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4770B1 -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 - Google Patents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4770B1
KR101274770B1 KR1020100115610A KR20100115610A KR101274770B1 KR 101274770 B1 KR101274770 B1 KR 101274770B1 KR 1020100115610 A KR1020100115610 A KR 1020100115610A KR 20100115610 A KR20100115610 A KR 20100115610A KR 101274770 B1 KR101274770 B1 KR 101274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ty
safety net
impact
laser
measur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56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4299A (ko
Inventor
여인환
옥치열
안재홍
민병렬
인기호
신정용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1156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477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4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4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4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3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 G01N3/303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a single impulsive force, e.g. by falling weight generated only by free-falling weigh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2203/003Generation of the force
    • G01N2203/0032Generation of the force using mechanical means
    • G01N2203/0039Hammer or pendul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Strength Of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AREA)

Abstract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는 안전망창이 고정되는 기본 프레임과, 시험추를 일정높이에서 낙하시켜 기본 프레임에 고정된 안전망창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 재하 유닛과, 시험추에 의한 충격에 의해 안전망창의 후면 변형이 일정범위를 넘으면 레이저가 차단되어 경고를 알리는 변형량 측정유닛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에 의하면, 안전망창에 충격을 가하여 변형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건축용 안전망창에 대한 안정성 시험 기준을 제공하고, 표준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EQUIPMENT FOR TESTING IMPACT CHARACTERISTIC OF MESH WINDOW FOR BUILDING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에 사용되는 안전망창의 내충격성을 시험하기 위한 장비에 관한 것이다.
현재 국내의 주택현황은 단독이나 연립 등의 주택유형보다 주거밀도가 높은 고밀형 공동주택으로 급속히 대체되고 있다. 매년 공급되는 주택의 상당수가 중고층형의 아파트이고, 이러한 고밀고층형 공동주택의 급속한 보급과 같이하여 주택에서의 안전사고 또한 증가하고 있다.
한국소비자보호원의 '2007년 어린이 안전사고 유형별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소비자보호원에 접수된 14세 이하 어린이의 안전사고는 2005년 4,040건에서 2006년에는 4,541건으로 12.4% 증가하였다.
어린이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연령대는 6세 이하의 아동이며, 전체사고의 70.2%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사고 장소는 가정이 60.8%로써 주로 거주하는 집안에서 사고빈도가 높게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사고 유형별로는 추락, 넘어짐 등이 47.3%로 가장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공동주택 등에서의 어린이 안전사고는 최근 들어 여러 언론 보도 등을 통해 알려진 바와 같이 그 사례가 증가하고 있으며, 특히 오늘날 대표적인 주거유형인 중·고층형 공동주택의 경우 추락 등의 안전사고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어 저층에서의 방범사고와 함께 그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각종 공동주택 추락사고 관련 보도는 안전망창(방충망)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으며, 안전망창에 안전기능을 부가하여 어린이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점을 보도하고 있다. 실제 공동주택 창호에는 거의 예외 없이 방충망이 설치되어 있지만 안전망창의 안전성에 대한 제도적 기준 및 시험장비가 전무한 것이 문제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공동주택에서 어린이 충격시 외부 방충망의 이탈 또는 파손에 의한 추락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책으로써 안전망창의 추락방지 성능기준을 마련하고 표준화방안을 제시하며 그에 따른 시험 장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는 건축용 안전망창이 고정되는 기본 프레임; 상기 안전망창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 재하 유닛;및 상기 충격 재하 유닛에 의해 가해진 충격에 의한 상기 안전망창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변형량 측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충격 재하 유닛은 일정높이에서 낙하하는 시험추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망창에 충격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험추는 와이어에 의해 지지부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충격 재하 유닛은 상기 시험추를 후방으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변형량 측정유닛은 상기 안전망창의 어느 일단에서 레이저를 발생시켜 타단에서 이를 수신하는 레이저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변형량 측정유닛은 상기 레이저 측정부에 의한 레이저가 차단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변형 신호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기본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프레임;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시험추는 직경이 28cm이고 하중이 38.4 kg인 추로 구성되어 300mm의 높이에서 낙하하고, 상기 와이어는 3m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레이저 측정부는 상기 안전망창의 후방 80mm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에 의하면, 안전망창에 충격을 가하여 변형상태를 측정할 수 있으므로 건축용 안전망창에 대한 안정성 시험 기준을 제공하고, 표준화 방안을 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에 대한 수치 체계를 개략적으로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의 시험추를 보인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는 대상체인 안전망창을 지지하기 위한 기본 프레임; 상기 안전망창에 충격을 가하기 위한 충격 재하 유닛;및 상기 충격 재하 유닛에 의해 충격이 가해진 안전망창의 변형 여부를 측정하기 위한 변형량 측정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기본 프레임(10)은 시험 대상체인 안전망창(1)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프레임(11)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의 양단에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프레임(13)과, 상기 두 개의 가이드 프레임(13) 사이를 연결하는 이동 프레임(15)을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은 기본 지지체가 되는 것으로서, 바퀴와 같은 이동수단(1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11)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 프레임(13)이 직립하여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3) 사이에는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 프레임(15)이 구비된다.
상기 이동 프레임(15)은 상기 가이드 프레임(13)에 구비되는 가이드 와이어(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 프레임(13)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1)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13) 사이에 안전망(1)을 안착시키고, 상기 이동 프레임(15)을 이동시켜 상기 안전망창(1)의 상단을 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안전망창(1)을 상기 기본 프레임(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11), 상기 가이드 프레임(13), 및 상기 이동 프레임(15)에는 상기 안전망창(1)을 고정시키기 위한 볼트 및 너트와 같은 별도의 고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충격 재하 유닛(20)은 상기 기본 프레임(10)에 고정되어 있는 안전망창(1)에 충격을 가하기 위한 역할을 한다. 상기 충격 재하 유닛(20)은 상기 기본 프레임(10)과 일체로 또는 별도로 구비되고, 상방으로 연장되어 아래에서 설명할 시험추(25)를 지지하는 지지부(21)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21)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ㄱ'자 형상의 선단에는 와이어(23)에 의해 매달려 있는 시험추(25)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21)는 상하 높이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시험추(25)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모래와 같은 내용물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추이다. 상기 시험추(25)에는 상기 시험추(25)를 견인하여 일정거리를 낙하시키기 위한 로프와 같은 견인부(27)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본프레임(10)에서 상기 충격 재하 유닛(20)이 위치한 면의 반대면에는 상기 충격 재하 유닛(20)에 의해 충격이 가해진 안전망창(1)의 변형 상태를 측정하기 위한 변형량 측정유닛(30)이 구비된다.
상기 변형량 측정유닛(30)은 레이저의 단속 여부에 따라 상기 안전망창(1)의 변형 상태를 측정하는 레이저 측정부(31)를 포함한다. 상기 레이저 측정부(31)는 레이저를 발생시키는 레이저 생성부(33)와, 상기 레이저 생성부(33)에 의해 발생된 레이저를 수신하는 레이저 수신부(35)를 포함한다.
상기 안전망창(1)에 충격이 가해져 일정 범위 이상의 변형이 발생한 경우에는, 상기 레이저 생성부(33)에 의해 발생된 레이저가 차단되어 상기 레이저 수신부(35)에서 감지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안전망창(1)의 변형량을 측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변형량 측정유닛(30)은 상기 레이저 측정부(31)에 의해 상기 안전망창(1)의 변형 상태가 기준치를 초과한 상태를 알리기 위한 변형 신호부(37)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 신호부(37)는 상기 안전망창(1)에 일정 범위 이상의 변형이 발생하여 레이저 수신이 되지 않는 경우에, 경고등이나 알람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안전망창(1)이 기준에 적합하지 않음을 알려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를 구성하는 각 구성요소에 대한 무게 및 치수는 아래와 같은 근거에 의해 설정된다.
먼저, 상기 시험추(25)의 무게 및 낙하 높이는 소아청소년 신체발육표준치 제정위원회에서 제시한 2007년도 소아 발육 표준치를 참고하였으며, 이에 따라 국내 5세 어린이의 표준 몸무게인 18.65㎏의 몸무게와 ASTM 2090(Standard Specification for Window Fall Prevention Devices With Emergency Escape (Egress) Release Mechanisms) 규정한 6세 어린이의 전력질주 속도의 50%정도인 3.48 ㎧2을 적용하여, 112.9 Nm의 에너지를 안전망창(1)에 직접 가력하도록 산정하였다.
먼저, 상기 시험추(25)는 반경이 28cm이고, 38.4 kg의 무게를 가지며, 300mm 높이에서 지름 3m의 원호를 따라 자유 낙하시킴으로써 상기 안전망창(1)에 충격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시험추(25)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에너지는 상기에서 설명한 112.9 Nm가 된다.
그리고, 상기 시험추(25)에 의해 충격이 가해진 안전망창(1)의 후면 변형은 80mm를 넘지 않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변형량 측정유닛(3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는 안전망창(1)의 후면으로부터 80mm 정도 이격된 지점에 위치하도록 상기 변형량 측정유닛(30)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안전망창(1)의 크기는 SMA 6001에서 규정하고 있는 중간선틀 없는 시험체 최소 크기 900㎜×1,500㎜를 참고로 하되 현재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일반적인 규격치를 고려하여 최소크기를 900㎜×1,200㎜로 선정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는 안전망창(1)을 기본프레임(10)에 고정시키고, 충격 재하 유닛(20)의 시험추(25)를 일정높이에서 낙하시켜 상기 안전망창(1)에 충격을 가하고, 충격에 의한 안전망창(1)의 후면 변형이 일정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변형량 측정유닛(30)이 이를 감지하여 알려줌으로써 안전망창의 내충격성을 시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본 프레임 11 : 베이스 프레임
13 : 가이드 프레임 15 : 이동 프레임
20 : 충격 재하 유닛 21 : 지지부
23 : 와이어 25 : 시험추
27 : 견인부 30 : 변형량 측정 유닛
31 : 레이저 측정부 37 : 변형 신호부

Claims (9)

  1. 건축용 안전망창이 고정되는 기본 프레임;
    일정높이에서 낙하하는 시험추를 이용하여 상기 안전망창에 충격을 가하는 충격 재하 유닛;및
    상기 안전망창의 어느 일단에서 레이저를 발생시켜 타단에서 이를 수신하는 레이저 측정부에 의해 상기 충격 재하 유닛에 의해 가해진 충격에 의한 상기 안전망창의 변형량을 측정하는 변형량 측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시험추는 직경이 28cm이고 하중이 38.4 kg인 추로 구성되어 300mm의 높이에서 낙하하고,
    상기 시험추는 3m의 길이를 가지는 와이어에 의해 상기 기본 프레임에 연결되고,
    상기 변형량 측정유닛은
    상기 레이저 측정부에 의한 레이저가 차단되면 경보를 발생시키는 변형 신호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본 프레임은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프레임;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 사이를 연결하고, 상하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이동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 측정부는
    상기 안전망창의 후방 80mm 지점에 설치되는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험추는
    와이어에 의해 지지부와 연결되는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재하 유닛은
    상기 시험추를 후방으로 견인하기 위한 견인부를 포함하는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00115610A 2010-11-19 2010-11-19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 KR101274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610A KR101274770B1 (ko) 2010-11-19 2010-11-19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5610A KR101274770B1 (ko) 2010-11-19 2010-11-19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299A KR20120054299A (ko) 2012-05-30
KR101274770B1 true KR101274770B1 (ko) 2013-06-14

Family

ID=46270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5610A KR101274770B1 (ko) 2010-11-19 2010-11-19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47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3614A (zh) * 2016-06-08 2016-09-28 郑州荥阳宇航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车窗道路试验模拟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70384A (zh) * 2016-12-13 2017-02-01 郑州云海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跌落测试方法及装置
CN111766132A (zh) * 2020-07-15 2020-10-13 华北水利水电大学 一种金属网抗拉质量检测装置及其操作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703A (ja) * 1992-05-11 1993-11-22 Calp Corp 振り降ろし式衝撃試験機
JP2908987B2 (ja) * 1994-08-03 1999-06-23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陶磁器の衝撃強度測定装置
JPH11304680A (ja) * 1998-04-23 1999-11-05 Citizen Watch Co Ltd 衝撃試験機
KR20100060057A (ko) * 2008-11-27 2010-06-07 주식회사 케피코 복합 낙하시험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12703A (ja) * 1992-05-11 1993-11-22 Calp Corp 振り降ろし式衝撃試験機
JP2908987B2 (ja) * 1994-08-03 1999-06-23 株式会社ノリタケカンパニーリミテド 陶磁器の衝撃強度測定装置
JPH11304680A (ja) * 1998-04-23 1999-11-05 Citizen Watch Co Ltd 衝撃試験機
KR20100060057A (ko) * 2008-11-27 2010-06-07 주식회사 케피코 복합 낙하시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73614A (zh) * 2016-06-08 2016-09-28 郑州荥阳宇航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车窗道路试验模拟装置
CN105973614B (zh) * 2016-06-08 2019-04-05 郑州荥阳宇航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车窗道路试验模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4299A (ko)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4770B1 (ko) 건축용 안전망창 내충격성 시험장비
CN207435895U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公路桥梁用防护拦
KR102189851B1 (ko) 재난 예·경보 및 붕괴감지 기능이 구비된 낙석 방지장치
KR20200004981A (ko) 건축물에서 추락하는 사람을 구조하기 위한 안전망 장치
CN111576242A (zh) 一种具有侧边扶手的桥梁施工防掉落装置
KR200447352Y1 (ko) 낙석방지책
CN213087676U (zh) 一种电力施工用安全防护栏
CN212950565U (zh) 一种轨道交通用站台门底部支撑机构
JP2014205525A (ja) 構造部材の落下防止構造
CN215626062U (zh) 一种防止电梯轿厢意外移动的装置
CN207180564U (zh) 一种电梯多功能检验尺
JP2013217171A (ja) 津波・洪水など非常事態時の避難装置
CN207659875U (zh) 限高装置
JP3854259B2 (ja) 防火シャッタ用安全装置
CN219167557U (zh) 一种楼层防护装置
CN213896749U (zh) 一种高架桥防高空丢物围栏
CN210214521U (zh) 一种自动扶梯防小孩攀爬扶手保护装置
CN217479948U (zh) 一种桥梁检测用吊篮
CN209907889U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建筑施工脚手架
CN217840974U (zh) 建筑施工用安全防坠落装置
CN212906565U (zh) 地灾报警装置
KR102622439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비상장비를 갖춘 난간대 및 그 시공방법
CN115234082B (zh) 一种桥梁施工用具有回拉功能的防护围栏
CN211158225U (zh) 一种房屋建筑逃生结构
CN216786824U (zh) 一种公路桥梁用安全护栏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