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502B1 - 안전 장치 및 안전 장치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안전 장치 및 안전 장치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502B1
KR101278502B1 KR1020107019890A KR20107019890A KR101278502B1 KR 101278502 B1 KR101278502 B1 KR 101278502B1 KR 1020107019890 A KR1020107019890 A KR 1020107019890A KR 20107019890 A KR20107019890 A KR 20107019890A KR 101278502 B1 KR101278502 B1 KR 101278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n
horn contact
contact
contact portion
modul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7019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5801A (ko
Inventor
띠에리 온디에
Original Assignee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filed Critical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Publication of KR20100105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5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3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 B60R21/203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 B60R21/20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steering wheels or steering columns using modules containing inflator, bag and cover attachable to the steering wheel as a complete sub-unit the module or a major component thereof being yieldably mounted, e.g. for actuating the horn switch or for protecting the driver in a non-deployment situ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휘일 안에 설치되기 위한 에어백 모듈 및 에어백 모듈을 위한 모듈 유지부(1)를 가진 안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것은 음향 경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활성화된 상태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고 설치 상태에서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연결 해제되는 적어도 2 개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체를 구비하며,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체들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개의 경적 접촉 부분(3,3')을 구비하고, 에어백 모듈은 경적 접촉체를 완성하기 위하여 전기적으로 도전성의 방식으로 경적 접촉 부분(3,3')에 연결된다.

Description

안전 장치 및 안전 장치의 제조 방법{Safety arrangement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such a safety arrangemen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조향 휘일 안에 설치되는 에어백 유닛 및 에어백 유닛을 위한 모듈 지지부를 구비하는 안전 장치 및, 이러한 유형의 안전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안전 장치는 특히 운전자 측의 에어백을 위해서 제공되는데, 그러한 에어백은 조향 휘일내에 배치되어 사고 또는 임박한 사고의 경우에 운전자를 보호하기 위하여 활성화된다. 이러한 유형의 조향 휘일은 전체적으로 2 개의 경적 접촉부들을 가지며, 2 개의 경적 접촉부들은 설치된 상태에서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고, 활성화된 상태에서 음향 경적 신호(acoustic horn signal)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될 수 있다. 이들 경적 접촉부들은 모듈 지지부에 고정되고, 압력 플레이트 또는 스위치를 가압함으로써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국제 출원 공개 WO 2006/076897 A1 은 자동차의 조향 휘일 안에 설치되는 운전자 에어백 모듈을 위한 발생기 지지부(generator support)를 개시하는데, 여기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될 수 있는 2 개의 경적 접촉부들은 발생기 지지부상에 배치된다. 경적 접촉부들중 하나는 발생기 지지부의 설치 상태에서 전기적으로 접지 연결되도록 의도되는데, 개스 발생기가 의도된 바에 따라 고정 영역에 고정될 때 개스 발생기와 접지 경적 접촉부 사이에 전기적인 접촉부가 설정되도록 개스 발생기를 고정하기 위한 발생기 지지부의 고정 영역은 접지된 경적 접촉부에 대하여 위치되고 형성되며, 발생기 지지부는 전기적인 격리부의 형태이다. 이러한 경우에, 경적 접촉부들은 U 형상의 디자인이고, 하나는 운전자를 향하는 발생기 지지부의 측에 고정되고, 다른 하나는 운전자 반대편에 있는 발생기 지지부의 측에 고정된다. 압력이 가해졌을 때 경적 접촉부들의 변형은 2 개의 경적 접촉부들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게 하며, 그 결과로서 경적 신호가 발생된다.
발생기 지지부의 반대편 측들에 있는 2 개의 경적 접촉부들의 구성, 특히 하나는 상부측에 있고 하나는 하부측에 있는 구성은 복잡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안전 장치의 장착이 단순화될 수 있고 비용 효과적인 안전 장치가 제공될 수 있는 방법 및 안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을 가진 안전 장치 및, 청구항 제 12 항의 특징들을 가진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점 및 향상점들은 종속항들에 기재되어 있다.
음향 경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활성 상태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설치 상태에서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될 수 있는 적어도 2 개의 경적 접촉부들을 가진 차량의 조향 휘일에 설치되는 에어백 유닛 및 에어백 유닛을 위한 모듈 지지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 장치는 복수개의 경적 접촉 부분들을 구비하는 경적 접촉부들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하고, 경적 접촉을 완성하기 위하여 경적 접촉 부분들에 전기적으로 도전성 있게 연결되는 에어백 유닛을 제공한다. 경적 접촉부들은 모듈 지지부상의 상이한 위치들에 배치된 스위치들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균일하게 분포된 방식으로 배치된 3 개 또는 4 개의 스위치들이 제공됨으로써, 압력의 힘이 압력 플레이트상의 어디에 가해지는가에 상관 없이, 예를 들어 충격 흡수기의 전방 폐쇄부에 가해지는가에 상관 없이, 경적 접촉부들은 신뢰성있게 접촉 연결될 수 있다. 모든 스위치들에 분리된 케이블을 제공하지 않기 위하여, 경적 접촉부들은 도전체 트랙(conductor track)으로서 형성되며, 따라서 케이블은 각각의 경우에서 경적 접촉부를 가진 지점에만 제공되어야 한다. 다음에 스위치들이 제 1 경적 접촉부 및 제 2 경적 접촉부와 전기 접촉되면, 상기 경적 접촉부들이 전기적으로 격리될 때까지 음향 경적 신호가 활성화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경적 접촉부들이 전기적인 도전체 트랙들에 의해서 모든 스위치들의 지점들을 서로 연결시키지 않지만, 에어백 유닛과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경적 접촉 부분들이 모듈 지지부상에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경적 접촉 부분들은 모든 스위치 지점들 또는 스위치들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경적 접촉을 형성하도록 완성된다. 따라서, 에어백 유닛의 설치에 의하여, 복수개의 경적 접촉 부분들, 예를 들어 2 개 또는 3 개의 경적 접촉 부분들을 포함하는, 처음에는 개방된 경적 접촉이 폐쇄됨으로써, 이제 완성된 2 개의 경적 접촉부들은 스위치의 활성화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 결과로서 음향 경적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이것은 경적 접촉부들을 위한 비용을 절감시키고 에어백 유닛을 전기 도전체 요소로서 통합시키며, 그 결과로서 기능들이 통합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개선점으로서, 에어백 유닛은 조향 휘일의 일부로서 모듈 지지부상에서 함께 구성될 수 있는 개스 자루(gas sack) 및 개스 발생기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에, 개스 자루는 콘테이너 또는 케이스 안에 수용될 수 있고, 또한 개스 자루 콘테이너 또는 케이스가 경적 접촉 부분들과 전기적인 접촉을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에 대한 대안으로서, 경적 접촉 부분들이 개스 발생기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에어백 콘테이너와 개스 발생기 사이에 대응하는 전기적인 격리가 주어진다면 경적 접촉이 선택적으로는 개스 자루 콘테이너에 의해 완성될 수 있는 반면에, 다른 경적 접촉은 개스 발생기에 의해 완성된다. 또한, 장착되어 있는 에어백 유닛에 의해 완성되는 복수개의 경적 접촉 부분들이 2 개의 경적 접촉부들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점은 경적 접촉부들이 모듈 지지부상의 동일한 측에 배치된다는 것이며, 즉, 운전자를 향하는 모듈 지지부의 측에 있거나, 또는 운전자를 향하지 않는 모듈 지지부의 측에 있다. 이러한 경우에, 2 개의 경적 접촉부들 및 경적 접촉 부분들은, 그들이 모듈 지지부의 평탄 표면들상에 배치되어 있다면, 같은 방향을 지향한다. 경적 접촉부들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모듈 지지부상에서 서로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어서, 실질적으로 평행한 도전체 트랙들이 경적 접촉부들 또는 경적 접촉 부분들에 의해 모듈 지지부상에 형성된다.
에어백 유닛 및 개스 발생기 또는 에어백 콘테이너는 영구적인 고정 및 경적 접촉 부분들에 대한 신뢰성 있는 전기 접촉 연결을 보장하기 위하여 모듈 지지부상으로 단단하게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클립(clip)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개선점은 에어백 유닛 및, 특히 공정중에 개스 발생기를, 정전기 방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경적 접촉부들중 하나에 의해 접지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정전기 방전은 개스 발생기의 의도되지 않은 작동 및 따라서 의도되지 않은 개스 자루의 전개에 이르게 된다.
경적 접촉부들 사이의 전기적인 접촉을 설정하기 위하여, 압력 작동 스위치들, 바람직스럽게는, 하나의 경적 접촉부 및 다른 경적 접촉부 양쪽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스프링-부하의 압력-작동 스위치들이 모듈 지지부에 고정된다. 2 개의 경적 접촉부들이 스위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자마자. 경적 회로는 폐쇄되고, 따라서 경적이 활성화되며, 그 결과로서 음향 경적 신호가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에, 압력 작동 스위치들이 바람직스럽게는 운전자의 방향으로 지향된 방식으로 스프링 부하를 받으며, 따라서 경적 접촉부들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기 위하여 압력의 힘은 조향 휘일 및 모듈 지지부의 방향으로 가해져야 한다.
경적 접촉부 또는 경적 접촉 부분들이 바람직스럽게는 금속 스트립 또는 도전성 재료의 다른 스트립을 포함하며, 이들 스트립은 모듈 지지부 안으로 삽입되고, 바람직스럽게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사출 몰딩된다. 경적 접촉부들 또는 경적 접촉 부분들을 고정시키는 다른 방법들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플러그 결합(plugging-in) 및 클램프 결합(clamping)이 가능하다.
2 개 경적 접촉부들이 모듈 지지부상에 배치되어 있는, 모듈 지지부에 고정된 에어백 유닛 및 모듈 지지부를 구비하는 안전 장치의 제조 방법은 2 개의 경적 접촉부들중 적어도 하나가 모듈 지지부에 고정된 복수개의 경적 접촉 부분들을 구비함으로써, 그들 경적 접촉 부분들이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고, 장착되는 에어백 유닛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모듈 지지부상에 에어백 유닛을 장착시킴으로써, 2 개 또는 그 이상의 경적 접촉 부분들이 서로 연결되고, 따라서 적어도 2 개의 경적 접촉이 완성되고, 정상 상태에서는 완성된 경적 접촉들이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며, 즉, 경적이 활성화되지 않는다.
2 개의 접촉부들이 예를 들어 시트-금속 블랭크(sheet-metal blank)로부터 펀치됨으로써 처음에 일체형의 설계로 이루어지고, 경적 접촉 부분들과 경적 접촉부 사이에 미리 결정된 파괴 지점들이 형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의 특히 유리한 변형으로써, 경적 접촉부들은 모듈 지지부로 클램프 결합되거나 또는 사출 몰딩될 수 있다. 따라서, 2 개의 경적 접촉부들 또는 경적 접촉부 및 경적 접촉 부분들이 처음에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미리 결정된 파괴 지점들이 파괴됨으로써 그러한 전기적인 연결이 미리 결정된 파괴 지점에서 끊어지며, 그 결과로서 경적 접촉 부분들은 경적 접촉부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이것은 경적 접촉부들 또는 경적 접촉 부분들이 사출 몰딩 과정에서 모듈 지지부에 접합될 때 오직 하나의 부분만이 사출 몰딩 다이 안으로 삽입되어야 하는 장점을 가진다. 다음에 미리 결정된 파괴 지점들을 따라서 전기적인 브리지(electrical bridge)들이 제거됨으로써, 경적 접촉 부분들 또는 경적 접촉 부분들 및 경적 접촉부 또는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된 경적 접촉부들이 2 개의 경적 접촉을 위하여 형성되며, 2 개의 경적 접촉부들은 장착되어 있는 에어백 유닛 또는 에어백 콘테이너 또는 개스 발생기에 의해 완전한 경적 접촉을 형성하도록 처음으로 폐쇄된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현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이한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 은 장착된 개스 발생기를 가진 모듈 지지부를 아래로부터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개스 발생기가 없는 모듈 지지부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3 은 스위치의 분리된 도면이다.
도 4 는 도 2 에 따른 변형예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1 은 플레이트 형태의 모듈 지지부(1)를 아래로부터 도시한 것으로서, 이것은 베이스 평면(10)을 가지고, 운전자를 향하는 측에서 덮개 캡(11)으로 덮히며, 덮개 캡(11)의 측벽들은 아래를 지향하고 덮개 캡의 아래에는 개스 자루(gas sack, 미도시)가 접혀진 형태로 수용되어 있다. 에어백 유닛의 일부로서의 개스 발생기(2)는 나사(5)들에 의해서 베이스 평면(10)상에 고정된다. 개스 발생기(2)는 부분적으로 투명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어서, 베이스 평면(10)상에 배치된 것과 같은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체(horn contact)들을 볼 수 있다. 개스 발생기(2)에 인접한 곳에서 연장되는 제 1 경적 접촉체는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horn contact sections; 3,3')을 포함하며, 이들은 예를 들면 플러그 접속(plugged-in) 방식, 클램프 접속(clamped in) 방식, 접착제 접합 또는 사출 몰딩에 의해서 베이스 평면(10)상에 고정된다. 모듈 지지부(1)는 사출 몰딩 공정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스럽다.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들은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는데, 제 1 경적 접촉 부분(3)은 제 1 접촉 영역(6)에서 끝나며, 제 1 경적 접촉 영역내에는 이후에 설명될 압력 작동 스위치가 배치된다. 그로부터, 제 1 경적 접촉 부분(3)은 개스 발생기(2)의 방향으로 T 형상 방식으로 연장되고, 단부 영역들은 개스 발생기(2)의 나사 수용부(5)를 둘러싼다. 제 2 경적 접촉 부분(3')은 제 1 접촉 영역(6)의 반대편상에서 2 개의 다른 접촉 영역(6',6") 사이에 연장되고, 실질적으로 직선의 설계이며, 개스 발생기(2)의 나사 볼트 영역(5)들이 그곳에서 둘러싸인다.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은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의 외측에서 제 1 접촉 영역(6)으로부터, 제 2 접촉 영역(6')을 통하여, 제 3 접촉 영역(6")으로 연장된다.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은 예를 들어 금속 레일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전기 도전성 트랙(track)의 형태와 유사하고,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과 동일한 측에서 베이스 평면(10)에 고정된다. 접촉 영역(6,6',6")에서,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과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은 마찬가지로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며, 도 3 에 도시된 스위치(8)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은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고, 개스 발생기(2)에 의해서 서로에 대하여 처음으로 전기 연결되는데, 개스 발생기(2)는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들을 향하는 측에서 적어도 국부적으로 전기적으로 도전성의 설계를 가지거나, 또는 전기 도전체의 트랙(track)을 가짐으로써, 전기적으로 도전성의 연결이 제 1 접촉 영역(6), 제 1 경적 접촉 부분(3), 개스 발생기(2), 제 2 접촉 영역(6')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을 통해 제 3 접촉 영역(6'')에 대하여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 경적 접촉체는 베이스 평면(10)상에 고정된 개스 발생기(2)에 의해 완성된다. 이러한 경우에,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 및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3,3')은 모듈 지지부(1)의 베이스 평면(10)의 뒷편에 배치되는데 반해, 스위치(8)는 반대측에 배치되고 에어백(미도시)과 함께 덮개 캡(11)에 의해서 덮힌다. 대안으로서, 전기 도전체들이 접촉 영역(6,6',6")들로부터 개스 발생기로 이어지는 상기 개스 발생기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것이 가능하여, 경적으로의 전기 연결을 위한 플러그 수용부(plug receptacle)가 접촉 영역(6,6',6")들중 하나에만 제공되어야 하며 결과적으로 경적 신호는 임의의 스위치(8)가 작동되었을 때 발생된다.
개스 발생기(2)는 모듈 지지부(1)의 베이스 평면(10)의 하부측상에 배치되고 나사(5)에 의해 고정된다; 대안의 고정 수단, 예를 들어 클립(clip) 연결부 또는 클램프 연결부도 가능하다. 덮개(11)는 모듈 지지부(1)상에 형성된 후크 요소(13)들에 의해 유지된다.
스프링-부하(spring-loaded) 방식으로 베이스 평면(10)의 방향으로 움직이는 덮개(11)의 성능이 보장된다.
스프링 로드(spring rod, 7)는 수용부(14) 안으로 클램프되고 조향 휘일에 고정되도록 이용될 수 있다.
도 1 은 전기 접촉 연결을 위한 플러그 연결부(31, 41)들이 제공된 것을 도시하며, 플러그 수용부(41)는 경적에 대한 연결부를 나타내는데 반해, 플러그 수용부(31)는 동시에 접지 연결을 제공한다. 도 1 의 구성은 개스 발생기(2) 및, 따라서 전체 에어백 유닛이, 플러그 연결부(31)에 의한 접지 연결 구성 및 개스 발생기(2)의 전기 도전성 부분에 의해서, 또는 개스 발생기(2)의 전기 도전측에 의해서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 3')의 전기 도전성 연결로써 동시에 접지 연결됨으로써, 정전기가 없으며 개스 발생기(2)의 의도하지 않은 폭발 및 전압 피크(voltage peak)의 위험성이 없는 것을 나타낸다.
도 1 에 따른 전체 안전 장치(100)는 에어백 모듈의 형태일 수 있으며, 조향 휘일의 최종 조립을 위해서 설치될 준비가 되도록, 모듈 지지부(1), 개스 발생기(2) 및 개스 자루 및 덮개(11)가 이미 완전히 설치된 것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에어백을 위한 수용부 또는 콘테이너는, 예를 들어 보유 돌출부(retaining lug) 또는 측벽(side wall)의 형태인, 운전자를 향한 측부에서 모듈 지지부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접혀진 개스 자루를 위한 폐쇄 콘테이너를 형성하기 위하여 덮개(11)가 측벽 또는 보유용 돌출부에 위에 배치된다. 에어백 유닛은 전체적으로 개스 발생기(2) 및 개스 자루를 가지며, 이들은 모듈 지지부(1)에 고정된다. 에어백 유닛은 상기 개스 자루를 소망의 형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다른 요소들, 예를 들어 개스 자루를 위힌 유지 장치 또는 개스 라인(gas lines), 편향기(deflectors), 확산기(diffusers)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개스 발생기(2)에 더하여, 에어백 유닛의 다른 구성 요소들이 스위치(8) 및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을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할 수도 있다.
도 2 는 모듈 지지부(1)의 베이스 평면(10)의 도면에 대한 평면도를 도시하는데, 이것은 연속적인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이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들의 외측에 배치된 것을 도시한다. 나사 볼트(5)를 위한 통과 구멍들은 경적 접촉 부분 영역(51)들에 의해 둘러싸이고, 특히 그곳에서, (도시되지 않고 장착되지 않은) 개스 발생기(2)에 대한 전기적인 연결을 장착 상태에서 확립한다. 모듈 지지부(1)에는 베이스 평면(10)에서 요부(12)가 형성되고, 요부를 통해서 접혀진 에어백이 모듈 지지부(1)의 전방으로 밀려들어감으로써, 에어백은 운전자의 방향으로 전개될 수 있다. 개스 발생기(2)는 요부(12) 보다 크고 그곳을 통과할 수 없다.
덮개 캡(11)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돌출부(fastening tongue, 13)는 베이스 평면(10)의 측부로부터 돌출된다. 도 3 에 도시된 스위치(8)들은 운전자를 향한 모듈 지지부(1)의 측에 장착되는 반면에,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 및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은 운전자로부터 피해진 모듈 지지부(1)의 측에 배치된다. 대안으로서, 접촉 영역(6) 및 스위치(8)들이 대응의 구성이라면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 및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은 운전자를 향하는 모듈 지지부(1)의 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 은 스위치를 통한 단면을 장착된 상태로 도시한 것이다. 스위치(8)는 모듈 지지부의 베이스 평면(10)에 고정된다.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은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된다.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에서 2 개의 스프링(82,83)으로써 미리 응력이 가해진 힘에 의해 작용되는 스위치(8)는 운전자를 향하는 모듈 지지부(1)의 측에 배치된다. 에어백(미도시)을 덮는 덮개(11)가 위에 고정되는 수용부 캡(84)은 스위치(8)의 단부에 배치되는데, 스위치는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으로부터 반대로 배치된다. 수용부 캡(84)은 중심에 배치된 스프링(83)에 의해서 접촉 요소(81)에 대하여 스프링 부하가 걸려 있다. 다시 접촉 요소(81)는 미리 응력이 가해진 압축 스프링(82)에 의해서 둘러싸여지고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으로부터 멀어지게 밀려진다. 만약 압력이 위로부터 아래로 수용부 캡(84)에 덮개에 의해서 가해진다면, 접촉 요소(81)상에 힘이 가해지고, 이것은 다시 외측 압축 스프링(82)의 압축을 일으킨다. 힘이 충분히 크다면, 접촉 요소(81)는 움직임의 끝에서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또는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 양쪽에 전기적으로 도전성 있게 연결된다. 이러한 경우가 발생되자마자, 회로가 폐쇄되고 경적(미도시)이 활성화된다. 압력이 제거되자마자, 접촉 요소(81)는 도시된 정상의 위치 또는 시작 위치로 복귀된다.
도 4 는 도 2 의 변형을 도시하며, 여기에서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 및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들은 처음에는 일체화된 설계이고, 미리 결정된 파괴 지점을 가진 접촉 브리지(9)들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다. 이것은 처음에 일체화된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과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이 하나의 구성 요소로서 사출 몰드(injection mould) 안으로 접합된 채로 삽입되고, 다음에 모듈 지지부(1)의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유지됨으로써, 설계에 따라서 모듈 지지부(1)의 베이스 평면(10)의 상부측 또는 하부측에 전기적인 도전체 트랙(conductor track)들이 배치되는 장점을 가진다.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3')과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이 형상화되거나 또는 사출 몰딩된 후에, 도전체 브리지(9)들은 미리 결정된 파괴 지점들에서 파괴되고, 전기적인 연결이 차단된다.
1. 모듈 지지부 2. 개스 발생기
3. 3'.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
4.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 5. 나사
6.6'.6". 접촉 영역 10. 베이스 평면
11. 덮개 캡

Claims (14)

  1.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를 가지는, 차량에서 조향 휘일 안에 설치되어야 하는 에어백 유닛 및 에어백 유닛을 위한 모듈 지지부(1)를 구비하는 안전 장치로서,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는 음향 경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활성 상태에서 서로 전기적으로 접촉 연결될 수 있고 설치 상태에서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고,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중 적어도 하나는 제 1 경적 접촉 부분(horn contact sections; 3)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을 포함하고, 에어백 유닛은 경적 접촉을 완성하기 위하여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에 전기적으로 도전성 있게 연결되고,
    에어백 유닛은 개스 발생기(2) 및 개스 자루(gas sack)를 가지고,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은 에어백 유닛의 개스 발생기(2)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은 콘테이너(container), 확산기(diffuser) 또는 편향기(deflector)와 같은 에어백 유닛의 추가 구성 요소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을 서로 연결시키는 전기적으로 도전성의 재료 웹(web)들이 에어백 유닛에 오직 국부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는 모듈 지지부(1)의 같은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는 모듈 지지부(1)상에서 적어도 국부적으로 서로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백 유닛은 모듈 지지부(1)상에 단단하게 나사 결합되거나 또는 클립(clip)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에어백 유닛 및 개스 발생기(2)는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중 하나에 의해서 접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음향 경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압력 작동 스위치(8)들은 모듈 지지부(1)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 또는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은 모듈 지지부(1)내에 일체로 형성된 금속 스트립(metal strip)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
  12. 모듈 지지부(1) 및 상기 모듈 지지부에 고정된 에어백 유닛을 구비하는 안전 장치의 제조 방법으로서,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는 모듈 지지부상에 배치되고,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중 적어도 하나는 모듈 지지부(1)에 고정된 제 1 접촉 부분(3) 및 제 2 접촉 부분(3')을 포함함으로써, 제 1 접촉 부분(3) 및 제 2 접촉 부분(3')은 서로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되고, 장착된 에어백 유닛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에어백 유닛은 개스 발생기(2) 및 개스 자루(gas sack)를 가지고,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은 에어백 유닛의 개스 발생기(2)에 의해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는 모듈 지지부로 사출 몰딩되거나 또는 클램프(clamp)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의 제조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는 일체형 설계이고,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을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시키기 위하여, 제 1 경적 접촉체 및 제 2 경적 접촉체가 모듈 지지부에 고정된 이후에 파괴되는 미리 결정된 파괴 지점들이 제 1 경적 접촉체의 제 1 경적 접촉 부분(3) 및 제 2 경적 접촉 부분(3')과 제 2 경적 접촉체의 경적 접촉 부분(4)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07019890A 2008-03-07 2009-01-26 안전 장치 및 안전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278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8013526.7 2008-03-07
DE102008013526A DE102008013526B4 (de) 2008-03-07 2008-03-07 Sicherheits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icherheitsanordnung
PCT/EP2009/000468 WO2009109265A1 (de) 2008-03-07 2009-01-26 Sicherheits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icherheits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5801A KR20100105801A (ko) 2010-09-29
KR101278502B1 true KR101278502B1 (ko) 2013-07-02

Family

ID=40551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7019890A KR101278502B1 (ko) 2008-03-07 2009-01-26 안전 장치 및 안전 장치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336911B2 (ko)
EP (1) EP2265468B1 (ko)
JP (1) JP5283236B2 (ko)
KR (1) KR101278502B1 (ko)
CN (1) CN101970263B (ko)
BR (1) BRPI0909819B1 (ko)
DE (1) DE102008013526B4 (ko)
WO (1) WO20091092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399A (ko) * 2015-07-22 2017-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휠 에어백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43372B4 (de) * 2009-09-29 2014-03-13 Autoliv Development Ab Hupenaktivierungseinrichtung und Sicherheitsanordnung mit einer Hupenaktivierungseinrichtung
JP5832753B2 (ja) * 2011-01-28 2015-12-16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ケース体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2002722A1 (de) * 2011-09-15 2013-03-21 Trw Automotive Safety System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erienfertigung einer Fahrzeugbaugruppe, Lagereinheit, Fahrzeuglenkrad sowie Hupenmodul für eine Lenkradbaugruppe sowie Lenkradbaugruppe
JP5950443B2 (ja) * 2012-04-23 2016-07-13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のケース体
JP6193037B2 (ja) * 2013-07-25 2017-09-06 芦森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CN104773129B (zh) * 2015-03-30 2018-07-06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方向盘与驾驶员安全气囊模块配合结构
CN104859577A (zh) * 2015-05-28 2015-08-26 合肥江淮太航常青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集按响结构于一体的塑料卡扣式安全气囊
EP3178707B1 (en) * 2015-12-08 2018-07-18 Autoliv Development AB Steering wheel
JP6624732B2 (ja) * 2016-03-29 2019-12-25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ハンドル
EP3504088A4 (en) * 2016-08-29 2020-01-08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TEST SYSTEM FOR DRIVER AIRBAG ASSEMBLY
DE102016117001B4 (de) 2016-09-09 2023-05-17 Autoliv Development Ab Hupenaktivierungseinrichtung
FR3083189B1 (fr) * 2018-06-29 2021-12-10 Autoliv Dev Dispositif de montage amovible d'un module de coussin gonflable
CN112744157B (zh) * 2019-10-31 2023-03-14 宁波均胜汽车安全系统有限公司 一种喇叭支架
US11383665B2 (en) * 2019-12-10 2022-07-12 Autoliv Asp, Inc. Driver airbag module coupling assemblies
DE102019134905A1 (de) * 2019-12-18 2021-06-24 Valeo Schalter Und Sensoren Gmbh Elektrische Übertragungsvorrichtung und Kraftfahrzeu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6163A1 (en) 2005-02-07 2006-08-17 Key Safety Systems, Inc. Horn switch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3747B2 (ja) 1992-06-01 2001-05-08 豊田合成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のパッド
DE4227931A1 (de) 1992-08-22 1994-02-24 Porsche Ag Kraftfahrzeug mit einem Hupenschaltkreis und einem Airbag-Steuerkreis
US5327796A (en) * 1992-12-28 1994-07-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Horn switch actuated by rocking air bag module
US6568702B1 (en) * 2000-02-04 2003-05-27 Breed Automotive Technology, Inc. No housing driver's air bag module
DE60103699T2 (de) * 2000-06-27 2005-06-16 Toyoda Gosei Co., Ltd. Struktur zum Einbau eines Airbag-Moduls
DE20017527U1 (de) * 2000-10-12 2001-02-22 Trw Automotive Safety Sys Gmbh Fahrzeuglenkrad
US7159897B2 (en) * 2003-07-21 2007-01-09 Delphi Technologies, Inc. Isolated ground for horn mechanism
CN100441446C (zh) * 2004-02-18 2008-12-10 高田-彼得里公开股份有限公司 用于气囊组件的外壳
JP2006092921A (ja) * 2004-09-24 2006-04-06 Takata Corp ホーンスイッチ装置、エアバッグ装置、ステアリング装置
DE102005002945A1 (de) * 2005-01-18 2006-07-27 Takata-Petri Ag Generatorträger für ein Fahrerairbagmodul zum Einbauen in ein Lenkrad eines Kraftfahrzeuges
US7533897B1 (en) * 2005-02-16 2009-05-19 Key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ng an air bag
GB2433234A (en) * 2005-12-08 2007-06-20 Autoliv Dev A mounting arrangement for an airbag
ES2301340B1 (es) * 2006-03-13 2009-05-01 Dalphi Metal España S.A. Volante de automovil con claxon pivotante.
DE102008028126A1 (de) * 2008-06-13 2009-12-17 Autoliv ASP, Inc., Ogden Lenkradeinhei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086163A1 (en) 2005-02-07 2006-08-17 Key Safety Systems, Inc. Horn switch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1399A (ko) * 2015-07-22 2017-02-0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휠 에어백 장치
KR102293578B1 (ko) * 2015-07-22 2021-08-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조향휠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08013526B4 (de) 2012-02-02
DE102008013526A1 (de) 2009-09-17
EP2265468B1 (de) 2012-12-12
CN101970263A (zh) 2011-02-09
JP5283236B2 (ja) 2013-09-04
JP2011513127A (ja) 2011-04-28
WO2009109265A1 (de) 2009-09-11
US8336911B2 (en) 2012-12-25
CN101970263B (zh) 2013-01-23
EP2265468A1 (de) 2010-12-29
KR20100105801A (ko) 2010-09-29
BRPI0909819A2 (pt) 2015-10-06
BRPI0909819B1 (pt) 2019-04-16
US20110018239A1 (en) 2011-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8502B1 (ko) 안전 장치 및 안전 장치의 제조 방법
US8491003B2 (en) Airbag frame apparatus
JP4527775B2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に装着される運転者エアバッグモジュール用ガス発生器支持体
US6672655B2 (en) Roof module
CN102046429B (zh) 用于车辆人员保护装置的控制装置和用于装配车辆人员保护装置的控制装置的方法
US20050161308A1 (en) Vehicle steering wheel
US8939466B2 (en) Airbag frame apparatus
JP2003501307A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CN101583522A (zh) 安全装置及装配安全装置的方法
CN110116749B (zh) 用于机动车的方向盘总成及其装配方法和结构组件
US9404978B2 (en) Arrangement of an electronic sensor device at a terminal post clamp of a battery and a method for producing such an arrangement
US20020027337A1 (en) Airbag door of a vehicle
CN109689434A (zh) 车辆喇叭激活装置
US7671288B2 (en) Switch apparatus for horn device of vehicle
CN111200263B (zh) 电气连接箱
CN213043952U (zh) 电子控制装置
CN111613910A (zh) 端子盖
KR200238145Y1 (ko) 에어백이 장착되는 스티어링 휠
JPH0528778U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JP2003009354A (ja) 電気接続箱
KR100666625B1 (ko) 운전석 에어백 모듈
CN110021901A (zh) 一种车用智能电气接线盒内部一体化固定结构
KR20000020189U (ko) 에어백을 가진 자동차 조향장치의 혼
KR20030038287A (ko) 플로우터 모듈에 대한 멤브레인 스위치
KR19980017182U (ko) 자동차용 후방플로어판넬의 도선 보호.고정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