). 한편 액츄에이터(50)가 닫음 위치까지 회전하면 좌우의 잠금 갈고리(59)가 좌우의 잠금 유지홈(24)에 각각 걸어 맞추기 때문에 액츄에이터(50)는 닫음 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지지 돌출부(30)의 지지 오목부(31)의 내면 전단부의 단면 형상은 작은 직경의 회전축(54)과 같은 곡률의 원호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이 보다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 오목부(31)의 깊이(상하 치수)는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의 치수보다도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이 지지 오목부(31)에서 보다 탈락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그리고 액츄에이터(50)를 인슐레이터(20)에 부착한 후에 각 시그널 컨택트(40)를 인슐레이터(20)의 각 컨택트 삽입홈(32)에 대하여 후방으로부터 압입하면 커넥터(10)가 완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그널 컨택트(40)를 컨택트 삽입홈(32)에 압입하면 탄성변형부(42)가 FPC 삽입홈(21)내에 위치하고 테일부(41)와 탄성변형부(42)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의 하면이 대응하는 컨택트 삽입홈(32의 저면에 접촉하고 또한 이 중간부의 측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걸림돌기가 대응하는 컨택트 삽입홈(32)의 측면에 구속됨으로써 중간부가 컨택트 삽입홈(32)에 대하여 고정 상태로 된다. 한편 테일부(41)는 인슐레이터(20)의 후방에 돌출되어서 그의 하면이 고정금구(60)의 테일부(61)의 하면과 동일 평면상에 위치한다.
이상 구성의 커넥터(10)를 회로기판(CB)(도 6 ~ 도 8, 도 11 ~ 도 13의 가상선 참조)의 상면(회로 형성면)에 실장하려면 액츄에이터(50)를 닫음 위치에 유지시킨 상태(도 11 ~ 도 13의 상태)에서 커넥터(10)의 상방에 위치하는 흡인수단(도시생략)을 커넥터(10)에 근접시켜서 흡인수단에 의하여 대략 수평상태에 있는 편평면(56) 및 인슐레이터(20)의 상면을 흡착한다. 그리고 흡인수단을 이동시킴으로써 각 시그널 컨택트(40)의 테일부(41)를 회로기판(CB)상의 회로패턴(도시생략)에 도포한 납땜 페이스트에 올려놓고 좌우의 고정금구(60)의 테일부(61)를 회로기판(CB)상의 접지패턴(도시생략)에 도포한 납땜페이스트에 올려놓는다. 그리고 흡인력을 상실한 흡인수단을 커넥터(10)의 상방으로 퇴피시킨 후에 리프로 로에서 각 납땜 페이스트를 가열 용해하여 각 테일부(41)를 상기 회로패턴에 납땜 부착하고 각 테일부(61)를 상기 접지 패턴에 납땜 부착한다.
접속대상물인 FPC(Flexible Printed Circuit)(70)는 탄성변형 가능한 박판상의 장척물이며 그의 두께는 액츄에이터(50)가 열림 위치에 위치할 때(시그널 컨택트(40)의 탄성변형부(42)가 자유상태에 있을 때)의 캠부(55)와 접촉 돌출부(43)의 상하 간격보다 작다. FPC(70)는 복수의 박막재를 서로 접착하여 구성한 적층구조이고 FPC(70)의 연장방향에 따라서 직선적으로 뻗어있는 합계 45 본의 회로패턴(도시 생략)이 좌우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있고 회로패턴의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의 하면을 절연 커버층에 의하여 덮어져 있다.
회로기판(CB)에 실장한 커넥터(10)의 액츄에이터(50)를 열림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FPC 삽입홈(21)에 대하여 FPC(70)의 단부를 전방으로부터 삽입하고 이 상태에서 액츄에이터(50)를 닫음 위치까지 전방으로 회전시키면 액츄에이터(50)의 각 캠부(55)가 FPC(70)의 상면을 하방으로 누르기 때문에(도 12, 도 13 참조) FPC(70)의 상기 회로패턴이 각 시그널 컨택트(40)의 탄성변형부(42)를 하방으로 탄성 변형시키면서 접촉 돌출부(43)에 대하여 확실하게 접촉한다(도 12, 도 13 참조).
한편, 좌우의 잠금 갈고리(59)와 잠금 유지홈(24)의 걸어 맞춤을 해제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50)를 열림 위치까지 회전시키면 각 캠부(55)로부터 FPC(70)의 상면에 미치는 누르는 힘이 소실되기 때문에 FPC(70)를 인슐레이터(20)로부터 원활하게 뽑아낼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인슐레이터(20)에 돌출되게 설치한 지지 돌출부(30)의 지지 오목부(31)에 액츄에이터(50)의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을 지지시키고 또 고정금구(60)의 작용에 의하여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을 지지 오목부(31)내에 움직이지 않게 하고 있기 때문에 각 시그널 컨택트(40)에(큰 직경의 회전축(53),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을 누르기 때문에) 스타비라이져를 형성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액츄에이터(50)가 어떠한 회전방향 위치에 위치하여도 지지 오목부(31)에 의하여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의 상방으로의 뽑힘이 규제된다. 이 때문에 액츄에이터(50)는 인슐레이터(20)에 대하여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다.
게다가 FPC(70)를 누르기 위한 부위에 있는 캠부(55)는 액츄에이터(50)에 돌출되게 설치한 돌출부이기 때문에 상응하는 기계적 강도를 가진다. 그 때문에 액츄에이터(50)를 닫음 위치에 위치시켜서 캠부(55)를 FPC(70)에 압접할 때에 캠부(55)가 파손할 우려는 거의 없다.
또한 캠부(55)가 파손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액츄에이터(50)의 회동이 안정된다. 특히 시그널 컨택트(40)의 수(극수)가 많은 경우에 큰 효과가 얻어진다. 즉 극수를 많게 하면 커넥터(10)의 폭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컨택트(스타비라이져)에 대하여 FPC로부터 큰 압력(반력)이 걸리기 때문에 종래의 커넥터에서는 중앙부의 컨택트(스타비라이져)에 의한 액츄에이터의 지지가 불안정하게 되어 액츄에이터의 중앙부가 FPC에 미치는 접촉 압력이나 액츄에이터의 회전 조작성이 불안정하게 되기 쉬웠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스타비라이져에 비하여 변형하기 어려운 지지 돌출부(30)(지지 오목부(31))에 의하여 액츄에이터(50)의 작은 직경의 회전축(54)을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폭 방향의 중앙부에 있어서도 액츄에이터(50)의 지지는 안정하게 된다. 그 때문에 액츄에이터(50)의 중앙부의 캠부(55)가 FPC(70)에 미치는 접촉 압력이나 액츄에이터(50)의 회전조작성이 안정하게 된다.
또한 캠부(55)(및 작은 직경의 회전축(54))는 지지 돌출부(30)와 상하 방향(커넥터(10)의 두께방향)에 나란하지 않기 때문에 커넥터(10)전체를 저배화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을 상기 실시형태에 근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을 실행하면서 실시 가능하다.
예를 들면 고정금구(60) 대신에 좌우의 큰 직경의 회전축(53)을 하방(및 전방)에서 지지하는 지지부를 인슐레이터에 일체적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커넥터(10)의 극수(시그널 컨택트(40)의 수)나 FPC(70)의 두께 등의 여러 가지 설정사양에 의해 지지 돌출부(30)와 캠부(55)의 간격이나 크기는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박판상의 접속대상물은 FPC 이외의 케이블, 예를 들면 플렉시블 케이블(FFC) 이어도 좋다.
10 : 커넥터 20 : 인슐레이터
21 : FPC 삽입홈 22 : 측벽
23 : 규제벽 24 : 잠금 유지부
25 : 측방부 28 : 금구고정홈
30 : 지지 돌출부 31 : 지지 오목부
32 : 컨택트 삽입홈 40 : 시그널 컨택트
41 : 테일부 42 : 탄성변형부
43 : 접촉 돌출부 50 : 액츄에이터
51 : 측방 돌출부 52 : 빠짐홈
53 : 큰 직경 회전축(제 2축부) 54 : 작은 직경 회전축(제 1축부)
55 : 캠부 56 : 편평면
57 : 풀림위치유지면 58 : 누름면
59 : 잠금 갈고리 60 : 고정금구
61 : 테일부 62 : 압입부
63 : 빠짐방지 돌출부 64 : 지지홈(지지부)
70 : FPC(접속대상물) CB : 회로기판

Claims (3)

  1. 박판상의 접속대상물을 끼우고 빼기가 가능한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한 상기 접속대상물과 접촉가능하고 회로기판에 접속하는 컨택트와, 캠부에 의하여 상기 접속대상물을 상기 컨택트 측으로 누르는 닫음 위치와 상기 캠부로부터 상기 접속대상물에 미치는 누르는 힘이 소실하는 열림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인슐레이터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액츄에이터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츄에이터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캠부를 구성하며 또 상기 접속대상물의 폭 방향으로 돌출하는 제 1축부를 가진 제 1돌출부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돌출되게 설치하고 상기 제 1돌출부와 상기 폭 방향에 나란하며 또 상기 접속대상물과 대향하는 면 및 상기 제 1 돌출부와의 대향면에 걸치도록 형성한 상기 제 1축부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오목부를 가진 지지 돌출부와,
    상기 제 1돌출부를 상기 지지 오목부내에 위치시키도록 상기 액츄에이터를 지지하는 지지부와,
    상기 제 1축부와 동축을 이루면서 상기 폭 방향으로 나란하고 또 상기 지지부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상기 액츄에이터에 구비되는 제 2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 1축부가 상기 지지 오목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접속되는 고정금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10069178A 2011-04-19 2011-07-13 커넥터 KR1012827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93017 2011-04-19
JP2011093017A JP5362765B2 (ja) 2011-04-19 2011-04-19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3167A KR20120123167A (ko) 2012-11-08
KR101282731B1 true KR101282731B1 (ko) 2013-07-17

Family

ID=4727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9178A KR101282731B1 (ko) 2011-04-19 2011-07-13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362765B2 (ko)
KR (1) KR1012827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26568B2 (ja) * 2011-09-02 2015-12-0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1455335B1 (ko) 2013-03-26 2014-10-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플랫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JP6336941B2 (ja) * 2015-04-01 2018-06-0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075612B1 (ko) 2015-08-26 2020-02-10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CN112425009B (zh) * 2018-08-27 2023-09-15 株式会社藤仓 连接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898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8955A (ja) * 2005-05-31 2006-12-14 Tyco Electronics Amp Kk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322772B2 (ja) * 2009-05-19 2013-10-23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70898A (ko) * 2008-12-18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렉시블 케이블용 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2226947A (ja) 2012-11-15
KR20120123167A (ko) 2012-11-08
JP5362765B2 (ja) 2013-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1733B1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669529B2 (ja) コネクタ
JP4755539B2 (ja) コネクタ
KR101282731B1 (ko) 커넥터
US8651885B2 (en) Board connector
US8662916B2 (en) Board connector
US20100261369A1 (en) Connector
JP5806607B2 (ja) コネクタ
JP2009064577A (ja) コネクタ
KR20120027007A (ko) 커넥터
JP2011023236A (ja) コネクタ
JP5010043B1 (ja) コネクタ
CN1983733A (zh) 带有具有引导配套连接器插入和移除功能的壳体的连接器
WO2017138575A1 (ja) コネクタ装置
KR101286472B1 (ko) 커넥터
US8597035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cost loading mechanism
JP6448327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1161261B1 (ko) 커넥터
JP6881996B2 (ja) コネクタ
JP6042007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6053980B2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7291588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22122144A (ja) コネクタ
KR100992833B1 (ko) 커넥터
TW202401922A (zh) 扁平型導體用電連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