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3110B1 - 두 가구용 주택 - Google Patents
두 가구용 주택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273110B1 KR101273110B1 KR1020120096515A KR20120096515A KR101273110B1 KR 101273110 B1 KR101273110 B1 KR 101273110B1 KR 1020120096515 A KR1020120096515 A KR 1020120096515A KR 20120096515 A KR20120096515 A KR 20120096515A KR 101273110 B1 KR101273110 B1 KR 10127311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urniture
- room
- courtyard
- kitchen
- hou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05—Modulation co-ordin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02—Dwelling houses; Buildings for temporary habitation, e.g. summer houses
- E04H1/04—Apartment houses arranged in two or more level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2001/0053—Build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layout grid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2001/0053—Building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layout grid
- E04B2001/0084—Buildings with non right-angled horizontal layout grid, e.g. triangular or hexago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sidential Or Office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 가구용 주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정(20)과, 상기 중정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아지는 평면을 가지는 제1가구(100), 상기 중정(20)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아지는 평면을 가지고 바닥면이 상기 제1가구(100)의 천장 슬라브가 되는 제2가구(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가구가 중정을 둘러 스킵플로어 형식(반층씩 바닥을 어긋나게 한 구조)의 평면을 가지므로, 각 실마다 프라이버시 확보되고, 두 가구가 모두 대지의 전면에 접할 수 있도록 되어 대지의 전망을 충분히 경험하며, 채광 및 환기에도 유리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두 가구용 주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한 필지를 두 가구가 공유하도록 지어진 형태의 주택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한 개의 필지에 두 가구가 나란히 지어진 형태의 집이 유행하고 있다. 이러한 집을 땅콩집이라고 하며 두 집이 벽을 맞닿아 붙어있는 형태가 땅콩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미국에서는 듀플렉스 홈(Duplex home)으로 불린다.
이러한 두 가구용 주택은 사실상 두 가구가 가격을 나눠 부담하기 때문에 용지 매입과 건축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사 기간도 짧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두 가구용 주택의 1층 평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종래의 두 가구용 주택은 두 집이 중앙의 벽을 맞닿아 붙어있는 형태이며, 하나의 필지를 두 가구가 반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구조이다. 각 가구는 보통 1층에 거실과 주방이 배치되고 2층에 안방과 자녀방이 배치된다.
이러한 종래의 두 가구용 주택은 대지를 양분해야하기 때문에 앞뒤로 긴 평면구성을 가지게 되어 채광 및 환기 등에서 단점이 있다.
또한, 1층에 거실과 주방이 배치되고 2층에 안방과 자녀방이 배치되기 때문에 1층 거실이 외부와 직접적으로 노출이 되어 프라이버시가 문제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1층에 방을 배치하기도 하는데, 1층에 사적인 공간을 배치하다 보면 답답한 느낌을 줄 수밖에 없다.
그리고, 종래의 두 가구용 주택은 하나의 대지를 반으로 나누어 쓰기 때문에, 각 가구가 대지의 네 면을 모두 경험할 수 없으며, 한정된 전망을 가질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각 공간과 실의 레벨을 달리하여 프라이버시를 확보하고, 두 가구 모두가 대지의 전면에 접할 수 있도록 구성된 두 가구용 주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중정, 상기 중정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아지는 평면을 가지는 제1가구, 그리고 상기 중정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아지는 평면을 가지고 바닥면이 상기 제1가구의 천장 슬라브가 되는 제2가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중정; 나사 방식으로 상기 중정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아지는 각 실을 가지는 제 1 가구; 및, 나사 방식으로 상기 중정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아지는 각 실을 가지는 제 2 가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구의 각 실의 바닥면이 상기 제 1 가구의 각 실의 천장 슬라브가 되고, 다시 상기 제 2 가구의 각 실의 천장 슬라스가 상기 제 1 가구의 각 실의 바닥면이 되는, 두 가구용 주택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제1가구의 일부 바닥면이 상기 제2가구의 천장 슬라브가 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가구와 제2가구는 각각이 대지의 4면 방향의 전망을 모두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가구와 제2가구의 입구는 상기 중정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가구가 중정을 둘러 스킵플로어 형식(반층씩 바닥을 어긋나게 한 구조)의 평면을 가지므로, 각 실마다 프라이버시 확보가 용이하고, 두 가구가 모두 대지의 전면에 접할 수 있도록 되어 대지의 전망을 충분히 경험할 수 있다.
또한, 각 가구가 외기에 접하는 면이 많기 때문에 채광과 환기 등에서 쾌적한 거주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스킵플로어와 중정을 이용한 다양하고 유기적인 공간구성으로서 거주자들의 상호 커뮤니티 향상에 기여하며, 보다 넓고 크고 깊은 공간 사용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두 가구용 주택을 보인 1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구용 주택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가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가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구용 주택을 보인 1층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구용 주택을 보인 2층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구용 주택을 보인 3층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구용 주택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가구의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2가구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구용 주택을 보인 1층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구용 주택을 보인 2층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두 가구용 주택을 보인 3층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두 가구용 주택을 개략적으로 보인 사시도로서, 도 2의 (a)는 제 1 가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b)는 제 2 가구의 분리 사시도이며, (c)는 제 1 가구 및 제 2 가구의 결합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제2가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 두 가구용 주택의 중앙에는 중정(20)이 형성된다. 상기 중정(20)은 대지(10)의 기준면(GL: ground level) 보다 1m 높은 곳에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대지(10)에서 상기 중정(20)으로의 진입은 주출입계단(11)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1가구(100)는 상기 중정(20)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아지는 평면을 가진다. 실제로 반드시 각 실이 반층씩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각 실이 높이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다. 건축분야에서는 이러한 평면구조를 스킵플로어라고 한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각 실이 높이차를 가지는 것을 반층씩 차이나는 것으로 설명한다.
제1가구(100)는 상기 중정(20)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아지는 평면을 가진다. 실제로 반드시 각 실이 반층씩 높아지는 것은 아니며 각 실이 높이차를 가지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다. 건축분야에서는 이러한 평면구조를 스킵플로어라고 한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는 각 실이 높이차를 가지는 것을 반층씩 차이나는 것으로 설명한다.
삭제
도 3을 참조하여 제1가구(100)의 평면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1가구(100)는 주방(113)을 기준으로 상기 중정(20)을 둘러 반층씩 높게 형성되는 거실(119), 안방(120), 제3침실(130)을 가지며, 상기 주방(113)에서 반층 낮게는 제1침실(114)과 제2침실(115)이 형성된다.
먼저 제1가구(100)의 현관(111)은 상기 중정(20)과 동일한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정(20)을 통해 상기 제1가구(100)의 현관(111)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1가구(100)의 주방(113)은 현관(111)과 동일한 높이로 구성하여, 현관(111)을 통해 주방(113)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제1침실(114)과 제2침실(115)은 상기 주방(113) 보다 반층 낮은 곳에 배치되어, 상기 제1침실(114)과 제2침실(115)로 들어가려면 상기 주방(113)에서 계단을 내려가야 한다.
상기 주방(113)과 같은 높이에는 보조주방(116)과 메인화장실(118)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방(113)에서 반층 높은 위치에는 거실(119)이 배치된다. 즉, 상기 주방(113)에서 계단을 올라가면 거실(1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실(119)에서 반층을 올라가면 안방(120)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안방(120) 옆에 상기 중정(20)을 둘러 형성된 계단을 올라가면 제3침실(130)이 형성된다. 또한, 제3침실(130)과는 옥상(140)이 연결된다.
이와 같이, 제1가구(100)는 상기 중정(20)을 둘러 형성되는 계단을 따라 대략 반층씩 높이차를 가지는 각 실(주방, 안방, 침실 등)을 가지는 것이다. 각 실에는 높이차가 있으므로, 공간 분리가 확실하게 되고 각 공간마다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실이 상기 중정(20)을 둘러가며 형성되면서, 제1가구(100)가 대지(10)의 4면에 모두 접하게 되고, 각 실 마다 조망이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채광과 환기에도 유리하다.
한편, 거실(119)이 주방(113) 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여 대지(10)를 기준으로 보았을 때 거실(119)이 2층 높이에 있게 된다. 따라서 가구원들이 주로 사용하는 거실(119)의 프라이버시가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제2가구(200)의 평면구조를 설명한다.
상기 제2가구(200)는 주방(213)을 기준으로 상기 중정(20)을 둘러 반층씩 높게 형성되는 거실(219), 제1및 제2침실(214,215), 안방(220)을 순서대로 가지며, 제2가구(200)의 주방(213)을 제외한 각 실의 바닥면은 상기 제1가구(100)의 천장 슬라브가 된다.
먼저 제2가구(200)의 현관(211)은 상기 중정(20)과 동일한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정(20)을 통해 상기 제2가구(200)의 현관(211)으로 들어갈 수 있다.
상기 제2가구(200)의 주방(213)은 현관(211)과 동일한 높이로 구성하여, 현관(211)을 통해 주방(213)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주방(213) 옆에는 보조주방(216)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방(213)에서 반층 높은 위치에는 거실(219)이 배치된다. 즉, 상기 주방(213)에서 계단을 올라가면 거실(219)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거실(219)에서 반층을 올라가면 제1 및 제2침실(214,215)이 구비된다. 상기 제1 및 제2침실(214,215)과 같은 높이에는 메인화장실(218)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침실(214,215)에서 반층 높은 위치에는 안방(220)이 배치되고, 상기 안방(220) 옆에 상기 중정(20)을 둘러 형성된 계단을 올라가면 제3침실(2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3침실(230)과는 옥상(240)이 연결된다.
도 2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가구(200)의 바닥면은 상기 제1가구(100)의 천장 슬라브가 된다. 즉, 제2가구(200)의 제1 및 제2침실(214,215)은 제1가구(100)의 주방(113) 위층에 배치되고, 제2가구(200)의 안방(220)은 제1가구(100)의 거실(119) 위층에, 제2가구(200)의 제3침실(230)은 제1가구(100)의 안방(120) 위층에 배치되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가구와 제 2 가구는 각각 나사 방식(screw type)으로 중정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이지면서 각 식을 이루는데, 이 때, 제 1 가구의 나사산(screw ridge; 도 2 (a)의 r1 참조)은 제 2 가구의 나사홈(groove; 도 2 (b)의 g2 참조)과 결합되면서 두 가구가 형성되는 나사 방식으로 두 가구용 주택이 형성된다.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가구와 제 2 가구는 각각 나사 방식(screw type)으로 중정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이지면서 각 식을 이루는데, 이 때, 제 1 가구의 나사산(screw ridge; 도 2 (a)의 r1 참조)은 제 2 가구의 나사홈(groove; 도 2 (b)의 g2 참조)과 결합되면서 두 가구가 형성되는 나사 방식으로 두 가구용 주택이 형성된다.
한편, 제1가구(100)의 일부 공간의 바닥면이 제2가구(200)의 천장 슬라브가 될 수도 있는데, 예를 들어 제1가구(100)의 안방(120)이 제2가구(200)의 주방(213) 위층에 배치되고, 제1가구(100)의 제3침실(130)이 제2가구(200)의 제1및 제2침실(214,215) 위층에 배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제2가구(200)도 상기 중정(20)을 둘러 형성되는 계단을 따라 소정의 높이차를 가지는 각 실(주방, 안방, 침실 등)을 가지므로, 각 실마다 공간 분리가 확실하게 되고 각 공간마다 프라이버시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공간이 계단실을 통해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풍부한 공간 연출이 가능하고, 계단 자체가 의장적 요소로 활용될 수 있으며, 계단을 따라 형성되는 벽면에 그림이나 사진 등을 걸어 전시공간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제2가구(200)가 대지(10)의 4면에 모두 접하게 되어, 채광과 환기 등에서 쾌적한 공간 연출이 가능하고, 대지(10)의 4면의 전망을 모두 경험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각 가구의 일부를 분리하여 부분임대를 주는 것이 용이해진다. 예를 들어 상기 제1가구(100)의 제1 및 제2침실(114,115) 부분을 제1가구(100)에서 분리하고 부분임대를 줄 수도 있다. 이때에는 대지(10)에서 제1 및 제2침실(114,115) 중 어느 하나로 출입하는 출입구를 별도로 만들어야 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제2가구(200)에서는 주방(213)의 일부분을 제2가구(200)에서 분리설계하여 부분임대를 줄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소한의 구조변경을 통해서 부분임대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평면은 건축주의 장래의 임대소득을 높여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 주방, 안방, 거실, 침실이라는 용어는 높이차에 의해 구획되는 각 실을 용도에 따라 구분한 것이며, 각 실이 반드시 기재된 용어에 해당되는 용도로만 한정되지는 않을 것이다.
10: 대지 11: 주출입구계단
20: 중정 100: 제1가구
111: 제1가구 현관 113: 제1가구 주방
114: 제1가구 제1침실 115: 제1가구 제2침실
116: 제1가구 보조주방 118: 제1가구 화장실
119: 제1가구 거실 120: 제1가구 안방
130: 제1가구 제3침실 140: 제1가구 옥상
200: 제2가구 211: 제2가구 현관
213: 제2가구 주방 214: 제2가구 제1침실
215: 제2가구 제2침실 216: 제2가구 보조주방
218: 제2가구 화장실 219: 제2가구 거실
220: 제2가구 안방 221: 제2가구 테라스
230: 제2가구 제3침실 240: 제2가구 옥상
20: 중정 100: 제1가구
111: 제1가구 현관 113: 제1가구 주방
114: 제1가구 제1침실 115: 제1가구 제2침실
116: 제1가구 보조주방 118: 제1가구 화장실
119: 제1가구 거실 120: 제1가구 안방
130: 제1가구 제3침실 140: 제1가구 옥상
200: 제2가구 211: 제2가구 현관
213: 제2가구 주방 214: 제2가구 제1침실
215: 제2가구 제2침실 216: 제2가구 보조주방
218: 제2가구 화장실 219: 제2가구 거실
220: 제2가구 안방 221: 제2가구 테라스
230: 제2가구 제3침실 240: 제2가구 옥상
Claims (5)
- 중정;
나사 방식으로 상기 중정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아지는 각 실을 가지는 제 1 가구; 및,
나사 방식으로 상기 중정을 둘러가며 반층씩 높아지는 각 실을 가지는 제 2 가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 가구의 각 실의 바닥면이 상기 제 1 가구의 각 실의 천장 슬라브가 되고, 다시 상기 제 2 가구의 각 실의 천장 슬라스가 상기 제 1 가구의 각 실의 바닥면이 되는,
두 가구용 주택.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구의 일부 바닥면이 상기 제2가구의 천장 슬라브가 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구용 주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가구 및 상기 제 2 가구 각각이 대지의 4면 방향의 전망을 모두 확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구용 주택.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구와 제2가구의 입구는 상기 중정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 가구용 주택.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6515A KR101273110B1 (ko) | 2012-08-31 | 2012-08-31 | 두 가구용 주택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96515A KR101273110B1 (ko) | 2012-08-31 | 2012-08-31 | 두 가구용 주택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73110B1 true KR101273110B1 (ko) | 2013-06-13 |
Family
ID=48866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96515A KR101273110B1 (ko) | 2012-08-31 | 2012-08-31 | 두 가구용 주택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73110B1 (ko)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6581B1 (ko) | 2013-05-29 | 2014-02-04 | (주)이앤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두 가구용 주택 |
CN106760639A (zh) * | 2017-03-20 | 2017-05-31 | 中山市博林树投资管理有限公司 | 一种具有社交功能的群居性住宅 |
CN106907026A (zh) * | 2017-04-26 | 2017-06-30 | 金科地产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退台式别墅 |
CN109853996A (zh) * | 2019-04-02 | 2019-06-07 | 衡阳市金铭环境科技有限公司 | 空中叠加式庭院别墅与楼群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53315A (ja) | 2003-05-29 | 2004-12-16 | Sumitomo Forestry Co Ltd | 二世帯住宅 |
JP2005036584A (ja) | 2003-07-18 | 2005-02-10 | Asahi Kasei Homes Kk | 2棟建て住宅 |
KR20070054976A (ko) * | 2005-11-24 | 2007-05-30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
KR20090110981A (ko) * | 2008-04-21 | 2009-10-26 | 랜드마크씨앤디(주) | 복층 아파트 |
-
2012
- 2012-08-31 KR KR1020120096515A patent/KR10127311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53315A (ja) | 2003-05-29 | 2004-12-16 | Sumitomo Forestry Co Ltd | 二世帯住宅 |
JP2005036584A (ja) | 2003-07-18 | 2005-02-10 | Asahi Kasei Homes Kk | 2棟建て住宅 |
KR20070054976A (ko) * | 2005-11-24 | 2007-05-30 |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 단위세대내 층고변화가 있는 다층 주택 구조 |
KR20090110981A (ko) * | 2008-04-21 | 2009-10-26 | 랜드마크씨앤디(주) | 복층 아파트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56581B1 (ko) | 2013-05-29 | 2014-02-04 | (주)이앤파트너스건축사사무소 | 두 가구용 주택 |
CN106760639A (zh) * | 2017-03-20 | 2017-05-31 | 中山市博林树投资管理有限公司 | 一种具有社交功能的群居性住宅 |
CN106907026A (zh) * | 2017-04-26 | 2017-06-30 | 金科地产集团股份有限公司 | 一种退台式别墅 |
CN109853996A (zh) * | 2019-04-02 | 2019-06-07 | 衡阳市金铭环境科技有限公司 | 空中叠加式庭院别墅与楼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3110B1 (ko) | 두 가구용 주택 | |
KR20160014731A (ko) | 주택형 아파트 | |
KR101314742B1 (ko) | 테라스를 갖는 아파트 구조 | |
CN106150126A (zh) | 一种小公摊型高层复式住宅楼 | |
KR20190090169A (ko) | 공용주택 | |
JP4445525B2 (ja) | ロフト付き集合住宅 | |
KR101356581B1 (ko) | 두 가구용 주택 | |
JP4095523B2 (ja) | 蔵型収納付き建物 | |
CN201809996U (zh) | 新式联体别墅 | |
KR101711946B1 (ko) | 발코니의 이용효율을 증대시킨 발코니하우스 | |
JP2007100354A (ja) | 住宅の間取り構造及び住宅 | |
CN101967890A (zh) | 新式联体别墅 | |
KR20190017321A (ko) | 조망권 확장과 독립공간 설계가 자유로운 공동주택 | |
CN203716522U (zh) | 公寓 | |
JP2018150802A (ja) | 住宅 | |
JP5198670B1 (ja) | 木造住宅および木造住宅の設計方法 | |
KR102630907B1 (ko) | 이중나선계단 다가구주택 | |
JP2011001761A (ja) | 家屋 | |
Deely | Typologies: Semi-detached | |
JP2002097801A (ja) | H型住宅 | |
JP2535724B2 (ja) | 多所帯型住宅 | |
Park | Internal space | |
Thurmond | Adapting Lifestyle: The Dwelling | |
KR20130030579A (ko) | 조망권 확장과 독립공간 설계가 자유로운 공동주택 | |
JP2014092012A (ja) | 集合住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02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5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 |