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8102B1 - 풍로용 버너 - Google Patents

풍로용 버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8102B1
KR101278102B1 KR1020120031691A KR20120031691A KR101278102B1 KR 101278102 B1 KR101278102 B1 KR 101278102B1 KR 1020120031691 A KR1020120031691 A KR 1020120031691A KR 20120031691 A KR20120031691 A KR 20120031691A KR 101278102 B1 KR101278102 B1 KR 101278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throat
male
coupling
cylind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야스 사토
Original Assignee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린나이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8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8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02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 F23D14/04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 F23D14/06Premix gas burners, i.e. in which gaseous fuel is mixed with combustion air upstream of the combustion zone induction type, e.g. Bunsen burner with radial outlets at the burner h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DBURNERS
    • F23D14/00Burners for combustion of a gas, e.g. of a gas stored under pressure as a liquid
    • F23D14/46Details, e.g. noise reduction means
    • F23D14/48Nozzles
    • F23D14/58Nozzl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arrangement of the outlet or outlets from the nozzle, e.g. of annular configu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과제) 버너 보디(4)의 하면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한 스로트부(42)를 버너 홀더(1)에 설치한 지지통부(12)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버너 보디의 하면을 지지통부의 상단에 착좌시키는 풍로용 버너에 있어서, 버너 보디의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고 지지통부에 대한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스로트부의 고착력을 약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해결수단) 스로트부(42)의 외주면에, 원통모양의 상부결합 수컷부(421)와, 이것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통모양의 하부결합 수컷부(422)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 또는 상부결합 수컷부(421)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통모양의 중간직경 축소부(423)가 형성되고, 지지통부(12)의 내주면에, 원통모양의 상부결합 암컷부(121)와, 이것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통모양의 하부결합 암컷부(122)와,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가이드부(123)가 형성된다. 상부결합 암컷부(121)의 상하방향 길이는, 상부결합 수컷부(421)의 하단보다도 상부결합 암컷부(121)의 하단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Description

풍로용 버너{BURNER FOR COOKING STOVE}
본 발명은, 풍로 본체(風爐 本體)에 고정된 버너 홀더(burner holder)상 에 지지되는 버너 보디(burner body)를 구비하는 풍로용 버너(風爐用 burner)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종류의 풍로용 버너로서, 버너 보디의 하면 중앙부(下面 中央部)에 통모양의 스로트부(throat部)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풍로 본체에 고정되는 대좌부(臺座部)와, 대좌부의 상방(上方)에 설치된 지지통부(支持筒部)를 구비하는 버너 홀더의 지지통부에 상방으로부터 스로트부를 삽입하여 버너 보디의 하면(下面)을 지지통부의 상단에 착좌(着座)시키도록 하고 또한 대좌부에 스로트부의 하단 개구(下端 開口)를 향하여 연료가스를 분출하는 가스노즐을 설치하고, 스로트부의 하단 개구로부터 흡입되는 1차공기와 연소가스의 혼합기체가 버너 보디내로 공급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1 참조).
여기에서 버너 보디가 버너 홀더상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스로트부의 외주면(外周面)을 지지통부의 내주면(內周面)에 삽입 클리어런스(揷入 clearance)(스로트부의 삽입이 가능하게 되는 필요 최소한의 클리어런스)분의 간격을 두고 결합시킴과 아울러, 지지통부에 대한 스로트부의 결합장소의 상단으로부터 하단까지의 길이를 가능한 한 길게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국물이 다량으로 넘치게 되면, 흘러넘친 국물이 지지통부에 도달하여 스로트부의 외주면과 지지통부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間隙)으로 침입해서 흘러넘친 국물에 의하여 스로트부가 지지통부에 고착(固着)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지지통부에 대한 스로트부의 결합장소의 길이를 길게 하면,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고착력(固着力)이 강하게 되어, 버너 보디의 떼어내기가 불가능 하게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종래에 혼합관(混合管)의 상방으로 굴곡하는 하류 단부(下流 端部)에 버너 보디에 수직으로 설치한 통부(筒部)를 외부에서 결합시키도록 한 풍로용 버너에 있어서, 혼합관의 하류 단부의 외주면과 통부의 내주면을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면(taper面)으로 형성하고, 또한 통부의 내주면의 상부와 하부의 중간에 지름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면부를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2 참조). 이에 의하면, 버너 보디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됨과 아울러 혼합관의 하류 단부에 대한 통부의 결합장소의 길이가 오목면부 분만큼 단축되어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고착력이 약해진다.
이러한 기술을 특허문헌1에 기재된 버너에 적용하고, 스로트부의 외주면과 지지통부의 내주면을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으로 형성하고 또한 지지통부의 내주면의 상부와 하부의 중간에 지름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면부를 형성하고,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고착력을 약하게 하는 것이 생각된다.
그러나, 이래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생긴다. 즉 특허문헌1에 기재된 버너에서는, 버너 보디의 하면이 지지통부의 상단에 착좌함으로써 버너 보디의 높이가 결정되기 때문에, 버너 보디의 하면이나 지지통부의 상단의 가공공차(加工公差)에 의하여 버너 보디의 높이가 변화된다. 그리고 테이퍼면으로 형성된 스로트부의 외주면과 지지통부의 내주면 사이의 간극량이 버너 보디의 높이 변화에 의하여 변화되어버려, 버너 보디의 안정성이 손상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오목면부는 지름방향으로 출몰 가능한 특수한 공구에 의하여 가공할 필요가 있으므로 가공이 번거로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 특개2011-52947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소60-202220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버너 보디의 안정성을 손상하지 않고 지지통부에 대한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스로트부의 고착력을 약하게 할 수 있고, 또한 가공도 용이한 풍로용 버너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풍로 본체에 고정된 버너 홀더상에 지지되는 버너 보디를 구비하는 풍로용 버너로서, 버너 보디는 그 하면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한 통모양의 스로트부를 구비하고, 버너 홀더는 풍로 본체에 고정되는 대좌부와, 대좌부의 상방에 설치된 지지통부를 구비하고, 지지통부에 스로트부를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지지통부의 상단에 버너 보디의 하면을 착좌시키도록 하고, 대좌부에 스로트부의 하단 개구를 향하여 연료가스를 분출하는 가스노즐을 설치하고, 스로트부의 하단 개구로부터 흡입되는 1차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기체가 버너 보디내로 공급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스로트부의 외주면에, 원통모양의 상부결합 수컷부와, 상부결합 수컷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고 상부결합 수컷부보다 작은 직경(直徑)의 원통모양의 하부결합 수컷부와, 상부와 하부의 결합 수컷부 사이에 위치하고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 또는 상부결합 수컷부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모양의 직경 축소부가 형성되고, 지지통부의 내주면에, 원통모양이며 상부결합 수컷부가 삽입 클리어런스분의 간격을 두고 결합하는 상부결합 암컷부와, 상부결합 암컷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고, 상부결합 암컷부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모양이며 하부결합 수컷부가 삽입 클리어런스분의 간격을 두고 결합하는 하부결합 암컷부와, 상부와 하부의 결합 암컷부 사이에 위치하고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부결합 암컷부의 상하방향 길이는, 지지통부의 상단에 버너 보디의 하면이 착좌한 상태에서 상부결합 수컷부의 하단보다도 상부결합 암컷부의 하단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와 하부의 결합 수컷부와 결합 암컷부가 모두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버너 보디의 높이가 버너 보디의 하면이나 지지통부의 상단의 가공공차에 의하여 변화되어도, 각 결합 수컷부와 각 결합 암컷부 사이의 간극량은 변화되지 않고, 스로트부의 삽입에 필요한 최소한의 삽입 클리어런스로 유지된다. 따라서 버너 보디는 버너 홀더상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또한 상부결합 수컷부의 하단보다도 하방에 위치하는 상부결합 암컷부의 부분과 직경 축소부 사이에 넓은 간극이 확보되기 때문에, 지지통부에 대한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스로트부의 고착은 직경 축소부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고착력을 약하게 할 수 있어, 버너 보디의 떼어내기가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통부의 내주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고착력 약화를 위하여 지름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면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공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스로트부를 지지통부에 삽입할 때에, 테이퍼 모양의 가이드부에 의하여 스로트부가 지지통부와 동심(同芯)이 되도록 안내되어, 하부결합 수컷부 및 상부결합 수컷부가 원활하게 하부결합 암컷부 및 상부결합 암컷부에 결합한다. 따라서 버너 보디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부결합 암컷부와 하부결합 수컷부의 적어도 일방에,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흘러넘친 국물을 홈부를 통하여 지지통부의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고, 지지통부에 대한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스로트부의 고착방지 기능이 향상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풍로용 버너의 사시도.
도2는 도1의 II-II선으로 절단한 절단 측면도.
도3은 제1실시예의 풍로용 버너의 분해상태의 사시도.
도4는 제2실시형태의 풍로용 버너의 버너 홀더의 평면도.
도5는, 도4의 V-V선으로 절단한 제2실시형태의 풍로용 버너의 조립상태의 절단 정면도.
도1, 도2를 참조하면, 1은,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 풍로 본체에 고정된 버너 홀더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 버너 홀더(1)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풍로용 버너(A)가 지지된다. 버너 홀더(1)는, 풍로 본체에 고정되는 대좌부(11)와, 대좌부(11)의 상방에 설치된 지지통부(12)를 구비하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대좌부(11)의 일단(一端)에 지주부(支柱部)(13)를 세워서 설치하고, 지주부(13)의 상단으로부터 대좌부(11)와 대향(對向)하도록 하여 돌출시키는 플랜지부(flange部)(14)를 설치하고, 이 플랜지부(14)에 지지통부(12)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지주부(13)의 중간으로부터 플랜지부(14)와는 반대방향으로 돌출시키는 전극 부착부(15)를 설치하고 있다.
대좌부(11)의 상면에는, 지지통부(12)의 중심축선상에 위치하는 가스노즐(2)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대좌부(11)에 형성한 가스통로(16)를 통하여 가스노즐(2)로 연료가스가 공급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전극 부착부(電極 附着部)(15)에는, 이것에 볼트(17a)로 고정되는 부착기구(17)에 의하여 점화전극(點火電極)(3)이 고정되어 있다.
풍로용 버너(A)는, 버너 홀더(1)상에 지지되는 버너 보디(4)와, 버너 보디(4)상에 재치되는 버너캡(5)을 구비하고 있다. 버너 보디(4)는, 원판모양의 베이스부(41)와, 베이스부(41)의 하면 중앙부에 수직으로 설치한 통모양의 스로트부(42)와, 베이스부(41)의 상면에 스로트부(42)의 상단 개구를 둘러싸도록 돌출하도록 형성된 환상(環狀)의 융기부(隆起部)(43)와, 베이스부(41)의 상면 외주부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환상벽(環狀壁)(44)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스로트부(42)를 버너 홀더(1)의 지지통부(12)에 상방으로부터 삽입하고, 지지통부(12)의 상단에 버너 보디(4)의 하면, 즉 베이스부(41)의 하면을 착좌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지통부(12)의 상단부의 원주방향 1군데에 노치(notch)(12a)를 형성하고 또한 스로트부(42)의 상단부의 둘레 1군데에 돌기(42a)를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돌기(42a)를 노치(12a)에 결합시킴으로써 버너 보디(4)가 위치가 결정되도록 하고 있다.
환상벽(44)에는, 도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그 상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홈으로 이루어지는 대소의 복수의 화염구(火焰口)(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점화전극(3)과 동일방향에 위치하는 환상벽(44)의 원주방향 1군데에는, 지름방향 내측에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부(44a)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4a)의 지름방향 내측의 벽부에는, 그 원주방향 중앙부분의 상단에 위치되고 점화전극(3)의 상방과 대향하는 타겟(46)이 돌출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타겟(46)의 양편에 위치하여 점화전극(3)을 향하는 한쌍의 점화 화염구(點火 火焰口)(47)가 형성되어 있다.
버너캡(5)은 원판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면 중앙부에는 융기부(43)의 상단면과 소정의 간극을 두고 대향하는 뒤판(51)이 부착되어 있다. 뒤판(51)의 외주에는,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심결정편(芯決定片)(52)이 수직으로 매달리듯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심결정편(52)의 하단부를 융기부(43)의 외주면에 접촉시킴으로써 버너캡(5)이 버너 보디(4)에 대하여 그 위치가 결정되어, 버너캡(5)의 하면 외주부(下面 外周部)가 버너 보디(4)의 환상벽(44)의 상단면에 접촉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버너캡(5)에 대한 뒤판(51)의 고정은, 뒤판(51)에 형성된 상방으로의 돌출부(53)를 버너캡(5)의 하면에 형성한 오목구멍에 결합시킨 상태에서, 돌출부(53)를 버너캡(5)에 용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한 가스노즐(2)은, 지지통부(12)에 삽입되는 스로트부(42)의 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그리고 가스노즐(2)로부터 스로트부(42)의 하단 개구를 향하여 연료가스를 분출시키면, 스로트부(42)의 상단 개구로부터 유출되는 가스류가 뒤판(51)의 하면에 부딪혀 지름방향으로 확산되어, 소위 래디얼 벤투리 효과(radial Venturi 效果)가 발생하여 스로트부(42)의 하단 개구로부터 1차공기가 흡입된다. 이에 따라 연료가스와 1차공기의 혼합기체가 스로트부(42)를 통하여 버너 보디(4)내로 공급된다. 버너 보디(4)내로 공급된 혼합기체는 환상벽(44)에 형성된 화염구(45)로부터 분출하여 연소하고, 도면에 나타내는 것은 생략한 풍로 상판상의 5덕에 재치되는 피가열물(被加熱物)이 가열된다.
여기에서 스로트부(42)의 외주면에는, 원통모양의 상부결합 수컷부(421)와, 상부결합 수컷부(421)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고 상부결합 수컷부(421)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통모양의 하부결합 수컷부(422)와, 상부와 하부의 결합 수컷부(421, 422) 사이에 위치하고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직경 축소부(42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통부(12)의 내주면에는, 원통모양이며 상부결합 수컷부(421)가 삽입 클리어런스분의 간격을 두고 결합하는 상부결합 암컷부(121)와, 상부결합 암컷부(121)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고 상부결합 암컷부(121)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통모양이며 하부결합 수컷부(422)가 삽입 클리어런스분의 간격을 두고 결합하는 하부결합 암컷부(122)와, 상부와 하부의 결합 암컷부(121, 122) 사이에 위치하고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가이드부(123)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결합 암컷부(121)의 상하방향 길이는, 지지통부(12)의 상단에 버너 보디(4)의 하면이 착좌한 상태에서 상부결합 수컷부(421)의 하단보다도 상부결합 암컷부(121)의 하단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삽입 클리어런스는, 스로트부(42)를 지지통부(12)에 삽입하는 데에 필요한 최소한의 클리어런스를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0.05mm 정도이다.
또한 지지통부(12)에 스로트부(42)를 삽입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상부결합 암컷부(121)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으로 신장하는 지지통부(12)의 내주면의 부분에, 상방을 향하여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 모양의 상부 가이드부(124)를 형성하고, 또한 하부결합 수컷부(422)의 하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는 스로트부(42)의 외주면의 부분에,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하부 가이드부(424)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부와 하부의 결합 수컷부(421, 422)와 결합 암컷부(121, 122)가 모두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버너 보디(4)의 높이가 버너 보디(4)의 하면이나 지지통부(12)의 상단의 가공공차에 의하여 변화되어도, 각 결합 수컷부(421, 422)와 각 결합 암컷부(121, 122) 사이의 간극량은, 스로트부(42)의 삽입에 필요한 최소한의 삽입 클리어런스로 유지된다. 따라서 버너 보디(4)는 지지통부(12)상에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그런데 지지통부(12)의 내주면의 상부 가이드부(124)를 제외하는 상하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스로트부(42)의 외주면을 삽입 클리어런스분의 간격을 두고 결합시키고, 지지통부(12)에 대한 스로트부(42)의 결합장소의 길이를 길게 확보하는 것도 생각되지만, 이래서는 이하의 문제점이 생긴다. 즉 다량의 국물이 흘러 넘치면, 흘러넘친 국물이 버너 보디(4)의 하면을 타고, 지지통부(12)의 상단과 버너 보디(4)의 하면 사이에 생기는 미세한 간극으로부터 모세관 현상 등에 의하여 흘러넘친 국물이 지지통부(12)내로 침입하고, 흘러넘친 국물에 의하여 스로트부(42)가 지지통부(12)에 고착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지지통부(12)에 대한 스로트부(42)의 결합장소의 길이를 상기한 바와 같이 길게 하면,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고착력이 강하게 되어, 버너 보디(4)가 떼어내기 불가능이 되어버리는 경우가 있다.
또한 지지통부(12)의 내주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고착력 약화를 위하여 지름방향 외측으로 오목하게 들어가는 오목면부를 형성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오목면부는 지름방향으로 출몰 가능한 특수한 공구에 의하여 가공할 필요가 있으므로 가공이 번거로워지고 비용상승을 초래한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부의 결합 수컷부(422) 및 결합 암컷부(122)를 상부의 결합 수컷부(421) 및 결합 암컷부(121)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하고, 상부결합 수컷부(421)와 하부결합 수컷부(422) 사이에 직경 축소부(423)를 형성하고, 또한 상부결합 암컷부(121)의 하단을 상부결합 수컷부(421)의 하단보다도 하방에 위치시킴으로써, 상부결합 암컷부(121) 및 가이드부(123)와 직경 축소부(423) 사이에 넓은 간극이 확보된다. 그 때문에 지지통부(12)에 대한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스로트부(42)의 고착은 직경 축소부(423)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고착력을 약하게 할 수 있어, 버너 보디(4)가 떼어내기 불가능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지지통부(12)의 내주면의 상하방향 중간부에 오목면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가공이 용이하게 되어서 비용상승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스로트부(42)를 지지통부(12)에 삽입할 때에, 테이퍼 모양의 가이드부(123)에 의하여 스로트부(42)가 지지통부(12)와 동심이 되도록 안내되어, 하부결합 수컷부(422) 및 상부결합 수컷부(421)가 원활하게 하부결합 암컷부(122) 및 상부결합 암컷부(121)에 결합한다. 따라서 버너 보디(4)의 장착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다음에 도4, 도5에 나타내는 제2실시형태의 풍로용 버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실시형태의 풍로용 버너의 기본적인 구성은, 상기 제1실시형태의 것과 같으므로, 제1실시형태와 동일한 부재(部材), 부위에는 상기와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있다. 제2실시형태의 제1실시형태와의 차이점은, 하부결합 암컷부(122)의 원주방향 복수의 장소(예를 들면, 3군데)에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홈부(125)를 형성한 것이다.
이에 의하면, 지지통부(12)에 침입한 흘러넘친 국물을 홈부(125)를 통하여 지지통부(12)의 하방으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흘러넘친 국물이 지지통부(12)내에 체류하여 달라붙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므로, 흘러넘친 국물에 의한 스로트부(42)의 고착방지 기능이 향상된다.
또한, 제2실시형태에 있어서, 홈부(125)의 지름방향 외측의 홈면의 지름은 상부결합 암컷부(121)와 동일한 직경이고, 상부결합 암컷부(121)의 하단으로부터 가이드부(123) 및 하부결합 암컷부(122)의 상하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서 홈부(125)가 형성되어 있지만, 홈면의 지름을 상부결합 암컷부(121)보다도 작은 직경으로 하여 가이드부(123)의 하부로부터 하방으로 신장하도록 홈부(125)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스로트부(42)의 외주면의 상부와 하부의 결합 수컷부(421, 422) 사이에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직경 축소부(423)를 형성하고 있지만, 결합 수컷부(421, 422) 사이에 상부결합 수컷부(421)보다도 작은 직경의 원통모양의 직경 축소부를 형성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에, 직경 축소부의 지름은, 하부결합 수컷부(422)와 동일한 직경 또는 그 이하이더라도 좋다.
또한 상기 제2실시형태에서는, 하부결합 암컷부(122)에 상하방향으로 신장하고 흘러넘친 국물 배출용의 홈부(125)를 형성하고 있지만, 하부결합 수컷부(422)에 흘러넘친 국물 배출용의 홈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하부결합 암컷부(122)와 하부결합 수컷부(422)의 양자에 흘로넘친 국물 배출용의 홈부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A...풍로용 버너, 1...버너 홀더, 11...대좌부, 12...지지통부
121...상부결합 암컷부, 122...하부결합 암컷부, 123...가이드부
125...홈부, 2...가스노즐 4...버너 보디 42...스로트부
421...상부결합 수컷부, 422...하부결합 수컷부, 423...직경 축소부.

Claims (2)

  1. 풍로 본체에 고정된 버너 홀더(burner holder)상에 지지되는 버너 보디(burner body)를 구비하는 풍로용 버너(風爐用 burner)로서, 버너 보디는 그 하면 중앙부(下面 中央部)에 수직으로 설치한 통모양의 스로트부를 구비하고, 버너 홀더는 풍로 본체에 고정되는 대좌부(臺座部)와 대좌부의 상방(上方)에 설치된 지지통부(支持筒部)를 구비하고, 지지통부에 스로트부를 상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지지통부의 상단(上端)에 버너 보디의 하면(下面)을 착좌시키도록 하고, 대좌부에 스로트부의 하단 개구(下端 開口)를 향하여 연료가스를 분출하는 가스노즐을 설치하고, 스로트부의 하단 개구로부터 흡입되는 1차공기와 연료가스의 혼합기체가 버너 보디내로 공급되도록 한 것에 있어서,
    스로트부의 외주면(外周面)에, 원통모양의 상부결합 수컷부와, 상부결합 수컷부에서 하방(下方)으로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고 상부결합 수컷부보다 작은 직경(直徑)의 원통모양의 하부결합 수컷부와, 상부와 하부의 결합 수컷부 사이에 위치하고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 또는 상부결합 수컷부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모양의 직경 축소부가 형성되고,
    지지통부의 내주면(內周面)에, 원통모양이며 상부결합 수컷부가 삽입 클리어런스(揷入 clearance)분의 간격을 두고 결합하는 상부결합 암컷부와, 상부결합 암컷부에서 하방으로 떨어진 부분에 위치하고 상부결합 암컷부보다 작은 직경의 원통모양이며 하부결합 수컷부가 삽입 클리어런스분의 간격을 두고 결합하는 하부결합 암컷부와, 상부와 하부의 결합 암컷부 사이에 위치하고 하방을 향하여 직경이 작아지는 테이퍼 모양의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부결합 암컷부의 상하방향 길이는, 지지통부의 상단에 버너 보디의 하면이 착좌한 상태에서 상부결합 수컷부의 하단보다도 상부결합 암컷부의 하단이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용 버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결합 암컷부와 상기 하부결합 수컷부의 적어도 일방에, 상하방향으로 신장하는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로용 버너.
KR1020120031691A 2011-04-08 2012-03-28 풍로용 버너 KR101278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086357 2011-04-08
JP2011086357A JP5373842B2 (ja) 2011-04-08 2011-04-08 コンロ用バーナ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8102B1 true KR101278102B1 (ko) 2013-06-24

Family

ID=46968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691A KR101278102B1 (ko) 2011-04-08 2012-03-28 풍로용 버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5373842B2 (ko)
KR (1) KR101278102B1 (ko)
CN (1) CN102734845B (ko)
MY (1) MY155989A (ko)
SG (1) SG193415A1 (ko)
TW (1) TWI452236B (ko)
WO (1) WO20121375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90351B2 (en) * 2009-02-10 2020-06-23 Bsh Home Appliances Corporation Home cooking appliance having a pedestal burner
JP6842957B2 (ja) * 2017-03-14 2021-03-17 リンナイ株式会社 コンロバーナ
JP7338860B2 (ja) * 2019-08-27 2023-09-05 株式会社パロマ コンロバーナ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2220A (ja) * 1984-03-26 1985-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ナ装置
JP2011052947A (ja) 2009-09-04 2011-03-17 Rinnai Corp コンロ用バーナ
JP5179442B2 (ja) 2009-06-18 2013-04-10 リンナイ株式会社 センサ付きコンロ用バーナ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4189A (en) * 1971-05-12 1972-08-15 Zink Co John Pressurized fuel burner
JPS5518658Y2 (ko) * 1975-04-04 1980-05-01
JPS5992327U (ja) * 1982-12-10 1984-06-2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ガスバ−ナ
JPS63259322A (ja) * 1987-04-13 1988-10-26 Rinnai Corp コンロバーナ
US6537065B1 (en) * 2002-04-04 2003-03-25 Viking Range Corporation Sealed gas burner
CN100520186C (zh) * 2003-07-11 2009-07-29 柴文龙 燃气灶
US20060024632A1 (en) * 2004-07-29 2006-02-02 Sanchez Jairo E Gas burner head with extra simmer, burner base assembly and combination thereof
JP4346600B2 (ja) * 2005-10-27 2009-10-21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燃焼器
JP5106263B2 (ja) * 2008-06-19 2012-12-26 リンナイ株式会社 ガスコンロ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02220A (ja) * 1984-03-26 1985-10-1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バ−ナ装置
JP5179442B2 (ja) 2009-06-18 2013-04-10 リンナイ株式会社 センサ付きコンロ用バーナ
JP2011052947A (ja) 2009-09-04 2011-03-17 Rinnai Corp コンロ用バー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452236B (zh) 2014-09-11
CN102734845B (zh) 2014-11-05
JP2012220106A (ja) 2012-11-12
SG193415A1 (en) 2013-10-30
TW201248087A (en) 2012-12-01
WO2012137505A1 (ja) 2012-10-11
MY155989A (en) 2015-12-31
CN102734845A (zh) 2012-10-17
JP5373842B2 (ja) 201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481986B1 (en) Gas turbine combustor
KR101278102B1 (ko) 풍로용 버너
JP2006275482A (ja) バーナ
US20140311151A1 (en) Gas turbine combustor
EP2833060A1 (en) Gas burner for a cooktop
JP4481182B2 (ja) ガスコンロ
JP5613186B2 (ja) コンロバーナ
JP2013120020A (ja) コンロバーナ用ガスノズル
WO2014207782A1 (ja) コンロバーナ
KR20130096329A (ko) 풍로용 버너
JP2012122713A (ja) コンロ用バーナ
JP6840468B2 (ja) ガスタービン燃焼器
SG193431A1 (en) Concentric burner
TWI447330B (zh) Furnace burner
JP2000074320A (ja) ガスコンロ用バーナ
JP5276080B2 (ja) ガスコンロ
CN111964103A (zh) 一种燃烧器炉头
CN213334371U (zh) 一种带燃气梳理装置的炉头
CN216307785U (zh) 一种用于燃气灶的燃烧器
KR200309319Y1 (ko) 예혼합가스 버너
CN220506715U (zh) 一种外环火盖及燃烧器
CN211084059U (zh) 一种用于安装防干烧结构和燃烧器引射管的基架
US20220163199A1 (en) Burner assemblies for a cooktop
CN220669510U (zh) 一种燃烧器安装定位结构
JP2016200374A (ja) ガスコン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