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6285U - 변신 로봇 완구 - Google Patents

변신 로봇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6285U
KR19980016285U KR2019960029596U KR19960029596U KR19980016285U KR 19980016285 U KR19980016285 U KR 19980016285U KR 2019960029596 U KR2019960029596 U KR 2019960029596U KR 19960029596 U KR19960029596 U KR 19960029596U KR 19980016285 U KR19980016285 U KR 1998001628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y
straw
main body
robot
fit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295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희
Original Assignee
김상희
주식회사 영실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희, 주식회사 영실업 filed Critical 김상희
Priority to KR20199600295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16285U/ko
Publication of KR1998001628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285U/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3Convertible toys, e.g. robots convertible into rockets or vehicles convertible into pla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9Toy swords or similar toy weapons; Toy shields

Abstract

본 고안은 변신로봇 완구에 관한 것으로, 짚차, 승용차, 트레일러 완구 자체가 변신하여 하나의 로봇완구로 구현됨은 물론, 상기 3자를 합체하여 하나의 합체 변신로봇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짚차완구(100)의 본네트부(130)를 뒤쪽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좌우 양측에 구비된 본체부(140)를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리도록 하며, 상기 본체부(140)의 벌어진 사이로 분절되면서 두부(250)가 노출된 승용차완구(200)를 끼워넣고, 상기 짚차완구(100)의 하부에는 몸통부(301)의 몸통편(310)을 아랫방향으로 위치되게 하면서 윗방향으로 회동된 다리부(302)가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트레일러 완구(30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된 승용차완구(200)는 제 1바디(201)와 제 2바디(202)가 분절되면서 그 상부에 노출된 두부(250)에 투구(400)가 씌워지고, 짚차완구(100)의 상부 양측에는 견장부(600)가 갖추어지며, 트레일러완구(300)의 정면 상부에는 보호커버(700)가, 하부에는 포모형부(800)가 각각 끼워지며, 짚차완구(100)의 아암부(150) 선단에 구비된 주먹부(160)에 모형칼(900)이 끼워져 있는 것으로, 유아나 어린이들이 싫증을 느끼지 않고 보다 재미를 느끼면서 즐겨 놀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신 로봇 완구
본 고안은 변신로봇완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다양한 변신이 가능하여 완구로서의 재미를 가일층 느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에도 이와 같은 변신로봇완구가 제안되었는바, 대개 변신시킨 로봇의 형태가 만화나 애니메이션(animation)영화 등에 등장하는 로봇의 형태와는 매우 동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로봇의 형태를 중시한 나머지 다른 한쪽의 형태인 승용차, 무기 등의 형태가 현실감이 없이 조잡한 인상을 주게 되는 수가 많았다.
더욱이, 양쪽의 형태를 같이 양호하게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결과적으로 변화를 위한 기구를 복잡하게 할 수 밖에 없고, 그렇기 때문에 변화시키기 위한 조작이 어렵게 되어 이와 같은 종류의 완구에 있어 가장 흥미를 보이는 초등학교나 유치원 아동들에게는 그 변형의 조작이 어려운 결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만화나 애니메이션 영화에 등장하는 인기있는 로봇의 형태와 유사한 로봇과, 차량 및 개별적인 로봇의 형태를 갖출 수 있어 초등학교나 유치원 아동의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며, 그 변형의 조작상의 곤란한 정도가 초등학교나 유치원 아동에게 적당하므로 그 변형을 최후까지 완수할 수 있고 자동차 형태의 경우에는 차륜에 의해 주행이 가능하며, 개별적인 로봇의 형태를 갖출 수 있어 가일층 흥미를 유발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승용차, 짚차, 트레일러의 형태를 각각 갖추면서 별도의 로봇완구로 변신가능하고, 이러한 3자의 완구가 합체되어 하나의 완성된 변신합체로봇완구로 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짚차완구의 전체사시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짚차완구가 변신하여 로봇이 되는 과정을 단계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짚차완구의 아암부에 설치된 주먹부가 인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짚차완구의 두부를 덮을 수 있도록 하는 커버의 결착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짚차완구가 변신하여 로봇이 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완구의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완구의 저면도
도 10 내지 도 13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완구의 변신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14는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완구의 아암부에 결합된 주먹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도 14의 주먹부의 이동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
도 16은 본 고안에 따른 아암부의 선단아암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17은 도 16의 선단아암부의 회동상태를 나타낸 동작상태도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완구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19 내지 도 25는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 완구의 변신되어 새로운 로봇완구형태를 갖추는 모습을 단계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6은 도 18로부터 변신되어 로봇완구의 형태를 갖추면서 노출되는 두부의 단면도.
도 27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완구가 완전변신되어 새로운 모습의 로봇이 완성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28은 완전 변신된 로봇완구의 정면도
도 29는 합체로봇완구를 이루기 위한 트레일러의 사시도
도 30은 트레일러 완구의 앞쪽이 개방되는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1은 트레일러완구의 후부가 회동된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
도 32는 도 31에 의해 회동되어 다리부가 형성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3은 도 32의 다리부가 약간 벌려진 상태의 도면
도 34는 도 32의 사시도
도 35는 앞쪽이 하향이동된 상태를 나타낸 짚차완구의 측면도
도 36은 짚차완구의 앞쪽이 회동된 상태의 도면
도 37은 짚차완구의 양측이 벌려지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38은 짚차완구의 양측이 벌어진후 주먹부가 노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배면도
도 39는 트레일러 완구가 변신되어 다리부가 되었을 때, 다리부의 상부에 짚차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재의 확대사시도
도 40은 도 39의 종단면도
도 41은 짚차완구의 변신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2는 합체되기 전의 승용차완구의 측면도
도 43은 승용차완구가 개방되면서 새로운 두부가 노출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44는 승용차완구의 합체로봇완구용 두부의 사시도
도 45는 최종적으로 합체되기 위한 각 완구들의 분리사시도
도 46은 완전합체된 로봇완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짚차완구102 : 몸통부
102a : 걸고리104 : 삽입구
106,107 : 축108,109 : 아임부
110,220,250,340 : 두부112 : 지지부
114 : 바퀴116,117,160,215,350 : 주먹부
118 : 수장홈118a : 걸림요홈
120 : 커버120a : 훅돌기
120b : 힌지돌기130 : 본네트부
131 : 연결편140 : 본체부
141 : 힌지축142 : 결합돌기
143 : 압지홈150 : 아암부
151 : 연결부재152 : 나사
161 : 축핀162 : 결착공
170 : 연결편171 : 스프링
172 : 압지편200 : 승용차완구
201 : 제 1 바디202 : 제 2 바디
202a,212,302a,343 : 축핀210 : 아암부
211 : 나사축213 : 선단아암부
214 : 고정핀215a : 장공
216 : 회전중심핀217 : 걸림턱
218 : 걸림요홈230 : 몸통부
240,302 : 다리부241 : 홈
251 : 연결편300 : 트레일러완구
301 : 몸통부310 : 몸통편
311 : 수직축312 : 고리편
313 : 헤드라이트모형부재314 : 공간부
320 : 어퍼아암부321 : 수용홈
330 : 로워아암부331 : 회동축
341 : 힌지축342 : 지지플레이트
400 : 투구500 : 합체로봇완구
600 : 견장부700 : 보호커버
800 : 모형포900 : 모형칼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은 짚차완구(100)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짚차완구(100)의 저면을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짚차완구(100)의 저면에 로봇형태를 갖추고 있는바, 몸통부(102)의 중앙위치에는 삽입구(104)가 형성되어 그 양단으로 인출가능하게 축(106)(107)이 삽설되어 있고, 이 축(106)(107)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한 아암부(108)(109)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통부(102)의 상부에는 두부(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몸통부(102)의 하부에는 다리역할을 할 수 있는 지지부(1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108)(109) 및 몸통부(102)의 하부 어느 위치에는 서로 마주보는 바퀴(114)가 4개 형성되어 통상의 짚차로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108)(109)의 선단에는 회동가능한 주먹부(116)(117)가 형성되어 필요시 노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두부(110) 위치에는 이 두부(110)의 모습을 감출 수 있도록 수장홈(118)이 형성되어 있고, 두부(110)가 수장홈(118)안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하는 커버(120)가 회동자재하게 갖추어져 있다. 이 커버(12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장홈(118)의 양측에 걸림요홈(118a)이 형성되고, 이 걸림요홈(118a)에 걸리도록 커버(120)의 일면 소정위치에는 훅돌기(12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커버(120)의 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커버(120)의 일단 양측에는 힌지돌기(120b)가 형성되고, 이 힌지돌기(120b)가 걸려 있도록 몸통부(102)의 해당위치에 걸고리(102a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승용차완구(200)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승용차완구(200)의 저면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용차완구(200)는 제 1 바디(201)와 제 2 바디(202)로 구분되고, 이 제 1 바디(201)와 제 2 바디(202)에 걸쳐 순차적으로 아암부(210), 두부(220), 몸통부(230), 다리부(24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바디(20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240)와 축핀(202a)을 통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210)는 몸통부(230)의 상단 양측에 삽입.설치된 나사축(21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양분되어 설치되어 있고, 각 아암부(210)는 전후로 회동가능하게 축핀(212)이 끼워진 선단아암부(213)가 갖추어져 있다. 이 선단아암부(213)에는 고정핀(214)을 중심으로 전.후진 가능하게 주먹부(21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주먹부(215)에는 상기 고정핀(214)을 중심으로 이동가능하게 장공(215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아암부(210)의 어깨부위에도 회전중심핀(216)이 삽입되어 어깨부위를 중심으로 아암부(210)의 일부를 회동자재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240)의 무릎위치에는 홈(241)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데, 이 홈(241)은 다리부(240)의 아래에 위치하고 있는 제 2 바디(202)의 상단에 결착되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아암부(210) 중 한쪽 아암부(210)에는 걸림턱(21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아암부(210)를 서로 끼워 합체하는 경우에 상기 걸림턱(217)이 끼워지도록 나머지 한쪽 아암부(210)에 걸림요홈(218)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도 18은 본 고안에 따른 트레일러완구(300)의 모습을 나타낸 측면도로서, 몸통부(301)와 다리부(302)로 나뉘고,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부(302)는 상기 몸통부(301)로부터 회동가능하게 축핀(302a)에 끼워져 있다.또한, 상기 몸통부(301)는 몸통편(310)이 2개로 이루어져 분리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몸통편(310)의 양측으로는 회동자재한 어퍼 및 로워아암부(320)(330)가 각각 갖추어져 있다.
상기 몸통부(301)를 양측으로 개방하면 안쪽으로부터 상향되게 회동가능한 두부(340)가 설치되어 있고, 로워아암부(330)의 선단에는 주먹부(350)가 갖추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각 몸통편(310)의 일단에는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축(311)이 갖추어져 있고, 이 수직축(311)에는 각 몸통편(310)의 양단에 구비된 어퍼 및 로워아암부(320)(330)이 회동되어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리편(312)이 끼워져 있다. 또한, 상기 로워아암부(330)의 상단에는 어퍼아암부(320)에 끼워져 회동자재 가능한 회동축(331)이 갖추어져 있다. 이 로워아암부(330)는 어퍼아암부(320)를 기준으로 변신과정에서 필요한 위치로 자유로이 회전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어퍼아암부(320)중 한쪽에는 두부(34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2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두부(340)는 도 24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301)의일단에 구비된 힌지축(341)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부(340)의 하단에는 지지플레이트(342)가 구비되어 있고, 이 지지플레이트(342)에는 두부(340)가 회동되도록 하는 축핀(343)이 결합되어 있다.
도 30 내지 도 34는 본 고안에 따른 합체로봇완구를 완성하기 위한 일부분인 트레일러 완구의 변신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부(301)를 이루고 있는 몸통편(310)의 선단에는 헤드라이트모형부재(313)가 갖추어져 있고, 이 헤드라이트모형부재(313)를 상방향으로 젖히면, 그 안쪽으로는 공간부(314)가 형성되어 있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라이트모형부재(313)를 젖힌 다음, 다리부(302)를 회동시켜 상기 공간부(314)안에 수용되어 수평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체로봇완구의 다리부가 되는 것이다.
도 33은 합체로봇의 다리부로 변신된 상태에서 약간 벌어지는 모습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4는 이를 보다 명확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5 내지 도 38은 합체로봇완구를 구성하기 위한 짚차완구(100)의 변신단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짚차완구(100)의 본네트부(130)을 아랫방향으로 누르면 하향이동 되도록 본네트부(130)의 저면에는 회동가능한 연결편(131)이 구비되어 있다. 이 연결편(131)을 통해 본네트부(130)를 하향이동 시키면,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네트부(130)가 회동하여 짚차완구(1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도 37은 짚차완구(100)의 본체부(140)를 좌우로 벌려놓은 상태의 도면으로서, 본체부(140)의 일단에는 각각 힌지축(141)이 구비되어 본체부(140)가 좌우로 벌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체부(140)의 개방시 보이는 일면에는 각각 결합돌기(1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돌기(14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본체부(140) 사이의 면의 소정위치에는 압지홈(143)이 형성되어 있다.
도 38은 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40)가 벌어진 상태에서 각 본체부(140)의 하단으로부터 아암부(150)가 인출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아암부(150)는 본체부(140)의 내부 공간부안에 수장된 연결부재(151)가 인출되면서 아암부(150)로서 형성되며, 이 아암부(150)의 하단에는 각각 주먹부(160)가 갖추어져 회동되어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51)의 중앙에는 나사(152)가 갖추어져 있고, 이 나사(152)를 기준으로하여 아암부(150)를 좌우로 회전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먹부(160)는 양단에 축핀(161)이 갖추어져 주먹부(160)가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주먹부(160)의 중앙에는 결착공(162)이 형성되어 추후에 설명될 모형칼이 끼워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 39는 도 38의 하단에 구비된 연결편(170)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연결편(170)이 회전하여 노출된 상태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짚차완구(100)의 뒤쪽부분에 위치하면서 내부에 스프링(171) 및 압지편(172)이 구비되어 돌출되지 않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돌출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압지편(172)의 노출된 양단이 안쪽방향으로 밀리면서 스프링(171)을 압축하여 수용된다. 따라서, 수용된 상태를 계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1은 짚차완구(100)가 변신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아암부(150)가 좌우로 약간씩 회전이동된 상태이다.
도 42 및 도 43은 완전합체를 위한 승용차완구(200)의 다른 변신을 위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4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용차완구(200)의 중앙부를 분절하는 형식으로 벌리면, 그 내부에서 또 다른 형태의 두부(250)가 돌출된다. 상기 승용차완구(200)의 또 다른 두부(250)가 노출되는 과정에서 두부(250)의 선단에는 연결편(251)이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승용차완구(200)의 분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44는 승용차완구(200)가 분절되어 변신합체되기 위한 준비상태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투구(400)가 두부(250)에 씌워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5는 완전합체로봇완구(500)를 이루기 위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6은 최종적으로 완전합체된 상태의 변신로봇완구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견장부(600), 보호커버(700), 포모형부(800) 및 모형칼(900)이 갖추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짚차완구(100), 승용차완구(200), 트레일러완구(300) 자체로서 어린이들이 즐겨 놀 수 있고, 이에 국한되지 않고, 각각의 완구들을 조작, 변신시켜 새로운 변신로봇완구의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즉, 상기 짚차완구(100)를 변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짚차완구(100)의 저면을 보이도록 한 다음, 양쪽에 구비된 아암부(108)(109)를 몸통부(102)로부터 회동시켜 벌린 다음 잡아당기면, 횡설된 축(106)(107)이 삽입구(104)로 부터 인출되어 상기 아암부(108)(109)가 양측으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몸통부(102)의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커버(120)를 한쪽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두부(110)를 노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아암부(108)(109)의 선단에 구비된 주먹부(116)(117)를 인출시킨 다음, 직립된 상태로 안치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신된 로봇완구가 되는 것이다.
한편, 승용차완구(200)를 자체변신시키는 경우, 먼저 분절가능한 제 1바디(201)와 제 2 바디(202)를 서로 이격되도록 다리부(240)를 중심으로 제 2바디(202)를 바깥방향으로 회동시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벌린 다음, 제 1 바디(201)의 양쪽에 구비된 아암부(210)을 도 11에 되시된 바와 같이 수평되게 벌린다. 그런 다음에, 이때 아암부(210)의 일단에는 회전중심핀(216)이 마련되어 있어 아암부(210)의 회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후 다시 아암부(210)를 꺽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벌리면 수평위치의 아암부(210)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주먹부(215)를 돌출시킨다. 그러면 자체변신된 로봇완구가 완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레일러완구(300)를 자체변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리부(302)를 몸통부(301)를 중심으로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되게 회동시킨 다음, 어퍼아암부(320)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는 로워아암부(330)를 회동축(331)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노출시킨다. 근접된 어퍼아암부(320)를 벌리는데, 각 어퍼 아암부(320)의 일단에는 수직축(311) 및 이에 회동되게 결합된 고리편(312)이 구비되어 있어 어퍼아암부(320)는 좌우로 소정간격만큼 회동되어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배면에 위치하고 있는 두부(340)를 회동시켜 정면에서 볼 때 보일 수 있도록 위치시킨다. 상기 두부(340)는 지지플레이트(342)가 부착되어 있고, 이 지지플레이트(342)의 선단에는 힌지축(341)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로이 회전 이동되는 것이다. 또 상기 두부(340)는 앞뒤가 구별되게 형성되어 있는 두부(340)의 하부에 형성된 축핀(343)을 중심으로 자회전시켜 얼굴면이 보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게하여 도 27 또는 도 28과 같은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어린이들이 각 완구들을 자체변신시키면서 재미를 느낄수 있고, 또한 변신되는 과정이 어린이들의 지능으로 적당히 곤란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어 금방 싫증을 느끼지 않는 것이다.
더욱이, 본 고안은 이러한 각 완구들의 상기와 같이 자체 변신을 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이들을 합체하여 도 46과 같은 상태로 합체로봇완구(500)로서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짚차완구(100)의 본체부(140)를 벌린 상태에서 그 사이로 일부 변신된 승용차완구(200)를 삽입. 설치하고, 이어서 변신된 트레일러완구(300)를 상기 짚차완구(100)의 하부에 결합한 다음, 견장부(600), 보호커버(700), 모형포(800), 칼(900)을 구비함으로써 도 4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린이들에게 새로운 미감을 불러일으켜 금방싫증을 느끼지 않고 놀 수 있는 것이다.
물론, 장식미도 갖추고 있어 일반 가정에서 장식물로서 진열할 수도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3가지 종류의 차량완구로서 자체변신으로 로봇완구를 형성할 수 있고, 이들을 모두 합체하여 새로운 형태의 변신로봇완구로서 형성가능하여 완구를 즐기는 어린이들이 싫증을 느끼지 않고 더 한층 재미를 느끼면서 즐길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9)

  1. 짚차완구(100)의 본네트부(130)를 뒤쪽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좌우 양측에 구비된 본체부(140)가 각각 서로 반대방향으로 벌어지며, 상기 본체부(140)의 벌어진 사이로 분절되면서 두부(250)가 노출된 승용차완구(200)가 끼워지고, 상기 짚차완구(100)의 하부에는 몸통부(301)의 몸통편(310)을 아랫방향으로 위치되게 하면서 윗방향으로 회동된 다리부(302)가 결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트레일러완구(300)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된 승용차완구(200)는 제 1 바디(201)와 제 2바디(202)가 분절되면서 그 상부에 노출된 두부(250)에 투구(400)가 씌워지고, 짚차완구(100)의 상부 양측에는 견장부(600)가 갖추어지며, 트레일러완구(300)의 정면 상부에는 보호커버(700)가, 하부에는 모형포(800)가 각각 끼워지며, 짚차완구(100)의 아암부(150) 선단에 구비된 주먹부(160)에 모형칼(900)이 끼워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로봇완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짚차완구(100)의 아암부(150)의 상단에는 본체부(140)안으로부터 인출가능한 연결부재(15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로봇완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51)에는 아암부(150)가 좌우로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나사(152)가 관통.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로봇완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부(150)안에는 주먹부(160)가 구비되어 있고, 이 주먹부(160)의 양단에는 바깥방향으로 회전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축핀(161)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로봇완구.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40)의 일단에는 각각 힌지축(141)이 구비되어 본체부(140)가 좌우로 벌어질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로봇완구.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40)의 개방시 보이는 일면에는 각각 결합돌기(142)가 형성되어 있고, 이 결합돌기(142)가 끼위질 수 있도록 본체부(140) 사이의 면의 해당위치에 압지홈(1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로봇완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짚차완구(100)의 하부에는 회동자재한 연결편(170)이 구비되어 상기 트레일러완구(300)의 다리부(302) 단부에 형성된 삽입홈(302a)에 끼워져 결합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로봇완구.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짚차완구(100)의 주먹부(160)에는 모형칼(90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결착공(16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로봇완구.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용차완구(200)가 변신되어 두부(250)가 노출될 때, 제 1 바디(201)와 제 2 바디(202)사이에 형성된 연결편(251)을 통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신로봇완구.
KR2019960029596U 1996-09-17 1996-09-17 변신 로봇 완구 KR1998001628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596U KR19980016285U (ko) 1996-09-17 1996-09-17 변신 로봇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29596U KR19980016285U (ko) 1996-09-17 1996-09-17 변신 로봇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285U true KR19980016285U (ko) 1998-06-25

Family

ID=53976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29596U KR19980016285U (ko) 1996-09-17 1996-09-17 변신 로봇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16285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755B1 (ko) * 2010-03-12 2012-05-09 전명재 이벤트 감지에 의한 변신로봇
KR101248663B1 (ko) * 2010-12-01 2013-03-28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동작 완구
KR101278387B1 (ko) * 2010-07-01 2013-06-24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변형 로봇 완구
WO2013125836A3 (ko) * 2012-02-24 2013-10-24 Choe Sin-Kyu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WO2017010688A1 (ko) * 2015-07-10 2017-01-19 최종일 변신완구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755B1 (ko) * 2010-03-12 2012-05-09 전명재 이벤트 감지에 의한 변신로봇
KR101278387B1 (ko) * 2010-07-01 2013-06-24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변형 로봇 완구
KR101248663B1 (ko) * 2010-12-01 2013-03-28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동작 완구
WO2013125836A3 (ko) * 2012-02-24 2013-10-24 Choe Sin-Kyu 변신 자동차 완구 및 이를 이용한 놀이 장치
US9370725B2 (en) 2012-02-24 2016-06-21 Shin-Kyu Choi Transformable toy car and playing device using same
US9744435B2 (en) 2012-02-24 2017-08-29 Shin-Kyu Choi Transformer toy car and playing device using same
US10258867B2 (en) 2012-02-24 2019-04-16 Shin-Kyu Choi Transformer toy car and playing device using same
US10434400B2 (en) 2012-02-24 2019-10-08 Shin-Kyu Choi Transformer toy car and playing device using same
WO2017010688A1 (ko) * 2015-07-10 2017-01-19 최종일 변신완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16609B1 (en) Transformable toy
US4264080A (en) Toy vehicle for children
US7833081B2 (en) Toy vehicle having fanciful facial expression
JPS63147488A (ja) 形態変化玩具
JP6971175B2 (ja) 人形玩具
US4673367A (en) Animated figure toy
KR19980016285U (ko) 변신 로봇 완구
US4580992A (en) Transformable toy
US20180229133A1 (en) Reconfigurable Doll
JPS6341025Y2 (ko)
CN206837477U (zh) 玩具及组合玩具
JPH046797Y2 (ko)
JPH0160271B2 (ko)
CN217593809U (zh) 一种变形玩具车
JPH0530471Y2 (ko)
KR200218896Y1 (ko) 변신완구
JP3021352U (ja) 変身玩具
JPH0357276Y2 (ko)
KR102365315B1 (ko) 완구 세트
JP3198094B2 (ja) 変身玩具
JPH0322794B2 (ko)
JPS6235511Y2 (ko)
JPH0622384Y2 (ja) 変態玩具
JPS62231690A (ja) 変身ロボット玩具
JPS6029177A (ja) 自動車ロボツト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