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387B1 - 변형 로봇 완구 - Google Patents
변형 로봇 완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8387B1 KR101278387B1 KR1020110057270A KR20110057270A KR101278387B1 KR 101278387 B1 KR101278387 B1 KR 101278387B1 KR 1020110057270 A KR1020110057270 A KR 1020110057270A KR 20110057270 A KR20110057270 A KR 20110057270A KR 101278387 B1 KR101278387 B1 KR 1012783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ngue
- robot
- fighter
- fuselage
- thig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변형 후의 전투기에 있어서, 로봇의 변형으로서 예측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고, 독자적인 전투기로서 구성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변형 로봇 완구이다.
로봇을 전투기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형 로봇 완구이다.
동체부의 흉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설편부를, 중심측을 향하는 선단을 상기 중심측과 반대측을 향할 수 있도록 동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전투기로의 변형 조작은 이하와 같다. 머리부를 동체부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동체부의 배면측으로 이동시키고, 좌우 팔부를 각각 선단이 상기 동체부의 상방에서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회전시킨다. 좌우 다리부를 각각 대퇴부와 하퇴부 사이의 관절부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선단이 상기 동체부의 허리부의 양 옆에 위치되게 한다. 복수의 설편부를 회전시켜, 이들 설편부에 의해 동체부와 좌우 팔부, 좌우 팔부와 좌우 다리부, 동체부와 대퇴부와 하퇴부 사이의 공극부를 폐색한다.
로봇을 전투기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형 로봇 완구이다.
동체부의 흉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된 복수의 설편부를, 중심측을 향하는 선단을 상기 중심측과 반대측을 향할 수 있도록 동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전투기로의 변형 조작은 이하와 같다. 머리부를 동체부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동체부의 배면측으로 이동시키고, 좌우 팔부를 각각 선단이 상기 동체부의 상방에서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회전시킨다. 좌우 다리부를 각각 대퇴부와 하퇴부 사이의 관절부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선단이 상기 동체부의 허리부의 양 옆에 위치되게 한다. 복수의 설편부를 회전시켜, 이들 설편부에 의해 동체부와 좌우 팔부, 좌우 팔부와 좌우 다리부, 동체부와 대퇴부와 하퇴부 사이의 공극부를 폐색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형 로봇 완구에 관한 것이다.
형태가 변화되는 각종 변형 로봇 완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인체의 형태를 이루는 로봇을 전투기의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도 그 중 하나로 되어 있다.
인체의 형태를 이루는 로봇은, 다른 로봇과 전투시킴으로써 유희상의 흥미를 돋울 수 있고, 또한 지상에서의 전투로부터 공중전으로 변화시킴으로써 한층 더 유희상의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변형 로봇 완구를 전투기의 형태로 변화시킨 경우, 육안으로 확인되는 전투기의 형태에 있어서, 변형 전의 로봇을 예상하게 하는 흔적이 많이 남아 있었던 것을 부정할 수 없었다.
그러므로, 변형 후의 전투기에 있어서, 로봇의 변형으로서 예측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고, 독자적인 전투기로서 구성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하는 형태를 취하는 것이 요망된다.
본 발명은, 변형 후의 전투기에 있어서, 로봇의 변형으로서 예측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고, 독자적인 전투기로서 구성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는 변형 로봇 완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는, 동체부, 머리부, 관절부를 갖는 좌우 팔부, 관절부를 갖는 좌우 다리부를 구비한 로봇을 전투기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형 로봇 완구이며, 동체부의 흉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중심측을 향하는 선단을 상기 중심측과 반대측을 향할 수 있도록 동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설편부가 구비되고, 전투기는, 머리부를, 동체부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동체부의 배면측으로 이동시키고, 좌우 팔부를 각각, 선단이 상기 동체부의 상방에서 근접하여 위치되도록 회전시키고, 좌우 다리부를 각각, 대퇴부와 하퇴부 사이의 관절부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선단이 동체부의 허리부의 양 옆에 위치되게 하고, 복수의 설편부를 회전시켜, 이들 설편부에 의해, 동체부와 좌우 팔부 사이의 공극부, 좌우 팔부와 좌우 다리부 사이의 공극부, 동체부와 대퇴부와 하퇴부 사이의 공극부를 폐색함으로써 변형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에 있어서, 동체부의 배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머리부는 오목부에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에 있어서, 동체부의 배면측에는, 오목부를 폐색하는 덮개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에 있어서, 하퇴부는 대퇴부에 대해 다리부의 길이 방향의 주위로 회전할 수 있고, 하퇴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분사 장치가 전후 방향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에 따르면, 변형 후의 전투기에 있어서, 로봇의 변형으로서 예측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고, 독자적인 전투기로서 구성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하는 형태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 형태(로봇)를 취하는 로봇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 형태를 취하는 로봇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2 형태(전투기)를 취하는 로봇의 하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2 형태를 취하는 로봇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의 제1 형태에 있어서, 등에 형성된 오목부에 머리부를 수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가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변화되는 제1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가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변화되는 제2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가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에 변화되는 제3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2는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1 형태를 취하는 로봇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2 형태(전투기)를 취하는 로봇의 하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제2 형태를 취하는 로봇의 상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의 제1 형태에 있어서, 등에 형성된 오목부에 머리부를 수납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가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변화되는 제1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가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로 변화되는 제2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가 제1 형태로부터 제2 형태에 변화되는 제3 과정을 도시한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번호를 부여한 부분은 동일한 부재를 나타내고 있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의 제1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정면도, 배면도이다. 도 1, 도 2에 있어서, 변형 로봇 완구(100)는, 인체를 본뜬 로봇[이하, 단순히 로봇(100A)이라 함]의 형태로서 나타내어져 있다. 상기 로봇(100A)은, 예를 들어 성형 수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로봇(100A)은, 동체부(10)를 갖고, 이 동체부(10)의 상부의 견부(11R, 11L) 사이에는 머리부(20)가 장착되어 있다. 동체부(10)의 우측의 견부(11R)에는 우측 팔부(30R)가 장착되고, 동체부(10)의 좌측의 견부(11L)에는 좌측 팔부(30L)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동체부(10)의 하부에 상당하는 허리부(40)에는 우측 다리부(50R) 및 좌측 다리부(50L)가 장착되어 있다.
우측 팔부(30R), 좌측 팔부(30L)는 각각 좌우 대칭인 형상 및 기구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예를 들어 우측 팔부(30R)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우측 팔부(30R)는, 견부(11R)와 도시하지 않은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되고, 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요동(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우측 팔부(30R)는, 견부(11R)측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상박부(32R), 하박부(33R)로 구성되고, 하박부(33R)는 상박부(32R)와 지지축(34R)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지지축(34R)은 로봇(100A)의 전후 방향으로 중심축을 갖고, 이에 의해 하박부(33R)는 지지축(34R)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B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중, 좌측 팔부(30L)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는, 우측 팔부(30R)의 대응하는 부재와 동일 숫자에 첨자 L로 이루어지는 부호[예를 들어, 우측 팔부(30R)의 상박부가 32R인 것에 대해, 좌측 팔부(30L)의 상박부는 32L]를 붙여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팔부(30L)는 우측 팔부(30R)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우측 다리부(50R), 좌측 다리부(50L)는 각각 좌우 대칭인 형상 및 기구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우측 다리부(50R)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우측 다리부(50R)는 허리부(40)와 도시하지 않은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되고, 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우측 다리부(50R)의 이러한 움직임은, 좌측 다리부(50L)의 동일한 움직임과 함께, 로봇(100A)을 인체와 동일하게 전진 및 후퇴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우측 다리부(50R)는, 허리부(40)측으로부터 선단에 걸쳐, 대퇴부(51R), 하퇴부(52R), 발부(53R)로 구성되고, 하퇴부(52R)는 대퇴부(51R)와 도시하지 않은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되어, 인체와 마찬가지로, 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전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발부(53R)는, 하퇴부(52R)와 도시하지 않은 지지축에 의해 축지지되어, 인체와 마찬가지로, 이 지지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1 중, 좌측 다리부(50L)를 구성하는 각 부재에는, 우측 다리부(50R)의 대응하는 부재와 동일 숫자에 첨자 L로 이루어지는 번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좌측 다리부(50L)는 우측 다리부(50R)와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부(10)의 흉부에는, 그 대부분의 영역에 있어서, 예를 들어 5개의 설편부(60a, 60b, 60c, 60d, 60e)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다. 이들 각 설편부(60a, 60b, 60c, 60d, 60e)는, 중심측을 향하는 선단과는 반대측의 단부(기부)에 있어서, 각각 지지축(61a, 61b, 61c, 61d, 61e)에 의해 동체부(10)에 장착되어 있다. 이들 각 지지축(61a, 61b, 61c, 61d, 61e)은 각각 각 설편부(60a, 60b, 60c, 60d, 60e)의 단부의 변을 따라 중심축을 갖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각 설편부(60a, 60b, 60c, 60d, 60e)는 각각, 지지축(61a, 61b, 61c, 61d, 61e)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고, 선단을 상기 중심측과 반대측의 방향을 향할 수 있도록 배치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 설편부(60a, 60b, 60c, 60d, 60e)의 동작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부(10)의 배면측은, 허리부(40)에 근접하는 개소에 있어서 지지축(71)에 의해 동체부(10)에 축지지된 덮개부(70)를 구비하고 있다. 이 덮개부(70)는, 머리부(20)측으로 연장되는 직사각 형상을 이루어 구성되어 있다. 도 2에서는 명백하지 않지만, 덮개부(70)는 상기 지지축(7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덮개부(70)에 의해 덮여 있던 동체부(10)의 이면을 노출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동체부(10)의 덮개부(70)에 의해 덮여 있는 면에는, 오목부(도 5에 있어서 부호 72로 나타냄)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오목부 내에 머리부(20)를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형태의 로봇(100A)은, 인체의 움직임과 거의 동일하게 움직일 수 있어, 완만 혹은 급격한 주행을 하게 하거나, 혹은 다른 도시하지 않은 로봇 등과 전투시키거나 하여, 유희상의 흥미를 돋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로봇(100A)은 책상 위에 적재하여 장식할 수도 있는 것은 물론이다. 로봇(100A)의 하퇴부(52R, 52L)는 대퇴부(51R, 51L)와 비교하여 크게 형성되고, 이에 의해 로봇(100A)의 무게 중심이 적재면에 가까워져, 무게 중심의 안정화가 도모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발부(53R, 53L)의 형성에 의해 적재면과의 접촉면을 크게 할 수 있어, 로봇(100A)이 쓰러지기 어려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3, 도 4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로봇(100A)의 각 구성 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로봇(100A)을 변형시켜 얻어지는 전투기(100B)의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전투기(100B)의 하면도로, 로봇(100A)의 형태일 때의 정면도에 대응하고 있다. 도 4는 전투기(100B)의 상면도로, 로봇(100A)의 형태일 때의 배면도에 대응하고 있다. 도 3, 도 4에 도시하는 전투기(100B)는, 비행 방향(도면 중 상방향)으로 첨예부를 갖는 대략 삼각 형상의 선체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육안으로 확인되는 형태로부터는 도 1, 도 2에 도시한 로봇(100A)을 예상하게 하는 흔적이 가려져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즉, 도 3, 도 4에 도시하는 전투기(100B)는, 로봇(100A)의 변형으로서 예측하게 하는 것이 곤란하고, 로봇(100A)과는 별개의 독자적인 전투기(100B)로서 구성한 것이라고 생각하게 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100)의 가일층의 상세한 구성과 함께, 전투기(100B)로의 변형의 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로봇(100A)의 머리부(20)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로봇(100A)을 배면 상방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덮개부(70)가 지지축(71)을 중심으로 회전됨으로써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고, 이에 의해 노출된 오목부(72)에 머리부(20)가 수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봇(100A)의 등부의 머리부(20)에 근접하는 개소에는 오목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머리부(20)는 동체부(10)와의 장착부에 있어서 등부측에 배치되는 지지축(21)에 의해 축지지되어 있다. 머리부(20)는 상기 지지축(2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할 수 있고, 이 회전을 계속함으로써 머리부(20)는 상기 오목부(72) 내에 수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에는, 도 5에 도시하는 상태의 머리부를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동체부(10)의 배면측으로 경도(傾倒)시킨 것을 나타내고 있다. 상기 오목부(72) 내에서는 머리부(20)는 상하 반대의 상태로 얼굴이 후방을 향하여 수납되게 된다. 그리고, 머리부(20)가 수납된 오목부(72)는 로봇(100A)의 등부에 지지축(7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한 덮개부(70)에 의해 폐색되도록 되어 있다(도 2 참조). 이에 의해, 로봇(100A)의 특징부로 되는 머리부(20)를 변형 로봇 완구(100)의 외관에 의해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게 된다.
다음에, 로봇(100A)의 좌우 팔부[우측 팔부(30R), 좌측 팔부(30L)]에 대해 설명한다. 우측 팔부(30R), 좌측 팔부(30L)는 각각, 좌우 대칭인 형상 및 기구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우측 팔부(30R)에 대해 설명하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박부(33R)는 상박부(32R)와 지지축(34R)에 의해 축지지되고, 이 지지축(34R)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34R)은 로봇(100A)의 전후 방향으로 중심축을 갖고, 하박부(33R)는, 이른바 손이 거의 수평하게 되는 방향(도면 중 화살표 B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하박부(33R)는, 비교적 가늘고 또한 얇게 형성된 연결부(35R)를 개재시켜 상박부(32R)에 연결[상기 지지축(34R) 등에 의해]되어, 하박부(33R)가 상박부(32R)의 주위로 회전하는 과정에 있어서, 상기 상박부(32R)와의 간섭을 회피시키도록 되어 있다.
하박부(33R)의 상박부(32R)에 대한 회전에 의해, 하박부(33R)와 상박부(32R)가 이른바 손이 거의 수평하게 되는 형태로 된(도 6 참조) 후에, 하박부(33R)를 그대로 회전 방향으로 더 이동시켜 가면(도 6 중, 화살표 B'로 나타냄), 이번에는 하박부(33R) 및 상박부(32R)가, 직선 형상으로 된 상태에서, 견부(11R)에 대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견부(11R)에는, 도 6,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봇(100A)의 전후 방향으로 중심축을 갖는 지지축(12R)이 장착되고, 하박부(33R) 및 상박부(32R)는 지지축(12R)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박부(33R), 상박부(32R)의 직선 형상의 형태를 취하는 회전은, 하박부(33R)의 선단(이른바 손 부분)이 로봇(100A)의 견부(11R, 11L) 사이의 상방의 위치[지금까지 머리부(20)가 있었던 위치]로 올 때까지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도 7 참조). 좌측 팔부(30L)에 있어서도, 상술한 동일한 동작을 행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부(10)의 상방에 있어서, 우측 팔부(30R)의 선단과 좌측 팔부(30L)의 선단이 접촉되어, 전투기(100B)의 전방에 있어서의 첨예부의 형태를 취하게 된다. 또한, 도 6, 도 7 중, 좌측 팔부(30L)를 구성하는 상술한 각 부재에는, 우측 팔부(30R)의 대응하는 부재와 동일 숫자에 첨자 R 대신에 첨자 L로 이루어지는 번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부(10)와 우측 팔부(30R)와 좌측 팔부(30L)는, 그들 사이에 대략 삼각 형상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공극부(SP1)를 형성하게 된다. 즉, 동체부(10) 중 견부(11R, 11L)측의 외측면, 우측 팔부(30R)의 상박부(32R) 및 하박부(33R)의 상방측면[로봇(100A)의 형태일 때의 상방측면], 좌측 팔부(30L)의 상박부(32L) 및 하박부(33L)의 상방측면(로봇의 형태일 때의 상방측면)을 각 변으로 하는 공극부(SP1)가 생기게 된다. 이 공극부(SP1)는, 동체부(10) 상에 적재되는 머리부(20)가 있었던 부분이지만,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머리부(20)는 등부에 형성된 오목부(72) 내에 수납되어 있으므로 상기 공극부(SP1)는 비교적 큰 면적으로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이 공극부(SP1)는, 이후의 설명에서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로봇(100A)의 동체부(10)의 흉부에 형성된 복수의 설편부(60a, 60b, 60c, 60d, 60e) 중 1개의 설편부(60a)에 의해 폐색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좌우 다리부[우측 다리부(50R), 좌측 다리부(50L)]에 대해 설명한다. 우측 다리부(50R), 좌측 다리부(50L)는 각각, 좌우 대칭인 형상 및 기구로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우측 다리부(50R)에 대해 설명하면, 우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퇴부(52R)는 대퇴부(51A)에 대해 지지축(54R)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선단의 발부(53R)를 로봇(100A)의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하퇴부(52R)가 이러한 회전을 함으로써, 상기 하퇴부(52R)는 도 6에 도시하는 형태를 취하게 된다. 도 6에 있어서, 하퇴부(52R)의 양측면[로봇(100A)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상태]에는 각각 가스 분사 장치(75R)가 장착되어 있고, 이들 가스 분사 장치(75R)의 분사구가 육안으로 확인되게 된다. 또한, 가스 분사 장치(75R)는, 하퇴부(52R)의 양측면에 장착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그 중 한쪽 측면에만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가스 분사 장치(75R)는, 예를 들어 로봇(100A)이 전투기(100B)의 형태로 변화되었을 때에 상기 전투기(100B)의 추진을 위한 장치로 되는 것이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하퇴부(52R)는, 대퇴부(51A)에 대해 지지축(55R)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55R)은 우측 다리부(50R)의 길이 방향을 따른 중심축을 갖고, 하퇴부(52R)는 도 6의 화살표 C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퇴부(52R)의 내측면[로봇(100A)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경우의 내측면]에 장착된 가스 분사 장치(75R)의 전체 상(像)을 전방으로부터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 후,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퇴부(52R)는 대퇴부(51R)에 대해 지지축(76R)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축(76R)은 로봇(100A)의 전후 방향을 따라 중심축을 갖고, 하퇴부(52R)는 지지축(76)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D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고, 그 선단(발부)이 로봇(100A)의 우측 허리부에 근접할 수 있도록 배치되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우측 다리부(50R)는, 로봇(100A)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경우의 전방면을 외측을 향하게 하여, 대퇴부(51R)와 하퇴부(52R)의 관절을 굴곡시킨 상태로 된다(도 8 참조).
좌측 다리부(50L)에 있어서도, 우측 다리부(50R)와 동일한 조작이 행해져, 로봇(100A)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형태로 변화된다. 또한, 도면 중, 좌측 다리부(50L)를 구성하는 상술한 각 부재 등에는, 우측 다리부(50R)의 대응하는 부재와 동일 숫자에 첨자 R 대신에 첨자 L로 이루어지는 번호를 부여하여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부(10)와 우측 다리부(50R) 사이, 동체부(10)와 좌측 다리부(50L) 사이에는, 각각 대략 직사각 형상의 구멍으로 이루어지는 공극부(SP3, SP4)가 생기게 된다. 즉, 예를 들어 동체부(10)와 우측 다리부(50R) 사이의 공극부(SP3)에 대해 설명하면, 대퇴부(51R)의 외측면, 하퇴부(53R)의 후방측면(로봇의 형태일 때의 후방측면), 동체부(10)의 외측면, 허리부(40)의 외측면을 각 변으로 하는 공극부(SP3)가 형성되게 된다. 이 공극부(SP3)는, 전투기(100B)의 형태를 평면적으로 보아 삼각형에 가까운 상태로 구성하는 경우, 비교적 큰 면적을 갖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이 공극부(SP3)는, 이후의 설명에서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로봇(100A)의 동체부(10)의 흉부에 형성된 복수의 설편부(60a, 60b, 60c, 60d, 60e) 중 하나인 설편부(60c)에 의해 폐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동체부(10)의 주변이며, 견부(11R)와 허리부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하퇴부(52R)의 사이에, 절결 형상의 공극부(SP2)가 형성되어 버리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즉, 이 공극부(SP2)는, 견부(11R), 동체부(10), 하퇴부(52R)의 선단을 각 변으로 하여 형성되게 된다. 이 공극부(SP2)는, 이후의 설명에서 명확해지는 바와 같이, 로봇(100A)의 동체부(10)의 흉부에 형성된 복수의 설편부(60a, 60b, 60c, 60d, 60e) 중 하나인 설편부(60b)에 의해 폐색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공극부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술한 공극부(SP2, SP3) 외에, 동체부(10)와 좌측 다리부(52L) 사이에 공극부(SP4)가 형성되고, 또한 동체부(10)와 견부(11L)와 하퇴부(52L) 사이에 공극부(SP5)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동체부(10)에 대해 설명한다. 동체부(10)는 그 전방면(로봇의 형태일 때의 전방부)의 대부분의 영역을 덮도록 하여, 예를 들어 5개의 설편부(60a, 60b, 60c, 60d, 60e)가 배치되어 있는 것은 상술한 바와 같다. 이들 설편부(60a, 60b, 60c, 60d, 60e)는, 로봇의 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흉갑부로서 형성되어, 표면에는 각종 모양 등이 실시되고, 5개의 설편부(60a, 60b, 60c, 60d, 60e)의 각 모양 등의 조합에 의해 예를 들어 위협적인 이미지를 갖게 하는 고안이 이루어져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5개의 설편부(60a, 60b, 60c, 60d, 60e)의 표면에는 각각, 설편부(60a)는 이마, 설편부(60b, 60c)는 눈, 설편부(60d, 60e)는 볼이나 입을 표현하는 모양이 그려져 있어, 로봇 형태의 흉갑부에 5개의 설편부가 방사상으로 배치됨으로써 얼굴이 표현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설편부(60a, 60b, 60c, 60d, 60e) 각각은, 그 기부에 형성된 지지축(61a, 61b, 61c, 61d, 61e)을 중심으로 하여, 거의 180°의 범위에서 회전(도 8의 화살표 E방향)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술한 회전에 의해, 설편부(61a)는 공극부(SP1)를, 설편부(61b)는 공극부(SP2)를, 설편부(61c)는 공극부(SP3)를, 설편부(61d)는 공극부(SP4)를, 설편부(61e)는 공극부(SP5)를 각각 폐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전투기(100B)의 하면을 도시하는 도 3에는, 설편부(60a, 60b, 60c, 60d, 60e) 각각이, 대응하는 공극부(SP1, SP2, SP3, SP4, SP5) 내에 위치되어 배치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전투기(100B)의 상면을 도시하는 도 4에 있어서도, 설편부(60a, 60b, 60c, 60d, 60e) 각각이, 대응하는 공극부(SP1, SP2, SP3, SP4, SP5) 내에 위치되어 배치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로봇(100A)은, 그 머리부(20), 좌우 팔부(30R, 30L), 좌우 다리부(50R, 50L)의 상술한 회전에 의해, 비행 방향으로 첨예부를 갖는 삼각 형상의 전투기(100B)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머리부(20), 좌우 팔부(30R, 30L), 좌우 다리부(50R, 50L) 각각을 로봇(100A)의 형태에 위화감 없이 구성한 경우, 상술한 공극부(SP1, SP2, SP3, SP4, SP5)가 형성되어 버리는 것을 피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로봇(100A)의 동체부(10)의 흉부의 개소에, 예를 들어 흉갑으로서 구성한 적어도 5개의 설편부(60a, 60b, 60c, 60d, 60e)를 형성해 두고, 이들 각 설편부(60a, 60b, 60c, 60d, 60e)를 각각의 지지축(61a, 61b, 61c, 61d, 61e)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외측 방향으로 넓힘으로써, 이들 각 설편부(60a, 60b, 60c, 60d, 60e)가 대응하는 개소에 형성되는 공극부(SP1, SP2, SP3, SP4, SP5)를 폐색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전투기(100B)는, 상기 공극부(SP1, SP2, SP3, SP4, SP5)에 의한 구멍부 혹은 절결부가 형성되는 일이 없는 삼각 형상으로서 구성할 수 있어, 실제 전투기(100B)에 가까운 형상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설편부(60a, 60b, 60c, 60d, 60e)는, 그 지지축(61a, 61b, 61c, 61d, 61e)을 중심으로 하여 약 180°로 회전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으므로, 로봇(100A)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와 전투기(100B)의 형태를 취하는 경우에서 표리가 반대인 관계로 된다. 이로 인해, 각 설편부(60a, 60b, 60c, 60d, 60e) 중 한쪽 면에 있어서, 로봇(100A)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양, 구성을 부여할 수 있고, 다른 쪽 면에 있어서, 전투기(100B)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양, 구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동체부(10)에 있어서, 각 설편부(60a, 60b, 60c, 60d, 60e)가 형성되어 있는 면은, 각 설편부(60a, 60b, 60c, 60d, 60e)의 선단이 내측(동체부의 중앙)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로봇(100A)의 흉부로서 기능하게 되고, 각 설편부(60a, 60b, 60c, 60d, 60e)의 선단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경우, 전투기(100B)의 하면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설편부(60a, 60b, 60c, 60d, 60e)를 펼침으로써 노출되는 동체부(10)의 면에는, 전투기(100B)의 전방면부로서의 형태가 실시되어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로봇(100A)의 흉부의 모양은 복수의 설편부(60a, 60b, 60c, 60d, 60e)의 조합에 의해 표현되므로, 각 설편부(60a, 60b, 60c, 60d, 60e)의 선단이 외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전투기(100B)의 형태로 변화되었을 때에, 설편부(60a, 60b, 60c, 60d, 60e) 각각의 모양은 전투기(100B)의 모양과도 융화되게 된다.
또한, 도 3, 도 4에 도시하는 전투기(100B)는, 상술한 것과 반대의 조작을 함으로써, 도 1, 도 2에 도시하는 로봇(100A)의 형태로도 변형시킬 수 있고, 로봇(100A)과 전투기(100B) 사이에 있어서 가역적인 변형을 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설명하지 않았지만, 변형 로봇 완구(100)의 각 부재(좌우 팔부, 좌우 다리부, 설편부 등)를 대응하는 지지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그 회전 과정에 있어서, 적어도 로봇 혹은 전투기의 형태를 취할 때에 예를 들어 클릭 작용을 행하게 하는 기구, 혹은 걸림부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로봇 혹은 전투기의 형태를 취하였을 때에, 각 부재가 원래의 상태로 용이하게 복귀해 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한쪽 형태로부터 다른 쪽 형태로 변화시키는 동작을 하지 않는 한, 현존의 형태를 유지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변형 로봇 완구는, 수지로 제작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일은 없고, 예를 들어 금속이나 목재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100 : 변형 로봇 완구
100A : 로봇
100B : 전투기
10 : 동체부
11R, 11L : 견부
12R, 12L : 지지축
20 : 머리부
21 : 지지축
30R : 우측 팔부
30L : 좌측 팔부
32R : 상박부
33R : 하박부
34R : 지지축
35R, 35L : 연결부
40 : 허리부
50R : 우측 다리부
50L : 좌측 다리부
51R : 대퇴부
52R : 하퇴부
53R : 발부
54R, 54L : 지지축
55R, 55L : 지지축
60a, 60b, 60c, 60d, 60e : 설편부
61a, 61b, 61c, 61d, 61e : 지지축
70 : 덮개부
71 : 지지축
72 : 오목부
75R, 75L : 가스 분사 장치
76R, 76L : 지지축
100A : 로봇
100B : 전투기
10 : 동체부
11R, 11L : 견부
12R, 12L : 지지축
20 : 머리부
21 : 지지축
30R : 우측 팔부
30L : 좌측 팔부
32R : 상박부
33R : 하박부
34R : 지지축
35R, 35L : 연결부
40 : 허리부
50R : 우측 다리부
50L : 좌측 다리부
51R : 대퇴부
52R : 하퇴부
53R : 발부
54R, 54L : 지지축
55R, 55L : 지지축
60a, 60b, 60c, 60d, 60e : 설편부
61a, 61b, 61c, 61d, 61e : 지지축
70 : 덮개부
71 : 지지축
72 : 오목부
75R, 75L : 가스 분사 장치
76R, 76L : 지지축
Claims (6)
- 동체부, 머리부, 관절부를 갖는 좌우 팔부, 관절부를 갖는 좌우 다리부를 구비한 로봇을 전투기의 형태로 변화시킬 수 있는 변형 로봇 완구이며,
상기 동체부의 흉부에 방사상으로 배치되고, 중심측을 향하는 선단이 상기 중심측과 반대측으로 향할 수 있도록 상기 동체부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설편부가 구비되고,
상기 로봇의 형태에 있어서,
상기 머리부가 상기 동체부에 대해 회전함으로써 상기 동체부의 배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좌우 팔부 각각의 선단이 상기 동체부의 상방에서 근접하여 위치하도록 회전하고,
상기 좌우 다리부 각각이 대퇴부와 하퇴부 사이의 관절부에서 회전함으로써, 그 선단이 상기 동체부의 허리부의 양 옆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의 설편부가 회전하여 변형할 때, 상기 복수의 설편부가 상기 동체부와 상기 좌우 팔부 사이의 공극부, 상기 좌우 팔부와 상기 좌우 다리부 사이의 공극부, 상기 동체부와 상기 대퇴부와 상기 하퇴부 사이의 공극부를 폐색함으로써 상기 전투기의 형태로 변형하는, 변형 로봇 완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배면측에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머리부는 상기 오목부에 수납되는, 변형 로봇 완구.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체부의 배면측에는, 상기 오목부를 폐색하는 덮개부가 설치되어 있는, 변형 로봇 완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퇴부는 상기 대퇴부에 대해 상기 좌우 다리부의 길이 방향의 주위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하퇴부의 측면에 구비되는 분사 장치가 상기 전투기의 형태에 있어서의 상기 전투기의 적어도 일측면에 위치되는, 변형 로봇 완구.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편부는, 제1 내지 제5 설편부를 갖고, 상기 제1 설편부에는 이마, 상기 제2 설편부와 상기 제3 설편부에는 눈, 상기 제4 설편부와 상기 제5 설편부에는 볼이나 입을 표현하는 모양이 그려져 있는, 변형 로봇 완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설편부는, 제1 내지 제5 설편부를 갖고, 상기 제1 설편부에는 이마, 상기 제2 설편부와 상기 제3 설편부에는 눈, 상기 제4 설편부와 상기 제5 설편부에는 볼이나 입을 표현하는 모양이 그려져 있는, 변형 로봇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0150950A JP4834169B1 (ja) | 2010-07-01 | 2010-07-01 | 変形ロボット玩具 |
JPJP-P-2010-150950 | 2010-07-01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2919A KR20120002919A (ko) | 2012-01-09 |
KR101278387B1 true KR101278387B1 (ko) | 2013-06-24 |
Family
ID=4540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57270A KR101278387B1 (ko) | 2010-07-01 | 2011-06-14 | 변형 로봇 완구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JP (1) | JP4834169B1 (ko) |
KR (1) | KR101278387B1 (ko) |
CN (1) | CN102309856B (ko) |
HK (1) | HK1165748A1 (ko) |
TW (1) | TWI444219B (ko) |
WO (1) | WO2012002054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6917B1 (ko) * | 2015-05-11 | 2017-06-27 | 최종일 | 팝업 완구 |
CN108290073B (zh) * | 2016-01-28 | 2020-08-18 | 株式会社万代 | 人形玩具 |
CN105892378B (zh) * | 2016-06-21 | 2018-12-18 | 深圳爱易瑞科技有限公司 | 一种嘴形控制智能机器人 |
JP7478296B1 (ja) | 2023-09-01 | 2024-05-02 | 株式会社バンダイ | 模型玩具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2988U (ko) * | 1986-07-31 | 1988-02-15 | ||
US4750895A (en) * | 1986-12-11 | 1988-06-14 | Takara Co., Ltd. | Reconfigurable toy assembly |
KR19980016285U (ko) * | 1996-09-17 | 1998-06-25 | 김상희 | 변신 로봇 완구 |
KR200201214Y1 (ko) | 2000-04-07 | 2000-11-01 | 유세종 | 형상 변경이 가능한 종이 완구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316711Y2 (ko) * | 1984-11-29 | 1991-04-10 | ||
JPS6256073A (ja) * | 1985-09-04 | 1987-03-11 | Canon Inc | 画像処理方法 |
JPH0341746Y2 (ko) * | 1985-09-28 | 1991-09-02 | ||
JPS6322988A (ja) * | 1986-07-15 | 1988-01-30 | 清水建設株式会社 | シ−ルド機の中折れ機構 |
JPS63160893A (ja) * | 1986-12-25 | 1988-07-04 | Nitto Electric Ind Co Ltd | 電気記録謄写原紙 |
JPH0525677Y2 (ko) * | 1986-12-27 | 1993-06-29 | ||
WO2005068035A1 (ja) * | 2004-01-14 | 2005-07-28 | Konami Digital Entertainment Co., Ltd. | 形態変形玩具及び玩具用足構造 |
CN201356977Y (zh) * | 2008-12-10 | 2009-12-09 | 浩汉产品设计股份有限公司 | 玩具型态变化的结构 |
-
2010
- 2010-07-01 JP JP2010150950A patent/JP4834169B1/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
- 2011-05-17 WO PCT/JP2011/061295 patent/WO2012002054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1-06-13 CN CN201110165192.8A patent/CN102309856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1-06-14 TW TW100120760A patent/TWI444219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1-06-14 KR KR1020110057270A patent/KR10127838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2
- 2012-07-06 HK HK12106614.9A patent/HK1165748A1/xx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322988U (ko) * | 1986-07-31 | 1988-02-15 | ||
US4750895A (en) * | 1986-12-11 | 1988-06-14 | Takara Co., Ltd. | Reconfigurable toy assembly |
KR19980016285U (ko) * | 1996-09-17 | 1998-06-25 | 김상희 | 변신 로봇 완구 |
KR200201214Y1 (ko) | 2000-04-07 | 2000-11-01 | 유세종 | 형상 변경이 가능한 종이 완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309856B (zh) | 2014-07-09 |
JP4834169B1 (ja) | 2011-12-14 |
JP2012011032A (ja) | 2012-01-19 |
KR20120002919A (ko) | 2012-01-09 |
WO2012002054A1 (ja) | 2012-01-05 |
CN102309856A (zh) | 2012-01-11 |
TWI444219B (zh) | 2014-07-11 |
TW201206537A (en) | 2012-02-16 |
HK1165748A1 (en) | 2012-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54626B1 (en) | Motion expressible toy | |
JP6810781B1 (ja) | 可動構造及び組立玩具 | |
JP3136840U (ja) | 可動玩具 | |
KR101278387B1 (ko) | 변형 로봇 완구 | |
JP6303051B1 (ja) | 人形玩具 | |
JP7465188B2 (ja) | 可動構造及び人形体 | |
JP6774541B1 (ja) | 関節構造及び人形体 | |
KR102699372B1 (ko) | 인형 | |
CN114432714B (zh) | 玩具部件和人形玩具 | |
JP2019005542A (ja) | 人形玩具 | |
WO2021193584A1 (ja) | 形態変化玩具 | |
JP2006333911A (ja) | 回転動作部材を内蔵したブロック玩具単位体 | |
CN114432712B (zh) | 模型部件和关节构造 | |
CN218306133U (zh) | 一种航母变形机器人的玩具 | |
WO2013065555A1 (ja) | 車両玩具 | |
JP2012011229A (ja) | 変形ロボット玩具 | |
CN107650118B (zh) | 一种机器人手臂 | |
KR200437902Y1 (ko) | 종이 완구용 관절 | |
CN217489736U (zh) | 一种由可变形成数字的单体玩具拼装的合体玩具 | |
JP3227011U (ja) | 連結型人形玩具 | |
CN217593809U (zh) | 一种变形玩具车 | |
JPH0127837Y2 (ko) | ||
CN214971752U (zh) | 玩具机械手掌 | |
JP7455052B2 (ja) | 組立玩具部品及び組立玩具 | |
JP4751672B2 (ja) | 変形装飾構造を備えた玩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