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8287A - 플로우터 모듈에 대한 멤브레인 스위치 - Google Patents

플로우터 모듈에 대한 멤브레인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8287A
KR20030038287A KR1020020002172A KR20020002172A KR20030038287A KR 20030038287 A KR20030038287 A KR 20030038287A KR 1020020002172 A KR1020020002172 A KR 1020020002172A KR 20020002172 A KR20020002172 A KR 20020002172A KR 20030038287 A KR20030038287 A KR 200300382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brane
switch assembly
membrane switch
layer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2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딘 호벳
대린 버렌스
Original Assignee
더 벅퀴스트 컴퍼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 벅퀴스트 컴퍼니 filed Critical 더 벅퀴스트 컴퍼니
Publication of KR20030038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82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60Q5/001Switches therefor
    • B60Q5/003Switches therefor mounted on the steering whe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Air Bags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전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에서, 상기 멤브레인 조립체는 전기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첫 번째 두 번째 층의 개별의 인접하고 이격된 표면과 함께, 일반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관계에 있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유연성이 있는 멤브레인 층을 포함하고, 개별의 전도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스위치 위치에서 서로 마주대하고 이격된 관계를 갖는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스티어링 휠 앞면의 특정한 위치에서 내부 압력이 가해졌을 때 하나 이상의 멀리 떨어진 전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장치에 사용되기에 적합하며, 상기 조립체는 플로우팅 스티어링 휠 모듈의 후방 둘레 영역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기에 적합한 구조 및 크기를 갖는다.

Description

플로우터 모듈에 대한 멤브레인 스위치{MEMBRANE SWITCH FOR FLOATER MODULE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소형이며 유연성 있는 전기 스위치에 관련되며, 좀더 자세히 플로우팅 스티어링 휠 모듈에 일체화된 전자 스위치로 작동하는 자동차 경적 같은 눌러서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이 있는 전자 멤브레인에 관련된다.
여러가지 전자 스위치가 제안되어 왔고 소형 압축성 적용분야에 사용되는데, 힘 혹은 압력이 전자 스위치에 가해져 이러한 스위치를 작동시켜 관련 회로를 완료하는 것이다. 누르기만 해도 작동하는데 유용한 특정한 구조는 비교적 얇은 멤브레인 스위치 장치이다. 이러한 멤브레인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를 작동하는데 필요한 비교적 적은 압력과 작은 크기를 갖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에 대한 한가지 특정한 응용은 경적 같은 자동차 스티어링 휠 조립체로부터 원격으로 작동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경우에서 경적은 차량 스티어링 휠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는데, 스티어링 휠에서 원격으로 작동하고 제어된다. 원격 경적을 작동시키기 위한 여러 가지 스위치 장치는 스티어링 휠 몸체 내에서 사용되어져 왔다. 예를 들어 이러한 스위치 장치는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위치한 플로우팅 모듈의 뒤쪽에 장착된 금속 접촉점을 포함하는데, 전기 접촉은 플로우팅 모듈의 지지스프링 안으로 통합되고 유연성이 있는 금속 스프링 같은 접촉은 각각의 스티어링 휠 조립체를 지지한다. 이러한 스위치는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제공된다.
최근에 플라스틱 필름으로 된 유연성이 있는 스위치 장치 및/혹은 접촉이 멀리 떨어진 경적을 작동시키기 위한 스티어링 휠 장치의 중앙 부분에 가해진 압력에 반응하도록 사용된다.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 스위치는 멀리 떨어진 경적을 작동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휠의 플로우팅 모듈에 적게 가해진 압력에 더 쉽게 감응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된 스위치는 일반적으로 스티어링 휠의 고정 부분 및 플로우팅 모듈 사이에 배열되어 작동하는데, 플로우팅에 가해진 압력은 스위치 장치가 압축되게 하여서 정상적으로 이격된 전도성 재료 사이의 전기적 접촉을 만든다. 이러한 방법으로 원격의 경적이 작동하는 시간에 상응하여 플러우팅 모듈이 눌려지는 시간 동안 완전한 회로가 만들어진다.
최근에 차량의 스티어링 휠은 충돌이 일어날 때 차량이 탑승한 승객의 안전 억제 수단인 에어백을 부풀리는데 적합해야 한다. 통상적으로 에어백은 고정 스티어링 휠 및 여기에 고정된 플로우팅 모듈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플로우팅 모듈은 팽창식 에어백를 팽창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휠의 중앙에 종종 위치한다.
팽창식 에어백의 바람직한 위치를 만족시키기 위해 제조업자는 팽창식 에어백과 플로우팅 모듈의 앞쪽 덮개 사이에 유연성 있는 플라스틱 스위치를 통합시켰다. 이러한 구조의 어려운 점은 에어백 조립체로 구성된 탄력성 있는 표면에 대한 효과적인 스위치를 제공한다. 상기 어려움은 팽창이 일어나야 할 때 에어백 조립체가 방해받지 않아야 하기 때문에 생긴다. 따라서 스위치는 에어백 조립체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고 적은 압력 하에서 좋은 전기적 닫힘을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자동차 스티어링 휠 장치의 플로우팅 모듈 부분에 잘 맞는 크기를 갖고 그러한 구성으로 된 전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를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리 떨어진 전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장치에 사용되는 전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팽창식 에어백의 팽창 경로 밖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리 떨어진 전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장치에 사용되는 전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회로를 완성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를 포함하여 원격의 장치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멀리 떨어진 전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장치에 사용되는 전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인데,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스티어링 휠 장치의 플로우팅 모듈 뒤 쪽 오목한 부분에 꼭 맞는 크기와 구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인데 모든 스위치 요소들은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의 단일 구조 내에 절연되고 그 안에 둘러쌓여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멤브레인 층 사이로부터 가해진 가스를 받아들이기에 적합한 크기와 구조를 갖는 가스 방출 영역을 포함하는 내부 압력 흡수를 갖는 전지 멤브레인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수단으로 개선된 전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가 얇고 방해하지않는 스위치 조립체가 바람직하게 적용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개선된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별개의 얇은 멤브레인 층의 조합을 사용하여 얻어지는데, 서로에 겹쳐지지만 별개의 멤브레인 층이 마주보도록 배열된 전기적 전도성 재료를 갖는 부분에서는 서로 이격된다. 그러므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멤브레인 층에 가해진 내부 압력이 각각의 멤브레인 층 위에 이격된 전기전도성 재료가 전기적 접촉이 되도록 할 때 작동된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전체 회로를 완성하는 하나의 위치에서 별개의 멤브레인 층 사이에서 전기적 접촉하여 결합된 전기장치를 작동시키는 구조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스위치 조립체가 경적 같은 멀리 떨어진 전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스티어링 휠 조립체 내의 플로우팅 모듈의 뒤 쪽에 편리하게 위치하는 구조를 사용한다.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선호적으로 U자형의 구조를 하고 있고 저장된 에어백에 주변으로 혹은 그 뒤에 위치하여서 스티어링 휠 조립체의 앞쪽으로 에어백이 펴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의 크기와 구조는 별개의 멤브레인 층 사이에서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져 상응하는 회로를 완성시키는 하나 이상의 위치를 제공하도록 한다.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의 한가지 실시예는 멀리 떨어진 경적을 작동시키기 위한 차량 스티어링 휠 장치를 사용하도록 하는 구조로 되어 있는데, 여기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서로 마주보는 관계를 갖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유연성 있는 멤브레인 층을 포함하며, 전기 전도성 재료를 갖는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의 이격되고 각각 인접한 표면을 갖는다. 전도성 재료는 선호적으로 멀리떨어진 경적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데, 첫 번째 멤브레인 층 위에 있는 전도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스위치 위치에서 두 번째 멤브레인 층의 전도성 재료와 이격되고 접촉된 관계를 갖는다.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선호적으로 마주보는 멤브레인 층이 함께 눌려질 때 내부 가스 압력을 해제하는 적어도 하나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에 배열된 압력 흡수 수단을 포함한다. 작동시 두 번째 멤브레인 층 위의 충분한 내부 압력은 각각의 멤브레인 층 위의 전도성 재료가 서로 전기 접촉을 하도록 하여서 상기 내부 압력이 지속되는 동안 각각의 전도성 재료층 사이의 회로를 완성시킨다.
본 발명의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별개의 스위치 위치 영역에서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 사이에 배열된 절연 재료 층을 포함한다. 몇가지 실시예가 하나 이상의 이러한 스위치 위치를 포함하지만 선호적으로 적어도 세 개의 스위치 위치가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에 제공된다. 압력 흡수는 선호적으로 내부 압력이 가해진 멤브레인 표면 사이로부터 발생된 가스를 수용하기 위한 구조 및 크기로 된 가스 해제 영역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또한 선호적으로 U자형으로 되어 있어 플로우팅 스티어링 휠 모듈의 뒤쪽 안으로 꼭 맞는 구조를 하고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는 일반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관계로 한쌍의 이격된 유연성 있는 멤브레인 층으로 포함하는데, 각각의 멤브레인 층은 각각의 내부 표면 위에 배열된 전기 전도성 도관을 갖는다. 상기 멤브레인 층은 선호적으로 멤브레인 층 사이의 필요한 간격에 위치한 절연 재료에 의해 이격되어 작동되는데, 마주보는 전기 전도성 도관은 일시적으로 스위치 조립체의 특정한 위치에서 내부 압력을 통해 서로 전기적 접촉을 하여 작동되어서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의 전도성 도관 사이의 회로를 완성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를 포함하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를 포함하는 도 1의 스티어링 휠 조립체의 플로우팅 모듈 영역의 배면도;
도 3은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의 첫 번째 멤브레인 층의 상측면도;
도 4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 첫 번째 멤브레인 층에 겹치고 튀어오른 두 번째 멤브레인 층의 하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에의 상측면도;
도 6은 도 5의 6-6 선을 따르는 횡단면도;
도 7은 도 5의 7-7 선을 따르는 횡단면도;
* 부호설명 *
10......스티어링 장치12......스티어링 휠
14......중앙 허브20......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
30......플로우팅 모듈64......전기 전도성 도관
본 발명에 나타난 다른 이점, 특징, 목적들과 함께 전술된 목적 및 이점은 본 발명의 여러 가지 가능한 구조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자세한 실시예로 설명될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및 관점은 당해업자들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도 1에 대해서 자동차 스티어링 장치(10)가 플로우팅 모듈(30) 뒤에 투영된 전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와 함께 도시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우팅 모듈(30)은 선호적으로 스티어링 휠(12)의 중앙 허브(hub)(14) 안으로 꼭 맞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중앙 허브(14)는 선호적으로 오목하며 그 안의 플로우팅 모듈(30)을 수용하기에 알맞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스티어링 휠 조립체(10)는 멀리 떨어진 경적을 작동시키도록 제공된 플로우팅 모듈을 통합하는 여러 가지 스티어링 휠 조립체 구조를 나타낸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플로우팅 모듈(30)의 외부 표면(32) 위의 내부 압력은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를 누르는 역할을 하여 완성된 회로가 만들어지며, 각각의 원격 전기 장치를 작동시킨다.
플로우팅 모듈(30)의 후면(34)은 도 2에 도시되었다. 플로우팅 모듈(30)은 선호적으로 플로우팅 모듈(30)이 스티어링 휠(12)의 허브(14)에 장착된 여러개의 스프링 돌출부(36)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멤브레인 스위치조립체(20)는 선호적으로 플로우팅 모듈(30)의 후면(34)에 장착된다.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는 선호적으로 조임 구멍(22)에 죔쇠를 삽입하여 플로우팅 모듈(30)에 고정시킨다. 양성 접촉 바(28) 혹은 다른 전선 같은 접촉 수단이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부터 각각의 원격 전기 장치까지 전기적인 결합을 하도록 포함될 수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는 선호적으로 U자형이어서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는 플로우팅 모듈(30)의 둘레를 따라 장착될 수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의 U자형 구조로 인해 얻어지는 분명한 이점은 팽창식 에어백(도시 안됨)의 팽창 경로를 향한다는 것이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팽창식 에어백은 플로우팅 모듈(30)의 외부 표면(32) 및 스티어링 휠(12)의 허브(14) 사이에 위치한다. 특정한 차량 충돌에서 에어백은 자동으로 플로우팅 모듈(30)의 외부 표면(32)을 통해 팽창된다. 이러한 바람직한 팽창 경로로 인해 본 발명의 선호되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의 실시예는 삽입된 에어백과 플로우팅 모듈(30)의 외부 표면(32) 사이의 방해를 줄인다. 그러므로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30)의 구조는 스위치 조립체가 에어백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에어백이 팽창할 때, 에어백 팽창 경로 밖에 위치함으로 인해 멤브레인 경적 스위치 조립체의 손상이 없어진다.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는 선호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관계인 첫 번째 및 두 번째 유연성 있는 멤브레인 층으로 구성된다. 도 3 및 도 4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로 구성된 첫 번째 및 두 번째 층을 도시한다.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의 상측면도는 도 3에 도시되었다.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은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의 상단면(63)에 배열된 첫 번째 전도성 도관(64)을 포함한다. 전기 전도성 도관(64)은 선호적으로 구리, 은, 알루미늄 혹은 다른 늘일 수 있는 전도성 재료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의 얇은 층이다. 전기 전도성 도관(64)은 여러 가지 구조로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의 상단면(63)에 배열될 수 있지만, 선호적으로 별개의 스위치 위치(70) 사이에서 연장된 연속적인 도관이다. 전도성 도관(64)은 선호적으로 멀리 떨어진 경적 같은 전기 장치에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전기 커플링 터미널(72)에 연장된다.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 위에 배열된 별개의 스위치 위치(70)는 선호적으로 전기 전도성 재료 영역으로 구성되며 꽉차거나 그렇지 않는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는 바람직한 전도성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는 여러개의 별개의 스위치 위치(70)를 포함하는데, 선호적으로 적어도 세 개의 스위치 위치(70)를 포함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스위치 위치(70)는 멀리 떨어진 경적이 작동될 여러개의 위치를 제공하기 위해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한 실시예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의 마주보는 말단 단부에서 두 개의 스위치 위치(70)를 포함하고 스위치 조립체(20)의 중간 부분에 가깝거나 중간 부분에 위치한 스위치 위치(70)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여러개의 많은 스위치 위치가 멀리 떨어진 경적이 작동하는 좀더 많은 위치를 만들도록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위치 조립체(20)는 단일 스위치 위치(7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임 구멍(22)은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에 제공된다.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가 도 4의 하부도에 도시되었다.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은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의 전도성 재료 패턴을 제외하고 첫 번째 층의 반사 이미지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은 바람직한 패턴이 배열된 전도성 재료(84)를 포함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은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에 직접 놓이고 튀어 오를 때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에 대해 완전히 겹친다. 스위치 위치(90)는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 위의 스위치 위치(70)에 상응하는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 위의 전도성 재료 패턴으로 구성된다. 가장 선호적으로 각각의 스위치 위치(90)의 전도성 패턴은 각 스위치 위치(70)의 전도성 재료 패턴에 상응하는데, 전기 전도성은 물리적 혹은 전기적 접촉으로 눌려질 때 개벽의 스위치 위치(70),(90) 사이에서 발생한다. 예를 들어, 스위치 위치(70)에 형성된 전도성 재료 패턴은 스위치 위치(90) 위의 상응하는 전도성 재료 패턴과 조화된다. 몇가지 실시예에서 스위치 위치(70),(90)는 꽉 찬 전도성 재료 패턴으로 구성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은 서로 마주대한 관계로 된 개별의 전도성 재료와 함께 단일 몸체를 형성하도록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에 놓여진다. 전도성 재료 도관(84)은 선호적으로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의 하단 표면(83)에 배열된다. 그러므로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는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의 상단 표면(63)과 서로 마주대한 관계에 있는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의 표면(83)을 배치하여 만들어진다. 선호적으로 전도성 재료(84)는 전도성 재료 도관(64)과비슷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는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는데,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에 겹친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을 도시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은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 이나 인접한 각각의 둘레에 가열 밀봉된다. 그러나 압력식 접착 같은 다른 밀봉 기술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도관(64)은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의 전도성 도관(84)과 겹치지도 않고 정렬되어 있지도 않다.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는 선호적으로 잔여 공간이 첫 번째 멤브레인 층(62)의 개별 내부 영역과 스위치 위치(70),(90)에서의 두 번째 멤브레인 층(82) 사이에 형성되도록 만들어진다. 그러므로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62,82)는 선호적으로 밀봉 작업이 이루어지는 각각의 둘레 영역에만 영구적으로 접촉한다.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62,82) 사이의 잔여 공간은 사용자가 가한 외부 압력에 대해 스위치 위치(70,90)의 각각의 전도성 재료 사이에서 일시적이고 간헐적인 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전도성 도관(64,84)은 선호적으로 별개의 스위치 위치가 아닌 위치에서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62,82)을 압축하는 압력은 전기 회로를 완성하지 않으므로 각각의 원격 전기 장치를 작동하지 않도록 일직선 배열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각각의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62,83) 위의 전도성 재료 사이에서 전기 접촉이 이루어지는 개별의 위치를 포함한다.
전도성 도관(64,84)을 갖는 각각의 별개의 스위치 위치를 상호 연결하여 이같은 스위치 위치중 하나만이 두 개의 별개의 층 사이의 전기 접촉을 이루도록 압력될 필요가 있으며, 그로인해 전기회로를 완성시키고 원격의 전기 장치를 작동시킨다.
6-6 선을 따르는 횡단면에 도 6에 도시되었다.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도성 도관(64,84)은 서로 이격되어 있고 멤브레인 층(62,82)의 압축이 전도성 도관(64,84) 사이의 전기 접촉을 이루지 않도록 서로 오프셋 되어 있다. 압력 흡수 장치(도시 안됨)는 가스 해제 영역을 제공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각각의 표면(63,83)에 배열될 수 있는데, 상기 가스 해제 영역은 멤브레인 층(62,82) 사이에 존재하고 내부 압력이 각각의 멤브레인 층(62,82)에 작용할 때 가압되는 갇혀있는 가스를 수용하기에 알맞은 크기와 구조를 갖는다. 몇가지 실시예에서, 이러한 가스 해제 영역은 두 가지 가스 흐름을 제공하도록 밀봉될 수 있는데, 여기서 가스는 가해진 내부 압력에 대해 해제 영역으로 수용된 다음, 내부 압력에 해제되어 멤브레인 층(62,82) 사이의 배열 안으로 다시 들어가게 된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이러한 압력 흡수 장치는 각각의 표면(63,83)에 배열된 열린 채널로 구성된다.
도 7은 도 5의 선 7-7을 따르는 횡단면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위치(70,90)는 선호적으로 서로 마주대한 관계로 이격되어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절연 재료(102)의 층은 멤브레인 층(62,82) 사이와 각각의 스위치 위치(70,90) 영역 사이에 삽입된다. 이렇게 함으로써 절연 층(102)은 멤브레인 층(82)에 대한 내부 압력이 없어도 각각의 스위치 위치(70,90) 사이가 어느정도 분리되도록 유지한다. 이러한 내부 압력이 발생할 때, 멤브레인 층(82)은 안쪽으로 비끼게 되고 절연 층(102)에 없는 각각의 스위치 영역(70,90) 사이에 전기적 접촉을 만들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멤브레인 층(62,82)이 부주의한 압축으로 멀리 떨어진 경적의 원치 않는 작동이나 실수로 인한 작동을 줄이거나 없애는데 바람직하다.
절연 층(102)은 선호적으로 절연 잉크 혹은 다른 적합한 절연 재료로 만들어진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절연층(102)은 약 0.003in의 두께를 갖는데, 이는 스위치 위치(70,90) 사이가 어느정도 바람직하게 분리되는 두께이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에 나타난 전술된 이점에 추가하여 여러 가지 구별되는 이점이 본 발명을 사용함으로써 인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조업자가 경적 스위치 조립체를 각각이 플로우팅 모듈의 둘레나 그 근처에 놓이도록 하여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좀더 알맞은 방법으로 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차동차 충돌시 에어백이 팽창을 방해하는 정도를 줄이는데 관련된다. 또한,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가 플로우팅 모듈(30)에서 만들어진 오목한 부분에 편리하게 꼭 맞도록 되어 있음에 따라 스티어링 휠(12)의 허브 영역(14)에도 플로우팅 모듈(30)에도 어떠한 특별하거나 별개의 삽입이 필요하지 않다. 특별한 삽입이 설치시에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본 발명의 단일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10) 안으로 쉽게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나타난 추가적인 이점에 따라 가스 흡수 장치는 눌렸을 때 스위치 위치(70,90) 사이의 내부 가스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한 해제 영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초기 몰드 구성에서 모든 전기 회로를 전기적으로 절연시키고 보호하여, 어떠한 별개의 절연요소도 필요하지 않다. 본 발명에 나타는 추가적인 이점은 스위치 위치에서처럼 전기 표면에 대한 증가된 수명 범위이다.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20)가 밀봉되기 때문에, 전기 표면은 시간에 따라 산화되거나 저하되지 않을 것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스위치 조립체(20)의 전기 전도성 재료는 밀봉되지 않은 스위치 조립체보다 더 긴 시간의 주기로 적합하게 계속 작동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스위치 조립체는 전기 표면의 산화를 제거하기 위해 습윤전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자동차 스티어링 휠 같은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전기 장치 같은 것을 원격으로 작동시키고 다루기 위해 여러 가지 전기적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전기 전도성 도관은 크루즈 콘트롤(cruise control), 라디오, 경적 및 다른 전기 제어장치 같은 여러개의 전기 장치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로 구성된다. 선호적으로 이러한 전기 장치는 각각 본 발명의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에 별개의 스위치 위치를 포함한다. 몇가지 경우에 있어서,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로 구성된 상기 제어는 과잉제어인데, 전기 제어는 각각의 전기 장치에 대해 국부적으로 그리고 원격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발명의 실시예를 이용하고 제조하며, 새로운 원리를 적용할 필요가 있는 정보를 당해업자들에게 제공하고, 특허법에 맞도록 하기 위해 자세히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여러 가지 장치가 수행될 수 있다.

Claims (16)

  1. 원격의 전기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자동차 스티어링 휠 장치에 사용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관계인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 전기 전도성 재료를 갖는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층의 각각의 인접하고 이격된 표면으로 구성되는데, 상기 전도성 재료는 상기 원격의 경적과 전기적으로 결합되며, 상기 첫 번째 층 위의 전도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스위치 위치에서 상기 두 번째 층 전도성 재료와 함께 마주보며 이격되었고,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 위의 충분한 내부 압력은 사익 첫 번째 층 전도성 재료 및 두 번째 층 재료가 서로 전기적 접촉을 하게해서, 이러한 내부 압력이 지속되는 동안 각각의 전도성 재료 층 사이의 회로를 완성시키고,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플로우팅 스티어링 휠 모듈의 후방 둘레 영역에 작동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크기와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위치에서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 사이에 배열된 절연 재료의 한개 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세 개의 스위치 위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의 각각의 내부 표면에 배열된 압력 흡수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압력 흡수 수단은 상기 멤브레인 층에 가해진 내부 압력에 대해 상기 멤브레인 표면 사이로부터 방출된 가스를 수용하도록 하는 구조 및 크기를 갖는 가스 해제 영역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 해제 영역은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은 U자형으로 상기 플로우팅 스티어링 휠 모듈의 상응하는 크기로 된 오목한 영역 안으로 꼭 맞고 작동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은 서로 가열 밀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첫 번째 및 두 번째 유연성 있는 멤브레인 층은 단일 구조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는 하나 이상의 구리, 은 혹은 알루미늄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재료는 스위치 위치 사이에서 이격되고 오프셋된 방향을 갖는 두 개의 평행한 도관을 형성하며 상기 스위치 위치에서 서로 마주보는 관계 및 평행한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위치중 하나에서 전기 접촉은 상기 멀리 떨어진 전기 장치를 작동하기 위해 상기 회로를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스위치 위치에서의 전기 접촉은 상기 여러개의 전기 장치 중 각각의 하나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13.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서로 마주보는 관계를 갖는 한쌍의 이격된 유연성 있는 멤브레인 층으로 구성되는데, 각각의 상기 멤브레인 층은 각각의 내부 표면에 배열된 전기 전도성 도관을 포함하며, 상기 멤브레인 층은 상기 층 사이의 바람직한 틈에 위치한 절연 재료로 작동가능하게 이격되어서 사기 전기 전도성 도관이 상기 스위치 조립에의 특정한 위치에서 내부 힘을 적용하여 서로 전기적 접촉을 하는 곳에 일시적으로 작동 가능하게 놓여서 첫 번째 및 두 번째 멤브레인 층의 전도성 도관 사이의 회로를 완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작동 가능한 전기 접촉은 적어도 세 개의 별개의 위치에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멤브레인 층 사이에서 발생된 가스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가스 해제 영역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멤브레인 층에 배열된 압력 흡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도관은 여러개의 전기 장치에 작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멤브레인 스위치 조립체.
KR1020020002172A 2001-06-22 2002-01-15 플로우터 모듈에 대한 멤브레인 스위치 KR200300382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887,633 2001-06-22
US09/887,633 US20020195325A1 (en) 2001-06-22 2001-06-22 Membrane switch for floater modu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8287A true KR20030038287A (ko) 2003-05-16

Family

ID=25391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2172A KR20030038287A (ko) 2001-06-22 2002-01-15 플로우터 모듈에 대한 멤브레인 스위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20195325A1 (ko)
EP (1) EP1270332A2 (ko)
KR (1) KR2003003828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7328B2 (en) * 2003-06-10 2005-06-14 Motorola, Inc. Switch apparatus for a driver information interface
EP2655132B1 (de) * 2010-12-20 2018-07-18 Autoliv Development AB Lenkrad mit einer durch biegen eines einstückigen kontaktblechstreifens hergestellten hupenleiterbah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20195325A1 (en) 2002-12-26
EP1270332A2 (en) 2003-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69232A (en) Driver side airbag module cover and horn switch
US3819205A (en) Modular occupant restraint system
US5265904A (en) Airbag cover with integral horn switch
USRE39314E1 (en) Housing assembly for an air bag and vehicle horn switch
US5588673A (en) Membrane switch for use over a steering wheel airbag assembly
US5338906A (en) Module cover of air bag system
JPH07254471A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接続器及びこれを備えた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US5639114A (en) Steering wheel with air bag cover and horn switch
US5684283A (en) Rupturable strain relieving horn switch bridging member
US5947512A (en) Tethered horn switch for air bag module
US5836609A (en) Horn switch for air bag module
KR100557773B1 (ko) 에어백 모듈의 멤브레인 혼 스위치 구조
KR20030038287A (ko) 플로우터 모듈에 대한 멤브레인 스위치
US6050597A (en) Horn switch for air bag module
US5934702A (en) Horn switch for air bag module
US5964477A (en) Air bag cover with horn switch
EP1492686B1 (en) Horn mechanism featuring immunity to cushion fold
US6435546B1 (en) Cover assembly for an air bag
US6211476B1 (en) Air bag cover with horn switch
US5957488A (en) Air bag cover with horn switch
JP2610383B2 (ja) ステアリングホイール
US6010148A (en) Air bag cover with membrane type horn switch
US6039343A (en) Air bag cover with horn switch
WO1998002337A1 (en) Arrangement for a vehicle steering wheel
KR100559583B1 (ko) 공기압을 이용한 자동차용 혼 작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